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산위의 식사에 담긴 성만찬적 함의들 - 요한복음 6장과 초기교회 성만찬 문서들을 중심으로-

        이어진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성만찬 예전은 말씀의 예전과 함께 예배를 구성하는 핵심적 요소이다. 성만찬은 예수의 십자가 사건에 대한 기념일뿐만 아니라, 성부 하나님께 대한 감사와 성령 임재의 자리이다. 또한 성만찬에서 하나님의 자녀들은 함께 모여 천국 잔치를 미리 맛보며 성도의 친밀한 교제를 경험한다. 한국 교회의 주요 교단들은 각 예배서에 성만찬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반영하면서 예배의 갱신을 위해 노력해왔다. 그러나 예배서가 보여준 성만찬 이해들과 지역교회의 실제 예배현장 사이의 간격은 꽤 커 보인다. 어떻게 하면 한국교회의 예배현장 가운데 성만찬의 본래적 가치와 의미들을 충실히 되살려 낼 수 있을까? 본 논문은 이 물음에서 출발한다. 본 논문은 하나의 대안으로 동산 위의 식사에 담긴 성만찬적 함의들을 제시한다. 연구의 주요 대상은 동산 위의 식사와 관련된 요한복음 6장과 초기교회의 성만찬 문헌들이다. 동산 위 식사에서 부각되는 산 위에 흩어진 빵조각의 이미지는 초기교회 성만찬에서도 발견되는 교회의 하나됨에 대한 종말론적 열망을 담고 있다. 동산 위의 식사는 소수의 멤버가 아닌 다수의 무리가 참여하는 개방적 공동식사였다. 그곳에서 참여자들은 빵과 물고기로 실제적 식사를 나누었으며, 그리스도의 현재적 임재를 경축하였다. 동산 위 식사의 개방성과 포용성은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에 기초하며, 그것은 죄인을 하나님의 자녀로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The Liturgy of the Eucharist is an essential element of worship along with the Liturgy of the Word. The meanings of the Eucharist include not only Memorial of the event of Jesus’ crucifixion but also Thanksgiving to the Father and Invocation of the Holy Spirit. The Eucharist is a foretaste of the feast of the kingdom of God where children of God enjoy intimate fellowship. Mainline churches in South Korea have tried to renew their worship, with reflecting those eucharistic understandings in their worship books. However, there has been a gap between the eucharistic understandings of the worship books and the actual practice of worship of local churches. How can the churches embody the essential values and meanings of the Eucharist in worship? As an answer to the question, this study finds and suggests eucharistic implications from the meal on the mountain. This study explores John 6 and the early church documents relating to the meal on the mountain. The image of “the bread scattered on the mountain” in John 6 and the early church eucharistic documents has the eschatological desire of the unity of church. The meal on the mountain was an open commensality which welcomed all people regardless of age, sex and race. All participants on the mountain celebrated the real presence of Christ as they ate bread and fish until satisfied. The openness and inclusivity of the meal on the mountain which were based on the grace and love of God were the driving forces of transforming sinners into children of God.

