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규모유통업법상 서면계약 요건

        최영홍 ( Young Hong Choi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6 상사판례연구 Vol.29 No.3

        대규모유통업법이 시행된 지 5년째 접어들고 있다. 동법은 경제적 의존상태에 놓인 납품업자 등을 실효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동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거래계약의 서면화는 유통계약이 체결되면 그에관한 계약서면을 대규모유통업자가 작성하여 납품업자 등에게 교부하도록 하고 있다. 계약의 존재와 내용에 관한 증거를 남기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제도는 계약자유의 원칙을 수정하는 것이지만 다른 한편, 유통거래관련 불공정거래행위의 “보이지 않는 법위반”으로서의 특성상 법집행상의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법제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 법률에는 무익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유통계약서면을 작성하도록 하면서 그 서면에 반드시 양당사자 모두의 서명을 요하도록 하는 것이 그것이다. 전자문서에 의해 거래할 경우에는 양당사자의 공인전자서명을 요구하고 있기도 하다. 대규모유통업자의 거래상대방에게 까지 이러한 요구를 하는 것은 대규모유통업법의 기본취지에 반한다. 대규모유통업법은 대규모유통업자의 법위반행위를 억제하려는 데 그 기본취지가 있는 것이지, 여하한 이유로도 보호대상자인 납품업자를 괴롭히거나 규제하려는 법이 아니기 때문이다. 불필요하게 납품업자 등을 규제하고 경제적 부담까지 지우는 동법 제6조의 조항은 마땅히 개선되어야 한다. Fair Trade Practices in Large-scaled Retail Business Act (hereinafter “FTPLRBA”) was enacted for the purpose of regulating the “invisible violations” committed by the large-scaled retailers over the suppliers more effectively. Those violations are hardly detected by the administration concerned. Under the legal system of the existing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the abuse of trade position and its unfairness, to be sanctioned, is to be evidenced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Producers and/or wholesalers, who supply the goods to the large-scaled retailers under the economic dependence in the trade relations, are unwilling to inform the unfair behaviors of the latter for fear of disadvantage and retaliation repaid. It can not be justified to let the unfair practices free of sanction because of difficulties in getting the evidences of unfair behavior to prove. Therefore, FTPLRBA has contained both the provision to require the contract concluded by the parties to be in writing and the provision to shift the burden of proof from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to the large-scaled retailer respectively. This paper reviews some of the provisions of FTPLRBA, which are related to the requirement for the records and signatures when the distribution contract is concluded between the parties thereto. There are some flaws in the provisions, while they have good reason to be inserted in the Act considering the purpose thereof as a whole. There is no need to require the signature on the contract documents, and the electronic certified signature on the electronic record in the electronic business setting, of the suppliers. Such requirement gives the suppliers rather harms than benefits. Unnecessary regulation should be avoided.

