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지역 인문계 고교생들의 끼리의례와 속신

        황경숙(Whang Kyung-Suk) 실천민속학회 2011 실천민속학연구 Vol.18 No.-

        청소년들 사이에서 형성, 전승되고 있는 의례문화와 속신문화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새로움을 추구하는 청소년들의 문화적 취향은 민속문화의 전승과정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이 논문은 청소년들 사이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 끼리의례과 속신의 변화 양상과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현재 청소년들 사이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 끼리의례로 ‘생일빵’?‘졸업빵’?‘신발빵’ 등 소위 ‘○○빵’의례를 들 수 있다. 이들 ‘○○빵’의례는 폭력적 행위가 중심을 이루어 기성세대들에게는 일탈적 놀이로 간주되는 경향이 지배적이나, 이 의례에 나타나는 폭력적 행위는 상호 폭력이 허용될 수 있는 호의적 관계임을 인정하는 모종의 약속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폭력적 행위의 강도는 상호 친밀도에 비례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한국의 고교생들 사이에는 대학입시와 관련된 기원의례 및 속신문화가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학벌을 우선시 하는 사회구조와 입시 위주의 파행적 교육현실에서 시험과 관련한 대표적인 끼리의례로는 ‘D-day의례', ’수능대박 기원 고사‘ 등이 있으며, 관련된 속신 중에는 주물신앙에 바탕을 두 주술, 금기, 점복, 예조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시험과 관련한 의례와 속신이 만연한 데는 학벌을 우선시 하는 한국 사회의 구조와 입시 위주의 파행적 교육현실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현재 청소년들 사이에 유행하고 있는 속신문화 중 흥미로운 것은 ‘웹툰 부적’이다. 이 부적은 디지털시대 새롭게 등장한 부적으로 예술과 종교의 경계를 허물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디지털 세대들이 민속문화를 그들 나름대로 전승해가는 방식을 보여주는 대표적 예라 할 수 있다. The culture of rituals and beliefs which has been developing among teenagers is changing rapidly. Cultural inclination of teenagers who seek novelty is reflected in modern folk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iodical and historical changes while clarifying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group ceremonies and folk beliefs which is prevailing among teenagers. Recently the group ceremonies which are widely used among teenagers are called ‘○○ ppang’. For example, ‘생일빵’, ‘졸업빵’, ‘신발빵’, and so forth. These ‘ppang’ ceremonies primarily contain violence. Therefore the older generation regards it as deviant behaviour. However the violence related to these ceremonies is mutually agreed upon by the teenagers participating in the ceremony. Furthermore the strength of the violence is proportionate to the mutual closeness between the ceremony participants. The ceremony of praying and folk beliefs related to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have been diversly developed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 typical group ceremonies related to exams are ‘D-day’, 수능대박 기원 고사’ and so on. The folk beliefs related to exams are based around magic which has a foundation in fetishism. Magic, taboo and omens show up eminently in these folk beliefs. The folk beliefs related to exams have spread rapidly among young teenagers. The reasons for this can be found through characteristics from Korean society regarding the prestige of educational background as being crucial. Teenagers live in the hard reality of strict education which is arduous. Teenagers try to seek comfort through folk beliefs in the best way possible. One of the popular folk beliefs which is interesting among teenagers is ‘webtoon amulets’. Webtoon amulets are a new arrival in this digital era. Meaning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religion with regard to webtoon amulets is being dismantled. This cultural phenomenon is an example which shows how the digital generation translate folk customs in their own way. Henceforth we can foresee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mission of folk culture will develop.

