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요 과수 재배지토양의 수용성양분 분포

        안병구 ( Byung-koo Ahn ),고도영 ( Do-young Ko ),김태복 ( Tae-bok Kim ),장영환 ( Young-hwan Jang ),장수연 ( Su-yeon Jang ),전형권 ( Hyong-gwon Chon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전북 도내의 주요과수 재배지 토양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과수 재배 면적과 지역을 고려하여 130개 지점을 선정하고, 표토와 심토를 채취하여 수용성형태의 토양양분을 조사하였다. 일반화학성은 농촌진흥청 토양분석법에 따라 조사하였고, 수용성양분은 토양과 증류수를 혼합하고 15시간 진탕한 다음 여과하여 분석하였다. 조사한 과수원 토양의 표토 토성은 양토가 70.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심토는 식양토 55.4%, 사양토 31.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재배하고 있는 과종은 사과가 29.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배 24.1, 복숭아 23.3, 포도 12.1, 감 11.2% 순이었다. 과수원 표토의 평균 화학성은 pH 6.8, EC 0.81 dS/m, OM 32 g/kg, 유효인산 796 mg/kg, 교환성 K<sup>+</sup>, Ca<sup>2+</sup>, Mg<sup>2+</sup>, Na<sup>+</sup>은 각각 1.10, 7.1, 2.2, 0.10 cmol<sub>c</sub>/kg 이었고, 심토는 pH 6.5, EC 0.56 dS/m,OM 17 g/kg, 유효인산 632 mg/kg, 교환성 K<sup>+</sup>, Ca<sup>2+</sup>, Mg<sup>2+</sup>, Na<sup>+</sup>은 각각 0.78, 5.1, 1.7, 0.09cmolc/kg 이었다. 조사한 지점의 표토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음이온 농도는 NO<sub>3</sub><sup>-</sup> 143.3, SO<sub>4</sub><sup>2-</sup>76.8, PO<sub>4</sub><sup>3-</sup> 39.4, Cl<sup>-</sup> 17.1, mg/kg 순으로 나타났고, 심토는 NO<sub>3</sub><sup>-</sup> 71.6, SO<sub>4</sub><sup>2-</sup> 59.7, PO<sub>4</sub><sup>3-</sup> 30.1, Cl<sup>-</sup>12.4 mg/kg 순이었다. 한편 수용성 양이온 농도는 K<sup>+</sup> 118.7, Ca<sup>2+</sup> 106.8, Mg<sup>2+</sup> 29.3, Na<sup>+</sup> 20.0mg/kg 수준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수용성이온과 토양화학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수용성 Cl<sup>-</sup>는 EC와 교환성 Na<sup>+</sup>, 수용성 NO<sub>3</sub><sup>-</sup>와 PO<sub>4</sub><sup>3-</sup>는 EC,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교환성 K<sup>+</sup>, Mg<sup>2+</sup>, Na<sup>+</sup>과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 SO<sub>4</sub><sup>2-</sup>은 EC, 교환성 Na<sup>+</sup>과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다. 수용성 K<sup>+</sup>, Ca<sup>2+</sup>, Mg<sup>2+</sup>은 모두 토양 EC,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교환성 K<sup>+</sup>, Ca<sup>2+</sup>, Mg<sup>2+</sup>, Na<sup>+</sup>과 유의성이 있었고, 수용성 Na<sup>+</sup>은 EC, 교환성 Mg<sup>2+</sup>과 Na<sup>+</sup>에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과수원 토양의 적절한 양분관리는 일반화학성 뿐만 아니라 수용성 형태의 양분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경상북도 시설재배지 토양 화학성의 장기 변화

