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랑국의 실체와 낙랑 조선․낙랑군의 관계

        김남중 고조선단군학회 2022 고조선단군학 Vol.47 No.-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nakrang-guk, lelang-jun, and nakrang joseon, focusing on the nakrang-guk shown in the samguksagi. Nakrang-guk was destroyed in 37 A.D. due to the invasion of king daemusin of goguryeo. Nakrang-guk is found in the lelang-jun area or near ogjo, and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it was in the mountainous area in eastern pyeongannam-do when comparing the distribution of the stone mound tombs of gogulyeo and the ruins of lelang-jun. This area was not properly controlled by lelang-jun, and some residents of nakrang-guk, which flowed into lelang-jun, were organized into ledou-xia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 were forces that had been building dolmens and stone coffin tombs since the bronze age, and forces related to the sehyeong bronze dagger connected to the bronze age culture in northeastern china. The distribution of the two forces tends to be slightly divided, and dolmen remains are concentrated in the eastern part of pyeongannam-do and northern part of hwanghae-do. Comparing the distribution of the two forces with the census register produced in the 4th year of chuyuan(45 B.C.), it can be seen that the former-related forces made up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Nakrang-guk was a force related to the former, and was a force distinct from nakrang joseon, that is, ancient joseon people who migrated to the lelang-jun area. The etymology of the word lelang/nakrang originated from nakrang-guk. Han's law was translated and applied as if it were their prohibition law. For this reason, it was seen that the people of nakrang joseon stood at the center of the rule for indigenous forces such as nakrang-guk. In addition, even under han's rule, the indigenous forces of non-han did not assimilate to han and maintained their identity. In this respect, the history of lelang/nakrang is not only seen as chinese history, but can also be treated as part of ancient joseon's history. 이 글은 『삼국사기』에 보이는 낙랑국을 중심으로, 낙랑군, 낙랑 조선의 관계를 다루었다. 낙랑국은 37년에 고구려 대무신왕의 침공으로 멸망하였다. 낙랑국은 낙랑군 지역 또는 옥저 부근에서 찾는데, 고구려 적석총과 낙랑군 유적의 분포를 비교해 보았을 때 평안남도 동부 산간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 지역은 낙랑군의 통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곳인데, 낙랑군에 유입된 낙랑국의 일부 주민은 낙도현으로 편제되었다. 한반도 북부 지역은 청동기 시대 이래로 고인돌ㆍ석관묘 등을 축조하던 세력, 중국 동북의 청동기 문화와 연결되는 세형동검 관련 세력 등이 있었다. 두 세력의 유적 분포를 보면 약간 구분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고인돌 유적은 평안남도 동부와 황해도 북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두 세력의 분포를 초원 4년(기원전 45) 호구부와 비교해 보면 전자와 관련된 세력이 인구의 다수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낙랑국은 이들과 관련된 세력으로, 낙랑군 지역으로 이주한 고조선 즉 낙랑 조선인들과는 구별되었다. 낙랑군의 낙랑은 낙랑국에서 유래하였다. 낙랑 조선은 한의 낙랑군 통치 과정에서 중간 통치자 역할을 하였다. 한의 법은 이들의 犯禁으로 번역ㆍ적용되었다. 이로 인해 낙랑국 등 토착 세력에게는 낙랑 조선인들이 통치의 중심에 서 있었던 것으로 비춰졌다. 또한 한의 통치 속에서도 非漢系 토착 세력은 한에 동화되지 않고 정체성을 유지하였다. 이런 점에서 낙랑은 중국사로만 볼 수 없고 고조선사의 일부로도 다뤄질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의 낙랑고고학