      • KCI등재

        한국개신교에서 종교개혁 성만찬 신학의 의미와 현주소

        황훈식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2

        501년 전, 중세 로마 가톨릭 신앙에 맞선 종교개혁의 물결은 ‘이신칭의’의 새로운 신학적 조명 가운데 기독교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지만, 루터와 츠빙글리, 칼빈의 성만찬 신학은 개신교 갈등과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루터가 주장하는 그리스도의 신 체적 현존과 편재성,츠빙글리가 주장하는 상징설, 칼빈이 말하는 영적 임재설은 개 신교 내에서 각기 자신들의 추종자들과 자신들의 정체성을 위한 도구로 전락되고 말 았다.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일렬의 노력이 시도되었지만, 상이한 성만찬 신학은 합의 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오히려 서로의 한계선을 더욱 명확하게 하는 신조들이 발표되 었다. 이에 반해 한국개신교의 성만찬 신학은 초기 한국선교 때부터 갈등의 요소로 작용 되지 않았다. 이는 성만찬을 중요시하지 않았던 청교도식 예배서 사용과 성만찬에 대 한 목회자와 평신도의 낮은 이해도, 불신자들을 위한 집회방식 예배 등은 성찬 신학 의 활성화를 느리게 한 요인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개신교 초기 문서에 나타난 성만찬 신학은 그리스도의 임재나 편재성에 대한 신학적 해석이 심화되지 않았던 모 습이었다. 현재 한국개신교 각 교단들의 성만찬 신학은 초기 한국개신교의 성찬신학 보다는 더 보완되고 다양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다양한 성찬 신학적 요 소들이 초기 한국개신교의 상황과 같이 각 교파들 간에 갈등과 분열의 모습으로 나타 나지 않았다. 한국개신교 성만찬 신학에서 성찬의 떡과 잔에 관련된 신학적 해석은 미미하였지만, 반가톨릭적 성만찬 신학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성찬의 과거성, 현재성, 미래성의 관점에서 많은 공통분모를 지니며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 한국개신교의 성 만찬 신학의 발전은 종교개혁 개신교 성만찬 신학의 역사와 같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추종자들을 끌어 모으는 수단이 되지 않도록, 그 본질적인 면에서 연합을 이루어 성찬 안에서의 은혜의 풍성함을 경험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501 years ago, the wave of the Reformation against the medieval Roman Catholicism opened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through the new theological illumination of Justification by faith. But the Eucharisitc theology by Martin Luther, Ulrich Zwingli and John Calvin became the cause of conflict and division of Protestantism. The physical presence and ubiquity of Christ in the Eucharist by Luther, the symbolism by Zwingli and the spiritual presence of Christ by Calvin became a tools to create their followers and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lthough there was a series of efforts to overcame this, different Eucharistic theologies did not reach consensus, and rather, only statement clarifying the limits of each other were published. On the contrary, the theology of Eucharist in Korean Protestantism did not act as an element of conflict since the early Korean mission. The use of the Puritan style worship, which did not emphasize the Lord's Supper, and the deficient understanding of the pastor and layman for the Lord's Supper and the Evangelism revival meeting for the unbelievers were factors, that make the activation of sacramental theology slow. And the theology of the Eucharist in the early Protestant church of Korea was a theology that did not intensify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Christ's presence or ubiquity. The theology of Eucharist in Korean Protestantism now has more complementary and diverse elements than those shown in early sacramental theology. However, the various sacramental theological factors did not appear as conflicts and divisions among the various denominations as in the early Korean Protestant church. Although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sacramental bread and cups in Korean Protestant Eucharistic theology is marginal, it is developing with many common denominators in terms of anti-Catholic Eucharistic theology and in the perspective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the future, the theology of Eucharist in Korean Protestantism should move toward experiencing the abundance of grace in the Eucharist over unity in its essential aspect, unlike the history of protestant Eucharistic theology in the Reformation, when it became a mean of establishing one's identity and attracting followers.