        남효훈(Hyo-Hoon Nam),정혜정(Hye-Jeong Jeong),이중환(Joong-Hwan Lee),김종수(Jong-Soo Kim),김명숙(Myuong-Sook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시설재배지는 단절된 기상환경과 집약적이고 연속적인 양분 공급으로 인해 토양의 이화학성이 악화되기 쉽고 이로 인한 연작장해 등 피해가 발생한다. 양분의 과부족, 상호간의 작용 등을 고려한 시비관리를 위해서 토양환경에 대한 조사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농업환경자원 변동평가의 일환으로 시설재배지의 토양화학성을 분석하고 장기간의 변화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경상북도 일반농경지 시설재배지 토양의 pH, EC,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 등이었고, 조사지점은 도내 20개 시군, 1,043점이며 조사년도별로 2004년~2016년 각 206점, 2020년 219점이었다. 재배작물은 총 23작물이었고 토마토, 딸기 등 과채류가 87.7%로 가장 많았고 시금치, 상추 등 엽채류 7.5%, 기타 4.7%이었다. 2020년 시설재배지의 화학성분 평균은 pH 6.9±0.8, EC 4.1±4.0 dS m<SUP>-1</SUP>, OM 41±17 g ㎏<SUP>-1</SUP>, Av.P₂O<SUB>5</SUB> 918 ㎎ ㎏<SUP>-1</SUP>, 치환성양이온 K 1.60±1.32 ㎝ol<SUB>c</SUB> ㎏<SUP>-1</SUP>, Ca 12.5±4.3 ㎝ol<SUB>c</SUB> ㎏<SUP>-1</SUP>, Mg 3.68±1.64 ㎝ol<SUB>c</SUB> ㎏<SUP>-1</SUP>이었다. 적정 화학성 범위의 분포 비율은 pH 37.4%, EC 38.4%, OM 21.1%, Av. P₂O<SUB>5</SUB> 13.2%, 치환성 양이온 K 11.9%, Ca 1.4%, Mg 8.2%였으며 대부분이 적정범위를 초과하는 비율이 높았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화학성분 장기 변화는 모든 성분이 조사시기가 경과될수록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2004년 대비 2020년의 pH, EC, OM, Av.P₂O<SUB>5</SUB>, K, Ca, Mg 함량은 각각 4.5%, 10.8%, 90.9%, 16.9%, 14.4%, 50.6%, 11.5% 증가하였다. 이는 시설재배 특성상 집약재배에 따른 양분의 과다투입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시설재배 토양의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검정시비를 실시하고 제염, 물리성 개선 등을 병행하여야 한다.

      • 경상북도 일반농경지 논토양 화학성의 장기 변화

        남효훈(Hyo-Hoon Nam),김광섭(Kwang-Seop Kim),정혜정(Hye-Jeong Jeong),이중환(Joong-Hwan Lee),김종수(Jong-Soo Kim),허승오(Seung-Oh Hur)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지속적인 영농활동으로 인한 토양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고 건전한 재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논토양의 화학성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경상북도 일반농경지 논토양의 pH, EC,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 등이었고, 조사지점은 울릉도를 제외한 도내 22개 시군, 1,601점이며 각 조사년도별로 2003년 256점, 2007년 260점, 2011년 260점, 2015년 260점, 2019년 265점이었다. 2019년도 경북지역 논토양의 pH, 전기전도도, 유기물 함량, 치환성 마그네슘 함량의 평균값은 각각 6.0±0.7, 0.57±0.50 dS m<SUP>-1</SUP>, 26.0±10.4 g ㎏<SUP>-1</SUP>, 1.54±0.99 c㏖<SUB>c</SUB> ㎏<SUP>-1</SUP>로 적정범위 내에 분포한 반면 치환성 칼륨은 0.25±0.16 c㏖<SUB>c</SUB> ㎏<SUP>-1</SUP>로 낮았고 유효인산과 치환성 칼슘은 각각 143.0±147.9 ㎎ ㎏<SUP>-1</SUP>, 6.1±2.2 c㏖<SUB>c</SUB> ㎏<SUP>-1</SUP>로 높았다. pH는 2003년 5.6에서 2011년 6.1로 증가한 이후 2015년과 2019년은 6.0을 유지하였으며 전기전도도는 2019년이 0.57 dS m<SUP>-1</SUP>로 조사기간 중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유기물은 2007년에 28.9 g ㎏<SUP>-1</SUP>로서 최댓값을 보였고 그 후 감소하는 추세였다. 유효인산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나 기준보다 높은 143~173 ㎎ ㎏<SUP>-1</SUP>의 범위를 보였다. 각 조사시기별 평균 pH, EC, 유기물 함량, 치환성 마그네슘은 적정 범위 내에 분포하였고 유효인산과 2011년과 2015년 치환성 칼륨이 적정 범위를 초과하였다. 각 양분별 과부족률 분포에서는 대부분 적정 범위 비율이 높은 경향이었으나 유효인산은 과다 비율이 높고 치환성 마그네슘은 부족 비율이 높았다. 또한 조사한 지점에 따라 화학성의 변이가 다양하였다. 따라서 과다 시비를 방지하고 효율적인 양분관리를 위하여 토양검정을 통한 검정시비를 적극 활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가축분퇴비 종류에 따른 옥수수 생육 및 토양 특성 평가

