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윤은영 ( Eun Young Yun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1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그림책을 교수 학습매체로 활용하여 유아 발달 특성, 흥미, 주제를 고려한 신체표현에 적합한 활동을 개발함으로써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 신체표현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면서 실제적인 교육방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소재한 H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의 유아는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대한 사전검사와 실험처치 후 동일한 방법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그림책을 활용한 신제표현 활동은 1회에 30-40 문 정도, 총 10회에 걸쳐 5주 동안 실시되었으며 통제 집단은 이야기 나누기 활동 후 신체표현 활동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 표현활동을 시행함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의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그림책을 통한 신체표현 활동이 창의적 신체표현력의 하위 요소 중 유아의 동작의 다양성, 동작의 방향성, 동작의 표현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작의 지속성, 동작의 흐름변화에서는 사전검사 보다 사후검사 평균이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 활동은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유아기에 다양한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매체라고 본다.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림책을 활용하여 신체표현 활동을 계획한다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how physical movement activities through nursery schools affect children`s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In order to prove the effects of the physical movement activity program, 20 young children aged 5 years who are attending H nurse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10 children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children were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physical expression abilities of the children in both groups, which was investigated through a preliminary inspection, were similar. Thus, it was assumed that the children in both groups were not different. Pre and post tests were perform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cod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After the experiment,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on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in ``action diversity`` and ``action direction``, and ``action expression``. The movement activities through picture books affected children`s creative physical movements. Therefore, the physical movement activities through picture books can be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신체-예술’의 훈육과 생성 - 푸코와 들뢰즈의 신체 이론을 기반으로 -

        사요평,홍순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4

        The body, as the basic premise and prerequisite for our perception of the external world, understands the world we live in better than consciousness. The body, as the basic premise and prerequisite for our perception of the external world, understands the world we live in better than consciousness. Choose to study the discipline and becoming through the movement from the antagonism of power discipline to generative events, to provide a more substantive understanding of “body-art” while providing contemporary art with theoretical explanations and motivations for artistic development, thus it has the necessity of its research. As a “body-art”, it can only return to the fundamental changing power of “events”, by continuous creation and generation, constantly breaking free from the constraints and dogmas from inside and outside to become a body without organs, and the genuine concept of a symbiosis can be found out from internal connection between the body and art. With a such a research background, it was mainly focused on the core of “body-art” and based on the philosophical theory, combined with contemporary artworks in this study. In the “Discipline” and “Becoming” about the body proposed by the postmodern philosophers Michel Foucault and Gilles Deleuze, the disciplinary body is considered to be the event of power shaping and the place of power monitoring, It exhibits as passive power transformation and regulation, making the body the starting point of resistance, and the generated body is connected, moved, generated, and changed in the event, manifested as active desire production, is active and open, contingent, split organless bodies. The resultant research concluded that “body-art” is constantly changing and gaining freedom in “becoming-event” is a dynamic relationship with power contests and endless production of desired machines. Each encounter is a unique event, and the body encounters, thinks, and feels from the event. 신체는 우리가 외부 세계를 감지하는 데에 있어 기본적인 전제 조건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의식보다 더욱 잘 이해한다. ‘신체-예술’에 대하여 보다 실질적인 이해와 현대 예술에 있어 예술 발전의이론적 설명과 동기를 제공하기 위해 훈육과 생성에 대한 연구를 선택하였다. 권리의 훈육에 대한 저항부터 사건 생성의 운동까지 체계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신체-예술’이 ‘사건’이라는근본적인 변화하는 힘으로 돌아가고, 끊임없이 무언가를 창조하고 생성하며, 내부와 외부의 제약과 독단에서 벗어나 기관 없는 신체가 되어야만 신체와 예술을 연결하는 공생의 길을 찾을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신체-예술’을 핵심으로 하고 철학 이론을 기반으로 한 현대예술 작품에 대한 분석이다. 포스트모던 철학자 푸코와 들뢰즈의 신체에 대한 ‘훈육’과 ‘생성’의 내용에 따르면, 훈육의 신체는 권리에 의해 형성되는 사건이고 감시당하는 장소이며, 수동적인 권력 개조와 규제이다. 신체는 저항의 출발점이다. 생성된 신체는 사건 속에서 연결되고 운동하며 또 다시 생성되고 변화한다. 또한 신체는 긍정적인 욕망을 생산하며 능동적이고 개방적이며 우연적이고 분열된기관 없는 신체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신체-예술’은 ‘생성-사건’속에서 끊임없이자유를 얻고 권력과 겨루는 동태적인 관계이며, 욕망 기계의 끊임없는 생산이다. 이러한 생산은 고유의 소박에서 벗어나, 만남은 매번 독특한 사건이 되고 신체는 그 사건 속에서 서로 맞닥뜨리며 무언가를 생각하고 느낀다.

