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8년 국가수준 성인의 쓰기 능력 평가 결과 분석

        장지혜 ( Jang Jihye ),서보영 ( Seo Boyoung ),김종철 ( Kim Jongcheol )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1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에서 시행한 2018년 국민의 국어 능력 실태 조사 중 쓰기 영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는 만 20세~69세의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인구 분포 통계를 활용한 2단계 층화 표본 추출(stratified sampling) 방식을 적용하여 조사 대상의 대표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대, 지역 규모, 학력군, 직업군’의 5개 변인을 설정하여 각 변인별로 실제 인구 분포 비율에 비례하게 조사 대상이 표집될 수 있도록 표본을 추출하였다. 영역별 평균 원 점수는 쓰기 영역이 121.61(250점 만점)을 보였다. 조사 대상 국민의 평균적인 쓰기 능력은 2수준에 해당하며, 특히 2수준 이하 비율이 전체의 69.6%여서 전반적인 쓰기 능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는 2013년과 2018년의 조사도구 간 동등화를 바탕으로 연도별 국어능력의 결과를 상호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동백분위 동등화(equipercentile equating)의 방식을 통해 2013년과 2018년 국어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2018년도의 쓰기 영역 평균 점수는 2013년도 쓰기 영역 평균 점수 120.2와 비교하였을 때 약 1점 정도 상승하였다. 전체적인 평균은 2013년과 유사한 수준이나 3, 4수준의 비율은 소폭 증가한 반면 1수준의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아, 국민의 국어능력 중 쓰기 능력은 상하위 수준 집단 간 편차가 다소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상, 지역 규모별로는 읍면 지역, 직업군별로는 육체노동, 학력군별로는 고졸 미만에 우선적으로 정책적·교육적 대처가 요구되나, 그밖의 모든 집단에서도 2수준 이하의 비율이 60% 이상이므로 특정 집단이 아닌 대국민 쓰기 교육과 구체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네 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첫째, 다양한 쓰기 학습 기회 및 쓰기 능력 수준에 맞춘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둘째, 쓰기를 통한 사회적 참여를 통해 생애에 걸쳐 쓰기 능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장려. 셋째, 실제성이 확보된 조사 도구 및 최선의 수행을 이끌어낼 수 있는 조사 방법의 마련. 넷째, 피험자 변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책 마련의 토대 확보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discuss the results of the 2018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of adults, focusing on writing ability. This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0 adult men and women aged 20 to 69.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writing score was 121.61 in 2018, about one point higher than in 2013. This performance is generally very poor. In the 2018 survey, the cut-off score of the 2013 study was applied, but the score of the division was newly formulated through the equalization of the survey tools, and each grade was classified into levels 4, 3, 2, and 1. In addition, except for the variables newly introduced in 2018, the change in the participants’ language ability was confirmed based on the variables set in 2013, namely sex, age, regional scale, education, and occupation. In 2018, the ratio of level 1 increased(+9.4%p), so the order of ratio of levels 2, 1, 3, and 4, compared to the ratio of levels 2, 3, 1, and 4 in writing in 2013. The overall average was similar to that of 2013 but the ratios of levels 3, 4 increased slightly, and 1 increased greatly, indicating that there was a slight variation in the writing ability of the Korean adults. When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by variable and ranked according to their writing skills,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ir 20s, 30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ir 40s and 50s. In terms of region size,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 urban area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rural areas. The ranking by occupation showed that the scores of mental worker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manual workers. Then, the ranking by education showed that university graduates had higher scores than high school graduates and middle school graduate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men and those of women.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 the following. First, to improve writing ability among the general public,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econd,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writing should be encouraged at the national level and people should be encouraged to use their writing skills throughout their lifetime. Third, a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to improve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authenticity of the evaluation. Finally, the subject variables should be closely analyzed to inform policy-making.