        이유나 ( Yu-na Lee ),김성헌 ( Seong-heon Kim ),심재홍 ( Jae-hong Shim ),박성진 ( Seong-jin Park ),권순익 ( Soon-ik Kwon ),이윤혜 ( Yun-hae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22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2 No.-

        농경지에 농업잔재물, 퇴비와 같은 유기물자원의 적정한 투입으로 토양의 물리성 개선, 양분공급, 토양완충능 향상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유기물원에 따른 옥수수 생육 및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로 적합한 유기물 투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처리내용은 무처리, NPK(N-P<sub>2</sub>O<sub>5</sub>- K<sub>2</sub>O: 13.2-3.0-5.5 kg10a<sup>-1</sup>), 돈분퇴비(PM), NPK+우분퇴비+옥수수잔재물(NPKCR), NPK+돈분퇴비+옥수수잔재물(NPKPR), NPK+옥수수잔재물(NPKR) 6처리로 시험하였다. 돈분퇴비, 우분퇴비, 옥수수잔재물 의 투입량은 각각 440 kg 10a<sup>-1</sup>, 2,000 kg 10a<sup>-1</sup>, 2,245 kg 10a<sup>-1</sup> 이었다. 토양화학성은 pH, EC, 유기물 함량, 유효인산을, 식물체는 생체중량, 건물중량, 무기성분 함량(N, P, K)을 분석하였다. 옥수수(품종 : 찰옥4호) 재배결과, 생산량은 NPKCR 751 kg 10a<sup>-1 </sup>> NPKPR 749 kg 10a<sup>-1</sup> > NPK 621 kg 10a<sup>-1 </sup>> NPKR 563kg 10a<sup>-1</sup> > PM 286 kg 10a<sup>-1</sup> > 무처리143 kg 10a<sup>-1</sup> 순으로 많았다. 식물체 양분흡수량 분석 결과, 질소함량은 NPKR, 인산함량은 PM, 칼리함량은 NPKCR 처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시험 후 토양 화학성은 NPKCR처리에서 pH, EC, 유기물함량, 유효인산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이에, 무기질비료와 퇴비를 단용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혼용하는 것이 작물 생육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가축분퇴비 종류와 투입방법에 따른 토양 환경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지속가능한 농경지 관리를 위한 적합한 가축분퇴비 등 유기물 사용에 대한 기준제시가 필요하다.

