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初等學校漢文敎材의 內容水準問題

        韓殷洙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3 No.-

        初等學校 學生들에 대한 漢字漢文 敎育은 학교 교육 내에서 실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조류이다. 교육 당국의 語文政策은 논외로 하더라도, 21C 無限 知識 경쟁 시대에서 亞太時代의 國際文字인 漢文을 모르고는 낙오자가 될 수밖에 없으므로 한글전용정책은 재고되어야 한다. 초등학교에서의 한자 교육은 제 6차 교육과정의 ‘學校 裁量 時間’ 편성과 제 7차 교육과정의 ‘裁量活動’ 편성으로 인하여 回生하게 되었다. 그 결과 그 이전에 무계획적으로 수행되었던 초등학교에서의 한자교육은 地域 敎育廳 水準에서 ‘初等學校 漢文 敎育課程’을 수립할 수 있게 되었고, 이것과 관련하여 각 市?道에서 認定 敎科書가 나오게 되었다. 제 6차 교육과정 이후 현재까지 6개 시도에서 19종의 교과서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고는 이점에 착안하여 초등학교 한문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지난 10 여 년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내용과 수준을 검토하여서 현시점에서 반성과 아울러 미래에 민족의 생존전략인 한문교육 정상화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初等學校에서 사용하고 있는 認定 敎科書는 현재 19종인데 그 중 13종(68.4%)이 7차 敎育課程 시행 이후에 발행된 것으로 초등 한문 교육의 活性化란 측면에서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19종의 교과서 발행 지역을 정리해 보면 14종(73.3%)이 서울?부산 지역이어서 한문 교육의 全國的인 擴散이란 측면에서 보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19종 교과서의 學習 對象을 검토한 결과 11종(59.9%)의 교과서가 3학년-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제작되었다. 이것은 초등학교에서의 한문교육이 교육과정 편제상 ‘裁量 活動’ 시간에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제도상의 문제에서 起因한다. 또한 필자가 구입한 15종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500자 이상 600자 미만의 漢字를 수록한 교과서가 8종(53.3%)으로 나타났다. 15종 교과서의 內容 水準을 檢討한 결과 漢字의 學習은 대부분 漢字의 음과 뜻, 漢字의 쓰임, 漢字의 活用, 漢字의 짜임 등이 알맞게 제시되어 있다. 漢字語 學習은 漢字語의 음과 뜻, 漢字語의 活用이 알맞게 제시되었으나 일부 교과서에서는 漢字와 漢字語의 槪念이 混在된 상태로 기술하고 있어서 집필자 및 교과서 심의진의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漢字成語의 學習은 대부분 평이한 漢字成語를 제시하여 풀이하는데 그치고 簡易한 文章을 제시하여 풀이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데 중등학교 한문 교육과의 연계성을 고려할 때 간이한 문장의 제시와 풀이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본문 내지 바탕글 체제를 도입한 교과서의 경우 일부 교과서에서 國漢 混用, 國漢 倂記, 한글 倂記, 漢字 위에 한글 添字 등 다양한 표기법이 나타나고 있는바 동일 교과서 내에서는 표기 방법의 일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일부 교과서에서는 아동들의 한자 학습에 대한 흥미를 돋기 위하여 놀이 학습, 活動 中心 學習으로 교과서를 구성하였는바 이는 7차교육과정의 기본 정신인 ‘自己主導的 學習 能力의 伸張’이란 측면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敎科書의 內容 水準 檢討를 통하여 초등학교 한자 교과서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 번째, 國家 水準의 敎育課程이 制定되어야 한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초등한문교육 정상화를 위한 가장 시급한 사안이다. 본말이 전도된 부조리를 타개하고 초등학교 한자한문교육이 올바른 궤도에 오르도록 교육 당국은 하루빨리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제정하여 공포하여야 한다. 두 번째, 敎科書의 名稱 문제를 들 수 있다. 현재 발행된 19종의 교과서에서 일관되게 표기한 초등학교 ‘漢字’라는 교과서 명칭은 초등학교 한문 교육의 內容과 範圍를 생각해 볼 때 漢字語?漢字成語 등을 包括할 수 있는 명칭이 아니므로 초등학교 ‘漢文’으로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敎科書의 開發과 敎授 資料의 普及 문제를 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초등학교 한문교과서 편찬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교과서에 따른 교수학습 자료를 CD-ROM화 하여 보급하거나 WEB상으로 제공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안일 것이다. 아울러 정형화된 교과서 구성 체제를 탈피하여 학생들이 흥미를 잃지 않고 학습할 수 있도록 교과서를 구성하는데 힘써야 한다. 이상에서 제기한 문제들이 개선될 때 초등학교 한문 교육은 질적 수준의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이며 국가적으로는 민족의 생존 전략인 한문 교육을 통한 知的 上向同質化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iterature for pupils of primary school is inevitable trend of the times whether it is included in the curriculum or not. Apart from the policy of language education of the educational authorities, the policy of exclusive use of Hangul(한글전용정책) must be reconsidered, because it is obvious that people without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the international character in the Asia Pacific Age, will be inevitably social failure in this limitless competitive age of knowledge in the 21st century.