      • KCI등재후보

        노인의 신체활동 영향요인 분석과 제언

        이주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연구소 2016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1차년도 자료를 토대로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신체적 요인, 정신건강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이 그들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노인의 신체활동을 장려할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독립변수로 인구사회학적 요인에는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신체적 요인에는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일상활동능력, 정신건강적 요인에는 스트레스, 우울, 수면시간. 마지막으로 사회경제적 요인에는 경제활동 상태, 소득수준, 교육수준을 포함하였다. 종속변수인 신체활동은 5가지 신체활동을 각각의 권장 수준에 맞게 실천 여부로 구분하고 빈도를 합산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방법은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성별, 연령이 신체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신체적 요인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일상활동능력이 신체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정신건강적 요인에서는 수면시간이 신체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사회경제적 요인에서는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신체활동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로는 교육수준이 높고, 여성보단 남성이,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일상활동능력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수면시간이 정상수면일수록 신체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65세 이상 노인의 신체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is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South Korea.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wo-fold: First is to analyze how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physical health factors, mental health factors, and socio-economic factors of the elderly affect their physical activities. Second is to provid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ly. Based on the data of the first year of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Ⅵ-1), 2013, this research targeted 1,174 elderly persons (674 female and 500 male) whose ages were above 65. This research use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physical health of the elderly. PASW Statistics 18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er the education level, female (than male), better the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higher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level, lower the ag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level, and closer to the normal sleeping hours resulted in more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rawn as follows. Relative impact of on the determinants of the elderly physical activities was education level, sex,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ge, household income level, and sleeping hours (in order). This, in other words, indicates that socially vulnerable class (i.e. female elderly citizens with low education level, low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and troubl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have much restrictions to practicing physical activities. Thus, practical and policy alternatives are needed.

      • KCI등재

        신체질환이 있는 노인환자의 우울증상

        한준수(Jun-su Han),이현수(Hyeon-Soo Lee),이성근(Seong-Keun Lee),정인과(In-Kwa Jung)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97 노인정신의학 Vol.1 No.1

        연구배경: 본 연구는 신체질환이 있는 65세이상의 노인환자에서 신체질환에 의한 신체적 기능 장애의 심각도가 우울증상 및 우울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150명의 신체질환이 있는 노인환자중에서 MMSEK상에서 19점이하인 12명을 제외한 138명에게 인구사회학적인 변인, 건강특성 변인 및 신체질환에 의한 기능장애의 정도를 평가한 후 우울검사들(MADRS, KGDS, GDS)을 실시하였으며, 추가로 65명의 신체질환이 있는 노인환자중에서 MMSE-K상에서 19점이하인 4명을 제외한 61명에게 인구사회학적인 변인, 건강특성변인 및 신체질환에 의한 기능장애의 정도를 평가한 후 DSM-Ⅳ 진단기준에 의거한 임상진단과 KGDS를 실시하였다. 결 과: 대상군에서 우울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는 KGDS, GDS, MADRS에서 각각 50.0%, 36.2%, 35.5%였다. 신체질환에 의한 기능장애가 심각한 집단은 상대적으로 장애가 적은 집단에 비하여 KGDS, GDS, MADRS에서 유의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신체질환에 의한 기능장애의 심각도는 모든 우울검사들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울검사들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인들에서 신체질환에 의한 기능장애의 정도가 모든 우울검사들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변인이었다. 추가로 시행된 연구에서 대상군의 19.7%가 주요우울장애, 18%가 기분부전장애를 나타냈으며, 주요우울장애와 기분부전장애로 진단된 환자군이 우울장애로 진단되지 않은 환자군에 비하여 FDRPT와 KGDS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신체질환을 가진 노인환자에서 우울증상 및 우울장애의 빈도는 일반적인 노년기의 우울증상 및 우울장애의 빈도보다 높았으며, 신체질환에 의한 기능장애가 우울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신체질환이 있는 노인환자에서 우울증상을 감별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부가적으로, KGDS는 다른 우울검사들과 유의한 상관성을 가지며, 우울증상 및 우울장애에 대한 높은 진단변별력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어졌다. 그러므로 KGDS가 신체질환을 가지는 노인환자에서 우울증의 선별검사용으로 유용한 검사방법이라는 것과 미래에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Objectives: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verity of functional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illness, on the depressive symptoms and depressive disorders of the elderly patients (above 65 year-old) with physical illness. Method:Complete medical and psychiatric evaluations were achieved on 138 patients, except the 12 patients, who were severely cognitively impaired (MMSE-K score;below 19), of the 150 elderly patients (above 65 year-old) with physical illness. Sociodemographic data and health characteristic data were systematically collected, and the severity of functional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illness was evaluated. Depression scales (KGDS, GDS, MADRS) on 138 elderly patients were executed. In addition, based on the 61 patients of the 65 elderly patients (above 65 years old) with physical illness, except 4 patients who were severely cognitively impaired (MMSE-K score; below 19), sociodemographic data and health characteristic data were collected. The clinical diagnosis by DSM-IV diagnostic criteria and KGDS on 61 elderly patients were performed, and their functional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illness was evaluated. Results:The frequency of depressive symptoms showed 50.0%, 36.2%, and 35.5%, respectively in KGDS, GDS, and MADRS. The patients with severe functional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illness-compared with those with mild functional disability-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the depression scales (KGDS, GDS, MADRS). The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functional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illness and depression scales was highly positive. Severity of functional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illness was the strongest contributor to the depression scales. In the additional study, 19.7% of patients were diagnosed as major depressive disorder, 18% of them as dysthymic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major depressive disorder & dysthymic disorder) group-compared with nondepressive disorder group-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the FDRPT and KGDS. Conclusion:The frequency of depressive symptoms and depressive disorder in elderly patients with physical illness was higher, compared with those in general elderly people. Functional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illness most highly influenced on depressive symptoms. Thus, it is important to discriminate whether the elderly patients with physical illness have depressive symptoms or not. In addition, we assumed that KGDS was not only highly correlated with other depression scales (GDS, MADRS), but also had the high diagnostic power of dis-crimination for depressive symptoms and depressive disorder. This study suggested that KGDS was available in screen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physical illness. It wa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the availability of KGDS in the future.