      • KCI등재

        팽연왕겨와 훈탄을 포함한 원예작물 용기재배용 혼합상토의 개발

        박은영(Eun Young Park),최종명(Jong Myung Choi),심창용(Chang Young Shim)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2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팽연왕겨(ERH)와 훈탄(CRH)을 포함한 혼합상토를 개발하기 위하여 두 종류 물질 또는 이들을 피트모스(PM) 또는 코이어 더스트(CD)와 혼합한 상토의 물리・화학성을 분석하여 원예용 상토로 적합한 4종류 혼합상토를 선발하였다. 이 후 기비를 첨가한 후 화학성을 분석하여 혼합상토로써의 적합함을 판단하였다. 공극률, 용기 용수량 및 기상률에서 ERH는 81.3%, 39.9%, 41.4% 그리고 CRH는 77.6%, 64.1%, 13.5%로 측정되었다.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수분(EAW)과 완충수(BW)의 비율은 ERH가 각각 11.37% 및 5.27%로, CRH는 각각 13.5% 및 8.8%였다. 화학적 특성에서 ERH는 pH 7.13, EC 1.31dS・m<SUP>-1</SUP>, 양이온교환용량(CEC) 12.1meq・100g<SUP>-1</SUP>였지만 CRH는 pH 11.2, EC 6.53 dS・m<SUP>-1</SUP>, 그리고 CEC 7.79meq・100g<SUP>-1</SUP>로 분석되었다. ERH와 CRH를 PM 또는 CD와 다양한 비율로 혼합한 후 원예용 상토로 적합하다고 판단한 네 종류 상토(PM + ERH, 6:4, v/v;CD + ERH, 8:2; PM + CRH, 7:3; CD + CRH 6:4)의 공극률, 용기용수량 및 기상률은 각각 89.2-90.3%, 67.3-81.8%, 그리고 8.3-21.9%의 범위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피트모스가 혼합된 PM + ERH 또는 PM + CRH 혼합상토는 pH가 4.0-4.3, EC가 0.33-0.36dS・m<SUP>-1</SUP>로 강산성 물질이었지만, CD + CRH 상토는 pH 7.4-7.9, EC 0.814-1.282dS・m<SUP>-1</SUP>로 pH와 EC가 높았다. 따라서 이들 상토에 포함될 기비의 종류 및 양을 변화시켜 혼합하고 다시 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기비로 혼합하기 전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기비로 혼합된 고토석회나 유황이 상토 pH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느리게 나타남을 고려할 때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root media containing expanded rice hull (ERH) and carbonized rice hull (CRH). To achieve thi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wo materials were analysed and blended with peatmoss (PM) or coir dust (CD) with various ratio.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lended materials, 4 root media were selected for future experiment. After the analysis of pH and EC of the selected root media, the kinds and amount of pre-planting nutrient charge fertilizers (PNCF) incorporated into each root medium were varied, and then, final chemical properties of the root media were analysed. The total porosity (TP), container capacity (CC), and air-filled porosity (AFP) were 81.3%. 39.9%, and 41.4% in ERH and 77.6%, 64.1%, and 13.5% in CRH,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easily available water (EAW, from CC to 4.90 kPa tension) and buffering water (BW, 4.91-9.81 kPa tension) were 11.37% and 5.27%, in ERH and 17.26% and 14.28% in CRH, respectively. The pH of ERH was 7.1, but it was extremely high in CRH such as 11.2. The EC and CEC were 1.31 dS・m <SUP>-1</SUP> and 12.1 meq・100 g <SUP>-1</SUP> in ERH and 6.53 dS・m<SUP>-1</SUP> and CEC 7.79 meq・100 g<SUP>-1</SUP> in CRH, respectively. The ranges of TP, CC and AFP in 4 selected media (PM+ ERH, 6:4, v/v; CD + ERH, 8:2; PM + CRH, 7:3; CD+CRH 6:4) were 89.2-90.3%, 67.3-81.8%, and 8.3-21.9%, respectively. The pHs and ECs in root media containing peatmoss such as PM + ERH (6:4) and PM + CRH (7:3) were 4.0-4.3 and 0.33-0.365 dS・m<SUP>-1</SUP> , whereas those of CD + CRH were 7.4-7.9 and 1.282 dS・m<SUP>-1</SUP>. The pHs and ECs, however, analysed before and after the incorporation of PNCF in each root medium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incorporated fertilizers in PNCF to adjust medium pH did not dissolve enough to influence medium pH, but it is very normal in root media containing dolomitic lime and sulfur powder in adjusting pH.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is study may facilitate an effective formulation of root media containing rice hulls.