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primary school was resuscitated thanks to the organization of 'discretionary class of the school'(학교재량시간) by the 6th Curriculum course and 'discretionary activity'(재량활동) by the 7th Curriculum. As a result,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which was performed unsystematically in the past could be systematized by the 'curriculum for Chinese literature in the primary school' at the level of regional education office. Triggered by this movement, authorized textbooks were published in each city and province. Currently, primary school is using 19 types of authorized textbooks(인정교과서), out of which 13 types (68.4%) were publish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7th Curriculum. In the light of dissemination of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this is very desirable and promising fact. However, examining the regions where 19 types of textbooks are being published, we find that 14 types (73.7%) are concentrated in the regions of Seoul and Busan. This outcome does not meet our expect in terms of national proliferation of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The investigation into subject for 19 types of textbooks shows that 11 types (59.9%)of them are produced for pupils in 3rd ~ 6th grade. This is due to the institutional problem that the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is inevitably done in the discretionary activity because of educational course. In addition, analyzing the purchased 15 types of textbooks, it turned out that 8 types (53.3%) include Chinese characters in the range of 500 ~ 600 characters. Examining the contents level of 15 types of textbooks,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are properly composed of pronunciation, meaning, use, application and composi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most cases. Though the pronunciation, meaning and application of Chinese words are suitably presented in the study of Chinese words, some textbooks show the mixture of concept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This fact suggests that writers and deliberate council of the textbook need to be more elaborate in their works. While the study of Chinese idioms is mostly composed of presenting and solving plain Chinese idioms, the case of presenting and solving easy sentences is seldom seen. Considering the relation with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I think presenting and solving easy sentences must be further increased. Furthermore, in the case of some textbooks in which the system of text or basic letters, some textbooks show various transcription such as mixture of Korean characters-Chinese characters, parallel indication of Korean characters-Chinese characters, adding Korean characters on the Chinese characters, etc. The indication method must be unified in the same textbook. Reviewing the contents level of above textbook, I can find some problems regarding the textbook of Chinese characters for primary school. First, the Curriculum must be enacted at the national level. The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s the most urgent matter to normalize the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The educational authorities must immediately enact and promulgate educational course at the national level to eliminate the egregious and illogical absurdity and to put Chinese characters and writing education of primary school on the right orbit. Second, the title of textbooks constitutes another problem. The title of textbooks, Chinese characters of primary school, which is consistently indicated on the urrent 19 types of textbooks must be altered to Chinese literature of primary school, because the present title cannot include Chinese words and Chinese idioms in terms of contents and scope of Chinese writing education in primary school. Third, the development of textbook and propagation of teaching materials also constitute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the guideline to compile textbook of Chinese literature for primary school must be prepared in the first place. Moreover, propagating teaching materials in the textbook by CD-ROM or providing them on the WEB will be also effective program. Breaking from the convention of standardized system of composing textbook, the persons in charge must strive to compose textbooks so that pupils can study with interest. If the above problems are solved, the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may improve in the qualitative level. Furthermore,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the strategy for national survival will contribute for the upward intellectual homogeneity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한국의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현황과 과제

