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리더십을 통한 성경적 효의 정착에 관한 연구 − 가족 공동체를 대상으로 −

        최재덕 한국효학회 2009 효학연구 Vol.0 No.9

        지금 우리 사회는 강도, 엽기적인 살인, 유괴 등 인간으로서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만행들이 자행되고 있어 윤리 도덕의 회복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본다. 그러면 무엇으로 회복할 것인가가 문제인데, 그 대안은 성경적 효이다. 그리고 어디서부터 회복시킬 것인가 하는 것은 가족 공동체부터 라고 할 수 있다. 또 어떻게 할 것인가도 중요한데 이것은 리더십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 중에서 본 연구는 어떻게 회복할 것인가로 한정하여 리더십에 의한 방법을 다루었다. 리더십과 성경적 효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다. 여기서 이들의 관계를 전략에 비유하여 설명할 수 있는데, 전략의 목적은 ‘성경적 효를 가족 공동체에 정착시키는 것’이고, 전략의 요소는 ‘성경적 효’이며, 전략의 수단은 ‘리더십’으로 비유한 다. 따라서 성경적 효라는 전략 요소를, 리더십이라는 전략 수단으로 전략 목표인 가족 공동체에 정착시킨다는 의미이다. 가족 공동체에서 성경적 효를 정착시키기 위한 리더십의 행동 요소는 효 비전수립, 효 방향정열, 효행을 위한 임파워먼트, 효행의 모델되기 순으로 정리한 후 이에 대한 성경적 효 정착의 효용과 한계도 아울러 제시하였다. In these days, there are too much robbery, terrible murder, kidnapping etc we couldn't imagine before that's why the moral principles are destroyed and we are in difficult situation. So, At this point of time it needs to morals recovery in our society. If so, for the morals recovery what should we do, from where and how ? The issue of recovery alternative is Biblical HYO. Because biblical HYO has a value of three unity called 'sam tong'. From where is Family community. Family community is basic cell in our society. For how to use leadership, Leadership make motivate members to accomplish vision in the organization. And it is also the process to use influence. So, on this study focused on how can we recover and I deal with a point of view 'leadership'.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leadership and biblical HYO. It can represent by metaphor to strategy. A object of strategy is settled down family community by biblical HYO. A factor of strategy is biblical HYO and a strategic method figure by metaphor to 'leadership'. Therefore their relations is that biblical HYO is the factor of strategy by leadership about strategic method after that the objet of strategy will be settled down family community. For the settlement on biblical HYO through leadership in family community, it needs Hyo vision, alignment for Hyo, empowerment and then becoming Hyo model. And I propose their limitations and effects to settle biblical HYO through leadership in family community.

      • 효행의 법적 보장과 법률에 관한 일고

        엄경민 ( Eom Kyung-mi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8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2 No.-