      • KCI등재

        발효건조장치의 가동온도가 음식물쓰레기의 분해 및 이 · 화학성에 미치는영향

        서정윤(Jeoung-Yoon Seo),박주원(Ju-Won Park),이영형(Young-Hyeung Lee) 유기성자원학회 2000 유기물자원화 Vol.8 No.1

        음식물쓰레기 발효건조장치의 기동온도는발효물질의 분해속도및 발효물질의 이 화학성 뿐만아니라장치의 가동에 소요 되는에너지 %에 크게 영호E을미친다.따라서 한번에 lOOkg의 음식물쓰레기를발효건조시킬수있는시판되는발효건조기를사 용히여 가동온도를 35,45,55와 70 ℃에서 가동하면서 발효물질의 분해속도및 이 - 화학적 특성의 변화를조사하였다.분해속도는 35 0C와700C에서 가장빨랐으며 모든온도에서 기동초기 10시간내에 급격하게 분해되는비슷한양상을보였다.온도가높을 수록분해가 빨랐다.가통기간에 따른발효물질의 pH는가동온도 55"C와 700C에서 빠랙1 증7}하였다.발효물질의 질소함링연 가동기간에 따라별다른경향을나타내지 않았다.발효물질 중P2Ü5와CaO함량은기동기간에 따라증가하였으나MgO,K₂O와 NaO의함량은축적되지않았다. 구리의함량은 100mg/kg(건조물질함량)이었으며 Cd,pb및 G은분석한계이하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perating temperatures on decomposition and physicho-chemical properties of household food wastes in a fermentation dlyer, which was manufactured by Samwoo Co. Ltd. The household food wastes of 100kg can be put and dried in this dryer at once.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at each temperatrure of 35oC, 45oC, 55C and 70C for two days respecrively. The samples taken at the fìxed rime were dried at 105 0C and analyzed to fìnd the decomposirion rate and the concemrarion of each subsrance. The results obrained were as foUows : The decomposition rare ar 35 and 70 0C was the highesr and showed the similar tendency during the expemnεmal period. The higher the operaring temperature was, 버e faster the water contem of 바1ε composting material reduced. pH value increased at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55 and 700C and was higher than at the other operating remperanlfes. Nirrogen comem clid nor show any tendenc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P20 5 and CaO content increas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bur MgO, KzO and NaCI were not accumulated. Cu content based on dry matrer was in the ra.nge of ND ~ 100.4 mg/kg and Cd, Pb and Cr were nor detected.

