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격물치지의 확충과 업의 개념

        김홍인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5

        "Gyeokmulchiji” (格物致知) has become the basic system of the epistemology of Confucianism and the rationale for illuminating the basis of moral awareness, since Joo-hee(朱熹) wrote 「Gyeokmulchiji Bomangjang(補亡章)」 of 『Daehakjanggu(大學章句)』. The issue of "Gyeokmulchiji," has recently been drawing attention as it has various possibilities and tasks that Confucianism can be connected to scientific inquiry methods and knowledge systems. Based on "Gyeokmulchiji," according to the changes and demands of the times, the expansion of its use to "Gyeokmulchijihak," and "The concept of business" is expanded (擴充), and at the center of it, the basics of emphasizing morality should be prepared. Companies, which are the economic agents of the country today, must first clarify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ir business for their successful management. This is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Business. and next, 'Gyeokmulchijihak’ which rationally and scientifically supports the execution of that rite, should follow, and thirdly, it should be supported by the mental ‘Gyeokmuljiji’ that values morality and ethics of the most of corporate members. It is desirable to have an integrated operation in which the three-layer structure is organically linked. Comparing this to the gwaesang(卦象) of the Taegwae(泰卦) of Iching(周易),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image(象) of the Jicheon Taegwae, in which the earth trigrams above and the heaven trigrams below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is considered most desirable when the physical concept of Business and 'Gyeokmulchijihak’ are located on the surface as yin(陰), and the metaphysical '格物致知' as yang(陽), centered on the inside and helping each other. A company must clarify the 'concept of Business' and respond with scientific thinking to realize its Business success but all of these start from the mindset of morality and ethics, and need to be guided and practiced.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iming that fit the times in the sense that each purpose. 격물치지(格物致知)는 주희가『대학장구』「격물치지 보망장」을 지은 이래, 유학의 인식론을 이루는 기본 체계가 되었고 도덕적 인식의 근거를 밝혀 주는 논거가 되었다. 격물치지는 최근에 와서 유학이 과학적 탐구방법이나 지식체계의 축적은 물론, 과제해결의 방법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격물치지’가 시대의 변천과 요구에 따라 ‘격물치지학(格物致知學)’, ‘업의 개념(業의 槪念)’에로 그 용도를 확장해 나간다는 확충(擴充)과 함께 그 중심에는 늘 도덕 중시의 기본을 갖추어야 함을 내포하고 있다. 오늘날 국가의 경제주체인 기업이 성공적인 경영을 위해서는 첫째, 사업의 영역과 업의 내용을 분명히 하는 ‘업의 개념’의 정립이 필수 요건이다. 둘째, 그 업의 수행을 합리적 과학적으로 지지해 주는 ‘격물치지학’이 뒤따라야 한다. 셋째, 기업 구성원들의 마음속에 도덕과 윤리를 중시하는‘격물치지’가 받쳐 주어야 한다. 기업 경영은 이 같은 삼층 구조가 유기적으로 연계된 통합적인 운영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것을 주역의 태괘(泰卦)에 비유하면 위에는 지(地), 아래는 천(天)이 위치해서 서로 잘 통한다는 지천 태괘의 상(象)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형이하학적인 ‘업의 개념과 '격물치지학’은 음(陰)으로 표면(上)에서, 형이상학적인 '격물치지’는 양(陽)으로 내면(下)에서 중심을 잡고 서로 화합하는 모습일 때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기업이 ‘업의 개념’을 분명히 하고 과학적인 사고로 대응하되 이 모든 것은 도덕 윤리의 마인드 위에서 실천해 나아가는 시중(時中)과 권도(權道)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철학 : 개항기 격물치지학(格物致知學)(science)에 관한 연구

        박정심 ( Jeoung Sim Park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0 한국 철학논집 Vol.0 No.30

