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유권자의 정서적 양극화 : 주요 원인과 비정치적 효과

        이내영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2 亞細亞硏究 Vol.65 No.4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auses and effects of affective polarization among Korean electorate. In order to examine the main causes of affective polarization, this paper suggests the two contending theories: the partisan identity theory and the ideology/policy theory, and various hypoheses drawn from the two theories are tested by empirical analysis.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 affective polarization is strongly related to the strength of partisan identity as well as ideological distance and policy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in parties. In addition, strong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strength of partisan identity and policy difference of the two main parties is detected. This paper also tries to analyze non-political effects of affective polarization in Korea. This paper examines whether affective polarization brings negative effects on four different types of social relations between the partisans of different parties. The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the hypothses are only partially supported. In the highly intimate social relations such as marriage and close friendship, the negative effect of affective polarization on social relations is very salient. Yet in the less intimate social relations such as neighbors and company colleague, the negative effect of affective polarization is not salient. 본 논문의 목적은 새로운 정치 갈등의 양상으로 최근 부각되고 있는 한국 유권자의 정서적 양극화의 원인과 효과를 2022년 한국정치학회가 수행한 양극화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정서적 양극화의 주요 원인에 관한 분석에서는 먼저 정서적 양극화의 원인을 설명하는 두 가지 지배적인 이론적 시각으로 당파적 정체성 이론과 이념/정책차이 이론을 제시하고 두 이론에서 도출된 가설들에 대한 검증을 통해 두 이론의 적실성을 비교하였다. 경험분석의 결과 당파적 정체성의 강도와 양당 사이의 이념과 정책에 대한 차이가 각각 정서적 양극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당파성 강도와 양당의 정책 차이, 그리고 두 변수 사이의 상호작용 항을 포함한 종합모델에서는 두 변수의 정서적 양극화에 미치는 독립적 영향력이 현저하게 줄고 상호작용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당파성의 강도 변수가 정당의 정책차이 변수에 비해 정서적 양극화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이 크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정당의 이념적 양극화와 정서적 양극화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서적 양극화의 효과에 관해서는 비정치적 효과에 주목하여, 정서적 양극화가 타당 지지자와의 네 가지 다른 유형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경험분석의 결과 친밀도가 깊은 사회적 관계인 결혼이나 친구관계에서는 양당에 대한 호감도의 차이가 큰 유권자일수록 타당 지지자와의 관계를 불편하게 여기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친밀도가 얕은 사회적 관계인 이웃이나 직장동료관계에서 양당에 대한 호감도의 차이가 크더라도 타당 지지자를 불편하게 여기지는 않는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즉 정서적 양극화가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사회적 관계의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국 유권자들의 이념적 정렬과 정서적 양극화 : 18대, 19대, 20대 대통령 선거 분석 결과

        김성연 ( Kim Sung-youn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6

        정서적 양극화(affective polarization)에 관한 그동안의 연구들은 그 이론적 시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정서적 양극화가 당파적 정렬(partisan sorting)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 유권자들의 정서적 양극화와 이념적 정렬(ideological sorting)의 관계를 18대, 19대, 20대 대통령선거 여론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우선 한국 유권자들의 정서적 양극화와 이념적 정렬은 동시에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18대 대선 이후 양당 지지자들이 점차 진보와 보수로 결집하면서 동시에 이들 사이의 정서적 양극화가 심화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념적 차이의 확대와 정서적 양극화는 실제로 밀접한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적으로, 지난 세 차례 대선을 거치면서 이념 성향이 정서적 양극화에 미친 영향은 계속해서 강해졌다. 이것은 이념적 정렬에 따른 양당 지지자들 사이의 이념적 차이의 확대가 정서적 양극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적으로, 이 연구는 적어도 18대 대선 이후 한국 유권자들의 정서적 양극화가 이념적 정렬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정서적 양극화의 원인 중 하나가 이념적 차이의 확대일 수 있는 것이다. Studies on the cause of affective polarization, despite the difference in their theoretical perspective, suggest that affective polarization is likely to be related to partisan sorting. This study investigates how Korean voters’ affective polarization is related to ideological sorting using three presidential election survey data since 2010s. The results show that the affective polarization and ideological sorting took place together since the 2012 election. That is, affective polarization increased while the supporters of the two largest parties in Korea got more ideologically extreme. Moreover, this increased ideological distance actually influenced affective polarization. In essence, the effect of ideological strength on affective polarization has steadily increased over time, indicating that the increase in ideological difference impacted affective polarization. Overall, the study suggests that the affective polarization in Korea since the 2012 elec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in ideological difference. That is, ideological sorting may be one of the reasons of affective polarization in Korea.