        김왕규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1 No.-

        본 논문은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현 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현황과 실태를현행 제7차 초등학교 재량 활동 교육과정 편제, 시간 배당 기준, 편성·운영지침에 관한 국가 수준의 기준,시·도 교육청의 지침,단위 학교 교육과정 문건 분석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과제를 몇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재량 활동 교육과정에 관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기준 분석 결과,초등학교 한자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법적 근거는 확보할 수 있었지만, 제6차 초등학교 학교 채량 시간 교육과정과 제7차 초등학교 재량 활동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관한 국가 수준의 명시적인 규정은 없었다. 학교 재량 시간이나 재량 활동 교육과정을 통하여 비록 초등학교 한자 교육을 시행할 수 있었으나,영어 교과의 신설,정보 통신 기술 교육의 강화로 인하여 초등학교한자 교육은 법적 시수 확보와 그 운영에 매우 큰 영향을 받게 되었다. 16개 시·도 교육청의 재량 활동 교육과정 지침 분석 결과, 일부 교육청에서 재량 활동 교육 내용으로 한자 관련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 수준에서 명시적으로 규정되지 않았던 한자 관련 프로그램이 시·도 수준에서 명문화됨으로써,초등학교 한자 관련 시·도 교육감 인정 도서가 개발되었다. 이 점은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서 중요한 변화의 국면이라고 생각된다. 16개 시·도 소속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분석 결과, 현재 초등학교에서 재량 활동 교육 내용으로 한자 관련 교재를 학년별로 선정하여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한자 교재로 시 도 교육감 인정 도서,교육청 장학 자료, 민간 출판사 간행 도서, 한자 운영 사이트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발전적 진로 모색을 위해 우리는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필요성과 시대적 요청에 대해 선언적인 구호만을 외쳐서는 안 될 것이다. 문명사적인 안목을 견지하되, 구체적인 작업 결과를 제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몇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대한수요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그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은 중·장기적으로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다. 초등학교 한자 교육을 위한 한자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그 성격과 목표를 규정하며, 내용과 내용 체계를 수립하는 일 또한 과학적 이고 이론적인 탐색을 요구하는 작업이다. 그리고 학생의 동기를 유발하고 자기 주도 학습 과정에 따른 한자 교과서를 개발하는 일 또한 우리 가 해야 할 몫이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urvey the present condition and real situations of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based o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nd to propose the future themes for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To execute the research objectives, organizations of discretionary activities, a disposition criterion of discretionary times, a national criterion of formation and management, criterions of provincial or metropolitan education office and the local curriculum were surveyed Based on the surveying, several future themes for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were proposed After surveying the national curriculum about the discretionary activities, even thought there were the law bases to enforce the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but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ere no explicit definitions on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the discretionary activities of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and discretionary times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Though it was possible to enforce the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through school discretionary times and discretionary activities, the establishment of English subject and the intensification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affected much on getting and the managing the law-alloted times in the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According to surveying the criterion for discretionary activities of 16 provincial and metropolitan education office, some education offices have presented programs for Chines characters education as the contents of discretionary activities. Owing to some programs were defined officially, which were not explicitly on the national level, books concerned with the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were developed and qualified by the dean of each provincial and metropolitan education. This point reflects the important change of insight to the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According to surveying the local curriculum of 16 province and metropolitan cities, it was found out that they have selected and managed teaching materials related to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as the contents of discretionary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s. Qualified books, encouraging learning materials, published books by the press and the internet web-sites have been used. We have to search the new ways to develop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because of the educational needs and requests of the times. To meet above needs and requests, several future themes could be proposed as follows: First, to induce the interests of learners about and to pay attention to the elementary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re necessary. Second, scientific and theoretical researches are needed for developing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defining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and developing contents and contents formation. Third, Chinese characters books should be developed, which could motivate students and be suitable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Last, intentions and objectives fo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national-classical and eastern-classical cultures, and promoting national-classical cultures should be subsumed into the characteristics,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 KCI등재

        한자 수준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아이트래커를 활용한 학습자의 한자 인지 특성 파악-

        김왕규 ( Kim Wang-kyu ),박상우 ( Bak Sang-u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7 한문교육논집 Vol.49 No.-

