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 연구

        김혜영 국어교과교육학회 2010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7 No.-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은 일상생활에서 고급 수준의 한국어를 구사하거나 혹은 대학의 외국인 입학 전형에서 요구하는 한국어능력시험에서 고급 정도의 상위 급수에 합격했다 하더라도 대학에 진학하여 다른 한국인 학습자들과 경쟁하며 공부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이것은 그들이 공부해온 일상생활의 회화가 아닌 생소한 전공 어휘와 내용이 대학수업의 주 내용인데다가 관련 배경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정착 비율을 높이고 그들이 성공적으로 유학생활을 마칠 수 있도록 기존 한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성인의 기초 소양으로서 국어 능력에 대한 소고

        이기연 ( Yi Kiyoun ) 국어교육학회 2018 國語敎育學硏究 Vol.53 No.4

        본고는 성인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국어 능력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밝혀내기 위해 국어 능력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정리하고 국어 능력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 및 국어 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성인의 국어 능력이나 독서량이 청소년기보다 낮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그 수치가 더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상적인 언어생활뿐 아니라 업무 및 학업에 있어서도 국어 능력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성인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국어 능력이 무엇인지를 밝혀 이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그 양상을 구체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연구는 의미 구성과 소통 능력이 언어 능력의 핵심이 된다고 보고 이러한 능력의 기초가 되는 것이 바로 어휘력-어휘의 의미를 구성하고 소통하는 능력과 읽기 능력-정보를 받아들이고 해석하고 수용하는 능력이라 보았다. 국어 교육은 이러한 영역들을 어떻게 세분화하고 기반이 되는 능력을 어떻게 향상할 수 있을지에 대한 세부적인 방법을 강구할 수 있도록 추후 활발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minimum level of Korean language ability that adults should possess, I reviewed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bility and examined native speak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ir perception of it. Results confirmed that Korean language ability and reading capacity in adults were lower than in adolescents, and this also decreased with age. Because Korean language ability is crucial not only in everyday life but also in work and study,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aspects of Korean language ability that adults should develop. Results suggests that meaning and communication ability constitute the core of language ability. The ability to accept and interpret information is the basis of the ability to construct meaning and communic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conduct more detailed analyses of these areas and actively discuss ways of improving speakers’ underlying language abilities.

      • KCI등재

        국어 학습자 문어 능력 발달 말뭉치 구축을 위한 서설

        신명선(Shin Myung su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1

        언어 능력 발달 말뭉치는 ‘언어 능력의 발달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축된 구조적 말뭉치’를 가리키는 것으로, 구어 능력 발달 말뭉치와 문어 능력 발달 말뭉치로 나눌 수 있다. 현재 모어 학습자들의 문어 능력 발달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국어 학습자 문어 능력 발달 말뭉치는 구축되어 있지 못하다. 그런데 국어 교육적 측면을 고려할 때 ‘국어 능력’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는 ‘학습자’ 말뭉치의 구축은 매우 필요하다. 학습자 국어 능력 발달 말뭉치 중 특히 문어 능력 발달 말뭉치는 학습의 과정과 결과 점검에 유의하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문어 능력 발달 말뭉치 구축 시 이용 가능한 유용한 자료는 학습자의 글쓰기 결과물이다. 이것은 글쓰기 ‘과정’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지만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을 확인 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자료이기도 하다. 본고는 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어 능력 발달 말뭉치 구축의 필요성과 방법을 논하고, 그 의의를 국어교육 연구 측면, 국어 교육 정책 측면, 국어 교육 실행 측면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Language ability development corpus refers to structured corpus construct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level of language ability and can be divided into spoken language development corpus and literary ability development corpus. At present, there is no established corpu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bility to recogniz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mother tongue abilities. However, it is very necessary to construct a learners’ corpus that can confirm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when consider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pect. The corpus containing learners’ literacy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e point of observing learning process and results. The useful data that can be used in constructing literacy development corpus is the learner’s writing result. This is the most representative data that can confirm the learner’s writing ability although it has limit in that it does not show the writing ‘process’.

