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문화와 헤게모니

        이찬훈 새한철학회 1998 哲學論叢 Vol.15 No.-

        현대 대중문화를 다루는 여러 가지 문화이론 중에서 헤게모니론이 유력한 이론틀 중의 하나이다. 헤게모니론은 대중화 지배와 저항의 힘들이 얽혀 있는 협상과 투쟁의 장으로 파악함으로써, 복합적이고 모순적인 성격의 대중문화를 다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연한 문화이론을 제공해 준다. 그리고 이러한 헤게모니론적 문화이론은 대중문화 속에서 복잡하게 얽혀 있는 복합적인 헤게모니들의 지형을 밝혀내고 어떻게 하면 이를 보다 인간적이고 민주적이머 해방적인 헤게모니가 관철되는 방향으로 접합해 나갈 수 있는가를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런데 최근의 대중문화 연구 진영에서는 점차 헤게모니론의 균형잡힌 시각으로부터 벗어나 문화영역의 자율성을 강조하고 지배 헤게모니로부터 벗어나는 대중들의 능동적인 문화적 실천이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들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의 문화 연구들은 대중문화 수용자들의 능동적인 문화소비활동에 주목하면서, 그것들이 어떻게 지배적인 헤게모니로부터 벗어나 그들 나름의 해방적 의미를 생산하면서 자신들의 욕망을 충족시켜 쾌락과 힘을 획득해 나가는가를 탐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 선 대중문화 연구들은 자연히 대중들의 이러한 능동적인 실천에 의해 만들어지는 현대 대중문화의 모습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낙관적인 견해를 표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대중주의적인 문화연구들은 대중들이 문화 소비과정에서 행하는 문화적 실천의 능동성과 창조성을 과도하게 강조한 나머지 대중문화의 생산과 교환, 그리고 소비는 물론이고 대중문화 산물들의 내용과 성격도 규정하는 정치경제학적인 힘이나 계급간의 권력 관계, 그리고 지배적인 헤게모니의 영향력 등을 무시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것은 결국 오늘날 대중화가 처해 있는 복합적인 헤게모니적 지형을 읽어 내는 데 실패하고, 현대 대중문화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평가하면서 보다 나은 대중문화의 지평을 개척해 나가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지 못한 채, 대중들에게 영합하여 현재 횡행하고 있는 대중문화의 모습을 무분별하게 찬양만 하는 체제 옹호적이고 보수주의적인 입장으로 떨어지고 만다. 그러나 오늘날의 사회체제는 여전히 자본의 지배 헤게모니가 관철되고 있는 신자유주의 체제이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사회에서도 대부분의 대중문화 산물들의 문화적 의미들은 물질적이고 상징적인 수단들을 통제하고 있는 지배블록을 위한 새로운 권력형태들을 만들어 내는 데 도움이 되도록 창조되고 유포된다. 그 때문에 오늘날 지배 권력의 헤게모니는 우리의 일상적인 문화 공간 구석구석에 파고들어 있다. 자본을 중심으로 하는 오늘날의 지배블록은 대중들로 하여금 패키지화되고 스타일화된 문화상품들을 끊임없이 구매하고 소비하는 데에서 감각적 만족을 얻고 자기욕구를 충족해 나가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이것은 결국 개인의 자기추구와 감각적 만족의 통제된 해방을 통해서 대중의 수동적인 소비와 사회적 의존성, 문화적 종속을 조장한다. 그러므로 오늘날 진정으로 저항적이고 해방적인 문화적 실천은 소비적인 삶의 양식 자체에 저항하여, 문화상품의 소비가 아니라 작은 것이라도 무언가를 창조하고 생산해 내는 데서 기쁨과 의미를 찾는 일, 그리고 이와 아울러 이용 가능한 자원들을 이용해 대안적인 문화 형식들을 생산하고 교환하는 일이 될 것이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문화적 실천은 지배적 헤게모니를 확산시키는 문화상품들을 생산하고 유포하며, 소비적인 삶의 양식을 부추기는 거시적인 정치경제적인 지배구조를 변혁하고자 하는 사회직 실천과 결합되어야만 한다. 올바른 대중문화의 창출은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독해와 대안적인 대중문화를 생산하기 위한 노력, 그리고 문화의 생산, 교환, 소비를 규정하는 거시적인 사회구조의 올바른 변혁을 통해서만 가능할 것이다. Among the cultural theories of modern popular cultur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eory is the hegemony theory. Hegemony theory provides a flexible cultural theory which can grasp contradictory and complex character of popular culture in which the power of control and resistance are intermingled. It helps us to understand complex hegemony configuration in popular culture and to articulate the hegemony in the direction to humanistic and democratic liberation. However in current developments of cultural studies, an uncritical poulist drift appears. It emphasizes the autonomy of cultural sphere and uncritically endorse the active role of the popular audience. These theories emphasize audience activity which produce popular pleasures and meanings those liberate them from the control of dominative hegemony. But this cultural populism too emphasizes the creative audience activity in consuming process to forget the power of political economy, power relation between classes, and influential power of dominative hegemony those which determinate the character of popular culture. But for that reason, it fails to understand complex hegemony configuration today and falls into the populism that uncritically approve popular taste and pleasure. But hegemony of capital dominates contemporary society as before. Therefore ultimately cultural products are created to produce new forms of power for those who control the material and symbolic means of producing and consuming cultural meanings. The ruling bloc in contemporary society seduce individuals to realize their desires in consuming mass produced material and symbolic cultural commodities. And through the controlled emancipation of personal self-seeking and sensual fulfillment, the passive consumption, social dependence, and cultural submission of people are increased. Therefore authentically oppositional and liberative cultural practices are to seek the way of life that attains pleasure and meaning to create and produce something good for life and to create alternative forms of popular culture. And these cultural practices must be combined with social practices those which transform the structure of contemporary political economy and dominative hegemony configuration that urge consuming passions of people.