      • KCI등재

        성만찬 예전예배에 대한 해석학적 차원에서 디아코니아 의미

        김옥순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8

        오늘날 한국교회는 성례전적인 예배를 하나의 예전의식에 머무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지는 않는가? 특히 개신교의 예전가운데 말씀선포에 집중하는 설교중심의 예배는 종교적인 말씀행위와 예전행위로 제약시키고 있지는 않는가? 그러나 분명한 것은 예배 시에 선포되는 말씀은 듣는 자들로 하여금 순종의 행동을 요구한다. 하나님 말씀에 대한 순종은 그리스도의 사랑으로부터 나오는 신앙인의 총체적인 봉사의 삶을 사는 것이다. 성서가 증언하는 주님 예수께서 제정하신 성만찬에 대해 예루살렘 원시기독교공동체전승은 “빵을 자르는 것”으로 예수가 생전에 굶주린 자들을 먹이신 것과 연결시켰으며, 바울전승은 주님의 만찬은 죽은 자를 기념하는 식사의 전통과 관련을 시켰다. 이와 같은 빵과 포도주의 성만찬적인 의미는 식탁에서 섬기는 자로서 최후의 희생죽음으로 구원을 이루신 예수그리스도를 회상할 뿐만 아니라, 하나님나라의 언약의 백성으로서 그리스도가 세우신 언약의 법에 참여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리스도가 세운 새 언약의 법은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을 이 세상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성만찬의 '빵과 포도주' 요소로부터 나오는 성만찬적 예배는 그리스도의 몸 사상에 기초하는 사회적인 연관성을 가진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는 항상 본질적으로 인간 사이에 관계하는 사회적인 요소를 가진다. 이러한 사회적 요소가 다양한 성만찬예전 전승 속에서 가난한 자들이 공동체식사에서 먹여지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그리고 이는 예수가 살아생전에 가난한 자들을 먹여주신 예수의 디아코니아에 근거한 것이다. 원시 예루살렘공동체의 성만찬예배는 가난한자와 부유한 자가 서로 물질을 함께 나눔으로 경제적인 평등을 실천하였다. 이렇듯 주님의 만찬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사랑으로 더불어 사는 공동체적인 삶에 대한 예전적인 행동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원시기독교의 만찬은 먹을 것과 마실 것을 가지고 식탁을 제공하는 것에 있었으며, 이는 성만찬적인 전승이 단순한 예식적인 행위보다 더 많은 것을 포함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빵과 포도주의 성만찬제정이 단지 예식-의식에 머무는 것을 극복시켜주며, 이러한 성만찬적 예배가 가지는 본연의 의미는 교회공동체가 성만찬 속에서 섬기시는 예수에 상응하는 교회공동체의 디아코니아 삶을 촉구하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몸과 피에 참여하는 자들의 예배는 세속화된 개인주의 신앙을 제거시켜주며, 신앙의 공동체성을 강화시켜준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성만찬적 교회공동체는 예배-종교적인 공동체로서 사회적인 영역을 도외시할 수 없다. 따라서 성만찬적 예배공동체는 종교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존재가 되어야한다. 주님의 성만찬제정의 말씀은 그리스도의 섬김에 상응하는 이웃에 대한 돌봄을 통해서 그리스도의 현존이 영향력 있게 증명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주님이 제정하신 그리스도중심의 새 언약은 교회공동체로 하여금 새 계명에 기초하는 사랑의 공동체로서 디아코니아공동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Do the comtemporary churches in korea consider eucharistic worship only as liturgical cult and not as christian doing and performing? Is it the case that most protestant church services concentrate on preaching and holding sermons and that these are all too often restricted on oratory and liturgical performance? It seems obvious that the preaching of God's word requires believers willing to act according to God's will. Obedience of christian believers means that they are ready to devote their lives to serving other peopl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Jesus Christ's love. The Last Supper as described in the Bible connected the breaking of the bred by Jesus and Jesus' doing when he fed the poor and the hungry with the tradition of the original Christian community in Jerusalem. In the paulinan tradition the Last Supper reminded the congregation of Jesus' self sacrifice. This Last Supper with bred and wine has two meanings. On the one hand it means recollection of the death of Jesus Christ who served as diakonos at the table and as redeemer of the world. On the other hand it means that the believers participate in the promise given by Jesus Christ that we are inheritors of the Kingdom of God. The new law promised by Jesus announces that a new law must be realized in the society demanding that all people love each other. Above all this includes eucharistic worship with bred and wine. This means that Christians must live in community with the body of Christ. The church representing the body of Christ contains the elements of society. These elements of society show clearly that the hungry are fed by the church community as a consequence of many eucharistic traditions. This is based on diakonia as practised by Jesus himself when he was still alive and when he saw to it that the hungry were really fed. The eucharistic tradition in the Christian community at Jerusalem also practised sharing of goods among the rich and the poor in the community. The Last Supper place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liturgical practice as a means to creating new mutual life representing God's love. The eucharistic tradition contains more than just liturgical cult which means that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served full meals and beverages. Therefore the Eucharist with bred and wine overvomes mere oratory and liturgical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 Christian community follows the diaconical example given by Jesus Christ. Those people taking part in the Eucharist get rid of secular egotistic beliefs that reinforce common beliefs. The eucharistic Church must not neglect the social field as religious community. Therefore the eucharistic community must carry the religious function and the social function. The Last Supper founded by Jesus must be proved by helping one's neighbors thus putting to work one's faith in the appearance of Christ. Consequently the new christo-centric promise given by Jesus makes the Christian community a loving diaconical community based on Jesus' new law.

