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淨土寶書』를 통해 본 염불수행과 그 의의

        황금연 한국정토학회 2018 정토학연구 Vol.30 No.-

        This paper is a detailed study of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Jungto-Boseo(淨土寶書)』, a book that chronicles the practice of Jungto[Pure land, 淨土] in the Joseon Dynasty. So I want to a mental and method on a practice of Pure land. This book is hard to say that the author's all ideas were written. However, he can't rule out anything of his intentions or thoughts. The biggest feature of this book is that it contains most methods for a practice and a perspective of a practice that we know about a practice of Pure land. As for the conductive attitude of the implementer, the ideas of Tabang-Jungto Chingyeon-Mita thought[他方淨土 親見彌陀思想] and Yushim-Jungto Jasung-Mita[唯心淨土 自性彌陀] are all contained. In addition, this book is appeared all the different methods of performing ChingMyung -Yeombul[稱名念佛], GuanShang-Yeombul[觀相念佛], and Yeombul-Seo n[念佛禪]. The following are the details of practice and seon-practice in this book. First, a wise man does. Second, a performer must first lift the mind. Third, there are various ways to perform Yeombul[念佛] such as ChingMyung-Yeombul, GuanShang-Yeombul, and Yeombul-Se on.. Fourth, Yumbul is to leads to paradise and is for the people. Fifth, Yeombul is more excellent than Cham-seon[參禪]. This is because people have the mercy of the Amitabha[阿彌陀佛]. The biggest value of this book is the first book to introduce a practice related to Jungto-yeombul practice during the Joseon Dynasty. Also, we cannot overlook the influence of Sammun-Classes[三門修業] during the Joseon Dynasty. 본 논문은 조선시대 정토수행과 관련된 많은 서적 중 『淨土寶書』의 구성과 내용을 면밀히 천착함으로써 이 책이 전하고자한 정토수행의 정신과 방법을 명확히 구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 책은 편찬서인 만큼 편찬자의 사상을 그대로 담고 있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렇다고 하여 그의 의도나 사상을 전혀 배제했다고도 볼 수 없을 것이다. 이 책이 가진 가장 큰 특성은 우리가 알고 있는 정토수행과 관련한 대부분의 수행법과 수행관을 고루 다 담고 있다는 것이다. 수행자의 수행태도에 있어서는 ‘타방정토 친견미타사상’과 ‘유심정토 자성미타’의 사상이 고루 담겨있다. 또 수행법에도 稱名염불과 觀相염불, 심지어 念佛禪에 이르기까지 그 다양한 수행방법을 짧은 글에 모두 다 보여주고 있다. 서책의 구성과 내용의 자세한 천착을 통해 이 책이 표방하는 염불수행의 전체적인 내용과 정토수행과 선수행과의 사이에 제기되는 의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염불은 지혜로운 사람이 하는 것이다. 2. 염불수행을 할 때는 먼저 신심을 일으켜야 한다. 3. 염불수행에는 칭명염불과 관상염불, 염불선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4. 염불은 한 생각에 왕생하는 것이며 십념은 약하고 여린 자들을 위한 배려다. 5. 윤회를 벗어나 생사에 구애받지 않으려면 참선과 염불 둘 다 방법이지만, 염불이 가장 확실한 수행법이다. 그 이유는 아미타불의 중생을 자비로 섭취하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염불하는 자는 많은데 극락세계에 태어나서 성불하는 사람이 적은 이유는 첫째, 입으로는 염불하나 마음이 착하지 못해서이다. 둘째, 입으로 염불하나 마음에 잡되고 쓸데없는 생각을 해서이다. 셋째, 입으로 염불하나 마음으로 부귀 얻을 생각만 하기 때문이라고 명쾌하게 말한다. 이 책의 가장 큰 가치는 무엇보다 조선시대에 정토염불과 관련된 수행을 소개한 최초의 편찬서라는 데 있다. 아울러 조선시대 三門修業에의 영향력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 KCI등재