      • KCI등재

        1970-80년대 미국의 대외경제전략과 헤게모니 불안정

        공민석 ( Gong Min-seok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1

        1970-80년대 이후 미국 헤게모니의 변화, 그리고 국제정치경제질서의 변화는 헤게모니 안정론의 이론틀로 설명되지 않는다. 헤게모니 안정론의 단순한 힘 개념과 정적인 분석은 헤게모니 국가가 갖는 힘의 다면적 속성, 그리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국제질서를 변형하려는 헤게모니 국가의 능력과 전략을 분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1970-80년대에 미국은 일방주의적으로 기존의 국제질서를 해체하고,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변형했으며, 1990년대에는 헤게모니의 쇄신에 성공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국제정치경제질서의 불안정은 심화되었고, 전후 국제정치경제질서를 특징지었던 발전주의의 전망은 소실되었다. 또 전후 미국이 구축한 자유주의적 국제질서의 속성도 변화했고, 그 정당성이 약화되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 헤게모니의 쇠퇴와 관련된 이론적, 정책적 논쟁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과거 헤게모니 국면에서 그랬던 것처럼, 향후 미국 헤게모니의 진로는 헤게모니 안정론의 정적인 분석이 아니라 위기에 대한 미국의 대응전략과 주요국과 미국의 전략적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 속에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며, 이 과정은 상당한 갈등과 진통을 수반할 가능성도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Hegemonic Stability Theory and propose an alternative to it. Analyzing the changes in U.S. hegemony, this study suggests to focus on the structural power and the strategy of the hegemon to transform the IPE order in accordance with its interests. Moreover, this studies underlines that the hegemon’s strategy can be an aggressive and unilateral one, and it can cause some kind of instability in IPE order, that can be called hegemonic instability. The U.S., faced with the hegemonic crisis in the 1970s and 1980s, aggressively endeavored to restore its hegemony and succeeded to resurge it with monetary and financial power. However, the contradictions of the revived hegemony resulted in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which is a critical turning point of U.S. hegemony. The future course of U.S. hegemony should be determined by U.S. counter strategy against the crisis and strategic interaction with other major powers.

