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기독교인 대학생과 비기독교인 대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선옥,강진구 기독교학문연구회 2021 신앙과 학문 Vol.26 No.3

        This study compares and verifies the effects of group cinematherapy programs for stress reduction among Christian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Live Zoom.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sist of 12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as an experimental group. From the last week of October to the third week of November 2020, it was held once a week for 120 minutes, a total of 4 times for 480 minut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 In conclusion the non-face-to-face cinematherapy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way university students deal with stress and reduce stres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se effects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This is as meaningful result of performing cinematherapy using general cinema for both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It has been shown that Christian Cinematherapists need to have a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to take care of the difficult psychological state faced by non-Christian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at Christian Cinematherapists’ activities can reach non-Christians outside churches. 본 연구는 기독교인 대학생과 비기독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을 라이브 Zoom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고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B도시에 소재한 A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12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여 2020년 10월 마지막 주부터 11월 셋째 주까지 주 1회 120분, 총 4회 480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5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실시간 라이브 Zoom을 활용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비기독교 대학생 집단과 기독교 대학생 집단 간의 스트레스 반응 사전-사후 효과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반응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비대면 실시간 라이브 Zoom을 활용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비기독교 대학생 집단과 기독교 대학생 집단 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전-사후 효과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비대면으로 진행한 영화치료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데 의미 있는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기독교 대학생과 비기독교 대학생 간에는 이러한 효과들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모두를 대상으로 일반영화를 활용한 영화치료를 실행했을 때 거둔 의미있는 결과이다. 기독교 영화치료사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비기독교인이 처한 어려운 심리상태를 돌보고자 하는 사회적 책임의식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기독교 영화치료사의 활동영역이 교회를 벗어나 비기독교인들에게까지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기독교 대학에서의 리더십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K대학교를 중심으로-

