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거주 외국인 주민 후속세대의 거주지 패턴에 대한 연구

        박윤환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6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 연구들이 소홀히 했던 외국인주민 후속세대들의 거주지 패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외국인주민 후속세대의 거주지 패턴을 지리정보시스템(GIS)의 탐색적 공간자료 분석기법(ESD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2015년 행정자치부 외국인주민 인구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외국인주민 후속세대의 거주 패턴을 설명해주는 지표들을 선정하고 250개 시군구를 분석단위로 외국인주민 후속세대 거주 집중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외국인주민 후속세대들의 거주 집중도는 전국적으로 고르기 보다는 호남과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농촌지역에 높게 나타나서 외국인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들이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된 것과는 구별되었다. 또한 외국인주민 후속세대의 거주 집중도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 걸쳐 공간적으로 인접한 지역들과 유사한 공간적 패턴을 갖는 공간적 의존성(spatial dependency)을 갖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지적 공간자기상관 분석결과 이웃한 시군구들과 서로 유사한 외국인주민 후속세대 거주지 집중도를 갖는 곳들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향후 외국인주민 후속세대의 거주지 집중으로 인해 미래에 예측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선제적인 정책적 대안의 마련이 요청된다. 청소년정책 당국은 외국인주민 후속세대 거주지 집중의 공간적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고 효과적인 정책 대상지역을 선정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sidential pattern of foreign residents’ second generation that prior literature has failed to pay attention to. Technically, several Explan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methods within a GIS were employed to capture spatial pattern of foreign residents’ next generation.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residential concentration for foreign residents’next generation based on entire 250 si-gun-gu units in the nation, the present research utilized 2015 Statistics on foreign residents provided by Ministry of The Interior. According to the results, residential concentration for foreign residents’ next generation appears to be much higher in the rural areas such as Jeolla and Gangwon rather than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country. In addition, this particular spatial pattern tends to be similar between neighboring si-gun-gu units, so there exists a spatial dependency. In the context of local level, many regions holding similar residential pattern with adjacent neighboring si-gun-gu units were extensively distributed. In order to minimize negative effects of residential concentration for foreign residents’ next generation, proactive policy initiatives should be deeply consider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 to youth policy authorities that precisely examine spatial pattern of residential concentration for their target population and effectively select the policy target area.

      • KCI등재

        재외동포 후속세대를 위한 문화교육 방향 모색

        정형근(Jeong Hyeong-geun) 한글학회 2017 한글 Vol.- No.315

        이 글은 재외동포 후속세대를 위한 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한 시론적 성격의 글이다. 이를 위해 국내 모국 수학과정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8명의 재외동포 후속세대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초점집단 면접(FGI)을 실시하였다. 이어 면접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재외동포 후속세대를 위한 문화교육 방향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먼저 재외동포 문화교육을 위한 성찰적 담론을 통해 재외동포 후속세대를 위한 문화교육의 교육 목표를 수립하고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두 번째로 역사 문화교육 콘텐츠의 개발과 보급, 활용이다. 재외동포 후속세대들에게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제반 상황에 대한 통시적 이해는 자기 이해에 도달할 수 있는 첩경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재외동포 교사 (재)교육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시기와 양태를 달리했던 재외동포 이주와 정착의 역사에 대한 이해가 필수 전제이다. 언어 교수자로서의 자질을 넘어 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점을 정립하여 교사 스스로 문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is a preliminary study intend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ulture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nationals living abroad. For this, I hav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as one of the qualitative studies among eight next generation Korean nationals living abroad who participated in a mother language learning program in Korea. Followed by the analysis of interview results that have led to coming up with four different directions of culture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nationals living abroad. First, the educational goals and curriculums for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nationals living abroad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introspective discussion on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nationals living abroad.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sseminate and utilize the educational content on cultural history. The diachronic understanding of all the circumstances faced by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nationals living abroad will be a key to self-understanding. Lastly, (re)training of teachers for Korean nationals living abroad will be needed to boost their competencies as a professor of culture. Above all, it is prerequisite to obtain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and background of migration and settlement of Korean nationals living abroad, which differ in time and aspects. They should exert efforts to build up their culture competencies beyond the scope of a linguistic professor based on a clear awareness of culture education.