        정인성(Jung, Inseung) 한국상고사학회 2011 한국상고사학보 Vol.71 No.-

        관학자들의 주도로 강제병합이 이루어지기 이전부터 실시되었던 각종 고적조사와 걸음을 같이하며 시작된 낙랑고고학은 중국관련 유물만을 과도하게 부각시켜, 결과적으로 한반도 북부지역을 고대 중국의 식민지로 생각하는 분위기를 만든 측면이 인정된다. 관련하여 낙랑에 대한 관심과 인기는 유물소유욕을 크게 자극하여 결과적으로 낙랑 유적에 대한 대대적인 도굴을 불러일으키는 수요를 강점기간 내내 만들어 냈다. 그런데 세키노타다시가 중심이 되어 1909년에 처음 실시한 낙랑 유적의 조사는 그 시작부터가 식민사관 창출을 위해 치밀하게 기획된 것은 아니었다. 당시에는 평양에 낙랑고분이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몰랐기 때문이다. 그러던 것이 1916년에「古蹟調査委員會」가 발족되고「古蹟 및 遺物保存規則」이 시행되는 과정에서 낙랑유적 조사의 전체적인 배경과 목적이 달라진다. 이때부터 식민사관을 기획하고 指南한 구로이타 가쓰미(黑板勝美)가 낙랑유적의 조사에 집중적으로 관여한 사실이 확인되는데, 그와 세키노타다시가 이끌었던 고적조사위원회가 내세운 1차년도 기획조사의 대상이 다름 아닌 漢治郡관련 유적이었다. 조선역사의 저급성과 타율성을 논하는 가장 중요한 근거인 식민지 낙랑군을 시각적으로 확인시켜주는 물적증거를 생산해 내는 방편이기도 했던 낙랑고고학은 강점기간 내내 국가권력으로부터 그 효용성을 인정받았다. 반면 그러한 과정을 통해서 위만조선을 포함한 고조선의 고고학적 실체는 서서히 사라져 간 것이다. 결국 일제강점기 낙랑고고학의 가장 큰 문제는 고조선을 없애고 그 자리에 낙랑군을 가져다 놓은 점이라 할 수 있다. 만약 1916년도에 시작된 고적조사 5개년 사업을 한국인이 주도했다면, 그 첫 번째 조사대상은 분명히 고조선의 고고학적 실체였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We can admit that Nakrang archeolog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ttracted excessive attention about artifacts related to China excavated in areas around the city of Pyeongyang there by establishing an atmosphere in which northwesternregion of Korean peninsula was regarded as acolony of ancient China. Moreover, Nakrang ruin sand excavated artifacts became so popular that people were luredintopossessing Nakrang relics. Consequently, this led to many Nakrang ruins having been despoiled. The investigation of Nakrang ruins conducted for the first time in 1909 by a team led by Sekino Tadasi was not purposely aimed at creating historical view based on colonialism from the very beginning. This can be said for the reason that we can find no trace of efforts made by Sekino's investigation team to find out Nakrang relics more than anything else. This is what makes Sekino different from Kuroita Katsumi who concentrated his efforts on finding out archeological evidences that could prove existence of Japanese colonial organization at Imna(任那日本府). But overall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investigation was changed with the establishment of [Historic Ruins Investigation Committee] and enforcement of [Rules for Preservation of Historic Ruins and Relics] in 1916. We can find out that Kuroita Katsumi who planned and led historic view based on colonialism intensively involved himself in the investigation for Nakrang relics from that time on. The subject of planned investigation Historic Ruins Investigation Committee came up with in the first year of the investigation program was something related to “Hanchigun(漢治郡)” or Nakrang relics. We can admit without reservation that popularity for Nakrang archeology maintained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somehow caused Nakrang culture to be recognized as nothing but Chinese culture itself. On one hand, Nakrang archeology was a means to produce physical evidences visually proving the existence of Nakranggun(樂浪郡) which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grounds for the history of Joseon(朝鮮) Dynasty to be seen as low in class and dependent. This resulted in effectiveness of Nakrang archeology being recognized by the governmental power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of the colonial rule. On the other hand, archeological substance of ancient Joseon including Wiman Joseon(衛滿朝鮮) faded out slowly over time through such process. It is perceived that the biggest damage inflicted by Nakrang archeolog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to get rid of the ancient Joseon and put Nakrang instead in its place. We are confident that if it had been Koreans who led the 5 year investigation program for historic ruins that began in 1916, the first subject of investigation would have been archeological substance of ancient Joseon(朝鮮) which stood for a year against an attack mounted by an army of 50,000 soldiers sent by the Emperor of Han(漢) Dynasty.

      • KCI등재후보

        낙랑군 역사의 전개

        권오중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人文硏究 Vol.- No.55

        The Lo-rang commandery was set up in 108 BC. in the region of Joseon(朝鮮) which was destroyed by Emperor Wu of the Han dynasty. Lo-rang lasted for a long periods despite of its being located far from the capital and a main residental area of Barbarians, although commandery(郡縣) was the organization that should be continuously managed by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Lo-rang exerted influence on the ancient Korean history as much as its long history over four hundred years. To understand the reasons for its being and its roles, it is necessary to compare two situation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Lo-rang commandery. Joseon took effective control of the region of the Eastern Barbarian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commanderies. Joseon actively admitted displaced and migrated people from China and subjugated adjacent states.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Han dynasty, the unification of the region of the Eastern Barbarians by Joseon would have been possible. It is also highly feasible that an strong and large territorial kingdom rose early.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anderies of Han drove in a wedge against the possibility. The advent of an ancient kingdom became possible after the fall of the Lo-rang commandery and its form was not integrated but was divided into Koguryo, Baekje and Shilla, diverging from the region of Lo-rang(Daifang). In these respects it is evaluated that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Lo-rang commandery is successful. Although the intention of China, which is to appoint Joseon as an External Vassal before setting up commanderies and then to subjugate the region of the Eastern Barbarians, failed, subjugation by the Lo-rang commandery was successful. That's why Chinese statesmen didn't give up the Lo-rang commandery like an isolated island. In its role, the Lo-rang commandery is different from the counties(commanderies) in China proper which control the subjugation of Barbarians. As the commanderies established in the main residental areas of Barbarians commonly have a function to maintain subjugation, it seems possible to classify the Lo-rang and the similar commanderies as the subjugated commanderies(內屬郡). 漢武帝가 조선지역에 설치한 낙랑군은 4세기 이상의 역사를 유지하였다. 낙랑군과 동시에 설치된 眞番․臨屯郡은 폐지되고, 玄菟郡은 관리가 용이한 지역으로 이전하였음에 반해 낙랑은 본래의 위치에서 시종하였다. 물론 4백여 년의 역사가 한결 같았던 것은 아니다. 중앙의 행정체계가 강하게 작동한 시기가 있었는가 하면, 방치된 채 현지 민간의 손에 이끌린 시기도 있었다. 군현이라는 지방행정 기구로서의 모습은 후대로 갈수록 퇴락하였지만, 중요한 사실은 역대의 중국 왕조들(前漢-新-後漢-魏-晉)이 열악한 기구인 낙랑을 쉽게 포기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낙랑이 동이지역에서 수행한 역할 때문으로서, 그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선 낙랑군 설치 이전과 이후의 상황을 비교하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낙랑군 설치 이전의 동이지역은 조선이 주도권을 잡던 시기였다. 당시의 조선은 중국(漢)에서 망명한 유이민들을 적극 수용하면서 주변국을 복속시켜 나갔다. 한제국의 개입이 없었다면 조선에 의한 동이지역의 일원화를 가정해 볼 만한 상황이었다. 또한 조선으로 대표되는 강력한 영토국가나 고대국가가 조기에 출현하였을 가능성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과는 반대로 중국이 군현을 설치한 일은 이러한 흐름에 쐐기를 박는 일이었다. 중국이 동이지역에 통치기구인 군현을 설치한 일 자체가 그러할 뿐 아니라, 일원화를 지향하던 지역에 4개의 군 그리고 다수의 현을 설치하여 분할을 도모하였던 것이다. 다수의 군현을 설치한 일은 조선 또는 동이지역에 대한 분할이자 분산이었다. 군현이 몰락한 이후에도 동이의 일원화는 성취되지 못하였다. 고대국가의 출현은 낙랑군 소멸 이후에야 가능했으며, 그 형태도 통합된 것이 아니라 낙랑(대방)의 소재지를 분기점으로 하여 고구려․백제․신라로 분할된 형태였다. 동이지역에서 국가의 발전단계가 지연되었다는 사실이나 국가의 출현 형태도 통합된 형태가 아닌 분할된 구도를 보였다는 사실은 낙랑군의 영향력을 실감하기에 충분하다. 낙랑군의 존재로 인해 동이지역의 국가들은 성립과 발전에 장애를 받았다. 이점에서 낙랑군은 부여된 역할과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군현을 설치하기 이전 조선을 외신으로 삼아 동이지역의 內屬을 관리하려는 중국의 의도가 실패하였음에 반해 낙랑군을 통한 동이 지역의 내속 관리는 성공적이었다. 이 때문에 중국의 위정자들은 孤島와도 같은 낙랑군을 포기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낙랑은 오랜 수명을 누릴 수 있었다. 한편 낙랑군은 기능 면에서 볼 때 일반 군(內郡)과는 달리 夷人의 내속을 관리한다는 특별한 기능을 갖고 있었다. 내속 관리의 기능은 낙랑군과 같이 이인의 본거지에 설치된 군현에 공유된 내용으로서, 이점에서 낙랑군과 유사한 군에 대해선 일반 군과는 다른 새로운 유형 분류가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樂浪 關聯 墓誌銘에 보이는 箕子 繼承 意識

