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의미의 관계 탐색 : 삶의 의미의 다차원적 특성을 고려하여

        임선영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7 인지행동치료 Vol.17 No.3

        본 연구는 삶의 의미의 다차원적 특성을 고려하여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외상 후 성장의 의미처리모형의 적합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외상 경험이 있는 학부생 24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의미의 관계를 분석한 후, 삶의 의미의 중요도와 일치도 측면을 각각 한 개의 연구모형과 두 개의 대안모형에 대입하여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삶의 의미의 중요도, 일치도, 의미감 측면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 보다는 일치도와 의미감 측면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신체 및 정신건강, 자기수용 및 성장, 가족관계, 친구관계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일에 대한 만족, 사회적 성취, 종교 및 영성, 봉사 및 사회적 기여에 대해서는 중요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삶의 의미의 일치도와 의미감 측면은 자기관련 요인과 타인관계 요인의 하위원천이 모두 집단차를 나타냈고, 자기초월 요인의 두 원천은 집단차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삶의 의미의 중요도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외상 후 성장 경로모형은 의도적 반추를 통한 외상 후 성장이 삶의 의미와 삶의 만족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경로였다. 하지만 일치도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외상 후 성장 경로모형은 의도적 반추를 통한 외상 후 성장이 삶의 의미의 부분매개를 거쳐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의 제안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osttraumatic growth(PTG) and meaning in life and to investigate the model-fit of PTG meaning reconstruction processes, considering multidimensional aspects of meaning in life. In this study, various sources and structural aspects of meaning in life such as importance or consistency were measured using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in Life Scal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47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high PTG vs. low PTG) in the scores of importance, consistency, and sense of meaning in life. Second, the high PTG-group consider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elf-acceptance and growth’, and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friends’ more important than low PTG-group, while there was no group-difference in importance for ‘satisfaction at work’, ‘social achievement’,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and ‘contribution to society’. At the aspect of consistency and meaningfulness,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all the sources of self-related factor and interpersonal relation factor, but not in self-transcendence factor. Third, the effects of intentional rumination on satisfaction of life were mediated by PTG and ‘consistency’ of meaning in life, while the ‘importance’ of meaning in life did not effect on satisfaction of lif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PTG and meaning in life might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which aspects of meaning in life identified and measured.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regarding the variety of meaning in life in PTG model were discussed.

      • KCI등재

        성인의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 및 시간관의 이중매개효과

        김나현,김정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 시간관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성인의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시간관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627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587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 거나 문항이 누락된 질문지, 외상을 경험하지 않았거나 외상 당시의 고통이 보통 미만으로 기록된 질문지 를 제외하고 총 452부를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의 연령, 종교 유무, 결혼 여부에 따라 외상 후 성장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외상 경험 시기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의도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으며, 그 외 미 래지향 시간관, 결혼 여부, 현재쾌락 시간관, 종교 유무, 과거긍정 시간관, 현재숙명 시간관의 순서로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성인의 침습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 의도적 반추와 시간관(과거긍정, 현재쾌락, 미래지향)은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의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시간관의 이중매개효과를 알 아봄으로써 외상 후 성장에 대한 구체적인 개입의 근거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time perspecti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adulthood.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27 adults nationwide. Of 587 collected sets of data, after excluding unreliable copies, 452 were chosen to b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raumatic growth by sex, age, religion, marital status. By period of the traumatic experience, no difference was found in posttraumatic growth. Secondly, concerning the relative effect of each variable on posttraumatic growth, deliberate rumination was found have the biggest influence, followed by future time perspective, marital status, present-hedonistic time perspective, religion, past-positive time perspective and present-fatalistic time perspective. Thirdly, deliberate rumination, and past-positive, present-hedonistic, and future time perspective were found to have complete dual med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provided a basis for specific interventions on posttraumatic growth in adulthood by examining dual mediating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time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 KCI등재

        여가 및 스포츠를 통한 외상후성장 연구모델 개발

        박세혁 ( Se-hyuk Park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8 체육과학연구 Vol.29 No.2