      • KCI등재후보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IK)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미혜(Lee, Mi-hy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5

        본 연구는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IK)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근로자 대상의 한국어 능력 평가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측면에서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의 기능과 역할 수행상의 문제점이다. 이 시험은 외국인 구직자의 명부를 작성하기 위해 실시하며 합격 점수와 합격자 수가 외국 인력 정책에 좌우된다. 그 결과,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려는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며, 의사소통능력을 목표로 한국어를 학습하도록 유도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특별한국어능력시험의 구성과 응시자 선정의 부적절성이다. 고용허가제를 시행하면서 정책적 필요로 새로 개발한 특별한국어능력시험에는 한국어 문제로 볼 수 없는 직무 관련 문제들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근로자의 특성, 한국어 수준 등을 고려하지 않고 근로자의 조기 귀국을 유도하려는 정책적 목적으로 시험 응시자를 제한한다. 셋째,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이 공인된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연계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이다. 모든 이민자들의 한국어능력평가에 한국어능력시험(TOPIK) 점수가 활용되지만 외국인 근로자 평가에는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만 인정하고 있다. 평가 도구의 타당도를 높이고 응시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IK)과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연계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Employment Permit System-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EPS-TOPIK) and identify problems with the Korean proficiency test for workers. The study reviewed the EPS-TOPIK critically in three aspects: first, it examined problems with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EPS-TOPIK. The test is administered to make a list of foreign job seekers, and the passing scores and the number of successful applicants depend on the foreign workforce policies. As a result, the test fails to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which is to assess foreign workers in their Korean proficiency and encourage them to learn Korean as a communication skill. Secondly, there is an inappropriateness in the organization and selection of examinees for the Special Korean Proficiency Tes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the Special Korean Proficiency Test was developed to meet policy needs; and thus, contains job-related questions in addition to Korean ones. The number of its examinees is restricted only according to the policy goals with no consideration for the characteristics and Korean skills of the workers. Finally, the EPS-TOPIK is not connected to the official TOPIK exam. While TOPIK scores are recognized in all the Korean proficiency assessment of immigrants, only EPS-TOPIK is used to assess foreign workers. There should be a plan to connect the EPS-TOPIK and TOPIK exams to increase the validity of assessment tools and promote the convenience of examinees.

      • KCI등재

        "교사의 국어 능력"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 연구

        윤여탁 ( Yeo Tag Yoon ),신명선 ( Myung Seon Shin ),주세형 ( Se Hyung Joo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3 No.-

        국어교육학은 ``국어과 교사``의 전문성에 대하여, 더 나아가 ``교사``의 전문성에 대하여, ``국어교육학적 전문성``을 지닌 해답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즉 ``교사``라는 집단은 우리 언어 공동체에서 어떠한 국어 능력을 지니고 있는지, 또한 어떠한 국어 능력을 지녀야 하는지, ``현황을 기술``해 낼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당위적 기준`` 역시 제시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위와 같은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국어교육학 학문공동체의 전문가들이 ``교사의 국어 능력``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지니고 있는지 드러내는 것이 현 시점에서 가장 필요한 연구라고 보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 및 심층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국어교육학의 핵심 개념에 대한 학문공동체의 이해 방식을 드러내고 관련 연구의 경향을 압축적으로 정리하였다. 첫째, 국어 능력의 개념 규정 시 전문가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긴 핵심 키워드는 역시 ``소통``이었음이 밝혀졌다. 다만 ``소통``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양한 만큼 국어 능력에 대한 개념화 방식은 다양하다. 둘째, 국어 교육 관련 전문가들은 주로 학교 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한 개인의 능력에 초점을 두어 이를 논하는 경향이 짙었다. 셋째, 교사의 국어 능력의 개념에 대한 연구를 다각도로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넷째, 교사의 국어 능력의 수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교사의 국어 능력의 구성 요소에 대한 연구도 구체화되어야 한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give an answer about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Furthermore,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make a professional solution of ``Korean teachers`` professionalism.`` That is, the solution should be like ``what is teac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criteria of level``, etc. This thesis regards the urgent agenda as the inquiry about researchers` recognition of teachers` language ability. So the Delphi technique and the supplement questionnaire have accomplished all over three times. As a result, we`ve arrived at two conclusion: first, to reveal the way of thinking about key concept in Korean Education, and the second, to show the academic trend. On the basis of the survey data, we could draw some meanings of Korean Education. First, although the ways of conceptualization are diverse according to the various perspectives of communication. Second, we could notice almost all the researchers` academic tendency: that is, focusing on the individual ability. Third, the concept of teachers` Korean language ability should be elucidated. Fourth, the level of teachers` Korean language ability should also be explained. Finally, the construct of teachers` language ability should be verified.