        효 정신의 구현은 결코 먼 곳에 있지 않다. 사람이 세상에 나올 때 육신의 생명을 어버이에게 받는다. 이러한 생명력은 눈에 보이는 혈육만이 아니라 인간 본성의 이치와 생명의 기운을 모두 어버이를 통해 받게 된다는 의미다. 숨을 고르고 보고 배우는 모든 교감과 행위는 어버이로부터 비롯된다. 그러므로 어버이의 기운과 혈맥은 자녀와 서로 통해 있다. 이것은 자신의 몸이 자기 개인의 것이 아니며, 부모에게서 물려받아 이어지는 기운이기도 한 것이다. 부모가 자녀를 사랑하고 자녀가 부모를 사랑하며 존중하고 따르는 것은 억지로 만들어 지는 행위가 아니다. 인간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자연스러운 발생이다. 효는 특정한 사람이 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행위의 근본으로 누구나 행할 수밖에 없는 인간 내면의 본성에서 기인한 것이다. 이에 효는 아무런 조건이 없다. 효 정신에 입각한 인격의 형성은 사회적 부조리나 개인의 도덕적 타락에 의한 소모와 낭비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정신적으로 큰 자산이 될 것은 당연한 일이다. 사회 구성에 모토인 가정이라는 온전한 성장을 통해 효행의 실천은 자아의 형성과 이타심을 기르게 하고 인륜의 도리인 윤리적 삶을 더욱 지향하게 할 것이다. 본고는 우리나라 전통법에서 전승된 효도와 효행의 윤리를 현행법에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특히 효 윤리와 효 문화는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과 시행으로 인해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효도와 효행의 실천은 근본적으로 올바른 교육과 홍보를 통하여 자발적 실천에 따라 베풀도록 강조돼야 한다.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은 2007년 7월 2일 제정되어 2007년 8월 3일 대통령령 8610호로 공포되었다. 시행일은 2008년 8월 4일이다. 아울러 <인성교육진흥법>은 2014년 12월 29일 제정되어 2015년 1월 20일 법률 13004호로 공포되었고 시행일은 2015년 7월 21일이다. 이에 논의의 출발은 이러한 변화 속에 대두된 효행 장려 및 지원에 대한 법적 보장과 관련 법률에 제반 내용을 분석하는 데 있다. 그리고 현행법의 효 윤리와 법제 현황을 토대로 경로효친의 구현과 불효죄의 규정,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적 검토를 제언하고자 한다. 효는 더 이상 개인이나 한 가정 문제로 남겨둘 수 없다.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해 국가적 차원에서 자원봉사체계를 연계하고 효행의 당위성을 장려해 지속적 관계망을 형성해야 한다. 현행법은 어린이집, 초중고 학생들에게 효 교육을 장려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것을 대학이나 대학원 과정, 또는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학교를 아우른 사회 전반으로 교육 대상을 확보해야 한다. 원론적일 수 있겠지만 효 교육을 적극적으로 장려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과 법령 보완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정부의 의지와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지원도 필수적이다. 부모와 자녀로부터 인간관계의 출발이 시작된다. 부모의 자애(慈愛)와 자식의 효(孝)는 건강한 관계 속에서 그 힘이 배가 된다. 효를 위한 교육적이고 사회적인 관심은 공동체와 그 구성원의 건강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해 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at how the current law reflects the filial duty and filial behavior passed down from the traditional law of Korea. Due to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law, particularly, the filial ethics and filial piety culture face the new era. The Practice of filial duty and filial behavior should fundamentally be emphasized by the voluntary practice through the upright education and promo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stimulation of effectiveness which contain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its applications based on the educational materials such as Myungshimbogam(明心寶鑑), Gyeongmongyogyeol(擊蒙要訣), Dongmongseonseup (童蒙先習) rather than the enforcement by the law can be possible.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enact with national certificates within the areas of civilian licenses such as filial duty educator or leaders in order to the leaders who can practice the filial duty education. The formation of people’s personality will be a great asset to avoid the consumption and waste by the social absurdity and personal moral corruption. Through the full growth of home, the practice of filial behavior fosters the formation of the person’s self and altruism and moves increasingly toward the ethical life. The filial duty cannot be left the issue of a family. It should from the continuous network by encouraging the appropriateness of filial behavior in a national dimension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e current law encourages the filial duty education for students ranging from daycare center to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Consequently, the range should be extended into the people at large suc as college students, postgraduat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It may look theoretical, it is necessary that the government’s will and its constant, long-term support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of the law to actively encourage the filial duty education. The human relationship begins from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e power can be doubl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ffection and children’s filial duty. The educational and social interest for filial duty provide fodder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y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its members.