      • KCI등재

        납품업자와의 특약으로 대규모유통업법 적용을 배제할 수 있는지 여부 - 대법원 2020. 6. 26. 선고 2016두55896 판결을 중심으로 -

        주현영(HYUN YOUNG JU)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3 No.4

        대규모유통업법이 제정·시행된 이후 대규모유통업법의 법리를 정립하는 대법원 판결이 계속 선고되고 있다. 본 사건은 대규모유통업자와 납품업자 사이에 대규모유통업법 제8조의 내용과 다르게 정한 특약이 존재하는 경우이다. 대법원은 대규모유통업법에서 규정한 내용과 다르게 정한 당사자간 약정의 사법상 효력을 자발적인 동의를 얻은 경우에만 유효로 보고, 자발적 동의를 얻은 약정에 따라 지급을 보류한 것이면 대규모유통업법 제8조 위반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이는 당사자 간의 사적자치를 존중하여 약정의 사법적 효력을 인정하되, 거래상 열위에 있는 납품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납품업자가 자발적으로 동의하고 이러한 사실을 대규모유통업자가 입증한 경우에만 약정의 사법적 효력 및 대규모유통업법 위반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정당화사유로 인정하겠다는 것이다. 대규모유통업자와 납품업자의 거래는 상인간의 거래이고, 상인 간의 거래에는 경쟁당국의 개입이 최소화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대법원의 판단은 타당하고, 다른 대규모유통업법 위반행위의 위법성 판단기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대규모 유통업자와 납품업자 사이에 자유로운 의사로 합의를 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전제에서 납품업자 보호를 위하여 특별법으로 제정된 대규모유통업법의 취지, 위법성 판단기준으로 부당성 및 정당화사유를 규정하지 않고 그 지급기일을 명확히 특정한 제8조의 입법취지 등을 고려할 때, 대규모유통업법 제8조가 규정한 내용과 다른 당사자 사이 약정의 효력을 인정하여 법 위반행위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은 의문점이 남는다. 또한, 이러한 해석은 행정책임은 존재하는데, 민사책임은 존재하지 않는 결과가 되어 법집행, 특히 시정명령의 하나인 지급명령 집행을 함에 있어 혼란과 효율성 저해가 발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대규모유통업법 제8조를 효력규정으로 보아, 대규모유통업법 제8조와 다르게 정한 사법상 약정은 무효라고 보는 것이 납품업자의 권리구제에 보다 효율적이다. 대규모유통업법 제8조가 위법성 판단기준으로 부당성 및 정당화사유를 규정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당사자 간의 약정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정당화사유에 준하게 보아 대규모유통업법 제8조 위반이 아니라는 입장은 대규모유통업법 제8조의 입법취지에 맞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Since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Act on Fair Transactions in Large Franchise and Retail Business, the Supreme Court has continuously been rendering decisions that establish the legal principles in relation to the Act. In the case discussed, there existed a special agreement between a large franchise and retail business operator and a supplier that differs from the provisions under Article 8 of the Act. The Supreme Court regards the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that is different from what is stipulated in the Act as valid only when a voluntary consent had been obtained, and deems that the payment withheld in accordance with an agreement for which a voluntary consent was obtained is not in violation of the Act Article 8. The Supreme Court recognizes the judicial effect of the agreement out of respect for the parties’ private autonomy, but in order to protect the supplier with an inferior bargaining position, it takes on a position that the supplier’s voluntary consent to the agreement would be recognized as a justifiable reason in determining the agreement’s judicial effect and whether the agreement violates the Act, only when the supplier’s consent was indeed voluntary and a large franchise and retail business operator could substantiate such a fact. However, the Supreme Court’s acknowledgment of the judicial effect of the parties’ agreement is questionable considering the legislative intent of the Act Article 8 that had been enacted as a special act to protect the suppliers under the premise that it is not feasible for a large franchise and retail business operator and a supplier to freely enter into an agreement. Moreover, such an interpretation results in the existence of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without the civil liability, which may cause confusion and diminish efficiencies in the enforcement of the law, especially in enforcing the payment order, a form of a corrective order. In conclusion, considering that the Act Article 8 is a mandatory regulation, a judicial agreement set differently from the Act Article 8 should be deemed void. Perceiving the existence of an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as a justifiable reason and taking a position that such an agreement is not in violation of the Act Article8, despite the fact the text of the Act Article 8 does not prescribe unfairness and justifiable reasons as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illegality, does not appear to be in line with the regulation’s protective purpose.

      • KCI등재

        대규모유통업법의 주요 법률상 쟁점과 향후 과제

        이효석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법학논고 Vol.0 No.49

        This article reviews some issues on Large-Scale Retailers’ Fair TradePractices Act and suggests it’s tasks to be solved after. Large-Scale Retailers’Fair Trade Practices Act enacted on 2012 and it prohibited large scale retailersfrom abusing his trade position. A retailer may have some buyer power against suppliers due to differentstructural nature of demand-supply market. If retailers use their bargainingleverage to negotiate price or conditions of supply contract, supplier sufferfrom disadvantage in their inferior position. Many of unfair practices(for example,additional discounts, slotting fee requirements, pass on sales promotionexpense to supplier, etc.) are unilateral and performed confidentially, so competitionauthority had difficulty finding evidence. With that point in view, Large-ScaleRetailers’ Fair Trade Practices Act prevent the abuse of the buyer powerand shift in burden of proof. This article explored and identified three different issues–First, definitionof large scale retailers(include relative superior trade position), Second, illegalityof unfair practices and for the last, sanction propriety. In general, this worksought to identify key issues and analyze each point to suggest implicationsof the interpretation rather than to develop specific answers to each provisions. 우리나라의 유통시장에서는 대규모유통업자와 거래상대방인 납품업자나 매장임차인과의 관계에서 주로 억압적이거나 착취적인 거래관행이 자주 문제점으로지적되었다. 대규모유통업법이 제정·시행되기 전 대규모유통업자의 불공정 거래는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독점규제법’) 제3조의2 시장지배적 지위남용규정이나 제23조 제1항 불공정한 거래행위 금지규정 등에 따라 규율되어 왔다. 보완적 법제로 대규모유통업자의 잘못된 거래관행을 시정하기 위한 대규모소매업고시가 제정·운용되어 왔다. 그러나 여러 법적·제도적 뒷받침에도 불구하고현실적인 규제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에 하나의 강력한 법제적 대응방안으로 대규모유통업법이 제정·시행되고 있다. 대규모유통업법은 금지행위 유형이나위법성 판단에 있어 종전의 독점규제법상 규제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바, 본논문은 시행 4년 차에 접어든 오늘 날의 시각에서 대규모유통업법의 해석과 실제운용상 제기되는 법적 쟁점들을 총론적 관점에서 검토·분석하였다. 한편으로는 대규모유통업법에서 금지하고 있는 행위유형 중 대규모유통업자의 일방적인 판매촉진행사 비용의 부담전가를 금지하고 있는 제11조 및 판매장려금의 예외적 허용을규정한 제15조를 주요 위법성 요건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대규모유통업법의 향후 해석 및 운용상의 개선방안과 앞으로의 과제를 입법론적관점 및 해석론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온라인 쇼핑 사업자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법적용