      • KCI등재

        서로주체적 헤게모니

        김학노(Haknoh Kim)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5

        이글은 ‘아(我)와 비아(非我)의 헤게모니 투쟁’이라는 필자의 정치 정의를 바탕으로 ‘서로주체적 헤게모니’의 개념을 탐구한다. 서로주체성과 헤게모니는 양립 가능한가? 헤게모니는 기본적으로 지배 및 지도관계를 전제하는 개념인데, 아와비아 사이에 서로를 주체로 간주하고 존중하면서 동시에 지배 및 지도의 수직적 관계가 수립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해 이글은 서로주체적 헤게모니가 가능할뿐만 아니라 원래 좁은 의미의 ‘순수한’ 헤게모니는 서로주체적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이글은 부르주아 혁명에 의해 수립된 근대민주주의가 기본적으로 서로주체성을 지향하고 있으며, 부르주아 지배의 강점은 바로 이러한 서로 주체적 헤게모니에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과거 사회주의 혁명의 이론적 기반이었던 프롤레타리아 독재론은 근대민주주의가 담고 있는 서로주체성을 크게 훼손하였다고 주장한다. 진보 진영의 새로운 헤게모니 기획은 근대민주주의가 내포하고 있는 서로주체적 헤게모니의 장점을 더욱 발전시키는 한편 그 한계를 극복하는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elaborate the concept of “allelosubjective hegemony,” building upon my definition of politics as “hegemony struggle between us and non-us.” Is it appropriate to speak of allelosubjective hegemony? Isn’t the concept of hegemony, which presupposes vertical relations of domination and leadership, incompatible with the concept of allelosubjectivity, which refers to a way of seeing and meeting others (or non-us) as equal subjects rather than objects? I argue that hegemony may not only be allelosubjective but it is (should be) allelosubjective in its narrow and pure sense. I also argue that modern democracy, established by the bourgeois revolutions, tend to cultivate allelosubjective hegemony. I show several aspects of the allelosubjective hegemony embedded in modem democracy in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aspects. My point is that the allelosubjective hegemony is one the strongest points of the bourgeois rule. In contrast, the theory of the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hinders the development of the proletariat’s own allelosubjective hegemony. I suggest that a new progressive hegemony project should further widen and deepen the allelosubjective hegemony built in modem democracy.