        조철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7 No.-

        This study focused on researching Christian university leadershipeducation curriculum. Two hundred fifte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to K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ed seven different general studyclasses and two hundred fifteen questionnaires were gathered(86%response rate). The SPS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was used toanalyze the data. A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used forthe data analysis. Students’ perception of leadership concept was asfollows; ‘servant leadership’, ‘self-leadership’, ‘transformative leadership’,‘emotional leadership’, and ‘behavioral leadership.’ There were significant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degree of the importance of leadershipperception(3.74), leadership mastery(3.11), and leadership educationneed(3.95). Students believed that ‘building Christian perspective’(33.5%) wasthe most important l eadership e ducation t opics followed by s elf-control( 27.7%),Christian spirituality(19.1%), and human relationships(15.5%). Moststudents(90.7%) answered positively to take leadership classes whenthose were provided. Students’ favorite leadership education methods wereas follows: ‘workship’(25.1%), ‘celebrity lecture’(20.9%), ‘lecture’(19.5%), and‘coaching’(16.7%). Leadership capacities required Christian students were asfollows; ‘relationship with God(39)’, ‘servant leadership(31)’, ‘human relationship’(14),‘consideration’(14), ‘humility’(13), and ‘Christian world view’(13). There were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found from this study. First, Christian universities which plan to adopt leadership educationcurriculum should focus on servant leadership. Second, they shouldprovide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of counseling, problem solving,conflict management, and the encouragement. Third, they should alsooffer leadership classes that help students equipping self-control andhuman relationship skills. Fourth, they should emphasize the importanceof Christian perspective and world view, biblical spirituality, Christ-likecharacter, and leadership skills based on biblical principles. Finally,Christian universities’ leadership education could be provided by twotracks, one for the students of department of theology and the other forgeneral major students. 기독교 대학은 학생들의 리더십 역량개발을 위해 어떤 교육과정을 제공할 수 있을까?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은 지방의 대표적인 기독교 대학인 K대학교를 중심으로연구를 진행하였다. K대학교에서 제공하는 198개 교양수업 중 7개를 임의로 선정하여 해당과목 담당교수의 도움을 구한 후,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 중 자원하는 학생들에게 250개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15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86% 응답율). 회수된 양적자료는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추론통계의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개방형 질문의 질적자료는 코딩방식으로 중요한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리더십 개념이해의 질문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으로 이해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셀프리더십’, ‘변혁적리더십’. ‘감성리더십’, ‘행동적 리더십’ 순이었다. 대학생들의 리더십 중요성 인식, 보유수준, 교육요구수준은 5점 만점의 리커트(Liker)척도 기준으로 각각 3.74, 3.11. 그리고 3.95로큰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리더십 역량 측정에서 리더십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4.13)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3.69)보다 교육요구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리더십 교육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할 교육내용들의 결과로, 첫째는 기독교적 가치관수립으로 70명(33.5%)이었고, 둘째는 자기관리 능력으로 59명(27.7%)이었고, 세 번째는 기독교적 영성수립으로 40명(19.1%) 이었고, 그 다음은 대인관계능력이 33명(15.5%) 순이었다. 리더십 프로그램이 개설된다면 수강하겠는가의 질문에 194명(90.7%)이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리더십 교육의 선호방식에 있어서는 ‘워크샵’이 54명(25.1%), ‘강연’이 45명(20.9%),‘강의’ 형태가 42명(19.5%), 그리고 ‘코칭’이 36명(16.7%)이었다. 연구의 결과로 몇가지 함의점들이 발견되었다. 리더십 커리큘럼을 구성하기 원하는 기독교 대학에서는 다음과 같이 교육내용과 방법제공이 가능하다. 첫째, 기독교 대학은 섬김의 리더십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대학은 리더로서의 상담능력, 문제해결과 갈등관리 능력, 그리고 격려하고 인정해 주는 인정감 부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대학은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대학생활을 보낼 수 있는 리더십 교육 내용인 자기관리 능력, 그리고 대인관계능력도 강화해야 한다. 넷째, 기독교 대학은 그 특성상 기독교적 가치관, 성경적 영성, 그리스도를 닮은 인격, 그리고 성경적 원리에 근거한 리더십 기술을 구비(具備)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 기독교 대학에서 사용될 수 있는 리더십 교육방법은 학습의 주제, 학습자의 선호도, 그리고 상황에 따라 워크샵, 강연, 강의, 코칭 등이 다양한 교육 방법들의 적극적인 사용을 권장한다. 그리고, 기독교 대학의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은 신학대학 계열 학생들을 위한 것과 일반계열 학생들을 위한 두가지 트랙 형태로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일반 : 기독교 대학 학생들의 자아 정체성에 관한 연구

        박혜전 ( Hye Jeon Park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1 No.-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 학생들의 자아 정체성을 파악하여 오늘날 기독교 대학의 학생들이 기독교인으로서 어떠한 자기 인식을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기독교 대학이 기독교 대학으로서의 정체성을 얼마만큼 확고히 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며, 기독교 대학 학생들의 자아 정체성 연구는 기독교 대학이 존립하는 이유를 분명히 하고 그 나아갈 방향을 검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게 될 것이다. 또한 기독교 대학이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기독교적 가치관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식 하에 다음과 같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먼저 기독교 대학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대학 이념 및 교과목의 기독교 자아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 하였으며, 다음으로 기독교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의 기독교적 자아 정체성과 신앙적 가치관을 파악하였고, 마지막으로 기독교적 자아 정체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변수들을 파악하였다. 기독교 대학 학생들의 자아 정체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대학의 이념과 가치의 자아 정체성 도움 정도로 나타났고, 성경과목의 기독교 자아 정체성에의 영향정도가 그다음으로 나타나고 있다. The study aims to grasp self-recognition of students these days at Christian universities by understanding their self-identity as Christians. This attempt can become an indicator showing to what extent Christian universities get established as Christian institutions. A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make clear the reason why Christian universities exist and examine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m. It can als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in order that they recover Christian values. With these purposes,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o know about the actual situation of Christian universities, I analyzed the effect of university principles and subjects on development of Christian self-identity, then, investigated self-identity, Christian self-identity and religious belief of students at Christian universities. Lastly, I examined variables that had influence on Christian self-identity.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shown that university principles and value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self-identity formation, followed by courses covering the Bible.