        심재한 한국유통법학회 2023 유통법연구 Vol.10 No.1

        Distributors, which used to compete mainly in offline stores, have recently been competing with online retailers through the Internet. The growth of distribution is notable in the online field. Especially during the recent Covid-19 pandemic, the growth of the online distribution sector was remarkable. Transactions between online shopping service operators and consumer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One of them is that online shopping service operators become parties to direct transactions with consumers. If these types of transactions are subdivided, one is a direct purchase transaction and the other is a consignment transaction. A transaction in which an online shopping service operator is not a party to a direct transaction with a consumer corresponds to a case in which an online shopping service operator acts as an intermediary. Basicall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decision cases in which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imposed sanctions on online shopping service operators for violating the Act on Fair Transactions in Large Retail Business. The Act on Fair Transactions in Large Retail Business applies to direct transactions between online shopping service operators and consumers, excluding brokerage transactions. Therefore, the subject of discussion in this paper is an unfair trade practice that occurs while an online shopping service operator purchases directly from a supplier or conducts consignment transactions. On the other hand, among the decisions imposed by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on online shopping service operators,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was applied to certain types of behavior because the Act on Fair Transactions in Large Retail Business did not stipulate the type of response. This type of case is examined separately from the Act on Fair Transactions in Large Retail Business. 예전에 오프라인 점포를 중심으로 경쟁을 벌이던 유통업체가 근래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유통업체와 경쟁을 벌이고 있다. 유통의 성장세는 온라인 분야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최근 Covid-19 팬데믹 시기에는 온라인 유통분야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온라인 쇼핑 사업자와 소비자 사이의 거래는 크게 두가지 형태로 나뉜다. 그중 하나는 온라인 쇼핑 사업자가 소비자에 대하여 직접 거래의 당사자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거래를 다시 나누어 보면 하나는 직매입 거래가 되고, 다른 하나는 위수탁 거래가 된다. 온라인 쇼핑 사업자가 소비자에 대하여 직접 거래의 당사자가 되지 않는 거래는 온라인 쇼핑 사업자가 중개행위를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공정거래위원회가 온라인 쇼핑 사업자에 대해 대규모유통업법 위반행위로 인하여 제재를 부과한 심결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규모유통업법은 온라인 쇼핑 사업자와 소비자 사이의 거래중에서 중개거래를 제외한 직접적인 거래에 대해 적용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논의의 대상이 되는 행위는 온라인 쇼핑 사업자가 납품업자로부터 직매입하거나 위수탁 거래를 하면서 발생한 불공정거래행위이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가 온라인 쇼핑 사업자에 대해 제재를 부과한 심결 사례 중 특정 행위유형은 대규모유통업법에 대응하는 유형이 규정되지 않아 공정거래법을 적용한 경우도 볼 수 있다. 이 사례 유형은 대규모유통업법과 분리하여 살펴본다.