      • KCI등재

        효사상(孝思想)의 전개와 그 미래적 가치

        최상권 한국효학회 2017 효학연구 Vol.0 No.26

        The most grave problem of today’s modern society is the loss of character in personal dimension, and the absence of moral ethics in social dimension. Even with the material abundance, we reached the state where mental abatement is untreatable. Therefore, Hyo Sasang (filial piety) can be suggested as an ideological alternative to overcome various problematic situation. Hyo expresses the meaning of filial duty with its literal meaning ‘children attend old parent’ and Hyo Sasang portrays children’s love to parents, in contrast of parent’s love to children and patriarchal lifestyle. Furthermore, it is a basic recognition of confucian tradition that the norm of family community can be developed into the norm of national community. Since all ethical concept is bilateral, filial piety can also be parent’s duty and applying ideological value of Hyo to people who already practiced Hyo can be valid perspective. The meaning of Hyo has been changed throughout the course of history. Hyo in ancient period represented ideological principle of ancestor worship and death under religious influence.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Hyo with Confucian tradition was combined with Buddhist ideology with the influence of Buddhism prosperity. Goryeo Dynasty maintained Hyo Sasang through national education and emphasized practice of proper manner as Hyo. The national authority of Joseon Dynasty put Hyo Sasang as one of the fundamental norms to lead the people and emphasized moral order based on the three bonds and the five moral rules in human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Samgang-oryun). In the late 19th century in later phase of Joseon Dynasty, moral virtues became specialized into filial duty, loyalty and trust and each entity became recognized as independent values through the Enlightenment Thought. This Hyo Sasang can be mainly developed in the religious dimension and the social community dimension. Hyo in the religious dimension regards the ultimate existence of all creation as the rewards for parents in terms of religious aspect. Hyo in social community dimension works as the universal core value of social community by extending the love for parents to the love for the weak, thus constructing communal spirit. In order for Hyo virtue to have the universal legitimacy, unchanging fundamentals in this changing reality needs to be suggested and applied to the reality. Moreover, its various approach and concrete alternative need to be continuously studied by scholars. 오늘날 현대 사회에 내재된 가장 심각한 문제는 개인적 차원에서 인성(人性)의 상실(喪失)과 사회적 차원에서 도덕윤리(道德倫理)의 부재 상황이다. 물질적인 풍요는 이루었다고 하지만 정신적인 피폐함은 치유할 수 없는 경지에까지 이르게 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효(孝)사상을 오늘날의 다양한 문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사상적인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효를 어원적으로 ‘늙으신 부모님을 자녀가 받들어 모신다.’ 는 효도의 뜻을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효 사상의 연원도 가부장적인 생활양식의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인 자애에 상대되는 자식의 부모 사랑에서 나오는 모습이다. 더 나아가 가족 공동체의 규범은 국가 공동체의 규범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 유교적 전통의 기본적 인식이다. 모든 윤리적 개념이 쌍무적이기에 효 윤리 또한 부모의 책임을 외면 할 수 없고 효의 사상적 가치는 효를 실천한 사람에게 두는 것이 타당한 관점이 된다. 효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의미의 변화를 보여 주는데 고대의 효 관념은 종교적 환경과 분위기에서 죽음의 관념과 결합하여 조상숭배의 관념과 그 원리가 되었다. 삼국시대에는 불교의 번성을 기반으로 유교적 전통의 효 사상에 불교문화가 가미된 효행의 드러난다. 고려시대의 효 사상은 국가의 교육을 통해서 지속되며 옳은 예의의 실천을 효행으로 높였다는 사실이 특징적인 모습이다. 조선시대에는 백성을 이끌어가는 규범으로 충효를 기반으로 삼강오륜의 도덕적 질서가 국가적 권위에 의해 강조되었다. 조선조 후기 19세기가 되어 개화사상으로 인해 효, 충, 신 등의 기능이 나뉘며 각각의 윤리적 덕목과 가치가 독립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효사상은 크게 두 가지의 입장에서 종교 사상적인 차원과 사회 공동체 사상으로서의 효로 전개가 되는데 종교사상적인 차원에서의 효는 만물의 궁극적 존재에 대한 신앙을 부모에 대한 보본의 측면에서 종교로 형성되는 것과 같으며, 사회 공동체 사상으로서의 효는 사회 공동체 의식을 조성하기 위한 공통된 가치관의 부활이라는 의미에서 부모에 대한 사랑을 타자에 대한 사랑으로 확장시켜 사회 공동체의 보편적 핵심가치로 자리를 잡게 된다. 효의 덕목이 보편적 정당성을 갖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현실 가운데에서 변치 않는 원리를 제시하고 이를 현실에 적용하여 나가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의미가 있으며 다양한 입장에서의 접근 방법과 구체적 대안이 이후의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상관계 이론 측면에서 효 문화 증진을 위한 방안 연구

        채경선(Chae, Kyoung 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우리 민족은 전통적으로 효 사상이 깊이 깃들어 있다. 하지만 오늘날 물질 만능주의와 개인주의로 인하여 가정의 기능 약화, 인간 소외 등 여러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오늘날 전통적인개념과 새로운 문화의 충돌 속에서 효 문화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효를 상호 관계의 효, 부모 중심의 효, 세대전수를 통한 사회문화로서의효로 개념화하였다. 또한 이러한 현대적인 효의 개념을 전제로 시대의 요구에 맞는 효 문화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관계’에 대한 중요 이론인 대상관계 이론을 고찰하였다. 대상관계의 주요 개념과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건강한 발달과 적응에 있어서 ‘관계’의 중요성을고찰하고 좋은 대상으로서의 부모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현대 사회에 필요한 효 문화 확산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부모정체성의 회복이다. 무엇보다 가장 좋은 부모는 좋은 역할을 하는 부모에 앞서 부모 자신이 건강한 부모이다. 이를 위해 부모 자신의 내적 회복을 통한 자기 수용과 자기이해가 필요하다. 두번째로는 효 문화 확산을 위한 정서적 부모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부모 자녀간의 분리개별화는 현대적 효의 관점에서 부모가 가져야 할 근원적 목표이다. 그런 의미에서 분리 개별화를위한 부모 역할로 안아주기와 담아내기를 제안하였다. 부모자녀 관계에서의 부모의 안아주기, 담아내기 역할은 정서적, 순환적 관계성을 지속하게 되어 세대의 전수로 효 문화가 전승되리라기대한다. Korean people traditionally have a deep HYO, Today, however,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are causing various problems, such as weakening of the function of the family and alienation of humans. Accordingly, a paradigm shift for HYO is required in the conflict between traditional concepts and new cultures. Therefore, this study first conceptualized HYO as mutual relations, parent-centered HYO, and HYO as a social culture through generational transmission. In addition, on the premise of this modern concept of HYO, to find a way to promote HYO culture that meets the demands of the times, the theory of object relations, an important theory about relations, was examined. Based on the main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object rel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in healthy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humans, and the influence of parents as good objects. Through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 plan to spread HYO culture necessary for the modern society was suggested. The first aspect is the restoration of parental identity. Above all, the best parents are parents who are healthy before parents who play a good role. For this, parents need self-acceptance and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ir own internal recovery. Second aspect is the emotional parental role parental role of spreading filial piety. Above all,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a fundamental goal that parents should have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HYO. In that sense, it was suggested ‘holding’ and ‘containing’ as a parent for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HYO culture will be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by continuing the emotional and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 KCI등재후보