      • KCI등재

        기독교대학 학원복음화 전략을 위한 한 연구

        조용훈,최영근 한국대학선교학회 2015 대학과 선교 Vol.28 No.-

        This paper analyzes why the Christian University fell into the identity crisis in the current situations and also finds out how to restore the Christian identity and strive for the campus evangelization. For the campus evangelization, we propose strategies in terms of both evangelization and Christianization. Evangelization seeks to make non-Christians the disciples of Christ through missionary efforts while Christianization cultivates and disseminates Christian culture and worldview, that is, the foundation and culmination of evangelization. Presenting the cases of Hannam University, we display missionary strategies for the campus evangelization. As for the institutional structure, we argue for restructuring the chaplain’s office into an missionary agency which can activate and intimately connect the various missionary agents in the university such as faculty and staff members, Christian student association, campus missionary groups, and local churches. Regarding the campus evangelization, we emphasize a systematic evangelization program on the one hand: seeding( evangelism) for unbelievers; watering(nurture) for beginners; and growing( leadership training) for leaders. On the other hand, we suggest the Christianization program including integration of faith and learning, formation of Christian culture on campus life, and expansion of Christian worldview. We expect that an effective campus evangelization will help to restore Christian identity and reestablish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Christian university in crisis today and that it will give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Christian university to respond to challenges. 대학이 생존의 위기에 내몰리는 상황에서 대부분의 기독교대학들이 초창기의 비전과 목표를 상실한 채 세속화의 과정을 통해 일반대학으로 변해가고 있다. 본 논문은 기독교대학이 정체성 위기에 빠진 원인을 분석하고, 이러한 위기적 상황 속에서 기독교대학이 본연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본래의소명인 학원복음화를 이루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학원복음화가 전통적 의미의 ‘복음화’만 아니라 ‘기독교화’도 의미한다고 정의했다. 캠퍼스에 기독교적 문화를 만들어가는 일은복음화의 토양이요 동시에 목표가 되기 때문이다. 한남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학원복음화의 전략과 방안을 제시하면서, 하드웨어 차원에서는 교목실을 중심으로 대학구성원, 학원선교단체, 지역교회가 연합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교목실을 사역중심체제로 전환시키며, 교목실이 효율적으로 학과신앙공동체나 기독학생연합회, 교직원들의 선교자원을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교목실의 역량만으로 지금 같은 상황에서학원복음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학원복음화의 소프트웨어 차원으로 다양한 복음화 프로그램과 기독교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복음화 프로그램에는 전도단계에서 양육과 제자삼기를 거쳐 파송과 사역자세우기 단계로 체계화 및 심화시켜 나가야 한다. 기독교화 프로그램으로는신앙과 학문의 통합, 기독교문화 형성, 그리고 기독교세계관 확장을 제안하였다. 기독교대학의 정체성과 생존의 위기 앞에서 효율적인 학원복음화의 노력은 기독교대학이 구현해야 할 교육이념을 재정립하여 도전에 응전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미국 아그네스스캇대학(Agnes Scott College)의 사례 연구-