        道綽의 安樂集에 나타난 정토 수행법

        서혜덕,장애순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70 No.-

        Daochuo’s(562-645) Anle-ji 『安樂集 (Paradise Collection), underthe strong influence of the Contemplation Sūtra 『觀無量壽經』 andTanluan’s 曇鸞 Discourse on the Rebirth into the Pure Land 『往生論註』,advocated the practice corresponding to the latter-day Dharma thoughtsand expounded on how to be born again in the pure land through thepractice of the Buddha Remembrance. The cultivating method as described in the Anle ji can be divided intotwo. One is through the chanting and the other, through the virtuousroots 善根. Especially the advocation of rebirth by means of the virtuousdeeds was the Anle ji’s unique one. The method of chanting is performedby the following manners: first, by arousing the enlightened mind 菩提心;second, in the chanting of the Buddha’s name 稱名念佛 one should recitethe name of Amitabha along with repentance and good deeds 懺悔修福in an effort to eradicate all the guilt committed at the Three Times; thirdand last, if one cultivates the samadhi of the Buddha Recollection, whichis the supreme of all the samadhi, one can cease all the evil activities ofgreed, hatred and delusion and then be born in the pure land. As mentioned above, the practice methods advocated in the Anle ji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ure Land doctrinesand easy access to Buddhism for the general public. 도작의 『安樂集』은 『觀無量壽經』과 曇鸞의 『往生論註』에 큰 영향을 받아 말법시대에 상응하는 가르침을 제창하여 念佛修行에 의해서 淨土에 往生하는 방법을 설한 것이다. 『안락집』에 나타난 정토왕생의 수행체계는 첫째는 반드시 보리심을 발해야 한다. 보리심은 성불하려는 마음이고, 성불하려는 마음은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이기 때문에 반드시 보리심이 근본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는 稱名念佛에서는 懺悔修福과 더불어 아미타불의 명호를 칭하면, 三世의모든 죄가 소멸한다고 하였다. 세 번째는 모든 삼매 중에서 최고인 염불삼매를 닦으면 貪⋅瞋⋅癡의 모든 罪業을 소멸하고, 정토에 왕생한다. 네 번째는 一心으로 아미타불의 명호를 불러서 염불삼매에 이르면 일체장애를 극복하며, 그리고 臨命終時에 아미타불께서 光明蓮花臺로 영접하여 정토에 왕생하여 해탈한다는 것이다. 또한 善行으로서 왕생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이것은 『안락집』에 나타난 정토수행법의 특징이다. 이상과 같이『安樂集』에서 말법의 중생에게 時機相應의 가르침인 정토수행법을 제창하여 왕생해탈의 길을 제시한 점은 정토교학의 발전뿐만 아니라민중들이 누구나 불교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법화경』 「신해품」 ‘장자궁자유’와 기성대사의 「염불환향곡」을 통해 본 ‘고향’의 상담심리학적 의미

