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 에크하르트의 『요한복음 주석』에 나타난 시원의 문제

        이부현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79 No.-

        M. 에크하르트는 자신의 『요한복음 주석』 N. 28 - 51에서 요한복음 1-2장의 성경 말씀을 철학 그리고 자연, 기술(예술) 등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해석하고 있다. 시원은 모든 것의 제1원인을 뜻한다. 제1원인은 본질적 원인 또는 근원적 원인이라고도 불린다. 이때 시원은 신, 곧 아버지-신이다. 아버지는 모든 것의 제1원인이다. 그의 시원론은 제1원인인 낳는 아버지-신과 아버지에 의해 낳아진 아들-신 사이의 일의적 관계에 대한 논의이다. 물론 아버지와 아들은 위격에 따라서는 낳는 자와 낳아지는 자로 구분된다. 이것이 아버지와 아들의 ‘위격적 구별’이다. 하지만 실체에 따라서는 온전히 똑 같다. 따라서 시원론은 신성(神性/Gottheit) 안에서 일어나는 신적 위격의 유출과 신적 위격의 구분(divinarum personarum emanatio, et ipsarum distinctio)에 대해 논하는 내재적 삼위일체론이다. 내재적 삼위일체론은 창조 이전의 영원 가운데 생기하는 신성의 끊임없는 생성 사건에 대한 논의라면, 구원 경륜적 삼위일체론은 창조 이후의 시간과 관계하고 있다. M. 에크하르트는 창조 이전의 영원 속에 계신 하느님을 신성이라 부르고, 창조 이후의 하느님을 신(Gott)라 부른다. 그는 창조 이전과 창조 이후, 영원성과 시간성을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구분을 이해할 때, 우리는 비로소 그의 사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은 영원성에도, 시간성에도 머물 수 있다. 그가 말하는 버리고 떠나 있음이란 시간성을 완전히 벗어나, 어떠한 매개도 없이 영원성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신적 근원으로의 돌파이다. 가난과 돌파의 지점에서 영혼의 근저에 신의 아들이 탄생한다. 내재적 삼위일체론에서 아들은 아버지로부터 아버지의 것을 온전히 다 수용한다. 그래서 아들은 아버지와 똑 같게 된다. 이것이 ‘신적 유출’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도 버리고 떠나 있게 되면, 아버지의 것을 깡그리 다 받아, 아버지와 똑 같게 된다. 이것 영혼의 근저에서 아버지의 탄생 사건이다. 그의 독일어 설교의 기조를 이루는 이런 논의는 그의 『요한복음 주석』의 N. 28– 51에 나오는 시원론을 바탕으로 한다. 그는 요한복음을 철학적 이성으로 주석하고 있다. 그는 신·구약 성경의 말씀이 철학, 자연, 기술(예술) 영역 전반에 걸쳐 두루 통용되는 보편적 진리라는 확신에서 출발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의 몸통은 위의 논의에 따라 ⓵ M. 에크하르트가 『요한복음 주석』 N. 28– 51에서 잣대로 삼고 있는 철학 이론은 무엇인가? ⓶ 『요한복음 주석』의 N. 28– 39에 나오는 시원론 제1부 ⓷ 『요한복음 주석』의 N. 40–50에 나오는 시원론 제2부 ⓸ ‘시원 안에 말씀이 계셨다.’는 구절의 도덕적 의미, 그리고 시원과 영혼의 근저 등으로 전개된다. M. Eckhart interprets the phrases in the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as follows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and the Word was with God, and the Word was God. He was in the beginning with God.”』 in N. 28-51 of his 『The Commentary on John』 with philosophy and arguments on nature and technique(art). The Beginning means the first cause of all things. This first cause is also called the essential cause or the essential principle. His theory of the Beginning is the arguments on the univocal relation between bearing Father and born Son. Father and Son is divided in person because one bears and the other is born. But both is all the same in the substance. So his theory of the Beginning is the theory of the immanent trinity(immanente Trinitätslehre) which deals with the divine emanation and the division between Father and Son. Wheres the theory of the immanent trinity is the arguments on the continual generation before the creation in the region of the eternity, the theory of the economical trinity(ökonomische Trinitätslehre) is related with the time after the creation. M. Eckhart divides between the eternity before creation and time after creation strictly. we can’t understand his thoughts rightly untill we accept this division. Human beings can remain in the region of the eternity or in the region of the time. His theory of the detachment(Abgeschiedenheit) means that we can be suddenly freed from the region of the time and move into the region of the eternity without any medium. This is his theory of the breakthrough into Godhead. In this place, God gives birth to his Son in the ground of human being’s soul. In the generation occurring in the immanent trinity, Son totally accepts all of Father’s. So Son become all the same with his Father. As the same, if man be detached from all, he can also accept all of Father’s and be all the same with Father. This is the fundamental themes of his german sermons. His themes of the german sermons is based on the theory of the Beginning in N. 28-51 of his 『The Commentary on John』. The main them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① what is his philosophy here used as the means to interpret N. 28-51? ② The first part of his theory of the Beginning(N. 28-39). ③ The second part of his theory of the Beginning(N. 40-50). ④ The moral meanings of the phrase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ground of human soul.

