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감 현욱의 실상사 주석과 실상산문의 사자상승

        배재훈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8

        Hyeonwook(玄昱),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monks who sought Buddhistic truth in the late Silla. He went to Tang, China, across the sea after 808 after receiving the full ordination and returned to Silla in 837. During these periods, he learned the teaching of the Southern Seon School(南宗禪) in both the central city of Tang(唐), Jang-an and the northern part of Tang, Taewonbu. The person who approved the enlightenment of Hyeonwook through testing the inner mind and transmitted the Buddhist teaching to him in the relationship of master and disciple was Janggyeong, Hoehwi. His social and political influence was the greatest among the monks under Majo Doil. After that, Hyeonwook returned to Silla via Hoejin, Naju and came to charge Silsangsa Temple, located in Jirisan. Originally, Silsangsa Temple was led by Hongcheok. Hongcheok was the monk in the pedigree of Majo Doil-Seodang Jijang in sequence, while Hyeonwook is in the pedigree of Majo Doil-Jang Gyeong Hoehwi. Accordingly, it is estimat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Hongcheok and Hyeonwook in understanding about Seon was great. Then, it may have been possible that Silsangsa Temple was under the direction of Hyeonwook because Hongcheok passed away. During the period of 837-840 when Hyeonwook stayed at Silsangsa Temple, King Min-ae(閔哀王) was converted into Buddhism, and expressed due courtesy towards him. This represents the absence of Hongcheok. At that time, Soocheol, who was a successor of HongCheok within the Silsang Seon School, was going on a tour other temples in other areas or Jiri-area. The direction of Hyeonwook at Silsangsa Temple brought about the discontinuation of the tradition of Silsang Seon School in the central temple. At those days, Silla controlled temples within the existing system to some degree.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inten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under the rule of King significantly worked here. This reveals that the establishment of Seon School and the transmission of Seonjong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ower of Central Government. In this context, the direction of Hyeonwook in Silsangsa Temple is a typical case, showing such relationship. 圓鑑 玄昱은 신라 하대의 대표적인 입당 구법승 중의 한 명이었다. 그는 구족계를 받은 808년 이후 중국으로 건너가, 이후 20여 년간 당의 도읍인 장안과 북부 지역인 태원부 등에서 남종선의 종지를 배우며 활동하였다. 이러한 현욱에게 심인을 인가하여 師資相承의 관계를 맺은 인물은 章敬 懷暉였다. 장경 회휘의 법을 이은 현욱은 837년 나주의 회진을 통해 귀국하고, 이어 남악의 실상사에 주석하게 된다. 그런데 본래 실상사는 洪陟이 주석하던 사찰이었다. 홍척이 마조 도일-西堂 智藏으로 이어지는 사자상승 관계 속에 위치한 반면, 현욱은 마조 도일-장경 회휘로 이어지는 사자상승 관계 속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홍척과 현욱의 禪에 대한 이해의 차이는 컸을 것이다. 그렇다면 현욱의 실상사 주석이 가능했던 것은 홍척의 부재 때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현욱이 실상사에 주석했던 837년에서 840년 사이, 실상사에 있던 현욱에게 閔哀王을 비롯한 신라왕들이 귀의하고, 그를 도읍으로 불러 제자의 예를 표했다. 그리고 이 시기 실상산문 내에서 홍척의 후계로서 심인을 이은 秀澈은 실상사가 아닌 타 지역의 사찰 및 지리산 내의 다른 사찰들을 전전하고 있었다. 이처럼 현욱의 실상사 주석은 실상산문의 중심 사찰에서 그 傳燈이 끊기는 상황을 불러오는 일이었다. 따라서 이는 홍척의 전등을 이은 제자들이 원하는 상황은 아니었다. 당시의 신라는 아직 재지의 사찰에 대한 통제를 어느 정도는 기존의 제도 내에서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거기에는 국왕을 비롯한 중앙권력의 의도가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산문의 성립과 선종의 전파가 중앙권력과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된다. 따라서 실상사에 현욱이 주석한 사건은 이를 여실히 보여주는 한 사례가 된다.