        김선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4

        Regarding the ‘Yeombulhwanhyanggok(念佛還鄕曲)’, which says that one returns to the hometown through the Buddhist prayer and the ‘Jangjagungjayu(長者窮子喩)’ in the ‘Shinhaepum(信解品)’ in the Sutra of the Lotus, the content that a person who has lost the way because of mumyeong(無明) at last returns to the hometown and the process of Gungja in ‘Jangjagungjayu’ returning to the house of the father are similar. In the ‘Bonwonjashim(本源自心)’ in ‘Yeombulhwanhyanggok’ and in ‘Jangjagungjayu’, the house of the father has been symbolically expressing the world of the realization, and this is, indeed, the hometown. This is, indeed, the nature of Buddha that exists in a person, and it can be understood with the same meaning as the ‘true ego’ from the psychological viewpoint. The condition of a person who has lost the bonwonjashim because the essence could not be penetrated is the same as the appearance of a youth in the puberty who gets around to having a lot of psychological conflicts due to the imbalance between the physical growth and the mental growth. Just as it can be seen that the beginning of the worry regarding their existence on the part of the youths who entered the puberty is, indeed, the recognition of their unconsciousness, regarding the opportunity in which the displaced persons in the ‘Jangjagungjayu’ and the ‘Yeombulhwanhyanggok’ have a spiritual awakening, indeed, it can be thought of by comparing with the adolescent period in which one gets around to worrying about one's own identity. If one intends to return to the hometown, instead of finding it from far away, the true character of myself, which gets unfolded right in front of the eyes or, in other words, the mind as the fundamental place must be taken a look into. This enables us to know that, because the realization is an extremely everyday thing, i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word of the Buddhist monk Hyobong that ‘The world of the realization cannot exist by leaving our reality.’ The person who lost the way because of mumyeong and Gungja have been speaking for the appearance of the modern people who have been living without knowing the true ego. And, through the nature of Buddha, which is symbolized with ‘the hometown’, or,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finding the true ego, we can find out that the hometown is, right away, the bonwonjashim, the clean mind, and the natural appearance of the human beings. 염불을 통해 고향으로 돌아간다는 「염불환향곡」과 『법화경』 「신해품」의 ‘장자궁자유(長者窮子喩)’는 ‘무명(無明)으로 길을 잃은’ 중생이 마침내 고향에 돌아간다는 내용과 ‘장자궁자유’의 ‘궁자’가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오게 되는 과정이 유사하다. 염불환향곡의 ‘본원자심’과 장자궁자유에서는 아버지의 집은 깨달음의 세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이것이 곧 ‘고향’이다. 이는 곧 중생에게 존재하는 ‘불성’이며,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참자아’와 같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본질을 통찰하지 못하여 본원자심을 잃어버린 중생의 상태는 마치 신체적 성장과 정신적 성장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많은 심리적 갈등을 빚게 되는 사춘기 청소년의 모습과 같다. 사춘기에 접어든 청소년들이 자신이 존재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하는 것이 바로 자신의 무의식을 인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듯이 장자궁자유와 염불환향곡의 실향한 사람이 발심하는 계기가 곧 자신의 정체성을 고민하게 되는 청소년기에 비견할 수 있다.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한다면 먼 데서 찾을 것이 아니라 바로 눈앞에 펼쳐지는 ‘나’의 진면목, 즉 근본 자리로서의 ‘마음[心地]’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는 깨달음이란 지극히 일상적인 것이어서 ‘깨침의 세계는 우리들 현실을 떠나 존재할 수 없다’는 효봉스님의 말씀과 일맥상통함을 알게 한다. 무명으로 길을 잃은 사람과 궁자는 진정한 자아를 모르고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모습을 대변하고 있으며, ‘고향’으로 상징되는 불성, 곧 참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고향은 곧 본원자심이자 청정심이며, 현대인들의 진정한 자아이며 인간 본연의 모습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18세기 불교문화 공간으로서의 팔공산과 기성 쾌선(箕城快善)의 문학 세계

        최형우 ( Choi Hyung-wo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8 No.-

        이 논문은 18세기 팔공산 사찰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기성 쾌선이라는 인물을 주목하고, 그의 문학 활동을 지역 문화와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18세기 팔공산 지역에는 상당한 규모를 유지하고 있는 사찰들이 다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 사찰들이 서로 인적, 물적 교류를 하며 다양한 문화 활동을 전개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성리학이 지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지역 불교가 일정 이상의 규모를 유지하며, 문화 활동을 왕성히 전개했다는 사실은 당시 지역 문화의 본질을 밝혀내는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점 하에 기성 쾌선의 문화 활동에 주목하였다. 기성 쾌선은 저작을 다양하게 남기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당시 팔공산 지역 사찰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승려로 보인다. 특히 그가 창작한 염불체 문학작품인 <염불환향곡>은 당시 기성 쾌선이 가지고 있던 의식은 물론, 그가 어떠한 차원에서 지역 승려들을 결집시키고자 하였는가에 대한 생각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또한 그는 『보권염불문』을 동화사에서 중간하면서 새로운 가사 작품 <회심가>를 수록하였다. 이 작품이 기성 쾌선의 작인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당시 팔공산 지역에서 <회심가> 작품이 향유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작품을 수집한 기성 쾌선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성 쾌선의 문학 활동들은 당시 지역 사찰 문화권에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보다 대중에게 밀착된 ‘염불’ 수행법이 당시 사회에 유행하는데 기여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가사 <회심가>가 지역 사회를 넘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가 향유한 문학 문화는 결국 팔공산을 중심으로 한 지역 사회의 불교 문학 문화라고 할 수 있으며, 당시 성리학이 강한 영향을 미친 지역 사회에서의 불교 구성원이 가지고 있던 고민의 결과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Kiseong Kueseon(箕城快善) who was a buddhist paradise thinker, had an effect on Daegu and Gyeonsang regional culture, working in Palgong-mountain. 18st century, many buddhist temples were managed, keeping economic power, these temples exchanged people, many items. This fact that temples were influential regional culture, Joseon dynast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s expressing essence of Joseon’s culture. < YombulHwanHyang-gok(念佛還鄕曲) > is a song that Kiseong Kueseon created, < Whoesim-ga(回心歌) > that was put “Bogwunnyumbulmun(普勸念佛文)” is collected by Kueseon. He emphasized nyumbul(念佛) asceticism. These songs are reflected his purpose and Kueseon’s activity influenced buddhist and regieonal culture at 19th~20th century.