      • KCI등재

        정서적 양극화에 대한 고찰 : 특징과 대안을 중심으로

        김병문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사회 Vol.6 No.6

        여야의 극렬한 대립은 양당을 지지하는 당파적 양극화의 선을 넘어 정서적 양극화의 심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정서적 양극화는 민주주의의 기본원칙이 제대로 작동되기 어렵게 만들었고 민주주의의 상대성 이념도 무색하게 만들고 있다. 정서적 양극화의 연구는 양당제의 미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다가 최근에는 한국을 위시한 다른 민주주의 국가에서도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는 정서적 양극화의 특징과 원인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정서적 양극화 해소를 위한 대안은 초보 수준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서적 양극화의 특징 및 대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대통령의 리더십이 정서적 양극화 해소의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대통령 리더십의 활용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한국의 정서적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변혁적 리더십의 변수 중 비전 제시를 통한 신뢰감 형성, 개인적 배려 측면에서 양방향의 의사소통을 통한 설득 및 타협의 정치적 능력 발휘, 지적 자극 측면에서 정확한 진단을 통한 새롭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변화유발 등을 활용하여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리더십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The study of affective polarization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two-party system in the United States but recently studies on affective polarization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other democracies including Korea. Most of the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affective polarization and alternatives for resolving affective polarization are at an early stag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and alternatives of affective polarization and examine the use of presidential leadership that can induce change under the premise that presidential leadership can be an alternative to resolving affective polarization. As an alternative to resolving the affective polarization in Korea it is through the formation of trust through vision presentation among the variables of transformation leadership the political ability of persuasion and compromise throug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terms of personal consideration and accurate diagnosis in the aspect of intellectual stimulation. We present an alternative to the leadership of President Yoon Seok-yeol in the future by utilizing identity change in a new and creative way.

      • KCI등재

        한국의 정서적 양극화: 제20대 대선결과의 이론적 및 경험적 논의

        강명세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2022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8 No.2

        This article uses the KSDC survey conducted right after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to test whether party-feelings or issue preferences drive voters' choice of presidential candidates . Affective polarization is found to be more significant i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Partisan affective polarization measured with feeling thermometer ratings on both in-party and out-party, played a key role in choosing presidential candidates. It is driven by traditional regionalism, presidential approval, ideological differences, and policy preferences. The strongest predictor of party-feelings is partisanship measured by party identification. Ideology , presidential approval , and social welfare attitudes appear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rty-feelings. In addition, this article what predicts electoral choices of Korean voters. Own-party or rival party feelings are the most important predictors, shrinking the traditional role of regionalism. Significant impact of issues preferences and ideology on voter's choice disappears in an era of partisan affective polarization. However this article cannot evaluate causal role of affective partisanship to influence voter's preferences because the KSDC survey utilized here is cross-sectional. 이 글은 한국정치의 양극화 현상을 이론적 및 경험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최근 몇 년 사이 한국의 정당양극화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는 정당과 진영이 서로를 비난하는 일반적 현상으로 뿌리내린  “내로남불”에서 드러난다. 정치의 양극화는 정당 간에 정책에 대한 합의를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정책이 실현되지 못하게 만들고 민주적 규범을 부정하는 점에서 민주주의를 위협할 수 있다. 양극화 상황에서 반대 입장을 무시한 일방적 정책추진은 비효율적이고 비생산적 결과를 낳는다. 그러나 양극화가 민주주의와 정책실현에 미치는 폐해에도 불구하고 그 기원은 언제이며 무엇으로 인해 악화되는지에 대한 국내 연구는 아주 미흡하다. 이 글은 KSDC 조사를 활용하여 국내의 주요한 정치적 균열을 반영하는 양극화가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또한 지난 대선에서 유권자의 선택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가를 검토한다. 여기서의 연구결과는 정서적 양극화를 추동한 것은 이념이나 정책적 요인보다는 정서적 요인의 영향이 강하며 후자는 다시 후보선택으로 연결됨을 제시한다. 첫째, 정서적 양극화를 주도하는 요인은 정체성이다. 대중이 느끼는 정당 간 온도차를 정서적 양극화로 간주할 때 정당온도의 변화를 예측하는 요인은 정당일체감이며 그 다음으로 정책선호와 이념성향이다. 둘째, 후보지지를 잘 예측하는 요인을 예측력 순서로 보면 정당온도, 정당일체감이며 정책이나 이념의 효과는 사라진다. 미국에서는 정책과 정체성의 역할에 대해 서로 엇갈리는 연구가 공존하는 데 비해 이 연구는 한국의 대중적 양극화를 추동하는 것은 정책이나 이념보다는 정당일체감과 정당에 대한 온도임을 제시한다.