      • KCI등재

        동아시아 헤게모니 역사와 한국의 미래

        현인택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7 국제관계연구 Vol.22 No.2

        The East Asian history reflects the rise and fall of the great powers— hegemony. In particular, dramatic changes in terms of hegemony have been taking place in East Asia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After the Opium War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China lost its hegemonic power in this region, while Japan emerged as a new power with its successful ‘Meiji Restoration.’ Moreover, Japan became a new hegemonic power after its victory in the Sino-Japanese and the Russo-Japanese War in 1894 and 1904 respectively. However, Japan lost its hegemonic status when it defeated in the Pacific War with the United States in 1945. Then, since the post-Cold War, the United States has maintained its hegemonic status in world affairs. Now, with the rise of China in the 21st century, furious debates have been going on in the academic community of international politics on whether China would and could become a next hegemon and what would be the likely result of this. As has been seen, in the East Asian history, South Korea was always the victim of hegemonic transformations. The crucial question for South Korea, therefore, should be: how it can maintain and enjoy stability, peace, and prosperity as an independent nation in the coming hegemonic change.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1) the concepts and theoretical developments of hegemony; 2)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the rise and fall of hegemonies existed in East Asia —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19th, 20th, and 21st century respectively; 3) the prospects of the rise of China in the 21st century; and 4) South Korea’s future strategy for its survival and prosperity in the coming hegemonic change. This study concludes that it is inevitable that a new hegemon is coming, but it is less likely that China will replace the United States as a new hegemon within the next 50 years. In this process, however, the hegemon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ill be increasingly severer than now. It will inevitably bring about enormous instability and uncertainty in international politics. South Korea, therefore, should prepare for any possibility for the future, either the rise of the benign hegemon or the imperialistic hegemon. In doing this, South Korea should pursue a ‘civilized regional power,’ that is, a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more advanced, militarily more strong, and culturally more mature power in this region. With this, South Korea could become a more independent, viable, future-oriented, and leading country, becoming one of the 21st civilized powers in the world. 동아시아의 19세기, 20세기, 21세기는 헤게모니 흥망의 역사이다. 이러한 헤게모니 흥망성쇠의 역사에서 과연 한국과 같은 약소국의 운명은 어찌 되었는지 그리고 앞으로 등장할동아시아 헤게모니 체제에서는 또 어찌 될지가 우리에게는 중요한 질문이다. 이러한 질문을위해서 과연 19세기, 20세기, 21세기에서 순차적으로 등장하는 중국, 일본, 미국의 헤게모니체제의 특징은 무엇이며 이러한 헤게모니 질서 속의 국가 간의 관계, 특히 헤게모니 국가와약소국과의 관계는 어떠하였는가가 또한 매우 중요한 질문이 아닐 수 없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첫째, 헤게모니에 대한 개념 및 이론적 연구들에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둘째, 19세기 중반 이후 동아시아 헤게모니의 변천에 대한 역사적접근을 통해 중국, 일본, 미국의 헤게모니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셋째, 21세기 현재미국의 헤게모니 퇴조와 중국의 부상을 둘러싼 학계의 논쟁을 통해 현재의 헤게모니 실상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넷째, 미래의 헤게모니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헤게모니 시대에 있어서 한국은 생존과 번영을 위해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첫째, 향후 국제체제에서 헤게모니 체제의 출현이 불가피하다. 다만 향후 50여년 안에 미국적 질서가 중국적 헤게모니 질서에 완전히 자리를 물려주는 그런 대변환을 일어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미 ․ 중의 헤게모니 쟁탈전이 치열해질수록 그 과정에서 국제질서의안정성은 취약해질 것이고 그 속에서 갈등의 발화점에 서 있는 국가는 위기에 빠질 수 있다.한국에게는 당연히 안정적 헤게모니 질서보다도 불안정한 헤게모니 변화의 시기가 더 위험한것이다. 둘째, 어떠한 헤게모니 체제여도 헤게모니의 두 가지 성질 중 강압에 의한 헤게모니에 대한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과거의 제국주의적 헤게모니 체제의 재출현을 의미한다. 셋째, 향후 이 지역에서 어떠한 헤게모니 체제가 등장하더라도 한국은 ‘문명적 지역선도 국가’로 발돋움해 나가야 한다.