      • KCI등재

        법학에서 학문 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방안

        김혜경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법학논고 Vol.0 No.66

        In these days, the training of next generation of law scholar means restoration that our studies recover original intention of law. The nature of law as studies should seek perpetually what is justice and how can reflect community sprit in law system. Especially in Korea, legal education has to seek identity of Korean law system as well as true character of law because it is usually said that the Korean legal system and education depend on those of German. But after starting Law school system in 2009, the problem about the training of next generation of law scholar is more serious in some aspects. Most of all, after that time the number of student of graduate school has been reduced rapidly because recognition that there is no future in law scholar is prevalent in next generation of law scholar and the cost between graduate school and law school is no choice realistically caused by fellowship in law school. So in this study it will be suggested by classification of three areas as solution for establishing the training system for next generation of law scholar. Three classification means division of undergraduate studies, graduate school and law school. Each area should have intrinsic function and purpose of their own which must be specified each other. Undergraduate studies should be in charge of basic law study for undergraduate school students to teach general law theory and legal mind. Law schools have to take charge of application of law for law school students to teach judicial practical affairs. And graduate school ought to be responsible for apprenticeship training for graduate school students as next generation of law scholar to teach major intensive course. 학문후속세대의 양성은 학문의 학문성 회복의 문제이다. 법학의 학문성은 시대의 가치관과 공동체의식을 반영하여 어떠한 것이 공평한가, 그리하여 무엇이 정의인가를 끊임없이 탐구하는데 본질이 있다. 그것이 실무적 입장에서는 공평한 분배의 실천에 있겠지만, 그에 앞서 무엇이 공평한가, 공동체정신에 부합하는 나눔이란 무엇인가의 연구는 여전히 법학의 학문으로서의 과제이며, 학문후속세대의 임무이다. 즉, 법의 기계적 해석이라는 비판으로부터 벗어나 법학의 학문성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한국에서 법학은 학문성을 찾아야 할 뿐만 아니라 한국법학의 독자성까지도 탐구하여야 할 임무가 있다. 한국법학의 독자성의 문제는 한국법학이 늘 계수법학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다는 점으로부터 비롯된다. 물론 독일법학도 독일 고유의 것이 아니라 로마법학의 계수라고 한다면 고유의 것을 찾는다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우선 반문해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 법학이 자본주의의 도입과 동시에 현대화된 실정법을 가지게 되었다는 점에서는 무엇이 독자성인가를 논하기가 더욱 어려울지도 모른다. 그리하여 독자성보다는 우수성 또는 더 나은 법학을 향해 진전하는 것이 법학의 학문성을 찾는 길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그와 같은 법학의 학문성을 찾고 연구하는 중심에는 대학원대학이 그 위치를 굳건히 하여야 한다. 그리고 대학원대학이 건실하게 자리 잡기 위해서는 학부대학을 중심으로 한, 좋은 씨앗들의 유입이 기본이 되어야만 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대학의 교육체계를 3원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학부대학은 전공기초를 목적으로 하여, 잠재적인 학문후속세대 및 법학자를 대상으로 이론수업방식으로 운영한다. 다음으로 법전원은 전공응용을 목적으로 하여, 법학일반 및 실무자를 대상으로 실무실습방식을 중심으로 운영한다. 그리고 대학원대학은 전공심화를 목적으로 하여 법학자 및 학문후속세대를 대상으로 도제방식으로 운영하여 법학의 학문성을 계수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담을 통해 각 교육기관의 역할과 위상을 정립한다면, 법학의 학문성을 지속하면서 그 계보를 이어나갈 학문후속세대의 양성이 가능해 질 것이다.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은 법전원의 확보나 그 위상이 아니다. 이는 법학의 학문성을 지속함에 있어서 삼분의 일의 영역만 차지할 뿐이지 전부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전원으로 인하여 학부대학의 전공기초가 폐지되고 대학원 대학이 법전원에 흡수통합되어 가는 방식으로 전문성과 학문성을 잃어가게 된다면, 궁극적으로 법학자가 지켜야 할 것이 무엇인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 행복을 위한 사회적 기여의 역할에 관한 고찰

