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구논문 : 서구 패권적 현대 "문명패러다임" 비판과 그 대안 모색 -후쿠야마의 단수적 문명전파론과 헌팅턴의 복수적 문명충돌론을 중심으로-

        전홍석 ( Hong Seok Jeon ) 한국문명교류연구소 2009 문명교류연구 Vol.1 No.-

        이 논문은 대표적인 현대 문명 담론으로 일컬어지는 문명패러다임의 서구 중심적 패권주의 성향 극복과 그에 따른 참된 문명관의 모색을 위한 시론이다. 현대 문명 담론의 최대 관건은 단일 문명론과 복수 문명론의 화해와 회통에 있다. 현재 학계의 대체적인 견해는 현재와 미래의 세계는 단일의 보편 문명과 고유한 특징을 지닌 복수의 개별 문명들이 중층적으로 공존한다고 보고 ``문명 다원주의를 그 전제로 한 보편 문명에의 지향``으로 귀결된다. 그러나 이 중층적 규정은 문명 다원주의와 ``보편 문명``이라는 상충된 문제와 결부되어 있다. 이로 볼 때 ``보편 문명``과 ``문명 다원주의``의 긍정적인 면을 동시에 구현시킬 수 있는 논리 구조의 새로운 문명관을 모색해야 한다. 아울러 서구 중심적 제국주의 성향을 극복할 수 있는 보편 문명에 대한 공론이 담보되어 있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본 논고에서는 그 대안 담론으로서 상호 주체적 평등 관계를 기초로 한 범인류 중심의 유기체적인 세계주의 문명관 즉 ``문명생태주의패러다임``을 논함과 동시에 여기에 따른 타자에 대한 이항 대립적 차별 의식을 불식하고 타자와의 호혜적 조응을 위한 참된 문명관의 다섯 가지 기본요칙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is a current view for overcoming the trend of Western Europe-oriented Hegemony of a civilizational paradigm called as a typical comtemporary civilization discourse and searching a true view of civilization. The largest key point of a comtemporary civilization discourse is a reconciliation and its response of a single theory of civilizations and a plural theory of civilizations. The general opinion of the current academic world is to view that a single universal civilization and plural separate civilizations having unique characteristics coexists in a multi-layered form in the current and future world and bring it to a conclusion of ``intention toward universal civilization on the premise of multi-civilizations``. But this multi-layered regulation is being linked to a contradicted problem called multi-civilizations and ``universal civilization``. In this viewpoint, a new view of civilization with logical structure that can realize the positive aspect of ``universal civilization`` and ``multi-civilizations`` at the same time should be sought. In this meaning, the present study discussed a view of civilization of organic cosmopolitanism centered on pan-sapient based on a mutual subjective equal relationship, namely, ``paradigm of culture ecology`` as it alternative discourse and suggested five kinds of basic principles of a true view of civilization to wipe out binary opposing discrimination against other persons according to this and to reciprocally correspond to other persons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연구논문 : 현대 문명의 생태학적 전환 -생태와 문명의 교차점: 보편주의와 다원주의의 회통-