      • KCI등재

        성만찬의 기원에 대한 연구 - 마지막 만찬에서 예수의 식사로 -

        이어진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6

        19세기 중반이후 계속되었던 초기교회 문서들의 발견 및 출간은 학자들로 하여금 초기교회의 예배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성만찬의 기원에 대한 연구를 확장시켰다. 또한 예배회복운동과 교회일치운동은 성만찬 기원에 대한 연구를 더욱 활발히 일어나게 만들어준 시대적 배경이 되어주었다. 초기교회의 성만찬은 신학, 내용, 형식에 있어서 다양성을 그 특징으로 지니고 있었다. 성만찬의 기원을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이 다양성에 대한 해석은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나뉘었다. 먼저 전통적 신학자들은 성만찬이 마지막 만찬에서 비롯되었다는 학문적 전제에 대한 강한 확신을 갖고 있었다. 그 확신은 그들로 하여금 공관복음서와 고린도전서 11장에 기록된 마지막 만찬 기사에서 성만찬의 원형을 찾도록 인도하였다. 그렇게 마련된 성만찬 원형의 틀에 부합하지 않는 초기교회의 식사 행위들에 대해 그들은 성만찬이 아닌 아가페, 이단적 성만찬, 또는 지역교회의 잘못 시행된 성만찬으로 인식하였다. 하지만 최근 20여 년 동안 진행된 성만찬 기원에 대한 연구들은 초기교회 성만찬의 다양성에 대해 보다 객관적이고 학문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 연구들은 마지막 만찬의 표지들을 담고 있지 않은 초기교회의 식사 전통들이 성만찬이었으며, 그 기원은 예수의 식사 행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음을 논증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전통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성만찬의 기원에 대한 연구들과 최근 20여 년간 강력하게 제기된 성만찬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관점들을 정리하고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본 논문은 여전히 마지막 만찬 일변도인 한국교회 성만찬 신학의 확장과 실제적 갱신을 모색하려 한다. The great discovery and publishment of the early church documents in the nineteenth century enabled scholars to broaden their appreciation of the early church worship and observe more closely the origin of the eucharist. The liturgical movement and the ecumenical movemen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research on the studies of the origin of the eucharist. The eucharist of the early church could be characterized by the diversity in theology and practice. There have been two major trends in scholars studying the origin of the eucharist. Some scholars based on the traditional eucharistic understanding believed that the eucharist was originated from the last supper. That belief made them try to reconstruct the prototype of the eucharist through finding something in common in the so-called last supper stories (Matthew 26; Mark 14; Luke 22; 1 Corinthians 11). They recognized the early church meal practices which were inconsistent with the prototype as an agape, a heretic meal practice, or a eucharist conducted in a wrong way by a minor local church. However, in the past two decades the traditional eucharistic understanding has been challenged by a new approach. This new approach attempts to analyze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the diversity of the eucharist of the early church. Based on the new approach, scholars prove that the varied meal practices of the early church, in spite of having few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last supper, were the eucharist and deeply related to the meal practices of Jesus. This article will study traditional point of view of the origin of the eucharist and new attempts in the past two decades to rethink the eucharistic diversity of the early church and the meals of Jesus. Lastly, this article will explore a way of renewing the eucharistic theology and practice of Korean church through the new perspective on the origin of the eucharist.

      • KCI등재

        디다케 9-10장의 성만찬 연구

        이어진(LEE Eoji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2

        디다케 9-10장이 일반적 식사를 위한 아가페였는지 아니면 정규적으로 치러진 성만찬이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어왔다. 본 논문은 디다케를 포함한 초기교회 문헌들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디다케에 기술된 식사행위의 성격을 규정할 것이다. 전통적 성만찬신학의 관점에서, 잔이 먼저 나오는 배찬 순서, 제정기사의 부재, 배불리 먹는 식사행위를 담고 있는 디다케의 식사행위는 성만찬이 아닌 아가페였다. 그러나 초기교회의 문헌들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디다케에 대한 전통적 인식에 도전하면서 디다케의 성만찬적 증거들을 제시한다. 초기교회는 잔-빵의 형태에서 벗어난 매우 다양한 순서와 재료들로 성만찬을 시행했다. 성만찬에 제정기사를 결부시키는 흐름은 3세기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또한 배불리 먹는 식사를 포함한 종교적 식사행위는 1-2세기 교회의 성만찬에서 쉽게 발견되는 성만찬의 대표적 표지이다. 이러한 문헌적 증거들과 함께 디다케 본문 자체도 9-10장이 성만찬이었음을 스스로 증명한다. 첫째, 디다케 구조상 9-10장에 성만찬이 들어가는 것이 매우 자연스럽다. 둘째, 성만찬이 시작되는 본문 첫 구절인 9:1은 ‘성만찬’(εὐχαριστία)이라는 용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셋째, 세례자만이 예전에 참여할 수 있다는 디다케 9:5과 거룩한 자에 대한 초청이 담긴 10:6은 명백한 성만찬 규정으로 볼 수 있다. 디다케가 가진 성만찬으로서의 증거들은 오늘의 성만찬 현장에 도전임과 동시에 갱신을 위한 기회이다. 역사적 예수에 가장 가까이 닿아있던 초기교회는 성만찬을 다양한 방식과 재료들을 통해 발전시켰다. 초기교회는 성만찬에서 부활의 주님과 그분의 임재를 경축했다. 디다케가 증언하는 이러한 성만찬의 특성들은 현대 교회가 성만찬에서 숙고하고 적용해야 할 귀중한 유산임에 틀림없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 meal practice in the Didache 9-10. The traditional eucharistic theology viewed these chapters as an agape, not the eucharist, because the chapters include the cup and then bread configuration, an absence of the words of institution, and a full meal. However, recent studies challenge the traditional recognition and present evidence that the Didache is the eucharist. The early churches celebrated the eucharist in various patterns and elements. The words of institution did not exist in the early church documents before the third century. A full meal was an essential part of the eucharist of the early church. Furthermore, the Didache 9-10 demonstrates that the meal practice was the eucharist. Firstly, in terms of structure, it seems reasonable that the eucharist is located in chapters 9 and 10. Secondly, 9:1 uses the greek term εὐχαριστία which can be translated into the eucharist. Thirdly, 9:5 and 10:6 seem to be obviously related to the eucharist. The recognition of the Didache as the eucharist is not only a challenge to the traditional eucharistic theology but also an opportunity for the renewal of the eucharist. The early church which is the closest to the historical Jesus practiced the eucharist with varied elements in various ways. The early church celebrated the risen Lord and experienced the presence of Christ. These eucharistic characteristics of the Didache are a precious legacy from the past which we have to reflect and apply to the eucharist today.