        홍종관(Hong, Jong Kwan) 행복한부자학회 2016 행복한부자연구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행복을 위해 사회적 기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여의 두 가지 형태인 `후속세대의 양성 및 후원`과 `자원봉사`가 개인의 행복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문헌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여는 `후속세대의 양성 및 후원`과 `자원봉사`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둘째, 후속세대의 양성과 후원은 성인 중기의 발달과업인 생산성과 관련이 있다. 셋째, 후속세대의 양성과 후원은 가정의 자녀세대와 직업분야의 후배나 후학의 양성과 후원을 말한다. 또한 이에 전문분야의 창의적 업적도 포함된다. 넷째, 후속세대의 양성과 후원은 행복과 정적관계가 있다. 다섯째, 자원봉사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아무런 대가없이 자발적으로 도움을 주어 아름다운 사회공동체를 이루어가는 활동을 말한다. 여섯째, 자원봉사는 심리적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킨다. 일곱째, 자원봉사는 행복과 정적관계에 있다. 사회적 기여는 개인으로 하여금 신체적 건강과 심리적 안녕감을 가지게 한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여는 사회적으로 아름다운 공동체를 형성하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ole of social contribution for happiness. To do this, we looked at two forms of social contribution, `the nurturing and sponsoring of the next generations` and `volunteering` for the individual`s happiness.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focusing on positive psychological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contribution appears in two forms: `nurturing and sponsoring of the next generations` and `volunteering`. Second, `nurturing and sponsoring of the next generations` is related to generativity, which is the development task of middle adult. Third, `nurturing and sponsoring of the next generations` refers to the nurturing and sponsorship of junior and senior students in the family of children and occupations in the family. It also includes the creative work of the profession. Fourth, ` the nurturing and sponsoring of the next generation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appiness. Fifth, volunteering refers to volunteering activities that provide a voluntary help to people who need help at a reasonable cost to create a welfare social community. Sixth, volunteering promotes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Seventh, volunteering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appiness. Social contributions lead personally to have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social contribution leads socially to welfare community formation.

      • KCI등재

        로스쿨 체제하 법학 학문 후속세대 양성의 문제점과 그 대안

        성중탁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법학논고 Vol.0 No.58

        Since the launch of the law school, we have already received 9 freshmen. In fact, before the law school was established, it was pointed out that the law faced an academic crisis for similar reasons to othe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now that the law school has reached the stage of settlement, the problems related to the follow-up generation of the scholars are on the road to worsening without any improvement.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diagnose and supplement the problems of the subsequent generations of legal studies. The following are the improvements related to the plan to train future generations of scholars under the law school system. First, through the revision of related laws and enforcement ordinances, resume of law school in law school, professional doctor degree and general graduate law master degree and doctorate degree increase and financial support are necessary. Second, law school professors have some burden to coexist law school and general graduate school under the principle of 6 hours of responsibility,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is point through mitig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intensive efforts to educate attorneys who have attained law school degree as successive generations of law scholarship.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make the process of obtaining a law school master degree more rigorous and trustworthy, The obligation to submit papers is also required.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support such as establishing courses for law schools by considering the graduate schools, doctoral courses and overseas students who are alienated under the law school system, and they are recruited as research institutes of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to encourage their active research activities. Needs to be. Fifth, the institute attached to the law school needs to strengthe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and endeavor to continuously hold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to publish outstanding papers. Sixth, it is necessary to devote efforts to educate law school professors to follow-up generations. Efforts should be made to nurture excellent students even if there is difficulty in studying and post-graduate education based on priority of attorney exam. Finally, the government's aggressive and efficient financial investment can not be overemphasized. 로스쿨 출범 이후 벌써 9기 신입생을 맞이하였다. 사실 로스쿨 출범 이전부터법학은 다른 인문, 사회과학 분야와 비슷한 이유로 학문적 위기에 봉착하였다는지적이 많았다. 그리고 로스쿨이 정착단계에 이른 지금 학문후속세대 양성과 관련된 문제점들은 개선됨이 없이 악화일로에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보다 근본적인법학 학문 후속세대 양성 문제에 대한 진단과 그 보완작업이 요구된다. 로스쿨 체제 하의 학문후속세대 양성방안을 위한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먼저, 관련법과시행령 개정을 통해, 폐지된 법학부의 부활을 진지하게 검토하는 한편, 전문박사학위 및 일반대학원 법학석사와 박사학위의 정원을 현실적 수요에 맞게 증대할필요성이 있다. 둘째, 로스쿨 교수들은 6시간 책임시수 원칙하에 로스쿨과 일반대학원을 병존 시키는 것에 일정부분 부담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점에 대해서도시수 완화 등을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로스쿨 학위과정을 거친 변호사들을법학학문 후속세대로 양성하기 위한 본질적 노력도 필요한바, 이를 위해 로스쿨석사학위 취득과정을 보다 엄격하고 신뢰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그 차원에서 로스쿨 졸업자들에 대한 학위 논문제출 의무도 부여할 필요가 있다. 넷째, 로스쿨 체제하에서 소외 받고 있는 일반대학원 석,박사 과정과 해외 유학파에 대한배려로써 이들에게도 로스쿨 강의 교과목을 개설하는 등의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고, 부설 연구소 연구원으로 채용하여 이들의 적극적인 연구활동을 유도할 필요가있다. 다섯째, 로스쿨 내 부설연구소는 국내외 기관 등 외부와의 소통을 강화할필요가 있으며, 끊임없이 다양한 국내외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우수논문을 배출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여섯째, 로스쿨 교수들의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헌신적 노력도 중요한바, 변호사 시험 대비 위주의 수업 우선에 따른 연구와 후학 양성의 어려움이 있더라도 우수 제자 양성을 위한 노력도 병행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위와 관련된 정부의 적극적, 효율적 재정투자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않는다.

