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전공 대학원생의 색채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중요도, 학습경험, 지도경험을 중심으로 -

        김하영,현은령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4

        연구배경 현재 우리나라 공교육에서 색채교육은 감성적 접근은 미술교과에서, 물리적 접근은 과학교과에서 각각 연관된 부분만 강조하고 있어 색채에 대한 융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부족한 상황이다. 더구나 색채에 관해 배경 지식과 이론적 기초지식 인지 편차가 적은 유·초·중등학교에서는 색채교육의 방향이나 질적 요구수준을 정하여 교육을 진행하는데 비교적 수월하나, 대학 및 대학원의 관련 전공에서는 색채교육에 대한 학습자간 편차가 너무나 다양하게 나타나 교수자의 입장에서 교육계획 및 실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색채교육에 대한 부족 요인과 보완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디자인전공 대학원생의 색채교육에 대한 중요도·학습경험·지도경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관련 기관의 연구보고서, 선행연구 등에 기반 하여 우리나라 색채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2009 및 2015 개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초, 중, 고등학교의 색채교육과 대학, 대학원 수준에서의 색채 교육 사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요내용인 색채교육인식 현황은 2019년 9월부터 10월까지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디자인전공 석사졸업 이상의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색채교육의 중요도, 학습경험, 지도경험 여부를 묻는 기본문항과 추가 설명을 하는 세부 오픈문항 등으로 구성된 총 14개로 이루어진 면접가이드로 인터뷰되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디자인전공 대학원생들의 인터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들은 색은 사물을 인지하는 중요한 요소임과 동시에 모든 사물에서 볼 수 있는 중요한 것이므로, 색에 대한 학습은 매우 중요하다고 보았다. 둘째, 대상자들은 색에 대하여 대학 재학시절 학습한 경험이 있으나, 실기 교육 경험에 대한 수강 경험이 부족하다고 하였다. 색채이론에 대해서는 감성적이고 추상적으로 이해하고 실행되어지는 현행 전공 색채수업이 보다 더 물리적이고 객관적인 색채 이론 수업으로 보완이 되어야 하며, 실기에서는 실무까지 이어지는 색채교육으로 변화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변화를 위해서는 현재의 한 학기(15주차 혹은 16주차)단위로 이루어지는 시수 배정이 부족하며, 개설된 색채교육관련 강좌 또한 컬러리스트 자격증 등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 시험의 틀에 맞춘 규격화된 수업으로 진행됨을 아쉬워했다. 교재 또한 컬러리스트 대비 이론서와 기출문제 해설집으로 치중되어 있어 다양한 관련 문헌의 출판도 필요하다고 보았다. 결론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세상을 바라보는 인간의 감성 형용사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최신 이론과 다양한 실기가 반영된 색채교육으로의 변환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가 이러한 색채교육의 변화 요구의 시점에서 새로운 색채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Currently, Korean color education lacks a convergent and systematic approach to color, as emotional approaches are emphasized only in art subjects and physical approaches are emphasized in science subjects. Moreover, in groups such as preschool,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here there is little deviation in background knowledge and theoretical basic knowledge in color, there is relatively no difficulty in setting the direction or quality demand level of education, but in related majors of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here are so many variations between learners of color educa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professors to plan and implement educ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ims to draw up the deficiencies and complementary factors for color education in our country and suggest systematic ideas to improve them. Methods The problems with color education in our country were grasped based on research reports presented by relevant institutions and earlier studies, and the revised 2009 and 2015 curriculum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state of color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in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To determine awareness of color education that was the major content of the study, 10 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design and art and who acquired a master's or higher degree were investigated in September and October, 2019, using an inventory that consisted of 14 items that included basic items about experience and detailed open-ended ones which called for additional explanations. Resul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considered learning about color very important because color was an integral element to recognize things and because it was an important thing that could be seen in everything at the same time. Second, they had experience of learning about color in college but they told they didn't have enough experience of taking practical courses. Concerning color theories, they pointed out that current major classes which provided an emotional and abstract understanding should be complemented by more physical and objective theoretical classes. In terms of practical education, they commented that existing education should change into the kind of education that could lead to practical work. Finally, they told it's a shame that the number of classes assigned to a semester(15 or 16 weeks) isn't sufficient enough to bring about such a change, and that many existing courses related to color education aim at preparing for certification acquisition such as that of colorist and eventually are standardized to ensure passing exams. In addition, they perceived that the publication of various related literatures is necessary as many textbooks are books on theories required for becoming a colorist and commentary books on past exam questions. Conclusion There are rapid changes in people's emotional adjectives of looking at the world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Accordingly, a shift into color education that reflects advanced theories and involves various practical work is urgently requir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right direction for new color education at this point of time where the change of color education is demanded.