        전홍석 ( Hong Seok Jeon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1 No.-

        본 연구는 현대 문명담론을 생태학적 세계화 차원에서 체계화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아울러 단 · 복수론의 궁극적 지평의 융합으로서 메타 이론적 학문 토대를 기초함은 물론 최종적으로는 인간과 자연, 중심과 주변, 서구와 비서구 등의 이분화적 갈등 구도를 파기하고 생태학적 관계성 희복을 전제하는 생태문명학의 정립을 그 목표로 한다. 현 재 인류가 직면한 여러 생태학적 위기는 단순한 물리적인 환경의 파괴를 넘어 더 많은 함의를 지닌다. 금세기 생태학적 진단은 계몽주의와 산업 혁명에 연원한 현대 문명의 여러 폐단들에 대한 뼈아픈 반성을 수렴하는 것이다. 생태 문명의 건설은 생태 회복과 관리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사회 문화 양식의 혁신과 관련된다. 또한 여기에는 세계화를 촉발시킨 서구 근대성에 대한 비판이 담겨 있다. 왜냐하면 근대성은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 서양과 동양이라는 제 존재의 관계망들을 파편화함으로써 현대 문명의 위기를 초래한 진원지로 지적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타자와의 관계성을 배제하는 이원적 근대성은 단수적 문명의 진보 신념으로 이어진다. 서구의 문명 개념에 내포된 ``진보 대 야만``의 구획 의식은 단선적 진보사관에 연원한 서구보편주의의 세계적 동질화 과정의 근저를 이룬다. 그리고 여기에는 서구 문명의 패권을 강제하는 강권주의 논리가 함의되어 있다. 현재의 서구문명강권주의가 근대성의 닫힘과 두절의 이항 대립 의식에 근거한다면 무엇보다도 상호 주체적 연결 고리를 인정하는 생태 지향적 근대성으로서의 열림과 소통의 인식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은 복수적 근대성에 기초한 범 인류 중심의 생태학적 관계망을 담보하는 ``세계주의 시각``의 전일적 문명관을 요구하는 것이다. 우리가 염원하는 새로운 문명관은 인권과 생명에 위해를 가하는 일체의 강권에 대한 저항과 해체에 있다. 아울러 인류의 평화와 공존을 위해 세계인이 합심해 노력해야 한다는 상호 주체적 평등 관계를 기초로 한 세계주의적 ``생태문명``, 즉 세계 문명 중심의 다문명적 공존주의 문명관의 각성과 구축에 있다. 이처럼 생태학적 문명관은 문명 사이의 상호 관계에 관한 어떤 규범적 패러다임을 설정 하는 토대가 된다. 강조컨대 현대 문명의 내핵인 근대주의가 공존 이념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공생공영의 이념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인간중심주의적 근대주의 문화를 비판하고 청산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주객 이분법을 타파하고 주체와 객체 간의 새로운 관계 설정이 중요하다. 이른바 대자연이 최고의 주제라는 자연중심주의로 회귀해야 한다. 그리고 자연 속의 모든 존재들이 저마다의 주체성을 소유하며 때문에 삼라만상이 존재의 가치와 권리가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이를 달리 말하면 ``자연 중심의 다주체적 공생주의 자연관``이라 할 수 있다. 이 자연관을 문명론으로 치환해볼 때 ``세계 문명 중심의 다문명적 공존주의 문명관`` 건설의 토대로 활용할 수 있다. 생태와 문명의 교차 점에는 세계 문명의 소통으로서의 ``생태문명학``이 자리한다. 자연 중심적 세계관으로의 전회는 특정한 패권 문명 중심에서 세계 문명 중심으로의 인식 전환과 함께 그 동안 주 제와 중심의 그늘에 가려져 억눌리고 소외당했던 객체와 주변의 복권을 의미한다. 특히 서구의 이분법적 차별 구도는 근대성과 접맥된 세계화 이론에 깊이 착근되어 있다. 현재의 세계 문명은 ``세계성 대 지역성`` 내지는 ``근대성 대 전통성``이 대립하면서 서로 거대한 압력을 행사하는 각축장이 되고 있다. 이것은 단수적 보편 문명의 세계적 일체화와 복수적 개별 문명의 자기정체성 강화의 문제로 확대 해석할 수 있다. 이로 보건대 세계화와 관련된 현대 문명담론의 최대 관건은 단 · 복수적 문명론의 역사순기능적인 면을 동시에 구현시킬 수 있는 보편문명론과 문명다원주의의 화해와 회통에 있다. 즉 현재와 미래의 세계는 단일의 보편 문명과 고유한 특징을 지닌 복수의 개별 문명들이 중층적으로 공존한다고 보고 ``문명다원주의를 그 전제로 한 보편 문명에의 지향``으로 정리할 수가 있다. 또한 ``보편 문명``이 태생적으로 서구제국주의와 접맥된다는 점에서 다원성과 타자성을 감내하는 생명관적 자애로운 보편주의가 확보되어야 한다. 본 논고에서는 이 명제들의 충족 논거로서 생태문명학의 핵심 규범과 운용 요칙 들을 각각 제시했다.

      • KCI등재

        세계의 중심 이동과 동서 철학의 균형

        박이문(Ynhui Park)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1 아시아리뷰 Vol.1 No.2

