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불교의 공안에서 효와(訛)의 속성과 의미기능

        조영미(Young Mi Ch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3 佛敎學報 Vol.0 No.66

        본고에서는 공안 조직의 한 요소인 효와(訛)의 의미와 속성을 밝히고 공안 안에서 어떠한 의미기능을 하는지 조명하고자 하였다. 공안은 ``그 무엇``을 담지하고 이를전하고자 하는 잠언 유가 결코 아니다. 공안에서 얻을 진리나 교훈은 없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고착된 인식을 타파하기 위한 수수께끼이자 의문이다. 공안의 생명력은``의문``에 있으며, 이 생명력을 유지하게 하는 기제가 바로 효와이다. 효와는 편견과 왜곡으로 딱딱하게 굳어진 인식을 일깨우기 위한 방편이며 실상의 이면을 보도록 도와주는 렌즈와도 같다. 효와의 개념 정립은 공안 이해에 선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먼저 구체적인 전거를 찾아 효와의 개념을 정립하고 공안의 어떤 속성이 효와를 요구하는지, 즉 효와가 공안의 어떤 필요성에 응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효와에는 속임수와 같은 속성이 있지만, 속임수가 상대를 속여 끝끝내 그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면 효와는 상대의 고착된 의식을 흔들어 꾀어내었다가 벗어나도록 해주기 위한 방편이라는 점에서 엄연히 다르다. 다음으로는 논의 전개의 편의상, ``일문일답의 형식을 띠고 있는 문답``과 ``대립되는이항(二項)을 제시하고 있는 문답``으로 나누어 공안에서 효와가 어떠한 의미기능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the meaning and properties of the confusion(孝訛) that is an element of public case. A public case is not a kind of proverbs to convey any ethical doctrine or philosophical opinion. In other words, we cannot obtain any truth or lesson from a public case. Instead it is a riddle and question to break down the adhered recognition. The essential attribute of all public cases is ``question``, and a mechanism to maintain it is no more than confusion. The confusion is a means to arouse the adhered recognition distorted by various kind of prejudices. Therefore the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of a public case is to establish the conception of confusion. At the very first, we must find the specific authority fo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confusion. The next, we can study which property of public case requires confusion. This confusion has properties such as a trick. But the general trick is a means to deceive the other party, so that the opponent would never know that the trick. On the other hand, the confusion is the means to shake the opponent`s adhered recognition and eventually to deviate from it. Accordingly the two are distinctly different. Next for the simplicity of discuss deployment, we will divide ``a form of dialogue with questions and answers`` from ``the dialogue suggested by binary opposition.`` And that can provide an appreciative eye to analyze the meaning of confusion in the public cases.

      • KCI등재

        묵조선 수행의 실제

        김호귀 한국선학회 2006 한국선학 Vol.14 No.-

        묵조선은 곧 일체의 진리가 본래부터 어디에나 갖추어져 있다는 本證과 그것이 실제로 어디에나 언제나 생생하게 드러나 있다는 現成公案의 입장이다. 때문에 본래 완성되어 있는 것을 어떻게 자각하느냐가 묵조선에서 수행의 문제로 부각된다. 그 본래성불을 드러내는 모습이 곧 只管打坐로서 가부좌이다. 이것은 깨침을 얻기 위한 준비나 수단이 아니라 그대로 깨침의 현성으로서의 본증이다. 그리고 그 본증을 마음속에서 체득하는 방식이 비사량으로서의 심리체험 곧 자각이다. 이처럼 터득된 비사량의 체험은 신심탈락으로 현성한다. 곧 몸과 마음 나아가서 감각과 언설의 초월상태이다. 공안의 현성이다. 달리 말하자면 현성된 공안이다. 一切衆生 悉有公案의 입장이다. 이러한 신심탈락의 체험은 행위 자체에마저 집착이 없는 제일심이 필요하다. 제일심은 본격적인 수행의 첫걸음으로서 가부좌의 좌선과 호흡을 수반한다. 여기에서 지속적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도심을 내는 발심이 필요하다. 발심의 긍정이 곧 현성공안이다. 이처럼 공안의 현성은 필경에 몸과 마음과 감각의 초월을 지향하는데 이것이 곧 신심탈락이요 좌선탈락이다. The Silent-Penetration Seon(黙照禪) is BonjeungJagak(本證自覺), which means the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Enlightenment. Enlightenment of the Silent - Penetrative Seon comes when each principles faces the same position. In that manner, the The training structure of the Silent-Penetrative Seon tells us the Self-consciousness of Ffrom-realization(本證) and, the priority is directly focused on the world of being spiritually awakened, namely, the world of Buddha. Because it is the Self - consciousness of From-realization, there are no distinction between the ways to lead for realization and self-discipline. The methods are Sitting-poster, the Self Awakening of Original Enlightenment and the Un-Thought(非思量).Sitting-poster is sitting with crossed leg, but it means not only body but also mind poster. So we call it the Solely for Sitting-poster(只管打坐). That it to say, a supreme of sitting-meditation. the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Enlightenment is self-awareness that From not a new thing with One`s mind, but From get all enlightenments are ready. So all enlightenments are actualization and operation at outset.. The Un-Thought is not thoughtless. It exactly the Un-Thought on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The highlight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is devoting to the Un-Thought throughly. Thus the Un-Thought has a characteristic on the assumption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The Un-Thought in a Buddhist meditation doesn't mean that it has no Thought. On the contrary, it has a meaning as Thought of Un(非), Thought of Elimination, and Thought of BulYumo(it means Non-Contamination 不染汚). That's exactly Thought of Silence - Penetration. The Free itself of Body and Mind(身心脫落) give a concrete form to the Original Enlightenment and the Un-Thought. To put it another way, the Free itself of Body and Mind is embodiment of inward training our body and our mind in daily life, through the Sitting-Samadhi(坐禪三昧). Generally, because of Daily life is consider for training and act of enlightenment in Silent-Penetration Zen. It may be given as a conclusion that the training system of Silent-Penetration Zen are the Self Awakening of Original Enlightenment, the Un-Thought and the Solely for Sitting-poster(只管打坐).