      • KCI등재

        의례설행과 수행인식의 접점―수행의례 연구를 중심으로

        최건업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4

        Recently we buddhist can see a lot of buddhism ritual. There are Suryukjae, Yongsanjae, Lotus-lantern Festival, Yesujae. These rituals are performed for peoples and their meanings, influences are extended to them. But Only showing without practice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is not original purpose. The object of buddhism is Nirvana through practice. So buddhism rituals have to be recognized as the concentrated practice and stage to Nirvana. These rituals are types of practice to participants and performers. The rituals in the early Buddhism were almost ascetic rituals. A ceremony assisting ascetics becomes rituals. Under this perception Buddhism rituals are for practice and actions at the stage can be prescribed as the practice ritual. Performers have to equip practicing mind and perception. This study would like to check how to connect and live in peace to jinyo-bubshin(眞如法身, thusness Dharma-kaya) at the buddhism ritual. Ceasing a deed towards outside before and concentrating on mind now is heading for samadhi(三昧). Methods for samadhi are one-dot practice, Mindfulness of breathing and Anapana-sati(數息觀), Samatha- vipassana. If performer focus on his Mind and keep going one-state he begin to feel calm and clear aspect inside. That point is the phase that connect to jinyo眞如. This phase is repeated and get used to mastery. It keeps longer and longer. And we can live in peace and 眞如. The expression "engrave and election" is the step to engrave the phase 眞如 and to summon 眞如 anytime. This step is for salvation. Next step is for enlightenment as "loading and outspreading". It is not only staying inner stability but also extend action by setting right wisely. Connection to 眞如 with peace and enlightenment can rescue from suffering himself and also others. Watching whole body by mind's eye (acting)rituals become practice rituals. This ritual make practice deeper and deeper in mind. This study is focused on changing views of rituals. Ritual is not only showcase event. Ritual must be practice process. Not only watching but participating and practicing. There is Nirvana free from worldly desire and fantasy. 최근에 불교와 관련된 의례가 불자와 국민들 앞에 많이 등장하고 있다. 수륙재, 영산재, 연등회, 예수재 등의 의례가 여러 대중들 앞에서 시연되고 그 의미와 영향력이 확장되고 있다. 불교의례가 대중에게 소개되고 시연되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과정이긴 하지만 동참의식과 수행인식이 결여된 보여주기 식의 행사에 그쳐서는 불교본래의 목적을 잃기 십상이다. 불교의 목적은 수행을 통한 해탈이다. 그래서 의례행위 또한 집중된 수행의례로서 인식되어져야 하고 의례 행위를 설행하는 주체나 보고 있는 참관자 모두에게 수행의 형태로서 접근되어져야 수행으로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초기불교시대의 의례는 수행의례가 대부분이었다고 한다. 수행을 돕기 위한 의식이 의례가 된 것이다. 그러한 인식하에서 의례는 곧 수행을 위한 것이고 의례를 통해 일어나는 행위는 수행의례라고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전제하에서 의례를 설행하는 행위자는 수행정신과 수행인식을 먼저 갖추어야 한다. 의례 설행 시 의례행위가 어떠한 접근로를 통해서 수행인식의 요체라 할 수 있는 진여법신과 접속하고 진여 가운데 안착할 수 있는지[새기고 세움]를 살펴보고 확보된 수행인식을 어떻게 의례행위에 다시 실어서 펼쳐나갈지[실어서 펼침]를 철학적, 수행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하는 것이 이번 논문의 핵심이다. 수행은 외부의 경계를 끊고 내안에만 머물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자리이타, 하화중생하기 위한 것임이 항상 요구된다. 이러한 인식을 확보하고 몸의 관찰을 통해 온 몸의 몸짓으로 의례를 펼치게 되면 의례가 곧 수행이 되고, 수행의례로서 자리 잡히게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의례를 집행하는 자와 참관하는 자 모두가 의례를 바라보는 입장을 수행의 과정으로 인식하여 보여주기 식의 의례를 뛰어넘어 수행에 동참하는 의례로 바꿔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각종 의례의 설행을 통해서 동참자 모두가 번뇌 망상의 오염으로부터 벗어나 상락아정의 열반의 경지에 함께 도달할 수 길을 열어 제치는 것이다.