        鄭雲龍(Jung, Woon-Yong)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문헌이나 묘지명에 보이는 낙랑 관련 인물의 성씨는 주로 韓氏와 王氏이다. 이들성씨는 『史記』 조선전의 韓陰과 王唊에서부터 찾아진다. 이들과 연관된 인물이 낙랑군 주민 중 ‘토착 조선인’에 해당한다. 낙랑군 시기인 기원후 30년 즈음에 난을 일으킨 王調도 마찬가지라 여겨진다. 한편 낙랑군 420여 년을 크게 前期와 後期로 구분할 경우, 전기는 國邑體制가 유지되어 토착적 성격이 드러난 사회라면, 후기는 점차 郡縣體制가 강화되면서 중국 문화의 영향으로 ‘토착 조선인’의 漢化가 이루어진 시기라고 본다. 이때 낙랑군 지배를 위하여 漢에서 이주해 온 官人이나 대외무역에 종사하던 商人및 정치적 이유로 인해 도망해 온 사람 등 소규모 인원이 ‘移住漢人’으로 구분 가능하다. 한편 고조선 이래 중국 세력에서 벗어나, 고조선 사회에 정착해 있던 낙랑군 사회의 ‘土着漢人’들은 중국의 차별적인 정책에 의해 ‘逸民’이라 자칭하면서 자신을 위안했다고 여겨진다. 이처럼 후기를 경과하여, 낙랑군 멸망 이후 이미 漢化된 한 씨・왕 씨 등 낙랑 계통 ‘토착 조선인’ 성씨 집단은 慕容燕의 僑郡인 낙랑군 등 중국 사회로 이주해 간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 중국 왕조의 중앙 정치에 진출하여 활동한 존재로 낙랑과의 연관성을 내세우며 기자 계승 의식을 갖고 있었던 인물들이 있다. 이러한 인물들은 王波의 후손인 王禎・王基를 비롯하여, 王舒등이 묘지명을 통해 확인된다. 이들이 중국 北魏・北周왕조 때 왕실과 통혼하면서, 자신의 가문도 朝鮮侯였던 기자의 후손임을 강조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으로써 묘지명에 기자와 자신 가문의 혈연적 연계를 주장하는 기자 계승 의식이 남게 되었다고 본다. 그러나 낙랑군 존속 시기에 한씨나 왕 씨 집단이 기자 계승 의식을 갖고 있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이 경우 『唐書』 등에 고구려에는 箕子神을 섬기는 淫祀가 있었다는 기록이 주목된다. 고구려가 낙랑 지역과 그 백성을 포섭하였음을 감안한다면, 낙랑군 당시에도 ‘토착 조선인’ 사회 특히 낙랑 계통 한 씨・왕 씨 집단에서는 기자의 존재를 자신 가문의 祖先으로 인식했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그러한 인식은 낙랑군 당시에 크게 강조되지 못했을 것이다. 낙랑 계통 인물 또는 가문의 기자 계승 의식 강조는 6세기 초 북위・북주에서 왕실 인물과 통혼을 하게 됨에 따라, 자신들이 가계도 고대 조선의 왕실 가문이었음을 내세울 필요에서 비롯한 것이라 보인다. Family names related with Nakrang are mainly ‘Han’ and ‘Wang’, which can be proved by several references or epitaphs. These family names come up from ‘Han Eum(韓陰)’ and ‘Wang Gyeop(王唊)’ who were recorded in Joseonjeon(朝鮮傳), a part of 『Saki(史記)』. They are the natives of Nakrang, so-called "Native people of Joseon (土着朝鮮人)", who had been living in Nakrang since Old Joseon. Wang Jo(王調), who broke out rebellion in about 30 A.D. known as the period of Nakrang Commandery, is also considered to be descended from the Wangs. When we divide the 420 years of Nakrang Commandery into former and latter period, native cultural disposition occurs in the former period, when the society was under the feudal system(國邑體制). In the latter, centralizing system with local administration(郡縣體制) gradually settled down and the culture of the native people of Joseon harmonized with Chinese’, which can be defined as ‘Hanwha(漢化)’. Governers(官人) who came to rule Nakrang Commandery, merchants(商人) who were engaged in international trade, and several people who made an escape from political reasons are classified as ‘Immigrant Hans(移住漢人)’. Due to their immigration, it seems that ‘Native Hans(土着漢人)’ in Nakrang society who had settled down with the natives since Old Joseon comforted themselves by self-addressing ‘Ilmin(逸民), under the discriminative policy from China. After the fall of Nakrang Commandery, it is considered that families of the natives including the Hans and the Wangs who had already adapted Chinese culture (Hanwha), moved to temporarily so-called Nakrang-kyogoon(僑郡), at Moyong state(慕容燕), China. There are several personages who entered the political world of Bukwee(北魏), Bukjoo(北周) dynasty, keeping consciousness of inheriting Kija associated with Nakrang. They were engraved on epitaphs, known as Wang Jung(王禎), Wang Ki(王基), Wang Seo (王舒), the descendants of the Wangs. They got married to royal family of Bukwee, Bukjoo dynasty, emphasizing that they were also the descendants from Kija, who once was a king of Old Joseon. In this process, epitaphs showing the consciousness of inheriting Kija were made to insist their relationship with Kija. However, it isn’t sure that the Hans or the Wangs had been inheriting Kija during the period of Nakrang Commandery. In this case, 『Dangseo(唐書)』 becomes the key, as it says there was Eumsa(淫祀), serving Kija as a god, in Goguryeo. Considering Goguryoe embraced the region of Nakrang, the natives, especially the Hans and the Wangs, recognized Kija as their ancestor in the Nakrang period. However, this awareness might not had been significant at that time. It seems that the consciousness of inheriting Kija or personages of Nakrang descendants became crucial in about 6th century, on account of their need to insist their royalty from Old Joseon dynasty to get engaged to royal family of Bukwee, Bukjoo dynasty.