      • KCI등재

        黙照禪의 본질과 그 수행의 원리

        김호귀 대각사상연구원 2011 大覺思想 Vol.15 No.-

        묵조선은 간화선과 더불어 송대에 새롭게 형성된 선수행법이다. 묵조 선은 본래성불 사상에 철저한 조사선의 가풍으로서 일체의 진리가 본래 부터 어디에나 갖추어져 있다는 本證과 그것이 실제로 어디에나 언제나 생생하게 드러나 있다는 現成公案의 입장이다. 때문에 그 본래성불의 도 리를 어떻게 자각하느냐가 중요한 주제이다. 곧 자신이 어떤 존재이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하는 것이 活作用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것 을 모르고 드러내지 못하는 존재는 인간으로서 자각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을 드러내는 모습이 곧 只管坐禪의 가부좌이다. 이것은 깨침을 얻기 위한 준비나 수단이 아니라 그대로 깨침의 현성에 해당하 는 본증이다. 그리고 그 본증을 마음속에서 체득하는 방식이 비사량의 심리체험 곧 자각이다. 이 본증과 그것의 자각에 의하여 비로소 모두에 게 진리로서의 공안이 투득되고 현성된다. 따라서 묵조선의 수행구조는 가부좌의 좌선과 본증의 자각과 그것을 내면으로 체험하는 비사량이 근 거가 되어 있다. 그래서 좌선을 통하지 않은 깨침은 무의미하고, 자각이 결여된 본증은 공허한 이론일 뿐이다. 좌선은 이미 깨침의 모습으로 당 당하게 앉아 드러나 있다. 그래서 좌선은 몸의 黙과 마음의 照가 어우러 진 모습이다. 그래서 묵조는 자신의 내면에서 일체의 번뇌와 분별이 없 는 비사량의 체험을 중시한다. 이처럼 터득된 비사량의 체험은 신심탈락 으로 현성한다. 곧 몸과 마음 나아가서 감각과 언설의 초월상태이다. 공 안의 현성이다. 달리 말하자면 현성된 공안이다. 一切衆生 悉有公案의 입장이다. 이러한 신심탈락의 체험은 행위 자체에마저 집착이 없는 제일 심이 필요하다. 제일심은 본격적인 수행의 첫걸음으로서 가부좌의 좌선 과 호흡을 수반한다. 여기에서 지속적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도심을 내 는 발심이 필요하다. 발심의 믿음이 곧 현성공안이다. 공안의 현성은 필 경에 몸과 마음과 감각의 초월을 지향하는데 이것이 곧 신심탈락이요 좌선탈락이다. A standpoint of the Silent-Penetration Seon is BonjeungJagak, which means the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Enlightenment. Enlightenment of the Silent - Penetrative Seon comes when each principles faces the same position. In that manner, the The training structure of the Silent-Penetration Seon tells us the Self-consciousness of From realization and, the priority is directly focused on the world of being spiritually awakened, namely, the world of Buddha. Because it is the Self - consciousness of From realization, there are no distinction between the ways to lead for realization and self-discipline. The Free itself of Body & Mind give a concrete form to the Original Enlightenment and the Un-Thought. To put it another way, the Free itself of Body & Mind is embodiment of inward training our body and our mind in daily life, through the Sitting-Samadhi. Generally, because of Daily life is consider for training and act of enlightenment in Silent-Penetration Seon. It may be given as a conclusion that the training system of Silent-Penetration Seon are the Self Awakening of Original Enlightenment, the Un-Thought and the Solely for Sitting-poster. And the thought of All beings posses Buddha-nature are consist of three elements. First, the Essential Body are all-pervasive with All beings. Second, the Truth principles are equality with All beings. Third, the Posses of Buddha-genus with All beings. Here we can looked around relation the view practice-enlightenment about Silent Penetration-Seon & All beings posses Buddha-nature. First, the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Enlightenment applies to the Essential Body are all-pervasive with All beings. Second, the Solely for Sitting-poster applies to the Truth principles are equality with All beings. Third, the Free itself of Body & Mind applies to the Posses of Buddha-genus with All beings. Eventually, the essence of Silent-Penetration Seon are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Enlightenment, Essential Body are all-pervasive, Solely for Sitting-poster, Truth principle are equality, Free itself of Body & Mind, and Posses of Buddha-genus. And the principles of practice about Silent-Penetration Seon are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Enlightenment, Solely for Sitting-poster, Experience of Un-Thought, and Free itself of Body & Mind.