        최영근 ( Youngkeun Choi ) 한국대학선교학회 2020 대학과 선교 Vol.43 No.-

        이 논문은 미국장로교가 설립한 여자대학인 아그네스스캇대학(Agnes Scott College)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독교대학이 추구한 기독교 정체성의 내용과 방식을 규명하고, 대학발전 과정에서 기독교 정체성이 변화되는 배경과 논리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대학의 역사와 관련된 일차자료를 분석하는 역사연구이며, 대학의 역사기록, 연례보고서, 대학의 카탈로그와 학보를 비롯한 일차자료를 활용하였다. 아그네스스캇대학은 여성을 위한 기독교 인문교육의 틀 안에서 신앙과 학문을 통합적으로 추구하는 기독교 여자 인문대학을 지향하였다. 교단과 종파를 넘어서 다양한 학생들이 입학하고, 학문의 자유에 따라 다양한 배경의 교수들이 임용되고, 다양한 배경의 이사진이 자리를 차지하면서 대학의 기독교 정체성은 점차 약화되었지만, 다원화된 사회와 문화의 도전 속에서 기독교적 가치를 변화된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독교대학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한국기독교대학에 선행적 교훈을 준다. This paper deals with a case of Agnes Scott College established in 1889 by the Presbyterian Church (U.S.A.) to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the Christian identity has been maintained and changed in a long period of time when a Christian university has developed. As a historical study it reviews primary sources of the college including historical narratives, annual reports, catalogues, magazines, and other documents as well as secondary materials. Seeking a high-level Christian liberal arts college for women, Agnes Scott College has strived to unite the Christian faith and academic excellence, and developed into a scholarly open-minded Christian but not sectarian college: accepting students with no regard to their religious traditions or non-religious belief; employing the faculty and staff members under conditions they would consent to the Christian identity of the college; and inviting various persons from outside Presbyterian or Christian religion to board of trustees. Although a strong Christian identity diluted so far, the college in pluralistic culture is still struggling to keep and apply the Christian values to its academic and spiritual life, and their efforts will give a precedent lesson to the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as well.

      • KCI등재

        기독교 대학 학생들의 자아 정체성에 관한 연구

        박혜전 한국개혁신학회 2014 한국개혁신학 Vol.41 No.-

        The study aims to grasp self-recognition of students these days at Christian universities by understanding their self-identity as Christians. This attempt can become an indicator showing to what extent Christian universities get established as Christian institutions. A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make clear the reason why Christian universities exist and examine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m. It can als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in order that they recover Christian values. With these purposes,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o know about the actual situation of Christian universities, I analyzed the effect of university principles and subjects on development of Christian self-identity, then, investigated self-identity, Christian self-identity and religious belief of students at Christian universities. Lastly, I examined variables that had influence on Christian self-identity.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shown that university principles and value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self-identity formation, followed by courses covering the Bible.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 학생들의 자아 정체성을 파악하여 오늘날 기독교 대학의 학생들이 기독교인으로서 어떠한 자기인식을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기독교 대학이 기독교 대학으로서의 정체성을 얼마만큼 확고히 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기독교 대학생의 자아 정체성 연구는 기독교 대학이 존립하는 이유를 분명히 하고 그 나아갈 방향을 검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게 될 것이다. 또한 기독교 대학이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기독교적 가치관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식 하에 다음과 같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먼저 기독교 대학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대학이념 및 교과목의 기독교 자아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기독교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의 기독교적 자아 정체성, 신앙적 가치관을 파악하였고, 마지막으로 기독교적 자아 정체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변수들을 파악하였다. 기독교 자아 정체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대학의 이념과 가치의 자아 정체성 도움 정도로 나타났고, 성경과목의 기독교 자아 정체성에의 영향 정도가 그 다음으로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대학 문제 : 조선기독교대학의 설립 과정과 정체성, 1913~1917

