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편지 서예미의 변천사적 고찰

        박정숙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왕, 왕비, 상궁, 사대부 남성과 여성, 등 각계 각층의 450년간에 쓴 편지 400여편 중에서 서체사적 비교의 체계성이 있는 편지 64종 70여편을 선정하고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방법은 조선시대 1500년대부터 1800년대 사이에 쓰여진 한글편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1단계로 편지별 문장의 장법적 특징을 분석하고, 제2단계로 편지별 어휘 및 음절을 추출하여 조형성을 분석하고, 제3단계로 편지별 문장의 종합적 서예미를 분석하는 등 3단계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한글편지 서체의 신분별 특징을 살펴보면, 왕들의 편지글씨는 1600년대의 정적으로 나타낸 선조와 1700년대의 숙종 1800년대의 활달한 대원군의 편지글씨에 이르기까지 장법의 변화가 크게 드러나지 않아 시기의 변화과정보다는 개인의 개성적 특성에 따른 서체적 특징을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왕비의 편지글씨는 대부분 배행 배자방법이나 문자의 결구 방법이 자유분방한 필체로 나타내었으나 1600년대 인목왕후의 편지 등에서 글자의 중심축을 중앙에 두는 배자 방법을 구사하였는데, 장렬왕후 편지부터는 세로줄을 맞추기 위해 노력한 모습이 엿보여서 한글 서체의 장법의 변화를 찾아볼 수 있으며, 1700년대 인현왕후 편지부터 1800년대 후기로 오면서 정돈되고 정형적인 궁체 유형의 자형과 장법이 구사 되었다. 특히 1840년대의 순원왕후의 궁체에 가까운 서체, 1890년대의 순명효황후의 유연한 궁체유형의 글씨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궁녀의 편지글씨는 1600,1700년대는 찾아보기 힘들고, 1800년대에 이르러 궁체 흘림의 완숙기를 이룬 것으로 나타난다. 남성의 편지글씨는 시기의 흐름에 관계없이 개성이 뚜렷한 필체로 썼고, 한자필체의 필의를 토대로 한글편지를 쓴 것으로 보여지며, 자모음의 획형을 생략화하여 연결성을 많이 살려 쓴 것으로 분석된다. 궁체의 필법을 살려 쓴 서체가 없으며 정자체로 쓴 편지를 찾아보기 힘들다. 여성의 편지글씨는 남성의 편지와 같이 각각의 개성이 잘 나타나지만 조형미가 남성편지보다 좀 더 높이 평가된다. 1500년대의 신천강씨나 이응태부인의 편지는 장법의 일관성이 나타나지 않지만, 1600년도의 배천조씨, 안동김씨의 편지에서 보면 점점 장법의 틀이 잡히면서 세로획 중심의 장법변화가 보이다가 1700년대 여흥민씨의 편지에서 완연한 궁체의 결구와 장법을 구사하여 궁체 흘림체의 서체와의 유사정도가 높이 나타난다. 한글편지의 신분별 우수서체는 군왕으로는 서선을 유연하고 힘차게 나타낸 효종 글씨(1652년)와 굵고 힘찬 서선표현과 대소조화를 이루어 연결성이 잘 나타난 대원군 글씨(1882년)가 있다. 왕비로는 정통적인 궁체의 특징을 잘 나타낸 순원왕후 글씨(1842년)와 굵고 부드러운 선으로 상하의 문자 사이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아름답게 쓴 순명효황후(1897년)의 글씨가 있다. 궁녀의 편지로는 모두 궁체 흘림체로 각각의 개성미가 돋보이는 모법서체로 평가될 수 있다. 남성의 우수 편지서체로는 한자의 필의를 살려 활달하게 쓴 김정희 글씨(1818년)와 김정희의 부친 김노경의 편지 글씨(1791년)가 돋보인다. 여성의 우수 편지로는 굵은 선으로 자모획형을 간결하게 생략형으로 쓴 안동김씨 글씨(1697년)와 궁체 흘림체와 유사하게 쓴 여주이씨 글씨(1726년), 연결성을 자연스럽게 나타낸 여흥민씨 편지글씨(1735년)가 돋보인다. 이들은 한글서예 임모 자료로 활용할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조선시대 한글편지 서체는 조선시대 최고 명필들이 조화롭게 역동적으로 써내려간 서체로서, 고전적이면서도 전통적 조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출판 ․ 광고 ․ 패션분야 등 현대 디자인 분야에서 활용하기에도 적합하며, 캘리그래피(calligraphy)와 같은 현대서체를 창작하거나 전통적인 서체를 응용할 때에도 그 유용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컴퓨터용 서체인 한글폰트 개발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서체적 변천사를 교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한글편지의 서체와 변천적 특징은 초․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의 서예단원 내용 편찬에 활용할 수 있고, 일반인들의 한글서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Among more than 400 letters written by all social standings of kings, queens, court ladies, noblemen and noblewomen for 450 years from 16th to 19th century Joseon, this study selects approximately 70 letters from 64 kinds which have systemicity in comparison of chirographic history and analyzes them. With the letters in Korean written from 1500s to 1800s of Joseon period as the analytical subject, this study analyzes; first, their sentence structure; second, their formativeness by extracting vocabularies and syllables from each letter and; third, their comprehensive calligraphic beauty in sentences of each letter. Taking a look into characteristics of letters written in