      • KCI등재

        국어능력의 개념과 성격 : 감(感)으로서의 국어능력

        이성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6 No.-

        Language ability is made up of various elements and it's main functions areconstruction and communication. We can say that language ability is life abilityin itself because every kind of ability is participated in language activity. Language ability has various traits : it is related to one's whole personality, it hasthe traits of activity and non-verbal etc. The reason why language ability hasthese traits is that there is a trait of sensibility in the root of language ability. Thesensibility is generated in someplace between sense and consciousness. Theverbal sensibility is similar to capability or intelligence and it must operate in theprocess of constructing holistic meaning through articulated language. Becausethe verbal sensibility operates in every phase of verbal behavior, we can identifyvarious aspects of it's realization in daily verbal life. We can turn from isolatedand dried skill centered language education to authentic and holistic abilitycentered language education by means of the viewpoint of verbal sensibility. And we can apply this viewpoint to the creativity-humanity education andidentity education. 국어능력의 구성요소는 지식, 기능, 태도, 전략, 문법능력, 텍스트능력, 언어행위능력, 사고력, 문화능력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중 어떤 것을 강조하느냐에따라 국어능력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국어능력은 기능 측면에서 의미의 구성과 소통을 핵심으로 하는데, 이 과정에는 온갖 능력이 관여하기 때문에삶의 능력 그 자체라고도 할 수 있다. 또 삶의 능력으로서의 국어능력은 전인격성과 교양성, 수행성과 비명시성을 지닐 뿐 아니라 일반성과 개별성, 고정성과 가변성이라는 성격도 갖는다. 그런데 국어능력이 이러한 특성을 갖는 것은 국어능력의근원에 감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감은 몸과 마음의 결합에 의해서 감각과의식 사이의 어딘가에서 생기는 것이다. 언어적 감은 역량 혹은 예지의 성격을띠는 것으로서, 분절된 언어로 총체적인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에서는 언제나 이것이 동원되어야 한다. 언어적 감은 국어행위의 모든 국면에 작용하기 때문에 우리의 일상적인 언어생활 곳곳에서 그 구체적인 실현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국어능력을 감이라고 하는 창으로 바라보는 것은, 분절된 요소 기능에 대한 고립되고 메마른 학습이 아니라 생생하게 살아 있는 실제 맥락 속에서 그의 전인격이동원되는 총체적 학습으로 국어교육의 방향을 전환하는 디딤돌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이 관점은 최근 강조되고 있는 창의·인성 교육, 정체성 교육을 위한 이론적 토대로도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교원 선발 및 경력 단계별 평가 개선 방안 연구