        3세기 전부터 근대 과학 기술 문명이 유럽에서 동북아시아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그러한 흐름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문명의 흐름은 서양의 영향이 동북아시아로 미치고 있음을 뜻하고, 문명의 중심이 서양에 있음을 뜻한다. 문명의 이러한 판도는 유럽인들에 의한 근대적 의미의 과학적 지식 양식과 기술 능력의 개발에서 찾을 수 있다. 앎은 곧 힘이며, 서양이 개발한 과학이라는 앎의 양식은 가장 큰 실천적 힘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양의 과학 기술 문명과의 접촉으로 잠을 깬 동북아시아는 타의적으로나 자의적으로 지난 두 세기, 아니면 한 세기에 걸쳐 서양의 과학 기술 문명을 흡수하는데 열중했고, 21세기 초반인 오늘날 우리 모두는 서구의 선진국들과 상대해서 경쟁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런 점에서 세계 문명의 중심은 역전되어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역전되어 가는 문명의 흐름에 대해서 서양은 자기 연민과 허탈감에, 동양은 자화자찬과 오만에 빠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 가지 생각과 태도는 모두 잘못이다. 지구가 하나의 세계라면 모두가 가까이 살 수밖에 없고, 또한 인류는 환경 오염, 핵전쟁, 생태계 파괴, 지구 온난화, 기아 등 문명의 총체적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이런 문명사적 위기의 원인은 서양이 발명하고 이제는 동양이 기꺼이 추종한 과학 기술의 필연적 결과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렇다면 과학 기술 문명을 거부하고, 그런 문명의 틀을 만든 서양 문명을 거부하고 동양의 전통적 문명으로 돌아가야 할 것인가? 그렇지 않다. 오늘날 과학적 사유와 힘에 의지하지 않고서는 어떤 인간 사회, 어떤 개인도 생존할 수 없다. 문제는 과학이 아니라 과학의 잘못된 활용이며 그 잘못은 서양의 잘못된 인간중심적 세계관에 있다. 오늘날의 문명사적 문제는 서양의 인간중심적 세계관을 동양의 생태친화적 세계관으로 대체하여 그 테두리 안에서 과학적 지식과 기술을 활용할 때 해결될 수 있다. 우리의 문제는 동/서 문명의 우/열, 과학의 내재적 선/악을 따지는데 있지 않다. 우리는 인류 문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하여 소승적이 아니라 대승적 관점, 즉 동양인/서양인의 구별을 초월한 인류의 관점에서 위기에 처한 문명을 구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For the past two or three centuries, the West has been the center of dominant power in the world, subsuming the rest of the world―such as the East and North Asia under its power. The role of advanced scientific knowledge and technology has been extremely crucial in this formation of hierarchical relationship. However, the center of the world has been visibly shifting from the West to the Far East during the recent decades, with the rise of East Asia as the new technological power. As this turn of the situation signifies for East Asia the recovery of its lost pride, the West has received it with fear and fright as a threat to its power, interpreting it as a sign of the decline of, or even the death of, the Western civilization.However, both attitudes are unconstructive. Instead, both parties of the East and the West should be willing to help each other and be thankful for what one owes to the other. Today, the overuse of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problems such as ecological, environmental, so socio-political crises, all of which threaten the human civilization as a whole. It is now time for the West and the East to confront these global problems and cooperate together to resolve them, beyond competing for power as in the sense of superior-inferior relationship of the past civilization.