      • KCI등재

        중년여성의 자아정체성 확립에 관한 불교상담적 접근: 불교에서의 고향의식을 중심으로

        김선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1 불교문예연구 Vol.- No.18

        본 논문은 중년의 위기에서 자아정체성의 혼란으로 갈등을 겪는 중년여성들의 문제를 불교가 지향하는 깨달음이 곧 ‘자아 성장’ 또는 ‘자아정체성의 확립’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하여 불교의 지혜를 빌려 그 해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자아정체성을 불교의 불성(佛性)과 같은 개념으로, 불성을 인간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고향’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보고 불교상담의 시각에서 고향이 갖는 상징적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나서 염불로써 마음의 고향에 돌아갈 것을 노래하는 「염불환향곡」을 중심으로 중년여성들의 정체성 찾기를 위한 불교상담의 과정으로 구성해 보았다. 기성쾌선의 「염불환향곡」은 가향(家鄕), 실향(失鄕), 실로(失路), 문향(問鄕), 취향(趣鄕), 환향(還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에는 다시 여러 개의 항목들을 중심으로 법문이 이어진다. 선(禪)을 기반으로 화엄과 정토사상을 결합한 내용으로 시적 리듬을 가미하여 문학적 감동을 주는 독특한 작품으로 평가되는 이 「염불환향곡」은 중생들의 마음이 미혹에 빠져 길을 잃은 후 다시 본원의 마음을 회복하는 과정을 고향을 찾아가는 길에 비유하고 있다. 가향에서 환향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수행자가 자신의 본성인 불성을 찾아가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자아정체성에 혼란을 겪는 사람이 자신의 정체성인 고향을 찾는 과정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귀향의 과정을 중년여성의 자아정체성을 찾는 불교상담의 과정으로 적용해 보았다. 깨달음, 해탈, 열반 등의 출세간적인 가치를 보다 더 많이 강조하는 불교의 관점에서 볼 때 불교상담은 정신치료와 심리치료 분야에서도 기여할 수 있겠지만 보통의 사람들이 지혜롭고 현명한 사람이 되도록 돕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상담의 기본 역할을 생각한다면 불교상담 역시 불교의 가치를 넘어서 더 많은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a solution by borrowing the wisdom of Buddhism by approaching the problem of middle-aged women who are conflicted by the confusion of self-identity in the middle-aged crisis from the perspective of “self-growth” or “establishing self-identity”. Self-identity was viewed as the same concept as Buddhism’s Buddha-nature(佛性), and in the same context with the ‘Hometown(故鄕)’, which can be said to be the source of human beings. And I thought about the symbolic meaning of hometown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counseling. Next, I tried to organize a Buddhist counseling process for middle-aged women to find their identity, centering on ‘Buddhist Prayer to Return to Hometown(念佛還鄕曲)’. Ki-Sung-Kwoe-Seon’s(箕城快善) ‘Buddhist Prayer to Return to Hometown(念佛還鄕曲)’ is composed: Hometown(家鄕), lost Hometown(失鄕), lost way to home(失路), asking the way home(問鄕), toward Hometown(趣鄕), returning hometown(還鄕). In each chapter, the Buddhist scriptures continues around several items again.Based on Zen (禪), it is the Huayen Thought(華嚴思想) and the Pure-Land Thought(淨土思想). It is evaluated as a unique work that gives a literary impression by adding a poetic rhythm. It compares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heart of sentient beings after they have lost their way in delusion to the road to their hometow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hearts of sentient beings after they have lost their way in delusion is compared to the road to their hometown. The process from “Hometown” to “returning home” is the same as the process of finding one’s own identity, In other words hometown, given that the practitioner is in the process of finding his or her own nature, Buddha-nature. This process of ‘returning home’ was applied as a process of Buddhist counseling to find the self-identity of middle-aged women. From the point of view of Buddhism, which emphasizes more successful values such as enlightenment, liberation, and nirvana, Buddhist counseling can also contribute to mental therapy and psychotherapy, but it can be said that ordinary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helping them become wise and wise. Considering the basic role of counseling, Buddhist counseling should also find a way to help more people beyond the value of Buddhism.