      • KCI등재

        러시아어 신체어 ГОЛОВА의 의미확장 연구

        남혜현(Nam Hye H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1

        우리는 대표적인 다의어로써 신체어의 의미를 연구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인간의 심리적, 인지적 원리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즉 우리는 인간의 인지체계에서 이루어지는 인접성과 유사성에 의한 환유와 은유를 단어가 의미를 확장하는 중심 기제로 설정했다. 그러나 언어사용자의 심리적 요인 외에도 언어요소의 의미변화에는 해당 언어공동체의 사회적, 문화적 요인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접근을 통해 러시아어 신체어 голова의 의미전이 양상을 단일어, 관용어, 파생어를 대상으로 살펴보고, 그 분석의 결과를 이전에 연구 되었던 다른 신체어의 의미전이양상과 비교하여, 러시아어 신체어 의미확장 경향에 대한 좀 더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신체어의 의미가 확장되는 데는 구성면, 즉 전체와 부분사이의 인접성이 거의 예외 없이 작용한다. 모든 신체어들이 ‘각 신체부위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축소지칭한다. 반면 신체어들이 인접하는 전체인 사람을 확대지칭하는 데에는 강한 제약이 있다. 2) 신체어의 의미확장에는 기능면이 매우 활발한 작용을 한다. 3) 전이의미들간의 밀접한 연관성이 나타난다. 4) 신체부위의 구체적인 동작이나 행위는 좀더 추상적인 의미로 전이된다. 5) 많은 신체어의 전의의미들이 기본의미에 비해 형태적, 통사적 제약을 갖고 있다. 6) 신체어는 동물의 해당 신체부위를 지칭하며, 나아가 유사한 속성을 지닌 무생물이나 현상을 지칭할 수 있다. 7) 신체어의 다의성과 그것의 관용어와 파생어 생산성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8) 많은 수의 신체어는 공간을 분할, 명명하는데 사용된다. 그리하여 신체어는 주관적 거리측정의 기준으로서 ‘근접거리’의 개념을 표현하거나, 신체부위를 중심으로 주변 공간을 명명한다. 신체어 파생어 역시 해당 신체부위에 공간적으로 인접한 대상을 명명하는 경우가 많다. 9) 신체어의 의미전이양상은 여러 언어에서 어느 정도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것은 어휘 의미 변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인 인간의 심리, 인지구조가 어느 정도의 보편성을 띠기 때문이다. 동시에 각 언어별로 신체어의 의미확장은 분명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 데, 이러한 차이는 이들 언어가 사용되는 공동체의 역사, 관습, 전통, 경험의 이질성에서 비롯한다.