      • KCI등재

        『虛堂集』 古則의 구조 및 내용의 특징 고찰

        김호귀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28 No.-

        선문답의 해석방식에는 일정하게 정해진 틀이 없다. 틀이 없다는 것은 하나의 동일한 공안이 그것을 참구하는 사람에 따라서 결코 같지 않다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그만큼 선문답은 그것을 참구하고 문답하는 사람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되는 일종의 機關이다. 그런만큼 선문답을 접근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밖에 없다. 이 가운데 허당집 에 수록되어 있는 백칙의 문답은 그 좋은 일례이다. 여기에 드러나 있는 주제는 작게는 참으로 다양하지만 크게는 1) 본래면목에 대한 문답, 2) 수행과 깨침을 주제로 한 문답, 3) 평상심의 실천 및 조동의 가풍에 대한 문답, 4) 현성공안 및 교화에 대한 문답 등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래자기에 대하여 눈 뜨기를 지향하는 선지식과 제자의 문답에서 자신의 본래면목을 발견하는 일종의 테크닉을 엿볼 수가 있다. 또한 조사선의 특징이기도 한 평상심 나아가서 조동가풍의 주도면밀한 종지를 언급하여 문답으로 활용한 것은 결국 보살도의 실천으로서 제자에 대한 교화방식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제시된 많은 교화방식은 본래자기가 현실에 투영된 현성공안 바로 그것이었다. 이에 허당집 에서 겨냥하고 있는 선문답의 모습은 본래자기에 대한 발심으로부터 수행을 통하여 증득하고 그것을 납자들에 대한 교화로 지향하는 보살도이기도 하였다. The 『HSUTANGCHI』 is the records of zen - catechism by two zen - master TANHSIA - TZUCHUN(丹霞子淳) and LINCHUAN - TSUNGLUN(林泉從輪). TANHSIA - TZUCHUN compiled one hundred of the zen - catechism and LINCHUAN - TSUNGLUN commented the one hundred of the zen - catechism. We can found three type of the one hundred of the zen - catechism in 『HSUTANGCHI』. The first type is zen - catechism of emphasizes the ben lai ming mu, it means the Original Face. Also this is the benzheng - zijiao, it means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 Realizatrion. The second type is theme of zen - catechism about the ascetic practices and enlightenments. Here we know the ascetic practices is enlightenments and enlightenments is ascetic practices. Therefore ascetic practices and enlightenments are coincide. The third type is the zen - catechism about practice of pure - mind and customs of the CAODONG sect among the five - sects of zen. The pure - mind is the nature - mind, Indiscretion - mind and un - thought of everybody. The fourth type is the zen - catechism about the represented with the xian cheng gong an and the educational campaign. The represented with the xiancheng - gongan, it means Revelation of Koan and the educational campaign, it means the salvation of disciples to enlightenment. Therefore, we reach a conclusion that the one hundred of the zen - catechism in 『HSUTANGCHI』holds a lot of means. The contents are the awakening of faith, the ascetic practices, the enlightenments and the educational campaign.