      • KCI등재

        ‘樂浪史’ 時代區分 試論

        權五重(Kwon O-jung)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3

        낙랑군은 4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존속하였다. 이처럼 오랜 기간을 하나의 단일한 시대로서 이해하기는 곤란하며 또한 낙랑군의 모습은 시기에 따라 차이가 뚜렷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낙랑군의 역사에 대한 시대구분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이 여섯 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는 한무제가 조선을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그 지역에 낙랑군을 비롯하여 군현을 설치했던 시기이다. 이 시기는 중국적 지배방식을 현지 주민에게 강요하던 시기로서 지배형태는 무단적이었으며, 이에 따른 원주민의 반발도 만만치 않았다. 그 시기는 무제기에 해당한다. 제2기는 한무제의 사망이후 원주민에 대한 지배가 다소 완화되었던 시기이다. 진번군과 임둔군이 폐지되고 현도군이 이사한 것도 이 때문으로서, 이 시기는 공권력에 대신하여 민간(주민)의 역할이 확대되었다. 특히 낙랑인 王調가 봉기한 후한 초는 민간 활동의 전성기라고 할 만하다. 제3기는 후한이 왕조정권을 진압한 이후 낙랑에 군현의 공권력을 복원하던 시기이다. 이 시기 이후 민간의 교류는 2期의 산동에 대신하여 요동에 의존하였으며, 특히 祭?이 요동태수로 재직하던 시기 낙랑에 대한 요동의 영향은 컸다. 이 시기는 2세기 초 安帝期까지 지속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제4기는 후한 중기부터 말기에 이르는 시기로서 이 기간 중 낙랑군은 크게 쇠퇴하였다. 그 원인은 낙랑 밖의 원주민사회가 성장한 때문으로서 이로 인한 낙랑주민의 동요와 이탈이 있었다. 낙랑을 지원해야 할 漢 조정도 무기력한 상태로서 낙랑의 쇠퇴는 후한말까지 계속되었다. 제5기는 후한 말기에서 曹魏의 기간으로서, 이 시기 낙랑군은 요동에 자리한 세력의 지원을 받아 부흥의 기회를 맞았다. 요동에 공손씨정권이 출현하면서 낙랑은 그 지배 아래 있었는데, 2대 군주인 公孫康은 낙랑군 남부에 대방군을 신설하여 낙랑주민의 이탈 문제를 해결하였다. 공손씨정권이 붕괴한 이후엔 요동에 주둔한 幽州刺史가 대신하여 낙랑과 대방을 지원하였다. 제6기는 낙랑 최후의 시기로서 魏ㆍ晉의 교체기로부터 西晉 말기에 이르는 시기이다. 이 때에 낙랑과 대방에서 군현체제를 확인하기 어렵다. 잠시 東夷校尉의 후원을 받는 시기가 있었으나 그 영향은 과거 요동군이나 幽州刺史府의 지원에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고 낙랑 최후의 과정은 官府의 모습이 아닌 주거집단으로서의 모습이었다. This study attempts the periodization of Lorang history and divides the six historical periods as below. The first period features that Han Wu-ti conquered Gojoseon(古朝鮮) and set up four commanderies including Lorang commandery in that area. As it forced the chinese ruling system on the barbarian inhabitants, its ruthless governance faced with resistance of the aboriginal inhabitants. The first period amounts to Han Wu-ti(漢武帝)'s reign. The second period features that the loosened governance on the aboriginal inhabitants after Wu-ti's death. As this caused Zhenfan(眞番) and Lintun(臨屯) to be abolished and Xuantu(玄?) to be moved, nongovernmental circles came to play extended roles instead of public power. The early of the later Han Dynasty in which Wangjo(王調), a native of Lorang, rose in rebellion, is the zenith of Lorang history. The third period features that the later Han restored commandery system to Lorang after suppressing the regime of Wangjo. Nongovernmental interchange from this period based on Liaodong(遼東) instead of Shandong (山東) of the second period. At the time of Zhaitong(祭?) appointed as the governor of Liaodong, had influence on Lorang. This period lasted until the reign of An-ti(安帝) at the early second century. The fourth period features that Lorang commandery was wasting away from the middle to the end of the later Han. As the native societies at the outside of Lorang came to develop, the Lorang residents were in disturbance and fled from Lorang. The Han Dynasty was so incapable of supporting Lorang that the decline of Lorang lasted by the end of the Later Han. The fifth Period features that Lorang commandery was restored with the support of local power in Liaodong from the end of the later Han to the kingdom of Cao Wei(曹魏).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Gongsun Kingdom(公孫氏政權) in Liaodong, Lorang was under the control of the Kingdom. Gongsun Kang(公孫康), the second ruler of the family, established the Daifang commandery(帶方郡) at the southern half from the Lorang and settled the problem of Lorang residents' breakaway. After the collapse of the Gongsun Kingdom, Regional Inspector of Yuchou(幽州刺史) who stayed in Liaodong supported Lorang and Daifang. The sixth period features the ending of Lorang from the replacement period of Wei(魏)and Jin(晉) to the end of the Western Jin Dynasty. It is hard to ascertain the commandery system in Lorang and Daifang at this time. The Commandant of Eastern Barbarians(東夷校尉) supported Lorang for a while but its influence was less than the support of Laiodong commandery (遼東郡) and Regional Inspector of Yuchou. The last appearance of Lorang looked not like an administration but like a inhabitants group.