Korean by the writer's social standings, the sentence structure in kings' letters does not greatly vary from static style of King Seonjo and King Sukjong in 1600s and 1700s to lively one of regent Heungseon in 1800s, which therefore is analyzed that calligraphic characteristics did not change over time but depended upon each king's personal traits. Queens' letters are indicated as liberal writing style in their arrangement of lines and of letters and formative principles in characters but Queen Inmok in 1600s put the characters at the center in her letter as adopted in Chinese characters; changes in sentence structure of Korean chirography are observed from Queen Jangnyeol's letter and; well-organized and formal court-style shape of characters and sentence structure was adopted and settled in late 1800s, starting from queen Inhyeon in 1700s. Queen Sunwon's characters in 1840s which were almost court-style one and flexible court-style characters of Empress Sunmyeong in 1890s can be representative examples. Court ladies' characters in letters are hardly found in 1600s or 1700s and their letters written in Korean seem to attain complete maturity of a cursive hand in court-style writing in 1800s. Men's characters in letters are of unique individuality regardless of time period. They seem to write letters in Korean based on brush stroke for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characters are analyzed as having marked connectivity by omitting strokes of consonants and vowels. There is no chirography on which court style is applied and letters written in square style are hardly found. Women's characters in letters are also of unique individuality but their formative beauty is more highly appreciated than that of men. Letters written by Mrs. Sincheon Kang or Lee Eung-Tae's wife in 1500s do not demonstrate consistency of sentence structure but in letters of Mrs. Baecheon Jo and Andong Kim in 1600s, sentence structure is gradually settled and its change is observed that vertical strokes come to play a central role and; formative principles and sentence structure of complete court style is adopted in Mrs. Yeoheung Min's letter, which demonstrates significant similarity with the cursive hand in court-style writing. Outstanding calligraphy on letters written in Korean for each social standing includes that of King Hyojong (1652) which is of flexibility and vigor and that of regent Heungseon which is with thick and energetic expression and marked connectivity in harmony of big and small. Among queens' calligraphy, that of Queen Sunwon (1842) which well demonstrates orthodox traits of court style and that of Empress Sunmyeong which is of thick and soft strokes beautifully arranged between upper and lower characters through natural curves are considered eminent. Distinguished letters of court ladies can be evaluated as example calligraphy that are of the cursive hand in court-style writing with distinct individuality. Among men's letters, that of Kim Jeong-hee (1818) which is vigorously written with brush stroke for Chinese characters and that of Kim No-gyeong (1791), Kim Jeong-hee's father are impressive ones. Superb calligraphy of women's letters includes Mrs. Andong Kim (1697) whose characters are thick and concisely written by omitting strokes of consonants