      • KCI등재후보

        개고기 유통 관련법의 문제점 검토

        한민정 ( Han Min Jung ) 한국유통법학회 2018 유통법연구 Vol.5 No.2

        우리의 법은 동물을 인간의 편익을 위해 관리하고 이용하는 대상으로 바라본다. 그러나 우리의 동물에 대한 인식은 묘하게 모순적이다. 우리는 동물이 인간과는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그들이 우리와는 다른 법적 지위를 가져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납득하지만 가족과 같은 반려동물의 경우에는 예외를 두고 싶어 한다. 이런 시대의 추세에 부응하지 못하는 우리 사회 특유의 관습으로 개고기 식문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개고기는 예로부터 보양식으로 인식되어 왔다. 즉 우리 사회에서는 ‘반려동물’로서의 개와 ‘식용’으로서의 개라는 상충하는 의미를 개에게 동시에 부여하고 있다. 개를 반려동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개식용을 법으로서 철폐하자는 주장은 더욱 큰 힘을 얻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고기는 여전히 유통되고 있다. 이처럼 식용개가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사육되는 원인은 개고기의 유통과 관련되는 법의 문제점과 구습(舊習), 행정적 나태에서 유래한다고 할 것이다. 식용개의 사육은 ‘뜬장’에서 이루어지며, 식용개들은 일명 ‘짬’이라고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먹고 자란다. 이 열악한 사육환경 덕분에 개의 사육에 들어가는 비용이 거의 전무에 가깝다. 또한 식용개의 도축은 어떤 법의 규제도 받지 않은 채, 도축업자의 임의로 행해진다. 이 과정은 일반적인 가축의 도축과정보다 훨씬 잔인하다. 도축당한 개는 위생상의 적합성도 검사받지 않은 채 시중의 음식점으로 유통된다. 일반적으로 가축이 유통되기까지의 과정은 「축산법」, 「축산물 위생관리법」, 「동물보호법」의 규율을 받는다. 그러나 개는 축산법상으로는 가축에 해당되지만, 축산물 위생관리법에서는 가축이 아니기 때문에 교묘하게 법망을 피해간다. 동물보호법 역시 식용개의 사육 및 도살 행태에 어떤 적극적 조치도 취하지 못하고 있다. 즉 개고기 유통은 법체계상의 부조화 및 공백의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식용개의 사육 및 도축 과정은 환경적·윤리적 문제를 유발한다. 또한 식품으로서의 적합성 검사를 받지 않기 때문에 개고기는 소비자의 건강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개고기 유통은 무엇보다도 국민 일반의 법감정에 반한다. 개의 법적 지위가 어떻든 간에 우리는 보통 개를 다른 가축처럼 음식으로 대하지 않고, 반려하는 동물로서 대한다. 개고기 유통의 규제는 개고기의 산업 종사자 및 판매자, 그리고 소비자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유통법의 궁극적 목표는 소비자의 복리증진이다. 개고기 유통의 규제가 비록 개고기를 먹고자 하는 사람들의 자유를 제한하더라도 이 제한이 개고기의 위생상의 문제로 인한 소비자 건강 침해를 방어하기 위한 것이라면 이는 바람직한 것이다. 더 나아가 개를 반려동물로서 기르는 사람들의 불편한 감정과 정서 역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일반 가정에서 길러지는 반려견과 다를 것이 없는 식용개들이 개고기로 유통됨으로써 초래하는 심리적 고통을 법이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될 것이다. Our laws regard that animal is the object of managing and exploiting for human’s benefits. However our perception of the animal is strangely contradictory. We concede that the animal is different from people, and accept they have to possess different legal status from our’s, but would like to allow exceptions to the companion animal like a family. In Korea, they have eating culture of the dog meat as peculiar custom. Now this custom is behind the times. Actually the dog meat had been recognized as health food in Korea. In other words, we grant contradicting meanings at once to the dogs which is the dog as a ‘companion animal’ and the dog as ‘food’. As the number of the people increases who regard a dog as an companion animal, the opinion that would abolish the custom of eating dogs by the law is more powerful. Nevertheless distributing of dog meat is still carried out. I think the reasons of continuous breeding the dogs are derived from contradiction of laws on distributing dog meat, old custom, and lazy administration. The dogs for eating live in cage called ‘ddeun-jang(meaning the floating cage)’ and eat food residue called ‘jjam’. This terrible environment costs almost nothing in breeding the dogs. Slaughtering the dogs is randomly carried out by the slaughter without any mandatory control. This process is crueler than any other common slaughtering cattle. The killed dog’s meat is distributed to the restaurant in the city without any sanitary inspection. In general, the process of distributing the livestock is regulated by Livestock Industry Act, Sanitary Controlling Law of Livestock Product, and Animal Protection Law. In Livestock Industry Act a dog is applied to livestock, however in Sanitary Controlling Law of Livestock Product is not. As a result, distributing the dog meat is not controlled. Animal Protection Law is also powerless on this problem. Namely distributing dog meat has problems on incongruity and gap in legal system. Breeding and slaughtering the dogs gives rise to the environmental, ethical problem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dog meat free of sanitary inspection could cause bad effect on the health of the consumer. Above all, distributing the dog meat is against the legal emotion of the people. Whatever the legal status of a dog is, we treat the dog as a companion animal not as food. The regulation on distributing dog meat will restrict the freedom of the person who works in dog meat industry, sells and buys the dog meat. Ultimate goal of the Distribution Law is to promote the welfare of consumers. Nevertheless the regulation is restricted the freedom of people who want to eat dog meat, this restriction is desirable if it is for the health of the consumer. Moreover we should consider feeling and emotion of the people who raise a dog as a companion animal. Law should overlook the pain of people who can not ignore the dog for eating. Those people think the dog as the same, irrespective of whether it is raised for petting or eating.