      • KCI등재

        조선후기 국제 공공성 변동과 홍대용의 문명생태주의 담론 -21세기 "생태 문명관" 모색을 중심으로-

        전홍석 ( Hong Seok Jeon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7 No.-

        본 연구는 세계 문명의 생태적 관계망을 조율하는 21세기 새로운 문명관인 생태 문 명’ 의 실마리를 전통 시대 동아시아의 국제 공공성과의 연관 속에서 조선의 한반도라는 전통적 사유 공간에서 모색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는 l8세기 대표적인 북학 실학자이자 생태 사상가로 평가되는 담헌 홍대용의 철학사상을 21세기 동서 통합의 새로운 ‘생태 적 연대 문명’ o1라는 현재적 의미로 재구성하는 데 맞춰졌다. 그 문제 설정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동서 보편 문명관에 내장된 ‘주변부’ 에 대한 ‘중심부’ 의 양분적이고 차별적인 기제에 주목하는 데서 출발한다. 홍대용의 생태철학은 직접적으로는 동양적 문명 범주에 내재된 ‘중화 대 이적’ a1라는 절대적 타자를 상정하는 차별 기제의 해체 문제와 관련된다. 동양적 문명론 범주에서 보면 국제 공공성 범주는 ‘중화주의’ 라는 불완전한 중세적 보편 문명론과 맞닿아 있다. 전통 시대 동아시아 세계에서 · 중화’ 는 문명의 단수로 존재 하여 중심적 가치를 거부하는 주변국들을 원천적으로 문명의 범주로부터 봉쇄하여 야만 국으로 폄하하는 논리적 장치를 구동해 왔다. 이러한 계서적 국제 규범은 중국 중심의 천하관인 ‘화이론``에 기초한다. 홍대용의 ‘문명생태주의’ 는 다원성과 타자성을 포용하는 미래적 가치의 ‘다주체· 다중심 의 공생주의 문명관’ 에 근접한다. 그의 탈중심화 담론은 울· 아가 지양되는 진리의 전체상 인 천시(天時)로부터 획득된 것이다. 담헌은 중심과 주변이라는 인· 물, 지(地)·성(星),내·외, 화·이,춘추· 역외춘추 둥의 대립 구도를 상대화하는 한편 이 양자의 동시궁정이라는 ‘연 대적 동일성 ‘올 지향한다. 이것은 인식론적으로 상대주의를 견지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천의 시각에서 존재의 평등성을 관찰해가는 구상인 것이다. 자기의 중심성을 벗어나 공평무사하게 ‘천의 관점’ 에 입각해보면 그 누구도 중심이 될 수 없으며 수평적 관계의 대등함만이 존재할 뿐이다. 이 동일성의 철학은 인물균, 지성군地星均을 거쳐 종국에는 ``화이일華夷一`` 에까지 관통된다. 그리고 그것은 과거 문명 강권주의가 구획해놓은 중심과 주변, 주제와 객체,보편과 다원, 근대와 전통, 서양과 동양 둥의 방대한 양분적 구조를 회석시키는 데 두루 관철된다. 담헌의 문명생태주의는 과거의 전통 시대에는 특권적 중심 문희를 항한 소외된 주변 문화의 결손된 권리 찾기였다면 이제 그것은 생명의 존엄 성에 입각한 우리는 하나라는 상호 동일성의 ‘평화공존의식’ 이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the clue of ``ecological civilization``, the new view of civilization in the 21th century which mediates the ecological neti1 of world civilization, in the traditional thinking space of Chosun peninsula within the context of East Asian international publicness in the traditional age. Concretely it focused on restructuring philosophical ideas of Damheon Hong Dae-Yong, who is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18C bukhak (north school) realist and ecological philosopher, in the current naning of the new ``ecological solidarity culture``, which integrates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21th century. Fundamentally, the agenda begin by taking notice of clichotonijus and discriminatory irEchanism of ``central part`` to ``peripheral part`` embedded in the precedent general view of the Eastern and the Western civilization. Hong Dae-Yong`s ecological philosophy is directly related to breaking discnninatoiy nhanisrn that presumes the absolute others of ``China versus Yijeok`` built in the Eastern civilization category. Seen in the Eastern civilization category, the international publicness category is connected to ``Sinocentiism`` of inconlete general ndieval civilization theory. ``China`` insisted itself as the unique one in the traditional East Asian world and manipulated a kind of logical rmsanism that deregated peripheral countries which refused its central value as savage ones by blocking them thoroughly from civilization category. This hierarchical international norm is built on ``Sino-barbarian theory`` of the world view based on China Hong Dae-Yong`s ``civilization ecology`` closes to ``symbiotic civilization view with multi-subject & mn1ti-centre of future value including pluralism and otherness. His decentering discourse is from the ``view of heaven`` that is larger truth sublating object & self. Damheun relativizes the conflicting diagram of centre and piriphery such as human being and object, earth and star, inside and outside, China and barbarian, spring and autumn annual and outer spring and autumn annual but orients “solidary equality? with affirming both of them This concept ultimately has the Recognition of equality of existence in the view of heaven while keeping the relativism in person. When standing fairly in the by escaping from self-centeredness, none can be the centre but there is the equality with horizontal relationship. This philosophy of equality pf human being and subject, earth and star. And this view is kept to dilute massive dichotomous structure that has been made by precedent Western civilization authoritarianism such as centre and periphery, subject and object, universality and diversity, modem and tradition, and tradition, and the West and the East. If the purpose of civilization ecology of Damheon was to seek the right of alien peripheral culture against privileged centric culture in the past traditional age, now is it for peaceful consistence consciousness with the perception pf mutual equality, that is to say, we are one based on the dignity of life.

      • KCI등재

        1905~1910년 문명론(文明論)의 전개(展開)와 새로운 문명관(文明觀) 모색(摸索)

        盧大煥 ( Noh Daehwan ) 한국유교학회 201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9 No.-