      • KCI등재

        봉림산문의 인물과 사상

        정성권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4 한국불교사연구 Vol.25 No.-

        본문에서는 봉림산문의 대표적인 인물인 玄昱(787~868), 審希(855~ 923), 璨幽(869~958), 忠湛(869~940)의 행적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욱은 봉림산문을 개창한 심희의 스승이다. 현욱은 중국 유학 후 실상사에 머물다가 940년경 여주 혜목산으로 거처를 옮겨 그곳에서20여년 이상 거주하였다. 현욱이 혜목산으로 거처를 옮긴 이유는왕실의 요청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고달사의 창건은 9세기중반경 한강유역을 본격적으로 경영하고자 하는 신라 정부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심희는 신라의 국사였다. 심희는 현욱의 제자로 혜목산에서 출가하였으며 무주와 명주 일대에도 머물렀다. 장년기에는 김해 봉림사에머무르며 봉림산문을 개창하였다. 봉림산문 개창 이후 심희는 적극적으로 신라 왕실의 안정에 기여하였다. 심희 입적 후 경명왕은 친히 심희의 탑비문을 작성하였다. 심희의 탑비를 세운 경명왕은 심희의 명성을 빌려 신라의 권위를 높이고자 하였다. 충담은 심희의 제자이며 유학을 갔다 온 후 태조 왕건을 찾아가 왕사가 되었으며 원주 흥법사의 주지로 활동하였다. 살아생전 적극적으로 고려 왕실의 안정을 도운 충담은 입적 후에도 자신의 탑비를통해 새로운 통일왕조 고려의 탄생을 구 신라 지역민들에게 알리는역할을 하였다. 찬유 역시 심희의 제자였다. 찬유는 젊은 나이에 중국으로 유학을떠났으며 유학에서 돌아온 후 태조 왕건을 만나 천왕사의 주지가되었다. 찬유는 태조 왕건의 요청으로 한강 유역 및 주요 교통로의주지가 된 선승들과 다르게 천왕사에 오래 머무르지 않고 고달사로거처를 옮겼다. 본문에서는 그 이유를 광주지역 호족세력의 변화로해석하였으며 혜종과 충주유씨세력의 권력투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봉림산문의 주요 인물은 왕실과 결합된 강한 현실참여형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봉림산문의 주요 인물은 모두 당대를대표하는 실천적 지식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opic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presentative characters of Bongrimsanmun, Hyeonwook(787~868), Simhee(855~923), Chanyu(869~ 958), and Chungdam(869~940). Hyeonwook is the teacher of Simhee, who founded Bongrimsanmun. Hyeonwook lived in Hyemoksan Mountain in Yeoju since around 940 after studying in China. It was presumed that the reason why Hyeonwook moved to Hyemoksan Mountain was at the request of the royal family. Sim Hee was the state secretary of Silla. Simhee is Hyunwook’s student. Sim Hee stayed at Bongrimsa Temple in Gimhae in the latter half of her life and opened Bongrimsanmun. After opening Bongnimsanmun, Sim Hee actively worked to stabilize the Silla royal family. When Sim Hee died, King Gyeongmyeong of Silla personally wrote the inscription on the monument for him. This is intended to increase Silla's authority by borrowing Simhui's reputation. Chungdam was a disciple of Simhee and became the abbot of Heungbeopsa Temple in Wonju after returning from studying abroad. Chungdam became the king's teacher and actively helped the Goryeo royal family run stably. When Chungdam died, Taejo Wang Geon personally wrote the epitaph on his monument for him. Chanyu was also Simhee's student. After Chanyu went to China to study, he met King Taejo Wang Geon and became the head priest of Cheonwangsa Temple. Chanyu did not stay at Cheonwangsa Temple for long and moved to Godalsa Temple. In the main text, the reason was interpreted as a change in the power of noble families in the Gwangju region and was seen as being related to the power struggle between Hyejong and the Chungju Yu family. The main characters of Bongrimsanmun can all be said to be practical intellectuals representing their time.