        ‘보편화 가능성의 효 체계’로 분석한 누가복음 15장(탕자의 비유)에 나타난 효 연구

        최남운 한국효학회 2011 효학연구 Vol.0 No.13

        1995년 시작된 최성규 목사의 성경에 바탕을 둔 효 운동은 윤리학적 접근을 통해 보편화 가능성의 효 윤리체계를 정립하여 효를 보편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신약성경 에베소서 6장의 내용을 토대로 박철호 교수는 동서양에서 강조하고 있는 공통적인 효 개념을 추출하여 상호복합적인 관계 속에서 순종, 대리, 친애, 존속의 4가지 변수를 통해 효 윤리체계를 정립했다. 이 윤리체계를 통한 연구를 가속화하고 심층화 하기위해서는 성경에 나타난 본 문들을 신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면서 보편화 가능성의 윤리체계로 재설명해 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신약성경에서 예수께서 직접 비유를 들어 가르치신 누가복음 15장의 비유를 보 편화 가능성의 효 윤리체계를 통해 연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탕자의 비유에 나타난 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는 아버지의 크고 넓은 사랑, 즉 용서와 긍휼이 반역하고 떠난 아들의 참회와 회복으로 나아오는 힘으로 작용했다. 즉, 아버지의 끝없는 사랑은 실패와 좌절 가운데서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과 용기를 제공해 주는 근원이 된다는 것이다. 누가복음 15장의 탕자의 비유에는 친애적인 아버지의 효가 두드러지게 드러나고 있으나 순종, 대리, 존속의 효는 모두 매우 빈약하게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이 부모 자녀 간의 관계가 회복될 수 있었던 것은 아버지의 친애적 효가 바 탕이 된 자녀와의 인격적인 대화라고 파악된다. 현대사회의 다양하고 복잡한 가족 구성원간의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편은 부모의 친애적인 사랑이 바탕이 된 가족 간의 의사소통이라고 분석된다.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을 통한 관계회복은 하나님의 선교명령에 순종하는 중요한 사안이라 여겨진다. Rev. Choi's Hyo(filial piety) movement based on Bible, began in 1995, has established Hyo-ethic system through Ethical approach, thus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wide spread of filial piety. Hyo-ethic system has rooted from Ephesians Chapter 6, and has extracted the concept of a common Hyo from tradition of the East and West. It has the complex system of four parameters; obedience, agency, affection, and perpetuity. To accelerate and deepen these studies, it seems necessary that analyzing context in Scriptures in terms of Divinity, as well as explaining ethic systems which have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tion. In Luke chapter 15 of the New Testament, Jesus directly taught the parable from which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derived in terms of the ethic system that has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tion. In the parable of lost son, the father and son relationship, based on love, compassion, and forgiveness, has functioned as the power of retrieve; the left and treason son had to do penance and to react to the return. In other words, father's endless love amid the failure and frustration provides strength and courage to get his life back. The parable of the lost son in Luke chapter 15 shows father's affection prominently, but very little obedience, agency, and perpetuity can be found. Nevertheless,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on could be restored through personal conversation based on the father's affection-hyo. To minimize conflicts between family members in the diverse and complex society, it is essential to have effective communication based on affection of parents.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through parent-child communication has a high priority in obeying God's missionary command.