      • KCI등재

        정치, 아(我)와 비아(非我)의 헤게모니 투쟁

        김학노(Haknoh Kim) 한국정치학회 2010 한국정치학회보 Vol.44 No.1

        이 글은 정치를‘아와 비아의 헤게모니 투쟁’이라고 정의한다. 넓은 의미의 헤게모니 개념은 강압과 동의의 양면성을 갖는 지배/지도관계를 지칭하며, 계급 관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아와 비아는 그 경계가 불확정적이고 유동적이다. 동일한 울타리에 속한다고 곧 공통의 우리의식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될 수 있는 잠재적 계기들은 여럿이며, 이 중에서 우위를 정하는 것이 곧 헤게모니 정치다. 즉, ‘우리’의 건설은 기본적으로 헤게모니 구축과 투쟁 과정이다. 이 때 헤게모니는 소아(小我)에서 대아(大我)로 자아를 확대하는 과정이며, ‘당파적 보편성’을 구축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소아에서 대아로의 확대는 ‘홀로주체적’ 헤게모니와 ‘서로주체적’ 헤게모니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로주체적 헤게모니는 주체인 아가 비아를 객체로 간주하는 반면, 서로주체적 헤게모니는 아와 비아가 서로 상대를 객체가 아닌 주체로 간주한다. 소아에서 대아로의 통합이 반드시‘정치적선’(善)인 것은 아니며, 서로주체적 헤게모니 방식을 지향하는 것이 정치적 선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의 층위를 분리와 통합의 두 가지로 나누고 이들 층위에서 상이한 헤게모니 방식들이 사용되는 범주를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여러 측면에서 분류해본다. 이는 정치를 아와 비아의 헤게모니 투쟁으로 정의한 개념규정이 유용함을 보여준다. I define politics as “hegemony struggle between us and non-us,” borrowing concepts from Shin Chaeho and Antonio Gramsci. Hegemony is defined in a broad sense as relations of domination/leadership which have in themselves two faces of coercion and consent. The distinction between us and non-us is not always clear-cut; they tend to be fluid, overlapping, and sometimes partly inseparable. A same category or membership does not necessarily cultivate a common “we-ness” among the members. There are many moments or factors that may contribute to raising a common group consciousness. Which moment or factor ultimately prevails depends on hegemony politics. That is, constructing a common weness is basically hegemony politics. Hegemony struggle is a process of self-extension from a smaller-self to a larger-self, a process of building “partisan universality.” I identify two ways of such self-extension; “monosubjective” and “alleosubjective” ways of hegemony struggle. Monosubjectivitiy refers to a way of seeing the other (or non-us) as object and not subject in itself, whereas alleosubjectivity refers to meeting each other as subject rather than object. Self-extension from a smaller to a larger-self is not necessarily “political good.” More important is which way of hegemony struggle it takes. Finally, I distinguish two levels of we-ness, integration and separation, and categorize several cases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politics using these two levels and two ways of hegemony struggle. This exercise reveals the usefulness of my definition of politics as “hegemony struggle between us and nonus.”

      • KCI등재

        오브제 진입에 따른 동시대 상업 공간의 시각적 헤게모니 변화 연구

        박지선,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시대적 발전을 거치며 동시대 상업 공간은 과거와는 다른 의미를 갖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점은 공간 자체가 지닌 시각적 헤게모니의 변화다. 특히, 이 시각적 영향의 주축으로 오브제를 두고 탐구하고자 한다. 동시대에 오브제들은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다양한 유형으로 상업 공간 내로 진입하고 있다. 동시대 상업 공간 헤게모니의 추후 방향성 논의를 위해서는 오브제의 상업 공간 진입 방식을 연구하고, 그 특성별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볼 필요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헤게모니적 분석 연구를 통해 상업 공간의 현재, 향후 의미를 정립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 연구 분석과 사례 조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동시대적 특성을 분석하고, 선행 연구와 모더니즘 철학 이론을 토대로 시각적 헤게모니의 개념을 정립한다. 또한 상업 공간과 오브제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모더니즘적 관점과 동시대적 관점의 비교를 통해 시각적 헤게모니의 변화를 다룬다. 오브제와 공간과의 상호적 관계를 바탕으로 각 진입방식을 구체적으로 유형화한다. 이 분석을 토대로 사례 내에서 오브제의 진입 방식에 따른 동시대적 영향도를 분석한다. 최종적으로 오브제가 상업 공간에 진입하면서 어떠한 시각적 헤게모니 변화를 불러왔는지 결과를 도출한다. (결과) 이에 오브제 진입 유형은 공간과 면밀한 관계를 기반으로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오브제의 상업 공간 진입은 공간의 동시대적 특성을 강화하고 있다. 현시점에서 시각적 헤게모니는 상업 공간의 장소성보다 오브제를 통해 구현되고 있다. 오브제는 동시대 상업 공간에서 기존의 시각적 헤게모니를 획득하여 주체적으로 공간을 변형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더니즘적 관점의 시각적 헤게모니, 즉 인식론적 특권을 폐기하고 전통적 망막중심주의에 대한 반론을 일으키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동시대 상업 공간에서는 오브제를 중심으로 공간의 시각적 헤게모니의 변화가 이동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동시대 상업 공간에서 오브제의 영향도와 그에 따른 시각적 헤게모니의 변화에 대한 해석을 제공하였다. 상업 공간과 오브제의 힘이 역전된 현 상황은, 헤게모니의 위치적 이동을 통해 새로운 이데올로기의 시작점이라고 볼 수 있다. 주체적인 오브제의 등장은 모더니즘의 단일성을 탈피하여 소비자와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시각 문화의 양상을 형성하는 흐름을 보인다. 이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오브제는 상업 공간의 미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는 수단이다. 즉, 이제는 주체적 오브제를 통한 새로운 공간 디자인의 어법이 필요한 시점이며, 과도기적 시점을 지난 상호작용하는 다원화된 공간의 이데올로기에 진입하였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헤게모니 정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최영진(CHOI Young-Jin)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1