      • 어떤 가족의례가 살아남는가?: 결혼과 임신·출산의례의 젠더 및 세대 비교

        성미애(Miai Sung),기쁘다(Ppudah Ki),진미정(Meejung Chin) 한국가족정책학회 2023 가족정책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전통적 의례와 현대적 의례가 습합되어 있는 결혼과 임신·출산의례 중 현재까지 유지되는 의례는 무엇인지 젠더 및 세대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남녀 1,319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 출생) 330명(남성 166명, 여성 164명), X세대(1964-1980년 출생) 331명(남성 164명, 여성 167명), M세대(1981-1996년 출생) 338명(남성 167명, 여성 171명), 그리고 Z세대(1997-2003년 출생) 326명(남성 166명, 여성 160명)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결혼과 임신·출산의례에 대한 젠더 및 세대별 동의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 STATA 17.0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남녀 모두 결혼의례 중 필요성 동의 정도가 가장 높은 것은 신혼여행, 웨딩촬영, 청첩장이었다. 임신·출산의례 중 필요성에 대한 동의 비율이 높은 것은 남녀 모두 태교, 산후 미역국 섭취, 돌잔치였다. 남녀 모두 대체로 X세대와 M세대가 결혼과 관련된 전통 의례의 필요성에 대해 부정적이었고, 베이비붐세대(이하 BB세대)와 Z세대가 상대적으로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는 어떤 결혼과 임신·출산의례가 살아남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의례의 필요성에 대한 성별 세대별 차이를 논의하면서 한국 생활문화의 변화 방향성을 전망하였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ich traditional family rituals have survived among marriage, pregnancy, and childbirth rituals, focusing on gender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otal, 1,319 adult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and this group comprised adults from the baby boomer generation (BB: born between 1955 and 1963), Generation X (born between 1964 and 1980), Generation M (born between 1981 and 1996), and Generation Z (born between 1997 and 2003). Cross-tabulation analyses were utilized for the comparison according to gender and generation, and STATA 17.0 was us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both men and women agreed with having marriage rituals such as going on a honeymoon, taking wedding photos, and making and sending out wedding invitations. Regarding pregnancy and childbirth rituals, both men and women agreed with having prenatal education, eating seaweed soup after birth, and having a first-year birthday party. Regarding the generation analyses, generations X and M tended to disagree with marriage rituals, while generations BB and Z tended to agree with them.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family rituals according to gender and generation based on the family rituals that have survived.

      • KCI등재

        일상에서 나타나는 조직문화 사례연구

        이병준(Yi, Byung-Jun),한현우(Han, Hyun-Wo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8 No.-

        본 연구는 조직문화를 의례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기 위해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현재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누적되어 진행되어왔으나, 몇몇 연구자들의 조직문화 분석모형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개별성을 가진 현대의 조직문화를 들여다보는데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문화를 의례적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의례는 조직의 의례질서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의례질서에 의해 나타나는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구성원들이 특정 상황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그들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신을 연출하는지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의례는 일터의 일상을 관찰함으로써 조직문화를 파악해 볼 수 있는 핵심기제로 활용할 수 있다. 상호작용의례를 분석한 결과 회사의 특성에 따른 전반적인 의례질서, 의례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의례가 반복되면서 조직문화를 더욱 공고이하고 있었다. 이러한 일터에서의 상호작용의례는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을 활발히 함으로써 공동체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구성원 개개인은 그 속에서 자신의 체면, 처신을 바르게 하기 위해서 전면영역과 후면영역에서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organizational culture from the new perspective. Many studies of organizational culture have been conducted but they have taken the focus on some models, so there are limited to see the modern organizational culture. In this situation, some movement that analys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 using the ritual. So, we can understand how they make a identity and performance in some certain situations that see a members’ interaction according to ritual order. This being so, interaction ritual is that we can explore the everyday life. Moreover, it is used as main mechanism to comprehe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results was showed ritual order, and their cultural modality were differed from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And rituals are making a organizational culture strongly. Namely, interaction rituals of workplace help to maintain the community through make a members’ animated communication. Then, member each person is using various strategy for they improve one’s face and behavior on the front stage and back stage.

      • KCI등재후보

        마을민속에서 산업민속으로 변화되는 일생의례의 연구

        김시덕(Kim, Shi-du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9 民俗硏究 Vol.0 No.19

        이 논문은 산업화 된 사회에서 일생의례연구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생의례의 향유주체에 대해 전통적으로는 핵심주체인 가족과 부주체인 주민이고,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핵심주체는 변함없지만, 부주체는 의례전문업체라는 원칙을 세웠다. 일생의례연구의 성과와 반성을 통해 일생의례연구에서 의례 본질과 절차 분석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 산업화 된 현대의 일생의례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산업사회의 일생의례연구는 의례 본질에 대한 연구, 산업에 대한 연구, 일생의례 정책에 대한 연구, 일생의례 산업 관련 문화공동체에 대한 연구, 무덤에 관한 연구 등이 있을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아직 산업화된 일생의례의 연구는 초기 단계에 있다. 현대 일생의례의 연구는 과제가 방대하기 때문에 중간 단계의 연구에서 다양한 방법론들이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화 시대 일생의례 연구 방향에 대해 단적으로 결론짓기는 쉽지 않다. 지금의 결론도 향후 하나의 중간단계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 역시 중간단계의 연구이듯, 중간단계의 연구성과를 간과하지 않아야 할 관대함도 일생의례 연구의 진전을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This paper clarifies the subject of enjoyment in rites of passage and analyzes the features of rites of passage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In traditional society a family is a main body of enjoyment in the rites while neighborhoods are secondary. In industrial society, however, a family remains as a main body, but a secondary body is a commercial agency for rituals. In the chapter of ‘Achievement and Introspection of Study on Rites of Passage’, a study on procedures of the rites and contents of books ritual manual(禮書) is emphasized because it is necessary for examining what the rites mean for the group who perform the rites. From this point of view I suggest the research methods for rites of passage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study on rites of passage in industrial society comprehends the research on essence of the rites, on industries, on policies for rites of passage, on folk communities related to the business of rites of passage, and on graves. Research on industrialized rites of passage is still in its early stage. Since it includes a wide range of subject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research methods would be developed in intermediate phases. therefore, A direction of research on rite of passage in industrial society cannot be easily determined. Even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might be one of the intermediate phases henceforth. It is critical not to overlook the results of studies in intermediate phases for progress of research on rites of passage as this paper is also one of such intermediate stages.