      • KCI등재

        동양사상에서의 물에 대한 관점과 한강의 시원에 관한 전통인식 고찰 1 : 도가와 유교사상을 중심으로

        염중섭(Youm Jung-seop)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6 No.4

        한강의 시원과 관련하여 조선조까지는 강원도 오대산의 于筒水와 金剛淵으로 인식되던 것이 현대적인 원거리 개념이 대두되면서 시원지에 대한 문제가 파생하게 된다. 우리의 선조들이 지리학적으로 한강의 시원을 비정하려고 했던 상황에서 오늘날의 관점에서 볼 때, 더욱더 원거리의 장소가 발견되었다면 한강의 시원지가 옮겨지는 것은 타당 하다. 그런데 우리 조상들은 지리학적인 관점과는 논리적인 층차가 다른 시원에 관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즉, 시원에 대한 인식에 상호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어떠한 방식을 통해서 이 문제를 획일화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제의 해법과 관련하여 필자는 먼저 전통적인 한강의 시원인식에 관한 來源을 동양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는 시원인식의 전통관념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인식을 수립하기 위한 배경이 된다. 이를 위하여 중국사상에 있어서는 물과 보다 밀접한 철학적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도가에 관해 고찰한 후, 한강의 시원비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유교적인 관점에 대해서 모색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이를 바탕으로 한강의 시원에 대한 우리의 전통적인 인식과 물에 대한 중국 문화권 최초기의 인식에 관해 정리해 보았다. 이상의 연구접근을 통해서 필자는 전통적인 한강의 시원관념이 동양학적인 내원 속에서 전개된 것으로 충분한 입각점과 전통의 가치를 내포할 수 있다는 점을 보다 분명하게 제시해 보았다. 이는 현대의 서구적인 잣대에 의해서 일방적으로 재단된 한강의 시원에 대하여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타당한 측면이 된다고 하겠다. Until the Choseon Dynasty, the origin of the Han River was thought as the Wutongsu and the Geumgangyeon of Odaesan in Gangwondo. But, as the modern long-distance concept comes up, the problem on the origin occurred again. While our ancestors tried to determine the origin of the Han River geographically, it is appropriate in the modern viewpoint to move up the origin of the Han River if more distant point is discovered. But, our ancestors had the concept on the origin with a different logical layer from the geographical viewpoint. That is, the recognitions on the origin were different with each other. It means that this problem cannot be simplified by one certain method. For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the author wants to consider the root of the traditional concept on the origin of the Han River in the viewpoint of oriental philosophy. It becomes the background to establish more accurate recognition on the traditional concept of origin. For this, the Taoism of China is first studied because it has a close philosophical relation with the water. Then, the Confucian viewpoint is also investigated, for it has a significant role in the determination of origin of the Han River. Next, upon this basis, this paper reviews our traditional recognition on the origin of the Han River and the initial recognition on the water in the Chinese cultural sphere.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has clearly showed that the traditional concept on the origin of the Han River was caused from the oriental root and that it can have the sufficient foundation and the traditional value. It will have an appropriate aspect to refresh our attention about the origin of the Han River, which was unilaterally regulated by the modern western ruler.