        학습자의 한자 인식의 양태를 파악한다면 학습자가 어떻게 글자를 인식하는지, 어떤 글자에 더 관심과 흥미를 가지는지, 어떤 순서로 글자를 파악하는지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기초적이지만 실제적이고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이러한 정보는 차후 한자의 수준을 설정하는 방식에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거나 직접적인 한자 수준 설정의 준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자를 배우는 주체가 어떻게 그것을 인식하고 이해하는지를 실제 눈으로 확인하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면 좀 더 합리적이고 실증적인 한자 선정의 기준을 세울 수 있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핵심 과제는 학습자들이 ‘어떻게 한자를 인식하는지, 한자의 어떤 부분에 더 관심과 흥미를 가지는지, 어떤 순서로 한자를 파악하는지’ 등의 실제적이고 객관적인 안구 운동 자료를 아이트래커를 활용해 취합하고 그것을 분석하여 한자 수준 설정의 새로운 방법 또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제언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교 급에 따라 중학교 2개 교, 고등학교 2개 교를 대상으로 총 36명의 안구 운동을 추적하고 분석하여 학습자가 한자를 어떻게 ‘보는지’를 밝히고, 이것을 활용해 한자 수준을 구분하는 독특한 측정 방법이나 모델을 제언하였다. If we recognize learners' pattern of Chinese character recognition, we will be able to get information such as how learners perceive the character, which character is more interested and interested, and in which order the character is recognized. This basic, but practical, objective, and scientific information could serve as a basis for providing innovative ideas for the way to set the level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future, or for establishing a direct Chinese character level. The key task of this study is to use eye tracker to collect actual and objective eye movement data and to analyze it to propose new methods and possibilities of Chinese character level setting. For example, we study how learners perceive Chinese characters, which parts of Chinese characters are more interested, and in what order to identify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in this study, a total of 36 eye movements were traced and analyzed for 2 middle schools and 2 high schools. This study suggests a unique measurement method or model that distinguishes the level of Chinese characters by explaining how learners 'see'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한문과(漢文科) 성취기준(成就基準) 및 성취수준(成就水準)의 내용(內容) 분석(分析)과 적용(適用) 방안(方案) 모색(摸索) ; 기조(基調) 발표(發表) : "한자(漢字)"영역(領域) 성취기준(成就基準) 및 성취수준(成就水準) 내용(內容) 분석(分析)

        김경익 ( Kyong Ick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새 교육과정은 별도의 해설서가 개발되지 않았다. 국가 수준의 한문과 교수·학습이나 평가 관련 연구가 충분하지 않고, 학교 한문 문법이 제정되지 않아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세부 진술 내용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현실에서 해설서의 不在는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紛紛한 해석을 야기할 것으로 예측된다. 마침 개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은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적합성과 활용도를 提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은 새 교육과정의 대영역 ‘한문 지식’ 중 중영역 ‘한자’ 영역의 학습 내용성취기준의 세부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아울러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평가문항을 예시하였다. 교육과정 영역별로 제시된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한문 학습의 출발점과 도달점 설정, 한문 학습의 위계 구분 등의 논의를 촉발할 것으로 예상한다. 관련 연구는 추후 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내용의 수준과 범위 설정을 위해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분야이다. ‘한자’ 영역의 학습내용 성취기준과 성취기준의 학교급별, 과목별 수준 구분의 주요 근거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범위이다. 餘他의 영역과 다른 한자 영역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이다. A new curriculum manual is not published separately. Its absence will express various views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researches related to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on nationwide scale are insufficient and the details of description of the manual sub for the role since school grammar has been enacted. It is expected that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developed pursuant to the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2009 at this juncture will enhance suitability and availability. This paper analyses detail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one of the intermediate domains, which is included in ``grammatical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one of the advanced domains, on new curriculum. And also questions are given as an example to help people to underst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offered by the domain of curriculum are expected to encourage discussion about establishment as both the first step and terminus ad quem, and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learning. Related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set levels and scale of content during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later. Achievement standards and its classification by a course and subject are based on the scope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한자교과서(初等學校漢字敎科書)의 실태(實態)를 통해 본 한자(漢字) 교육(敎育)의 문제점(問題點)