        문명화를 조선이 추구해야 할 목표로 설정했던 지식층에 을사조약의 체결은 큰 충격이었다. 그간의 문명화 작업이 별다른 성과가 없는 것임이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문명 달성을 위한 시도를 멈출 수는 없었다. 약육강식의 경쟁이 가속화되는 시기에 문명에서 뒤처지는 것은 곧 멸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문명화 작업은 보다 조직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한국이 더 강해져야 한다고 본 자강론자들은 단체 결성을 통해 문명화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한 분위기를 타고 대한자강회를 비롯한 많은 학회들이 결성되었으며 이들 단체를 중심으로 문명 담론이 전개되었다. 『황성신문』이나 『대한매일신보』역시 많은 문명 관련 논설들을 게재하였다. 1900년대 후반 시기 문명론에는 두 가지 경향이 나타나고 있었다. 하나는 일제의 문명화 논리에 동조하여 일본의 지원을 용인하는 태도이다. 이러한 모습은 대한자강회에서도 일부 드러났고 대한자강회를 계승한 대한협회에서 본격화되었다. 다른 하나는 문명을 정신 문명과 물질 문명으로 구분한 후 서양 문명의 핵심을 물질 문명으로 설정하여 물질 문명을 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것을 주장하는 경향이다. 두 경향 모두 문명에 대한 과도한 집착으로 인해 나타난 것이었다. 한편에서는 이러한 문명화 경향에 문제를 제기하고 문명화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하는 움직임도 등장하였다. 그러한 움직임을 주도한 것은 일본 유학생들이었다. 이들은 新學家들의 이중적인 행태를 비판하며 물질 중심적 문명론에 문제를 제기하고 정신 문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들의 주장은 기존의 문명 개념을 반성하고 문명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한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국내에서도 신학가들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문명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舊學의 장점인 도덕을 문명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자리매김하려는 시도가 그것이다. 한국 사회는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줄기차게 문명화 작업을 추진하였다. 주로 부강과 동일시되었던 문명은 달성해야 할 분명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에 반해 추구하고 있는 문명화의 방향이 올바른 것인지에 대해서는 고민이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뒤늦게나마 문명화의 방향성을 놓고 진지한 고민이 이루어진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이었다. The intellectuals of Chosŏun, who set a goal of Chosŏn's civilization, sank into the deep shock of Eulsa Treaty as the treaty seemed to prove that the civilization works so far were fruitless. However, they could not stop their efforts for civilization in the country, believing that lagging behind in civilization would ultimately lead to total collapse in the accelerating competitions in the jungle-like world. The civilization works needed to be more organized and efficient. Claiming more strength for Korea, the Jagangron believers thought the civilization efforts should be promoted by forming new groups. Under such an atmosphere, many societies were formed and civilization discourse was developed vigorously. The Theory of Civilization in that period had two trends; one was to tolerate Japanese supports, agreeing with the logic of civilization presented by Japan, and the other was to take active interest in material civilization. Both the trends were the results of excessive obsession with civi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movement to raise questions with those trends of civilization and search for new directions in civilization. It was those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that led the movement. Criticizing the double acts of people who stydy mordern studies(Shinhakgas : 新學家), they raised questions with material-centric Theory of Civilization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piritual civilization. In Korea, there were criticisms about Shinhakgas and attempt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ivilization anew. Korean society continuously implemented civilization works since the Gabo Reforms(甲午改革) of 1894. Being judged to have the same value as wealth and power, civilization was understood to possess the clear values to attain. However, there were few attempts to think about whether the directions of civilization were right or not. Thus it was considerably meaningful that there were serious thoughts about the directionality of civilization even though they came rather late.

      • KCI등재

        고조선문명권 형성의 기본구조

        신용하(Shin, Yong-Ha) 고조선단군학회 2010 고조선단군학 Vol.23 No.-

        In the history of the World a lost civilization in East Asia, named ‘Go Joseon Civilization’ existed between 30BCE and 3 BCE. In the Go Joseon Civilization a common Go Joseon language prevailed, and after the disintegration of the Go Joseon state, the population dispersed and migrated to different areas and became the ancestral language of the Ural-Altai Language family. Dangun (Dangul) served as common religious belief of the Go Joseon Civilization, and the Go Joseon state was also uniformly founded on the bronze and iron culture with its unique design. The constituent population was horse-riding race. The Go Joseon Civilization also boasted a unique folk culture and festival culture. Various racial groups who called their ruler “Khan” or “Han” were either the constituent population of the Go Joseon civilization or their descendants.