      • KCI등재

        여주 高達寺址의 浮屠와 塔碑에 대한 고찰

        엄기표 동악미술사학회 2015 東岳美術史學 Vol.0 No.18

        高達寺는 통일신라시대 창건된 禪刹로 원감국사 현욱이 머물면서 번창하기 시작하여, 불교가 國是로 채택된 고려시대에 원종대사 찬유가 주석하면서 大刹의 면모를 갖추었다. 그리고 그동안 수차례의 발굴 조사 결과 상당한 규모의 사찰이었으나 조선후기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고달사지에는 당대의 위상을 전해주는 많은 유물들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부도와 탑비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상당히 우수한 치석 수법과 양식을 가지고 있어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유물이다. 이들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연구되었는데, 여전히 부도의 조성시기의 선후 관계, 탑비와 한 쌍으로 건립된 부도의 주인공 등이 미해결이 상태이다. 그 이유는 부도의 양식이 유사하고, 관련 기록도 많지 않으며, 주인공을 추정할만한 결정적인 근거 자료 등이 없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부도 주변에 대한 발굴조사가 완료되어 원위치임이 확인되어 부도와 탑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산상사지에 대한 새로운 검토 등이 요구되어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현재 고달사지 부도와 탑비의 주인공으로 유력하게 추정되는 승려는 원감국사 현욱과 원종대사 찬유이다. 이중에서 원종대사 찬유의 탑비는 비문이 남아있어 주인공을 분명하게 알 수 있으며, 일명 귀부는 조성 시기가 신라말기이고 여러 정황으로 보아 원감국사 현욱의 탑비가 건립된 것은 분명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원감국사 현욱의 탑비에 활용되었던 것으로 확실시된다. 그리고 보물 제7호 부도가 양식사적으로 국보 제4호 부도보다 먼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부도와 귀부의 조각 기법 등 다양한 비교를 통하여 볼 때 국보 제4호 부도의 주인공이 원종대사 찬유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비문의 기록으로 보아도 국보 제4호 부도의 주인공이 원종대사 찬유일 것으로 보인다. 보물 제7호는 향후 산상사지에 대한 정밀 조사가 이루어져야만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원감국사 현욱의 부도와 탑비가 고달사에 건립된 것은 확실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고달사지의 역사와 석조미술의 양식사적 정립을 위해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Kodalsa temple site at Yeoju city was founded by the late of Shilla dynasty. It was estimated the late in the 8th century or early in the 9th century. The monk HyunWook at the time stayed. He took the side of Shilla’s royal court in terms of politics. The temple emerged to be one of the major temples in the early Goryeo period from the monk Chanyou’s actively effort, support of the king and royal family. Buddhism was recognised as state religion is the Goryeo dynasty. According to excavate the many times on the Kodalsa temple site, the temple was destroyed in the late of Joseon. Now, the most important thing of Kodalsa temple history is the Stone Stupa and Tabbi. A long time ago research which were built to a stupa order of the composition of the time, paired with a Stupa and a Tabbi still excess capacity, and the owner of the Stupa is unresolved. The reason the verge of stupa is many are similar in style. Recently, arthritic to excavate the sites is completed in around Stupa and verified that a Stupa and Tabbi for understanding on. Contributions and a new review on the Stupa, Tabbi, and Sansangsaji temple site write this paper is required. Currently, the hero of Stupa and Tabbi at Kodalsa temple site is variously estimated monk Hyunwook and Chanyou. The damaged turtle base of a stone monument was made when the late of Silla period, for the monk Hyunwook. It is clear. Monk Shimhee, disciple of monk Hyunwook, opened the Bongrimsanmun with the foundation of the namesake temple. The temple took over the religious heritage and political stance of the Kodalsa temple. Monk Chanyou, Shimhee’s disciple, accepted the doctrine of the while declaring his allegiance to Goryeo dynasty. The number 7 of the treasure was built ahead of the number 4 of the national treasure from the style and form. Also, Heyjin-Tabbi resembles the staff of national treasure No. 4 on the carved method and style. All points of view, the hero of the national treasure No. 4 is the monk Chanyou. Treasure No. 7 is next on the scrutiny of Sansangsaji temple site is be realized if can track the specific aspects will be correlated. The Kodalsa temple site of stone art and history of the private arrangement form for future sustainable research is needed.