      • 서구 불교 의례 연구이론의 탐색

        지혜경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0 무형문화연구 Vol.0 No.1

        This article introduces the discourse of the Buddhist ritual studies in the west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ritual studies in Korea. Buddhist ritual studie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of ritual studies in the west, so this article begins with the theories of ritual studies. The direction of the ritual studies changes from digging into the unrevealed meaning of the ritual to study ritual itself as a kind of performance. As Robert Sharf indicated, scholars now first ask what & how people do in ritual rather than its meaning. In addition, the scholars focus more on studying individual rituals than finding common characteristics of all rituals. In this context, Buddhist ritual studies also focus more on ritual action, then spontaneously it flows to look for the ritual elements in Zen Buddhism. Ronald Grimes uses his six modes – Ritualization, Decorum, Ceremony, Magic, Liturgy, Celebration- to analyze Zen practice actions such as breathing, bowing, hitting, clinging, sitting, enlightenment. Robert Sharf defines ritual in a broad way to embrace the Zen practice action into the ritual. With those efforts, Buddhist ritual studies in the west can study more subjects in ritual studies. 불교의 의례연구는 서구의 의례 연구이론의 발달과 맥을 같이 한다. 그렇기에 서구의 불교의례 연구에 대해서 논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1970년대 이전에는 의례자체보다 의례와 신화, 의례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주를 이루었고, 이후부터 의례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의례가 갖는 의미보다는 의례를 구성하는 요소들, 의례를 집행하는 이, 의례 도구, 의례 구성 등에 대한 다양한연구가 진행되었다. 의례연구의 방향은 의례의 사회적 역사적 의미 연구에서, 의례 전체를 다루는 방향으로 연구범위가 확대되는 쪽으로 가고 있다. 의례 자체를 다루는 연구가 이루어지다보니, 의례에 대한 텍스트보다는 의례행위와 몸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연구 보다는 구체적이고 개별 사례에 집중하는연구로 나아가고 있다. 종합적으로는 의례의 보편적 특성을 구성하는 거대담론보다는 개별 의례의 독자적 특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연구 방향의 맥락에서 로날드 그림스는 의례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독특한 여섯개의 범주를 제시하며 이를 활용해서 기독교적 행위와 선불교의 수행행위를 비교하거나, 선불교의 행위들을 의례로 보아 분석하고 있다. 그가 제시한 여섯 가지 범주는 다섯 가지는 의례화(Ritualization), 예법(Decorum), 예식(Ceremony), 마법(Magic), 전례(Liturgy), 축하의식(Celebration)이다. 다른 학자들이 선불교의 수행행위 속에서 의례라 불릴만한 것에 초점을 맞추어 사례를 분석하고자 했다면, 로버트 샤프는의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의례의 정의를 새롭게 함으로서 불교의 의례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선불교의 수행행위를 의례에 포함시킬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서구에서의 불교의례 연구는 이처럼 의례 연구의 방향성의 변화에 따라 현재는개별지역의 의례 행위에 대한 연구, 나아가 불교의 수행을 의례의 하나의 형태로 보고 연구하고 있다. 또한 의례 전체를 다루는 연구가 다각도에서 진행되다 보니,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도 점점 더 공감을 얻어가고 있다.