        본 논문은 ``격물치지``란 개념의 의미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근대``를 인식하는 사상적 전환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격물치지란 성리학의 사유를 해명하는 주요개념어였다. 그러나 근대공간에서 격물치지는 science의 번역어로서 자리잡았다. 성리학의 격물치지는 천리를 체인하는 방법으로서 인간의 道理 및 가치판단의 영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근대적 함의를 지닌 格物致知學은 객관사물에 대한 과학적 탐구에 국한된 것으로서, 결과적으로 성리학적 사유를 해체하는 중요한 기제였다. 넓게는 자연과학을 좁게는 物理學의 의미로 사용된 격물치지학은 서구 근대 자연과학 및 기술 적극 수용해야하는 주장을 뒷받침하였다. 개화파는 서구의 격물치지학이 바로 그들의 문명과 부국강병의 근본적인 원동력이라고 파악했기 때문에, 서구처럼 문명국이 되기 위해서는 격물치지학을 적극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격물치지학을 수용한다는 것은 곧 그들의 앞선 문명성을 새로운 전범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하였다. 성리학의 해체와 문명의 수용은 곧 近代와 前近代를 가르는 기준이기도 하였다. 격물치지학은 자원화된 만물에 대한 과학기술적 탐구였다. 이것은 성리학의 天人合一의 유기적 연관성을 탈각함으로써 가치판단영역과 분리된 기술적 발전을 추구하였다. 서구열강이 앞선 과학기술의 물리력을 앞세워 제국주의침략을 자행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과학기술을 수용하는 것이 절박한 시대문제이긴 했다. 그러나 문명화에 함몰되어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도덕적 성찰을 도외시함으로써 근대문명이 지닌 야만적 침략성을 비판할 수 있는 근거를 상실했다. 더 나아가 서구근대를 진보적 전범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강렬한 욕망이 야만적 근대 너머를 상상할 수 있는 여지마저 봉쇄함으로써 스스로 ``결핍된 타자``로 전락하였다. 개화파가 결과적으로 친일파가 되었던 것은 바로 이러한 沒主體的인 文明觀에 기인한 것이다. This paper tries to study theoretical transformation about modernity by analyzing changes of the concepts of Gaining Knowledge of the Study of Things(格物致知). Gaining Knowledge of the Study of Things(格物致知) was the main concept to explain the thought of Neo-Confucianism(性理學). But in the Modern era Gaining Knowledge of the Study of Things(格物致知) was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Science. In Neo-Confucianism(性理學) Gaining Knowledge of the Study of Things(格物致知) was closely related to the side of human duty and the moral value judgement. But in the modern meaning Gaining Knowledge of the Study of Things(格物致知: Science) was focused to scientific study of the objective matter. So the Science on Gaining Knowledge of the Study of Things(格物致知) effect to breakup the thinking of Neo-Confucianism(性理學).

      • KCI등재

        石谷 李奎晙의 學問과 哲學的 指向

        신상구(Shin Sang-goo) 국제언어문학회 2018 國際言語文學 Vol.- No.41

        석곡은 조선의 마지막과 대한제국의 첫출발을 온몸으로 체험한 인물이다. 망해가는 조선의 모습에 안타까워하고 조선이 지니고 있는 문제를 자각하고, 백성들의 힘든 삶에 대해 마음 아파한 인물이었다. 이 연구는 석곡이 살았던 시기를 관통하는 어려움에 주목하고, 유학이 지향하는 앎[知]에 대한 물음과, 문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格物致知에 대한 석곡의 견해를 우선 살피고, 다음으로 변화와 혁신의 과정에서 키워드로 내세우는 사랑[愛]의 가치와, 만물을 생성하는 도리로서의 인의 가치, 그리고 석곡이 주장하는 만물동체의 세상과 理와 氣, 性과 情을 포함한 개념으로서의 心에 대한 인식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석곡의 학문과 철학적 사유는 주로 『石谷散稿』와 『石谷心書』에 집중되어 있다. 석곡의 萬物同體說이나, 格物致知, 그리고 心에 대한 견해는 모두 이들 책을 통해서 드러나 있다. 석곡의 理氣論이나 心論은 格物致知에 대한 인식에서부터 차이를 드러낸다. 석곡은 격물치지에 대한 주자의 견해를 부정한다. 어려운 사물을 연구하려 하지 말고 스스로의 견해를 지키고 자득한 것을 실천하는 것이 바른 것임을 말하였다. 석곡의 이러한 생각은 격물치지가 물을 닮아가는 것이 아니고 자득에 있음을 말한 것이다. 격물치지에 대한 석곡의 인식은 그의 학문전반을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가치가 된다. 석곡이 사람을 사랑하지 않는 학문에 대한 부정과, 만물을 생성하는 道로서의 仁에 대한 생각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들은 만물동체로 나아가고, 만물동체는 이와 기를 성과 정을 포함하는 통섭적 개념으로서의 心과 맥락이 닿아 있다. Seokgok is the person who experienced the end of Joseon and the beginning of the Korean Empire as whole body. He was sad about the ruined appearance of Joseon, aware of the problems Joseon had, and was extremely sick about the hard life of the people.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iculties that pass through the period when the Seokgok lived, The question of knowledge, which is aimed at new studying, I first look at the viewpoint of Seokgok about the poetry theory 格物致知(learning the downward human affairs and knowing the meaning of the sky deeply) that takes place in the process of looking into the problem, Next, the value of love [love] as a keyword in the process of change and innovation, the value of a person as a creator of all things, And I have studied about the world of the body of all objects, the theory, the spirits, and the perception of the mind as a concept including the sex and feeling, which the Seogok claims. The study and philosophical thought of Seokgok is mainly concentrated on "Seokgok Sango", "Seongok Shimseo"(『石谷散稿』and 『石谷心書』="Oriental medicine and the Oriental medicine book"). The study and philosophical thinking of the Seoggok are mainly concentrated on the “Seokgok Sanggo", "Seokgok", "Oriental Medicine or Oriental Medicine"(萬物同體說 or, 格物致知). All of the views on the theory of(萬物同體說) or 格物致知 and the mind of the stone are all revealed through these books. The theory of 理氣論, 心論(the theory of the mind) and 格物致知 of Seoggok reveals the difference from the recognition of the superstition. Seokgok does not recognize the Juja"s view of the 格物致知. He said that it is right to not try to study difficult things, to keep his own opinion, and to practice what he has achieved. This idea of the Seokgok means that 格物致知 does not resemble stuff, but that it is in the self. The perception of the Seokgok to the 格物致知 is the most important value that dominates his entire discipline. Seokgok is extended to negative thoughts about learning that do not love people and to thinking about patience as a way of generating all things. And these thoughts go to the 萬物同體 and the 萬物同體 touches the mind and context as a consensus concept that includes the theory and the spirits, the sex and feeling.