      • KCI등재

        대규모유통업법의 적용 범위에 관한 고찰 - 대규모유통업법의 입법 취지를 중심으로 -

        김정헌 ( Kim Junghun ),박종하 ( Park Jongha ),김규식 ( Kim Kyusik ),김영석 ( Kim Youngseok ),김윤수 ( Kim Yunsoo ) 한국유통법학회 2020 유통법연구 Vol.7 No.2

        대규모유통업법은 공정거래법상 거래상 지위 남용행위에 대한 특별법임을 감안하여 대규모유통업자가 거래상 우월적 지위를 가지지 않는 거래에 대하여는 대규모유통업법을 적용하지 않도록 규정하였다. 그런데, 최근 공정거래위원회 및 법원은 대규모유통업법상 대규모유통업자에 해당하기만 하면 실질적으로 납품업자에 대하여 거래상 우월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 없이 그대로 대규모유통업법을 적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규모유통업법이 대규모유통업자와 납품업자 간의 사법상의 권리관계에 제한을 가하는 것으로서 본질적으로 사적 자치의 한계 내지 예외에 해당한다는 점, 공정거래법상 거래상 지위 남용행위의 특별법으로서 강력한 규제가 부과된다는 점 등에 비추어보면, 그 적용 범위를 엄격하게 해석 및 운용할 필요가 있다. 현실적으로 규제당국이 각 납품업자와 대규모유통업자간의 거래상 지위를 일일이 판단하는 것이 어렵다면, 일정한 매출액 규모 요건 등 보다 객관적인 기준을 통해 누가 보더라도 대규모유통업법 적용 대상인지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편, 대규모유통업법은 일정 규모 이상의 가맹본부에 대해서도 대규모유통업자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ⅰ) 대규모유통업법은 기본적으로 백화점, 대형마트 등 거래상 지위를 가진 소매업자의 중소 납품업자나 임차인에 대한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법률이어서 도매업자에 가까운 가맹본부에 대해서까지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는 점, (ⅱ) 가맹본부에 대규모 유통업법을 적용함으로써 가맹본부로 집결된 협상력을 제한한 결과, 공동구매에 따른 협상력 제고라는 가맹사업의 본질을 해하고 결과적으로 가맹점사업자 보호에 역행한다는 점, (ⅲ) 특히 편의점 가맹본부의 경우 전체 구매 상품 중 67~90%에 이르는 상품을 대기업으로부터 구매하는바, 대규모유통업법으로 인하여 영세한 가맹점사업자보다 오히려 대기업인 납품업자를 보호하게 되는 불합리한 결과가 초래 된다는 점 등에 비추어보면, 관련 규정을 개정할 필요성이 인정된다. 즉, 가맹본부를 대규모유통업법 적용 대상인 대규모유통업자의 범위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최근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으로 인해 유통업자가 아닌 부동산 임대사업자에 대하여도 대규모유통업법이 적용되게 되었는바, 이는 대규모유통업자를 규제하는 대규모유통업법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고, 상가임대차법과 중복된 이중적 규제라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규제를 유지할 것인지에 대하여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Act on Fair Transactions in Large Retail Business (hereinafter the Large Retail Act) shall not apply to a transaction which is not deemed to give a large retailer a superior bargaining position over a supplier (Article. 3.1.). Nonetheless, recently,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and courts tend to apply the Large Retail Act directly to a certain retail business entity without an in-depth analysis of whether it has actually superior bargaining position over a supplier as long as it is a large retailer under the Large Retail Act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Large Retail Act is essentially an exception to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and it substantially regulates the business activities of large retailer, it is necessary to narrowly interpret the scope of a large retailer. In particular, the Large Retail Act stipulates that the franchiser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a large retailer. However, considering the following, it is highly recom- mended to revise the relevant regulations;(ⅰ) the purpose of the Large Retail Act is basically to regulate the abuse of market dominance or unfair trade practices by large retailers,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supermarket. (ⅱ) If the bargaining power aggregated into the franchiser is limited by applying the Large Retail Act to the franchiser, the nature of the franchise business, which is enhancing franchisee's bargaining power by purchasing jointly will be undermined and consequently the protection of franchisees will be impaired;(ⅲ) especially, since convenience store franchisers purchase 67 to 90 percent of the total purchased goods from large companies, the application of the Large Retail Act to franchiser results in unfairly protecting the large suppliers more than the franchisees, which are much smaller than the large supplier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sales volume requirements to determine whether to apply the Large Retail Act, and furthermore, exclude the franchiser from the scope of a large retailer which is subject to the Large Retail Act. Meanwhile, due to the recent revision, the Large Retail Act also applies to real estate rental businesses, which is not distributor. This is not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 of the Large Retail Act, which regulates a large retailer, and causes overlapping regulations between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and the Large Retail Act. Therefore, a careful consideration is also required on whether to maintain this regulatory framework.