      • KCI우수등재

        고려전기 사면의례의 구성과 의미

        윤채운 한국사연구회 2022 한국사연구 Vol.- No.197

        This study examines how amnesty ritual was organized in the former period of Goryeo based on Yeji of Goryeosa and also designed goods used for amnesty to consider the symbolicity of it. Amnesty ritual is d compared to the other rituals dealt with in Yeji of Goryeosa , it is more noteworthy as it allows us to understand how the authority of reward and punishment, one of the essentials of royal authority, was operated and manifested at the site. In addition, because the pardoning power was absolute and special right given to the king only, it can be said that examining rituals related to it is a process indispensable to figure out the substance of royal authority in Goryeo. Amnesty ritual as an act of ritual to declare a pardon was a means of the king to show his power and a medium for him to exhibit virtuous leadership for all the people. Accordingly, the king made the process of amnesty into a ritual and made good use of it as a means of ruling. Three amnesty rituals found in Yeji of Goryeosa are the very examples. Among them, ‘Uibongmunseonsaseoui (儀鳳門宣赦書儀)’ and ‘Chinsawonguhusasaui (親祀圓丘後肆赦儀)’ are the ones conducted in the former period of Goryeo, and there were differences found in the moving line of the king or organization. In the meantime, the king in Goryeo exhibited his authority and beneficence all over the world by showing uniquely designed goods, many and diverse attendees, and splendid and magnificent scenes for expression in the ritual of amnesty. Also, it came to be firmly positioned as a national event that not only the king and his subjects but all the people could enjoy together.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amnesty ritual in the former period of Goryeo was national ritual in which the king’s authority was manifested visually. 본 논문은 『고려사』 예지에 수록된 고려전기의 사면의례 구성방식을 살펴보고, 나아가 사면에 쓰인 의장물을 통해 그것이 가지는 상징성을 고찰하였다. 사면의례는 『고려사』 예지에 수록된 여타의 의례보다 국왕권의 기본 요소인 상벌권(賞罰權)이 현장에서 어떻게 발현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게다가 사면권(赦免權)은 오로지 국왕만이 행사할 수 있는 절대적인 특권이었으므로, 그와 관련된 의례 검토는 고려 왕권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는 불가분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사면의례란 사서(赦書)를 선포하는 의례 행위로, 국왕의 권력을 발현시키는 수단이자 만민에게 덕치를 베푸는 매개체였다. 그에 따라 국왕은 사면을 예식화시켜 통치의 수단으로써 유용하게 사용해왔다. 『고려사』 예지에 수록된 3개의 사면의례가 바로 그것이다. 그 중 ‘의봉문선사서의(儀鳳門宣赦書儀)’와 ‘친사원구사사의(親祀圓丘後肆赦儀)’가 고려전기의 의례로서, 국왕의 동선과 의례 구성내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한편, 고려 국왕은 사면의례에 독특한 의장물, 다양·다수의 참석자, 화려하고 장엄한 연출적 장면들을 드러냄으로써 자신의 권위와 은혜를 만방에 펼쳐 보였다. 더욱이 군신뿐만 아니라 백성들 모두가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국가적 행사로 연출시켰다. 따라서 고려전기의 사면의례는 국왕의 권위가 시각적으로 발현되던 국가의례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문헌 및 고고자료를 통해 본 고대 장송의례 - 백제를 중심으로 -