      • KCI등재

        코로나 시대와 성만찬: 웨슬리의 성만찬 이해를 통한 교회론적 조언의 모색

        박영범 ( Park¸ Young Bum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1 영산신학저널 Vol.- No.58

        교회의 표지는 “말씀의 순수한 가르침”(evangelium pure docetur)과 “올바른 성례전의 집행”(recte administrantur sacramenta)이다. 또한 교회는 예배(Leiturgia), 증인됨(Martyria), 섬김(Diakonia)과 함께 사귐(koinonia)을 본질적인 기능으로 한다. 이 모든 것은 전통적으로 대면적 만남이라는 공간에서 실현되었다. 그러나 비대면적 만남이 일상이 된 오늘날은 교회의 본질적 특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여전히 뜨거운 논쟁이 되는 교회론적 주제가 있다. 바로 성만찬에 관한 논쟁이다. 즉, 사회적 거리두기와 이른바 언택트의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 교회는 성만찬에 직접 참여해야 하는가? 혹은 온라인을 통한 성만찬은 가능한가? 특히 이런 상황에서 교회는 성만찬의 본래적 의미를 어떻게 계속 보존할 수 있는가? 이제 교회는 성만찬에 대한 진지한 신학적 논의를 시작해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 본 논문은 오늘날 성만찬에 관한 교회의 질문에 교회론적 조언을 모색하려는 동기를 갖는다. 먼저, 교회의 현실적 질문으로 다가온 성만찬을 주목한다. 그리고 성만찬의 비대면적 집행에 대한 단순한 찬반의 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 성만찬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 의미와 함께 전통적인 논쟁점을 간략하게 연구사적 측면에서 정리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교회를 향한 질문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낼 것이며, 조언으로서 웨슬리의 성만찬 이해의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본다. 그리고 오늘날 비대면 언택트 시대를 살아가는 교회가 성만찬에 대한 웨슬리적 원칙을 보존해야 함과 더 나아가 성만찬에 관한 교회적 질문의 전환이 필요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Churches are certified as being authentic by two essential marks of the true church: “evangelium pure docetur et recte administrantur sacramenta (the Gospel is preached in purity and the holy sacraments are administered).” These marks are inseparably concerned with the key functions of the true church such as worship (leiturgia), witness (martyria), service (diakonia), and community (koinonia). All these functions have been realized through congregational gathering. Today, however, new interpretations o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Church are required due to the prevailing contactless communication in daily lives. Accordingly, the Lord’s Supper has become one of the most keenly debated issues in churches. How can the church preserve the original meaning of the Lord’s Supper and, as it were, reinterpret it for the church? The church has now reached a point where it must begin a serious theological discussion of the Lord’s Supper. This study is aimed at offering ecclesiological insights into the Lord’s Supper in today’s peculiar situation. First, the issue of the Lord’s Supper will be discussed as a practical question for the church. And in order to overcome the simple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 contactless execution of the Lord’s Supper, the traditional views of its core meanings will be briefly examined. This will clarify the questions for today’s churches. Meanwhile, some features of Wesley’s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will be taken into account. And finally, this study will assert that the church, which faces the challenge of contactless interactions, should preserve Wesley’s principle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and that it is also necessary to deepen the church’s question about the Lord’s Supper.