      • KCI등재

        주자의 격물치지설과 원불교의 사리연구 비교

        박성호(朴成浩)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0 No.-

        본 연구는 유학의 격물치지설이 지금까지 언급되었던 단순한 인식방법론의 차원을 넘어 삼학병진에서의 사리연구와 어떻게 연관될 수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기존의 인식방법론상에서 주자의 격물치지설과 원불교의 사리연구의 비교연구가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고, 각각의 수행방법상에서 그 구조와 내용에 대한 동이(同異)를 고찰한 것이다. 수행구조상에서 살펴보면, 주자의 심미발(心未發)시 주경함양(主敬涵養)과 심이발(心已發)시 격물궁리(格物窮理)의 병진구조는 원불교 삼학병진수행 중 정신수양과 사리연구 사이의 병진구조와 그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실천의 문제에 관해서 주자는 심의 이발미발이라는 심성론 안에서 함께 해결하지 못하고, 주경함양과 격물궁리의 수행구조 이외에 선지후행(先知後行)의 입장에서 치지(致知)와 역행(力行)의 관계를 따로 설정한다. 반면, 원불교의 삼학병진수행 구조 안에서는 성품의 속성을 따라 수양과 연구뿐만 아니라 실천의 문제까지도 함께 병진하게 함으로써 원만한 수행을 하게 한다. 수행내용상에서 살펴보면, 주자의 방법적 이론인 리일분수(理一分殊)는 원불교의 일원상의 진리관과 성리(性理) · 윤리(倫理) · 물리(物理)적인 의미에서 각각 상통하는 면이 있다. 리의 개념과 이기관(理氣觀)에 따른 격물치지의 대상과 방법에서도 사리연구와 유사성을 보지만, 각각 리[天道]에 대한 순응과 활용, 외향적 경향성과 내외동정의 원만성이라는 차이를 보인다. 주자의 격물치지에서는 그 과정과 절차에서 누적과 관통 그리고 유추를 강조한다. 원불교의 사리연구에서도 오랜 시간의 적공을 요구하며 연구력을 얻어 사리에 통달하였다고 할지라도 그 구체적인 대인접물에 있어서 묻고 배우는 자세가 요청되며, 지혜를 얻었다 할지라도 다시 매(昧)하지 않도록 늘 연마의 공을 쉬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주자와 일치하는 견해를 보인다. 그러나 지식의 범주와 목적에는 각각 국한의 차이를 보인다. 주자학에서 중시하는 지식이란 당시 관리들의 개인수양과 국가 통치에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천문 · 농사 · 예제 · 복무 등에 관한 지식이었다. 그러므로 그 지식은 계급적 역사적 한계를 지니며 그 범위도 제한적이다. 반면, 원불교는 정신문명과 함께 과학문명의 병진을 중시하며 시대를 따라 학업을 준비하게 하는 등 시대정신에 맞게 다양한 지식을 추구할 것을 강조하였으며 그 자격 또한 남녀노소 선악귀천을 불문하고 일체 모든 인류를 포괄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당시에 해결해야할 시대적 사명이 다른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본질적인 차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격물치지와 사리연구는 지식학습의 차원에서 그 인식론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는 없지만 주자의 격물치지의 본래 목적은 결코 객관세계를 인식하기 위함이 아니라 ‘리’에 대한 인식을 통해서 도덕적 경지에 도달하기 위함이었으며, 사리연구 역시 그 궁극적 목적은 도덕적 인격완성에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본래 목적은 각각 주경함양과 삼학병진이라는 전체 수행구조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통해 사리연구와 격물치지가 인식론적 차원에서의 개념비교를 넘어서 각각의 전체수행과정안에서의 수행방법론으로도 다양한 연관성을 맺으며 비교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study will look into how Zhuzi’s GewuZhizhi(格物致知) of Confucianism and The Threefold Study’s SariYŏn’gu(Inquiry into Human Affairs and Universal Principles) of Won -Buddhism could be compared in the methodology of training beyond a dimension of traditional epistemology. For this purpose, I will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GewuZhizhi and SariYŏn’gu. At the same ti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will be compared with both structure of practice and contents of practice. From a structure of practice, Zhuzi’s ZhujigHanyang(主敬涵養) and GewuZhizhi are mutual-supporting each other in their structure. It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practice between Chŏngsin Suyang(Cultivating the Spirit) and Sari Yŏn’gu of The Threefold Study in Won-Buddhism. While, in the aspect of their applications, Zhuzi could not suggest enough solution in Human Nature theory, Won Buddhism has a feature of embracing them by three characteristics of Human Nature, namely voidness (kong), completeness (wŏn), and rightness (chŏng). From the contents of practic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found at three points: methodical theory, objects and methods, and purposes and results. It"s undeniable that GewuZhizhi and Sari Yŏn’gu connotes epistemological meanings at the level of knowledge study. However, their fundamental purpose is not seeking knowledge but completion of the moral personality. In the study, it is found that GewuZhizhi and Sari Yŏn’gu can be compared in practice methodology beyond a level of the knowledge methodology.