        이선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6 No.-

        In this study, I defined the linguistic competence of Korean for elementaryschool teacher which forms the basis and core contents of his/her professionalityas teacher and pointed three abilities as the key components of the linguisticcompetence of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such as; the ability to teachwell and deliver the subject clearly in his/her lecture; the ability to manage andlead well his/her class as whole and also as individually ; and the ability toconduct administrative work. In view of these key components, inspected howthe linguistic competence of Korean of candidat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is checked at the national recruitment tes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drew some implications for improving evaluations for the linguistic competenceof Korea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lready passed the nationalrecruitment test and have work experience from National Board Certificationconducted by 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NBPTS)of USA. After analysing the national recruitment tes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newly renovated from 2013,I found the test writers have tried to reflect these keycomponents of the linguistic competence of Korean for elementary schoolteacher in various form, however in content, they could not fully change the testto escape memorization of contents in the curriculum. For encouraging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develope their career as efficient doers withself-reflection, if we could adopt NBPTS program based on real interactionbetween students and their teacher, which is considered to train teachers to do self-reflect and cope with problem situation well, it would help every elementaryschool teacher to enhance his/her professionality and the linguistic competenceof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Lastly, to improve the linguistic competence of Korean for elementary schoolteacher keeping abreast of the times and needs of learners, I suggested suchways as written as below; we should keep evaluate the linguistic competence ofKorea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through the entire procedure from trainingto recruiting instead of focusing one-time evaluation only at the recruiting; weshould present the evaluation standards and the stages of improvement for thelinguistic competence of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specifically so thatevery elementary school teacher could refer those in the way of developinghis/her career continuously. 초등교사 전문성의 바탕이자 핵심 개념으로서 초등교사의 국어능력을 정의하고 초등교사의 국어능력의 요소로 교과수업운영 능력, 학급운영 및 지도 능력, 행정업무 수행 능력을 제시하였다. 이 요소를 바탕으로 초등임용고시에서 초등교사의 국어능력을 어떻게 반영하려 했는지 점검하고 미국 전문교사 기준을 위한 국가위원회(NBPTS)의 자격시험에 대한 소개를 통해 경력 단계에 있는 초등교사의 국어능력 평가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13학년도부터 바뀐 초등임용시험을 분석한 결과 문항의 형식면에서 국어능력 관련 요소를 다채롭게 반영하려 노력하였으나 문항의 내용면에서는 교육과정암기식 평가를 탈피하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능률적이고 반성적인 실천가로서 교사의 경력 개발을 위해 NBPTS에서 실시하는 교사와 학생의 실제 상호작용에 근거한 성찰 및 문제 상황 대응력을 높이는 프로그램이 교사의 전문성 및 국어능력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시대와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변화하는 초등교사의 국어능력 신장을 위해서 선발 단계의 일회적 평가를 지양하고 양성·선발의 유기적 연계를 통한국어능력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초등교사의 지속적 경력개발 차원에서 국어능력 평가 기준 및 향상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저소득층 아동 대상 기초 국어 능력 향상 교육의 현황과 전망 - 국립국어원 언어 소외 계층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

        이유원 ( You Won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문교육 Vol.17 No.-

        국립국어원은 국어 발전과 국민의 언어생활 향상을 위한 사업의 추진과 체계적 정책 수립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그 역할 중 하나로 1992년부터 ‘국어문화학교’라는 이름으로 교육 연수 기능을 수행하 고 있다. 본 논문은 국립국어원의 교육 연수 기능과 관련하여 ‘국어문화학교’를 소개하고, 언어 소외 계층인 저소득층 아동의 기초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사업 부문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 현황과 진행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더불어 현 단계에서의 한계점을 검토해 보고 앞으로 이를 충족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의 수립과 발전 방향에 대한 당위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어 교육은 대부분 정규 교육 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정규 교육 과정을 따라가기에는 기초 국어 능력 차원에서 부족한 경우도 많이 있다. 이것은 단순히 ‘글자 깨치기’ 차원의 문해 문제가 아니라, 언어를 통한 사고력과 표현력, 의사소통 능력 차원의 문제로 올바른 국어 사용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사회 문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국립국어원은 저소득층 아동의 기초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하여 어휘, 기초 문법, 글쓰기 관련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이를 전국의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을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2012년부터 시작된 본 교육 지원 사업은 앞으로도 지역아동센터에서 아동들과 즐겁게 공부하며 기초 국어 능력을 갖추는 데 함께 할 아동 대상 국어 강사 양성과 다양한 기초 국어 교육 교재 개발에 힘써, 전국의 저소득층 아동들이 본 교육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골고루 국어 능력 향상 교육의 기회를 접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확장해 나갈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국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민의 관심과 학습 욕구도 커져 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이나 현재 국립국어원 국어문화학교의 교육 내용은 대부분 어문규정 해설을 하고, 그와 관련된 문법 지식을 전달하는 위주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앞으로의 국어문화 학교의 교육 과정은 단순 어문 규정 지식의 전달이 아닌 의사소통을 위한 국어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이 분명하다. 이를 위하여 특히 언어 소외 계층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학력과 부의 대물림 현상에서 소외된 저소득층 아동의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국가적 지원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국어교육 지원은 국가적 책무이다. 따라서 국립국어원은 저소득층 아동의 국어 능력 향상이 가정과 학교만의 책임이 아니며, 국가가 함께 나서야 할 국민의 권리란 인식으로 이에 대한 예산 확보 노력을 통해 관련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Korean language, improving the language-life of the people and administering research activities.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founded in 1992, operates to help people succeed in the correct and educated language-life and spreading of correct linguistic rules.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as follows: first, it is to introduce the mission of the academy; second, we will have a look at the status and prospects of primary Korean education o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Last but not least, we will also review the challenges and solutions from the current system. When it comes to “Korean education,” most of the times it refers to the education within the regular school system.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current curriculum to cover the primary Korean education and this could bring about uneven level of reaso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is is the main reason that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develops primary education contents on vocabulary, basic grammar and writing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o provide a quality Korean education. The program is currently run by every regional child-care centers, and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strives to train professional Korean teachers along with research on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Even though the improvement on Korean language skills is considered as a matter of national importance, researches from either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or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have so far focused mainly on grammar and vocabulary.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skills as means of communication, a state-level support on education for the underprevileged children is undoubtedly essential.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ill therefore promote the program as providing necessary education is not only the responsibility of a single household, but a duty of a government.