        본 논문은 김학노가 제시한 정치 개념 - ?아(我)와 비아(非我)의 헤게모니 투쟁? ? 에 대한 비판적 논박을 목표로 한다. 그는 정치를 아와 비아로 구분되는 다양한 정체성들 간의 우위 다툼, 즉 헤게모니 투쟁으로 정의한다. 헤게모니 투쟁을 통해 우리[주체]의 형성이 이루어지며, 이는 또한 작은 우리[소아]에서 큰 우리[대아]로의 확대과정이다. 그러나 그의 정치 개념은, 헤게모니 용어의 다의성으로 인해 개념적 혼동을 야기할 수 있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헤게모니 투쟁을 통해 대아가 형성된다는 것도 현실적으로 항상 성립하는 것이 아니다. 선거가 끝났다고 해서 경쟁적 집단들이 더 큰 우리로 통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게다가 헤게모니 정치의 이상적 형태로 제시된 서로주체적 통합이 항상 바람직하다고 보기 어렵다. 남북한 통합의 경우 서로주체적 통합보다 광역단위 지역수준과 국가수준으로 정체성이 분화-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그는 헤게모니 개념의 의미 확장을 통해 설명력 높은 정치 개념을 수립하려 했지만, 헤게모니의 개념적 유용성이 사라지면서 권력투쟁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다. 결국 그의 정치 개념은 서로주체적 정치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현실주의 정치개념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Kim Haknoh?s concept of politics as “Hegemony struggle between us and non-us.” Hegemony struggle is a process of self-extension from a smaller-self to a larger-self as well as political integration by a hegemonic group. But, his concept tends to bring about conceptual confusion due to the polysemantic usage of the word ?hegemony.? It seems hard to argue persuasively that the hegemonic struggle practically builds up a subject formation. The result of elections does not always make rival groups integrate into a larger self. Furthermore, the problem is that the ?intersubjective? integration of two Koreas, proposed as a ideal style by him, is not always desirable. Although he tried to newly conceptualize ?politics? through the connotation extension of hegemony, his concept of hegemonic politics will become accepted as ?power struggle? with the conceptual competency of hegemony lost. Finally, his concept seems to fall into a realistic concept of politics in spite of the merit of intersubjective politics.

      • KCI등재후보

        화장하는 남성 이미지의 사회적 형성 - 제7회『사회연구 학술상』장려상 수상논문 - 남성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 화장하는 남성 이미지의 사회적 형성 - 제7회『사회연구 학술상』장려상 수상논문