      • KCI등재

        『大學』 格物致知 格物攷

        이재룡 ( Jae Ryong Lee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고려법학 Vol.0 No.69

        『대학(大學)』은 경(經) 1 장(章) 중의 한 내용인 격물-치지-성의-정심,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순서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중 ‘격물치지(格物致知)’와 ‘정심(正心)’에 관해서는 언급이 없다. 주 자(朱子)는 『대학』의 내용 중 ‘정심(正心)’에 관한 내용이 없는 점을 간과 하고 유독 격물치지(格物致知)에 관한 내용이 없는 점만을 중시하고 있다. 주자는 격물치지에 관한 ‘보망장’만을 보충해 넣었다. 그러나 주자의 보망 장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문제가 있다고 여겨진다. 1. 주자는 격물의 격格을 “에 이르다(至)”로 이해하고 있으나 이는 『대 학』이 탄생하던 당시에 일반적으로 쓰이던 격의 의미를 그대로 받아들인 것일 뿐이다. 주자는 『대학』의 작가가 당시에 격格자가 새로운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한 점에 착안해 이를 사용하고 있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주자는 격(格)을 지(至)로 주해한 다음 그 의미를 궁(窮)으로 해석했고 물 (物)을 ‘물(物)에 내재하고 있는 리(理)’로 규정해 격물(格物)을 궁리(窮理)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궁리(窮理)는 『대학』 이전부터 사용되던 용어였음에도 『대학』이 왜 격물(格物)이라는 용어를 창출해 내어야만 했는지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2. 『대학』이 탄생하던 당시에 이미 격(格)은 ‘유형비교를 통해 형성되는 공통의 모식을 구축 한다’는 의미로 확장되고 있는데 『대학』은 격(格) 의 이와 같은 새로운 의미를 착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이미 『논어(論 語) 』에서부터 등장하고 있는 격(格)의 새로운 의미이다. 그러므로 격물(格 物)은 지물(至物)이 아니라 ‘동류(同類)의 사물의 변화 현상이 공통적으로 만들어 내는 공통적 속성으로 구성된 모형, 혹은 원형’의 의미를 지닌다고 보아야 한다. 이는 오늘날 격(格)자의 의미에는 주자가 주해한 지至의 의 미는 완전히 퇴색되고 모형?모델 혹은 기준 등의 의미로만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아도 확인할 수 있다. 3. 또한 『대학』에는 주자가 주장한 대로 격물치지(格物致知)장이 망실 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다고 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대학』은 격물치지-성의-정심의 내적 단계를 오직 신독(愼獨)이라는 하나의 용어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이 이렇게 신독(愼獨)을 강조하고 있는 것은 상황에 대한 판단 혹은 현 상황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일체의 판 단을 주체 자신의 주관적 판단이 아닌 주변사회 속에서의 객관적 판단에 따를 것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학』의 내적 수신(修身)의 단계는 주자의 주장처럼 ‘사물에 대한 과학적 인식 및 논리적 이해를 통 한 도덕심의 제고’에 초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객관적인 가치판단을 통해 주어진 상황 하에서 최선 최적의 목표를 확인하는 데로 귀결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삼강령(三綱領)의 궁극목표인 지어지선(止於至善) 이 바로 그것이다. The Great Learning(大學) is explaining whole contents in the following order, to be sincere in their thoughts(誠意)―to cultivate their persons(修身)―to regulate their families(齊家)―to order well their States(治國)―to illustrate illustrious virtue throughout the kingdom`s(平 天下). There is not explaining about 格物致知 and 正心 of them in the Great Learning(大學). Zhu Xi was thought that explanation about 格物 致知 of them disappeared, and tried to supplement the part later. Zhu Xi`s supplementation is mistaken in following reason. Zhu Xi did not indicate omit of ‘欲正其心者先誠其意’, does nothing but insisted on disappeared explanation about 格物致知 in the 大學. 1. Even if we recognize Zhu Xi`s supplementation 格物致知`s contents, it is obviously wrong that he has used philosophical terminology of his contemporary. 