      • KCI등재

        한국의 국제법 연구동향과 과제 : 국제경제법 분야 - 최근 10년간 신진학자 국내학위 취득현황 -

        박언경 (사)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19 국제경제법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국제법 분야 중 국제경제법 분야에서 최근 10년(2007~2017)간 신진학자가 국내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박사논문의 특징을 통계수치로 도출하여, 국제경제법 분야의 연구주제, 연구방법론 등의 후속연구를 도출하는 기초자료로 기여하는 것과 함께, 법학전문대학원 도입 이후 제기되고 있는 국제법학의 학문후속세대의 감소현상에 대한 우려를 실체적인 통계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동 연구수행을 위한 자료의 수집은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국립중앙도서관 웹사이트, 디지털 학술정보 유통시스템(dCollection),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각 대학의 중앙도서관 검색시스템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국제경제법 분야의 최근 10년간 신규박사학위 취득자는 47명으로 확인되었다. 동 논문들의 분석은 연도별 현황, 언어 및 국적별 현황, 연구분야별 현황, 지역 및 대학별 현황 등을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분야별 통계를 도출하는 기준이 된 연구분야는 국내 전문학술서의 공통된 편제를 토대로 분류하였다. 동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학문후속세대의 감소 우려에 대해서는 예상과 달리 매년 고정적인 숫자의 학위취득자가 배출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법학전문대학원의 출범 이후 학문후속세대와의 유의미성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신규박사학위취득자들이 학위취득에 소요된 기간의 도출, 2012년 이후 법학전문대학원 출신들의 박사과정 진학여부 및 학위취득 여부 등이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국제경제법 분야에서 국제화 역량의 강화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외국인 국적의 박사학위취득자의 증가는 우리나라의 국제경제법 역량이 국제화 수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외국어로 작성된 박사학위논문 수의 증가는 학문후속세대에게 있어서 언어적인 요소가 장애로 작동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셋째 국제경제법 분야는 국제공법에 비해 현안문제에 대한 연구가 신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연구주제인 WTO법에서 벗어나, 국제금융투자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현상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학문후속세대의 서울집중현상이 국제공법 분야에 비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조사대상 기간 중 비서울소재 대학에서는 단 7명만이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들 중 외국인을 제외하면 단 3명에 불과하다. 우리나라가 처한 대외통상환경을 고려할 때, 국제경제법 분야의 연구인력의 확대는 중요한 과제이다. 국제경제법 분야의 박사학위취득자 배출현황을 보면 수치적으로는 꾸준히 배출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지만, 확장성의 측면에서는 서울 소재 법학전문대학원에서만 박사학위 취득자가 배출되는 부정적 측면이 나타난다. 법학전문대학원 체제가 도입된 현 시점에서는 경제학, 무역학, 정치외교학 등 인접학문을 전공한 예비법조인을 학문후속세대로 양성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들 대학을 중심으로 정규교과를 통한 전문지식 교육, 연구역량강화를 위한 개별 학술지도, 공동연구 진행 등의 활동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는 법학전문대학원 외에도 인접학문인 경제학, 경영학, 무역학, 정치외교학에서 국제경제법을 학습할 수 있는 교육여건과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doctoral theses on international economic law published in Korea from March 2007 to August 2017 based on quantitative statistics. Through the statistic analysis, it checks on the status of the subsequent generation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 scholars, and contributes as a basic data for research theme and methodology of follow-up researche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implicit of the concern about the decline of the subsequent generations of international law, which has been rai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aw school. The primary data for the statistics, like precedent research, is the deposit date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supplemental data is from ‘dCollection’, ‘RISS’, and websites of central libraries of the graduate schools and law schools. A total of 47 international economic law papers were collected through the above sources. As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the quantity or ratio of the year, the research field, nationality, the language, the region, and schools were used. A common formation of domestic professional journals is used as a criterion for deriving statistics by research field. The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theories and practical trends of current international economic law, to predict changes in domestic perception and categorization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 and to analyze the interests of domestic researchers to forecast future supply and demand of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degree holders in the field of study, unlike the concerns, is constant during the period. For a meaningful implication relating to the subsequent generation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law school system, however, additional research upon the time required for the degree, the number of LL.D. candidates and degree recipients from law schools since 2012 is required. Second, internationalization in the field of study has been fortifie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egree recipients from abroad means that the capacity of Korea in international economic law is enhance enough to meet the international level.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thesis in foreign languages means that languages do no work as obstacles for subsequent generation any more. Third, the study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 compared to the other international laws, is proceeding more rapidly. A recent trend is the expansion of the international finance and investment laws, which has shifted away from the traditional WTO law. Finally, the concentration of researchers in Seoul is more prominent in international economic law than international public law. During the survey period, only seven got the degree from the universities not in Seoul, and only 3 of them are Koreans. In terms of the trade environment around Korea, the supply of researchers in international economic law is momentous. Though the number of the degree recipients in international law continues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in law schools in Seoul seems negative in terms of expandability. Under the law school system,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foster preliminary law students who majored in related sciences such as economics, trade studies, and political diplomacy as follow-up generations. Centering on the departments, professional training through regular curriculum, individual journals for strengthening research capacity, and joint research activities can be alternatives. Ultimately, in addition to law school,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learn international economic law in the neighboring disciplines such as economics, business administration, trade science, and political diplomacy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고전 작품에 나타난 세대간 소통 양상