      • KCI등재

        깨달음에 이르는 염불 수행

        김용훈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9

        In this study, the appearance of Buddhist Invocation in the scriptures was investigated. Buddhist Invocation is a means of making Buddha and people united. Bulgukto (極樂), which we meet through prayer, is a world of joy without pain. The way to return to paradise is to sing the name of Amitabha Buddha and have enlightenment. However, it is necessary to have enlightenment, not just chanting the name of the Buddha. Prerequisites are necessary to fully carry out the process of Buddhist Invocation. First, you need to know the knowledge of all things in a series through the Mun(聞), and through your thoughts (思) and performance(修) should be accomplished. In the meantime, we had a biased prayer. Unconditional belief was the basis, but the method and meaning of prayer were overlooked. In order to become a complete contemplation, faith(信) is the basis, and the practice(行) of what we know must be accomplished through prior education that supports it. So far, we have been so neglected of the only way regeneration is saved. If you meet the meeting of Amitabha Buddha through the Buddhist scriptures based on the scriptures and make a sincere and complete self-reflection, you will be able to find out your true self and build a new depth of faith. 본 논문은 경전에서 염불의 모습을 고찰하였다. 염불은 부처와 중생의 하나 됨이다. 염불을 통하여 만나는 불국토(極樂)는 고통이 없는 즐거움의 세상이다. 극락에 왕생하는 방법은 아미타불의 명호를 부르며 깨침을 가지는 염불(念佛)이다. 무조건적인 믿음이 기반이 되나 염불의 방법과 의미를 간과하고 있다. 정진하는 염불이 되기 위해서는 믿음(信)이 근간이 되고 이를 받쳐주는 교육을 통해 아는 것들의 실천(行)이 이루어져야 한다. 깨우침이 있는 염불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 먼저 문(聞)을 통한 일련의 모든 것들에 대한 지식을 알아야 하고 생각을 통해(思), 염불 수행(修)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미타불을 뵙고 마음이 변하고 깨달음을 얻으면 자신의 참모습을 알아내어 새롭게 믿음의 깊이를 쌓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내세의 극락왕생은 물론 현세의 평온을 만나는 것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불이(不二) 염불과 근대 불교학