        한은수 ( Eun Su Ha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5 No.-

        2009 개정 교육과정 이후 초등학교 학습자의 한자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날로 증대되었으나 초등학교 학습자를 위한 한자교육의 여건은 이전 교육과정과 비슷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실정에서 현재 전국 시·도 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고 있는 한자 교과서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을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문제점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2010년 이후 각 시·도 교육감의 승인을 받은 12종의 한자 교과서 가운데 7종의 교과서를 검토하여 한자 교재의 일반적 현황과 특징적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자 교재의 일반적 현황으로서 각 교과서의 학습량과 단원 구성 방식, 문장 표기 방법, 단원 전개 유형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특징적 양상으로 창의·인성 교육과 한자문화권의 조화 두 가지 측면을 검토하였다. 이 특징적 양상은 모든 교과서에 드러나는 것은 아니지만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정신과 관련하여 ‘창의·인성 교육’ 측면을, 한자 교육의 효용성과 관련하여 ‘한자 문화권의 조화’ 측면을 논의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질적 고양을 위한 작업으로서 교재의 문제점과 초등학교 한자 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교재의 주제문표기방법, 교과서의 구성 형태, 한자 어휘 교육 방법, 한자 교수·학습 지원 체제 등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초등학교 현장에 적합한 교재의 내용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초등학교 학습자들을 위한 한자 교과서로서의 개선안이나 대안을 명확히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그것은 필자의 역량과 노력이 부족해서이다. 그러나 교과서는 교육과정이 실현된 구체적 산물이라는 것을 상기할 때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존재하지 않는 현실에서 교과서의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 할 수 있다. Since curriculum was revised in 2009, social need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s are growing. However, the situation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s has not been chang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eneral situation of Chinese character text books approved by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in each city and province and being currently used, and explore the problems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reveal the general situation and characteristic patterns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 materials by reviewing 7 kinds of textbooks among 12 kinds of Chinese character textbooks approved by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in each city and province after 2010. We discussed study loads, configuration of each chapter, ways to write sentence and type of development of chapters in terms of general situation. We reviewed two aspects such as the creativity and humanity education and the harmony of zon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in terms of characteristic aspect. These characteristic aspects were not revealed in textbooks, but we assigned ‘creativity and humanity education’ and ‘harmony of zon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as subjects to be discussed with regard to spirits and efficac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which 2009 revised curriculum sought. In addition, we reviewed the problems in teaching materials and on-site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s a proj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e decided to find the contents of teaching materials suitable for on-sites of elementary schools through discussion about ways to write the main sentence in teaching materials, configuration of textbooks, ways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and system to support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In this paper, I did not present the ways to improve Chinese character textbooks for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s, because my capacity and efforts are not sufficient. However, when it is thought that textbooks are specific outcomes in which curriculum is implemented, the curriculum at nation-level must exist before textbooks are developed. Thus, we should call for the establishment of curriculum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t nation-level.

      • KCI등재
      • KCI등재

        ‘漢字’領域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 內容 分析

        김경익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A new curriculum manual is not published separately. Its absence will express various views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researches related to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on nationwide scale are insufficient and the details of description of the manual sub for the role since school grammar has been enacted. It is expected that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developed pursuant to the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2009 at this juncture will enhance suitability and availability. This paper analyses detail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one of the intermediate domains, which is included in ‘grammatical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one of the advanced domains, on new curriculum. And also questions are given as an example to help people to underst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offered by the domain of curriculum are expected to encourage discussion about establishment as both the first step and terminus ad quem, and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learning. Related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set levels and scale of content during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later. Achievement standards and its classification by a course and subject are based on the scope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새 교육과정은 별도의 해설서가 개발되지 않았다. 국가 수준의 한문과 교수․학습이나 평가 관련 연구가 충분하지 않고, 학교 한문 문법이 제정되지 않아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세부 진술 내용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현실에서 해설서의 不在는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紛紛한 해석을 야기할 것으로 예측된다. 마침 개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은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적합성과 활용도를 提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은 새 교육과정의 대영역 ‘한문 지식’ 중 중영역 ‘한자’ 영역의 학습 내용 성취기준의 세부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아울러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평가문항을 예시하였다. 교육과정 영역별로 제시된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한문 학습의 출발점과 도달점 설정, 한문 학습의 위계 구분 등의 논의를 촉발할 것으로 예상한다. 관련 연구는 추후 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내용의 수준과 범위 설정을 위해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분야이다. ‘한자’ 영역의 학습내용 성취기준과 성취기준의 학교급별, 과목별 수준 구분의 주요 근거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범위이다. 餘他의 영역과 다른 한자 영역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이다.