      • KCI우수등재

        오인과 과장 사이: 한국 유권자의 정서적 양극화에 대한 종단 분석(2000년 ~ 2022년)

        강우창,이준호 한국정치학회 2024 한국정치학회보 Vol.58 No.1

        한국 유권자의 정서적 양극화가 심각한 수준으로 악화되고 있다는 언론과 학계의 우려에도불구하고, 이를 뒷받침할만한 실증적인 근거는 부재했다. 2000년 이후 실시된 6차례의 국회의원선거 유권자 여론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 유권자들에게서 ‘과정’으로서의 정서적 양극화가진행되고 있는가를 검증했다. 집합수준과 개인수준의 분석 결과 한국에서 정서적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인식을 뒷받침할만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 집합수준 분석에서 당파성이 있는 유권자만을 대상으로 한 양극화 지수나, 무당파를 포함한 와그너 양극화 지수 모두 2004년에 가장높은 값을 기록했으며, 그 이후 2016년까지 감소하는 추세가 이어졌다. 2016년에서 2020년 사이에 정서적 양극화가 증가했지만, 2022년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 결과 그러한 증가세가 지속되지는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한 당파적 정체성, 이념강도와 같은 유권자의 개인적인 성향과 함께 정당의 이념적 위치에서 확인되는 정당의 이념적 양극화에 대한 인식이 정서적 양극화태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재확인했지만, 이들 변수들이 정서적 양극화를 악화시키고 있다는 근거는 발견하지 못했다. Despite concerns about the increasing affective polarization among Korean voters, there has been a lack of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is claim.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ffective polarization as a 'process' is occurring among Korean voters, exploiting voter opinion polls from six National Assembly elections conducted since 2000. The analysis at both the aggregate and individual levels failed to find evidence that affective polarization is intensifying in Korea. At the aggregate level, both the partisan based polarization index and the Wagner polarization index which includes non-partisans, peaked in 2004, followed by a decreasing trend until 2016. There was an increase in emotional polarization between 2016 and 2020, but further analysis in 2022 revealed that this increase is not continuing. At the individual level, we reconfirm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ffective polarization and factors like strong partisan identity, ideological intensity, and perceptions of ideological polarization within parties; however, this study did not find evidence that these variables are exacerbating affective polarization.

      • KCI등재

        정치 엘리트들의 이념적 양극화와 유권자들의 정서적 양극화 : 설문 실험 연구

        권구선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社會科學硏究 Vol.48 No.1

        The study tries to examine how party label and ideological polarization of political elites influence affective polarization in mass public. Specifically, employing survey experiment,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s whether and how party label of two fictitious candidates and ideological polarization of the candidates make a difference in the feeling of survey participants toward the candidates.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party label heightens affective polarization of the participant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arty identification of them, while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ffective polarization of the participants. It implies that South Korean voters experience affective polarization based on the antagonistic confrontation between political parties rather than ideological polarization by itself of them. 본 연구는 유권자들의 정서적 양극화에 있어서 정당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그리고정치 엘리트들의 이념적 양극화가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설문 실험을 통해 가상의 두 후보자의 소속 정당 정보와 두 후보자 간의 이념적 양극화가설문 참여자들이 두 후보자에게 느끼는 감정에 어떠한 차이를 불러오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후보자의 소속 정당 정보는 설문 참여자들의 정서적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효과는 설문 참여자들의 지지 정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하지만, 후보자 간의 이념적 양극화는 설문 참여자들의 정서적 양극화에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유권자들이 정치 엘리트들의 이념적 양극화보다는 정당 간의 적대적 대립에 근거하여 정서적 양극화를 경험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KCI우수등재