        옥성득(Sung-Deuk Oak)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6 No.-

        이 논문은 1914~15년에 설립된 서울의 기독교 연합 대학인 조선기독교대학(Chosen Christian College)의 설립 과정과 1917년 사립연희전문학교로 인가받을 때까지 초기 운영에 나타난 기독교 대학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한다. 서울에 설립된 기독교 연합대학(전문학교)을 누가(설립 주체), 언제(설립연도), 어디서(서울이냐 평양이냐), 무엇을(기독교성과 근대성), 어떻게(연합의 방법과 과정), 왜(이념) 설립했는지 여섯 가지 주제를 토론한다. 대학 문제에 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 명확하게 정리하지 않은 부분이 있어 연세의 설립 과정과 역사적 정체성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그 핵심 문제는 대학의 종교성(기독교성)과 학문성(근대성)을 동시에 유지하면서 여러 교단과 교파 간의 연합을 도모하는 것이었다. 이 논문은 기존 연구들을 재검토하고, 설립 주체들인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 元杜尤, 1859~1916, 북장로회)와 베커(Arthur Lynn Becker 白雅悳, 1879~1978, 북감리회), 미국의 가우처(John Franklin Goucher, 1845~1922, 북감리회 해외선교회 이사, 선교부 공동위원회 위원장)와 브라운(Arthur Judson Brown, 1856~1963, 북장로회 선교부 총무)의 개인 문서들과 선교 편지들을 이용하여, 연희전문의 정체성 문제를 토론한다. 이 논문이 주장하는 바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설립 주체에서 1914년 서울에서 대학 예비반을 개설하고 1915년부터 교감과 부교장으로 학사 운영 실무를 담당한 베커의 역할을 재강조한다. 둘째, 현재 연세대학교가 연희전문학교 설립일(개교일)로 서술하는 두 날짜는 1915년 3월 5일(현지이사회 조직일)과 1915년 4월 12일(개교식 거행)이다. 이는 법제적, 기구적, 의례적 관점이므로, 교수와 학생의 수업(학사) 관점에서 정식 개교 1년 전인 1914년 4월 12일(서울 YMCA 건물에서 배재중 대학반과 경신중 대학반을 통합하여 예비반 시작)을 임시 개교일로 보고자 한다. 셋째, 조선기독교대학의 설립 장소(서울), 방법(초교파 연합), 교육 내용(근대 학문: 문과, 상과, 수학과 과학), 설립 이념(교회 지도자를 넘어서는 기독교인 사회 지도자 겸 교양인 교육)을 연결된 전체로 파악하고, 그 상호관계를 강조하되, 교회 연합 요소가 중요했기 때문에 장로회와 감리회 연합으로 서울에 설립되었음을 주장한다. 교회 연합의 관점에서 남장로회도 예산 지원에 참여했다. 조선기독교대학의 기독교성은 근대성(과학주의와 자본주의)과 불가분리의 관계에 있었고, 이들의 통합 교육이 조선기독교대학(희전문학교)의 정체성을 형성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dure of the establishment of Chosen Christian College from 1914 to 1917. It raises six questions—5W and 1H—regarding the college s identity as a Christian college. The core problem was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Christian character and academic excellence against the challenge of the Pyongyang group. By examining of primary documents of the following individuals—Horace G. Underwood, Arthur L. Becker, John F. Goucher, Arthur J. Brown, Samuel A. Moffett, and William M. Baird, it argues the following three major points. First, it emphasized the role of Mr. Becker as temporary principal and assistant principal in 1914-1915. Second, the college was temporarily established on April 12, 1914 when Mr. Becker started its joint preparatory classes at the YMCA building. On April 12, 1915 the college had the official opening ceremony with Dr. H. G. Underwood as its temporary principal. Today Yonsei University commemorates March 5 or April 12 of 1915 as the founding day with two founding fathers—Underwood (representing Christianity and spirituality) and Avison (embodying medicine and modernity). They forgot Mr. Becker, however, the third founding father, who advocated science and church ecumenism. Third, Chosen Christian College could be located in Seoul as an ecumenical institution among Presbyterians and Methodists, teaching modern science. Its philosophy was producing Christian national leaders beyond just church leaders. The college maintained the tension among triple elements—Christian spirituality, modernity, and nationalism.

      • KCI등재

        기독교 대학의 교육목표-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 기독교 관련 교양교과목을 중심으로 -