      • KCI등재

        추사 김정희의 한글 편지 해독과 의미

        김경순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5 No.-

        秋史金正喜(1786~1856)의 한글 편지에 관한 연구는 한글 편지 자료, 문학적, 국어학적, 서예학적 연구는 많은 진척을 이루었으나, 추사의 한글 편지 판독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秋史한글 편지』영인본 중에서 오독이 많이 나타나는 제1편·제20편·제31편을 선택하고, 영인본의 판독문에서 발견되는 오독문제를 검토하고, 새로운 판독에 의하여 편지의 내용을 해독하였으며, 편지자료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추사 한글 편지는 부정형의 진흘림 필사체로 연결되어 있고, 다양한 변형의 글씨를 자유자재로 혼서하여 썼으며, 작품이 아닌 관계로 같은 뜻의 글자가 서로 다른 글자로 誤記되어 혼용하였으며, 당시의 한문 투로 글자가 붙여 쓰여 있어, 정확한 판독에 많은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秋史한글 편지』의 영인본 글씨를 판독할 때 일차적으로 시각상으로 판단하고, 애매한 글씨는 문맥으로 판독하였다. 그 결과 오자라고 판정한 41자를 기존 판독문과 비교하여 해독하고,『秋史한글편지』의 영인본과, 필자가 판독한 새로운 판독문을 제시하고, 새로운 해독의 근거를 설명하며, 편지내용을 요약 설명하였다. 그리하여, 기존 판독문을 비교한 결과, 오독으로 인하여 그 내용이 상당히 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글 편지는 국어학적 측면에서 국어사 연구에 사회언어학적 접근 가능성을 열어 주기도 하며, 언해위주의판본자료를 보완하는 것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편지의사 연속에는 당시의 실생활이 그대로 녹아있어 생활사, 민속사, 사회사 등 여러분야에서 살아있는 자료가 될수 있다. 또한 추사체의 독특한 서체가 한글편지에도 반영되어 있으므로 서예사 자료로도 요긴하며, 한글 서예 교본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추사의 한글 편지를 정확히 판독하면 국어학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사 한글 편지 3편만을 판독하였으나, 앞으로 편지 40편을 모두 판독하여, 서간 문학의 기초 자료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한글 편지에 대한 오독을 줄이기 위해서는 국문학은 물론 국어학, 한문학, 서예학 등 학제간 교류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정확한 판독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tudies on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by Chusa Jeong-hee Kim(1786~1856) have made advances in collection of data on Korean letters, literary, linguistic and calligraphic findings; however, there have not been a study on deciphering Korean letters of Chusa. This paper examines 1st, 20th, and 31st photoprints of “ Chusa’s Letters in Korean,” those with particularly frequent misinterpretations, and offers new interpretations as well as methods to better utilize the epistolary materials. Chusa’s Korean letters are written in irregular longhand with various types of letterings combined in a free style. As it is not a work of art, characters with the same meaning were confused with characters of different meanings. Moreover, the characters are spaced according to the Chinese character writing style of the time, creating further confusion inhibiting accurate interpretation. This paper first used visual methods and then contextual methods to interpret vague passages of Chusa’s Korean letters. As a result, this paper could interpret the forty-one misspelled characters by comparing them with previous interpretations and presents the photoprints of Chusa’s Korean letters along with the interpreted version. It also provides explanations of the interpretations with evidences as well as summary of the content of the letter. Such efforts led to the conclusion that previous interpretations include many misinterpretations leading to largely in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letter.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nguistics, the Korean letters open up a new possibility for sociolinguistic approach within the field of History of Korean language. It can also be used for complementing the original materials with annotations. The content of the letter directly reflects the events of the times which could serve as useful data of social, folk and everyday life history of the respective era. Moreover, Chusa’s unique handwriting style is shown in the letters making it an ideal reference material for history of calligraphy as well as a sample for Korean calligraphy. As mentioned above, accurate interpretation of Chusa’s Korean letters can contribute to various research efforts including the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This paper limited interpretations to three Korean letters of Chusa but future endeavors will need to include all forty letters to contribute further to Korean epistolary literature. To minimize misinterpretations of Korean epistolary dat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Korean literature, linguistics, Chinese literature, calligraphy, etc. will be necessar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crease accuracy of the epistolary materials.