        안대회(Ahn, Dae-hoe)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4

        This paper is a case-studies examination of the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spect of Korean classical literary works. In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incident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appear in an explosive number. In contrast to this phenomenon, classical works highlighted intergenerational rapport. This paper, first of all, summarizes four aspects of this intergenerational intimacy in Late Joseon society. Ultimately, the most salient aspect of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in pre-modern Korean society was that patriarchal and Confucian customs exerted great power, and the culture of the younger generation honoring and carrying on the values of its progenitors became a generalized social practice.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thus became relatively conflict-free. Next, the paper analyzes the culture of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of the Late Joseon period by examining two family cases. The first is the case of JI Deok-gu, a jungin (also chungin, a commoner with privileges) who published Gyesayuta, a collection of poems, in 1815; the second is the case of YI Ik who led Samduhoe (‘three beans gathering’) among members of his extended family. Thirdly, the paper examines intergenerational rapport in three prominent families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how the rapport is intertwined with the families’ literary and scholarly productions. It examines, for example, the case of Bak Je-ga (also Pak Je-ga), and how in the cases of Seo Yu-gu and Hong In-mo there were active exchanges of poems among their immediate and extended family members. Through its analysis, the paper thus brings to light the culture and reality of literary creation in which the older generation, headed by a father or a father figure, communicates actively with the younger generation.

      • KCI등재

        한국 ‘사회학(과)’에서 ‘여성학하기'란?