      • KCI등재

        대학의 읽기-쓰기 교육과 ``사회적 전환``의 필요성 -텍스트적, 수사학적, 담론적 수준의 통합을 중심으로-

        김미란 ( Mi Ran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8

        한국의 글쓰기 교육은 역사가 매우 짧기 때문에 초창기부터 미국의 글쓰기 교육 이론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미국의 사례를 참조하면서 이론과 방법론 등을 벤치마킹하는 것은 분명히 효율성의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미국 연구자들이 다양한 논쟁을 거쳐 축적해 놓은 이론과 교수학습 방법론 중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것을 선별적으로 수용해 왔다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이론과 방법론의 수용이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이루어졌으며 그 폐해가 이제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 선별과정을 통해 대거 수용된 것은 인지주의에 입각한 글쓰기 교육 원리이다. 그런데 90년대 전후 미국의 작문계에서는 읽기와 쓰기가 함께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상승효과에 관심을 두었으나, 그러한 연구는 텍스트 읽기-쓰기 관계에만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학습자들이 실제로 놓여 있는 사회 구조와 그들에게 제공되는 문식적 환경을 고려하면서 맥락에 맞게 읽기-쓰기 관계를 설명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국의 작문 연구가들은 이를 가리켜 작문 연구의 ``사회적 전환``이라 칭한다. 이와 달리 한국 대학의 읽기-쓰기 교수학습 방법은 인지주의의 자장 안에서 결코 자유롭지 않아 읽기-쓰기 패러다임이 제한적이다. 하지만 아직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여야 한다는 문제의식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고에서는 텍스트적, 수사학적 수준, 담론적 수준에서 읽기와 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구상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 한국에서의 이루어진 읽기-쓰기 교육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텍스트적 수준과 수사학적 수준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담론적 수준이 대체로 도외시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국의 대학생들이 쓴 글에는 담론적 수준에서 텍스트에 접근한 내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본고에서 위 세 수준을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제공한 것은 발견 학습(heuristics)을 위한 질문지이다. 창안(invention)에 해당하는 발견 학습은 비판적 탐구 방법의 일종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능동적으로 텍스트에 접근하여 세 가지 수준에서 분석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매체가 유용하게 활용되는데, 이 매체를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은 텍스트가 모방의 대상이 아니라 분석의 대상이라는 점을 충분히 인식하게 된다. 또한 자신이 분석한 내용을 보완하고 심화시키기 위해 선행 연구를 참조함으로써 선행연구에 의존하는 수동적인 글쓰기가 아닌 능동적인 글쓰기를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읽기-쓰기 교육에서의 사회적 전환은 영역 확장을 요구하며, 이 영역 확장은 교육에 대한 인식의 틀을 확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매체에 대한 인식도 확장할 것을 요청한다. As the writing education history in the Korean Universities is very short, it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theories on the writing education of American`s. To benchmark their theories and methodologies is meaningful from the aspect of efficiency. However in that course, Korean scholars had accepted them selectively. Though American scholars had accumulated many different kinds of theories and methodologies, Koreans accepted them through the course of selection and exclusion. And the harmful influences come out now. About 1990s, American scholars had focused on the relation of reading and writing. But from that time on, they have conducted study in the direction to explain the structure of a society where the learners belong to and literacy environment which is offered to them, American scholars calls it ``social turn`` of the composition study. B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about reading and writing in the Koreans universities were restrained in the framework of cognitivism. That is to say, reading and writing paradigm is restrictive. Though there are scholars with perceptions toward it, they don`t try to find a paradigm and methodologies yet. To solve this problem, I tried to have a desig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with the textual, rhetorical and discursive levels. Speaking more concretely, what I provide to maintain equilibrium of the upper three levels is a guide for heuristis. Heuristis as a invention is a kind of critical research. An advertising media is very useful for students to perform this task. When they use this media for analysis, not for copying, they can understand how to analyze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 수준별 수업 읽기 쓰기 활동에 대한 학습자 인식과 선호도 연구