      • KCI등재

        하술상 수상논문 : 『묵조명(默照銘)』에 나타난 묵(默)과 조(照)의 개념

        김호귀 ( Ho Gui Ki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0 禪文化硏究 Vol.8 No.-

        굉지정각은 천동산(天童山)을 중심으로 그 자신의 독특한 교화를 펼쳤는데 그것이 묵조의 수행이라는 가풍으로 전개되어 나아갔다. 『묵조명』의 묵조라는 말을 가지고 자기의 선풍을 고취시킨 것은 바로 굉지였다. 『묵조명』에 나타나 있는 묵조에는 묵과 조를 각각 작용과 정체와 현성의 세 가지 입장에서 공능과 비유와 속성을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와 같은 묵조의 세 가지 측면이 일여(一如)한 바탕에서 묵조선은 성립할 수 있었다. 이것이 곧 본증(本證)의 현성(現成)내지는 자각(自覺)의 의미이다. 때문에 묵조선의 구조는 본증자각(本證自覺)을 설하고 있는 것으로서 그 중점이 바로 깨침의 세계 곧 불(佛)의 세계에 맞추어 진다. 본증의 자각이기 때문에 그 깨침으로 이끌어 나아가는 방법과 수행이 구분되어 있지 않다. 묵묵하게 좌선을 할 때에 그대로 투탈(透脫)된 깨침의 세계가 현현한다. 그 세계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래부터 도달해 있는 세계이다. 때문에 『묵조명(默照銘)』에서는 묵조(默照)에 대하여 묵(默)으로서의 좌선(坐禪)의 수(修)와 조(照)로서 현성된 證을 달리 보지 않고 증(證)이 본래부터 구족되어 있음을 설하고 있다. 특히 묵조라는 용어는 순히 묵묵히 비추어본다는 수식 내지 한정의 관계가 아니라 묵과 조의 병렬적인 의미이다. 그래서 묵조는 묵묵한 좌선으로서의 수행을 가리키는 묵(默)과 광겁(廣劫)에 두루 비추지 않음이 없는 증(證)上에서의 공능(功能)인 조(照)를 상징한다. 그리하여 묵조는 각각 묵(默)은 조(照)가 상정된 묵(默)으로서의 현성이라면 조(照)는 묵(默)을 수반하는 照로 서의 현성이다. 묵조선에 대한 종래의 비판의 한계는 그 실천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고 오히려 유무에 떨어진다든가 단계성에 상대한 본증적(本證的)이고 론리(論理)的인 특질을 지적하는데 머물러 있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조동종의 가풍으로서 전승되어 온 소위 오위사상(五位思想)이 지니고 있는 종래의 한계라는 것은 묵(默)과 조(照)의 어의에 들어있는 의미의 분석과 그 의미에 대한 부적절한 적용으로 인하여 그 실천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양측의 상관관계 내지는 대치성을 어떻게 해결하여 그 일치점에 도달하는가 하는 것이 묵조선의 과제였다. 따라서 묵조(默照)하는 묵조선 수행에 대하여 그 원리의 한계성을 소위 五位의 논리성으로 극복하고, 오위가 지니고 있는 실천의 한계성을 묵(默)과 조(照)의 지유(至游)的인 성격으로 극복해왔다. MoChao-Ming was written by Hung-chieh Cheng-choai(1091~1157). MoChao -Ming means a maxim of Silent-Penetration. Here we look upon as Mo that is Silent & Chao that is Penetration. At first the standpoint of Silent-Penetration Zen is the Self-awakening of the Original-realization. Realization of the Silent-Penetrative Zen comes when each principles faces the same position. In that manner, the training structure of the Silent- Penetration Zen tells us the Self-consciousness of From-realization and, the priority is directly focused on the world of being spiritually awakened, namely, the world of Buddha. Because it is the Self-consciousness of From-realization, there are no distinction between the way to lead for realization and self-discipline. The methods are Sitting-poster,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Realization and Un-thought. Sitting-poster is sitting with crossed leg, but it means not only body but also mind poster.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realization is self-awareness that From not a new thing with One`s mind, but From get all enlightenments are ready, So all enlightenments are actualization and operation. Un-thought is not thoughtless, It exactly Un-thought on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The highlight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is devoting to Un-thought throughly. Thus Unthought has a characteristic on the assumption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Un-thought in a Buddhist meditation doesn`t mean that it has no Thought, On the contrary, it has a meaning as thought of Un, thought of Elimination, and thought of Not-contamination. That`s exactly thought of the Silence-Penetration. All these notion of Silent-Penetration Zen based on MoChao-Ming, The MoChao -Ming comprise three conceptions, The first is the Action of Silent-Penetration Zen. This action is so called exquisite action. Exquisite action comprise Mo that is Silent & Chao that is Penetration. The second is Identity of Silent-Penetration Zen. The Identity is so called the verbal expression about Mo that is Silent & the mind of enlightenment about Chao that is Penetration. Third is Present-form of Silent- Penetration Zen. This Present-form is so called the realization about Mo that is Silent & Chao that is Penetration. The former is sitting meditation of body & the latter is enlightenment state of mind Chao. Also these three notion are The structures & contents of enlightenment in Silent-Penetration Zen.