      • KCI등재

        한강의 시원 정립에 관한 불교적인 영향 고찰

        염중섭 자현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5 No.-

        본고는 전통적인 한강의 시원인식의 특징에 관해 모색해 본 것이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한강의 시원으로 제기되는 곳인 于筒水와 金剛淵은 공히 文殊聖地인 五臺山 月精寺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우통수에 대한 최초의 기록 역시 월정사와 관련된『三國遺事 에 등장하고 있으며, 금강연과 같은 경우는 명칭에서부터 지극히 불교적이다. 이와 같은 측면은 한강의 시원에 대한 인식 성립에 있어서 불교적인 영향을 인지해 볼 수가 있도록 해 주는 기본적인 측면들이다. 한강의 시원 인식에 있어서의 불교적인 영향을 고찰함에 있어서, 먼저 제Ⅱ장에서는 한강의 전통적인 시원인식에 대한 문헌적인 측면을 정리하였다. 제Ⅱ장을 기초로 제Ⅲ장에서는 우통수와 금강연의 불교적인 관계성을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본 제Ⅲ장에서는 우통수와 금강연의 특수성에 관해서도 정리하였는데, 이는 제Ⅳ장의 아뇩달지와 비교를 시도하기 위한 기본적인 측면이라고 하겠다. 마지막 제Ⅳ장을 통해서 우통수와 금강연에 대한 관점들이 인도 4大 江의 시원지로 인식되는 阿耨達池의 구조와 내용적인 면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해 보았다. 이는 인도 강의 시원인식이 불교를 통해서 우리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해주는 부분이라고 하겠다. 이상의 접근을 통해 우통수와 금강연은 단순히 위치와 명칭에 있어서만 불교적인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 그 내용적인 부분 역시도 불교와 깊은 상관관계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해 보았다. 이는 앞으로의 한강 시원에 대한 문제에 있어서 불교가 결코 유리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불교는 오랜 세월을 우리민족과 함께하면서 공동의 문화를 형성해 왔다. 이와 같은 측면을 우리는 한강의 시원에 대한 인식에도 불교적인 영향이 녹아 있다는 점을 통해서 다시 한 번 더 확인해 볼 수가 있게 된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ecognition about the origin of the Han River. The traditional origins of the Han River are the Utongsu and the Geumgangyeon, both of which are located in the precinct of Waljeongsa Temple of Odaesan Mt., a Munsu Holy Land. And the first record on the Utongsu comes in the <Samguk Yusa>(Remained History of Three Kingdoms) in relation with the Waljeongsa. The name of the Geumgangyeon is very Buddhist. These are the basic points that we can find the Buddhis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recognition about the origin of the Han River. In consideration of the Buddhist influence on the origin recognition of the Han River, the traditional recognition on the origin of the Han River was first surveyed from the documents in Chapter 2. Based on Chapter II, Chapter III deals with the Buddhist relation between the Utongsu and the Geumgangyeon. Along with it, Chapter III also explain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Utongsu and the Geumgangyeon. It is a basic research to compare them with the Anavatapta in Chapter IV. Finally, Chapter IV deals with the high correlation in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s between the viewpoint on the Utongsu and the Geumgangyeon and that on the Anavatapta which is considered as the origin of 4 great rivers in India. It clearly shows the influence of the Buddhist recognition about the Indian rivers on our society. Through this approach, it was explained that the Utongsu and the Geumgangyeon were deeply influenced by the Buddhism not only in their names but also in their contents. It means that the Buddhism cannot be alienated from the problem about the origin of the Han River. The Buddhism has formed the common culture along with our people for a long time. It can be confirmed once again through this that the Buddhist influence is melted in our recognition on the origin of the Han River.

      • KCI등재

        동양사상에서의 물에 대한 관점과 한강의 시원에 관한 전통인식 고찰 II

        염중섭(Youm, Jung-seop) 대한철학회 2011 哲學硏究 Vol.117 No.-

        전통적으로 한강의 시원으로 인식되던 곳은 牛筒水와 金剛淵이다. 그런데 이는 공히 文殊聖地인 五臺山에 위치하고 있어 우리로 하여금 불교적인 영향의 개연성을 상정케 한다. 즉, 한강의 시원인식에는 불교적인 영향력이 작용하고 있을 수가 있는 것이다. 한강의 시원인식에 대한 불교적인 이해에 있어서 먼저 주목해 볼 수 있는 것은 '불교의 물에 대한 인식'과 '인도문화에서의 강에 대한 시원인식'이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서 우리는 한강의 시원인식에 불교적인 영향이 존재한다면, 그것이 어떠한 입각점에 의해서 존재하게 되는지에 대한 관점을 수립해 보게 된다. 이와 같은 불교와 인도문화적인 관점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필자는 한강의 시원으로 인식되는 우통수와 금강연에 대해서 보다 명확한 정리를 개진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우통수와 금강연에 대한 관념들에 대한 불교와 인도문화적인 영향관계를 파악해 볼 수가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인도문화에 있어서 강의 시원인식과 관련해서 주목되는 것은 아뇩달지이다. 그런데 이러한 阿耨達池에는 8功德水라는 물에 의한 신성성이 기록되어있다. 이는 우통수에 "색과 맛이 보통 물보다 뛰어나고 그 무게 역시 그러하다. ... 한강을 흘러도 색과 맛이 변하지 않는다"는 신성한 특징과 대비될 수 있는 질료적인 신성함이다. 또한 아뇩달지와 우통수에는 최고의 龍王과 神龍이 산다는 용에 의한 상징성이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두 가지 강의 시원인식에서 발견되는 구조적인 유사도는 한강의 시원인식에 있어서 불교적인 영향이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한강의 시원인식은 전통적인 문화배경에 기초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 속에 불교문화가 녹아 있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고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중국문화적인 관점 역시도 존재하고 있다고 하겠다. 즉, 우리의 한강에 대한 전통적인 시원인식에는 인도문화와 중국문화에 의한 다양성과 복합성이 공존하며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Traditionally, the origin of the Han River has been thought as Utongsu(牛筒水) and Geumgangyeon(金剛淵). As both of these places are located in Odaesan(五臺山) the ManjuSri(文殊) Holy Place, we can well assume the possibility of Buddhist influence on them. In the Buddhist understanding on the origin of the Han River, what we should first notice are 'the recognition on the water of Buddhism' and 'the recognition on the river in Indian culture.' With the reviews, we may come to see by what standpoint these could become existed, if there were Buddhist influences on the recognition of Han River's origin. Based on these Buddhist and Indo-cultural view points, the author tries to make more clearly the definition of Utongsu and Geumgangyeon that are recognized as the origin of the Han River. Through it, we can check the relation of Buddhism and Indian culture in their influence on the concepts of Utongsu and Geumgangyeon. In Indian culture, what is noticed in relation with the origin of the river is Anavatapta, in which the sacredness of the water named the 8 virtuous waters is recorded. It is the materialistic sacredness which can be compared with the sacred feature of Utongsu that "its color and taste are far greater than other waters, and so is its weight. ... Its color and taste do not change even after it flows into the Han River." Furthermore, both of Anavatapta and Utongsu have the same symbolism of dragon that the highest dragon king and a divine dragon were told to live in respective lakes. This similar structure found in the recognition of two rivers' origin may become an evidence of Buddhist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the Han River's origin. The recognition of the Han River's origin is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it may be natural that there is the Buddhist culture in it. At the same time, some viewpoints of Chinese culture can be found in it. So, the traditional recognition on the Han River's origin comprises diversity and complexity of Indian and Chinese cultures together.