      • KCI등재후보

        현대 효와 인성의 위기 및 대응 전략

        장시성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6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5 No.1

        Korean people have been regarding a beautiful cultural heritage, which is the HYO(Harmony of Young & Old) as an important value while serving their ancestors, respecting elderly and fulfilling the duty to be courteous to neighbors. However, rapid social change brought about materialism and egoism deepening a conflict with neighbors and social crimes such as abuse, violence, and murders have been increasing. These phenomenons has been considered due to the crisis of current HYO and personality. Recognition, behavioral, educational and systematic factors attribute the crisis. First of all, negative perception like objection to the HYO has been spreading with the social changes such as low birth rate and aging in terms of recognition factor. In the behavioral aspect, the dramatic rise of the single or two-member household and elderly people living alone causes conflicts between generation and social class. Not only that, the increas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divorce rate lead to the collapse of traditional family. In the educational aspect, the absence of good upbringing due to the nuclear family, the lack of education experts and materials and inappropriate filial conduct cases gives rise to the crisis. Lastly, in the systematic point of view, limited definition of the legal concept of the HYO makes it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the core value and virtue of personality education. As corresponding strategies to resolve these crises of the current HYO as discussed above, Firstly, the noble value of the HYO can be awaken through love and honors between family members. In addition, community members as well as students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Secondly, the desirable behavior of HYO and personality should be maintained and developed through actively accepting social changes. Thridly, early-year personality education and practice of HYO are necessary and new educational approach toward not only students but also whole nation (especially eldery) is essential. Forthly, re-establishment of the broad legal concept of the HYO and the support for 「The Agency for HYO-Culture」 to become a country’s leading professional institution are required. By implementing the correspondence strategies to the crisis of current HYO and personality described above, we can achieve healthy home and an elegant society, along with the pursuit of individual happiness, and the development of our country further. 예로부터 우리 국민들은 아름다운 전통 문화유산인 효(孝)를 소중한 가치로 여기고, 조상을 섬기며 어른들을 공경하고 이웃사람에게 예의를 다하는 등 인성(人性)을 중요시 했다. 그러나 급속한 사회 변화로 물질만능주의와 이기주의가 만연되어 이웃과의 갈등이 심화되고, 학대·폭력·살인 등 사회적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현대 효와 인성의 위기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인식·행태·교육·제도 면에서의 문제점 등 위기를 살펴보았다. 먼저, 인식 면에서는 저 출산·고령화 등 사회변화에 따라 효에 대한 거부감 등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행태 면에서는 1~2인 가구 및 독거노인이 크게 늘어나면서 세대와 계층별 갈등, 다문화 가정 및 이혼율 증가 등으로 전통적인 가정의 붕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교육면에서는 핵가족화로 밥상머리 교육의 부재, 효와 인성교육 전문가 부족, 교육 자료 미흡 및 부적절한 효행 사례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제도 면에서는 전통윤리인 효가 존중되어야 함에도 법률상 가족중심의 제한적으로 정의되었고, 인성교육 목표의 다른 가치와 동일시되고 있음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현대 효와 인성의 위기 해소를 위한 대응전략은 첫째, 아름다운 전통 문화유산인 효의 숭고한 가치를 계승 발전시키고, 사회윤리의 기본인 인성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둘째, 시대에 따른 효와 인성의 행태 변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현대 사회에 맞춰 보완·발전시켜 나간다.. 셋째, 어린 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전 국민에게 효행 실천 및 인성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효의 개념을 광의의 의미로 재설정하고,「효문화진흥원」이 국가 최고의 효와 인성 전문 교육기관이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제시한 현대 효와 인성의 위기에 대한 대응 전략을 구체적으로 시행함으로, 개인의 행복 추구는 물론, 건전한 가정과 품격 있는 사회를 만들고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효 사상의 현대적 이해