      • KCI등재후보

        朝鮮時代 한글편지의 章法的 形式 考察

        박병천(Park, Byeong-cheon) 한국서예학회 2011 서예학연구 Vol.18 No.-

        본 논문은 朝鮮時代(1600-1800년대)에 사회 신분계층에 따라 달리 쓰인 각종 한글편지의 章法的 構成形式을 비교 고찰한 연구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文章 構成방법인 章法的 특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한글편지의 書藝的 價値性을 파악하여 보고, 그 결과를 한글서예작품 창작에 활용할 방안이 무엇인가도 더불어 탐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조선시대 5개 신분계층의 當代 名筆家들이 쓴 한글편지의 章法的 構成形式을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최근에 한문편지를 대상으로 장법형식과 내용의 관계성을 분석 고찰한 중국의 서론가 邱振中의 연구방법론을 비롯한 몇몇 장법론을 종합 적용하여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서예적 가치성 분석 방법으로 章法-結構法-用筆法 분석 등 段階的分析方法論이 있고, 章法 분석에서는 구체적으로 文章配置法-行配列法-文字配字法 등 3가지 장법론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세가지 章法分析論 중 文字配字法을 고찰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문자의 軸線的 構成形式과 圖形的 構成形式 으로 나누어 5종의 한글편지를 대상으로 분석 고찰하였다. 분석대상을 조선시대 왕ㆍ왕비ㆍ상궁ㆍ선비ㆍ여성 등 5개 계층의 조선시대 대표적인 명필가들인 효종대왕, 정순왕후, 서기이씨, 추사 김정희, 여주이씨 등이 쓴 한글편지 5편을 선정하였고, 매편당 편지 앞부분의 6개 행씩을 택하여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결과를 장법구성형식별 특징과 한글편지 종류별 특징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장법 구성 형식별 특징을 보면 5종 한글편지에 나타나는 單一文字의 軸線이 一直線, 平行線, 交叉線 등으로 連接되어 다양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5종 한글편지에 行別로 나타난 外接圓 사이의 接近 정도를 분석해 보면 離接부분, 相接부분, 重疊부분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신분 계층별 특징을 보면 5종 한글편지 문자의 軸線的 形式과 外接圖形的 形式에 대한 章法的 構成形式을 전체적인 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5종 모두의 한글편지별 장법적 형식의 특징이 中國 名書帖인 한문 서예작품의 장법적 형식과 같게 표현되었음이 밝혀졌다. 이상과 같이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장법적 구성형식이 중국의 명서첩의 장법적 구성형식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한글편지 글씨도 서예적 가치성이 충분이 있다고 제언해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글 서예계에서도 궁체 일변도의 작품 활동에서 벗어나 조형성이 증명된 조선시대 한글서간체의 조형적 특징을 응용하여 새로운 한글서예작품 창작이 이루어지길 제안해 본다. This thesis is to compare and study the composition forms of writing rule of various letters written in Korean that varied in the social classes during a certain period (1600s - 1800s) of the Joseon Dynasty. For this study, therefore, I analyzed particularly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rule that ware the sentence composition methods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I put the goal of this study on grasping the calligraphic value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nd searching out how to apply the grasping result to creation of calligraphic works written in Korean. In order to clearly show the composition forms of writing rule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by the famous calligraphic masters of that period from five social classes each of the Joseon Dynasty, I generally applied to this study several theories of writing rule including the study methodology of QIU ZHENZHONG (邱振中), a Chinese critic of calligraphy who recently analyzed and looked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forms of writing rule and the relevant contents of the letters written in Chinese. Calligraphic values are analyzed generally based on step-by-step analysis methodologies including analyzing methods of writing rule, structure rule, brushing rule and etc while the writing rule is analyzed particularly based on three writing rule theories including sentence location rule, lineal arrangement rule and character location rule. In order to look into the character location rule among such three writing rule analyzing methods, in this study, I divided the characters written on five pieces of letter written in Korean particularly into the composition form of axis line and composition form of figure. I selected five pieces of letter written in Korean by five calligraphers representing the Joseon Dynasty who were from five social classes each; a king, the King Hyojong, a queen, the Queen Jeongsoon, a court lady, the scribe lady Ms. Lee, a scholar, Chusa Kim Jeong Hee, and an ordinary class female, Ms. Lee from Yeoju. I took out the first six lines of each piece of the letters to analyze. This analysis result is summari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rule composition form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written letter kind as follows; In terms of the writing rule composition form, first,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during the Joseon Dynasty shows the characteristics as follows; The axis line of a single character is formed in such various ways as straight line, parallel, crossed line and etc, which are close-by each other in the five pieces of letter. In addition, analysis of the access level between circumscribed circles that appear as matrix forms in the five pieces of letter indicates that there are various shapes of contacted parts in distance, contacted parts in cross and over-laid parts. In terms of the social class, second,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during the Joseon Dynasty show the characters as follows; I analyzed the five pieces of letter written in Korean in terms of the general composition forms of their writing rule on their forms of axis line and circumscribed circular form. As a result, I revealed that the writing rule forms shown on all the five pieces of letter written in Korean are expressed in the ways as same as those of famous Chinese calligraphic works. As shown above,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osition forms of writing rule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during the Joseon Dynasty are as same as those of the famous Chinese calligraphic works, so that I can propose that the characters used in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re also calligraphically valuable enough.