      • KCI등재

        최근 대규모유통업법의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 판매장려금 문제를 중심으로 -

        최요섭 한국경쟁법학회 2023 競爭法硏究 Vol.48 No.-

        공정거래법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특례법인 대규모유통업법은 유통 분야에서의특정 거래행위를 규율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특히, 대규모유통업법은 준당연위법과 유사한 행태적 접근방법이 적용되고 있는데, 대규모유통업법의 도입 당시에 예상하지 못했던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디지털 중심의 유통 환경 변화를 고려하면, 현재의 대규모유통업법의 규제내용은 비효율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무엇보다, 대규모유통업법상 ‘거래상 우월적 지위’ 및 ‘판매장려금’과 관련된 실체규정이 과도하고 엄격하게 해석되고 있어 실제 유통 환경이나 실무와는 거리가 있다. 예를 들어, 거래상 우월적 지위를 규율하는 하도급법이나 가맹사업법의 경우에는 거래당사자사이에서의 갑을관계가 비교적 명확하며 ‘거래에서의 약자보호’라는 정책적 측면에서의미가 있다. 하지만 유통업의 경우에는 온라인 거래의 등장으로 유통업자들의 성장이나 사업의 내용 혹은 행태가 다른 경우가 많고, 납품업자들의 규모도 다양하여 갑을관계를 쉽게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다시 말해, 기존 대규모유통업자들이 과거에는 우월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지만 현재의 온라인 기반의 유통 환경에서는 예전과 같은 시장력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 무엇보다, 판매장려금의 금지는 경쟁제한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납품업자는 상품을 공급할 때 판매에 유리한 진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한다. 새로운 상품의 경우 판매부진의 리스크 때문에 대규모유통업자와 납품업자 간에 협의가필요하다. 특히, 제품이 새로 출시되거나 프로모션이 필요하면 유통업자가 판매의 리스크를 상쇄하기 위해 판매장려금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시장에서 가격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판촉이 필요한 경우가 많고, 판촉활동을 위한 판매장려금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금지되는 판매장려금의 내용과 범위을 축소하고 정당한 사유의 내용과 기준을 확대하여 소비자후생 및 경쟁증진에 긍정적 효과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법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논문은 대규모유통업법상 거래상 우월적 지위와 판매장려금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여, 디지털 경제에서의 유통에 적합한 규율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대규모유통업법상 금지행위 유형의 체계 개선방안

        김용중 ( Yong Jung Kim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고려법학 Vol.0 No.71