      • 헤겔의 시원론(始原論)과 주희(朱熹)의 태극론(太極論)에 관한 비교연구 -존재론적 관점의 차이를 중심으로-

        권기환 ( Kwon Ki-wha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존재론 연구 Vol.32 No.-

        이 글은 헤겔의 시원론과 주희의 태극론을 비교함으로써 존재론적 관점의 차이를 밝히는 데에 있다. 존재의 구조와 근거를 밝히는 이론으로서 존재론은 헤겔과 주희에 있어서도 각각의 철학체계를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이다. 헤겔의 시원론은 순수 존재의 이중적 구조를 통해 시원을 이루고 있는 것과 시원 자체가 구분되는 데에서 출발한다. 만일 시원을 이루고 있는 것이 존재와 무라면, 시원 자체는 존재와 무를 모두 포함하는 순수 존재 자체라고 이해된다. 그러나 시원 자체는 후진적 근거짓기를 통해 차후적으로 존재하는 제3의 존재, 즉 비존재다. 이것은 무전제적, 무규정적 존재로서 모든 규정성으로부터 벗어난 순수 형식을 지닌 존재 자체다. 이와 반대로 주희의 태극론은 처음부터 존재의 근거와 만물의 근원을 본체론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우주 생성론으로부터 벗어난다. 주희는 형이상자와 형이하자를 구분함으로써 형이하자인 음양의 근거를 형이상자인 태극으로 설명한다. 그런데 현상계의 만물이 리와 기를 서로 뒤섞일 수 없지만 그렇다고 서로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주희의 철학체계는 리기이원론적 리론이다. 결론적으로 헤겔의 시원론과 주희의 태극론의 관계에서는 존재론적 관점의 차이가 존재한다. 헤겔의 철학은 순수 사유와 순수 존재가 일치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순수 사유의 체계인 논리학을 통해 형이상학을 해명하는데 있다. 헤겔의 시원론은 단초로부터 종결에 이르는 과정을 변증법적 운동을 통해 진리를 획득하는 이론이다. 이와 반대로 주희의 태극론은 우주생성론이 아니기 때문에, 본체론에 상응한다. 여기에서는 헤겔처럼 순수 사유의 차원이 아니라, 오히려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통합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것은 우주 및 자연의 이치와 인간의 가치가 서로 연관된다는 것을 뜻한다. Die vorlieg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r Differenz des ontologischen Ge sichtspunktes, indem sie die Theorie des Anfangs des Hegels einen Vergleich mit der des T‘ai-Chi Chu Hsiss anstellt. Die Ontologie als eine Lehre von Struktur und Grund des Seins ist eine nötige Theorie bei Hegel und Chu Hsi, um jedes philosophisches System zur Vollendung zu bringen. Die Theorie des Anfangs Hegels geht davon aus, dass das, was den Anfang macht, von Anfang selber unterschieden ist. Wenn das, was einen Anfang macht, Sein und Nichts ist, ist Anfang selber als reines Sein selbst. welches Sein und Nichts enthält, zu verstehen. Aber Anfang selber ist das dritte Sein, welches durch die zuruckgehende Begrundung nachfolgend vorhanden ist, d. h. Nichtsein. Dies ist Sein an sich, wel ches sich aus aller Bestimmtheiten herauszieht und reine Form hat, als ein unvorrausgesetztes, unbestimmtes Sein. Indem die Theorie des T‘ai-Chises Chu Hsiss dahingegen von Anfang den Seinsgrund und Universumsursprung ousiologisch rekonstruiert, zieht sich von der Kosmogonie oder Kosmologie heraus. In dem Chu Hsi das Metaphisches von Physisches unterscheidet, stellt den Grund fur Yun-Yang, nämlich das Physisches durch T‘ai-Chi, das Metaphysisches dar. Weil doch das Universum der Erscheinungswelt weder Li mit Ki mischen kann, noch Li von Ki untrennbar ist, heisst das philosophische System die Li-Ki-dual istische Li-Lehre. Zum Schuss besteht die Differenz des ontologischen Gesichts punktes im Verhältnis von der Theorie des Anfangs Hegels und T’ai-Chis Chu Hsiss. Die Philosophie Hegels geht von einer Voraussetzung aus, dass reines Denken mit reinem Sein vereinigt, und besteht darin, die Metaphysik durch die Logik, die das System des reinen Denkens heisst, zu darstellen. Die Theorie des Anfangs bei Hegel hat einen Prozess, der von ein em Ansatz bis zum Ende gelangt, und die Lehre, die zugleich durch die dialektische Bewegung Wahrheit bekommt, Weil dahingegen die Theorie des T‘ai-Chi Chu Hsis keine Kosmogonie oder Kosmologie ist, entspricht solche Theorie der Ousiologie. Hier wie Hegel die Dimension des reinen Seins nicht ist, sondern ist die organische Vereinig ung von dem Mensch und der Natur gewichtig. Also bedeutet dies, dass das Gesetz von Universum und Natur sich zu Geltung des Menschen verhält.