        곽종형 ( Jong Hyung Kwa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3 No.-

        Doing the Hyo to our parents is basic obligation of all the people and it takes up the moral highest peak and when it controls constituent of society"s behavior, there is no doubt to say the Hyo"s affirmation aspect which contributes toward tradition society. As traditional concept of Hyo has got an idealand a moral standard in tradition society. So now, it is difficult to have persuasive power to a man of today. but the Hyo of modern is an ideal and a moral dimension and it has to be changed from a concept of the Hyo of privilege consciousness to guarantee the lowest basic rights which is based on law dimension. Although the moral power can not display it"s own power, the aged group must be guaranteed even by law power. Entering an aging society, getting more increase the aged"s demand and getting longer the period of keep up time for them, these situations reach boundary limits. Namly, the Hyo ideology has to be revived through the new access route. In history, the advance of technique always is a stimulant which changes the life pattern of society. I consider that internet arrival is the stimulant. As we know, internet generation arrival has given us great changes more than anything. Through the internet in the society of cyberspace, we should furnish and earn information about how to practice the Hyo to our parents, also listen and advise to their children"s burden. In the last analysis, this appeals to us the importance of the spiritual dimension"s Hyo. Therefore, modern Hyo"s practice device has to be newly changed to suitable for the present age. 부모에게 孝를 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도리이며, 효가 전통사회에서 도덕적인 최고봉을 차지하여 사회성원의 행동을 규제했을 때, 이 효가 전통사회에서 기여한 긍정적인 면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인이 갖고 있는 孝 의식은 전통사회에서의 이상적, 도덕적 규범으로서의 현대인들에게는 별로 설득력을 주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그런데 현대의 효는 이상적, 도덕적 차원, 그리고 특권의식의 효의 개념에서부터 인간의 최저 기본권이 보장되는 법의 차원으로 변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孝라는 도덕적 개념을 법의 차원으로, 특히 부모자식간의 문제를 법의 개념으로 본다는 점에 거부감이 들 것으로 생각되나, 냉철히 생각하면, 노인집단의 복지문제를 놓고 볼 때 결국 도덕적인 힘이 영향을 발휘 못할 때에는 법적인 힘으로라도 노인집단의 복지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미래사회의 효 실천에서는 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이 증가되는 요구와 길어진 부양기간은 가치관의 변화와 맞물려서 전통적으로 내려온 효로서 부모를 모셔야 하는 상황은 한계에 다 달았으므로 효 사상을 새로운 인식과 접근을 통해 살려내야 한다. 역사 속에서 보면 기술의 발달은 항상 그 사회의 생활을 변화하는 자극제였다. 이러한 자극제가 인터넷의 도래(到來)가 아닌가 생각되어진다. 현대사회에서의 인터넷 시대의 도래는 우리가 잘 알고 있던 다른 무엇보다도 우리의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현대사회에서는 인터넷이 산재해 있음을 무시하는 일은 이제 불가능하다. 인터넷을 통해 부모에게 효를 실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자녀의 욕구를 도와주고 노부모의 삶이 풍요롭게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결국 효도는 부모로부터 성명(性命)을 받아 착한 본성을 타고 났으나, 점점 자라면서 물욕이 생겨 물질적인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행동적인 것으로 그리고 나서 배움을 통해 정신적인 것으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물질적인 것 보다는 정신적인 차원에서 효가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볼 때 현대적인 효 실천도 현시대에 맞게 새로운 변화를 하여야만 한다.

      • KCI등재

        유학 전통의 효제론에서 찾아본 노화(老化)에 대한 문화적 함의

        전호근(Jeon, Ho Ge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4 No.-

        이 글은 전통사회의 어버이에 대한 사랑, 곧 효(孝)관념을 약자에 대한 배려라는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지배자의 이데올로기로 효제관념이 이용되어온 측면을 바로잡고 재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자 孝(효)는 자식이 늙은 어버이를 업고 가는 모양을 본뜬 상형문자다. 노동력을 상실하고 자식에게 의지할 수밖에 없는 약자인 부모에 대한 배려를 효라는 글자로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글자에 이미 약자보호의 정신이 깃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효에는 다음의 세 가지가 있다. 첫째, 가장 낮은 단계의 효는 부모에 대한 자식의 봉양이다. 봉양은 음식을 먼저 드시게 한다든지 힘든 일을 나이 어린 사람들이 대신하는 행위로 구체화된다. 둘째, 다음 단계의 효는 부모에 대한 존경심을 가지는 것으로 물질적인 봉양의 단계를 넘어 정신적으로 부모를 존경하는 심리적 상태를 말한다. 셋째, 효는 예(禮)에 따라 어버이를 모시는 것이다. 예는 전통 사회의 보편적 가치로서 타인에 대한 배려를 뜻한다. 그러나 효에는 이 모든 것을 넘어서는 가치가 있는데 그것을 공자나 맹자는 ‘큰 효(大孝)’라고 표현했다. 큰 효를 실천한 사람들은 모두 자신의 어버이에게만 효를 실천하는데 그치지 않고 다른 사람들도 효를 실천하게 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큰 효는 모든 사람들이 효를 실천할 수 있는 사회적인 여건을 만들어야 가능한 것이다. 이런 점은 옛사람들이 무조건 효제를 강조하기만 했던 것이 아니라 효제를 실천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드는 데 더 큰 의미를 두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따라서 효의 대상은 부모라는 이름으로 대변되는 모든 ‘약자’이며, 효제의 도리란 ‘약자에 대한 배려’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revisits the concept of filial piety, which means love for one"s parents in the traditional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solicitude for the weak. The Chinese character for filial piety, which is derived from a pictograph, depicts a child giving a piggy back ride to his/her parent who has become old, weak, and unable to work, and thus must rely on the child. Therefore, it seems fair to claim that the character itself has the notion of protecting the weak. There are three levels of filial piety. First, the lowest level of filial piety is supporting one"s parents by letting them eat food first or doing strenuous work for them. The next level of filial piety is showing respect to one"s parents by going beyond the level of supporting them with food and money. Lastly, the third level is serving one"s parents with manners and decorum, which are universal values and represent express solicitude toward others. However, there is another value which surpasses the three levels of filial piety aforementioned, and Mencius and Confucius call it “big filial piety”. People who exercise this “big filial piety” have one commonality, which is that they practice filial piety not only to their own parents but also to others. Exercising this sort of “big filial piety” is only feasible when the social environment is based on the view that people should exercise filial piety to their parents. What this demonstrates is that people in the traditional society put a greater emphasis on creating an environment for people to practice filial piety, besides requiring people to practice filial piety to their parents. In conclusion, the subject of filial piety is the weak, which usually represent parents, and thus, the duty of filial piety can be interpreted as solicitude for the weak.