      • KCI등재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의 변천과 전개 양상

        이우재(Lee, Woojae) 한국상고사학회 2021 한국상고사학보 Vol.114 No.114

        본고는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그리고 지역별로 그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나아가 낙랑계토기가 나타나던 시기의 북한강유역 물질문화의 흐름을 분기별로 파악해 보았다. 먼저 변천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북한지역 낙랑토기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점차 옅어지면서 독자적 변화 과정을 거쳤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에 낙랑토기에서 확인되는 특징적 속성들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낙랑계토기에서 나타나는 유의미한 속성들을 통해 기종별로 분류 기준을 세워 형식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북한강유역에서 나타나는 물질문화상의 특징적 변화들을 기준으로 단계를 구성하고, 단계별로 낙랑계토기 기종과 형식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낙랑토기 제작기법은 늦은 단계까지 지속되지만 단계적으로 형태·양식적 측면에서 변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몇몇 기종과 형식은 단계별로 새롭게 출현하거나 낙랑토기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는데 이는 서북한지역과의 지속적 교류에 따라새롭게 등장한 낙랑계토기로 이해된다. 또한 평저호와 타날문단경호는 형식 변화가 단계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기에 이를 중심으로 낙랑계토기 단계별 변천안의 큰 틀을 설정하였고, 기타 기종들을 단계 안에 위치시킴으로써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 변천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본고에서 설정한 변천안을 토대로 지역별 낙랑계토기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결과 춘천 지역 취락에서 기원후 1세기 어느 시점에 낙랑계토기가 출현한 이후 2세기에 이르러 주변 지역으로 점차 확산된 것으로 보았다. 낙랑계토기 변천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 북한강유역 전역에서 낙랑계토기가 확인되는 가운데 가평 대성리 유적, 홍천 태학리 유적 등으로 대표되는 대규모취락들이 각지에서 출현 또는 성장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낙랑계토기의 변천과 전개 양상, 그리고단계 구분에서의 표지자료를 통해 북한강유역 물질문화의 분기를 Ⅰ기와 Ⅱ-1기, Ⅱ-2기로 나누고각 시기별로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낙랑계토기 단계별 변화 및 전개 과정과 기존 편년연구를 통해 알려진 물질문화상의 변화가 상호 연동되어 나아가는 일련의 흐름을 짚어볼 수 있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in settlements in the Bukhan River basin. In addition, I examined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by region, and furthermore, identified the flow of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during the period when the pottery first appeared. Firs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development, I assumed that Lelang-type pottery in the Bukhan River basin went through its own changes as the characteristics of Lelang pottery in the western North Korea region gradually faded over time. Thus,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identified in Lelang pottery and set up models by establishing classification criteria for each type through the significant properties found in Lelang-type pottery. In addition, I constructed the phases based on characteristic changes in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and looked at the types and models of Lelang-type pottery phase-by-phase. As a result, I could see the making techniques of Lelang-type pottery lasting until late phases, but being transformed in terms of form and style by phase. However, some types and models were newly introduced by phase or strongly influenced by Lelang pottery, which were understood as a newly emerged Lelang-type potteries due to continuous exchanges with the western North Korea region. Also, the changes of the Flat-bottomed Jar and the Beating- Patterned, Short-Necked Jar were more clearly identified than other models. Therefore, I proposed an idea how Lelang-type pottery in the Bukhan River basin was developed by focusing on the changes of the two models and positioning other models within the phase. Next, I looked at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by region based on the idea set by this study. As a result, it was believed that Lelang-type pottery appeared at some point in the 1st century A.D. in Chuncheon region and gradually spread to neighboring areas in the 2nd century. While Lelang-type pottery was identified throughout the Bukhan River basin at the last phase of the development, I understood that large-scale settlements like Daeseong-ri site in Gapyeong or Taehak-ri site in Hongcheon had appeared or grown in various regions. Through the changes, aspects of development, and markers used for phase division, I divided the divergence of the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into Phase Ⅰ, Phase Ⅱ-1, and Phase Ⅱ-2, and examined it phase-by-phas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point out a series of flows in which the phase-by-phas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and the changes in material culture known through existing polarization studies are being interconnected.