        정재윤 ( Chung Jae-yun ),박초롱 ( Park Cho-rong ) 백제학회 2020 백제학보 Vol.0 No.31

        본고는 문헌과 고고자료를 통해 초기 국가단계의 장송의례부터 삼국의 장송의례까지 그 일면을 파악하고, 변화 과정을 검토하였다. 고고자료는 백제권의 도읍을 중심으로 한 대표적인 의례 유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정지산유적은 무령왕릉 출토 묘지석을 통해 국가 의례시설이 있었던 곳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대개 빈장의 모습이었을 것으로 살펴진다. 송산리고분군 방단적석유구의 A지구 구덩이는 마한과 백제의 의례적인 관련성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 주목해보았다. D지구 역시 3단 방형 형태를 갖춘 제단시설로 살펴졌다. 이들은 모두 유구의 모습을 통해서 특수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살펴진다. 웅진 천도 이전인 공주 수촌리 적석유구에서도 의례 공간으로 활용한 흔적이 보이며, 이는 한성시대 왕릉인 석촌동고분군과 유사한 것으로 보았다. 아울러 『三國志』동이전을 통해 초기 국가단계의 장송의례 모습을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부여조 ‘停喪’기록은 이미 3세기 중·후반 단계에 빈장으로 추정되는 장례 풍습이 확인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 옥저조에서는 세골장의 풍습이 보이며, 시신을 가매장하였다는 사실을 주목하면 빈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여와 통한다고 할 수 있다. 마한 장송의례는 구슬을 중시하였으나 마구류와 금과 은 등을 부장하는 것은 백제문화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는 것으로 살펴볼 수 있다. 변진조에서도 큰 새의 깃털을 장례용으로 쓰는 등 계세사상과 연관된 모습이 보인다. 이처럼 초기 우리나라의 각 정치체들은 주변 나라와의 접촉으로 영향을 받으면서 점차 보편성을 갖게 되었다. 특히 불교와 유교의 영향은 장송의례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중국 사서에서 보이는 백제 장송의례는 공통 적으로 服을 언급하고 있으며, 특히 복을 제도로 3년 하였다는 『翰苑』의 기록에서 7세기 대 복상이 일반적 장 송의례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日本書紀』 속 신라의 장송의례 모습과 고구려 무용총 벽화 등에서 음악·무 용과 곡 등을 하는 모습이 살펴지는데, 백제에서도 비슷하였다고 추정된다. 이는 중국의 東漢대 상제에 음악 이 쓰여 중국의 유교 영향을 받은 상장례로 볼 수 있다. 더불어 백제에서는 부여 능사 북편 건물지의 빈전시 설을 통해 불교와 결합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처럼 삼국의 장송의례는 불교와 유교의 도입으로, 이전 의 전통적인 계세사상에 영향을 주면서 변화하는 모습이 살펴진다. 또한 무령왕릉은 묘지석을 통해 왕과 왕비 모두 27개월의 상장 기간을 거쳐 유교식 상장제와 일치함을 살 펴볼 수 있다. 아울러 매지권을 통해 도교의 영향도 미쳤음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무령왕릉의 사례를 통해 당 시에는 관이 안치된 빈전일 가능성이 컸음을 확인하였다. 그렇지만 빈전의 운영은 여러 기술적인 문제로 이 후 매장하는 빈을 택하였다. 7세기 초반 내용을 담고 있는 『翰苑』에서 매장하여 빈하였다는 기술은 이를 분명 하게 보여준다. 이처럼 백제의 장송의례는 부여와 마한 등 우리 고유의 장송의례와 중국의 문화를 수용하면서 장례문화가 변화되면서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uneral and burial rituals of Baekje through literature and archeological materials. This study figured out the aspects of the early state-level funeral and burial rituals and the funeral and burial rituals of the Three States and reviewed the process of changes. For archeological materia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presentative relics for ancestral rites, centered around the cities in the Baekje area. The Mt. Jeongji-san remains can be seen as a place where the national ancestral rites, which were usually Binjang.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it in District A of Bangdanjeokseok (squared altar where stones were piled up) relics in Songsan-ri Ancient Tombs as a material by which the ritual relevance between Mahan and Baekje could be seen. District D was also examined as an altar facility in the three square-shaped columns. Also in the Jeokseok (stones were piled up) relics of Gongju Suchon-ri remains, which was built before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Ungjin, there is a trace that it was used as a space for rituals, which was similar to the Seokchon-dong Ancient Tombs, a royal tomb during the Hanseong perio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the early state-level funeral and burial rituals through “Dongyi-jeon” in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n particular, in the Buyeo dynasty, funeral customs are identified in the mid-to-late-3rd century, which is assumed to be Binjang. Next, in the Okjeo dynasty, there was a custom of Segol-jang, and the body was temporarily buried. The funeral and burial rituals of Mahan was changed by the influence of the Baekje culture. Also, in the Byeonjin dynasty, there was an association with the thought of the afterlife, e.g. The features of a big bird were used for a funeral. Since Bok (garment) is commonly mentioned for the Baekje funeral and burial rituals in Chinese history books, it is noted that Boksang was a general Funeral and Burial Ritual in the 7th century. In addition, in the Three States, there were music, dance and wailing in the funeral and burial rituals, which can be seen as funeral rites affected by Confucianism. Also, in Baekje, it was combined with Buddhism through the Binjeon facilities in the building site north of Buyeo Neungsa Temple. Like this, the funeral and burial rituals of the Three States were changed with the influence on the traditional thought of the afterlife by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Especially, the tombstone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shows consistency with the Confucian funeral and burial rituals.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aoism through Maejigwon (the bill of the sales of the site). In additio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s very likely to be Binjeon in which the body was enshrined in the coffin. However, it was noted that Bin was chosen later due to several technical issues for Binjeon. Like this, in the funeral and burial rituals of Baekje, the funeral culture was changed and developed as we accepted our own funeral and burial rituals like those of Buyeo and Mahan and Chinese culture.