      • KCI등재

        환경색채의 변화를 통해 본 마을 이미지

        손은하(Eun-Ha Son),차철욱(Chul-Wook Cha)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2

        한 지역의 이미지는 외현적인 요소와 더불어 그곳을 경험한 내면적인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그려지는 인상을 말한다. 본 연구는 부산시 사하구 감천2동의 태극(도)마을에 대해, 초기에 ‘태극도’라는 종교로 인해 태동된 마을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해가는 이미지를, 환경 색채와의 관계를 통해 풀어보았다. 초기 마을이 형성되는 시기에 나타난 색채는 블루계열과 에메럴드 그린계열이었다. 이때 출현한 색채 요인을 ‘정서적 요인에 의한 심상 색채’, ‘사회적 요인에 의한 사회적 색채’로 분류했다. 구체적으로는 ‘자연적ㆍ물리적 환경요인’, ‘종교적 환경요인’, ‘제도와 규정에 의한 요인’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초기의 색채가 다양하고 화려하게 변화된 이유를 역사적인 요인과 구성요소의 변화에서 찾아보았다. 다음으로, 마을의 색채 이미지를 주택의 지붕과 벽면의 컬러를 수집하여 분석했다. 분석방법은 ‘하류요시 나구모(Haruyosi Nagumo)’의 ‘컬러 이미지 차트(Color Image Chart)’를 이용하여 만든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것과, ‘IRI색채연구소’의 배색 이미지 공간을 이용하였다. 이 마을의 색채 이미지는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이 혼재해 있고, 강하고 약한 이미지도 함께 존재한다. 형용사적 이미지는 경쾌한, 기운찬, 강한, 다양한 이미지와 자연적인, 친근한, 편안한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는 최근 공공미술에 대해 새로운 색채가 유입하는 것에 대해 논하였다. 한 지역의 환경색채를 계획할 시에는 마을의 역사성과 장소성 그리고 로컬리티에 대해 면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Images in an area can be an impression formed diversely by both extrinsic and intrinsically experienced facto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aegeuk village, Gamcheon 2-dong, Saha-gu, Busan, which was born initially through the religion of Taegeuk-Do. Images of the town changing on time were analyz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lor and the village. The environmental colors, which appeared in the initial period of village formation, were bluish and emerald greenish type. The emerged color factors were divided into either ‘Imaginary Color by emotional causes’ or ‘Social Color by social factors’. In detail, they were investigated as dividing into ‘natural an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relig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system and regulation factors’. Moreover, reasons why the initial colors were diverse and magnificent were described based on the historical factors and the changes in the components. Next, color images of the town were analyzed by collecting colors of roofs and walls in the house. One of the analytical methods was utilizing software prepared by the use of Haruyosi Nagumo’s ‘Color Image Chart’ and the other was making use of a color arrangement of ‘IRI Color Institute’. Old and new color images were mixed up in the town’s color image and so were the strong and weak images, too. It was analyzed that adjective images were light, energetic, strong, and diverse images with connoting intrinsic images of natural, friendly, comfortable images. Lastly, it was looked through how the new colors were made by the recent public arts. When to design environmental colors in an area, its historicity, placeness, and locality should be examined in advance.