      • KCI등재

        Word2Vec 분석을 통한 근대 계몽기 잡지에서의 ‘문명(文明)’의 시기별 지형도

        전성규 ( Seongkyu Jeon ),장연지 ( Yeonji Jang ) 한림과학원 2020 개념과 소통 Vol.0 No.26

        본 논문은 1906년부터 1910년까지 발행된 근대 계몽기 잡지 11종의 한문단어체 기사를 대상으로 ‘문명(文明)’ 개념의 시기별 특징을, Word2Vec 즉, 텍스트에 나타나는 단어를 벡터화하여 ‘문명’과 의미적으로 가까운 단어를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6년부터 1910년까지 1년을 단위로 하여 문명의 동시출현 빈도와 시기별 중요도, Word2Vec의 방법을 통해 문명의 공기어(共起語)를 확인하고 시기별 의미장의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명’이라는 키워드를 분석자가 지정하는 탑다운(top-down)의 분석 방식을 택했지만 Word2Vec이라는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기계학습을 통해 문명의 공기어 목록들을 제시하였다. 1906년에서 1910년 사이 문명의 가중치는 크게 변동한다. 1908년까지 그 중요도가 가파르게 상승하다가 1909년 이후에는 급강한다. 문명이라는 개념이 가장 중요도가 높았던 1908년을 기점으로 하여 진화론적 관점에 놓여 있는 어휘들과 시장경제와 관련된 어휘들이 밀도높게 공기어 목록을 형성하고 있으며 1909년과 1910년에는 이전 어휘들과 성격을 달리하거나 군집화할 수 없는 다양한 어휘들이 문명과 관계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1906년과 1910년 사이 근대 계몽기 잡지 한문단어체 기사를 대상으로 ‘문명’의 의미장은 첫째, 사회진화론 및 아시아주의와 관련된 것, 둘째, 경제영역 및 일상의 담론과 관련된 것, 셋째, 수양 및 인격형성과 예술적 내면의 형성과 관련된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특성은 외부적이고 구조적인 문명화 과정 이후에 이루어지는 심리적 내면적 문명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동안의 문명 개념은 근대성의 여러 특질 중 국민국가 담론과 밀접하게 결합하여 논의가 이루어져 왔지만, 문명경제사적 관점에서 근대적 경제영역의 성립과도 불가분한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09년과 1910년에는 문명과 유의관계를 형성하는 어휘들 중 문학, 예술과 관련된 어휘의 성격을 띠는 것들이 확인되는데 이는 사회의 기능분화와 인간관계의 얽힘으로 인한 교양, 수양 담론과 문명의 관계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civilization’ by period, using a Word2Vec methodology, targeting 11 Korean articles written in Chinese script which were published in modern enlightenment magazines between 1906 and 1910. The meaning field of ‘civilization’ across this period was characterized through a ‘top-down’ analysis of the keyword “civilization” together with a list of synonyms adduced by machine learning, using an unsupervised learning algorithm called ‘Word2Vec’. Between 1906 and 1910, the relative usage of the concept of 'civilization' fluctuated greatly, rising sharply until 1908, and falling sharply after 1909. At the peak, in 1908, terms related to evolutionary development and the market economy formed a dense list of synonyms. But In 1909 and 1910, various terms occurred which could not be clustered or which differ in character when compared to the earlier perio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features of the meaning of ‘civilization’ in the targeted articl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ose related to social evolution and Asianism. Second, those related to the economic field and daily discourse. Third, those related to the formation of discipline and character and the formation of an aesthetic disposition. These characteristics show how the internal and psychological process of civilization follows the external and structural process of civilization. The concept of civilization has previously been discussed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discourse of the nation-state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but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concept of civilization is also inextricabl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economic field. Also, in 1909 and 1910, among the terms that form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ivilization, many were identified which relate to literature and art. This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beral arts, cultivated discourse and civilization, due to the functional division of society and the entanglement of human relationships.

      • KCI등재

        야만에서 존중으로: 에딘버러 백주년 선교대회와 문명론적 인식 틀의 전환

        한강희(Han Kang-H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1 신학사상 Vol.0 No.152

        본 논문은 1910년 에딘버러 세계선교사대회의 보고서에 나타난 선구 선교사들의 비서구 문명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고, 지난 2010년 에딘버러 백주년 선교대회에 이르러 그러한 문명적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는가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후반 서구 선교사들이 담지하고 있던 선교적 문명론에 큰 영향을 미친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의 문명관을 살펴봄과 아울러, 비서구 문명에 대한 개신교 선교와 선교 이론이 제국주의라는 당대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공모적 관계 속에서 구체화되는 과정을 논구하고자 한다. 또한 과거 19세기 개신교 선교가 인종주의, 자문화중심주의, 유럽중심주의에 근거한 문명의 계층적 개념 속에서 자신의 선교 이데올로기를 정당화해 왔음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고서 “선교와 정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면서, 19세기와 20세기 초 비서구 분명에 대한 선구 선교사들의 계층적 인식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보여주었음을 규명하고자 한다. 1) 서구 문명과 비서구 문명의 이원론적 인식 틀, 2) 선교사 권력과 세속 권력(가령, 제국주의 혹은 식민주의 체제)과의 긴밀한 유착관계, 그리고 3) 선교지 문명에 대한 서구 선교사들의 야만적 인식으로 인한 토착민들과의 상호 배움과 존중의 결여. 하지만, 지난 2010년 에딘버러 백주년 선교대회의 제4주제 연구서 “선교와 권력”은 과거 백 년 전 대회에서 견지되었던 선교지 문명에 대한 인식 틀이 오늘날의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매우 급격하게 전환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대회에서 선교지 문명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은 새로운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1) 서구 문명의 우월성과 비서구 문명의 열등성이라는 이원론적 인식 틀의 극복과 해체, 2) 선교지 문화와 전통에 대한 상호 존중과 대화의 필요성, 그리고 3) 선교와 인간 정체성의 본질이 어느 특정한 인간이나 사회의 문명 상태에 의해서가 아닌 그리스도의 진리가 제시하는 다양한 문화적 형태와 가치를 통해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non-Western civilization as presented by the reports from the Edinburgh 1910 World Missionary Conference and then to investigate the paradigm shift at the Edinburgh 2010 World Mission Conference. In particular, this paper traces how the theory of missionary civilization that European missionaries of the late 19th century asserted was rooted in the Scottish Enlightenment and also explores that the Protestant mission and its theory on non-Western civilization materialized in the conspiratorial link of the church to British imperialism. Furthermore, it is critically debated that the Protestant mission, in a conception of the hierarchy of civilization, justified its own missionary business that was founded upon racism, ethnocentrism, and European supremacy. Concretely, Report VII of “ Missions and Governments" published for the 1910 Conference proves that the hierarchical perception of Western missionary societies on the non-Western civilization was basically common and unchangeable. The documents were characterized as 1) the dualistic framework of Western and non-Western civilization, 2) the back-scratching alliance of missionary powers and secular powers (e.g. imperialist and colonialist structure), and 3) the unawareness of the mutual learning from and respect for native peoples due to the uncivilized recognition of Western missionaries to mission-field civilization. One hundred years after the old Conference, however, Study Theme IV, “Mission and Power" of the Edinburgh 2010 Mission Conference shows the radically changed viewpoints on today's missionary civilization in the transforming context. The new Conference suggests a new paradigm in regards to mission-field civilization; 1) the overcoming of dualism of superiority of Western civilization and inferiority of the non-Western one, 2) the necessity of reciprocal respect for and dialogue with mission-field culture and tradition, and 3) the viewpoint that the nature