        박혜림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4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와 교육과정간의 연계성 분석을 통해, 기독교 대학이 건학 이념인 ‘기독교 정신’을 대학 교육을 통해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기독교 대학이 각 대학의 특성에 따라, 기독교 정신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교육과정 구안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기관평가인증을 받은 기독교 대학을 중심으로 기독교 관련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이수기준, 채플 편성 및 이수기준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독교 대학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와 교육과정간의 연계성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대학들은 ‘기독교 정신’을 교육목적에 반영하고 있으며, 교육목적을 토대로 교육목표를 수립하고 있다. 교육목적에 반영된 ‘기독교 정신’은 ‘기독교적 인성’, ‘신앙, 경건, 영성’, ‘사랑과 섬김의 실천, 봉사’ 등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형태로 교육목표에 다양하게 반영되어 있다. 둘째, 기독교 대학들은 ‘기독교 정신’이 반영된 교육목적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독교 관련 교양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학이 지정된 필수과목을 모든 학생들이 공통으로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필수과목으로 가장 많이 개설된 과목은 ‘성경의 이해’, ‘성서의 이해’ 등 성경 관련 과목으로, 기독교 교리라고 할 수 있는 성경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기독교 정신을 구현하고자 하는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기독교 관련 교양선택과목을 다양한 교양선택영역에 개설하고 있으며, 선택과목으로 가장 많이 개설된 과목은 기독교와 다양한 학문과의 통합 과목이다. 즉, 다양한 학문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을 통해 기독교 정신을 토대로 학문을 탐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셋째, 기독교 대학들은 ‘기독교 정신’이 반영된 교육목적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채플 및 다양한 신앙 교육 활동을 편성․운영하고 있으며, 재학생의 규모, 학교의 유형 등에 따라 편성 및 이수 기준을 달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대학은 채플과 신앙수련회, 사경회 등 신앙교육 활동에 학점을 부여하지 않고 교과외 교육과정으로 편성․운영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기독교 대학들은 건학 이념인 ‘기독교 정신’을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에 반영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교과 교육과정으로서 기독교 관련 교양과목과 교과외 교육과정으로서 채플, 신앙수련회 등을 편성․운영하고 있는 것이다. 즉, 기독교 대학은 교육목적, 교육목표, 교양교육과정, 채플 등을 통해 건학 이념인 기독교 정신을 구현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o embody Christian ideology in Christian colleges, the founding philosoph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ir educational goals, objectives, and curriculum.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sources for designing curriculum which can embody Christian ideology according to a college’s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d on Christian colleges which have received accreditation for higher education, and examined and analyzed their educational goals, objectives, criteria for organizing and completing liberal arts curriculum and chapel, and so fort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hristian colleges have embodied Christian ideology in their educational goals and established their educational objectives to achieve the goals as a concrete and practical way. Second, the colleges have offered courses for liberal arts education which are related to Christianity, and most colleges have required some mandatory courses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all students. Most required courses were related to bible, and most selected courses were the ones of integrating diverse disciplines into Christianity. Third, the colleges have developed and managed chapel and diverse activities related to faith in education, and the criteria for designing and completing the courses varied according to size of student population and types of schools. In conclusion, the Christian colleges embodied Christian ideology, the founding philosophy, in their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They have organized and managed liberal arts curriculum related to Christianit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chapel and retreat. In other words, they have embodied christian ideology through their educational goals, objectives, and liberal arts curriculum, chapel, and so forth.

      • KCI등재

        기독교 대학에서의 학교부적응 및 중도탈락에 대한 질적연구

        김영종(교수) ( Young Jong Kim ),이현철(교수) ( Hyun Chul Lee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6 대학과 선교 Vol.30 No.-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에 있는 학생들의 학교 부적응 및 중도탈락의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기독교 대학이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가에 관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연구는 기독교 대학에 있는 기독 대학생들과 비기독 대학생들의 고민과 딜레마를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도와 접근은 기독교 대학이 직면하고 있는 학교 부적응 및 중도 탈락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동시에 실제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나타난 기독교 대학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철저한 기독교 정체성과 정통적 예전 정신에 기반한 채플운영 방식의 다각화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기독교 대학으로서의 정체성을 철저하게 수호하기 위하여 비기독 재학생들에 대한 실제적인 적응 프로그램 및 학생 역량 증진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기독 재학생들을 위한 성숙한 기독교 대학 역량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기독교 세계관에 입각한 철저한 교수 역량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기독교 대학의 구성원전체가 함께 소통할 수 있는 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학교의 정책적 고민이 필요하다. 여섯째, 학생자치기구들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In this article, we did not only attempt depth analysis on the dilemma and agonies of the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in Christian University but also focused on the listening to the realistic understanding and voice of those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adapted qualitative research. We adapted qualitative research for depth analysis of the dilemma and agonies of the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in Christian University. Also we tried to focus on listening to the realistic understanding and voice of those students. This kind of approach has suggested the data information to improve the Maladjustment and dropout rate which the Christian university has faced. Also, at the same time, this approach has suggested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which we are suggesting for Christian University with the special reference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followings. Firstly,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chapel in Christian University should be focused on not only powerful proclaiming the Christianity truth for the evangelism but also strong emphasis on the missiological aspect. Secondly, the Christian University need to provide practical adaption program and competence enhancement process for non-Christian students in Christian University to develop the identity as the Christian University. Thirdly, the Christian University has to provide well-organized educational competency for Christian students. Fourthly, the Christian University should provide Christianity world-view centered program for faculties. Fifthly, The Christian university has to provide various spiritual program for students. Sixthly, the Christian university has to consider the establishment of the university policy that enables the transformation of the atmosphere in many aspects to build a communicable culture which accompanies every members of the university.