      • KCI등재

        서산시 아름다운 거리 조성을 위한 공공환경색채 가이드라인 설정

        박철희(Park Cheol-Hee),임오연(Yim Oh-Yon)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서산시의 중심가로인 중앙로를 대상으로 하여 거리환경의 정체성, 쾌적성, 매력성를 증진시켜, 거리이용자의 만족도 제고와 중심거리의 상권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아름다운 거리환경 조성을 위한 공공환경색채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단계에서 “서산시 대상거리의 현황조사 및 여건분석”으로서 서산시 중앙로에 대한 위치, 주변현황, 형상과 구조, 건축물용도, 층수, 그리고 건축물 및 가로시설물의 현황색채를 조사 분석하였다. 제2단계에서는 “서산의 도시 이미지 평가 및 요소조사”로서 서산 시민과 중앙로 상인을 대상으로 하여 1:1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제3단계에서는 “공공환경색채 가이드라인 설정”에서는 2단계에서 추출된 서산시 상징이미지요소를 모자이크 분석을 실시하여 색채를 추출한 후, 공공환경색채에 사용될 색채를 선정 및 색채사용범위를 설정하였다. 제4단계에서는 “서산시 공공환경색채 가이드라인 설정”으로 3단계에서 설정된 색채사용범위를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색상 및 색조(tone)의 색채범위와 색채일람표(color palette)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산시의 대상거리 건축물의 주조색은 남측과 북측 모두 7.5YR ∼5Y계열의 저∼고명도/중ㆍ저채도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건축물 입면 색채는 건축물이 완공된 시기 및 그 시기에 사용된 재료가 유사하여 비슷한 색채로 이루어져 통일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거리에 설치된 가로시설물은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색채를 사용하여 P계열을 제외한 R∼RP계열의 모든 색채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이는 대상거리에 통일감이 결여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셋째, 대상거리의 건축물 색채는 기존 건축물에서 나타나고 있는 색채와 유사조화를 이루는 Y, YR계열 중ㆍ고명도/저ㆍ중채도의 색채를, 가로시설물의 경우 주조색은 Neutral 계열과 YR계열을, 보조색은 주조색과 유사조화나 무채색조화를 이루는 중명도/저ㆍ중채도의 색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공공환경색채의 가이드라인은 추후 서산시 중앙로의 아름다운 거리 조성을 위하여 기존 건축물의 리모델링 또는 신축건축물, 그리고 가로시설물 설치시 색채의 선정기준시 기준 자료로 제공되어 거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색채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Public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a beautiful street in JoongAng-ro the main street of Seosan, to enhance identity, comfortableness, attractiveness of the street environment, and lead satisfaction to the users and enable to vitalize the business district of the street.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In a first step of the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and Analysis of the Conditions”, the location, environmental condition, shapes and the structures of the street were analyzed. Then the usages and level of buildings were investigated. Finally, current color of buildings and street furniture measured and analyzed. In the second phase of “Image evaluation and the elements study of Seosan”, 1:1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itizens and merchants. In the third step of “Establishment of Public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Guidelines”, symbolic colors were extracted by mosaic analysis of the symbolic images of Seosan extracted in 2nd step, then proper colors were filtered out for public environment color planning and the usage ranges were defined. In the fourth step of “Public Environment Color Planning Guideline of Seosan”, to make concrete guideline, the color usages range defined in 3rd step were classified as color and tone, then presented in color palet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in colors of the target street were appeared as low~high value/mid~low chroma in 7.5YR~5Y-series in both southern and northern side, and showed unity of color, thanks to the similar materials were used in the timing of the construction of those buildings. Secon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treet furniture, different colors, distributed in all colors of R~RP-series, except P-series, have been used and finally concluded in lack of unity of the target street. Third, for the color planning of the target street, mid~high value/low-mid chroma colors in Y and YR-series were proposed for the color of building in which could lead similarity with colors of existing building. For the street furniture, neutral and YR-series colors were recommended to used as main color, and mid value/ low~mid chroma colors were proposed as sub color in which could lead similarity or neutral color harmony with the main color. Public environment color planning guideline presented in this study is highly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remodeling of existing buildings, new building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of street furniture in JoongAng-ro of Seosan in a near future.

      • KCI등재

        지하철 환경색채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오지영(JiYoung Oh)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3