        한국 유권자의 당파적 정체성과 정서적 양극화

        김기동(Kim, Gidong),이재묵(Lee, Jae Mook) 한국정치학회 2021 한국정치학회보 Vol.55 No.2

        정서적 양극화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 늘어나고 있으나, 그것의 측정방식의 제약은 이론적 · 경험적 차원의 제약을 야기한다. 본 연구는 정서적 양극화와 구분되는 당파적 정체성의 직접적인 측정을 통해, 이를 바탕으로 정서적 양극화의 다양한 측면을 분석함으로써 유권자 수준의 양극화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시한다. 특히, 당파적 정체성과 정서적 양극화의 결정요인을 살펴보고 양자의 정치적 · 비정치적 효과를 분석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한국 유권자들의 상당수가 당파성을 자신의 중요한 정체성 중 하나로 인식했다. 둘째, 당파적 정체성은 정당일체감과 정치이념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강해지는 반면, 정서적 양극화는 당파적 정체성, 정치이념, 그리고 쟁점선호에 대한 강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했다. 셋째, 정치적 결과로서 정치참여의 수준은 당파적 정체성이 강해질수록 높아지는 반면, 비정치적 결과로서 결혼태도나 특성평가로 표현된 당파적 편향성은 정서적 양극화가 증가할수록 심화되었다. We examine partisan identity and affective polarization among South Korean partisans. Using online survey data which include diverse measures that were not employed by prior studies in Korea, we analyze determinants of partisan identity and affective polarization, and their political and non-political consequences. Our findings show that, first, a significant number of Korean partisans perceive their parties as one of their important identities. Second, while partisan identity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strength of party identification and political ideology, affective polarization is related to the strength of partisan identity, political ideology, and issue preferences. Third, political particip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tisan identity, whereas marriage attitudes and trait ratings are associated with affective polarization.

      • KCI등재

        동기적 사고, 감정, 정서적 양극화: 20대 대선 패널데이터 분석 결과

        김성연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4 국제지역연구 Vol.33 No.1

        정서적 양극화(affective polarization)의 감소 방안은 최근 여러 나라에서 학자들의 관심을 받는 주제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동기적 사고(motivated reasoning)의 시각에서 정당에 대한 감정, 즉 열의(enthusiasm), 불안(anxiety), 그리고 분노(anger)가 정서적 양극화의 증가 혹은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감정이 감정이 정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은 감정이 동기적 사고에 영향을 미 치며,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정서적 양극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지난 20대 대통령 선거 패널 여론조사 분석 결과는 이러한 가설들을 경험적으로 뒷받 침한다. 핵심적으로, 지지 정당에 대한 열의와 상대 정당에 대한 분노는 시간이 가면서 주로 지지 정당에 대한 호감을 상승시켰으며, 그 결과 정서적 양극화를 증가시켰다. 반 면에, 상대 정당에 대한 열의는 당파적 적대감을 감소시켰고 상대 정당에 대한 불안은 지지 정당에 대한 호감을 하락시켰으며, 그 결과 정서적 양극화를 감소시켰다. 또한 이 러한 감정의 영향은 대체로 정당 지지의 강도가 강할수록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서적 양극화의 메커니즘 및 감소 방안에 관한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Few topics have received more attention than how to mitigate affective polarization in recent years. Different from extant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d with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motivated reasoning the impact of Korean voters’ enthusiasm, anxiety, and anger towards their own and opposing party on the change in affective polarization. Studies on emotion and politics suggest that emotions are likely to play a distinctive, important role in motivated reasoning, which in turn influences affective polarization. A panel survey data on the 2022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strongly supports these hypotheses. In essence, enthusiasm towards own party and anger against the opposing party increased largely the positive feelings of own party, which increases affective polarization. In contrast, enthusiasm towards the opposing party decreased partisan animosity while the anxiety towards the opposing party decreased the feelings of own party, both of which decrease affective polarization. Moreover, these effects of emotions became stronger as the strength of partisanship increases.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regarding the mechanism of and how to disrupt and decrease affective polarization.

      • KCI등재

        편향된 미디어가 한국 사회를 정서적으로 양극화시키는가?