      • KCI등재

        의례와 상징 : 조선시대 유교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상징적 의미

        김미영(金美榮)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4 No.-

        이 글에서 살펴본 유교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상징적 의미는 상호 유기적 관계에 놓여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징적 의미를 통해 이루어지는 의례의 신성화 행위는 종법적 위계질서에 기초한 부계친의 결속과 강화 및 신분적 차등질서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마련된 사회문화적 장치이기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이들 모두 ‘정당성의 확보’라는 궁극적 목적으로 귀결되기도 한다. 즉, 의례의 신성화를 도모함으로써 정당성을 확보하고, 또 이를 바탕으로 유교에서 설정해둔 여러 관계적 질서의 정당성을 다시 부여받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의례를 통해 당대의 기존 질서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우선 의례 자체가 ‘정통’으로 간주될 필요가 있는데, 이때 혈통적 연결고리를 갖는 조상에 대한 의례 곧 조상제례는 정서적 친밀감을 고조시킴으로써 강한 신뢰감을 형성하는가 하면, 신성성을 부여받음에 따라 객관적 믿음에 바탕 한 정통성 또한 담보받을 수 있다. 이처럼 조상제례는 부모가 생전에 베풀어준 사랑에 대한 은혜 갚음의 행위 곧 효의 실천이라는 극히 개별적 차원에서 수행되는 의례이지만, 이를 통해 집단적 가치규범을 정당화하는 데에도 적지 않게 이용되어 왔음을 새삼 확인할 수 있다. 『예기禮記』에 “(정성을 다해 제례를 거행함으로써) 군신의 도리를 바르게 하고, 부자父子의 정을 두텁게 하고, 형제들을 화목하게 만들고, 상하의 차례를 바로 잡고, 남편과 아내 사이에 분별이 있게 된다.”라고 적혀되어 있듯이, 제례가 당대의 사회적 가치규범을 지속ㆍ강화함에 있어 이용되어온 연원은 중국 고대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순자荀子 역시 중국 고대의 현군賢君들이 백성들끼리의 불화나 다툼을 억제하고 그들의 욕망을 조절하기 위해 의례가 마련되었다고 했는가 하면, 이런 배경에서 의례는 종교적 원리에 근거하기보다는 세속적인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의례는 오랜 기간을 거치면서 축적되어온 집단적 산물이다. 그리고 집단은 당대의 사회구성원들이 구성한다. 이는 곧 종교적 상징성을 부여받아 신성화의 영역에 자리매김 된 의례라 하더라도, 적지 않은 사회문화적 조작과정을 거쳤음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점에서 유교의례 역시 이들 가능성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특히 유교의례를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사회적 가치규범의 범주가 확장될수록 이러한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이는 조상숭배적 차원에서만 주목받아온 조상제례의 또 다른 측면을 조명하는 것으로서, 향후 이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대목이기도 하다. The social functions and symbolic meaning of Confucian rites that were examined in this thesis are placed in a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 The reason is that the sanctification of rites through symbolic meaning is a social, cultural device prepared to unite and strengthen paternal kinship based on patriarchal, hierarchical and to realize social status discrimination order more efficiently. Also, they all conclude to an ultimate purpose of 'securing justice'. Justice is secured by promoting the sanctification of rites. Based on this, the validity of several relationship orders set in Confucianism is granted once more. In other words, the rite itself must be considered as 'tradition' first to grant validity to the existing order of the era through rites. Ancestral rites, which are religious ceremonies with a lineage connection raise emotional intimacy and form a strong faith. As sacredness is granted, legitimacy can be also guaranteed based on objective belief. Although ancestral rites are accomplished at an extremely personal level as practicing filial piety, repaying kindness for the love parents bestowed on during their lifetime, we can see that they have been used quite frequently to justify group norm of values. It is said in 『Ye-gi(禮記)』, “(By performing ancestral rites with utmost sincerity) duties of sovereign and subject is renovated, affection between father and son is deepened, siblings are in harmony, order of superiors and inferiors is straightened, and there is classif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origin of rites being used to continue and strengthen social norm of values of the era can be found in ancient China. Soon-ja(荀子) also said that rites were made by wise kings(賢君) of ancient China to suppress disagreement or fights among the people and to control their desires. He mentioned that rites were based on a secular principle rather than a religious one. Rites are group products that have been accumulated for a long time. The group is composed of society members of the era. Although rites have settled in the sanctification area by receiving religious symbolism, it is considered to have gone through much social and cultural manipulation. Confucian rites cannot break away from this possibility as well. The possibility increases as the range of social norm of values which was tried to be realized through Confucian rites is expanded. This highlights another side of ancestral rites which were extremely feared from an ancestor-worshiping level. It is also a critical point that desperately needs in-depth studies in the future.