      • KCI등재

        2015 改定 敎育課程 내에서의初等學校 漢字敎育 方案 摸索

        한은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4 No.3

        There is institutional standard tha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an be made through ‘subject’ class or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time in 2017 at a time when 2015 revised curriculum is applied.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no content related to ‘Chinese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except for description above. For the contents suggested in the introduction of curriculum to be taught and learnt, ‘organization and time allocation standard’ must be set together with curriculum per subject. But, there is no content related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organization and time allocation of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a systematic condition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in the defined curriculum of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it is found to be possible to provid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revising the introduction of curriculum or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by using Chinese character used textbook as an organization operation guideline of curriculum and by distribut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to perform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faithful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teacher development course so that teachers in schools may equip ability for teaching Chinese character. People misunderstand tha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may be vitalized if th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determined to keep Chinese character in parallel with Korean, but the conditions in and out of school to exercise normal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re very poor. The greatest problems are lack of educational method and lack of teaching conditions due to lack of national level education curriculum. Besides, it is required to prepar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schools and teachers and problems of Chinese character parallel entry method and there are also many more issues to solve. There are much more issues that are not discussed here which include content system and composition of national level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election of basic Chinese characters and basic vocabularies for elementary school,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development of standardized Chinese character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and evaluation issue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As the activation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is an important issue, it is important to develop environment of education and to accumulate research to solve such problems one by one. 이 연구는 2015 改定 敎育課程의 실시를 앞두고 교육과정 내에서 初等學校 漢字敎育을 실시할 수 있는 制度的 與件을 探索한 연구이다. 그 결과 교육과정의 總論이나 國語科 敎育課程을 개정하여 한자교육을 실시하는 방법, 교육과정의 編成 運營 指針으로 漢字 倂記 교과서를 사용하도록 하고 이에 따른 敎授․學習用 資料를 보급하여 한자교육을 하는 방법을 논의하고 예시 자료를 밝혔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한자교육을 충실히 수행하려면 敎師養成機關인 敎育大學校의 敎育課程에서 豫備敎師들이 ‘漢字敎育’, ‘漢字指導’, ‘敎育漢字’ 등과 같은 필수적 교과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人文素養敎育을 편성할 것을 促求하였다. 2015 改定 敎育課程이 公布된 그대로 실행될 때 초등학교에서 正常的인 한자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여건은 너무 부실하다. 國家水準 敎育課程의 不在에 따른 敎育 方法의 不在 및 敎授與件의 未備, 학교나 교사의 한자교육을 위한 準備, 효과적인 한자 학습을 위한 漢字 倂記 교과서의 개발 등의 문제도 그 해결방안의 마련이 時急한 과제이다.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한문과(漢文科) 성취기준(成就基準) 및 성취수준(成就水準)의 내용(內容) 분석(分析)과 적용(適用) 방안(方案) 모색(摸索) ; 기조(基調) 발표(發表) : "문화(文化)" 영역 성취기준(成就基準)및 성취수준(成就水準) 내용 분석

        김왕규 ( Wang Kyu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이 글은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화’ 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을 소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 영역은 3개의 중영역, 5개의 내용 요소로 구성, 조직되었으며, 내용 요소에 따라 학습내용 성취기준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성취기준에 따라 성취수준을 세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학교의 교수·학습과 평가 활동에 활용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문화’ 영역 예시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선다형, 서술형, 그리고 수행 평가 도구를 몇 가지 예시했다. ‘문화’ 영역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정의적 영역평가 도구 개발이 후속 과제로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d analyse a level of achievem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culture`` pursuant to the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2009. The domain of ``culture`` consists of 3 medium-sized parts and 5 components of the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ontent are developed depending on the components. I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after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ontent and suggest the level of achievement categorized as three phases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The level of achievem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could be utilized for class. I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examples about ``culture`` in the light of the aforementioned situations. Tools for multiple choice, write-out answer, and performance assessment are illustrated in detail.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tool for an affective domain is required as follow-up measures.

      • KCI등재

        韩国中级水平汉语学习者汉字书写偏误与其汉字习得

        邢 军,양만기 중국인문학회 2021 中國人文科學 Vol.- No.79

        본 논문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관점에서 조사와 분석을 통해 한자(간체자를 말함) 쓰기 오류의 분석 단위를 확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코퍼스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한자 쓰기 오류를 분석하고, 또 한자 습득 문제를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서 중급중국어 수준의 한국인 학습자들은 한자를 습득할 때 한자의 전체 형체를 습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은 한자를 각 구성 부분(部件, 偏旁)으로 나누고, 각 구성 요소의 구조적 특징에 근거하여 기억하는데, 그 가운데 字音을 나타내는 편방의 역할이 가장 두드러졌다. 이 단계의 한국인 학습자들에게는 字形이 비슷한 글자가 학습에 가장 큰 어려움이지만, 음이 가까운 글자의 오류비율이 더 높았다. 이들은 한자의 구조를 분석하는 능력이 비교적 강하고, 한자의 形·音·義에 대한 종합적인 운용 능력이 비교적 뛰어났고, 쓰기 오류는 주로 필획의 생략, 대체 및 위치 오류로 인해 발생했다. 끝으로 이 글에서는 한자 습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향후 학습자의 한자 쓰기 오류에 관한 연구는 중국어 차원 및 한자와 중국어의 관계에서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것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