        강지언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99 No.-

        Chan, which values nonduality (不二), can not be properly explained by a western methodological approach that relies on dualistic concepts and frameworks. Starting with modern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Korean Buddhist studies were developed on modern western and Japanese Buddhist research. The introduction of modern Buddhism was hard on Korean Buddhist studies as Korean Buddhism was being internalized with western and Japanese criticisms. Choseon Buddhism, was recognized negatively by Japanese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period, as they questioned the necessity of new Korean Seon studies, which had not been fully grasped at that time. Cheong-heo Hyu-jeong (淸虛休靜, 1520-1604), proposed three ways of learning in the form of Seon (禪), Gyo (敎), and Yeombul (念佛). This was a practical system, which saw Buddhist teachings and practice nondualistically through Hyujeong’s own concepts of ilmul (一物) and ilnyeom (一念). The Guan Shim Lun (觀心論) in particular influenced him as he considered it to be the Bodhi Dharma’s writing in Choseon. Thus, Hyujeong’s suggestion regarding Yeombul should be examined through the context of nonduality. The negative views and interpretations of Hyujeong and the three ways of learning (三門修學) were the products of dualistic interpretations by modern western and Japanese Buddhist studies. Seon was the representative sect of Korea which began during the Koryo period, and the three ways learning is an ongoing tradition in Korea today.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transcending the limits of modern thoughts, interpreting Seon through nonduality, and a critical examination of modern theories are called for. 불이(不二)를 종지로 하는 선(禪)은 이원적인 서양 종교 연구의 개념과 틀로는 적절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국 불교학은 일제강점기에 근대 교육이 정착되며 근대 서양과 일본의 불교 연구를 바탕으로 성장하였다. 그 결과 서양과 일본 불교학을 내면화하면서 근대 불교와 불교학에 대한 비평적 성찰이 어려워졌다. 식민지기 일본에 의해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던 조선불교는 우리의 눈에 가리어져 있던 한국 선 연구의 필요성을 일깨워준다. 선(禪), 교(敎), 염불(念佛)의 삼문(三門)을 수행체계로 제시한 청허 휴정(淸虛休靜, 1520-1604)은 염불 수행의 길을 제시할 때, 일물(一物) · 일념(一念)을 중심으로 이사불이(理事不二) · 체용불이(體用不二)의 입장에서 근기와 방편에 따른 다양한 염불 수행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휴정의 삼문은 법신과 불이의 맥락에서 해석될 필요가 있다. 휴정 및 조선의 삼문수업(三門修業)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이원적 개념과 틀을 사용한 근대 서양과 일본 불교학의 해석에서 비롯된 것으로, 선 전통의 관점이나 한국 선이 가진 역사와는 부합하지 않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근대적 사유의 한계를 넘어 한국 선의 역사적 특수성, 조선불교에 대한 탈 근대적 해석, 불이라는 맥락을 고려한 선 연구, 현대 한국불교의 간화선 중심 포교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 KCI등재

        초기 선종과 근현대 불교학의 ‘염불’ 고찰 - 『관심론(觀心論)』을 중심으로

        강지언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4 No.-

        전근대 불교와 근현대 동아시아 불교학 사이에는 ‘근대 서양’이라는 충격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관심론(觀心論)』을 중심으로 초기 선종과 근현대 불교학의 상이한 ‘염불’을 확인하며, 불교 전통에 바탕을 둔 불교 연구의 필요성을 논하고자한다. 보리달마의 이름으로 전해져 온 초기 선종의 관심론은 신수(神秀, 606?~ 706)의 저작으로 불사(佛事)에 대한 선의 입장을 드러내는 문헌이다. 관심론에서염불의 핵심은 상(相)을 여읜 불이일심(不二一心)에 있으며, 제행(諸行)은 체용불이(體用不二)의 불사가 된다. 근대 서양은 기독교와 계몽주의 위에서 불교를 파악하였고, 근대 일본은 서양의틀과 민족주의를 결합하여 동아시아 불교학의 ‘염불’을 만들었다. ‘선-자력-선정’ 대 ‘정토-타력-염불’의 이분법적 도식은 서양과 일본의 상호교섭의 산물로,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한국에도 착종되었다. 한국 불교는 일본과는 다른 역사와 사회문화적 맥락을 지니며, 선은 능소(能所)·자타(自他) 등의 불이를 핵심으로 한다. 『관심론』의 불이적 염불관은 불교학의 개념과 틀을 고찰하게 하며, 조선과 근현대 한국불교 연구에 시사점을 안겨준다. There is a mode of “Modern Western” between premodern Buddhism and Modern-Contemporary Buddhist studies.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at Early Chan (禪) and Modern-Contemporary Buddhist studies have different perceptions about Nianfo. Guan xin lun (「觀⼼論」), the writing of Shenxiu (神秀), shows a specific perspective about various Buddhist affairs. Understanding matters through Non-duality (不⼆) between essence (體) and function (用), it makes all Buddhist affairs pertinent for attaining Enlightenment, including Nianfo. Modern Western thoughts set the specific frames to interpret Buddha and related practices grounded in Christianity and Modernity. Japanese Buddhist thinkers, being influenced by Western concepts and frames, tried to make Japanese Buddhism as the norm of East Asian Buddhism. The dualistic scheme of ‘Zen (禪) jiriki (自⼒) Dhyana and samadhi (禪定)’ vs ‘Shin (淨⼟眞宗) - tariki (他⼒) nenbutsu (念佛)’, the modern product of interchange between the West and Japan, also settled down in Korea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 Buddhism has a different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context of Japan. The non-dualistic perspective about Nianfo of Guan xin lun allows the critical reexamination about the concepts and frames of Modern Buddhist studies, including negative evaluation about Korean Seon and proposes the necessity of new methodological approaches based on Chan tradition.