      • KCI등재

        헤겔의 始原論과 朱熹의 太極論에 관한 비교연구-존재론적 관점의 차이를 중심으로-

        권기환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2

        Die vorlieg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r Differenz des ontologischen Ge sichtspunktes, indem sie die Theorie des Anfangs des Hegels einen Vergleich mit der des T‘ai-Chi Chu Hsiss anstellt. Die Ontologie als eine Lehre von Struktur und Grund des Seins ist eine nötige Theorie bei Hegel und Chu Hsi, um jedes philosophisches System zur Vollendung zu bringen. Die Theorie des Anfangs Hegels geht davon aus, dass das, was den Anfang macht, von Anfang selber unterschieden ist. Wenn das, was einen Anfang macht,Sein und Nichts ist, ist Anfang selber als reines Sein selbst. welches Sein und Nichts enthält, zu verstehen. Aber Anfang selber ist das dritte Sein, welches durch die zurückgehende Begründung nachfolgend vorhanden ist, d. h. Nichtsein. Dies ist Sein an sich, wel ches sich aus aller Bestimmtheiten herauszieht und reine Form hat, als ein unvorrausgesetztes, unbestimmtes Sein. Indem die Theorie des T‘ai-Chises Chu Hsiss dahingegen von Anfang den Seinsgrund und Universumsursprüng ousiologisch rekonstruiert, zieht sich von der Kosmogonie oder Kosmologie heraus. In dem Chu Hsi das Metaphisches von Physisches unterscheidet, stellt den Grund für Yun-Yang, nämlich das Physisches durch T‘ai-Chi, das Metaphysisches dar. Weil doch das Universum der Erscheinungswelt weder Li mit Ki mischen kann, noch Li von Ki untrennbar ist, heisst das philosophische System die Li-Ki-dual istische Li-Lehre. Zum Schuss besteht die Differenz des ontologischen Gesichts punktes im Verhältnis von der Theorie des Anfangs Hegels und T’ai-Chis Chu Hsiss. Die Philosophie Hegels geht von einer Voraussetzung aus, dass reines Denken mit reinem Sein vereinigt, und besteht darin,die Metaphysik durch die Logik, die das System des reinen Denkens heisst, zu darstellen. Die Theorie des Anfangs bei Hegel hat einen Prozess, der von ein em Ansatz bis zum Ende gelangt, und die Lehre, die zugleich durch die dialektische Bewegung Wahrheit bekommt,Weil dahingegen die Theorie des T‘ai-Chi Chu Hsis keine Kosmogonie oder Kosmologie ist, entspricht solche Theorie der Ousiologie. Hier wie Hegel die Dimension des reinen Seins nicht ist, sondern ist die organische Vereinig ung von dem Mensch und der Natur gewichtig. Also bedeutet dies, dass das Gesetz von Universum und Natur sich zu Geltung des Menschen verhält. 이 글은 헤겔의 시원론과 주희의 태극론을 비교함으로써 존재론적 관점의 차이를 밝히는 데에 있다. 존재의 구조와 근거를 밝히는 이론으로서 존재론은 헤겔과 주희에 있어서도 각각의 철학체계를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이다. 헤겔의 시원론은 순수 존재의 이중적 구조를 통해 시원을 이루고 있는 것과 시원 자체가 구분되는 데에서 출발한다. 만일 시원을 이루고있는 것이 존재와 무라면, 시원 자체는 존재와 무를 모두 포함하는 순수 존재 자체라고 이해된다. 그러나 시원 자체는 후진적 근거짓기를 통해 차후적으로 존재하는 제3의 존재, 즉 비존재다. 이것은 무전제적, 무규정적 존재로서 모든 규정성으로부터 벗어난 순수 형식을 지닌 존재 자체다. 이와 반대로주희의 태극론은 처음부터 존재의 근거와 만물의 근원을 본체론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우주 생성론으로부터 벗어난다. 주희는 형이상자와 형이하자를구분함으로써 형이하자인 음양의 근거를 형이상자인 태극으로 설명한다. 그런데 현상계의 만물이 리와 기를 서로 뒤섞일 수 없지만 그렇다고 서로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주희의 철학체계는 리기이원론적 리론이다. 결론적으로헤겔의 시원론과 주희의 태극론의 관계에서는 존재론적 관점의 차이가 존재한다. 헤겔의 철학은 순수 사유와 순수 존재가 일치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순수 사유의 체계인 논리학을 통해 형이상학을 해명하는데 있다. 헤겔의시원론은 단초로부터 종결에 이르는 과정을 변증법적 운동을 통해 진리를 획득하는 이론이다. 이와 반대로 주희의 태극론은 우주생성론이 아니기 때문에, 본체론에 상응한다. 여기에서는 헤겔처럼 순수 사유의 차원이 아니라,오히려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통합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것은 우주 및 자연의 이치와 인간의 가치가 서로 연관된다는 것을 뜻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강의 시원으로서 우통수(于筒水)와 김강연(金剛淵)의 타당성 고찰