      • KCI등재

        18세기 이후 한글 편지에 나타난 ‘-- ’ 변 화 양상

        한주희(Han Ju hee)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2 No.-

        이 논문은 한글편지를 대상으로 중세국어에서 객체 높임의 기능을 수행하던 ‘-- ’의 변화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세기 이후 ‘-- ’은 객체 높임의 기능을 보이거나, 화자를 겸양하여 청자를 높이는 부수적 기능을 수행하는 양상을 보인다. 19세기 이후 객체 높임의 기능은 어휘로 남아있고, 청자높임의 종결어미로 문법화한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한글 편지 자료은 17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송준길 가의 것이다. 현재까지파악된송준길가소장한글편지의발신자는61명이고, 편지건수는429건으로 40건은<선세언독>에수록되어있고, 그외374건은낱장으로되어전해진다. <선세언독>의 40건과낱장96건은판독되어역주작업이진행되어136건의송준길가한글편지의판독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미판독된 약 200여건의 한글편지를 판독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확인 결과, 송준길 가의 한글편지에 나타난 ‘-- ’의 변화에 따른 청자 높임법의 양상 역시기존에연구된한글편지와동일하다는것을발견할수있었다. 즉17세기이후객체 높임의 기능의 잔재로 현대 국어에 남아있는 어휘 ‘여쭙다, 받잡다’ 등의 기능과는 별개로서 화자 겸양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화자를 겸양하여 청자를 높이는 부수적 기능을 하던 ‘-- ’이 19세기 이후에는 상대 높임으로 문법화되는 현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the function changes of ‘-( sa p)-’ in letters of Song Jungil family since 17th century. The senders of letters are 61people, and the numbers of letters are 429 pieces. About 136 letters were deciphered. So this study is aim to remained 200 letters. Since the 17th century, ‘-- ’ demonstrates the function of enhancing the objective or modests the speaker to enhance the listener.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the function of enhancing the objective remains a vocabulary, and it grammaticalizes as a ending of the ending of the listener. The letters of Han-gul are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o explain concretely, ‘-- ’ had been a pre-ending of objective honorific in 15th century before the change to a pre-ending of speaker modesty in 17th century. Since then it has been changed the speaker modesty to the listener honorific ending in 19th century. Today it is confirmed ‘-ㅂ/습니다’ ‘-- ’ s hows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 contemporaneousness but the letters are written that is why the grammatical forms are conservative. Although those features, this study has to be given the meaning of confirming the function changes ‘-( sa p)-’ This Hangeul letters have not been deciphered perfectly until now. They need to decipher in the next study.