      • KCI등재

        신흥사의 역사와 사상

        문무왕 ( Mu Wang Mo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신흥사 사적기에 따르면 신라(新羅) 진덕여왕 6 년(서기 652)에 자장율사가 설악산 동쪽에 향성사(香城寺)를 창건 하였다. 자장은 계조암(繼祖庵)과 능인암(能仁庵)을 세웠으며 구층석탑을 세우고 불사리를 봉안하였다고 한다. 향성사라는 이름은 불교의 중향성불토국(衆香城佛土國)이라는 글에서 따온 것이다. 1644 년에 영서(靈瑞)·연옥(蓮玉)·혜원(惠元) 등이 중창을 발원하던 중, 중창을 서원하고 기도 정진 중 비몽사몽간에 백발신인이 나타나서 지금의 신흥사 터를 점지해 주며 “이곳은 누 만대에 삼재가 미치지않는 신역(神域)이니라” 말씀 하신 후 홀연히 사라지는 기서(奇瑞)를 얻고 절을 중창하니 지금의 신흥사이다. 절 이름을 신인(神人)이 길지(吉地)를 점지해 주어 흥왕(興旺)하게 되었다 하여 신흥사(神興寺)라 한 것이다. 선정사 옛터 아래쪽 약 10 리 지점에 다시 절을 짓고 이름을 신흥사라 하였다. 1965 년 대한불교조계종 제 3 교구 본사가 되어 양광·속초·강릉 등지의 사암을 관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 절의 주지를 지냈던 성원(聲源)이 대소의 당우들을 거의 모두 중건 또는 중수하였고, 범종을 새로 만들었다. 최근 절이름을 ‘神興寺’에서 ‘新興寺’로 고쳐 부르고 있다. 비문은 염거화상은 도의선사로부터 법을 받은 뒤 억성사(億聖寺)에 머물면서 선법을 선양했음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여기서 유의할 대목은 도의선사에게 법을 받은 염거화상이 제자 체징(體澄)을 만나 가르쳤다는 것이다. 체징은 뒷날 장흥으로 내려가 가지산문을 일으키고 설악산문을 계승한 인물이다. 이는 억성사가 설악산문에서는 매우 중요한 거점사찰의 하나라는 것을 알게 해준다. 신흥사는 진전사와 함께 그의 사상을 펼친 곳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홍각선사가 억성사에 머물렀다면 그 선배인 염거화상에게 배웠다는 추론도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홍각선사 억성사에 거주했다면 당연히 염거화상에게 선법의 요체를 배웠다는 가정이 성립한다. 설악산문의 번창과 관련해 또 한 가지 주목할 사실은 염거화상이 열반한 곳이 억성사가 아니고 원주 흥법사라는 점이다. 흥법사는 홍각선사의 스승인 현욱선사가 머물던 여주 고달원에서 가까운 절이다. 이는 염거화상이 현욱선사나 그 제자들과 교류가 깊었을 가능성에 대한 단서가 된다. 실제로 당시에는 서로 다른 산문을 찾아가 수행하는 것이 어색한 일이 아니었다. <조당집>에 따르면 현욱선사만 해도 한때 지리산 실상사에 머문 적이 있고, 실상산문의 홍척선사는 설악산에 머문 적이 있다. 이런 사실을 고려하면 가까운 사찰들에서는 자연스러운 왕래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 이런 친 According to the temple records of the Sinheung-sa Temple, the Hyangseong-sa Temple (香城 寺) was founded on the east side of Mt. Seolak by Monk Jajang in the 6th year of Queen Jindeok of the Shilla (新羅) Dynasty (A.D. 652). Jajang built Gyejo-am (繼祖庵) and Neungin-am (能仁庵), and erected a nine-story stone pagoda and enshrined Buddha relics in the pagoda. The name ‘Hyangseong-sa’ came from ‘Jung-hyang-seong-bul-guk-to (衆香城佛土國)’ of Buddhism. In 1644, Yeongseon (靈瑞), Yeonok (蓮玉), and Hyewon (惠元) made an oath and were praying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and in their dream, a snowy god-like man appeared and indicated the present site of the Sinheung-sa Temple with the word “This is a divine realm where the three types of calamities cannot reach for tens of thousands of generations,” and then disappeared in a flash. With this auspicious omen (奇瑞), they rebuilt the temple and it was the present Sinheung-sa Temple. The temple was named ‘Sinheung-sa’ for a god-like man (神人) pinpointed the propitious site (吉地) and, as a result, the temple was prosperous (興旺). The temple was rebuilt at the site about 10 km below the old site of the Seonjeong-sa Temple and was named ‘Sinheung-sa.’ Sinheung-sa became the head temple of the 3rd parish of the Ch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nd is supervising temples and hermitages in Yanggwang, Sokcho, Gangreung, etc. Seongwon (聲源), who had served as the head priest of the temple, recently rebuilt or extended almost every small and large building of the temple, and created a new Buddhist bell. In addition, the temple was renamed from ‘Sinheung-sa (神興寺 - Divine Prosperous Temple)’ to ‘Sinheung-sa (新興寺 - New Prosperous Temple).’ The epitaph records that Monk Yeomgeo received Dharma from Monk Doeui and spread Zen teachings at the Eokseong-sa Temple (億聖寺).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ere Monk Yeomgeo, who received Dharma from Monk Doeui, met and taught his disciple Chejing (體澄). Chejing is the one who later went down to Jangheung, revived the Gaji School, and inherited the Seolak School. This suggests that the Eokseong-sa Temple is one of very important base temples to the Seolak School. Along with the Jinjeon-sa Temple, the Sinheung-sa Temple is believed to be a place where Yeomgeo developed and spread his thought because if Monk Honggak stayed at the Eokseong-sa Temple he was likely to learn from Monk Yeomgeo. If Monk Honggak stayed at the Eokseong-sa Temple, it naturally supports the presupposition that he learned the essence of Zen teachings from Monk Yeomgeo. Another fact to be noted in connection to the prosperity of the Seolak School is that Monk Yeomgeo passed away not at the Eokseong-sa Temple but at the Heungbeop-sa Temple in Wonju. The Heungbeop-sa Temple is close to Godal-won in Yeoju where Monk Hyeonwook, Monk Honggak’s teacher, stayed. This provides a clue to the possibility that Monk Yeomgeo associated closely with Monk Hyeonwook or his students. In fact, it was not unusual in those days for monks to visit another school for ascetic practice. According to Jodangjip, Monk Hyeonwook also once stayed at the Silsang-sa Temple in Mt. Jiri, and Monk Hongcheon from the Silsang School stayed in Mt. Seolak. These facts suggest that it was common for Buddhist monks to visit nearby neighboring temples. It is also believed that this affinity accelerated the spread of Zen teachings. The Sinheung-sa Temple was first founded as ‘Hyangseong-sa’ on the east side of Mt. Seolak by Monk Jajang in the 6th year of Queen Jindeok of the Shilla (新羅) Dynasty (A.D. 652), and Monk Yeomgeo is believed to have transferred its tradition to the current Sinheung-sa Temple. Thus, Sinheung-sa is regarded as an important temple that succeeds to the Dharma lineage of Zen Buddhism.