        방민희,박태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learn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learning activities used in level-based general English classes for first year college students. The course combines reading and writing and is divided into the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classes.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ent survey, focusing on evaluating the student preference in terms of participating in different types of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and, in particular, group and individual works. 423 students took part in the survey with 165 from 5 beginner classes, 126 from 4 intermediate classes, and 132 from 5 advanced classes. They answer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learners of all three levels preferred group activities to working individually in reading, whil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learners was, they tended to prefer individual works. On the other hand, in engaging in writing activities, the majority of students perceived individual activities as more effective than working in group. Specifically, the beginner and advanced level students showed stronger preference for individual activities, for different reasons. The advanced learners responded that they could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more efficiently through working individually whereas the beginner level students seemed to prefer individual activities to avoid working in group due to a sense of anxiety and low confidence in showing their perceived poor writing abilities to their peers. Overall, it is shown that writing activities are more helpful and effective as the learners’ proficiency improves. Based on the results, a number of activities and steps are suggested to help manage effective level-based reading and writing classes. 본 연구는 2019년 2학기에 수준별 읽기와 쓰기 통합 교양영어 강좌를 총 423명의 학생이 참여한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준별 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한 다양한 학습방식과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인식과 선호도를 분석하여, 특정 학습 활동이나 수업방식을 수준별로 학생들이 어떻게 반응하고 수용하였는지, 그리고 각 수준별 학습패턴에 특징적인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학습자의 읽기활동 선호도와 수준별 차이 분석 결과를 보면, 가장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수업방식이 모든 수준에서 ‘교수님의 해석과 설명’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초급은 ‘조별독해와 발표’ 활동을중급과 고급은 ‘독해하고 개별로 요약’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활동 전반에 대해 개별과조별활동 선호도에 있어서는 모든 수준에서 조별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쓰기활동 선호도와 수준별 차이 분석 결과를 보면 초급에서는 ‘쓴 글에 바로 피드백을받을 수 있어서’, 중급과 고급에서는 ‘혼자 영작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서’ 쓰기활동이 도움이 되었다는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학습자들의 수준이 올라 갈수록 쓰기활동에서 독립성이 증가하고, 피드백에대한 의존도는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보인다. 쓰기활동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초급과 중급의경우 ‘처음 영작을 해봐서 혼자 쓰기가 어려웠다’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고, 고급의 경우 ‘영작을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다’와 ‘처음 영작을 해봐서 혼자 쓰기가 어려웠다’는 응답이 동일한비율로 나타났다. 쓰기활동의 유형에 따른 선호도를 보면 초, 중, 고급 모든 수준에서 ‘주어진 주제로개별 자유영작하기’를 가장 선호했으며 또한 조별보다는 개별활동을 선호하였다. 고급의 경우는 개별로혼자 써보는 것이 영작실력 향상에 더 도움이 된다고 하였지만, 초급은 자신의 영작실력이 부족하여자신감 결여로 쓰기의 경우 조별활동을 기피하고 개별로 쓰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수준별 수업의 만족도와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의 필요와 눈높이를 반영하는수업자료, 방식, 활동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국어과 쓰기 영역의 문항 분석과 개선 방안

        전제응(Jeon, JeEung),최규홍(Choi, Kyu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0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쓰기 영역의 문항을 통시적으로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쓰기교육의 변화와 쓰기 영역 학업성취도 평가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이는 초등학 교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이하 학업성취도 평가)의 성취 기준에 반영되었던 국어과 교육과정의 쓰기 내용과 학업성취도 평가 쓰기 영역의 성취 기준을 조응해 고찰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쓰기 평가 문항의 문항 성취 기준과 개별 문항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쓰기 평가 문항의 문제점으로 분절성, 간접성, 비균형성을 도출하였다. 문항 분석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는 첫째, 쓰기 평가에는 직접 평가 문항이 추가되어야 함을, 둘째, 쓰기 과정을 통째로 평가하는 문항의 설계가 필요함을, 셋째, 쓰기 영역의 정의적 부분을 평가할 수 있는 성취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해야 함을 들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초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쓰기 영역에 한정하여 논의를 진행한 점과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초등학교에 시행되었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통시적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들 수 있다. This study is discussed on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writing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 explore it through diachronic analysis of the questions. First, we looked at the trend of changes in writing achievement assessment and writing training. Then, we derive the problem of the writing test items-the segmentally, indirectly, and non-balanced test-.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follows. First, test items should be added to the direct writing assessment. Second, there is a need to evaluate the entire writing process, first of all, in order to design of the items. Third, we need to develop criteria to assess the achievement of the affective domain of writing. And to develop a tool that measures this.