      • KCI등재

        『소학(小學)』을 통해 읽는 유교문명의 완성과 해체 - 『소학집주(小學集註)』, 『해동속소학(海東續小學)』, 그리고 『소학독본(小學讀本)』을 중심으로 -

        정출헌 ( Chung Chulheo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3 No.-

        문명전환은 고전의 번역과 궤를 같이 한다. 어떤 문명의 정수(精髓)를 담아내고 있다고 평가되는 고전은 그 전이와 번역의 과정을 거쳐, 한 문명을 다른 문명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조선시대의 문명전환도 이런 고전의 번역 과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유교를 국시(國是)로 내건 조선의 문명전환은 사서오경(四書五經)과 같은 유가(儒家) 경전(經典)의 정전화(正典化)를 통해 완성되고, 유교문명의 붕괴 또한 서구문명과의 접촉 과정에서 일어난 유가 경전의 해체와 함께 일어났다. 조선시대 문명의 완성과 붕괴는 유가경전의 정전화 또는 해체화와 궤를 같이 했던 것이다. 그런 문명전환의 과정에서 유교문명의 입문서라 할 수 있는 『소학』은 매우 민감하게 반응했다. 정전(正典)과 비정전(非正典) 또는 경전(經典)과 비경전(非經典)의 사이에 위치하며, 그 경계를 아슬아슬하게 넘나들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소학』은 처음에는 입신수단으로 읽혔지만 성종대 `소학계(小學契)`의 사례에서 보듯, 점차 실천윤리의 전범으로 받아들여졌다. 뿐만 아니라 정치이념을 제공하기도 하고 학문적 권위를 제공하기도 했는데, 그런 면모를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편찬한 『소학집주(小學集註)』와 그걸 토대로 번역한 『소학언해(小學諺解)』에서 확인하게 된다. 이이는 『소학』을 사서와 함께 오서오경(五書五經)이라는 경전의 반열에까지 끌어 올렸던 것이다. 유교문명 절정의 순간이었다. 하지만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소학』의 권위는 조금씩 흔들리는 조짐을 보였다. 이른바 해동속소학류(海東續小學類)의 편찬이 그것이다. 유직기(兪直基)의 『대동가언선행(大東嘉言善行)』, 황덕길(黃德吉)의 『동현학칙(東賢學則)』에 이어 1894년 편찬된 박재형(朴在馨)의 『해동속소학(海東續小學)』은 그런 조짐의 한 극단을 보여준다. 주자가 편찬한 『소학』의 체제를 따르고는 있지만, 그 내용을 조선의 선현(先賢)으로 완전히 대체하고 있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갑오개혁 이후 1895년 학부편집국에서 편찬한 『소학독본(小學讀本)』은 그 체제는 물론 내용까지 『소학』과는 완벽하게 달라진다. 주자의 『소학』은 이름만 유지했을 뿐 근대 수신서로서 탈바꿈한 것이다. 유교문명 해체의 순간이다. 이처럼 『소학』의 정전화와 해체화 과정은 유교문명의 완성과 붕괴를 가늠하는 잣대이기도 했던 것이다. The conversion of a civilization goes with the translation of classics. A classic is converted from one civilization to another through spread and acceptance. The conversion of civilization in the Joseon Dynasty also can be explained by the translation of classics. Joseon`s Confucianism civilization was completed by Confucian scriptures such as Saseosamgyeong(四書三經), and the collapse of Confucianism civilization was also caused by the dissolution of the Confucian scriptures. Meanwhile, Sohak(小學), an introduction to Confucianism, responded sensitively. In the beginning, Sohak was read as a means to pass the Gwageo, but soon it was read as a practical text. Furthermore, it had an academic authority. Yulgok(栗谷) Yi I(李珥)`s Sohakjipju(小學集註) is a proper example. Sohak was promoted to scripture by Yulgok. It was the best moment of Confucianism civilization. However, since the 18th century, Sohak`s authority has been threatened by publication of Haedongsoksohak(海東屬小學) books such as Yu Jikgi`s Daedonggaeonseonhaeng(大東嘉言善行), Hwang Deokgil`s Donghyeonhakchik(東賢學則), and Bak Jaehyeong`s Hadongsoksohak(海東屬小學, 1894). Besides, Sohakdokbon(小學讀本, 1895), published by Hakbupyeonjipguk, was totally differentiated from Sohak. Sohak became a modern self-improvement book. This is the moment of the dissolution of Confucianism civilization. In summary, Sohak(小學)`s promotion and demotion meant the completion and collapse of Confucian civilization.