      • KCI등재

        소나무 수피를 포함한 원예작물 재배용 혼합상토의 개발

        박은영(Eun Young Park),최종명(Jong Myung Choi)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4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각종 분쇄부숙수피(GAPB)와 분쇄수피(GRPB)를 포함한 혼합상토를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종류 수피의 물리·화학성을 분석한 후 피트모쓰(PM) 또는 코이어 더스트(CD)와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였다. 혼합물 중 물리성이 적합하다고 판단한 두 종류 상토의 pH 및 EC를 측정한 후기비를 혼합하고 다시 화학성을 분석하였다. GAPB는 공극률 78.7%, 용기용수량 39.4%, 기상률 38.3%, 가비중 0.15g·㎝<SUP>-3</SUP>, GRPB는 공극률 74.7%, 용기용수량 41.2%, 기상률 33.4%, 가비중 0.19g·㎝<SUP>-3</SUP>로 측정되었다.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수분(EAW)과 완충수(BW)의 비율은 GAPB는 12.7% 및 8.5%, GRPB는 13.5% 및 8.8%로 각각 분석되었다. 화학적 특성에서 GAPB는 pH 5.26, EC 0.61dS·m<SUP>-1</SUP>, 양이온교환용량(CEC) 0.32c㏖·㎏<SUP>-1</SUP>, GRPB는 pH 5.19, EC 0.32dS·m<SUP>-1</SUP>, CEC 9.32c㏖·㎏<SUP>-1</SUP>로 분석되었다. 치환성양이온 함량을 분석한 결과 GAPB는 Ca 0.32, K 0.05, Mg 0.27 및 Na 0.12c㏖·㎏<SUP>-1</SUP>, GRPB는 Ca 0.28, K 0.08, Mg 0.25 및 Na 0.09c㏖·㎏<SUP>-1</SUP>로 분석되었다. 질소 및 인산함량은 GAPB는 PO4-P 485.8, NO3-N 0.91, NH4-N 0.62㎎·L<SUP>-1</SUP>, GRPB는 PO₄-P 578, NO₃-N 0.82, NH₄-N 1.00㎎·L<SUP>-1</SUP>로 분석되었다. PM + GAPB(8:2, v/v) 혼합상토의 공극률, 용기용수량, 기상률은 각각 89.3, 76.3 및 13.0%였지만 CD + GRPB(8:2)는 각각 88.2, 68.2 및 20.0%로 측정되었다. 혼합 후 측정한 pH와 EC는 PM + GAPB는 3.8 및 0.24dS·m<SUP>-1</SUP>로 CD + GRPB 혼합상토의 5.8 및 0.65dS·m<SUP>-1</SUP>보다 낮았다. 그러나 두 종류 상토에 기비를 혼합한 후 측정한 pH는 기비 혼합 전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pH를 상승시키기 위해 혼합된 고토석회의 용해도가 낮은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추후 각종 수피를 이용한 혼합상토 개발에 유효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root media containing ground and aged pine bark (GAPB) and ground and raw pine bark (GRPB). After analy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pine barks were blended with peat moss (PM) or coir dust (CD) in various ratios to f ormulate 12 root media. Then, two out o f 12 root media were chosen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for further experiments. The pre-planting nutrient charge fertilizers (PNCF) were incorporated into two root media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sed again. The total porosity (TP), container capacity (CC), and air-filled porosity (AFP) of GAPB were 78.7%. 39.4%, and 38.3%, respectively, while those of GRPB were 74.7%, 41.2%, and 33.4%,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easily available water (EAW, from CC to 4.90 ㎪ tension) and buffering water (BW, 4.91-9.81 ㎪ tension) in GAPB were 12.7% and 8.5%, respectively, which were a little lower than the 13.5% and 8.8% in GRPB. The pH and EC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ut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different between the two pine barks (GAPB: pH 5.26, EC 0.61 dS·m<SUP>-1</SUP>, CEC 15.7 meq·100 g<SUP>-1</SUP>; GRPB: pH 5.19, EC 0.32 dS·m<SUP>-1</SUP>, CEC 9.32 meq·100 g<SUP>-1</SUP>). The concentrations of exchangeable cations in GAPB were Ca 0.32, K 0.05, Mg 0.27 and 0.12 c㏖+·㎏<SUP>-1</SUP>, whereas those in GRPB were Ca 0.28, K 0.08, Mg 0.25 and 0.09 c㏖+·㎏<SUP>-1</SUP>. The concentrations of PO₄-P, NH₄-N and NO₃-N were 485.8, 0.62 and 0.91 ㎎·L<SUP>-1</SUP> in GAPB and 578, 1.00 and 0.82 ㎎·L<SUP>-1</SUP> in GRPB, respectively, when those were analyzed in the solution of the saturated paste. The TP, CC and AFP in the two selected media were 89.3 and 76.3, and 13.0% in PM+GAPB (8:2, v/v) and 88.2, 68.2 and 20.0% in CD+GRPB (8:2), respectively. The pHs and ECs were 3.8 and 0.24 dS·m<SUP>-1</SUP> in PM+GAPB which were a little lower than 5.8 and 0.65 dS·m<SUP>-1</SUP> in CD+GRPB. However, the pHs analysed before and after incorporation of PNCF in the two root media did not show large differences. This is because the solubility of dolomitic lime is very low, and the pHit is expected to rise gradually when crops are cultivated in the root media.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is study should facilitate effective formulation of root media containing pine bark.