      • KCI등재

        쓰기 양상 분석을 통한 쓰기 기초학력 도달 수준 설정 가능성 탐색 - 문장 쓰기를 중심으로 -

        최종윤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7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it is possible to set an achievement level of basic academic skills for writing through the analysis on aspects of writing. To measure aspects of writing, the study was conducted for 139 second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at Gyeonggi-do. It explored a possibility to set an achievement level of basic academic skills for writing based on sentence writing.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 achievement level of sentence writing was suggested by sentence constructing abilities. As for the sentence constructing abilities, the study suggested an achievement level of sentence writing considering words, parts of speech and sentence structures observed in students’ aspects of writing. achievement levels of sentence quantity and content were suggested from writing of several sentenc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a possibility for setting an achievement level of sentence writing, one of basic academic skills for writing, through analyzing students’ aspects of writing. 이 연구의 목적은 쓰기 양상 분석을 통한 쓰기 기초학력 도달 수준 설정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쓰기 양상 측정 대상을 경기도 A 지역 초등 2학년 학생 139명으로 정하였다. 연구 결과, 문장 구성 능력을 중심으로 한 문장 쓰기 도달 수준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학생의 쓰기 양상에서 관찰된 낱말, 품사, 문장 구조, 문장의 양, 문장의 문체 등을 고려하여 문장 쓰기 도달 수준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학생의 쓰기 양상 분석을 통해 쓰기 기초학력 중 문장 쓰기 도달 수준 설정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생 수준차를 고려한 과정중심의 쓰기 지도 방안 연구 : 교사의 비계 설정 양상을 중심으로

        박대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0 No.-

        이 연구는 과정중심의 쓰기 수업에 따른 학생 반응을 분석하며 학생 개인차를 고려한 비계를 설정하고 적용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정중심 수업에 따라 적용되는 수준별 비계설정 분석을 위하여 과정중심의 수업 절차를 제시하고 수업 단계별로 나타나는 비계설정 요소들이 무엇이 있는지를 살펴 어떻게 학생들의 쓰기 활동에 도움을 주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중심 쓰기 활동에서 수준별 비계설정의 적용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글쓰기 과정별로 교사의 도움활동 즉 비계설정을 적용하면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진행되고 수업목표를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었다. 둘째, 비계설정으로써의 수업대화를 학습상황에 적절히 활용하게 되어 다양한 사고와 흥미를 유발하는 역동적인 수업이 이루어졌다. 셋째, 학습자의 성취 수준을 상, 중, 하로 분석하고 수준별 비계설정을 제공하여 과정별 글쓰기에서 부진한 학습 요소를 줄이고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과정중심의 쓰기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쓰기 교과에 대한 특성, 학습형태, 학습지도 방법, 학생의 수준 차에 따른 수준별 지도 모형이 개발되어야 하며, 과정중심 쓰기 단계에 따라 활용해야 할 적절한 비계설정 내용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가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response to the process-based writing, and establish a scaffolding oriented to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 then eventually enhance the 6th grade student's writing ability through its practical application. This study found that scaffolding elements used in the process-based writing class had made a great impact on the activity of writing, especially, it was used in many cases, while performing brainstorming, clustering, and refining. In addition, it constructed various writing contents in relation to the differentiated scaffolding by studen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writing, and analyzed how the scaffoldings affected learning activity by developing the process-based writing activity with assistance of teachers and well organized worksheets that meet every levels of writing such as high, middle, low. These results presen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when it applied a scaffolding, teacher's assistance, to each procedural stage of writing, it was useful to conduct a learner-oriented learning and effectively achieve the goals. Second, it made a dynamic learning with various thoughts and interest by utilizing effective classroom talk in the learning situation through the scaffolding. Third, it could diminish the negative elements of procedural writing and improve the ability of writing by providing differentiated scaffoldings according to the learner's level of achievements such as high, middle, and low.