      • KCI등재

        유물론적 신학과 성만찬 - 슬라보이 지젝과 BME문서를 중심으로 -

        이찬석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5

        세계적인 철학자이면서 문화비평가이고, 실천 이론가인 슬라보이 지젝(Slavoj Zizek)은 스스로를 무신론자로 자처하면서도 기독교를 해석하고 있다. 그것도 유물론적으로 기독교를 해석한다. 그는 “기독교의 전복적 핵심은 오로지 유물론적 접근을 통해서만 이해할 수 있으며, 역으로 진정한 변증법적 유물론자가 되기 위해서는 기독교적 경험을 거쳐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기독교와 유물론의 밀접한 관련성을 지적한다. 기독교의 성례전 중에서 가장 유물론적인 것은 성만찬이다. 세례가 ‘물’이라는 물질을 사용함으로 유물론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지만, 세례에서 물은 인간의 외부에서만 작용하지만, 성만찬에서 떡과 포도주라는 물질은 인간이 외부와 내부에서 작용한다. 기독교에 대한 유물론적 해석을 시도하는 지젝은 성만찬에 대하여 ‘불사의 실체’라면서 혹독한 비판을 한다.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여기에서 출발한다. 본 논문은 지젝의 기독교적 해석과 WCC 에큐메니칼 문서인 BEM에 나타난 성만찬을 중심으로 유물론적 신학과 성만찬의 대화를 통하여 기독교에서 가장 유물론적 성례전인 성만찬을 성찰하여 보려고 한다. 자본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맘몬의 유혹으로부터 벗어나는 길은 험난하게만 느껴지고 유물론적 삶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는 것은 유토피아처럼 느껴진다. 그러기에 지젝의 유물론적 신학은 이 시대의 기독교인들에게 유혹적이다. 유물론적 시대에 성만찬이 지니고 있는 영성과 물성의 공존의 측면, 신성과 물성이 공존하는 측면은 늘 새롭고 적합하게 해석되어져야 한다. 더 나아가서 기독교는 유물론 시대에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유물론적 세계관을 흡수하고, 기독교적 세계관을 형성시키고 확산시켜 나가기 위해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점을 제시하려고 한다. 기독교 신학은 성만찬 신학에 성육신적 요소를 첨가하고, 성만찬을 통하여 ‘없이 계신 하나님’을 삼위일체적으로 고백하고, 성만찬에서 계시와 현존의 차원만이 아니라 ‘선취’의 차원을 더 강조하고, 성만찬에 대하여 희생적 독해와 참여적 독해를 동시적으로 수행함으로 유물론 시대에 적합하면서도 유물론적 세계관을 극복하는 신앙과 신학을 창출하여 나가야 한다. Slavoj Zizek as a philosopher, cultural critic, and practical theorist insists that the subversive core of Christianity can be understood only by materialistic method, Furthermore, he insists that one should go through Christian experience in order to be a dialectical materialist. This claim can be said as a dangerous and defiant thinking for Christian theology because Christian faith and materialism are poles apart in Christian tradition. Among Christian sacraments, eucharist is more material than baptism because christians eat substances, bread and wine, in cerebrating the eucharist. Even though Zizek thinks of himself a merial theologian, he comments on eucharist very negatively. He thinks of the eucharist as an immortal substance. This conflict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article. Among materialistic theologys, this article focuses on Zizek's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and among many eucharistic theologies, this article focuses on BEM document, which regards as the most ecumenical eucharist. Zizek's materialistic interpretation on incarnation undergird his materialistic theology. Therefore, firstly, this article articulates relationship between incarnation and eucharist. furthermore, this article suggests 'God existing without' as a appropriate God for Asian and Korean eucharist. Secondly, this article will articulate revelatory dimension and proleptic dimension in the eucharist because Zizek regards Christianity as the revelatory religion rather than a proleptic religion. Lastly, this article will insists that eucharist should emphasize and develop sacrificial aspect as well as participating aspect because Zizek concentrates on the participating aspect of Jesus's death.