      • KCI등재

        낙랑군 출토 봉니의 진위에 대한 기초적 검토

        오영찬(Youngchan Oh)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8 No.-

        낙랑군 유적에서 출토된 봉니는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수집품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된 99건 197점, 1935년 낙랑토성 발굴 조사에서 출토된 후 도쿄대학에 남겨진 15점, 그리고 1937년과 1938년 두 차례에서 걸쳐 도쿄국립박물관에서 구입한 9점이 전해진다. 낙랑 봉니는 1919년 최초 확인되었는데, 발굴 조사에서 출토된 정식 발굴품이 아니라 식민사학의 불순한 의도 하에 조선총독부박물관 주도로 수집되었기 때문에 진위에 대한 의심이 끊이지 않았다. 이후 계속적으로 확인된 봉니들도 대다수가 발견품으로 신고되어 입수되었거나 고미술상을 통해 구입된 발견품이어서 진위의 논란은 계속되었다. 이러한 연유로 1930년대 위당 정인보는 '낙랑 봉니 위조설'을 제기하였고, 해방 이후 고조선의 재요녕성설에 입각한 북한 학계에서도 '낙랑 봉니 위조설'을 다시 주장하였으며, 1980년대 일본 학계의 반론이 이어지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봉니의 진위는 印文의 내용과 印式의 시대적 특징, 인문의 관명과 印制, 봉니의 형태적 특징 등을 통해 판별이 가능한데, 본고에서는 먼저 봉니의 후면과 측면에 있는 세부 흔적으로 통해 봉함 방식을 복원하고, 이를 진위 판별의 단서로 삼았다. 이 과정에서 1935년 낙랑토성에서 정식 발굴된 봉니들과 그 이전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수집한 봉니를 상호 비교하였다. 현재까지 확인된 대부분의 낙랑 봉니는 檢위에 부착된 것이었다. 낙랑 봉니는 형태에 따라 크게 凹式檢과 箱式檢에서 나온 두 종류로 구분 가능하다. 다음으로는 검 바닥면의 홈이나 돌대의 유무를 두었으며, 마지막으로 끈을 돌리는 방식에 따라 다시 분류하였다. 이러한 낙랑토성 출토품 봉니의 제 형식을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수집한 다수의 봉니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낙랑토성에서 출토된 봉니와 그 이전 시점에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입수한 봉니의 인문 字體를 상호 비교하여 낙랑 봉니의 진위 문제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낙랑토성 발굴품과 1935년 이전 입수된 조선총독부박물관 구입품 사이에 동일한 군명을 공유하고 있는 사례를 파악하여 상호 비교함으로써 진위 여부를 검 토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수집품 낙랑 봉니들이 진품임이 밝혀졌으며, 일부 진위가 의심스러운 봉니들도 확인되었다.따라서 정인보와 북한학계의 주장처럼 낙랑 봉니가 전부 위조품은 아니었으며, 藤田겮策의 주장대로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구입한 낙랑 봉니에 대해 진위를 의심할 필요가 없는 것도 아니었다. 따라서 낙랑 봉니의 전체에 대한 일방적인 진위 주장을 근거로 낙랑군의 실재나 군현 지배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낙랑 봉니의 경우 개별 유물에 대한 진위 검증을 전제로 역사 자료로 활용되어야 하며, 앞으로 본고에서 제기한 방법론 뿐 아니라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e clay seals from Lelang Commandery sites has been stored in three institutions; 197 piece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were turn over from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45, 15 pieces in Tokyo National University of Japan that were excavated in 1935, 9 pieces in Tokyo National Museum of Japan which were purchased in 1937 and 1938. The clay seals in Lelang were first found in 1919, of which the authenticity had been suspected continuously, because these were not excavated by the archaeologists but discovered, and collected by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the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Lelang commandery in the northwestern part of Korea, which was the one of intentions of reconstructing Korean history in view of colonial perspective. Jeong Inbo, the famous nationalist historian insisted that the clay seals collected by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ere all forgeries, which was an attempt to deny the existence of Lelang commandery in the northwestern Korea. The scholars in North Korea since 1950s followed Jeong’s opinion, which was linked with the discussion on the capital of Old Joseon, but some Japanese scholars argued back in 1980s. In this article, I try to restore the sealing method with clay seals by looking into the details of the back side and sides of the clay seals in Lelang. Then I compared the clay seal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acquir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the clay seals excavated at the Lelang fortress in 1935 which have not been suspected forgeries, in terms of the details of the back and sides, the character shapes and the names of the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imprinted in the clay seals. These surveys are all utilized as the clues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 KCI등재