      • 묵조선의 수행과 깨달음의 원리

        김호귀 ( Kim Ho-gui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3 No.-

        불교의 선수행법은 초기불교부터 위빠사나 및 사마타를 비롯하여 다양한 관법 등이 전승되었다. 이와 같은 선수행법은 중국불교의 선종에도 계승되었다. 이후에 송대에는 간화선과 묵조선이라는 독특한 선수행법이 창출되었는데, 그 출현 배경은 조사선풍의 순수한 면모를 회복하고자 하는 운동의 일환이었다. 그 가운데 묵조선은 조동종 계통에서 송대 중기에 출현함으로써 선수행의 폭을 확장하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묵조선을 주창한 인물로는 진헐청료와 굉지정각을 들 수가 있다. 특히 굉지정각은 본증자각, 현성공안, 지관타좌, 신심탈락 등을 특징으로 하는 묵조선 수행법의 기초를 확립하였고 또한 정립했던 인물이다. 묵조선의 수행은 본래 성불 사상에 기반하고 있는 까닭에 본증자각을 기초로 한다. 그 행위로서 좌선은 지관타좌로 정의되듯이 좌선의 행위가 다름아닌 깨달음의 표현행위로 간주된다. 나아가서 그 깨달음은 목전에 현재 감춤이 없이 성취되어 있는 현성공안으로 정의된다. 그 현성공안은 좌선하는 당사자에게 몸과 마음을 초월하는 경험으로 신심탈락 탈락신심의 경지로 통한다. 이처럼 묵조선은 수행의 행위와 깨달음의 경험이 따로 분리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간화선의 경우와 구별된다. 묵조선은 본각의 입장에서 출발하는 까닭에 굳이 깨달음을 목표로 삼지는 않을지라도 지관타좌의 행위로서 항상 깨달음을 현성해간다. 그런 까닭에 묵조선의 수증관은 불법즉위의(佛法卽威儀)에 속한다. Zen-performances of Buddhism has been handed down in various ways, including Vipassana and Samatha, from early Buddhism. Zen-performances like this were also handed down to Zen Buddhism in China. A unique Zenperformances called Kànhuachán(看話禪) and Mozhàochán(黙照禪) was created in the Sòng-dynasty. The background was part of a movement to restore the pure aspect of traditional Zen-performances. Among them, Mozhàochán has the significance of expanding the width of Zen-performances by appearing in the middle of Sòng-dynasty in Cáodòngzōng lineage. Zhēnxie-qīngliǎo(眞歇淸了) and Hóngzhi-zhèngjue(宏智正覺) are the advocates of Mozhàochán. In particular, Hóngzhi-zhèngjue has established the basis of Mozhàochán's performances, who was person by běnzhèngzijué(本證自覺), that is,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Realization, xiànchénggōngàn(現成公案), that is, The undisguised of the gōngàn, zhiı̌guǎndazuò(只管打坐), that is, Only Sitting-poster, and shēnxīntuōluò(身心脫落), that is, To be easy and happy in body and mind. Mozhàochán is distinguished from Kànhuachán in that the act of performance and the experience of enlightenment are not separate. Mozhàochán always reveals enlightenment as an act of zhı̌guǎndazuo, even though it does not aim at enlightenment because it starts from the point of being originally enlightened.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zhàochán's performance and enlightenment belongs to the Buddha's Dharma i.e. Outward appearance(佛法卽威儀).