      • KCI등재

        청소년 교육에 있어서 성만찬의 역할에 관한 연구

        조용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30 No.-

        Communion in the early church meant joyful thanksgiving, commemoration,fellowship, sacrifice, Christ’s presence, the work of the Holy Spirit,and the final achievement of all thing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way we as a Church practice Communion today. First of all, it is rare for youth to join Communion, because students who attended a service for youth don’t attend the service for adults in which communion is administered. Secondly, the conduct of Communion varies according to different denominational practices. Every denomination has different rules about how old a person must be in order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a Communion service. This has created some confusion amongst ministers as to what the proper practices of Communion should be. The same is true of missionaries when they conduct Communion. I have research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Communion participation for youth groups, and believe the above issues can be overcome by; joy,journey, fellowship, attentive Communication, equality, and reconciliation. I would like to propose how Communion can become a regular and practical experience for youth group members. First, we should try to keep a balance between sermon and Communion. We need to conduct Communion at youth group services and retreats so that young people have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Communion. Secondly, we should apply a unified ceremony of 「education-baptismconfirmation-Communion as community celebrations」like the early Church. Thirdly, the denomin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has a law that the earliest a person can become a church member and participate in Communion, is at the age of fifteen. We need to adjust the confirmation age, or start confirmation class when people are elementary school age. This is also when we need to start teaching the meaning of Communion. Finally, even though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does not conduct baptism for children, it goes on smoothly for the first Communion to happen after baptism if we adopt baptism for children. We need an open mind on Communion. We don’t have to be afraid of change in light of the universal Church. We should understand Communion in the light of God’s mission, and not place too much focus on church tradition or law.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we lead Sunday school student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Communion during worship services,maintaining a good balance between sermon and Communion.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Communion at the mission level. 초대 기독교 공동체에서 성만찬은 기쁨으로 드리는 감사, 회상, 성도의 교제, 희생, 그리스도의 임재, 성령의 역사하심, 그리고 모든 것들의 최종적 성취의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성만찬의 실제에 있어서 문제점을 살펴보면, 먼저 성만찬에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경우는극히 드물다. 청소년부 예배에 참석한 학생들이 장년예배의 성만찬에 참석하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는 교단/교파마다 다른 시행이다. 입교와 성만찬에 참여하는 나이가 교단/교파마다 다르기에 혼선을 빚을 수 있다. 이것은 선교사들의 선교지에서의 성만찬 시행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셋째는 유아세례 받은 청소년들이 언제 성만찬에 참여할 수 있느냐의 문제이다. 초대 기독교 공동체는 「교육-세례-세례 후 확언-공동체 축하의식으로서 성만찬」의 연합된 의식을 행하였다. 브라우닝이나 웨스터호프 같은 학자들이나 세계 개혁교회들에서 세례 후 즉각적인 성만찬 참여라는 하나의 연합된 의식을 주장하고 또 시행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청소년의 성만찬 참여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는데, 기쁨, 여정, 교제, 참여적 커뮤니케이션, 평등과 보편 그리고 화해이다. 청소년 성만찬참여의 실제를 위해서 제안하는 것은 첫째, 말씀과 성만찬의 균형이다. 청소년부 예배 혹은 수련회 때 성만찬을 실시하여 참여의 기회를 늘여가야 한다. 둘째, 초대교회처럼 「교육-세례-입교-성만찬」의 하나의 연합된 의식을 고려할 수 있다. 셋째, 현재 교단/교파마다입교와 성만찬 참여의 나이가 다른데 입교 나이를 초등학생 때로 조정하거나, 초등학교 저학년 때 첫 번째 입교교육을 하고 14∼15세에 입교식을 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첫번째 입교교육할 때 성만찬의 의미에 관해서 교육하고, 교육 후에는 성만찬 참여를 허락할수 있다. 넷째, 예장 통합교단을 포함한 여러 교단에서 아직 시행하고 있지 않은 어린이세례를 도입한다면 세례 후 ‘첫 성만찬’의 연결이 더 원활할 수 있다. 성만찬에 대한 보다 열린 자세가 필요하다. 보편적 교회의 빛 안에서 일치를 위한 변화26 기독교교육논총 제30집를 두려워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성만찬 이해에 있어서 교회의 관심에만 머무르는 것이아니라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선교의 빛 안에서 이해해야 한다. 교회학교 청소년들이 말씀과 성만찬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예배 속에서 성만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것은 다음 세대를 위한 신앙의 대 잇기와 선교적 차원에서 중요하다.