        유통시장에서 대규모유통업자의 수직적 비가격제한행위로서 발생할 수있는 유형들은 실로 다양하다. 이러한 유형들 중 그 부당성이 크고 유통시장 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함으로써 규제의 필요성이 있는 유형들을 중심으로 대규모유통업법에서 이를 금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공정거래법 및 대규모유통업법에서는 대규모유통업자가 행할수 있는 다양한 불공정한 거래행위를 포섭할 수 있다. 또한 위법성 판단기준 도 경쟁제한 효과뿐만 아니라 불공성정을 함께 고려하고 있으므로 대규모유통업자의 불공거래행위에 대한 규제가 보다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규모유통업법과 같이 특정 사업자 또는 유통업과 같은 특정한 영역을 규제하기 위하여 제정된 법의 경우에는 당해 법을 통해 제재하고자 하는 부정적 효과나 적용 범위가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하며 법의 형태에 있어서도 높은 수준의 체계성과 정합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규모유통업법은 대규모유통사업자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규제목적과 금지행위 유형들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고는 하나 수범자인 대규모유유통업자 의 입장에서는 여전히 다소 불명확한 점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법상 금지행위 유형으로서 구체적으로 규정하거나 세분할 필요성이 있는 유형들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규정되어 있는 행위유형들이라 하더라고 위법성 판단에 있어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거나 판단에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행위유형들이 있다. 그리고 크게는 위법성 판단기준의 통일성을 위하여 배타조건부 거래행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대규모유통업법이 적용된 사례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이러한 부분들을 보완하여 수범자인 대규모유통업자로 하여금 법을 준수할 수 있도록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납품업체나 입점업체와 같은 거래상대방을 보호함으로써 유통시장에 공정한 거래질서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In retail market, there are various vertical non-price restraints imposing on the supplier by large scale retailer. Among types of these, types having serious harm and occurring frequently are prohibited by Large-Scale Retailers` Fair Trade Practices Act(LSRFTPA).Various unfair trades imposing on the supplier by large scale retailer are covered by Korea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KMRFTA) and of LSRFTPA. And also, when Korean Fair Trade Commission(KFTC) determines negative effect of retailers` activity, they consider anticompetitive effect and unfairness. So it is more convenient to regulate unfair practices of retailer. But, as LSRFTPA, the Act invoked specific entities and parts should make regulated negative effects and application scopes clear. And the form of the Act is required high structure and coherence. In this respect,although LSRFTPA provide regulatory objectives and detail prohibitions,there are unclear things from the point of view of large scale retailer.This paper is suggested that some types of prohibitions should be more specified. And even though types are existed, those are very carefully considered when determines illegality of retailers` practices.Especially, the exclusive dealing needs to reexamine for unity of the illegality standardUntil now, there are no the case ruled by LSRFTPA. At this time,KFTC should compensate defects of LSRFTPA and set clear criteria. Then they can force large scale retailer to obey the Act for protecting supplier and remaining fair trade in retail market.

      • KCI등재

        대규모유통업법에 있어서의 위법성 판단과 개선방안 - 거래상 우월적 지위남용을 중심으로 -

        이동원 ( Lee Dongwon ) 한국유통법학회 2017 유통법연구 Vol.4 No.2

        우리의 대규모유통업법은 2011년 제정 이래 많은 논란이 있었는데, 특히 대규모유통업자의 권리를 다른 사업자들에 비하여 과도하게 침해하고 있다는 점과 공정거래위원회가 부담하여야 할 입증책임을 이들에게 전환하고 있다는 것들이 그 중심을 이루고 있다. 또한, 공정거래법에서 사용하고 있는 “거래상 지위”와 대규모유통업법에서 사용하고 있는 “거래상 우월적 지위” 사이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도 분명하지 않고, 같은 대규모유통업자 사이에서도 그 유형에 따라 “거래상 지위”의 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에도 이를 구분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논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첫째, 우리 공정거래법상 “거래상 지위”를 구성하는 요소들로 체크리스트를 구성하여 각 요소별로 점수를 부여하여 공정거래법이나 불공정거래행위 심사지침, 판례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불명확 개념을 구체적인 수치로 객관화함으로써 자의적 해석의 여지를 줄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이 기준을 대규모유통업법에서 말하는 “거래상 우월적 지위”에 대입하여 역시 그 위법성 판단기준을 좀 더 객관화하도록 노력하였다. 셋째, 같은 대규모유통업자라 하더라도 사업자의 유형에 따라 거래상 지위에 차이가 있음을 전제로, 모바일 커머스 사업자의 경우를 예로 들어 그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위법성 판단기준을 좀 더 객관화하여 보았다. 또한, 죄형법정주의의 명확성 원칙을 구현하기 위한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서, 공정거래법상 불공정거래행위 유형에서 별도로 분리 입법된 하도급법, 표시광고법, 가맹사업법, 대규모유통업법, 대리점법 등에 대하여 각기 다른 위법성 판단기준을 통일시키기 위해서는 가칭「불공정거래행위 기본법」의 제정이 불가피함을 제안하였다. The Large-Scale Retail Store Act has raised various controversies since its enactment, and such controversy is still being widely discussed, including the issue of guaranteeing constitutional rights of business operator. The fundamental reason is that it seems to have been conceived since the enforcement of our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hereinafter “MRFTA”), bu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various types of acts of unfair trade practices, especially related to the abuse of transactional status, have been independently separated from the MRFTA. In order to renew and normalize such a Large-Scale Retail Store Act, first of all,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is Act, it is necessary to define precisely between “bargaining power” and “superior bargaining power”.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each business operator does have justifiable thoughts by setting the appropriate “superior bargaining power” criteria. In addition, it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clear standards for the fairness and rationality of the transaction contents to the respective operators in the illegality judgment criteria. Furthermore, by enacting a basic act that can integrate each individual act related to unfair trade practices indiscriminately separated from the MRFTA, it is possible for the business operators related to each individual act such as th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Act on Fair Labeling and Advertising, Fair Transactions in Franchise Business Act, and Fair Agency Transactions Act to feel equally treated. In order to catch up with the rapidly changing distribution structur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a simple regulatory logic to a paradigm shift to a system aimed at the consumer welfare, which is pursued by the MRFTA or individual act, It should also strive to be compatible with global standards in punishment and other sanctions.