2. ZhuXi should have supplemented as appropriate philosophical terminology of contemporary with 大學 as possible. 3. Even if we receive ZhuXi`s supplementation, last part of ZhuXi`s supplement ends by 物格 in spite of that beginning part of ZhuXi supplements is 格物. These explanation commits structural inconsistency. Because explanation about 8 order of 大學 is following in 1 chapter`s sentence order. The Great Learning(大學) is explaining whole contents in the following order, to be sincere in their thoughts(誠意)―to cultivate their persons(修身)―to regulate their families(齊家)―to order well their States(治國)―to illustrate illustrious virtue throughout the kingdom`s(平 天下). There is not explaining about 格物致知 and 正心 of them in the Great Learning(大學). Zhu Xi was thought that explanation about 格物 致知 of them disappeared, and tried to supplement the part later. Zhu Xi`s supplementation is mistaken in following reason. Zhu Xi did not indicate omit of ‘欲正其心者先誠其意’, does nothing but insisted on disappeared explanation about 格物致知 in the 大學. 1. Even if we recognize Zhu Xi`s supplementation 格物致知``s contents, it is obviously wrong that he has used philosophical terminology of his contemporary. 2. ZhuXi should have supplemented as appropriate philosophical terminology of contemporary with 大學 as possible. 3. Even if we receive ZhuXi`s supplementation, last part of ZhuXi`s supplement ends by 物格 in spite of that beginning part of ZhuXi supplements is 格物. These explanation commits structural inconsistency. Because explanation about 8 order of 大學 is following in 1 chapter`s sentence order. 4. ZhuXi explained 格物`s 格 as ‘Arrive (至)’. But, ZhuXi emphasized virtual meaning of 格 as ‘Study thoroughly (窮)’ and 物 as ‘Principle 理)’. We know that terms of ‘窮’ and ‘理’ are used generally at that time. We can not know reason that 大學 use term of that 格物 deliberately, even if follow ZhuXi`s opinion. 5. Today it is very rare that ‘格’ is used to meaning of ‘Arive’(至). This means that meaning of ‘Arrive (至)’ was not widely accepted in the many meanings of 格. Preferably, we are using 格 as the meaning of right fundamental rule, standard or ideal model ect,. Therefore, the meaning of 格 must have the one of ‘to compose typical image with important points of things(構模型) in the Great Learning(大學)’. 6. These meaning of 格 is resemblant with Max Wever`s ‘Ideal Type’ and to construct model by comparing with resemble acts in legislation study. Everybody used to recognize of surround things by these recognition method in every life. In this way, we must believe that the meaning of 格物``s 格 is ability to compose idal type of draws essence from actual things, can explain 格 in harmony with 愼獨 that 大學 emphasizes very heftily understand. 7. Therefore, the meaning of 格 of 物格 is not ‘to Arrive(至)’ must be ability(構模型) of to compose idal type by drawing essence from things.