        염중섭 ( Jung Seop Youm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8

        한강의 시원 문제는 조선이 한양으로 천도하며, 한강의 무게비중이 증대되면서 비롯되는 부분이다. 한강 시원의 명확한 비정은 『世宗實錄』 「地理志」에서 처음으로 확인된다. 實錄에서 비정하고 있는 한강의 시원은 五臺山 西臺의 于筒水이며, 이러한 인식은 조선조를 一貫하는 정설로 자리매김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于筒水라는 명칭이 ``과연 특정장소를 지칭하는 고유명사가 될 수 있느냐`` 하는 문제가 존재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타당성에 관한 문제제기는 우통수의 명칭적인 근원이 되는 『三國遺事』에 ``于筒``이라는 명칭 대신 ``于洞``이라는 측면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우통수에 관한 물의 신비한 특질은 權近의 記文에서 시작되지만, 이는 수정암 승려인 懶菴의 진술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기에는 왜곡과 혼란의 여지가 내포되어 있다. 전통적인 한강 시원에 대한 기록들은 모두 권근의 記文과, 이를 부분 수정하면서 답습하고 있는 실록에 의한 관점을 재생산한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자료들이 비록 다수라고 하더라도 가장 앞선 자료의 기록에 문제가 제기될 때, 전체적인 신뢰문제가 파생할 수 있게 된다. 우통수의 于筒을 본래적인 于洞으로 환원하고, 여기에 한강의 시원과 관련된 ``湧出``과 ``中聆``의 의미를 투사해 볼 경우, 우리는 한강의 시원과 관련하여 우통수보다도 金剛淵이 더 타당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우통수의 명칭은 于洞이, 西臺의 명칭인 水精社와 결부되어 파생된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너무 우통수에 집착하는 것은 오히려 문제의 본질을 오도하는 것이 된다. 한강의 시원인식과 관련된 초기의 자료들인 『삼국유사』와 권근의 記文, 그리고 實錄은 이러한 문제점을 명확히 나타내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자료들의 보다 명확한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우통수의 문제와 금강연의 타당성에 관해서 다시금 인식해 보게 된다. 이는 우리에게 전통적인 한강의 시원과 관련되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고 하겠다. The origin of the Han River became an issue when Joseon Dynasty moved its capital to Hanyang and the gravity of the Han River got increased. The clear statement on the origin of the Han River is first found in <Jiriji(Geographical Record)> of <<Sejong Sillok>>. The origin of the Han River in the record is Utongsu in Seodae of Mt. Odae. This recognition ran through the Joseon as the orthodox theory. But it is noteworthy because there can be raised a question whether the title ``Utongsu`` could be a proper noun for a specific place. This kind of validity problem is caused from the fact that <<Samgukyusa>> which had provided the nominal origin of the Utongsu used ``Udong``(于洞: water of valley) instead of ``Utong``(于筒). Even though the mysterious feature of the water from Utongsu started from Gwongeun`s <Gimun(record)>, it was originated from statement of Naam a monk of Sujeongam. There is a room for distortion and confusion in here. Most of traditional records on the origin of the Han River are just the reproductions of the standpoints in Gwongeun`s <Gimun> and <<Sillok>> which followed it while revising it partially. Therefore, even through such data are numerous, there may happen the reliability problem on the whole when the most advanced record is questioned. When ``Utong`` of Utongsu is restored to ``Udong`` as original and the meanings of ``Yongchul``(gushing out) and ``Jungnyeong`` related with the origin of the Han River are projected to it, we can get the conclusion that Geumgangyeon is more appropriate as the origin of the Han River than Utongsu. The title of Utongsu was just derived from ``Udong`` in connection with Sujeongsa, an alias of Seodae. Therefore, the excessive attachment to Utongsu may distort the essence of the problem. The early materials related with the origin of the Han River such as <<Samgukyusa>>, Gwongeun`s <Gimun> and <<Sillok>> show this problem clearly. Through the scrupulous analysis of such materials, we can recognize the problem of Utongsu and the validity of Geumgangyeon once more. This gives us an important implication related with the traditional origin of the Han River.