      • KCI등재후보

        A Study on Ways to Improving Children's HYO-Emotional Intelligence : Focusing on the color psychotherapy program

        Lee, Hyun Soon,Chae, Kyoung Sun 한국효학회 2021 효학연구 Vol.- No.34

        배경: 최근 우리 사회에 발생하는 다양한 역기능적인 문제들로 인해 다시 가정윤리의 근본인 ‘효’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일방적 상향식 덕목만을 강조하는 효는 현대인들에게 환영받 지 못한다. 이에 조화와 관계성을 강조하여 효를 재해석한 효(HYO)의 저변 확대가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목적: 본 연구는 효(孝)의 패러다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효(HYO)정서의 증진 방안을 찾고자 한 다. 본성적 기본정서인 효(HYO)를 바탕으로 사회적 관계의 윤활유 역할을 하는 정서지능을 높이 는 것은 효(HYO) 실천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HYO)와 정서 지능을‘정서’라는 공통분모 안에서 하나로 융합하여‘효(HYO)정서지능’이라고 명명하였다. 방법론/접근: 본 연구는 프로그램 예비실행 전 프로그램을 구안해보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먼저 효(HYO)의 개념, 정서지능이론, 색채심리이론을 살펴봄으로써 프로그램 구안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자 하였다. 이를 통해 효(HYO) 정서와 쌍둥이 개념을 가진 부자유친성정의 구성요소를 빌려 주제 를 정하고, 정서지능과 색채심리치료의 구성개념을 적용하여 내용을 구안하였다. 추후 최종 프로 그램 확정을 위해 수요조사와 전문가 자문 등을 거친 후 예비실행을 통한 검토가 필요하다. 결과/결론: 색의 도구적 기능과 치료적 기능을 통해 우리성-일체감, 허물없음, 아껴줌을 재경험해 봄으로써, 부모님에 대한 고생하심, 죄송함, 편안함, 고마움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정서경험 은 정서지능을 향상시켜 부모와의 친밀성이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부모에게‘효 도하고 싶다’, ‘잘해 드리고 싶다’ 등의 자연스러운 보은(報恩)의 반응이 나오게 될 것이다. 시사점: 첫째, 효(HYO) 정서 증진만으로도 정서지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저항이 적고 자 연스럽게 정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색채를 활용한다면 효(HYO) 교육이 훨씬 수월하고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다양한 효(HYO)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타당도가 확보되고 부모의 입장과 자녀의 입 장 모두에서 검증해볼 수 있는 효(HYO) 척도 개발이 필요하다. Background : Recently, due to various dysfunctional problems occurring in our society, we have begun to focus again on the ‘filial piety’, the basis of family ethics. However, filial piety, which emphasizes only one-sided bottom-up virtues, is not welcomed by modern people. Therefore, it is time to expand the base of HYO, which reinterpreted filial piety by emphasizing harmony and relationship. Purpose : This study seeks to find a way to promote the HYO emotion that contemporarily reinterpreted of the paradigm of HYO. Raising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acts as a lubricant for social relationships based on HYO, a basic natural emotion, will be a way to maximize HYO practice. Therefore, in this study, HYO and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are human natural emotions, were fused into one within the common denominator of `emotional' and named `HYO emotional intelligence(HEI)'. Methodology : This study is the step of devising a program before preliminary execution. To this end, we first tri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program design by examining the concept of HYO, the theor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theory of color psychology. Through this, this study would intend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program by borrowing the components of Korean 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Bu-Ja-Yu-Chin-Sung-Cheong) which the twin concept with the HYO emotion as a subject and applying the constituent concep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or psychotherapy. In order to confirm the final progra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view it through preliminary execution after conducting a demand survey and expert advice. Results : The instrumental and therapeutic functions of color would generate and the emotions such as respect, sorriness, comfort, gratitude for own’s parents through re-experiencing mind of weness-sameness, folksiness and preciousness. This emotional experience will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crease intimacy with parent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natural reactions such as “I want to be filial” and “I want to be good to my parents” will come out. Implications :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can be improved only by promoting HYO emotions. Second, HYO education will be much easier and more effective if colors that have low resistance and can change emotions naturally are used. Third, in order to develop various HYO progra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YO scale that can be verified from both the parents' and children's perspectives.