      • KCI등재

        질소비료 시비량에 따른 들잔디의 생육반응

        배은지,한정지,이광수,박용배,최수민 한국잔디학회 2015 Weed & Turfgrass Science Vol.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nitrogen fertilization for production of good quality and high yield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the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pot and field experiments treated with different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In pot experiment, the fresh and dry weights of shoots and stolons and the number of shoots increased as nitrogen levels increased, and showed no significant between 24 and 48 kg N 10 a−1. In field experiment, the shoot length, fresh and dry weights of shoots, roots and stolons, the number of shoots and total stolons length linearly increased as affected by increased nitrogen application,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4 and 32 kg N 10 a−1. In both experiments, pH and exchangeable cations (Ca2+ and Mg2+) in soil decreased as the rate of nitrogen application increased. As a results, 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more deteriorated in the plots of higher nitrogen fertilizer rate. Thu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nitrogen fertilizer rate for maximum growth of zoysiagrass was 24 kg N 10 a−1 in consideration of growth and soil condition. 양질 다수확 들잔디를 생산하기 위한 적정 질소비료 시비량을 규명하기 위하여 질소 시비량에 따른 들잔디의 생육과 토양화학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와그너 포트시험과잔디 재배지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포트시험에서는 지상부와 포복경의 생체중과 건물중, 지상부 개체수는 질소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질소비료 시비량 24와48 kg N 10 a−1 처리구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잔디재배지 포장시험에서는 질소비료 시비량이 높을수록 지상부길이, 지상부, 포복경과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지상부 개체수와 전체 포복경 개수는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질소비료 24~32 kg N 10 a−1 처리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질소비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토양 내 pH, 치환성 양이온 칼슘과 마그네슘이 낮아져 토양 화학성이악화되었다. 따라서 들잔디 생육 및 토양의 화학성을 고려한 적정 질소비료 시비량은 24 kg N 10 a−1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들잔디 재배 시 적정 인산비료 시비량 구명을 위한 생육 및 토양 평가

        배은지,정재경,윤준혁,진언주,전권석,김영선 한국잔디학회 2022 Weed & Turfgrass Science Vol.11 No.4

        잔디 재배지의 경우 연작과 과도한 시비로 인한 토양 산성화로 인해 토양 내 인산 불용태화 될 우려가 있어 적정한 시비 기준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양질의 들잔디 재배를 위한 적정 인산비료 시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인산비료농도별 처리에 따른 생육과 토양 화학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와그너 포트시험과 잔디 재배지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와그너 포트시험에서는 지상부와 포복경 건물중이 인산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인산비료 시비량 18와 24 kg N 10a-1 시비량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들잔디 재배지에서는 인산비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초장, 생체중과 건물중이 증가하였고, 인산비료 12와 18 kg 10a-1 시비량은 24 kg 10a-1 시비량과 비슷한 생육결과를 나타내었다. 지상부 개체수와 포복경 길이는 12, 18과 24 kg 10a-1 시비량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식물체내 인산 함량은 인산비료 24 kg 10a-1 시비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칼륨, 마그네슘과 칼슘 함량은 인산비료 12, 18과 24 kg 10a-1 시비량과 비슷하였다. 그러나 토양을 조사한 결과 인산비료 24 kg 10a-1 시비량에서 전질소, 치환성 Ca2+과 Mg2+과 같은 양분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과도한 인산비료 시비는 토양의 화학성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잔디의 생육과 토양환경을 고려한 결과 들잔디 재배 시 적정 인산비료 시비량은 12 kg 10a-1로 판단되었다. Optimized application of phosphate fertilizer is needed for appropriate growth of zoysiagrass in the soil conditions such as its insolubility and less availability because of soil acidification by repeated cultivation and excessive fertiliz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phosphate fertilization for Zoysia japonica with good quality depending on the growth and chemical changes of the soil in pot and field experiments treated with different levels of phosphate fertilizer. In the pot experiment, the dry weight of shoots and stolons increased as phosphate fertilizer levels increased,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8 and 24 kg N 10a-1. In the field experiment, plant height, fresh and dry weight of shoots, roots, and stolons increased with increasing phosphate fertilizer application, and 12 and 18 kg 10a-1 treated with phosphate fertilizer showed similar growth to 24 kg 10a-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hoots and total of stolons length between phosphate fertilizers 12, 18, and 24 kg 10a-1. The phosphoric acid content in the inorganic nutrient of the zoysiagrass was highest at phosphoric acid 24 kg 10a-1, but potassium, magnesium, and calcium contents were similar at phosphate fertilizer 12, 18, and 24 kg 10a-1. However, as a result of soil investigation, nutrients such as total nitrogen, exchangeable Ca2+ and Mg2+ decreased in phosphate fertilizer 24 kg 10a-1, and excessive phosphate fertilization displayed a tendency to aggravate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growth of the zoysiagrass and the soil environment, the optimum amount of phosphate fertilizer was determined to be 12 kg 10a-1 in Z. japonica cul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