        이나영(Lee Na-Young),정민우(Jung Min-Woo) 한국사회학회 2010 韓國社會學 Vol.44 No.5

        ‘한국 사회학’에서 ‘젠더 연구’ 혹은 ‘페미니즘’을 한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일까? 이는 페미니스트로서 ‘사회학’을 하는 것과 사회학자로서 ‘페미니즘’을 한다는 것 사이의 의미의 경합 지대에 놓인다는 점에서 역설적으로 한국에서 ‘여성학하기’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질문은 또한 한국에서 ‘사회학/여성학’이라는 다른 학제적 위치에 놓인 ‘페미니스트들’에게 갖는 복합적인 지위나 의미, 역할에 대한 물음이므로, 공동체로 상상되는 ‘우리=페미니스트들’의 실천과 실체에 대한 성찰이 요구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현재 사회학이라는 학제 안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여성학, 젠더 연구, 혹은 페미니즘’을 하고 있다고 스스로 평가하는 학문후속세대들의 경험을 통해 사회학 안에서 ‘젠더하기, 페미니즘하기, 혹은 여성학하기’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사회학이라는 학제 안에서 각기 다른 중첩적인 위치와 맥락에 놓인 페미니스트 학문후속세대들은 자신들의 문제제기를 타자화하거나 배제하는 일상적이고 학문적인 제도이자 구조로서 ‘사회학’을 경험한다. 동시에, 사회학을 자신들의 삶의 맥락에 위치시키며, 페미니즘을 비롯한 학문적 관심과 문제의식이 기반한 학문적 실천과 지향, 열망의 장소로 재구축하고 있었다. 이들은 ‘사회학’ 안에 있는듯하지만, 실제로는 사회학/여성학이라는 경계와 늘 협상하면서 페미니스트 유제와 네트워크를 통해 ‘살아 낼’ 힘을 얻고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학제간 경계의 작동 방식과 규율 효과를 드러내고, 경계를 넘는 페미니스트 학문 공동체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한다. What does it mean to do gender studies or feminism in sociology? This paper analyzes the ways of disciplining women and feminist studies in the academic field of sociology in South Korea, particularly focusing on 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Based upon in-depth interviews with graduate students, so-called younger generation of academia, this paper explores 1) where and how female students in sociology encounter and negotiate the diverse boundaries between/among theory/practice, sociology/women's studies, male/female, and masculinity/femininity; 2) how and why women and feminist knowledge are discriminated and excluded by the 'inner circle' who has the arrogant perception; 3) in the process, how female students identify themselves and under what condition; and 4) what is the implication of the women's experiences, who are alienated and deauthorized in the field of sociology/women's studies, but (re)constitute themselves feminist sociologist 'rebel' against androcentric norms inside/outside sociology. Ultimately, this paper seeks to expose the function of the boundaries between disciplines throughout the positionality of young feminist sociologists, and examines a possibility to construct a feminist community beyond disciplinary boundaries.