      • KCI등재

        염불 공효(功效)의 실천적 의미 연구 - 운제산 자장암 사리분신(舍利分⾝) 영응(靈應) 사례를 중심으로

        배금란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90 No.-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 of Buddhānussati to contemporary Buddhist practitioners. The main text is a miracle case of 'sarira' increased by practicing Buddhānussati in the Jajangam(慈藏庵) Temple. Here, I focused on the practicing ways of Buddhānussati of this case and tried a reductive analysis on the effect (功效) of Buddhānussati. It was confirmed that the monk of this case has a belief that Buddhānussati invokes mutual response between the practitioner and the Buddha-Bodhisattvas, leading the practitioner to Samādhi. Especially for Seon(禪) practitioners, Buddhānussati is not regarded simply as a vocal invocation of the names of Buddhas as saviors. It is a performance that enables the sensing of the virtue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with the whole body and mind of the practitioners. It includes the belief that his mind is also the Buddha. And the vow of a practition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livering the power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to him. As a contemporary Seon monk, the protagonist of this case followed the tradition of Korean Seon Buddhism, accepting Buddhānussati as a means of Seon. This shows, although Ganhwaseon(看話禪) has been considered as the best way to enlightenment, that Buddhānussati still maintains its significance among contemporary Korean Buddhist practitioners. 본 연구는 염불을 주요 행법(⾏法)으로 채택하여 불보살의 감응을 견인했던 선수행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염불 공효(功效)의 실천적 의미가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규명하였다. 포항 운제산 자장암에서 사리분신의 영응을 경험했던 수행자의원력과 신행, 감응의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환원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 선 수행자의 행법에서 자력과 타력, 세간과 출세간 실지를 모두 충족시키는 신행 기제로서 염불의 공효에 대한 믿음과 실천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확인하였다. 본 사례에서 주인공의 염불 행법은 소리로 발현된 불보살의 명호에 행자의 신구의(⾝口意)를 회입(會⼊)시키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이때 염불은 가피를감득하거나 선정에의 증입을 추동하는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특히 간절한 원력을 바탕으로 단행된 수행자의 용맹정진에서 염불은 일상의 신행에서와는 다른 차원의 공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행자의 원력과 재계, 성화된 시· 공간, 철저한 수행과 염불 정근을 특징으로 하는 ‘용맹정진’의 전이 의례적 성격에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주인공은 명전자성(名詮⾃性)의 입장에서 ‘염불’에 내재된 타력성을 자성불(⾃ 性佛)의 관념으로 통섭함으로써 선 수행자로서의 입각처를 보여준다. 타력적 신방편으로 혹은 선정을 추동하는 자력 행법으로 두루 통용되는 염불의 공효는 무엇보다 수행자의 원력과 근기에 상응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주인공의행법에서 고려, 조선을 거치며 한국불교 신행의 한 축을 담당해왔던 염불선 전통의 연속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현대불교 안에서도 염불이 선사의 행법으로 여전히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