      • KCI등재

        대규모유통업법의 입법취지와 적용 범위

        최영홍(Young-Hong Choi) 한국기업법학회 2016 企業法硏究 Vol.30 No.3

        대규모유통업법은 기존의 공정거래법 체계상 유통거래에 있어서 “보이지 않는 법위반(invisible violation)”에 대한 실효적 규제가 어려운 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종래의 법체계상 대규모유통업자는 납품업자에 대한 대규모유통업자의 거래상 지위 남용행위를 규제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남용행위가 부당하다는 점에 대한 증명책임을 공정거래위원회가 부담한다. 그런데 경제적 의존상태에 있는 납품업자는 대규모유통업자의 법위반행위에 대하여 신고하려 하지 않음으로써 결국 집행당국이 관련 증거를 포착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이로 인한 규제의 흠결을 방치하는 것은 법집행상의 형평성에 반하기 때문에 동법은 계약의 서면주의와 증명책임의 전환을 제도화하게 된 것이다. 대규모유통업법상 대규모유통업자의 정의조항에는 매장 임차인에 관한 내용이 빠져 있어 논리상 결함이 있다. 또한 도매상인 가맹본부(franchisor)가 마치 소매상인 것처럼 규제의 대상에 포함된 것도 법체계의 일관성을 해친다. 이러한 점들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새롭게 등장한 Mobile Commerce 기업은 그 규모의 대형화에도 불구하고 실제 거래관계에 있어서 납품업자에 대하여 거래상 우월적 지위에 있다고 보기 어려운 여러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이론적으로 규명함으로써 Mobile Commerce기업들이 동법 적용 여부의 모호성에 따르는 사업위험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으로 사업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Fair Trade Practices in Large-scaled Retail Business Act (hereinafter “FTPLRBA”), effective on January 1, 2012, was enacted for the purpose of regulating the “invisible violations” effectively, which have been committed by the large-scaled retailers over the suppliers but hardly detected by the administration concerned. Under the legal system of the existing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the abuse of trade position and its unfairness, to be sanctioned, is to be evidenced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Producers and/or wholesalers, who supply the goods to the large-scaled retailers under the economic dependence in the trade relations, are unwilling to inform the unfair behaviors of the latter for fear of disadvantage repaid from that. It can not be justified to let the unfair practice free of sanction because of difficulties in getting the evidences of unfair behavior to prove. Therefore, FTPLRBA has contained both the provision to require the contract concluded by the parties to be in writing and the provision to shift the burden of proof from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to the large-scaled retailer respectively. There are some illogical flaws in the definition provision of FTPLRBA, which need to be corrected. No wording about the lessor of the department is included in the definition of large-scaled retailer. The franchisor, who is not a retailer but a wholesaler, is included i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FTPLRBA enacted for the purpose of regulating the superior powered retailers. Mobile commerce has been and will be growing rapidly as a new distribution channel. It is not yet clear whether the mobile commerce business is in the scope of FTPLRBA. Arguably, the business is not in that scope because in the context of mobile commerce, the mobile commerce business company does not have the superior position over its counterpart in many respects, the supplier are not in the significant economic dependence on the company. More than anything else, the mobile commerce company has no physical shopping place which is the main source of superior bargaining power in the offline dis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