      • 학문 목적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한 평가 유형 연구 :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김민경 국어교과교육학회 2012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0 No.-

        표준화된 한국어 능력 평가도구로서 시행하기 시작한 한국어능력시험(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은 그동안 꾸준히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성장을 거듭해왔다. 증가하는 응시자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특히 유학이나 취업을 희망하는 외국인과 재외 동포의 수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우수 유학생을 선발하고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에서의 수학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시험(Academic TOPIK: A-TOPIK)의 시행을 준비 중에 있다. 한국어의 학습 목적이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여 학문을 익히는 것에 있다면 적정 기준을 충족한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은 마땅히 학업 성취에 별다른 지장이 없을 정도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유학생의 입학과 졸업의 자격 기준이 되고 있는 일반 한국어능력시험(S-TOPIK)은 이러한 사실이 반영된 평가 결과를 내어 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것은 언어활동에 있어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수준을 넘어 학업 수행이라는 특수성과 유용성이 고려되지 않은 평가 유형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에서 출발하여 현행 일반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쓰기 영역 문항 유형을 분석하여 본 결과 기본적으로는 평가 영역 간의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드러났다. 그리고 한국어 학습 목표의 특수성과 유용성을 고려한 쓰기 능력을 직접 평가할 문항이 부족하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업 수행 상황에서의 유용성을 고려하여 쓰기 평가 영역에서 비중 있게 다룰 필요가 있는 문항의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학문 목적 한국어능력시험이 평가 취지에 맞는 타당하고 유용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국어 능력의 융복합적 개념화 탐색

        김규훈(Kim, Kyoo-hoon)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7 No.-

        이 연구는 국어 능력을 융복합적 관점에서 개념화하는 시도이다. 특히 국어 능력을 융복합적으로 재개념화할 수 있는 매개 담론을 탐색하여 그 핵심 개념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어 능력은 ‘사고, 소통, 문화’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학문 융복합의 논의를 바탕으로 융복합 교육의 중핵적 원리를 도출하면, 교과 혹은 비교과 현상의 ‘넘나듦’이다. 융복합 국어교육은 국어과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 및 비교과를 넘나들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을 추구한다. 이에 국어 능력의 ‘사고, 소통, 문화’ 범주에서 ‘넘나듦’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개념을 제시해야 한다. ‘사고’의 측면에서는 교육학의 융복합적 사고력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와 다른 현상을 연계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소통’의 측면에서는 신문식성의 논의를 바탕으로 ‘확장된 언어로서 기호를 소통하는 문해력’을, ‘문화’의 측면에서는 언어문화의 담론을 바탕으로 ‘문화가 본질적으로 지닌 중층성을 실천하는 힘’을 설정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convergency Korean language ability. Convergency Korean language ability is an important concep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ponding to the Convergence education, so this study would suggest core concepts for Korean language ability with searching mediation discourses of convergence. Korean language ability have a subordinate structure, “thought, communication, and culture”. Based on convergence studies, a kernel principle of convergence education is “crossing” on subjects or activities. Convergency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ivate learners’ ability to cross between Korean language subject and other subjects or activities. So, this “crossing” matters could be inquired in a category of “thought, communication, and culture”. In terms of “thought”, “problem-solving ability with relations of Korean language and others” could be set on a basis of convergency thinking discourses in pedagogy. In an aspect of “communication”, “literacy of sign as an extended language” could be set on a basis of new-literacy discourses. And in a “culture” category, “power of practicing multi-layer taken in culture essentially” could be set on a basis of language-culture’s discourses about multi-lay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