        공공의 다수가 이용하는 환경인 지하철역은 지하공간이라는 환경적 특성상 이용자의 거부감이나 불쾌감이 들지 않아야 하며, 공간의 쾌적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색채를 통한 환경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하철 환경색채는 주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계획되어져 왔으나, 내국인 뿐 만 아니라 점차 증가하는 외국인 및 관광객을 고려할 때, 인간의 감성 및 심리적인면을 고려한 색채계획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오사카, 홍콩 지하철 환승역의 환경색채의 특성과 색채 이미지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이미지 어휘의 차이를 통하여 도시 간 존재하는 감성의 차이를 알아내고 향후 색채계획 시 고려할 요소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서울, 오사카, 홍콩에 직접 방문하여 분광측색기를 사용하여 환경색채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유동인구가 많고 교통의 결절점 역할을 하는 환승역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서울, 오사카, 홍콩의 지하철 환승역의 환경색채 색상구성, 평균명도, 평균 채도값을 분석한 결과, 서울은 전반적으로 저채도의 색상사용이 이루어지나 부분적으로 노선색을 환경색채에 적용하였고, 오사카의 경우 안정되고 차분한 느낌의 저채도의 색상이 사용되었으며, 홍콩의 경우 채도가 높고 낮은 명도의 원색계열의 색상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환경색채의 IRI이미지스케일에 해당하는 형용사 단어를 분석한 결과, 서울과 오사카의 경우 평가어휘의 비중이 높은 반면, 홍콩은 감정어휘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원색계열의 고채도 색상을 환경색채에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다. The colors of the environment play very important role in underground places by providing direc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especially to foreigners and tourists. The use of numbering in subway stations should not put as priority when it comes to giving directions because it brings discomfort and will confuse the users of underground space. However, using color scheme could allow users to comfortably flow with the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colors and images in the subway transfer station of Seoul, Osaka, and Hong Kong. First we will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lor image vocabulary in these cities, then we measure the emotions of the users in the selected cities. We visited the few busiest subway transfer stations in all 3 cities to collect the environment color data using a spectrophotometer. These subway transfer stations have different chromatic colors, average brightness, and saturation analysis of the mean value. Seoul uses low color saturation and partially applies the color to the environment chromatic route. Osaka"s color uses low saturation colors for these colors have the feeling of stable and relax. In Hong Kong, high saturation and primary color series of low brightness was found in their subway transfer stations. Analysis of the adjective words for the IRI scale of environmental color image, Seoul, Osaka, Hong Kong appear higher proportion of emotional vocabulary, which is the high saturation of the primary colors based on environmental color. It can be seen reflected in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IRI image scale result, Seoul and Osaka have low saturations colors, therefore evaluation vocabularies are higher. As for Hong Kong, the high saturation of the primary colors causing a higher proportion of emotional vocabulary.

      • KCI등재

        색채 인지 요인의 구조적 범주화 기초 접근 연구

        임태훈(Lim, Tai Hun),황성걸(Hwang, Sung Gul)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7 No.-

        현 시대는 감성의 중요성이 무엇보다 중요시 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후기시대이며, 색채는 매우 중요한 디자인 요소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특정한 색채를 선택하고 완성된 디자인의 색채를 평가하기 위한 대상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색채 선정에 대한 기준과 연계된 평가의 신뢰성이 높지 않으며, 이해당사자들의 공감과 설득을 얻기 힘들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출시된 제품의 성공과 실패의 요인이 색채로 인한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검증도 불가능 하다. 따라서 국내외에서 진행된 색채 인지의 배경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구조적으로 범주화 하는 것은 컨셉 구상 단계에서부터 제품 출시 후 제품에 대한 정량적인 고객평가까지 전 영역에서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진행되었던 색채 인지요인에 대한 내용을 다학제적 관점에서 종합적, 융복합적으로 분석하고, 리처드 솔 워먼 (Richard Saul Wurman)의 LATCH 법을 기준으로 구조적인 범주화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카테고리(Category)와 위계(Hierarchy)에 의한 3가지 범주화 결과를 얻었다. 이 세 가지 범주화는 공통적으로는 국내외에서 특정한 제품, 공간 혹은 서비스를 사용할 대상을 선정하거나 출시할 디자인들의 색채 선호도 평가를 위한 기준이나 통제요인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개별적으로도 특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인지 요소의 상태에 따른 범주화로써 고정적 요인과 가변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적합하다. 두 번째는 배경요인의 관점에 의한 범주화로써 주체(자아) 요인과 객체(대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기에 적합하며, 세 번째 위계에 의한 범주화는 개인과 환경의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에 적합하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대상 선정, 디자인 리서치, 선호도 평가, 경쟁력 검증 등에서 신뢰성 있는 기준으로써의 활용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통해 목표로 한 대상에 최적화된 색채를 엄선하고 최종적으로는 훌륭한 사용자 경험이 창출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current era is a post-modern era in which the importance of sensitivit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color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sign elements. However, the criterion for selecting a particular color and evaluating the color of the finished design is unclear. For this reason,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linked with the criteria for color selection is not high enough and it is difficult to gain the empathy and persuasion from stakeholders.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conduct a specific and empirical verification as to whether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launched product through this process is due to color. Therefore, a structural categorization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background factors of color recognition which was implemented in Korea and abroad has values in all areas from concept development to quantitative customer evaluation of products after product launch.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color recognition factors in Korea and abroad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the structural categorization was conducted based on Richard Saul Wurman"s LATCH law. Through this, three categorization results by category and hierarchy were obtained. These three categorizations are commonly used as criteria or control factors when selecting a target user who will use specific products, spaces or services in Korea and abroad or evaluating the color preference of designs to be released. Also, while it can be used specifically for individuals, the first is the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cognitive elements and it is appropriate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chronic (fixed) factor and the synchronic (flexible) factor. The second is the categorization based on background factor and it is appropriate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 (self) factor and object (target) factor and the categorization by the third hierarchy is suitable for ve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herent factors of the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and the acquired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imed to utilize it as a reliable standard in object selection, design research, preference evaluation, and competitiveness ver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colors that are optimized for the target are selected through this and ultimately a great user experience is created.