      • KCI등재

        문명(文明)과 무위(武威)의 사이(四夷)-이등동애(伊藤東涯)의 조선관(朝鮮觀)과 문명의식(文明意識)-

        이효원 ( Lee Hyo Won ) 근역한문학회 2017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8 No.-

        근래 前田勉(마에다 쓰토무)는 일본 사상사에 병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병학이 武威를 합리화하여 일본 유학자의 武國 관념을 형성하는 사상적 근거가 되었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문명권 내부의 평화를 지향하는 유학자의 정체성과 무위에 기반한 무국 관념은 서로 충돌하는 것이 아닐까? 伊藤東涯의 경우를 보면 종족적, 지리적 화이론에서 탈각하여 문명의 유무에 따라 중국도 ‘夷’가 될 수 있고 일본도 ‘華’가 될 수 있다는 문명적 화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에 대해서는 이러한 화이관이 균열을 보인다. <三韓紀略> 서문에서 東涯는 고대 일본이 한반도를 복속했다는 자국중심적인 인식을 보인다. 여기서는 무위에 의한 우월의식이 간취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왜구의 침략이나 임진전쟁에 대해서는 무력의 남용으로 양국의 백성이 도탄에 빠졌다고 하며 비판하였다. 그리고 일본이 ‘文’을 통치이념으로 삼는 유교 국가로 거듭날 것을 천명하였다. 이와 같은 東涯의 문명지향성은 荻生?徠와 비교할 때 더 선명하게 드러난다. 일본 유학은 근대에 이르기까지 무위와 문명의 사이를 위태하게 오가면서 나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유교적 문명성은 무위가 폭주하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준다. 그러나 서구의 침탈에 직면해 균형추는 무위 쪽으로 급격히 기울어갔다. 일본의 사상사 연구는 일본의 주체성, 개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조선을 ‘방법’으로 삼았을 때 근세 일본의 탈중화적인 면모가 꼭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는다는 점이 드러난다. In recent years Maeda Tsutomu(前田勉)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兵學 in Japanese thought history and argued that 兵學 rationalized Bui(武威) and became a philosophical basis for forming concept of Japanese confucianist’s idea of garrison state(武國觀念). However, will not conflict between the identity of confucianist that intends peace inside the civilized area and the idea of garrison state? In the case of Ito Togai(伊藤東涯), he is escape with a race-oriented, geographical Huaikuan(華夷觀), and he think tha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ivilization, China may become “夷”, and Japan may also become “和”. However, this 華夷觀 shows a crack in case of Korea. In the preface attached to the 三韓紀略, 東涯 shows the country-centered recognition that ancient Korean Peninsula was subject to Japan. A sense of superior consciousness is seen. However, on the other hand, criticized the people of both countries have fallen into the disaster by the abuse of military force o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he insist that Japan will be reborn as a Confucian nation. 東涯‘s civilization directivity appears more clearly when compared with Ogyu Sorai(荻生?徠). Confucianism in Tokugwa Japan seems to have advanced walking up and down between 武威 and civilization(文明) up to the modern era. Confucian civilization is balanced so that 武威 do not run away. However, in the face of the Western invasion, the equilibrium cone tilted suddenly towards 武威. Japan's thought history research has been structured to emphasize Japanese independence and individuality. However, when consider existence of Korea, it turns out that the aspect of pre-sino-centrism in modern Japan does not necessarily bring positive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