      • KCI등재

        朱子ㆍ陽明ㆍ象山의 格物致知說

        안영석 새한철학회 2000 哲學論叢 Vol.21 No.-

        『대학』의 格物致知에 대해 주자가 '格物補傳'을 써서 그의 견해를 피력한 이후, 유학계 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견해와 의문들이 제기되었다. 특히 양명은 주자의「大學章句』의 타당성을 부정하고 이와 성격을 전혀 달리하는 그의 격물치지설을 제출하였다. 또한 그는 南宋心學의 대표자인 상산의 격물설에 대해서도 비판하며 그 한계를 지적하였다. 본 논문은 상산의 격물설이 같은 심학계통인 양명에게 왜 수용될 수 없었는지 그리고 상산의 격물설의 특징과 한계가 무엇인지를 해명하기 위해, 주자·양명·상산의 격물설의 내용과 특징을 해명하고 비교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먼저 주자의 격물설은 첫째로 心 밖의 物의 理를 궁구하는 향외궁리적 이론이며, 둘째로 認識心의 식별지가 주가 되는 주지주의적 이론이며, 셋째로 주체와 대상의 대립구도에 기초한 주객대립의 이론이다. 이에 반해 상산의 격물설은 本心을 밝힘으로써 理를 자각하는 向內明理의 이론이며, 둘째로 心의 본래성의 회복으로 理를 체득하는 '전인격적 체득의 이론'이며, 셋째로 '내 마음이 곧 우주'인 본심을 회복하는 主客合一의 이론이다. 이 양자는 격물설을 인식이론으로 해석하였지만, 향외와 향내, 주지적 방법과 체득적 방법, 주객분립과 주객합일의 내용적 차이를 지닌 상반된 이론이다. 그런데 이러한 상산의 격물설이 왜 양명에게 수용되지 않고 비판되었는가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양명의 격물설은 본래부터 내게 갖추어진 良知의 깨달음과 실현을 통해 사물을 완성하려는 주체 중심의 도덕이론이며, 양지라는 道德心의 자발적인 知와 行의 발현으로 도덕행위를 이루려는 知行合一의 실천적 이론이며, 物과 대립하지 않는 良知의 실현으로 주객분리를 지양하려는 主客合一의 이론이다. 이상을 볼 때 상산과 양명의 격물설은 주체 중심의 향내적 이론성격, 주객합일을 담지한 주체의 존재성격, 心의 변화를 통한 전인격적 체득방식이라는 점에서 그 맥을 같이 한다. 그러나 상산은 주자처럼 격물을 인식론적 과정으로 설명하고 知先行後說을 주장하여 격물치지를 도덕실천적으로 해석하지 않았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해 격물설 속에 유학의 도덕실천성을 명시적으로 확보하려던 양명에게는 상산의 격물설은 거칠고 종래의 설을 답습한 이론으로 이해되어 비판될 수밖에 없었다고 하겠다. This is a study to disclose the characteristic and limitation of Xiang-shan's theory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In order to prove my claim above, I shall compare Xiang-shan's theory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with Zhu-xi's and Yang-ming's. Zhu-xi's theory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feature is a recognition of the principle through studying his outer things. Second feature is an intellectualism which attachs great importance to discriminating Mind. Third feature is a separation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his theory of knowledge. On the contrary, Xiang-shan's theory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feature is a recognition of the principle through enlightening of his own mind. Second feature is the moral culture which is accompanied by transformation of his own mind. Third feature is a coincide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his theory of knowledge. And Yang-ming's theory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feature is a subjective moral philosophy which intends to accomplish his affairs through realization of his innate good intellect. Second feature is the moral culture which ensures to coincidence between knowledge and deed through innate good intellect. Third feature is a coincide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by realizing innate good intellect which is not confronted with things. Judging from the above facts, Xiang-shan's and Yang-ming's theory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re very much alike in the nature of their study. But Xiang-shan didn't explain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s a moral act, rather, he explained it as a process of knowledge as Zhu-xi did. On account of this point Xiang-shan's theory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was criticized and rejected by Yang-ming who asserted the coincidence between knowledge and deed.

      • KCI등재

        유가공부의 한 정곡인 격물치지에 대한 수양론적 시선

        서명석(Seo, Myoung-Se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1

        유가의 공부지평 속에서 격물치지란 무엇인가. 이것이 오늘날 학생들이 매달리고 있는 공부활동과 어떻게 다른 것인가. 그렇다면 격물치지는 21세기 우리들에게 어떠한 교육적 메시지를 전해주고 있는가. 이런 물음들에 일일이 화답하는 것이 이 글이다. 유가에서 말하는 격물치지는 오늘날 학생들의 공부활동과 매우 다른데, 그것은 유가가 수신의 문제를 공부의 두뇌처로 잡고 있기에 그러하다. 유가의 격물치지도 오늘날의 지식축적 활동과 매우 유사한 국면을 함유하고 있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공부의 지향처가 각각 다르다는 점이다. 이 점을 망각하고 유가의 격물치지를 서양 인식론의 지평에서 논의하는 것은 탈-맥락화의 오류를 범하는 전형이다. 오늘날 앎에서 수신이라는 유가적 패러다임이 삭제되거나 증발한 상태에서의 격물치지가 주는 메시지는 앎의 진정성을 다시 점검해 보라는 반성적 시간성을 우리들에게 각별히 제공해준다. Gé-Wù-Zhì-Zhī[格物致知] in Neo-Confucianism is the process of selfcultivation. In other words, it is the program of Neo-Confucian self-cultivation. It is not the modern epistemology of western philosophy. This discourse of Chu Hsi is thus nothing but a method of self-cultivation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ings in the world out there. The Confucian paradigm of Gong-Fu[工夫] consists of two strands, namely, Chü-Ching[居敬] and Ch’iung-Li[窮理]. These two factors do not contradict but support each other. Cultivate your heart-mind[Xiū-Shēn/修身]! Inwards, make sincere your will [Chéng-Yì/誠意] and correct your mind[Zhèng-Xīn/正心]! Outwards, investigate things[Gé-Wù/格物] and extend your knowledge[Zhì-Zhī/致知]! The core step in Chu Hsi’s program of self-cultivation is to apprehend the principle in things. What meaning does this paradigm have in the post-post-modern condition?