      • 서울미양초등학교 고운 색 입히기 색채디자인에 관한 연구

        정선애(Sun Ae Jeong) 한국색채학회 2018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서울미양초등학교 본관 및 후관 내부색채디자인은 학교 색채의 무분별한 사용 및 획일성에 대한 문제 인식으로부터, 사용자의 감성 및 요구를 반영한 색채디자인을 위해 사용자 참여디자인 프로세스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5차의 색채교육 및 워크숍을 통해 사용자 요구도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색채계획이 이루어졌으며, 사용자 만족도 조사에서 깨끗한, 재미있는, 활기찬 등 선호하는 색채이미지가 반영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색채전문가의 물리적 색채 환경 분석 과정 뿐 아니라, 사용자의 환경색채에 대한 관심을 부여하고 요구도를 조사하는 색채교육 및 색채워크숍 과정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색채계획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실제 사례로 제시한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수련관의 공간특성을 고려한 내부 환경색채 분석

        박희경(HuiGyeong Park),이석현(Lee Seokhyun)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2

        청소년수련관은 청소년들에게 건전한 여가활동과 다양한 체험학습, 문화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시설을 제공하는 활동시설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에게 접근성 및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청소년들의 감성을 고려한 공간계획 및 환경색채계획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수련관의 내부 환경색채 조사를 통해 청소년수련관의 색채 경향을 파악하고 공간특성을 고려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바람직한 색채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수련관에 관련된 기존 연구와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청소년수련관의 색채환경에 대한 방향을 파악한다. 둘째, 연구대상 청소년수련관의 일반적 현황을 파악하고 현장답사를 통하여 공간별 환경색채 실태조사를 한다. 셋째,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한 공간별 환경색채를 분석한다. 넷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대상지의 색채환경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청소년수련관의 내부 환경색채는 전체적으로 YR계열과 Y계열, 고명도 · 저채도에 분포하고 있어 다양성이 떨어지는 색채 구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었다. 공간별 내부 환경색채 분석 결과, 공용공간에서는 다양한 색채의 사용으로 청소년수련관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문화공간, 체육공간, 교육공간의 색채는 YR, Y계열의 색채가 68.7%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청소년수련관의 내부 환경 색채를 다양성 · 조화성 · 통일성을 고려하여 공간별로 평가한 결과 다양성은 공용공간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조화성은 문화공간, 통일성은 체육공간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 연구에서 미흡하게 다루어 졌던 청소년수련관의 내부 환경색채를 분석하고 평가한 점에서 향후 유사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Youth Training Centers are activity installations providing programs and facilities designed for sound leisure activities, an array of participatory learning and cultural activities. Through the surveys on interior environment colors of Youth Training Centers,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chromatic tendency of the Centers and contribute to serving as a basic material of desirable color planning by proposing some improvement directions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ly, it conducts existing research and literature search related to Youth Training Centers, and it inquires into the directions regarding color environment of the Centers. Secondly, it figures out general current status of Youth Training Centers which correspond to the subject of the present study, and it carries out the actual condition survey classified by space through field study regarding space environment colors. Thirdly, it analyzes space environment colors by space based on the field study results. Lastly, it proposes some improvement directions of color environment pertaining to research subject areas and it draws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survey. The interior environment colors of Youth Training Centers showed, in general, the problems of chromatic composition far from diversity, due to the distribution mainly focused on YR line and Y line, as well as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interior environment colors classified by space, common use space displays the expected characteristics of Youth Training Centers based on a variety of color use, while the colors used in cultural space, sports space and educational space occupy the high rate of 68.7% of YR line and Y lin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ade on the basis of space, considering diversity, harmony and unity of interior environment colors, the result shows that common use space registered the highest mark in terms of diversity, while cultural space won in terms of harmony and sports space, in terms of unity, respectively. This study expects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further analogous studies, in the sense that it analyzed and evaluated the interior environment colors of Youth Training Centers, which has been the theme insufficiently treated in existing preceding research.