      • KCI등재

        신라하대 實相山門의 禪師들

        정동락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2 No.-

        이 글은 9세기 전반 홍척의 귀국으로부터 10세기 초반 후삼국 정립기까지실상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선사들을 살펴본 것이다. 신라하대 실상산문 선사들의 활동은 선종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홍척은 선종 수용기의 선승으로, 당대부터 道義와 함께 ‘初傳僧’으로 인식되었다. 실상산문은 소위 9산선문중 가장 먼저 개창된 ‘최초의 선종산문’이었다. 특히, 홍척은 왕실의 지원으로선종의 수용과 선문개창의 효시를 이룬 특별한 선승이었다. 玄昱(787~868)은봉림산문의 開山祖로 도의・홍척 등 초전승보다 약간 늦게 귀국해 선종을 널리 퍼뜨렸다. 그는 홍척보다 10여년 뒤에 귀국해 3년 정도 실상사에 머물렀다. 현욱의 실상사 주석은 산문의 법통이 바뀐 것이 아니라, 홍척을 통해 신라왕실의 귀의를 받은 것으로 추정해 보았다. 홍척 이후 실상산문은 秀澈(815~893)과 片雲(?~910)으로 계승되었다. 수철은 홍척을 계승한 실상산문의 제2조로, 홍척을 이어 신라의 국사로 책봉되었다. 특히, 경문왕에서 진성여왕으로 이어지는 경문왕계 왕실과 결연하였다. 편운화상은 승탑의 명문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는 수철화상과 적통경쟁을 벌였으며, 정치세력으로는 후백제 견훤정권과 연결되었다. 수철과 편운은 홍척을 이은 2세대 선승이었다. 둘은 사형제 사이로 각각 신라와 후백제와 결합되면서, 법계를 둘러싼 치열한 경쟁의 전개과정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