      • KCI등재

        성만찬과 세월호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이찬석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3

        세월호 참사로 인하여 2014년 한국 교회의 부활절은 ‘슬픈 부활절’ ‘아픈 부활절’이 되어 버렸다. 세월호 참사 는 대한민국 근현대사에서 그 이전과 이후를 나누는 결정적 사건 중 하나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고, 이 참 사를 1950년 6. 25 전쟁과 견주어지기도 하고, 1980년 5. 18 광주민주화항쟁과 더불어 이야기하기도 한다. 한 국 역사에 거대한 사건으로 자리 잡은 세월호 참사는 또 다른 참사를 끊어 버리기 위하여 한국 사람들에게 끊 임없이 회상되어져야만 하고, 그 아픔과 고난을 현재화 시켜나가야만 한다. 기독교의 전통에서 회상과 현재화의 대표적인 예전은 성만찬이다. 조상들의 고난을 회상하고, 현재화 시키는 유대교의 유월절과 깊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 기독교의 성만찬을 통하여 기독교인들은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면서 예수의 고난을 회상하고, 예수의 고난에 참여하고, 종말론적으로 완성되어지는 하나님 나라의 식탁 을 미리 맛본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세월호 참사가 품고 있는 뜻들을 성만찬과의 연관 속에서 고찰하여 보려 고 한다. 조직신학자 스탠리 그렌즈(Stanley J. Grenz)는 ‘과거 지향성’ ‘미래 지향성’ 그리고 ‘공동체 지향성’이 라는 세 가지 주제로 성만찬을 설명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성만찬 이해를 중심으로 세월호 참사를 겪으면서 한국인들이 뜨겁게 토해내는 고백들 중에서 “잊지 않겠습니다!”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가만히 있지 않 겠습니다!”를 스탠리 그렌즈의 성만찬 이해와 연관시켜 보려고 한다. 성만찬이 아남네시스를 중심으로 과거 지향성을 지니고 있고, 선취를 중심으로 미래 지향성을 보유하고 있고, 참여를 중심으로 공동체 지향성을 품고 있듯이, 한국의 기독교는 세월호 참사를 과거 지향성, 미래 지향성, 공 동체 지향성을 중심으로 회상, 선취, 참여로 읽어갈 수 있다. 한국 기독교인들은 성만찬에 참여하여 하나의 떡 을 떼면서 그리스도의 고난을 회상하고, 종말론적으로 완성되어질 식탁의 교제를 맛보며, 그리스도와 성도들 과 교제를 나누듯이, 세월호 참사에 공감하는 심정으로 세월호 참사를 위한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희생 당한 생명들과 유가족들의 고난과 아픔을 회상하고, 신자유주의가 유혹하는 맘몬으로부터 해방되어지는 삶을 맛보아야만 한다. 한국 교회는 시간과 상황에 적합하게 예배의 형식과 구조에 변화를 시도하지만, 성만찬에 있어서는 올 곧게 일관된 형식과 구조를 보이고 있다. 세월호 참사의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을 위한 예배가 드려지고 있다. 이러 한 예배에서 성만찬을 행하면서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면서 “잊지 않겠습니다!” “진실은 침몰하지 않습니다 !” “가만히 있지 않겠습니다!”라고 끊임없이 고백해야 한다. The Easter of Korean church in 2014 became a sad easter or a painful easter because of the Seweolho disaster. Some people among Koreans thinks of Seweolho disaster like the Korean War or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order to stop the disaster like Seweolho, Koreans should remember the suffering of the Seweolho, regards the Seweolho disaster as the end of painful disaster. In Christian tradition, the representing liturgy in remembrance is Eucharist which was originated from the Passover in Judaism which is remembering and participating in the suffering of their ancestors. Through the Eucharist, Christian is remembering the death of Jesus, and participating into the suffering of Jesus by taking bread and wine. Therefore, this article tries to artic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weolho disaster and the Lord’s Supper in order to participate into the suffering of Seweolho’s families, and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disaster. Stanley Grenz, who is a systematic theologian, explains the Lord’s Supper as ‘past directivity’, ‘future directivity’, and ‘community directivity.’ I will try to analyze the Seweolho disaster depending on Grenz’s characterizing the Eucharist. In this sense, this article tries to merge systematic theology into liturgy. It is important to merge a subject into other subject because integration is the most important method in the era. The Lord’s Supper has the directivity of past based on anamnesis, that of future based on preoccupancy, and that of community based on participation. Therefore, Korean Christian can read the Seweolho disaster as anamnesis, preoccupation, and participation. As Christian remembers the suffering of Jesus, tastes the eschatological Supper, shares fellowship with Jesus Christ and others through the Eucharist, Korean Christian should participate into revealing the fact of the Seweolho disaster, commemorates the suffering and death of the Seweolho disaster. Korean churches try to change the form and structure of worship, but do not try to change the form of structure of eucharist. The worship for Seweolho is holding. In this service, eucharist should be held in order to remember the suffering of Seweolh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