        樂浪郡의 推移와 嶺西 地域 樂浪

        李道學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4

        B.C. 108년에 설치된 한사군 가운데 낙랑군의 소재지를 313년까지 지금의 평양 지역으로 국한시킨 견 해가 정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낙랑의 소재지를 충족시켜주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낙랑 관련 자료를 재검토해 보았다. 평양 지역의 낙랑군은 설치된 지 1세기가 지나서부터는 쇠약의 기미를 보였다. 이후 낙랑군의 존치와 폐치는 거듭되었다. 그리고 韓濊의 강성으로 2세기 후반에는 낙랑군의 통제력이 급속히 이완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이전에 이미 고구려의 南進으로 인해 평양 지역의 낙랑군은 압록강을 넘어서 안평 以北으로 이동하였다. 이렇게 성립한 요동의 낙랑군이 대표성과 상징성을 함께 지니면서 대방군과 더불 어 存置되었다. 역대 중국 왕조에서 삼국 왕들에게 수여한 爵號에 '樂浪'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럴 정도로 낙랑이 지닌 지배권적 명분은 지대했던 것이다. 그랬기에 요동에 存置된 낙랑은 이후 폐 지와 부활을 거듭하면서 6세기대까지 존속할 수 있었다. 그런데 평양 지역의 낙랑군 주민 일부는 嶺西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삼국사기』에 보이는 백제의 동쪽에 소재하면서 신라까지 침공한 낙랑의 태 동이었다. 낙랑군의 分解를 읽을 수 있다. 영서 낙랑은 지금의 강원도 春川에 소재하였다. 이것을 뒷받 침할 수 있는 문헌적 근거와 물증도 제기된다. 4세기대에 접어들어 요동의 樂浪郡과 帶方郡은 고구려의 집요한 공세를 견디지 못하고 前燕으로 歸附 하고 말았다. 嶺西 樂浪 역시 고구려의 압박으로 인해 해체의 길을 걸었다. 그런데 嶺西 樂浪은 진번이 나 임둔, 그리고 제1현도군과 마찬 가지로 뚜렷한 고고학적 물증을 남겨놓지 못하였다. 앞으로 구명해 야할 과제로 남아 있다. It was widely-accepted theory that the location of Nanglang commandery, one of Hansagun that were established in 108 B.C., was confined to Pyongyang until 313. However, it couldn’t meet the location of Nanglang i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I reexamined the material about Nanglang with a critical mind. Nanglang Commandery in Pyongyang region showed signs of decay after a century of establishing. Since then, there were constant maintenace and demolition. As Hanyea(韓濊) becoming powerful, control of Nanglang relaxed rapidly in the late 2ndcentury. However prior to that, due to southward advance of Goguryeo(高句麗), they moved to the north of Xi’anping passing over the Yalu. Nanglang Commandery of Liaodong area was established with representability and symbolization, along with Daifang in this way. A line of kings in China, ‘Nanglang’often appeared in the names of government posts which were given to the kings of the Three States. To that extent, control cause of Nanglang was profound. That’s why the Commandery of Laiodong exists until 6thcentury repeating abolition and reinstate. But some residents in Nanglang Commandery of Pyongyang moved to the west side area of Gangwon province. It was the beginning of Nanglang which was located in the east area of Baekje and once attacked Silla, according to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Breakup of Nanglang Commandery can be read. The west side area of Nanglang is now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Supporting evidences are also suggested. As 4thcentury is ushered in, Nanglang of Liaodong and Daifang obeyed Yan, because they were unabled to stand Goguryeo’s persistent attack. The west side area of Nanglang came to breakup due to the pressure of Goguryeo, too. However, they are lack of archaeological proof, like the cases of Jinbeon, Limdun, and First Hyeondo Commandery. These are remained problems to be solved.

      • KCI등재

        樂浪 木槨墓의 棺槨制度 연구

        包永超(Bao, Yong-chao) 중부고고학회 2018 고고학 Vol.17 No.3

        서기전 2세기 말기부터 낙랑지역에서 새로운 묘제인 목곽묘가 등장하여 서기전 1세기에 낙랑군 각지에서 대량 보급이 시작되었다. 낙랑군 군현제도의 공고화, 관리 체계의 완성, 변 군과 중원 내지 관계의 강화에 따라 한식 관곽제도가 낙랑군에 도입되었다. 낙랑 목곽묘의 관곽제도는 4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낙랑 목곽묘 관곽제도의 변천 과정은 제1기 수용기 → 제2기 발전기 → 제3기 僭越기 → 제4기 혼란기로 구분할 수 있다. 낙랑 전실묘가 제4기 혼란기에 등장하였던 점은 이러한 변천이 동북아시아의 정치 상황의 변동과 그에 따르는 한문화의 수입 및 그 요건 등과 큰 관련이 있었던 때문이라 판단된다. 다만 낙랑 목곽묘와 관련 지역인 요서ㆍ요동군과 廣陵國의 관곽제도와 비교해 보면 낙랑지역의 관곽제도는 요서ㆍ요동군과 광릉국의 관곽제도처럼 전국 말기의 관곽제도 전통을 계승하는 현상이 보이지 않는다. 이는 자료의 한정성 때문일 수 있다. 그리고 낙랑 목곽묘 3기부터 관곽제도를 참월했을 뿐 아니라 관곽 중첩수도 중원지역과 차이가 있었다. 중원지역의 관곽 양식에서 곽의 중첩수가 보통 2중을 넘지 않지만, 낙랑 목곽묘의 곽은 4중 곽까지 나타났으며, 이는 중원지역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관의 사용에서도 낙랑지역은 중원지역과 달리 1중 관이 대부분이고 예외적으로 2중 관이 사용되는 것에 비해 중원지역의 높은 등급인 목곽묘는 2중 관을 채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형식은 낙랑지역의 특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Wooden-chambered tombs existed in nangnang in the 2nd century BC and later Han system of inner and outer coffins passed into this region. This study mainly discusses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system in Nangnang perio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Nangnang wooden-chambered tombs are divided into four phases according to typical artifacts in them. Examine layer patterns of the coffins in each period, and verify whether burial objects that can manifest the difference in identity reflect the difference in ranks. Wooden-chambered tombs of phase I present a 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one outer coffin and chiefs of indigenous peoples may be their owners. Wooden-chambered tombs of phase II include a three-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two outer coffins or two inner coffins and one outer coffin, and a two-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one outer coffin. Through investigating the identity of the tomb owner and the funeral objects capable of manifesting differences in identity, we speculate that dependent officials of nangnang and other senior Aboriginal Chinese groups might use a three-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two outer coffins and a county magistrate or an officer in charge of affairs of indigenous peoples as well as dependant officers might use a two-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one outer coffin. The use of layer patterns of coffins is in accordance with hierarchy of Han Empire. Wooden-chambered tombs of phase III have a four-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three outer coffins, a three-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two outer coffins and a two-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one outer coffin. Through investigating the identity of the tomb owner and the funeral objects capable of manifesting differences in identity, we speculate that level-1 senior officers of a county used a four-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three outer coffins. Tomb owners of one inner coffin and two outer coffins and one outer coffin and one outer coffin are unknown. However, through investigating funeral objects capable of manifesting differences in identity, we argue that their owners had less distinguished identities than those of one inner coffin and three outer coffins, and the owners of one inner coffin and two outer coffins were nobler than those of one inner coffin and one outer coffin. The above show that the system of inner and outer coffins was established. However, the system of nangnang had broken away from the criterion of Han Empire and created a system of its own. Wooden-chambered tombs of phase IV present a five-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four outer coffins, a four-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three outer coffins, a three-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two outer coffins, and a two-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one outer coffin. Through investigating the identity of the tomb owner and the funeral objects capable of manifesting differences in identity, we know that the use of coffins had been out of rule to the extent that not only feudatory kings used five-layer patterns of coffins, but just feudatory kings of the Western Han Dynasty used Ticou(题凑). The grade of coffins and the rank of burial objects do not agree.