        [목적] 이 연구는 외상후성장 관련 개념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외상후성장을 진지한여가, 건강, 행복과 관련하여 어떻게 연구되어질 수 있는지 관련성을 모형으로 제시함으로써 차후 연구주제와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Tedeschi & Calhoun(1995)은 외상후성장은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긍정적인 변화라고 정의하고, 이러한 변화를 외상후성장이라고 명명하였다. 이러한 외상후성장 경험은 외상 이전보다도 삶에 대해 더욱 감사하며, 타인에 대해 더 배려하고, 다른 사람들과 더 깊은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자신의 능력과 가능성을 발견하고, 종교적 믿음을 갖거나 성장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달성되었다: 첫째, 외상후성장과 진지한여가와의 관계 고찰. 둘째, 기존의 외상후성장 관련 모델의 분석. 셋째, 수정된 외상후성장모델과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 제시. [결론] 외상후 성장과 관련된 많은 연구결과가 선행연구를 통해 발표되었지만, 외상후성장와 진지한여가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외상후성장, 진지한여가, 인지적과정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외상후성장과 진지한여가 관련 연구의 함의와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literature review of the research on posttraumatic growth and to propose a revised model which mainly explain the relationships among serious leisure, posttraumatic growth, health, and happiness.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growth following a traumatic life event is most commonly referred to as posttraumatic growth in the literature and was first coined by Tedeschi and Calhoun (1995). It can be postulated that such experiences can lead to a richer appreciation for life, more compassion for others, closer relationships with others, better understanding of one's potentials and possibilities, and stronger religious faith.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chieved by (1) reviewing the posttraumatic growth and its relationship to serious leisure; (2) analyzing recent posttraumatic growth related models; and (3) proposing a revised posttraumatic growth model and a research agenda to further progress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Conclusions] Although there is an abundance of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posttraumatic growth, its nature as well as benefits in relation to participation in serious leisure remain very partially understood. This study proposes a revised model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porsttraumatic growth in which serious leisure and cognitive processing play a significant role. Important implication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ious leisure and posttraumatic growth are mainly discussed, alongsid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대한 분석: 정서조절곤란,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삼중매개효과와 낙관성의 조절효과

        양귀화,김종남 한국건강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No.4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posttraumatic growth process based on the posttraumatic growth model developed by Tedeschi and Calhoun(2004). In particular, the internal mechanisms at work within individuals who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were examin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triple mediation effects on posttraumatic growth and establishing whether optimism has a moderation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 total of 450 adults, including undergraduates,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these, 384 were considered to have had experienced trauma and were recruited for the current study. In order to analyze posttraumatic growth process,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basic survey questionnaire, a trauma questionnaire,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PTGI), the Korean version of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K-ERRI), the Korean vers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K-DERS), and the Life Orientation Test-Revised(LOT-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 examination of the triple mediation effects between trauma and posttraumatic growth indicated that trauma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the next intrusive rumination, and then deliberate rumination. In addition, trauma influence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ination.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are necessary to posttraumatic growth. Second, an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optimism on the effect of trauma on posttraumatic growth indicated that optimism has a moderation effect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However, no moderation effects of optimism were found between trauma and posttraumatic growth,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or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practic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본 연구에서는 외상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Tedeschi와 Calhoun(2004)의 외상 후 성장 모델에 근거한 외상 후 성장 과정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개인내적 과정에 중점을 두고 주요 변인들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 외상 후 성장에 이르게 되는지와 개인의 성격적 특성 중의 하나인 낙관성이 외상 후 성장에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먼저 450명의 대학생 및 성인 남녀에게 외상경험질문지를 통해 외상 사건의 경험여부를 확인한 후, 외상 경험이 있는 38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대한 분석을 위해 기초 설문지 및 외상 경험 질문지, 외상 후 성장 척도(PTGI), 한국판 사건관련척도(K-ERRI),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 삶의 지향 검사 개정판(LOT-R)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경험에서 외상 후 성장으로 가는 삼중매개효과 검증에서 외상 경험이 정서조절곤란, 이후 침습적 반추, 그 다음 의도적 반추를 거쳐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외상 경험이 순차적으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거쳐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도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침습적 반추를 통해 의도적 반추를 거치고 난 이후에 외상 후 성장을 이룰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반면에, 외상 경험 이후 정서조절곤란을 거쳐 외상 후 성장으로 가는 경로와 외상 경험 이후 침습적 반추를 거쳐 외상 후 성장으로 가는 경우는 외상 후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로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외상 경험 이후 외상 후 성장으로 가는 과정에서 낙관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에서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외상 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 정서조절곤란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 밖에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의도적 반추에 따른 외상후성장과 문화적응