        박승민(Park Seung-Min)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7 사회연구 Vol.- No.14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비헤게모니적 남성성과의 경합 관계에서 펼치는 이중 지배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70년-2006년까지의 남성화장품 광고를 경험적 분석대상으로 설정했다. 1970년-2006년까지 꾸준히 등장한 전형적 남성상은 강한 근육질 남성, 야성적 남성의 도전과 정복, 공적 영역에서 성공하는 남성의 모습으로 나타났고, 이는 각각 남성의 지배권력을 상징·행사·유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화장이 갖는 여성적인 코드를 희석시켜 남성을 설득하는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었다. 대략 1990년대 후반부터는 탈전형적 남성상이 출현함으로써 1990년대 후반-2006년에는 전형적 남성상과 탈전형적 남성상이 공존하게 된다. 탈전형적 남성상은 여성성이 가미된 얼굴과 적당한 근육질 남성, 부드러운 남성, 공·사 영역에서 성공하는 남성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사회가 소비사회로 전환되면서 X세대가 갖는 개방화된 이성관계, 유연한 성 구분 태도, 전형적 남성상에 대한 대안 모델 설정이 필요했던 상황을 남성 화장품산업이 상업적으로 이용했기 때문에 출현할 수 있었다. 이처럼 남성화장품 광고에서 전형적 남성상과 탈전형적 남성상이 동시에 등장하는 것은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비헤게모니적 남성성간의 경합 관계가 대략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탈전형적 남성상이 등장하는 광고에서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여전히 지배이데올로기로 군림하고 있다. 이것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비헤게모니적 남성성과의 경합에서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완전한 전복을 예방하기 위해 펼치는 이중 지배전략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ual dominating strategies of hegemonic masculinity when it is competing with non-hegemonic masculinity. I collected Korean advertisements for men"s cosmetics from 1970 to 2006. From 1970 to 2006, typical men"s images-strong muscle men, the challenge and conquest of wild men, successful men in the public sphere-have proven an effective means of persuading men to use cosmetics by symbolically affirming and maintaining their dominance. In the late 1990s, an atypical string of ads emerged, also featuring three images: faces with feminine features and not-strong muscle men, mild men, successful men in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Using these three images, the men"s cosmetic industry has been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changing social conditions the Korean society entered into consumer society. The new men"s cosmetic industry is based on the commercial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X: open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flexible attitudes in classifying sexuality, and a social need to establish an alternative image for men. Both typical and atypical imagery appeared simultaneously in Korean ads for men"s cosmetics from the late 1990s to 2006, the period that competition between hegemonic and non-hegemonic masculinity began. At this time, however, hegemonic masculinity remains the dominant ideology in atypical men"s ads. This is s dual dominating strategy of hegemonic masculinity to prevent its" complete collapse.

      • KCI등재

        민주화 이후 필리핀 여성운동과 페미니스트 대항 헤게모니 구축전망

        허성우(Hur Song-woo) 비판사회학회 2009 경제와 사회 Vol.- No.81

        이 글은 민주화 이후 여성운동의 변화와 분화,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한 필리핀 사례연구이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의 1980년대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는 복잡한 갈등과 위기를 맞고 있으며 이를 둘러싼 진보적 시민사회의 이해와 대응에 관한 논의들이 축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분석에서 젠더는 무시되거나 비가시화되고 있다. 이 글은 민주화 과정에서 필리핀 여성운동의 발전과 확장 과정을 조직들의 생성과 분화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여성들의 움직임을 가시화한다. 이 가시적 변화과정은 민주화를 계기로 서로 성격이 다른 지배-저항의 정지학을 구성한다. 여성운동은 민주화 이행기에 비약적으로 성장하면서 다른 진보 사회운동과 함께 비교적 단일하고 균질적인 마르코스 독재 대항 헤게모니를 구성하고 강화한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에는 다양하게 분화되면서 국가와 시장과 같은 공적 제도뿐만 아니라 여성들의 몸, 섹슈얼리티, 가정, 지역사회 등에 퍼져 있는 단일하지 않은 산재된 헤게모니들에 대는 산재된 저항들을 조직한다. 필리핀 페미니스트 학자들과 활동가들은 이런 여성운동의 다기한 분화를 민주화 이후의 엘리트 민주주의에 대한 대항 헤게모니의 약화와 균열로 해석하는 경향이다. 그러나 본고는 이런 분화가 대항 헤게모니의 약화와 균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대항 헤게모니 구성과 강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재해석한다. 본고는 기존의 엘리트 민주주의 헤게모니 담론은 다분히 일국적이며 남성중심적인 구성이며 이것은 지구화 맥락과 젠더 정치학을 고려한 '신자유주의적 민주주의' 헤게모니 담론으로 이동해야 한다고 논의한다. 나아가 페미니스트 여성운동은 신자유주의적 민주주의 대항헤게모니를 구성,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또한 그렇게 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망한다. This article examines change, differentiation and prospect of Filipino women’s movements after democratisation. Democracy in Asia after democratisation undergoes complex and contradict process and crisis so that researches for answering the question of how progressive civil society understand this circumstance and respond to it. However, those researches are gender-blind in that we can not see women’s experiences and gender politics practice. This article explores development and challenges of the women’s movements in the context of democratisation. Filipino women’s movements much developed their sizes and socio-political influence during the democratisation. Despite their emphasis on specific concerns about gender relations, women’s groups’ strong coalitions for democratisation intensified the unified counter-hegemony against Marcos dictatorship. Yet, after democratisation, the women’s movements were differentiated and divided by different goals and strategies against hegemony of elite democracy. They discover scattered hegemonies in all social spaces such as women’s body, sexuality, family, community as well as market and the state and organized scattered counter-hegemonic efforts. Filipino feminist scholars and activists tend to interpret the differentiated and divided women’s movements as weakening the counter-hegemony against elite democracy.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weakness of the counter-hegemony. This paper reconstructs the existing elite democracy hegemony into neoliberal democracy hegemony, situating Filipino democratisation within the context of neo-liberal globalization that initially operated on gender inequality. Filipino feminist movements after democratisation rather contribute for the reconstruction of counter-hegemony discourse and play a key role in strengthening counter-hegemony against neo-liberal democracy.