      • KCI등재

        의도된 오독(誤讀) - 일제강점기 낙랑문양(樂浪文樣)의 창출

        주경미 ( Kyeongmi Joo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6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8 No.-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일본의 조선 고적조사 사업과 근대 한일 시각문화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이다. 여기에서는 평양 인근에서 발굴된 낙랑시대 고분 출토 칠기 및 기타 유물의 연구가 식민주의적 관점에서 진행되면서, 근대 한국 공예 미술 발전에 기묘하게 왜곡된 영향을 주었음을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의 식민지 경영 정책에 맞추어 교묘하게 변형되어 근대적으로 재창출된 한국근대의 시각문화는 지금까지도 현대 한국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동경미술학교 출신의 일본 근대 미술가 오바 츠네키치와 롯가쿠 시스이는 조선총독부의 주관 아래에서 이루어진 평양의 낙랑 고분 발굴 및 낙랑칠기 연구에 힘쓰면서, 근대적 개념의 낙랑칠기와 낙랑문양을 재창안하였다. 그들이 만들어낸 아시아주의적 전통 공예 양식과 근대적 도안학은 식민지 조선의 역사적 증거물로서 오독된 낙랑 고분의 연구에 근거한 것이다. 식민사관을 가지고 있던 일본 근대 미술가들의 고대 시각문화 오독은 낙랑칠기를 식민지 조선의 전통 공예미술 양식으로 인식시켰다. 그들의 영향 아래에서 근대 한국 공예계는 근대적 의미의 낙랑칠기와 낙랑문양을 잊혀졌던 한국의 전통 미술 양식으로 또다시 오독하면서, 낙랑문양과 낙랑칠기 양식을 재생산하게 되었으며, 그 전통은 현대 공예계에도 남아 있다. 고대 시각문화 유산에 대한 근대적 오독과 그 결과물들에 대한 2차적 오독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근대 한국의 전통으로 자리 잡게 된 낙랑칠기와 낙랑문양은 근대 일본인들의 식민주의적 역사관과 아시아주의적 가치관 아래에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근대 한일 문화예술계에서 반복되었던 전통 시각문화 오독의 역사는 앞으로 좀 더 정밀하고 객관적으로 검토되고 인식되어야할 중요한 과제이다. This is a study firstly on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project of historical remains and sites in Korea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secondly its influence on the modern visual cultures of Korea and Japan. In this paper, I researched that the excavation and preservation project of Nangnang period tombs near Pyongyang conducted by Japanese Colonial scholars with the sponsorship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nd that those researches and the distorted colonized view on them strongly affected the colonial modern development of Korean arts and crafts. Such distorted and arbitrarily selected modern visual cultures according to the Japanese colonial purpose deeply influenced to the comtemporary Korean traditional cultures. Oba Tsunekichi and Rokkaku Shisui were famous Japanese modern artists as well scholars on traditional Asian art theory in Modern Japan. Both studied and taught at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They joined the excavation and preservation projects on Nangnang period tombs of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during the 1910s-1920s. Oba participated in drawing work of the excavated artifacts from Nangnang tombs for the excavation reports. Rokkaku repaired and studied the most of the lacquerwares from Nangnamg tombs. Their studies and researches on Nangnang lacquerwares and patterns recreated the new modern tradition of Asian lacquerwares and Pan-Asianic art styles. However, those modern Japanese artists did not understand the true cultural nature of the Nangnang tombs and misunderstood them as the legacy of the ancient Chinese colonist from Han dynasty. Their art historical study under their colonial view of Korean history and Pan-Asianism fabricated the archaeological objects as the modern Korean tradition of Nangnang patterns and lacquerwares in Korea and Japan. Under their influence, Korea modern craftsmen misunderstood those appropriated modern Nangnang patterns and lacquerwares as old forgotten Korean traditional art style and have unconsciously reproduced them for a long time until now. It is time to reinvestigate and uncover the distorted but the actual meaning of those modern colonial visual art and invented legacy for understanding the real background of our Korean contemporary culture and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