        김태국(Kim, Tae-Kug),정은의(Jung, eun-eui) 북한학회 2012 북한학보 Vol.37 No.2

        본 연구는 심각한 외상경험에도 불구하고 외상 후 성장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외상 후 성장이 가능하다면 문화적응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그리고 이전 외상관련 연구들에서 부정적인 증상으로 여겨졌던 반추가 외상 후 성장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척도는 외상사건 스트레스 척도,의도적 반추 척도,외상 후 성장 척도,심리적 문화적응 전략 유형 척도이다. 본 연구는 이원변량분석과 빈도분석을 통해서 이들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외상경험이 많은 집단이 외상경험이 적은 집단보다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높았다. 또한 의도적 반추를 많이 한 집단이 의도적 반추를 적게 한 집단보다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외상 후 성장에 따라 문화적응 유형의 비율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외상 후 성장이 높은 집단의 경우 동화,분리, 주변화 유형보다 통합 유형의 문화적응을 한 비율이 높았고,외상 후 성장이 낮은 집단의 경우 통합유형보다 동화유형의 문화적응을 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본 연구는 외상경험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외상 후 성장의 수준 역시 증가할 수 있고, 외상사건과 관련한 반추가 외상 후 성장과 관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외상 후 성장이 높은 집단이 외상 후 성장이 낮은 집단보다 바람직한 문화적응을 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이것은 문화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외상 후 성장이 작용함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사람들 특히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외상 사건 후의 긍정적인 변화가 보고되는 경우도 있다는 것과 외상 후 성장이 문화적응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Posttraumatic Growth (PTG)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ir PTG, Intentional Rumination and Acculturatio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84 North Korean defectors residing in Seoul or Gyeonggi-do. Four scales were used for each participant; Traumatic Event Stress Symptom Scale, Posttraumatic Growth Scale, Intentional Rumination Scale, Psychological Acculturation Strategy Type Scale. The Two-way Anova and Frequencies were used to examine relationship among those variable. As a result of the two-way anova, the group that has more traumatic experience shows the higher level of PTG than the group that has less. Furthermore, the group that are more involved in intentional rumination shows the higher level of PTG that the group that are less.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aumatic experience and intentional rumination is not significant. It is also verified that the ratio of acculturation types varies according to PTG. The group that undergoes higher level of PTG takes up higher percent of integration type than assimilation, segregation, marginalization types. On the other hand, the group that undergoes lower level of PTG takes up higher percent of assimilation type than integration type.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confirms the fact that as the number of traumatic experience increase, the level of PTG also increases accordingly. In addition,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repeated intentional rumination in relation to traumatic events significantly affect the level of PTG. Furthermore, the group that undergoes higher level of PTG tends to show more desirable acculturation than the group that undergoes lower level of PTG. This is the evidence that PTG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s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in a positive way. This result implies that we can expect a positive change even to those who undergo traumatic event.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의 회복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