      • KCI등재

        보육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에 나타난 반성적 사고 수준의 변화

        서혜성(Seo, Hye Sung),고민경(Koh, Min Gye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에 나타난 반성적 사고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양적·질적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G어린이집 만 3, 4세, 5세 교사 6명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 및 실험집단 교사들의 사전검사에서 나타난 반성적 사고수준은 교수 수행을 분석하지 않고 기술적인 방식으로 사건을 평범하게 묘사하는 2수준과, 자신의 교수행위에 대한 학습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교수자의 관점에서만 평가하는 3수준으로 집단 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 비교집단 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수준은 3, 4수준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실험집단 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수준은 복합적인 관점으로 자신의 교수적/비교수적 사건을 평가하고 학습의 특수한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며 더 나은 수행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7수준까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널쓰기에 나타난 반성적 사고수준 변화 결과, 만 3세 교사는 초기 2수준, 중기 이후에는 4수준 로, 만 4세 교사는 초기 4수준, 중기에는 6수준, 말기에는 7수준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 5세 교사는 초기 3수준에서 6, 7수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아무리 낮은 수준의 반성적 사고를 가졌다 하더라도 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는 반성적 사고수준을 향상시키며 그로 인해 교수방법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 of reflective thinking level appearing in reflective journal writing of nurturing teacher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The subjects are 6 teachers in charge of 3, 4, and 5 year old children at G child care center in the capital area,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reflective thinking levels appearing in the pre-test for teachers i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level 2 in which teachers normally describe issues in an technical way without analyzing teaching performance and level 3 in which teachers evaluate students in teachers’ view without taking account in learners’ position onto teachers’ own teaching behavior, giv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However, in the post-test, teacher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3 and 4 levels in reflective thinking, explaining no big difference, but the reflective thinking level of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n improved level up to level 7 with complex viewpoints in which level teachers evaluate their own teaching/non-teaching issues, consider special situations and contexts of learning, and present alternatives for better performance. Secondly, in the results from change of reflective thinking level appearing in journal writing, it was shown that there was improvement of up to level 2 at the beginning stage and up to level 4 at the intermediate stage for teachers of 3 year old children, and improvement of up to level 4 at the beginning stage, up to level 6 at the intermediate stage, and up to level 7 at the last stage for teachers of 4 year old children. Especially, for teachers of 5 year old children, it was shown that there was most improvement of up to level 6 and 7 from level 3 at the beginning stage. Accordingly, even however low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teachers might have, it was found that teachers’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creased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which eventually lead to change of teaching methods.

      • KCI등재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상황 맥락 고려 양상 분석: 고등학생의 사고구술 자료를 바탕으로

        박경희(Park, Kyo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 필자의 사고구술 자료를 바탕으로 상황 맥락 고려 요인을 분석하고,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상황 맥락 고려 양상의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5월~8월에 고등학생 30명의 사고구술 프로토콜, 쓰기 결과물, 설문지, 인터뷰 내용이 수집되었고, 2017년 1월~6월에 사고구술 프로토콜 분석, 글쓰기 채점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 필자의 상황 맥락 고려 요인의 평균 점유율 순서는 ‘주제, 텍스트 유형, 필자, 쓰기 목적, 독자, 내용지식, 과제, 필자와 독자의 관계, 시공간적 특성, 매체, 텍스트 분량’으로 분석되었다. 상 수준은 ‘텍스트 유형’을, 하 수준은 ‘주제’ 요인을 가장 많이 고려했고, 특히 하 수준의 ‘주제’ 요인 의존도가 매우 높았다. 둘째, 쓰기 수행 수준별 상황 맥락 고려 양상의 차이는 주로 참여자 범주와 내용 범주에서 나타났다. 상 수준은 하 수준보다 ‘필자’, ‘독자’, ‘필자와 독자의 관계’ 요인이 심층적 · 역동적으로 고려되었고, ‘주제’와 ‘내용 지식’ 요인도 다양하고 활발하게 고려되었다. 셋째, 양식 범주와 환경 범주에서는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다만 상 수준에서는 ‘과제’ 요인에서 과제의 핵심 요소 추출, 과제 해석 등이 나타났으나, 하 수준에서는 주제 위주의 간단한 과제 해석이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of situation context consideration using think-aloud protocol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situation context consideration according to writing performance levels. To this end, 30 think-aloud protocols, essays, survey and interview data was collected from May to August, 2016. And think-aloud protocols was analyzed based on situation context factors and writing was graded from January to June, 2017.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First, the order of occupancy in the factors of situation context was theme, text types, writer, writing purpose, audience, content knowledge, writing tas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and the audience, characteristic of space-time, media, text length. Second, students with high level of writing proficiency mostly considered the factor of text types and more dynamically considered the factors of writer, aud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and the audience, theme, content knowledge in depth. Students with low level of writing proficiency mostly considered the factor of the theme. Third, students similarly recognized the factors of writing purpose, text types, media, characteristic of space-time, text length.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in writing education through writing context consideration. Therefore more continuous extended study is necessary.