      • 이슬람 통과의례의 행태와 의미

        김정명(Kim Jeoung Myoung)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09 통일인문학 Vol.48 No.-

        통과의례는 인간이 성장하면서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거쳐야 하는 의식이나 의례를 말한다. 대표적인 통과의례로 출생의례, 성인식, 혼례, 장례 등을 꼽을 수 있다. 프랑스의 인류학자 아놀드 반 즈네프는 출생의례를 크게‘분리’, ‘전이’, ‘통합’등 세 가지 단계로 나누었다. 분리의 단계에서 사람들은 기존의 소속 단체에서 떨어져 나와 새로운 공간이나 지위로 옮겨간다. 통합의 단계에서 사람들은 특정한 의례를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획득한 후 사회에 재진입 한다. 전이는 분리와 통합 두 단계 사이에 위치하며, 이때 사람들은 예전의 지위와 결별했지만 아직 새로운 지위를 얻은 상태는 아니다. 본고는 이슬람 세계에서 발견되는 각종 통과의례의 형식과 의미를 소개하고자 한다. 오늘날 이슬람 세계는 13억 이상의 인구가 광대한 영토에 걸쳐 있다. 각 국가들은 똑같은 종교를 공유하고 있지만, 일상생활에서 교리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또한 이슬람 세계에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니고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슬람 통과 의례에 대한 보편적 모델을 제시하기 것은 매우 어렵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연구 범위를 모로코, 이집트, 터키, 이란 4개국에 한정시킨다. 본고는 이슬람 통과의례 가운데, 출생의례, 성인식, 혼례, 장례 등을 다룬다. 무슬림들은 신생아가 태어나면 기도문을 외우고 작명의례를 행한다. 이슬람 세계에서는 성인식으로 특별히 명명되는 의례는 없지만, 할례와 라마단 단식은 아이에게 성인 남 · 녀로서의 역할 구분을 인식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무슬림들은 결혼을 바람직한 성인의 의무 가운데 하나로 여긴다. 결혼에서는 계약서가 체결되며, 이는 신랑과 신부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들을 둘러싼 가족들 간의 권리와 책임까지도 규정한다. 무슬림들은 임종을 앞두고 신앙 증언과 꾸란 구절을 암송한다. 이들은 시신을 하루 만에 매장하며, 머리는 예배 시와 마찬가지로 메카를 향하게 한다. Passage rites mean rituals that a person must go through to progress to the next stage of his or her life. They are often ceremonies surrounding events in cases of birth, coming of age, marriage, and death. The French ethnographer Arnold van Gennep categorized passage rites into three phases: separation, transition, and incorporation. In the first phase, people withdraw from the group and begin moving from one place or status to another. In the third phase, they reenter society, having completed the rite and assumed new identity. The transition phase is the period between the two phases, during which people have left one place or state but haven't yet entered or joined the next.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the forms and meanings of passage rites that are observed in the life cycle in the Muslim world. Today, there are more than 1.3 billion Muslims around the world. Although they share the same religion, they are sometimes quite different one another in the ways of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its doctrines in their everyday lives. In addition, the Muslim population includes many ethnic group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use different languages. So it is impossible to present a universal or ideal model of Muslim passage rite. That's why I have limited my interests on passage rites found in four countries such as Morocco, Egypt, Turkey, and Iran. In this article, four important Muslim passage rites are introduced, which are birth, puberty, marriage, and death. At birth of a child, two important rituals are accompanied, which are the call to prayer and the naming ceremony. Islam sets out no rites for puberty per se. But circumcision and fasting during the month of Ramadan could be regarded as the rituals that lead children towards their gender-based, adult roles in the Muslim society. Marriage is the expected state for all adult Muslims. At marriage, Islamic law demands a marriage contract, which establishe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not only between the husband and the wife, but also between their respective families. At death, a dying person prepares for it by speaking Shahada. When dead, the corpse is buried facing Mecca, in imitation of the direction of pray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