      • KCI등재

        주희의 格物致知說에 대한 고찰 - 『大學或問』傳五章과 ‘大學或問語類’의 비판적 이해를 중심으로

        성광동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3

        본 연구는 『대학장구』, 『대학혹문』, 그리고 『주자어류』의 ‘대학혹문어류’를 중심으로, 선배 학자들의 격물치지설에 대한 주희의 비판적 이해를 고찰하였다. 주희는 『대학혹문』과 ‘대학혹문어류’에서 사마광, 정이의 제자(여대림, 사량좌, 양시, 윤돈), 호상학자(호안국, 호굉), 이동의 격물치지설을 비교적 자세히 서술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면서 정이의 격물치지설을 토대로 자기 학설을 체계화 하였다. 이처럼 주희는 선배 유학자들의 격물치지설을 비판하면서, 외물에 대한 강한 긍정을 토대로 외물에 대한 이치의 누적을 통해 마침내 하나로 관통하는 방법이 격물치지의 핵심임을 주장하였다. ‘격물보전장’과 관련한 주희의 이러한 기획은 주희 자신이 입론한 격물치지의 의미가 결국 정이의 격물치지설과 부합하며 유학 전통에 확고히 기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studies Zhu Xi’s critical comprehension about the theories of gewu zhizhi of senior Confucian scholars, focusing on the Daxue Zhangju, Daxue huowen, and Daxue huowen yulei of Zhuzi yulei. Zhu Xi described in depth the theory of gewu zhizhi of Sima Guang, disciples of the Cheng Yi(Lu Dalin, Xie Liangzuo, Yin Ch’un, Yang Shi), scholars of Hu-Xing province(Hu An-guo, Hu hong), Li Dong in the Daxue huowen and Daxue huowen yulei, by his understanding through a criticism of the theory of gewu zhizh, thereby formulating a theory of gewu zhizhi on the basis of Cheng Yi’s theory. Through this criticism of senior Confucian scholars, Zhu Xi explained that the theory of gewu zhizhi was departed from a positive affirmation of things. Zhu Xi claimed that the crux of gewu zhizhi was a thorough understanding like a sudden release achieved by accumulating Li of things. This plan of Zhu Xi with respect to “Supplementary Chapter on the Gewu Zhizhi” showed that the theory of gewu zhizhi which was set up by himself corresponded to the theory of Cheng Yi’s, and it was based on the Confucian tradition firmly.

      • KCI등재

        심대윤의 격물치지(格物致知) 개념 연구

        김재화(KIM Jae-Hwa)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9 泰東古典硏究 Vol.43 No.-

        이 글은 19세기 조선의 유학자 심대윤(沈大允, 1806~1872)의 격물치지(格物致知) 개념의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심대윤의 격물치지 개념은 인간이 지닌 정신(精神)과 명지(明知)의 기능적 특성과 본 것에 따라 선해지거나 악해지는 인간의 마음의 본질적 특성에 의해 그 논리적 과정과 필요성이 설명되고 있으며, 격물치지의 효과는 인간의 실정[人情]은 물론이고 온천하의 각종 사태의 실정[事情] 및 사물의 실정[物情]까지 두루 통하여 알 수 있게 해주는 무궁무진한 것으로 규정되고 있다. 나아가 심대윤은 성인이 자신이 격물치지를 통해 안 바를 천하의 뭇 사람들 또한 쉽게 시행할 수 있게 해주는 실천의 묘리로서 대중들에게 충서(忠恕)를 힘써 행할 것을 가르쳤다고 주장하며, 격물치지와 충서는 천하의 사람들이 모두 함께 이로워 지고[利] 편안해지는[安] 위대한 유학의 도(道)라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심대윤의 격물치지 개념은, 대중들로부터 유학의 권위가 땅에 떨어지고 각종 민란과 탄압으로 사회적 혼란이 극심했던 19세기에 살았던 심대윤의 시대적 문제의식을 여실히 보여준다 하겠다. 심대윤은 이론적 의리 논변을 중시했던 송나라 주희라는 과거의 거대한 굴레를 벗어나 유학의 도를 대중들의 삶을 이롭고[利] 편안하게[安] 해줄 수 있는 것으로서 재정 립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격물치지라는 유학의 핵심 개념을 대중들에게 충서라는 쉽고 단순한 실천적 요령으로써 설파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meaning of Shim Dae-yoon s (沈大允, 1806~1872) concept of the Gewuzhizhi 格物致知. Shim, a 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claimed that Gewuzhizhi is necessary because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human jungsin 精神 & myeongji 明知, an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mind(心) that becomes good or evil according to what one sees. It is also explained that the effect of the Gewuzhizhi is infinite, which allows us to know not only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human beings(人情) but also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various events(事情)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various things(物情). Furthermore, Shim argued that the Saint(聖人) taught everyone to do zhõng-shù 忠恕 with great effort because it is a miracle principle of moral practice that allows us to do things what we ve learned from the Gewuzhizhi, and Gewuzhizhi and zhõng-shù are the great Confucian principles that all the people of the world can benefit(利) and be comfortable(安) together. Shim Dae-yoon s concept of a Gewuzhizhi clearly demonstrates his sense of social problem in the 19th century, when the authority of Confucius fell to the ground and various civil disturbances and oppression caused social chaos. Shim Dae-yoon wanted to break away from the great past of Zhu-Xi(朱熹), who focused on moral righteousness, to redefine the Tao of Confucius as something that could make beneficial and comfortable of the people. To this end, Shim wanted to preach the core concept of Confucius, Gewuzhizhi, to the general public as an easy and simple practical way of doing zhõng-shù.