      • KCI등재

        默照禅의 깨침에 대한 구조와 그 내용

        김호귀,김호성 한국정토학회 2009 정토학연구 Vol.12 No.-

        선의 궁극적인 목적은 깨침이다. 그만큼 올바른 깨침은 필연적으로 지혜를 수반한다. 그래서 곧 선은 지혜의 터득을 목표로 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 올바른 지혜에는 늘상 자비가 함께 한다. 때문에 깨침은 자비로 드러나야 하고 자비는 깨침에 근거해야 한다. 그 자비의 터득은 바른 수행으로부터 가능하다. 바른 수행은 일상을 떠나 있을 수가 없다. 그것을 가장 잘 드러낸 가르침이 소위 祖師禪이었다. 조사선은 일체중생이 本來成佛이라는 개념에 기초하여 그것을 일상의 삶에서 실천하는 가르침이다. 때문에 현실은 늘상 진리의 모습으로 존재해야 한다. 그것을 黙照禪에서는 現成公案이라 한다. 현성공안은 本證自覺의 일상화이다. 그리고 그 본증자각은 반드시 只管打坐의 실천을 통해서 구현된다. 이와 같은 현성공안이 자신에게서 지금 당장 실천되고 있는 것이 곧 身心脫落이다. 따라서 묵조선으 깨침은 本覺에 근거한 究竟覺의 자각이다. 이것이야말로 간화선과 묵조선이 당나라 시대의 순순했던 조사선의 가풍을 회복하려는 움직임이기도 하다. A standpoint of Silent - Penetration Zen(黙照禪) is the Self - awakening of the Original - realization. Realization of the Silent - Penetrative Zen comes when each principles faces the same position. In that manner, the training structure of the Silent - Penetration Zen tells us the Self - consciousness of From - realization and, the priority is directly focused on the world of being spiritually awakened, namely, the world of Buddha. Because it is the Self - consciousness of From - realization, there are no distinction between the way to lead for realization and self - discipline. The methods are Sitting - poster(坐禪),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Realization and Un - thought(非思量). Sitting - poster is sitting with crossed leg, but it means not only body but also mind poster.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 realization is self - awareness that From not a new thing with One`s mind, but From get all enlightenments are ready. So all enlightenments are actualization and operation. Un - thought is not thoughtless. It exactly Un - thought on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The highlight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is devoting to Un - thought throughly. Thus Un - thought has a characteristic on the assumption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Un - thought in a Buddhist meditation doesn't mean that it has no Thought. On the contrary, it has a meaning as thought of Un(非), thought of Elimination, and thought of Not - contamination(不染汚). That's exactly thought of the Silence - Penetration.

      • KCI등재

        「 黙照銘 」 考察

        김호귀 한국선학회 2006 한국선학 Vol.13 No.-

        「묵조명」은 굉지정각이 묵조의 사상적인 원리를 설파한 글이다. 굉지는 당시에 丹霞子淳의 문하에서 진헐과 굉지 등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던 묵조수행에 대하여 개인적으로 묵조선의 특징을 현창하기 위하여 이전부터 전승해 내려온 조동의 가풍을 응용하여 자기수행의 성격을 묵조에 맞추어 드러낸 것이다. 때문에 「묵조명」의 내용은 묵조의 관계가 조동의 기본적인 교의인 五位의 열린 관계[回互]와 닫힌 관계[不回互]에 근거하여 나타나 있다. 이 가운데는 묵조의 열린 관계[回互]와 닫힌 관계[不回互]의 원리를 담은 오묘한 작용, 본래부터 부족함이 없이 깨침을 갖추고 있는 깨침의 정체, 묵조의 작용과 정체는 언제나 어디서나 감추어짐 없이 그대로 진리가 드러나 있는 현성공안의 의미 등이 담겨 있다. 굉지는 그의 유려한 시적 표현을 가미하여 이와 같은 의의를 다양한 비유와 그 공능과 속성을 유려하게 드러내 보이고 있다.「묵조명」은 묵조의 고유한 妙用을 作用으로, 묵조의 本證性을 正體로, 묵조의 진리가 드러나 있는 것을 現成으로 하여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作用은 묵조선의 只管打坐이고, 正體는 묵조선의 本證自覺이며, 現成은 現成公案을 가리키는 것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묵조의 의의와 성격은 굉지정각에 의하여 형성되고 체계화되어 소위 묵조선이라는 명칭을 만들어내는 기본적인 토대가 되었다. The thought and training of Silent-Penetration Seon grounded The Silent-Penetration Doxology by HONG ZHI ZHENG JIAO(宏智正覺) in 1130 year. The structure of Silent-Penetration Doxology is 288 Chinese character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or Silent-Penetration Seon was expressed. First, the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Enlightenment(本證自覺). Enlightenment of the Silent - Penetrative Seon comes when each principles faces the same position. In that manner, the The training structure of the Silent-Penetration Seon tells us the Self-consciousness of From realization and, the priority is directly focused on the world of being spiritually awakened, namely, the world of Buddha. Because it is the Self - consciousness of From realization, there are no distinction between the ways to lead for realization and self-discipline. Second, the Solely for Sitting-poster(只管打坐). That it to say, a supreme of sitting-meditation. the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Enlightenment is self-awareness that From not a new thing with One`s mind, but From get all enlightenments are ready. So all enlightenments are actualization and operation at outset. Third, Free itself of Body and Mind(身心脫落) give a concrete form to the Original Enlightenment and the Un-Thought. To put it another way, the Free itself of Body and Mind is embodiment of inward training our body and our mind in daily life, through the Sitting-Samadhi(坐禪三昧). Generally, because of Daily life is consider for training and act of enlightenment in Silent-Penetration Seon. Fourth, the Undisguised manifestation of the Gongan(現成公案) Namely, this denotes that all phenomena are the undisguised manifestation of ultimate reality truth.