      • KCI등재

        한중 인문 교류의 현황과 과제 - 교육부의 한국학진흥사업을 중심으로 -

        송현호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4 No.-

        한중 관계가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로 급속히 발전하면서 한중 교류는 아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 한민국 외교부, 문화체육관공부, 교육부에서 한국학진흥사업이 시행되면서 인문분야의 한중 교류는 대학과 학회를 중심으로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한중 교류와 직접 관련이 있는 교육부의 주요사업은 해외 한국학 학 문후속세대양성사업, 해외 한국학 씨앗형사업, 해외 한국학 중핵대학육성사업 등이다. 해외 한국학 학문후속세대 양성사업은 해외의 우수 인재들을 초청 선발하여 한국학 관련차세대 인력으로 양 성하고 귀국 후 해외 현지의 한국학 발전에 기여하는 한국학 관련 연구인력을 양성하려는 사업이다. 이 사업 은 중국대학의 대학원생 양성과 자매대학의 대학원생 유학 및 교환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가져왔다. 한국학 학 문후속세대들은 한국학 연구와 교육을 체계적으로 준비하여 한중 인문 교류에 가교 역할을 할 인재들이다. 이 사업이 한국학 연구와 교육의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절대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계속해서 예산을 증액해나갈 필요가 있으며, 국내 연구 인력의 부족을 메우기 위해서 유학생들을 적극 유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꾸준히 개발해나가야 할 것이다. 해외 한국학 씨앗형 사업은 해외의 한국학 교육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교육 자료를 개발하 고 운영하여 한국학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사업이다. 세계 각지의59개 과제가 선정되었는데, 중국에서 는 8개 과제가 선정되었다. 이 사업은 한국학 연구와 교육의 역량을 갖춘 한국학 연구자들에게 연구비를 지원 함으로써, 이를 준비하기 위하여 많은 한국학 연구자들에게 연구와 교육의 인프라를 체계적으로 갖출 수 있도 록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 사업의 파급효과를 고려한다면 세계 각국에 한 두 개 이상의 사업이 지원될 필요 가 있으며, 한국학의 황무지에서 현장에 맞는 한국학 교육프로그램과 교재개발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해외 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은 2006년 9월 이후 지금까지 총 36과제를 선정하여 지원하였다. 중국에서는 연변대학, 중앙민족대학, 남경대학, 중국해양대학, 산동대학 등이 해외중핵대학으로 선정되어 한중 인문 교류 의 중추적 역할을 해낸 바 있다. 해외 한국학 중핵대학육성사업은 저명한 학문집단의 문화교류를 통해 한국학 을 세계의 주류 학문으로 발전시키고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세계의 많은 국가들과 유수 대학들이 선정될 수 있도록 사업을 대폭 확대해나갈 필요가 있다. 그런데 교육부의 한국학진흥사업 예산이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적은 금액이어서 사업을원활히 수행하는데 어 려움이 크다. 2013년 한중정상회담에서 ‘한중인문교류 공동위원회’를 설치하여 인문유대를 강화한다는 내용 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계기로 예산이 대폭 증액되어 한중 인문 교류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한 중인문학자들은 그간 양국에 뿌린 씨앗이 잘 자라서 풍성한 결심을 맺을 수 있도록 인내심과 끈기를 가지고 양국 간의 민족주의,애국주의, 문화우월주의의 경계를 허무는 데 적극 대처해주었으면 한다. Developing rapidly to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Korean-Chineseexchanges are under very active. After Korean Studies promotion project wasproceed by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er of culturesports and tourism and Ministry of Education, mainly in universities andsociety, Korea and China exchanges in humanities field have become moreactive. The main projec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directly related toKorean-Chinese exchanges is overseas Korean Studies next generationstraining project, overseas Korean Studies seed type project, overseas Koreanstudies center -universities promoting project and so on. The propose of overseas Korean Studies next generations training projecteducate excellent student that was selected. and after returning home, they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foreign nation. this projectrevitalized the training of graduate student in the University of China and,studying abroad and exchange program in the university affiliated with internaluniversity. next generations that are systematically trained to study KoreanStudies will play important role in interacting with each nation. Especiallyconsidering the importance in laying the foundation of Korean studies andeducational infrastructure in foreign nation, a related budget should beincreased. besides it is necessary to make new programs to attract foreignstudents. Overseas Korean Studies seed type project has for its object reinforcing the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Stud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education materials and managing education various programs. The tasks of59 around the world has been selected, but the Tasks of eight was selected inChina. This project, supported the research expenses in Korean studies researcherswith the ability of research and education of Korean studies, but systematicallythe infrastructure of research and education of the Korean Studies manyresearchers to prepare this brought the effect of such may be provided. In viewof the ripple effect of this project, it is necessary that business of two or moreyou have in the world is supported, in the wasteland of Korean studies, andcontinuously have an interest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materials and managing education various programs. Overseas Korean studies center-universities promoting project, sinceSeptember 2006, helped by selecting the 36 tasks total so far. In China, thereis that it has gone a pivotal role in Korean-Chinese humanities exchangesYanbian University, Central Ethnic University, Nanjing University, OceanUniversity of China, such as Shandong University has been selected as theUniversity of overseas center. this project, taking into account the point thatit is project to be developed as academic mainstream of the world Koreanstudies through cultural exchange of a prestigious scholar, to improve theinternational status of Korea, there is a need to expand significantly as theproject that many universities and many countries of the world are selected. However, since the amount of budget of Korean Studies promotion project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very low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sothere is difficult to accomplish the project smoothly. Contents established the“Korean-Chinese humanities exchanges Committee” in Korean-Chinese summitmeeting of 2013, to strengthen the humanities relationship is included. In thewake of this, I expect that the Korean-Chinese humanities exchanges to furtheractivate budget is increased significantly. Also, For the sustainabledevelopment of bilateral relations, Korean-Chinese scholar want to handlenationalism, patriotism, cultural chauvinism between the two countriesactively in order to break down boundaries.

      • KCI등재후보

        마을 단위 전승지식의 전달체계와 학교 연계교육의 지역화 전략

        남성진(Nam, Sung-Ji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7 民俗硏究 Vol.0 No.35