      • KCI등재

        중학생의 쓰기 동기 수준 및 성별에 따른 쓰기 수행의 차이

        박영민 ( Young Min Park ),가은아 ( Eun A Ka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5 No.-

        이 연구는 중학생의 쓰기 동기 수준 및 성별에 따라 쓰기 수행의 차이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전, 경기, 전라 지역의 중학생 435명으로부터 쓰기 동기 및 쓰기 수행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쓰기 동기가 높은 학생과 쓰기 동기가 낮은 학생들의 쓰기 수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쓰기 동기 수준에 따른 쓰기 수행은 전체 점수뿐만 아니라 내용, 조직, 표현 및 어법 등 하위 요인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 쓰기 동기가 쓰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성별에 따라서 쓰기 수행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의 쓰기 수행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위 요인 분석에서 조직 요인을 제외한 내용, 표현 및 어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성별 차이 분석에서 특기할 사항은 여학생들의 경우 쓰기 수행 점수가 학년이 올라가도 정체되는 현상을 보이며, 남학생들은 중학교 3학년에서 쓰기 수행 점수가 감소한다는 사실이다. 중학생들의 성공적인 쓰기 수행을 위해 쓰기 동기 및 성별의 차이에 주목한 교육적 처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writing motivation level and gender differences on writing performa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survey of writing motivation and writing performance have been carried out with 435 students in DeaJeon, Gyonggi, and Jeonra, and then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who have a high writing motivation and the students who have a low writing motivation on writing performance scor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sub-factor`s score-content, organization, expression and us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is enough to show that writing motivation have a important effect on writing performance. Also, female`s mean score was higher than the male`s in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performanc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groups. In all sub-factors, not organization, female got higher mean scores than male di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ase of female, writing performance score show little improvement in higher grades. In case of male, writing performance score is lower in middle school 3 grade. The conclusion means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of writing motivation and gender difference for more successful writing performance in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건의문 쓰기에 나타난 중학생의 쓰기 능력 실태에 관한 분석적 접근 - 2015년 NAEA 중학교 국어과 쓰기 서답형 문항 반응 분석을 중심으로 -

        김승현 ( Kim Seung-hyun ),장지혜 ( Jang Ji-hye ) 한국작문학회 2017 작문연구 Vol.0 No.32

        본 연구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쓰기 영역 건의문 쓰기 서답형 문항에 나타난 학생 답안을 분석하여, 학습자의 장르에 대한 인식 및 쓰기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문제점 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7,391개의 학생 반응을 유형화하고 빈도와 양상을 양적으로 분석하되, 면담을 통해 반응의 맥락과 원인을 해석하는 혼합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 중학교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분석한 결과, 첫째, 쓰기 상황 및 텍스트 맥락에 대한 이해 미흡, 둘째, 장르에 대한 인식 부재, 셋째, 쓰기 활동 및 문항 풀이에 대한 경험 부족, 넷째, 기초적인 문장 구성 능력의 미비, 다섯째, 문제 해결에 대한 의욕 결여 등의 실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학교 쓰기 수업에서는 장르의 기본적 특성에 대한 학습 및 이를 적용한 글쓰기 활동을 강화하고, 쓰기에 있어서 수사적 요소에 대한 고려의 중요성을 포함하여 맥락에 대한 민감성과 관련한 쓰기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에게 다양한 쓰기 상황에 대한 글쓰기 경험을 제공하는 것과 함께 쓰기에 대한 자신감, 필자로서의 주체성을 정립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어야 하며, 보통학력 이하 학생들에게는 글쓰기에 흥미를 가지고 쓰기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udent responses to constructed response items of Korean writing in NAEA, and to investigate the genre awareness, writing difficulty of students. For this purpose, 7,391 answers for constructed response items were classified by type. Utilizing the distribution curve of frequency and rate per achievement sco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level. As a follow-up procedure, this study interviewed 261 students to reveal the meaningful contexts behind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e survey, using mixed method approa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lack understanding on writing context and situations; Second, awareness of genre-based writing is rather poor; Third, lacking experience in writing activities and solving of practical writing problems; Fourth, even proficient level students lack a sentence constructing ability; Fifth, basic and below-basic students showed little problem-solving mo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