        이세희 ( Sehee Lee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3 창의정보문화연구 Vol.9 No.2

        현재 한국의 정서적 양극화가 심화된 원인은 무엇일까? 본 연구는 과거에 비해 최근 한국의 정서적 양극화가 심화된 원인을 미디어라 예상한다. 양극화라는 주제에 대해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대다수는 이념 양극화에 집중해 왔으며 정서적 양극화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편향된 미디어가 한국 사회를 양극화시키는지 관계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전통 미디어 사용자, 뉴미디어 사용자, 전통 미디어와 뉴미디어를 모두 사용한 사람으로 분류해 미디어 사용이 주요 정당에 대한 호감도의 차이를 크게 만드는지 분석한다. 분석결과 당파성이 있는 미디어 사용자들은 편향된 미디어를 전통 미디어나 뉴미디어 각각 사용할 때보다 편향된 전통 미디어와 뉴미디어를 모두 사용할 때 주요 정당에 대한 호감도의 차이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편향된 미디어가 유권자들에게 감정적 대립인 정서적 양극화를 발생시키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What deepens affective polarization in Korea?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media is the cause of the recent intensification of affective polarization compared to the past.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ubject of polarization, but most of them have concentrated on ideological polarization, while studies on affective polarization are still lacking.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iased media polarizing Korean society. By classifying media users into traditional media users, new media users, and those who used both traditional and new media, it analyzes whether the use of media makes a big difference in favor of major parties. It was found that partisan media users have a greater difference in favor of major political parties when using both biased traditional media and biased new media than using only one of them.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s that partisan media is a factor in affective polarization.

      • KCI등재

        소셜 미디어와 정치양극화

        김병록 (사)한국언론법학회 2024 언론과 법 Vol.23 No.1

        정치인과 모든 분야의 전문가들은 정치적 양극화를 한탄한다. 양극화된 정치 상황에 좌절한 시민들은 각기 다른 쪽에 더 많은 유연성을 요구하고 있다. 양극화를 비난하는 것은 적을 문제 삼는 하나의 방법이 되었다. 그런 한편 양극화가 만들어낸 정치적 교착상태와 분노는 다루기 매우 어렵다. 정당은 양극화로 이어지고 유권자들은 이를 따른다. 디지털 미디어는 정파적 정렬을 통해 정서적 양극화를 촉진시킨다.​ 심각한 양극화! 미래가 더 심각하다. 이 논문은 정치양극화의 여러 원인 중, 소셜 미디어와 정치양극화 문제를 다루고 있다. 먼저 소셜 미디어와 정치양극화 문제를 시작으로 소셜 미디어와 정치양극화의 관계, 소셜 미디어의 지배와 극단화된 정치 상황을 살펴본 후 나가면서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도록 한다. 변화한 미디어 환경이 양극화를 강화시켜 민주주의 공고화를 저해한다는 사실은 이제 상식에 가깝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우선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규제적 방안으로 가짜뉴스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가짜뉴스와 허위정보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뉴스의 소비자들에게 스스로 생각하고 판별하는 능력을 길러주어 거짓정보에 대한 면역력을 기르게 하는 것이다.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이 가짜뉴스 문제 해결에 핵심적인 해결책인 이유이다. 동시에 언론의 수준을 높이고 그 투명성을 강화하여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파성을 띠지 않는 중립적 기구에 의한 팩트 체크를 활성화하고, 필요하다면 인공지능을 이용한 가짜뉴스 탐지작업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대 분의 가짜뉴스와 허위정보가 온라인상에서 유포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오프라인 공론장의 활성화와 재강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Politicians and experts in all fields lament political polarization. Frustrated by the polarized political situation, citizens are calling for more flexibility from different sides. Blaming polarization has become a way to take issue with the enemy. Meanwhile, the political deadlock and anger created by polarization are very difficult to deal with. Political parties lead to polarization and voters follow it. Digital media promotes emotional polarization through partisan alignment. Serious polarization! The future is more serious. This paper deals with social media and the problem of political polarization among the various causes of political polarization. First, starting with the problem of social media and political polariz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and political polarization, the domination of social media, and the extreme political situation, and then leave to suggest the problems of the policy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It is now close to common sense that the changed media environment strengthens polarization and hinders the consolidation of democrac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 institutional mechanism to overcome the problem. First of all, attention is needed on media literacy. This is because there is a fundamental limit to solving the problem of fake news through regulatory measure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fundamental solution to the problem of fake news and false information is to develop the ability of consumers of news to think and discriminate on their own and to develop immunity to false information. This is why media literacy education is a key solution to solving the fake news problem.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trust of the people by raising the level of the media and strengthening its transparenc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activate fact-checking by a neutral organization that is not partisan, and, if necessary, institutionalize fake news dete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revitalize and reinforced offline public forums, focusing on the fact that most of the fake news and false information are distributed on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