        전통마을이 갈수록 사라져 가고 있는 현실에서 전통사회의 전승지식을 후속세대로 어떻게 전달할 수 있는지 그 방법을 고민하면서 연구가 비롯되었다. 연구의 대상지로는 진양호로 인하여 수몰된 남강 상류 지역인 진주시 대평면 일대이다. 조상 대대로 가꾸어 왔던 삶의 터전을 대부분 물속에 묻어 버리고 이주를 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이른 고장이다. 그러나 수몰 원주민들은 현재 삶터를 빼앗기고 피땀으로 일구어 온 논밭을 물속에 버려야 하는 절망 속에서도 고향 언저리에 남아 선대부터 가꾸어 왔던 마을유산과 전승지식을 지켜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사회에서 전수되던 마을 단위 전승지식의 전달체계를 검토하여 전승 환경이 바뀐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수용할지 그 방법론을 살피는데 있다. 전승지식은 마을 공동체 내에서 생산되고 소비되며 축적되어 온 역사적 생명력을 지닌 문화적 가치이다. 옛 사람들이 마을 단위에서 전승시켜 온 전통문화를 오늘날 우리 시대에 맞게끔 잘 가꾸어 쓰기 위해서는 교육과 학습이라는 전달체계가 필요하다. 마을 단위의 전승지식은 어깨너머로 넘겨가며 세대에서 세대로 전달되었고 역사가 되고 전통이 되었다. 수몰지역 사람들은 그들의 조상들이 수천 년간 살아왔고 그들이 수백 년 가꾸었던 마을이 물에 잠긴 경험을 공유하였고 이로 인하여 옛 마을문화에 대한 추억과 기억의 보전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결국 마을 내부 구성원들의 위상 변동과 더불어 수몰 이전 대물림된 선대의 전승지식을 새 터전에서 가꿀 수 있도록 전달체계를 전환하였다. 마을유산의 전승지식은 사회 구성원들에 의하여 의도된 인지체계 속에서 집단 행위로 공유되었다. 새로 마련된 터전과 전승 환경에서 집돌음 농악을 재맥락화시켰으며, 외부의 농악 가락이나 놀이를 결코 받아들이지 않았고, 새로운 전승체계를 작동시켜 사회통합을 강조하였고 지역 정체성을 공고히 하였다. 전달체계의 운용 방식은 전승지식을 습득 · 창출할 수 있는 자율적 학습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소질 있는 인물을 양성하고 보존 · 전승하는 주체를 만들어 관리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주한 마을의 거점 학교에서 자라고 있는 후속세대들에게 전승지식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현실적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화 학습의 전략을 세워야 한다. 전승지식을 활용한 학교 연계교육의 추진 형태는 지역 거점 학교 학생들이 마을로 직접 들어가서 어른들의 어깨너머로 학습하는 방식과 마을유산의 전승지식 보유자가 학교 현장에 직접 찾아가서 교육을 수행하는 방문교육의 형태가 있다. 교육의 지역화가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마을 단위에서 생산된 전승지식이 학교 현장의 교과과정에 편입될 수 있어야 한다. 또 지역의 교육적 자원과 자료가 최대한 활용되어야 하며, 지역 거점 학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결국 전승현장의 변화와 교육 환경의 개선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전승지식을 전달하는 방식과 체계의 혁신적 변화가 요망된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area of Daepyeong-myeon, Jinju-si, which is the upstream area of Namgang, submerged due to Jinyang-ho. Even under the despair where they were ripped off of their sites of livelihood and had to give up the fields and paddies they worked on with blood and sweat, the residents of the submerged area have stayed near the hometown and preserved the village heritage and knowledge passed down from previous generation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transmission system of traditional folk knowledge at village level and examine the methodology regarding how to accommodate such in the modern society. The traditional folk knowledge is a cultural value with historical vitality produced, consumed, and accumulated within the village community. In order to adapt and use the traditional culture passed down from generations at village level so that it suits our times today, it is necessary to have a transmission system of education and learning. The traditional folk knowledge at village level has become history and tradition as it has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over the shoulders. The delivery system has been changed so as to cultivate the traditional folk knowledge in a new site, which has been passed down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tatus of the village members. The traditional folk knowledge of village heritage was developed inside the cognition system intended by the members of the society. The Jipdoleum-Nongak was re-contextualized in the newly established site and inheritance environment, and external Nongak melodies or plays were not incorporated at all, and a new transmission system was activated to enhance the social integration and give efforts towards the maintenance of the system. The transmission system was executed such that the autonomous learning system to obtain/create traditional folk knowledge was constructed, and the capable human resources were trained and managed through such system. In order to transfer the traditional folk knowledge to the descendent generations growing at the base schools of the relocated villa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alistic education system and the localization learning strategy. The promotion form of school connection education utilizing traditional folk knowledge spans the one where the students of the local base school students directly go to the town and learning over the shoulders of the adults, or the one where the transmitter of the traditional folk knowledge of village heritage goes to the school site in person and conducts education in a visiting education format. In order to perform the localization of the education efficiently, a local education process must be developed, and the school-level education process must be reconstructed. Also, the local educational resources and data should be utiliz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by the base school is necessary. After all, in order to 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inheritance site and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environment, an innovative change in the system and the method of transferring traditional folk knowledge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