      • KCI등재

        동아시아 민족의 백두산 始源 인식 형성과 확산 -清代 滿洲族 社會를 중심으로

        김준영 중국사학회 2023 中國史硏究 Vol.- No.146

        백두산은 만주지역을 터전으로 삼았던 동아시아 여러 민족의 聖山이자 始源 인식이 형성된 상상의 정체성 공간이다. 따라서 백두산은 그 누구의 전유물이 아닌, 동아시아 민족의 평화와 공존의 場으로 삼아야 한다. 그런데 중국은 백두산과 한민족의 연관성은 철저히 배제한 채, ‘長白山文化論(長白山文化建設工程)’을 통해 백두산을 만주족만의 발상지이자 성산(종국에는 중화민족만의 성산)으로 만들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백두산 귀속화 시도에 대해 국내에서는 정부 차원의 대응 및 사회적 관심이 부족하다. 또한 중국에서 핵심 논거로 제기한 만주족의 백두산 始源 인식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만주족 백두산 시원 인식의 형성 및 확산 과정, 이것이 만주족 사회에서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펴보겠다. 먼저 ‘長白山文化論’의 주장과 달리 肅愼系 민족이 모두 백두산에서 발원하였다는 근거는 찾기 어렵다. 만주족 사회에서 백두산 시원 인식이 구체화 된 시기는 강희 연간이다. 가령 강희제는 始祖의 탄생지를 장백산이라고 명문화하였고, 백두산을 ‘장백산신’으로 봉하여 신성화하였다. 이는 아이신 기오로씨의 발상지를 신성화하여 중국 지배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옹정·건륭 연간에는 官方 족보와 『滿洲源流考』 편찬 등을 통해 백두산 시원 인식이 점차 만주족 사회로 확산되었다. 만주인들은 팔기에서의 신분 보장 및 세습직 세습을 위해 청 황실의 백두산 시원 인식을 수용해 족보에 기록하였다. 결과적으로 족보에 백두산을 始源으로 기록한 집단은 모든 만주인이 아닌, 대부분 舊滿州로 분류된 사람들이었다. 또한 구만주인들이 이러한 내용을 족보에 記述 한 이유는 시원지에 대한 고증을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닌, 팔기 사회에서의 정치·경제적 이득 때문이었다.