      • KCI등재

        ‘화두’, 간화선 수행의 본질과 교육적 시사점

        안성규 ( An Sung-gy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1

        간화선(看話禪)은 선어(禪語)인 화두(話頭)로써 번뇌망념을 제어하는 수행법이다. 그런데 간화선은 의심의 감정을 형성[疑情]하고 그 형성된 의심의 감정을 더욱 몰아부쳐 하나의 덩어리로 만든 뒤[疑團] 이것을 궁극적으로 깨부수어[打破]하여 깨달음을 얻는 것이라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행법을 참의(參意)법이라고 부를 수 있는데 이것은 화두의 의미를 추구하는 수행법이다. 이렇게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간화선 수행법은 창안자인 대혜(大慧宗杲, 1089∼1163)가 애초에 구상한 방법과는 다르다. 그의 간화법은 의외로 간명직절한 수행법이었다. 그는 ‘단지 망념이 일어날 때 화두를 들어라 그러면 망념은 붉은 화로위의 한 송이 눈처럼 사라진다. [妄念起時, 但看話頭, 正恁麼時, 如紅鑪上一點雪相似.]’라고 하여 ‘단간화두(但看話頭:단지 화두를 간한다.)’라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수행법을 참구(參句)법이라고 부를 수 있다. 즉 일구인 화두를 단지 참구하는 방법이다. 화두는 공안(公案)중에서 핵심적인 일구(一句)를 가리킨다. 일구는 현성공안(現成公案)으로서 지금여기에 나를 존재하게 하는 활구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었다. 화두는 그 속성 자체가 무의어(無義語) 이면서도 중도실상(中道實相)을 지시하는 진법의 단서라는 성격을 가진다. 참구법에 의하면 망념이 일어날 때 화두를 들면 그 순간이 시각(始覺)이고 이것은 곧 본각(本覺)으로 이어지는 구도였다. 깨달음이 달리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망념이 제거된 상태로가 곧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참의적 간화선 수행법은 만약 ‘의정’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다음단계인 ‘의단’형성은 구상할 수 없는 것이며 타파는 기약할 수 없는 것이 된다. ‘의정’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면 수행의 추력으로 작용하겠지만 생기지도 않은데도 억지로 구상하여 집착하면 자칫상기증(上氣症)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현대의 간화종장이라고 불려지는 성철에 의해 선양된 간화법은 참의법으로 화두참구시에 반드시 ‘어째서. 어떤 것이’라는 의문사를 들것을 강력히 주문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의문의 감정을 형성하기 위한 방편으로 설정된 것임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자칫 의식집중훈련이나 정신수련으로 흐를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간화선 수행법의 본질은 참구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일구를 통한 번뇌의 제어에 있다고 보고 일구의 수립과 의식상에 내면화하는 것을 교육현장에서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중등교육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자신의 목표를 수립하는데 영감을 주는 일구가 화두로서 설정되기 위해서는 학부모와 교사의 관심과 구체적인 지도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Ganhwaseon practice is method of observing the truth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Hwadu. By the way It is generally known that Ganhwaseon form doubt emotions and further drive away the formed feelings of doubt into one mass and eventually break them down to gain enlightenment. This method is referred to as the Chamyi method. This practice would be that the next step, the mass of doubt emotions, is inconceivable and that a breakaway is impossible if the doubt emotions is not formed. The method of performing these commonly recognized Ganhwaseon was not the one that the creator had devised. He said, 'Just remind me of the Hwadu when delusions occur, and the wrong idea disappears like a snow flower on a red brazier.' That's just the way to look at the Hwadu. In other words, if one raises the issue when delusions occurs, that moment is the moment of enlightenment and this is the structure that leads to the original realization. This method is referred to as the Chamgu method. This method of execution of the founder has been transformed into emphasize what is doubt emotions during the latter phase of the Song Dynasty and the early days of the Yuan Dynasty. It can be said that the changed method of Ganhwaseon was adop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as of now, it has been established as the practice of carrying out the current state-of-the-art Ganhwaseon. The Hwadu refers to the key phrase of Koan. The Hwadu is a condensed statement that reflects one's current issues. In such a case, the proposed section will act as a powerful tool and act as a power to solve the problems of one's own reality. and The Hwadu can serve as a message of hope in young people's hearts. For example, the question 'Who am I, what do I live for?' and 'how do I live' may be an example of Hwadu whose identity and goal a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and parents to instruct teens in a kind and caring manner to keep a phrase of hope in their hearts.