      • 제 2 부 한국의 효사상과 효문화 : 장례문화에 투영된 한국인의 효사상 연구

        박대슈 ( Daesoo Park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4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4 No.-

        장례문화는 효가 근본이며 예가 골격이다. 죽음도 효의 실천이다. 공자는 효는 덕의 근본이라고 하였고, 맹자는 섬기는 일 중에 어버이 섬기는 일이 가장 중대하다고 하였다. 또한 유교에서 말하듯 다섯 가지 덕목인 인의예지신도 효심에서 출발 된다는 것이다. 공자는 덕치주의의 바탕인 가족제도를 더욱 튼튼하게 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효도를 강조 했으며 부모 섬기를 하늘 섬기듯이 하라고 하였다. 여기서 부모와 하늘이란 개념을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여 인간사이의 관계를 인륜이라고 하지만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천륜이라고 하는 것이 바로 효를 유교적 차원에서 나타낸 것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효의 유교사상에서 죽음에대한 유교의 독특한 이해와 연결되어 부모생존시의 효가 죽은 후에도 계속되어 조상숭배인 제사로 나타나게 되었다. 사후에 대한 유교의 사상은 인간이 죽으면 혼과 백으로 갈라져 백은 땅으로 들어가고 혼만이 위로 올라가는데 정당한 제사는 이 혼과 백을 합하는 극치를 이루어 죽은 자의 여생을 당분간 이나마 연장시키는 효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그러므로 제사가 끊어지면 조상들은 주로 죽는다는 것으로 생각했다. 본고는 전통 유교적 장례의 절차를 중심으로 상장례에서 발현되는 효의 특성과 장례문화에서 발현되는 효 문화적 특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장례는 ‘간소화’를 통하여 전통사회에 비해 개인의 효의 실현 영역이 줄어들었고, 오늘날 장례에서의 효 문화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간소화된 효’, ‘조문을 중심으로 하는 효의 실천’, ‘물질적인 효를 강조 하는 사태’ 등으로 압축된다. 또한 물질주의와 장례의 간소화라는 사회변화 속에서 효문화의 온전한 실천을 위해서는 개인보다는 장례를 진행하는 전문가(장례지도사)와 장례문화를 선도하는 사회문화(지도층)의 역할이 더 핵심이 된다고 본다. In the funeral culture, filial piety is the essence, and manners are the base. Death is a practice of filial piety. Confucius said filial piety is the foundation of virtue and Mencius said serving one’s parents is the most important service above all, and it is said that and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serve the dead as if they were alive” And in Confucianism,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very beginning of the five virtues : humanity(仁), righteousness(義), manners(禮), intelligence(智) fidelity(信) is the filial piety. Confucius emphasized the filial piety constantly,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 family system which is the base of virtue governance. And he also said that one should serve his or her parents like the way he or she serves the sky. They use the words, parents and the sky, as the same concept, and by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s humanity(人 倫),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s moral laws(天倫), they shows us filial piety in the Confucian point of view. In association with a unique Confucian understanding of death, this Confucian ideaof filial piety presents itself as a memorial service for one’s ancestors even after their parents pass away. In the Confucian ideas about the life after death, when people die, there remain soul(魂) and dead body(魄), dead body(魄) goes into the earth and soul goes up to the sky. They believed they could extend the dead’s remainning lives for the time being, through appropriate memorial service that combines soul and dead body(魄). And therefore, they believed their ancestors are going to really die if they stop the memorial service. Words of Mencius : The biggest impiety is to stop their memorial service due to not having the son who can continue their lineage, show us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 after death.In the Confucian memorial service, filial piety is the essence of the idea and it means one should serve their parents with filial piety when they are alive and even after they are deceas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ilial piety which are represented in funeral rites 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ilial piety which are revealed in funeral culture, based on the traditional Confucian funeral process. First I will look into the Confucian funeral process in Korea,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filial piety realized and revealed in the process. And then I will examine what is changed in the process and identify if there is any simplification, and what it brings to characteristics of filial piety. Through the simplification of funeral ceremony, the available area has decreased in which one can practice his filial piety, compared to traditional society. Nowadays, we can summarize the filial piety culture in the funeral ceremony, as the one simplified both in time and space, practicing filial piety by making a call of condolence and emphasizing materialistic piety. In order to practice the culture of filial piety perfectly in the social changes such as materialism and simplified funeral ceremony, I suggest that the role of professionals(funeral directors) who conduct the funeral ceremony and those who lead the funeral culture(leadership) becomes more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