      • KCI등재

        어문학 : 허학이(許學夷)와 『시원변체(詩源變體)』의 편찬 및 출간 -『시원변체』의 서발문(序跋文) 분석을 중심으로 -

        박정숙 ( Jeong Sook Par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0 No.49

        본고는 명대의 문인 허학이가 누구인지 알아보고, 또 그가 쓴 『시원변체』가 출간되게 된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허학이는 세속적인 출세에 뜻을 버리고 평생 역사서를 정리, 교감하고 또 역대의 시가를 수집하여 그 체재를 분석하는 작업에 매진하였다. 40여년에 걸쳐 12번의 수정을 통해 완성된 책이 바로 『시원변체』이다. 그는 송나라 엄우의 시론을 계승하면서 명대의 여러 시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였다. 특히 원굉도를 중심으로 한 공안파의 시론을 강하게 비판하고, 전후칠자의 복고주의 문학론을 바탕으로 명대 여러 문인의 문학론을 수용함으로써 이른바통변의 문학론을 주장하였다. 『시원변체』는 그가 원고를 다 완성하기도 전에 이미 그 일부분이 필사되어 강남 지역의 여러 문인들 사이에서 유통되고 있었다. 자신의 문학론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도용되고 후세에 잘못 전해질 것을 염려한 허학이의 뜻에 따라 여러 친구들이 돈을 모아 만력 41년에 16권으로 된 초각본을 간행하였다. 그 후 숭정 5년에 최종적으로 수정된 원고가 나왔고, 우여곡절 끝에 숭정 15년에 둘째 사위 진소학에 의해 38권본으로 간행되었다. 이후 청대에 이 책은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가 1922년에 운육령에 의해 취진본으로 간행되었다. 그 후 1987년에 인민출판사에서 교점본을 발행하면서 오늘날 많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This paper has looked who he is, Xuxueyi(許學夷) and has looked at the course published Shiyuanbianti(詩源辯體) by him. Xuxueyi arranged and communicated with the history. And he collected the long line of poetry and strived to analyze the sojourn. He completed the book after 12times edits over 10 years. It is Shiyuanbianti. Shiyuanbianti already was in circulation by many writers in Gang-nam area when he write a manuscript. Since then, Xuxueyi felt concern about piracy of his literary theory and was worried that will be wrongly handed down the generations. Along the way. many his friends gathered money together and published Shiyuanbianti of 16 volumes in Wanli(萬曆) 41. Then, he finally completed it after revisions in Chongzhen(崇禎) 5. Chenshaoxue(陳所學) published the book of 16 volumes after complications - he is Xuxueyi’s son-in-law. It almost completely disappeared in the Qing(淸) Dynasty. It was published again by Yunyuling (운毓齡) in 1921. The published book fastened with glue was made by the Renmin(人民) publisher since. The book began to attract a lot of attention from many researchers since then.

      • 하이데거의 “시원” 개념에 대하여

        최상욱 ( Choi Sang-wook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7 존재론 연구 Vol.15 No.-

        서구 형이상학은 니체와 하이데거에 이르러 심각한 문제에 부딪친다. 그것은 더 이상 형이상학이 존재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이다. 비록 하이데거에 의하면 니체야말로 형이상학의 완성자이지만, 그럼에도 니체가 형이상학의 극복과 새로운 시원을 위해 중요하고 결정적인 인물임은 부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입장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형이상학의 종말에 즈음하여 니체와 하이데거가 보여준 유사점과 상이점을 제시할 것이다. 이런 비교를 통해 기존 형이상학에 대한 그들의 태도뿐 아니라, 새로운 존재론적 시원에 대한 그들의 입장이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도 드러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시원에서 전개되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모습을 하이데거를 통해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왜 하이데거가 제1시원의 경우 알레테이아를, 그리고 제2시원의 경우엔 존재사건을 필요로 하고 강조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근거를 밝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단순히, 하이데거의 존재사적 시원에 대한 이해를 넘어, 현대 한국 사회가 망각하고 있는 “한국적 시원”의 의미가 무엇인지 사유하기를 촉구하는 시도이다. "Der Anfang" ist der wichtige Begriff, um die europaeische Metaphysik zu ueberwinden, welche Heidegger als die Geschichte des Nihilismus, d.h. als die Gechichte der Seinsvergessenheit auffasst. In der Metaphysik ist die Wahrheit des Seins ausgeblieben. Dennoch west das Sein, so sagt Heidegger, als abwesend an. Die abwesend anwesende Lichtung des Seins zu suchen, bedeutet nicht anders als, den urspruenglichen Sinn des Seins anzudenken, welches vergessend verborgen bleibt. Zum Anfang zurueckschreiten heisst aber nicht, rueckwaerts in die primitiv Vergangnenen gehen. Vielmehr soll der Schritt zurueck zum ersten Anfang eine Auseinandersetzung mit dem zweiten zukuenftigen Anfang sein. Durch diese Auseinandersetzung koennte die "unerschlossene Fuelle des Ungeheueren" des Anfangs wieder als das eigene Sein des modernen Daseins erfahren werden. Das eigne Sein des Anfangs erfahren ist aber nur moeglich, wenn das eigene anfaengliche Sein als Ereignis sich ereignet. Die Aufgabe der zukuenftige Daseins liegt also, ob das Dasein das Gabe der Ereignisses moegend als sein Eigenes behalten koenn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