        정소희,주은선 북한연구소 2018 북한학보 Vol.4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focusing manner and post-traumatic growth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to identify if lower factor of focusing manners was affected to post-traumatic growth as a mediating effect from the aftermath on post-traumatic growth by resilience. For this purpose, I visited churches and college clubs in Seoul to distribute the questionnaire to 102 North Korean refugees and analyzed them using the resilience measure KRQ-53 (Korean resilience quotient), the Focusing Manner Scale Revised (KFMS-R),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t age,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high in 30s . By gender, woman had significantly higher focusin manners than men. A highly -educated participants, married person, participants who reported that the economic level was a bit difficult had significantly higher focusing manners in the sub-variables. Second, from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factors,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resilience, focusing manners, post-traumatic growth, resili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cognition, which is the lower factors of focusing mann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xpression between lower factors of focusing manners. Also, the expression, which is the lower of factors of focusing manner ha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Thir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post-traumatic growth by resilience, self regulation ability among lower factors of resilienc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expression among lower factors of focusing manne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ocusing manner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resilience of North Korean refugees - the more the resilience of North Korean refugees experiences trauma or stress, the better the post-traumatic growth. If the person is suffering from functional impairment due to traumatic experience, difficulty in adaptation, and if he or she is well aware of the emotions with a focusing manner, he or she will be able to demonstrate self-growth and achieve positive change and growth.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포커싱적 태도, 외 상 후 성장의 관계를 알아보고, 회복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 향에서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요인이 매개효과로써 외상 후 성장에 작 용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소재하는 교회 및 대학 동아리 모임을 방문하여 북한이탈주민 102명에게 회복탄력성 척도 KRQ-53(Korean resilience quotient), 포커싱적 태도 척도(Korean Focusing Manner Scale Revised: KFMS-R), 외상 후 성장 척도(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배포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 포커싱적 태도, 외상 후 성장의 차이검증의 결과, 연 령에서는 30대가 회복탄력성이 유의하게 높았고, 성별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포커싱적 태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학력이 높은 수준의 참 가자, 기혼자, 경제 수준이 조금 어렵다고 보고한 참가자가 포커싱적 태 도의 하위변인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회복탄력성, 포커싱적 태도, 외상 후 성장의 각 변인 간 상관분석의 결과, 회복탄력성은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변인 중 알아 차리기와는 부적상관이 나타났고, 표현하기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 다. 또한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 변인 중 표현하기는 외상 후 성장과 정 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에서 포커싱적 태도가 매개하는지 알아본 결과, 회복탄력성의 하위변 인 중 자기조절능력이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 변인 중 표현하기를 부분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회복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포커 싱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이 외상이나 스 트레스를 경험하더라도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에 잘 이 르게 된다는 것과 외상경험으로 인한 기능 손상, 적응의 어려움을 겪 고 있을 때, 자기조절능력을 발휘하고 포커싱적 태도로 자신의 정서를 잘 인식하고 표현한다면 외상 이후에도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에 이룰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외상경험자의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성순이,김해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외상 경험자를 대상으로 성인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성인애착 두 차원인 애착불안, 애착회피와 외상 후 성장과의 상관관계에서 자아분화가 매개하는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외상 경험을 보고한 전국에 거주하는 20세에서 55세까지의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질문지, 성인애착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 자아분화 척도를 측정하였다. 최종적으로 402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과 AMOS 20.0을 사용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SEM)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애착불안, 애착회피는 외상 후 성장과 애착불안, 애착회피가 자아분화와는 각각 부적상관이나 자아분화와 외상 후 성장은 정적상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불안애착과 애착회피가 외상 후 성장과 자아분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직접 경로는 둘 다 부적이었다. 그러나 자아분화와 외상 후 성장의 직접 경로는 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분화는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성인애착이 자아분화를 거쳐 외상 후 성장에 간접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분화는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미는 외상 후 성장과 자아분화에 관한 선행 연구가 부족함에도 자아분화 변인이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개인내적인 보호자원으로써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자아분화를 활용한 상담 및 시사점을 알아보고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post-traumatic growth among traumatized people and verifies the mediating role of self-differentiation. Thus, a research-based path model was develop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differentiation i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adult attachment, including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500 adults aged 20 to 55 living in Korea who have had traumatic experiences were measured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raumatic experience schedule, adult attachment scale, post-traumatic growth scale, and self-differentiation scale. Of those, 402 respondents were analyzed with SPSS 23.0 and AMOS 20.0 and conduc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self, but differentiation of self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self, but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ird, the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s among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post-traumatic growth. Adult attachment had an in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differentiation of self and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identifies that self-differentiation was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of individuals while research regarding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differentiation were limited. With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s information for counseling practices, its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 KCI등재후보

        수용, 외상 후 성장, 우울과 자살사고의 관계

        박경(Kyung Park)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4

        본 연구는 외상경험자의 수용, 외상 후 성장 및 우울과 자살사고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외상을 경험 한 대학생 241명(남자: 118, 여자: 123)이며,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외상경험 목록 질문지, 외상 후 성장 척도, 수용적 대처 척도, 수용 행동 질문지, 우울 척도, 자살사고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수용 정도가 외상 후 성장 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우울에 영향을 미쳐 자살사고로 이어지는 매개모형을 상정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우선 각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수용적 대처, 수용전념행동은 자살사고와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성장 척도에서는 대인관계의 깊이 증가가 자살사고와 가장 높은 부적상관이 있었으나 영적 관심의 증가는 자살사고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본 연구에서 상정한 변인들 중 자살사고와 가장 강력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살사고에 대한 수용, 외상 후 성장, 우울의 영향을 검토 한 결과, 수용의 하위 요인인 수용적 대처, 수용전념행동의 경우 과거 자살시도 경험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자살사고에 대한 설명력이 유의하였다. 외상 후 성장의 경우 수용적 대처와 수용전념행동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자살사고를 유의하게 예측해주었다. 우울의 경우 수용과 외상후성장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자살사고의 설명력이 유의하였다. 수용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외상 후 성장,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 이들의 수용은 외상 후 성장에, 외상 후 성장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어 자살사고에 이름과 동시에 수용이 자살사고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어 수용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외상 후 성장과 우울은 부분매개변인으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acceptance, posttraumatic grow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a traumatic event. Participants were 241 university students. The instruments of the study were scale of Acceptance coping in COPE, Acceptance Action Questionnaire, Posttrraumartic Growth Inventory, BDI, and Scale for Suicidal ideation.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advocated that acceptance coping, acceptance commitment behavior h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uicidal ideation. And i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losen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four posttraumatic growth scale and suicidal ideation, but spiritual change was not significant. Depression manifested strong relation with suicidal ideation among study variables. Effect of acceptance, posttraumatic growth, depression about suicide ideation were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acceptance coping, acceptance commitment behavior reveled significant positive even though the history of suicide attempt was controlled. And suicidal ideation were explained well by posttraumatic growth, even though acceptance coping and acceptance commitment behavior affection on suicidal ideation was controlled. For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 showed that the two variables, which were posttraumatic growth and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results, psychotherapeutic implications were discussed. (Korean J Str Res 2011;19:281∼292)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성장 영향요인