      • KCI등재

        태권도 도장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의 경합

        신종섭 ( Shin Jong-seob ),권경상 ( Kwon Kyung-sang ),권구명 ( Kwon Goo-myeung ) 국기원 2018 국기원태권도연구 Vol.9 No.1

        이 연구는 태권도 도장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의 경합을 분석하여,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를 어떻게 동의시키고, 재생산시키는지 심층적으로 구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첫째, 태권도 도장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의 동의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태권도 도장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의 재생산과정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태권도 도장의 관장과 사범 각각 4명씩 총 8명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들은 같은 태권도 도장에 함께 일하고 있는 지도진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관련 자료 수집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Gramsci의 헤게모니이론을 통하여 해석하였다. 태권도 도장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의 동의과정은 관장이 교육, 지식인, 언어, 상식의 개념을 통하여 사범에게 관장의 교육적 헤게모니를 동의시키었고, 태권도 도장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의 재생산과정은 교육적 헤게모니의 경합과 지도자 간 구별짓기, 서로에 대한 능력인정으로 재생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에서와 같이 태권도 도장 지도자 간 교육적 헤게모니의 경합은 현재의 태권도 지도자들과 태권도의 현실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바라 볼 수 있는 시각을 갖게 해 주며, 앞으로 태권도 지도자를 꿈꾸는 예비 태권도 지도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educational hegemony competition among the leaders of Taekwondo gym and to deeply investigate how to approve and reproduce educational hegemony among leaders. To sol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t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educational hegemony consent process among the leaders of Taekwondo gym? Second, what is the process of educational hegemony reproduction among the leaders of Taekwondo gym? To accomplish this, a total of eight students were selected, each consisting of four instructors and a director of the taekwondo gym. Also, this study selected leaders working at the same Taekwondo gym as research subjec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eference materials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Gramsci's hegemonic theory. In terms of the educational hegemony consent process among the leaders of the Taekwondo gym. the director made the instructors agree on the director’s educational hegemony through the concepts of education, intellectuals, language, and common sense. It is shown that the competition of educational hegemony, the distinguishment between leaders and the ability recognition for each other are reproduced through the process of hegemony reproduction between the leaders of the Taekwondo gym. As shown above, the competition of educational hegemony among the leaders of Taekwondo gym gives us an objective view of the current reality between Taekwondo leaders and Taekwondo, and it is considered to be a research that is helpful for the preliminary Taekwondo leaders dreaming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