      • KCI등재후보

        『黙照銘』에 나타난 黙과 照의 개념

        김호귀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0 禪文化硏究 Vol.8 No.-

        MoChao-Ming was written by Hung-chieh Cheng-choai(1091~1157). MoChao -Ming means a maxim of Silent-Penetration. Here we look upon as Mo that is Silent & Chao that is Penetration. At first the standpoint of Silent-Penetration Zen is the Self-awakening of the Original-realization. Realization of the Silent-Penetrative Zen comes when each principles faces the same position. In that manner, the training structure of the Silent-Penetration Zen tells us the Self-consciousness of From-realization and, the priority is directly focused on the world of being spiritually awakened, namely, the world of Buddha. Because it is the Self-consciousness of From-realization, there are no distinction between the way to lead for realization and self-discipline. The methods are Sitting-poster,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Realization and Un-thought. Sitting-poster is sitting with crossed leg, but it means not only body but also mind poster.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realization is self-awareness that From not a new thing with One`s mind, but From get all enlightenments are ready. So all enlightenments are actualization and operation. Un-thought is not thoughtless. It exactly Un-thought on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The highlight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is devoting to Un-thought throughly. Thus Unthought has a characteristic on the assumption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Un-thought in a Buddhist meditation doesn't mean that it has no Thought. On the contrary, it has a meaning as thought of Un, thought of Elimination, and thought of Not-contamination. That's exactly thought of the Silence-Penetration. All these notion of Silent-Penetration Zen based on MoChao-Ming. The MoChao -Ming comprise three conceptions. The first is the Action of Silent-Penetration Zen. This action is so called exquisite action. Exquisite action comprise Mo that is Silent & Chao that is Penetration. The second is Identity of Silent-Penetration Zen. The Identity is so called the verbal expression about Mo that is Silent & the mind of enlightenment about Chao that is Penetration. Third is Present-form of Silent-Penetration Zen. This Present-form is so called the realization about Mo that is Silent & Chao that is Penetration. The former is sitting meditation of body & the latter is enlightenment state of mind Chao. Also these three notion are The structures & contents of enlightenment in Silent-Penetration Zen 굉지정각은 天童山을 중심으로 그 자신의 독특한 교화를 펼쳤는데 그것이 묵조의 수행이라는 가풍으로 전개되어 나아갔다.『묵조명』의 묵조라는 말을 가지고자기의 선풍을 고취시킨 것은 바로 굉지였다.『묵조명』에 나타나 있는 묵조에는묵과 조를 각각 작용과 정체와 현성의 세 가지 입장에서 공능과 비유와 속성을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와 같은 묵조의 세 가지 측면이 一如한 바탕에서 묵조선은 성립할 수 있었다. 이것이 곧 本證의 現成 내지는 自覺의 의미이다. 때문에 묵조선의 구조는 本證自覺을 설하고 있는 것으로서 그 중점이 바로 깨침의 세계 곧 佛의 세계에 맞추어진다. 본증의 자각이기 때문에 그 깨침으로 이끌어 나아가는 방법과 수행이 구분되어 있지 않다. 묵묵하게 좌선을 할 때에 그대로 透脫된 깨침의 세계가 현현한다. 그 세계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래부터 도달해 있는 세계이다. 때문에『黙照銘』에서는 黙照에 대하여 黙으로서의 坐禪의 修와 照로서 현성된證을 달리 보지 않고 證이 본래부터 구족되어 있음을 설하고 있다. 특히 묵조라는용어는 단순히 묵묵히 비추어본다는 수식 내지 한정의 관계가 아니라 묵과 조의병렬적인 의미이다. 그래서 묵조는 묵묵한 좌선으로서의 수행을 가리키는 黙과廣劫에 두루 비추지 않음이 없는 證上에서의 功能인 照를 상징한다. 그리하여묵조는 각각 黙은 照가 상정된 黙으로서의 현성이라면 照는 黙을 수반하는 照로서의 현성이다. 묵조선에 대한 종래의 비판의 한계는 그 실천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고 오히려 유무에 떨어진다든가 단계성에 상대한 本證的이고 論理的인특질을 지적하는데 머물러 있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조동종의 가풍으로서 전승되어 온 소위 五位思想이 지니고 있는 종래의 한계라는 것은 黙과 照의 어의에 들어있는 의미의 분석과 그 의미에 대한 부적절한 적용으로 인하여 그 실천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양측의 상관관계 내지는 대치성을 어떻게 해결하여 그 일치점에 도달하는가 하는 것이 묵조선의 과제였다. 따라서 黙照하는 묵조선 수행에 대하여 그 원리의 한계성을 소위 五位의 논리성으로 극복하고, 오위가지니고 있는 실천의 한계성을 黙과 照의 至游的인 성격으로 극복해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