      • KCI등재

        신체활동 유형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신체활동 역량 차이 비교

        공은숙,김유미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competencies between the elective physical activities chosen by children and the physical activities planned by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9 children of two five-year-olds classes from K kindergarten in Gyeonggi-do. The experimental group was led by children to freely select play materials and perform physical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applied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planned by the teacher.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competencies of the two groups, basic movement skills, physical activity attitudes,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were measur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jumping, static balance, throwing and kicking among the basic movement techniques. Second, among physical activity attitud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and enjoy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the free play-centered teaching method led by young children and verifies its effectiveness in physical activity capacity. 본 연구는 유아가 주도하는 자유선택 신체활동과 교사가 계획한 신체활동을 실시한 두 집단의 신체활동 역량의 차이를 살펴보고 나아가 유아기 신체활동 활성화와 2019개정 누리과정 적용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K유치원 5세 유아 2학급을 임의로 실험집단(25명)과 통제집단(24명)으로 구성하여 8주 간 15회의 신체활동을 각각 실시하였다. 각 회기별로 실험집단은 유아가 주도적으로 놀이와 교구를 선택하여 자유롭게 신체활동을 하였고, 통제집단은 교사가 계획한 대집단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기본움직임 기술, 신체활동 태도, 신체활동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신체활동 역량을 구성하는 기본움직임기술 중 점핑, 정적균형, 던지기와 차기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활동 태도 중 선호도, 즐거움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의 신체활동량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의 목표를 유아의 성장발달과 건강증진 뿐만 아니라 신체활동의 포괄적인 측면인 신체역량 발달로 볼 때 유아가 자유롭게 신체활동의 방법과 내용을 선택하고 주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신체활동 방식이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유아가 주도하는 자유로운 놀이 중심 교수방법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실효성을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기 여학생의 학교 내 신체활동 평가기준치 설정

        김혜진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8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and to establish norm-refer- enced criteria of physical activity of adolescent girls. For the purpose of this, daily physical activities were measured by the accelerometer in hour and day for the female adolescents. The number of steps and exercise intensity were obtain from the accelerometer, and these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0.0. As results, there was marked difference between week and week- end in physical activity for girls. The youth of middle school did moderate to vigorous exercise in in- tensity for about 50 minutes, but the high-school female students did it for not more than 15minutes. Therefore, all of the middle-school and high-school girls have not satisfied the guideline of physical activ- ity as defined more than 60min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During the class of physical edu- cation the middle-school girls do physical activities two times more than the high-school girls.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 the dose of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was very lower than during the physical-education class. These results imply how to teach adolescent for appropriate dose and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and to give effective feedback in the field of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여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파악하고 , 신체활동량 기준치를 설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 이를 위해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중 , 고등학교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일주일간의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였으며 , 요일별 , 시간대 ( 체육시간 ) 별신체활동량 ( 스텝수와 운동강도 ( 분 )) 을 평가하였다 .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 집단간 차이검증(t-test) 을 실시하고 5 단계 상대평가 기준치를 작성하였다 . 결과에 따르면 , 여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은 주중과 주말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 학교급에 따라서도 주중과 주말 , 그리고 체육시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 중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해 2 배이상 많은 신체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운동강도는 중학생은 중고강도 활동이 평균 50 분 정도를 보이고 있지만 고등학생의 경우 15 분 내외를 보이고 있다 . 두 집단 모두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60 분 중고강도 활동에 못 미치는 결과이다 . 또한 스텝수를 이용하여 ‘ 매우높음 ’, ‘ 높음 ’, ‘ 보통 ’, ‘ 낮음 ’, ‘ 매우낮음 ’ 의 5 단계 상대평가 기준치를제시하였다 . 신체활동량 기준치에 따르면 , 체육시간의 경우 중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해 약 2 배 정도 높은 기준치를 나타내고있으며 , 주중 신체활동량은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4 배 이상 낮은 기준치를 나타내고 있다 . 고등학생의 경우 매우 적은신체활동량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 여학생들을 지도할 때 적정 신체활동량및 신체활동 강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 추후 여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

      • KCI등재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이 신체표현 교수실제 및 교수불안에 미치는 영향