      • KCI등재

        기독교대학 정체성 회복을 위한 연구

        이신형 ( Shin Hying Lee ) 한국조직신학회 2014 組織神學論叢 Vol.40 No.-

        이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대학 정체성 회복을 위한 대안 제시다. 본 논문이 제시하는 기독교대학 정체성 회복의 제안은 대안채플을 통해서 기독교대학의 선교목적을 회복하자는 것이며, 둘째는 전체 교수가 참여하는 기독교 교양과목을 개발함으로 인해서 교수들의 학술 활동에서 믿음과 학문의 융합을 기하자는 것이다. 본 논문이 대안채플과 믿음과 학문의 융합을 교수들의 학술활동을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회복의 대안으로 제시하는 것은 필자가 기독교 대학의 성격을 믿음공동체와 더불어 학문공동체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믿음공동체로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의 인식에 의하면 믿음공동체로서의 기독교대학의 정체성은 기독교대학의 설립이념에 근거하며, 학문공동체로서의 기독교대학의 정체성은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기독교대학의 존재 이유에 기인한다. 즉 기독교대학은 대학의 설립이념에 기초할 때 선교하는 공동체이며, 또한 고등교육법에 기초할 때 진리를 추구하는 학문의 전당이다. 따라서 기독교대학의 정체성은 설립이념과 학문성에 근거한 진리탐구의 자유성이 획득될 때 정체성의 확립이 회복된다. 본 논문은 기독교대학의 설립이념인 선교적 사명과 진리탐구의 장인 학문적 공동체로서의 대학의 이중적 정체성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한다. 본 논문이 제시하는 ‘어떻게’가 정체성 회복의 ‘무엇’이 되기 위해서는 기독교대학의 정체성의 위기문제 진단과 기존의 해결방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재고되어야 하며, 또한 본 논문의 제시가 방법론적인 제안을 넘어선 실제적인 제안이 될 필요가 있다. 2,3장이 이를 위해서 할애되며 IV장에서 필자는 전주대학의 경우를 살펴보며 그 가능성을 검토한다.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about the way and procedure on how to restore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 university. Before de- aling with the way in restoring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 univer- sity, the diagnosis for the identity crisis of the christian university must be confirmed. Chapter II, and III are allotted to diagnose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 university and to examine suggestions to restore it, presented by articles and papers. In chapter IV. I present my idea of restoring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 university. What I present in chapter IV will be an alternative to that of chapter III. Many articles and papers think of the executive office and chaplain as the one to restore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 uni- versity. Therefore they demand that the professor must present the service and prayer meeting including the bible study class. They believe that the restoration of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 univer- sity depend on the faculties’ faiths in the christian community called university. But I do not share with their conviction, and in fact I suspect that they want to turn the academic community into a faith laden community. In contrast to them, I think the faculty itself is the key to re-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 university. A university is an academic place for searching the truth. The searching for truth and knowing the truth must be conducted with a certain world view. So, a certain world view is crucial for the identity of the uni- versity, whether it is a christian university or a non-christian uni- versity. Searching for truth at the christian university must be done with a christian world view. In chapter IV. I discuss the way to focus the attention to that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