        Seung Woo Han,Hee Sook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3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외상사건 경험, 자존감 ,스트레스대처 능력과 스트레스 반응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경찰공무원들의 외상후 성장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보제공과 함께 의사소통을 증진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을 서면 동의한 경찰공무원 171명이었다. 외상후 성장, 외상사건 경험, 자존감 ,스트레스 대처,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사용하여 2014년 8월 18일 부터 8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단계별 다중회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 성장은 성별에서 여성, 종교 유무에서는 종교를 가지고 있는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외상후 성장은 평균 57.7(±14.88)점, 자존감은 36.0(±4.55)점, 스트레스 대처에서 문제중심적 스트레스대처는 평균 18.2(±2.70)점이었으며, 정서중심적 스트레스대처는 26.1(±3.23)점, 스트레스 반응에서 신체화 반응 12.4(±7.06)점, 우울8.9(±6.06)점, 분노반응은 7.4(±4.54)점이었다. 외상후 성장과 자존감, 문제중심대처, 정서중심대처는 유의한 정상관으로 나타났고(p<.001),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중심 대처가 가장높게 나타났고(ß=.35, p<.001), 성별(여자)(ß=.24, p<.001) 및 자존감 이였으며(ß=.23, p=.002), 이들 변수의 외상후 성장에 대한 설명력은 24%였다. 따라서 경찰공무원들이 스트레스에 대해 정서중심적 대처 및 자존감이 높고 성별이 여성일수록 외상후 성장 정도가 높음으로 평상시 스트레스에 정서중심적 대처방법과 효율적인 의사소통 전략을 익히도록 훈련할 필요가 있으며 자존감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개발, 그리고 성별 및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체계적인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with police officer. Methods: The variables were collected from August 18 to 31, 2014 from 171 the police officers of section in charge of violent crime and detective in ten different police offices in seoul. The variables were assessed by research tool of post-traumatic growth, traumatic event experience, self-esteem, stress coping method, stress response. The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post-test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zed with the SPSS 12.0 program. Result: Post-traumatic growt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emale police officer and having a religion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emotion and problem focused coping.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were emotion focused coping, female police officer and self-esteem, accounting for 24% of the varience in the outcome.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s and improve stress coping method. Furthermore, further research. will have to be supported by the systematic metho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외상후 부정적 인지와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를 중심으로

        박지은 ( Ji-eun Park ),정남운 ( Nam-woon Chu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6 人間理解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유형에 따른 외상후 성장 및 관련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보고,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에 초점을 두어 외상후 부정적 인지와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20세 이상의 성인 484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 질문지, 외상후 성장 척도, 외상후 인지 척도, 한국인 용서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외상 유형에 따라 외상후 성장, 외상후 부정적 인지, 용서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상후 성장과 용서 수준은 대인관계 외상 경험 집단이 비대인관계 외상 경험 집단보다 낮고, 외상후 부정적 인지 수준은 대인관계 외상 경험 집단이 비대인관계 외상 경험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후 부정적 인지와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외상후 부정적 인지 수준이 낮은 경우, 용서 수준이 높을수록 외상후 성장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대학상담실제의 적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variables between traumatic event type groups. We also sought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forg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and posttraumatic growth focusing on interpersonal trauma group. A total of 484 adul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personal trauma group was lower than the impersonal trauma group in posttraumatic growth and forgiveness level, and higher in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Second, this study revealed that forgiveness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and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the counseling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