        허수윤 ( Heo Su Yun ),서현아 ( Seo Hyun Ah ),오지은 ( Oh Ji E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이 신체표현 교수실제 및 교수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32개 기관의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다중공선성 진단,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은 신체표현 교수실제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표현 교수태도의 흥미 및 부담감과 신체표현활동을 위한 준비가 신체표현 교수실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표현 교수효능감의 결과기대 효능감과 개인적 신체표현 효능감 모두 신체표현교수실제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은 신체표현 교수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신체표현 교수태도의 흥미 및 부담감, 직접적 조작에 의한 신체표현활동, 신체표현활동의 필요성 및 발달적 적합성이 신체표현 교수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신체표현 교수효능감 중에서는 개인적 신체표현 교수효능감이 신체표현 교수불안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수실제와 교수불안에 있어 신체표현 교수태도와 교수효능감의 중요성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ttitud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efficacy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practice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nxiety.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argeting teachers 300 people in 32 preschool institutions located in Busan, Gyeongnam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oments of Pearson, multicollinearity diagnostic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ttitudes,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efficacy as predicto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practices. Seco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ttitude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efficacy as predictors affect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nxie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practice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nxiety of the importance of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attitudes and Physical expression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신체화에 따른 의미확장 연구

        남혜현(Nam Hye H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3

        언어의 이해와 사용은 인간의 인지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의미란 인지과정의 산물로서 세상에 대한 인간의 체험, 곧 ‘신체화(embodiment)’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것은 인간이 이 세상에서 얻는 모든 경험이 그의 신체조직에 의해 제약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체화는 인간 인식의 출발점으로서 의미확장의 진원지이며, 언어의 구조와 의미에 내재된다. 본 연구는 신체부위를 가리키는 어휘, 곧 신체어의 의미확장을 통해 러시아어에서 ‘신체화’의 의미, 곧 ‘신체’ 개념이 다른 어떤 개념을 인지하고 언어화하는데 사용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신체어의 다의성과 그것의 관용어 및 파생어 생산성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그리하여 가장 활발한 영역으로 의미를 확장하는 голова, глаз, рука, нога의 관용어와 파생어의 수는 다른 신체어들에 비해 월등히 많다. 2) ‘동물’을 제외하고, 신체어가 표현하는 주된 개념으로는 ‘사람’, 그 가운데에서도 ‘신체부위의 구성요소’와 ‘사람의 심리적, 물리적 상태’가 있다. 이것은 구성면, 즉 전체와 부분사이의 인접성이 작용한 결과이다. 3) 대단히 많은 수의 신체어 관용어가 사람의 심리, 감정 상태의 의미장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특성은 러시아인의 민족성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4) 신체어가 식물을 지칭하는 경우는 대개 신체부위와 형태적 속성의 유사성에 기반한다. 5) 많은 수의 신체어는 공간을 분할, 명명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인간이 자신의 신체를 중심으로 공간을 인지하고, 측정한다는 원리에 의한다. 신체어는 주관적 거리측정의 기준으로서 첫째, '근접거리'의 개념을 표현하고, 둘째, 신체부위를 중심으로 주변 공간을 명명한다. 6) 신체어의 많은 전이의미가 추상적 개념 영역에 속한다. 여기에는 기능적 인접이나 유사에 의한 의미가 많고, 위치적 속성의 인접이나 유사에 의한 것도 소수 있다. 그러나 위치면은 기능, 구성, 형태면에 비해 의미전이성이 낮다. 7) 구성, 형태, 기능, 위치적 특성이 개별 신체어의 의미확장에 개입하는 정도는 해당 신체부위가 갖고 있는 여러 특성 가운데 어느 것이 가장 현저하게 드러나는지, 어느 것이 가장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8) 신체어의 전이의미들은 서로 밀접히 연관되며, 각 신체어들의 개념장은 서로 접경하고, 교차한다. 이것은 단어의 의미확장이라는 것이 본질적으로 범주와 범주간에 명확한 구분이 불가능한 인간의 인지체계에 기반한다는 사실을 상기해볼 때,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존중감, 신체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성희(Sung-hee Le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존중감, 신체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신체활동 교수효능감 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자기존중감, 신체 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사용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를 사용하여 변인들간의 관련성과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 기존중감, 신체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은 중간 수준 이상이었으며, 변인 중 자 기존중감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고 신체존중감이 가장 낮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존중감, 신체존 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 사의 자기존중감과 신체존중감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신체존중감의 경우 유의미한 설명력을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자기존중감이 26%,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2%의 설명력을 가짐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신체활동 교수효능감과 관련하여 총 28%의 설명력을 확인하 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신체활동 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해 자기존중감과 신체적 자기효 능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steem, body esteem and physical self-efficacy on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o gather data, fou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04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ttending colleges located in Chung cheng-do. The four questionnaires measured their self-esteem, body esteem, physical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self-esteem, body esteem, physical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were a median level. They had high self-esteem and low body esteem. Second, their self-esteem, body esteem, physical self-efficacy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Third, regarding the effect of self-esteem, body esteem and physical self-efficacy on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physical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efforts to raise self-esteem and physical self-efficacy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