      • 사용자 참여를 통한 학교 색채디자인 연구

        문은배(Eun Bae Moon),한지원(Ji Weon Han) 한국색채학회 2018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과거 학교의 환경 색채는 비용과 관리의 용이성을 이유로 대부분 획일적이며 단조로운 분위기였다. 하지만 1990년대 즈음부터 학교 환경에 대한 중요성과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학교에 다채로운 색채들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현재는 대부분의 학교에 학교 내부는 물론 외부까지 다양한 색채가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학교 환경과 학생에 대한 충분한 이해, 그리고 색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지 않고 학교에 색채를 무분별하게 적용하면서 많은 문제점이 생겨났다. 본 연구는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색채 전문가와 학교 공간의 주 사용자인 학생을 색채 디자인 과정에 함께 참여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곳 학교의 색채 디자인 과정에 색채 전문가와 함께 실제 사용자인 학생들을 참여시켰다. 실제 공간을 사용하는 학생들이 직접 나서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고, 색채 전문가와 디자이너의 손길을 거쳐 색채 디자인이 완성 될 수 있었다. 그 결과,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다.

      • KCI등재

        역사적 상징공간 주변경관의 색채 관계성 평가

        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4

        역사문화적 상징성 건축물의 색채는 지역의 역사성을 반영하는 대표적 요소로서 지역 경관형성의 기준역할을 하며 주변과의 관계성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서울과 일본의 동경, 중국의 북경의 대표적인 역사적 상징 건축물인 광화문과 에도성, 천안문을 대상으로 관리현황의 조사, 주변 건축물과의 주조색채 비교를 통해, 역사적 상징공간의 색채관계성을 조사, 분석하여, 국내 역사적 상징건축물 주변의 색채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경관의 색채환경 형성에 시각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역사적 상징건축물과의 색채의 관계성과 연속성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대상지의 색채환경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 상징건축물과 주변 건축물의 색채 관계성은 세 곳의 대상지가 전체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광화문 주변은 색상의 종류가 다양하고 통일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옥외 광고물과 주변 건축물 색채의 연속성 역시 에도성과 천안문 주변에 비해 다소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국내 역사적 상징건축물 주변 건축물의 소재와 색채의 연속성과 관계성이 개선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사적 경관의 관리에서 역사적 상징건축물과의 관계를 고려한 주변 건축물과 시설물의 색채개선방향을 정리하고, 색채기준을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역사적 상징건축물 주변의 색채정체성 강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Historical landscape is the symbolic heritage that helps to establish the sustainable formation and identity. Nevertheless, domestic architecture color surround historical heritage was complicated situation by used diverse color and materials that not related traditional color characteristics. To solve the problem, the methods of sustainable color managements and color design technique was developed by an objective assessment and analysis. The aim of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ownscape color of historical architecture and the surrounding architecture main color by reviewing the sequence of color scheme on historical landscape heritages. In the study, we tried to four methods for definitized a color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landmark structure and surround landscape. The first, we have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landscape color, current problem and tasks through survey reference and research. The second, the field survey was practised on a representative historical landmark of KOREA, JAPAN and CHINA - Gwanghwamun in Seoul, Edo castle in Tokyo, and Tiananmen in Beijing. The result data was analyzed by the degree of sequence of a keynote color with the standard color chart, MUNSELL, for the castle walls, surrounding architectures, signs and facilities of historical townscape. The third, a characteristics of sequentially architecture color and a improvement methods on historical landscape color was proposed by a analysis of color system and difference CIE L*a*b. Furthermore, we have proposed a color of sign design and street furniture based on historical color system. The result shows that the feature of historical color was clarified by analyzing the relation of a keynote color on 3 target areas; Firstly, the color relationship of historical resource are concentrated on the YR hue system with high value and low chroma. Secondly, structure color of surrounding Gwanghwamun show a low sequence and relationship with main color of historical landscape. Also historical landscape color should be considered by a sustainable color management with building and facilities of locality site. Through this research, we gained a result that historical landmark needs to management improvement for sustainable landscape and systematic management based on relationship of historical landscape color. This study id helpful to produce the sustainable management and improve the historical landscape.