      • KCI등재

        『大學』解釋을 통해 본 朱子의 格物致知論

        徐根植 동양고전학회 2008 東洋古典硏究 Vol.33 No.-

        朱子는 본래 禮記의 43번째 편이었던 「大學」을 독립시켜 大學章句로 재편집하였고, 이 과정에서 134字를 보충하였다. 보충한 134字는 格物致知에 관한 것으로 朱子의 이러한 解釋은 후대 학자들이 大學을 解釋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朱子는 格物을 天地 사이에 존재하는 事物들의 理를 窮究하는 것으로 解釋하였다. 格物이 事物들의 理를 窮究한다는 의미라면 窮理라는 표현이 보다 적합하다. 그러나, 窮理라고 하지 않고 格物이라고 한 것은 事物의 實體를 얻기 위해서라고 朱子는 주장한다. 이는 格物致知가 虛學이 아닌 實學임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致知는 格物의 과정을 통해 나의 앎이 지극해지는 단계이다. 즉, 致知는 格物을 통해 얻은 지식들을 종합하여 眞知를 구하는 단계이다. 이 眞知는 私意가 개입할 수 없으므로 眞知는 보편적인 앎과 같은 것이 된다. 格物致知를 통해 양적으로 축적된 것은 豁然貫通을 통해 질적인 변화를 하게 된다. 格物致知가 下學工夫라면 豁然貫通은 上達工夫에 해당되는 것이다. 豁然貫通은 나의 理가 보편적인 理와 하나가 되는 단계로서 내 마음 속의 準則이 보편성을 갖게 되는 단계이다. 즉, 내 마음 속의 準則과 보편적인 準則이 하나가 됨을 의미한다. 格物致知를 하는 최종 목표는 무엇인가? 格物致知의 최종 목표는 至善에 도달하는 것이다. 格物致知가 至善을 지향하고 있다면 豁然貫通을 통해 얻은 내 마음 속의 보편적 準則 또한 至善이 그 기준이 된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朱子의 格物致知는 認識論의 측면과 倫理的 측면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Making Daxue(大學) which was originally the 43rd chapter of Liji(禮記) independent, Zhuzi(朱子) had reedited it into Daxuezhangju(大學章句) and in this process, he had added 134 letters thereto. Those 134 letters that added were concerned with gewuzhizhi(格物致知) and Zhuzi(朱子)’s such interpretation had made a great deal of contribution to the later interpretations of Daxue(大學) conducted by those scholars who followed him in a later age. Zhuzi(朱子) had interpreted gewu(格物) as to make a exhaustive study on principles of things or noumena that exist between heaven and earth. If gewu(格物) taking it for granted, denotes thorough investigation of the principles of things, it is considered that qiongli(窮理) is a more appropriate expression. Meanwhile, however, Zhuzi(朱子) argues that the reason for dubbing it gewu(格物), not calling it qiongli(窮理), is to see a thing as it is in itself. This is to emphasize that investigation of things and extension of knowledge gewuzhizhi(格物致知) is shixue(實學), not a xuxue(虛學). Zhizhi(致知) is a step through which my knowledge is being culminating in the most comprehensive and profound fashion. Specifically, Zhizhi(致知) is the phase to seek zhenzhi(眞知) having put together all knowledge gained through gewu(格物). In this true understanding, there is no room for one’s own free will to intervene; zhenzhi(眞知) becomes the same as universal knowledge. The things accumulated in quantity through gewuzhizhi(格物致知) are to be changed by means of huoranguantong(豁然貫通). If we put gewuzhizhi(格物致知) as the quests of basic and general subjects, meanwhile, huoranguantong(豁然貫通) corresponds to more profound and sophisticated learning. Huoranguantong(豁然貫通) is a phase in which my principle and the universal principle become unified, and so, this is the phase where the standards in my mind will attain universality. That is to say, this means that the standards in my mind and the universal standards grow into one. Then, what is the ultimate purpose of gewuzhizhi(格物致知)? The ultimate purpose of gewuzhizhi(格物致知) is to reach zhishan(至善). If gewuzhizhi(格物致知) seeks zhishan(至善), those universal standards in my mind that attained through huoranguantong(豁然貫通) shall also be the criteria of that zhishan(至善). Viewing it from this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Zhuzi(朱子)’s gewuzhizhi(格物致知) contains both epistemological and logical a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