      • KCI등재

        색채놀이 프로그램을 통한 노인의 색채선호 연구

        정현선(Hyun Sun Chung),김예원(YeaWon Kim)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1

        본 연구는 노인들의 안정된 취미활동과 건강한 정서활동을 분석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색채놀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노인들이 새롭게 자아를 성찰하고 긍정적인 자아통합은 물론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시간을 통해 집단 색채놀이가 노인의 색채선호에 미치는 향상효과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색채놀이 프로그램은 12주간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고, 이 때 사용한 컬러칩은 (구) 산업자원부에서 산업표준화 작업으로 개발한 플라스틱 700색 이다. 1단계는 과거(회상), 2단계는 현재(나의 현재), 3단계는 미래(나의소망) 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색채놀이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의 변화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인의 추억을 회상하고 옆 사람과의 상호 친숙한 관계를 도모하고자했던 1단계에서는 대체적으로 YR에서 Y, RP 장파장 계열의 색군이 많이 선택되었던 반면, 단파장 계열의 색은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둘째, 본인의 주변 사람들이나 환경을 나타내는 2단계 색채 활동에서는 다양한 색군을 선호했으며 저명도/채도, 중명도/채도의 색군이 많이 지목되었다. 하지만 본인의 인생에 대해 평가하는 8주차 활동에서는 R-Y까지의 색상이 가장 많이 선호되었다. 셋째, 소중한 과거를 밑바탕으로 현실적인 본인의 미래 및 삶의 방향을 그려나갔던 3단계에서는 중단파장 계열의 색상이 많이 언급되지 않았고 중명도, 중채도에 집중되어 원색을 선호하고 있었다. 단계별로 노인의 색채선호을 종합해 보면, 주제와는 상관없이 YR에서 Y, RP 장파장의 색상을 선호하며 4주차(2단계)부터 점차적으로 컬러칩을 다양하게 많이 배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들이 색채놀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긍정적인 자아통합과 자존감을 높일 수 있었으며, 손의 근육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해 힘이 주어지지 않는 많은 노인들이 어렵지 않게 자신을 표현하고 각 주제에 맞는 다양한 컬러칩을 선택함으로 인해 과거로의 회상, 현재 고찰, 본인의 상태 인식, 사회적 교류 등으로의 기회 제공의 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노인의 색채선호에 미치는 향상효과를 통해 현실로 다가온 노인의 시대에 맞는 색채놀이 프로그램을 활용한 노인 전문 색채 프로그램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a group color play program on improving color expressions of the elderly, based on a color play program that can help the elderly reflect on their self-identity, form positive self-integration, and improve their self-esteem. As a tool to develop the color play program used in this study, the 700 color chips developed by Ministry of Industry and Resources as part of industrial standardization were used.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for 12 weeks, and the changes in the elderly were analyzed based on correlation between the chosen colors and psychological types, reminiscence and range of emotional expressions.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in the first step that aimed tolead the elderly to recall their memories and build mutually familiar relationship with another subject, the subjects mostly chose colors of long wavelengths and almost no colors of short wavelengths. Second, in the second step of the color play program, in which the elderly were asked to express their acquaintances and environment, the subjects chose a wide range of colors and many of them chose colors with low brightness and saturation and those with medium brightness and saturation. However, in the 8th week, when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ir life,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chose colors from R to Y. Third, in the third step in which the subjects drew their realistic future and life direction based on their precious past, not many colors of medium wavelengths were mentioned and most subjects focused on primary colors with medium brightness and saturation. In different steps, regardless of the theme, the elderly preferred colors of long wavelengths than those of short wavelengths. This study has following possible implications: The color play program can help the elderly improve positive self-integration and self-esteem, and easily express themselves even though their hand muscles do not properly function. Also, by choosing various color chips that are suitable for the theme, the elderly can recall the past, reflect on the present, recognize their current state, and socially interact with others. I hope the research on color programs for the elderly can be used effectively in the aging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