      • KCI등재

        오숙재 송익흠의 "보아, 제사, 발인" 관련 한글편지 해독 고찰

        김경순 ( Kyung Soon K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1 No.1

        이 논문은 오숙재 송익흠(1708~1757)의 難解한 한글편지를 고찰하여 解讀하고, 이 편지의 干支를 推定하는 것이다. 조선시대에 필사체로 쓴 한글편지의 정확한 해독은 모든 학문의 기초 자료로써 인문학 연구의 선결 과제이다. 올바른 판독이 전제되지 않고는 오독으로 인하여 논문에 오류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송익흠이 부인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15편 중에서 ‘보아, 졔, 발인’과 내용의 연관이 있는 듯한 <한글간찰 52>, <한글간찰 59>, <한글간찰 61> 3편을 살펴보았다. 송익흠의 한글편지는 기존의 판독과 해독이 책으로 출판되었으나 이 책을 참조하여 이견이 있는 부분을 수정하고자 하였다. 송익흠의 한글편지 <52>, <59>, <61> 3편은 판독과 해석에서 각 편지의 원문도판을 실었고, 기존의 판독과 이견이 있는 부분은 글자를 굵게 써서 밑줄을 그었으며, 판독내역에서 기존의 판독과 이견이 있는 글자를 비교하였다. 해석에서는 판독과 주석에서 정정한 것을 토대로 고어를 현대어로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썼다. 해제에서는 각 편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간지를 추정하였다. 판독의 실제에서는 이견이 있는 글자를 송익흠의 다른 글자와 운필을 비교하여 초성·중성·종성의 개별 판독으로 비교하였다. 송익흠의 글씨는 可讀性의 문제가 있긴 하였으나 운필의 일관성은 있었다. 초성 ‘ㅇ’은 두 번 운필하여 마무리하였으나 ‘ㄴ’과 판별이 난해하여 기존 판독과 이견이 있었다. 또한, 중성 ‘ㅕ’의 두 가로획은 실선으로 운필하여야 하나 허선으로 운필하였으며, 두 가로획 사이의 연결선은 虛線으로 운필하여야 하나 實線으로 운필하였으므로 판독할 때 난해하여 기존 판독과 이견이 있었다. 종성 ‘ㄱ’의 세로획은 왼쪽 사향으로 운필하였으나, 기존 판독에서 ‘ㄴ’으로 판독하여 이견이 있었다. 송익흠의 한글편지 3편은 干支가 모두 없어 ‘보아, 졔, 발인’의 편지 내용과 날짜만으로 추정하였다. 이 편지 3편에 쓰여 있는 ‘보아’는 ‘報恩 官衙’를 뜻하며, 송익흠은 보은현감을 역임하였다. 보은현감으로 재직한 때는 1754년 12월 8일부터 1757년 11월 10일까지이다. ‘발인’은 숙조부 송병익의 재취부인 완산이씨가 1756년 4월 4일 타계하였다. ‘제사’는 조부 송병하(1646~1697.4.5.)가 4월 5일 제사이었다. ‘보아’, ‘제사’, ‘발인’과 관련된 편지는 <52>, <61>, <59>의 3편으로, 1756년 4월 16일~1756년 4월 26일까지 11일 사이에 걸쳐 소식을 보냈다. 그 결과 이 편지는 모두 송익흠이 보은현감 재직 때 보낸 편지로 내용이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52>는 1756년 4월 16일에, <61>은 1756년 4월 22일에, <59>는 1756년 4월 26일에 쓴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므로 이 편지는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52>→ <61>→ <59>의 차례로 편집되어야 한다.이미 송익흠 한글편지 15편에 대한 판독과 독해가 책으로 출판되었으나 필자와 견해를 달리하는 부분이 있어, 이와 비교하여 판독·주석·판독내역·해석을 수정하였다. 송익흠 한글편지의 干支 추정은 편지의 연결되는 내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난해한 송익흠 한글편지의 재해독은 오독으로 인해 논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study sought to study and decipher the illegible letters of Ohsukjae Song Ik-heum (1708~1757) written in Korean alphabet and to assume the ganji (sexagenary cycle) of the letter. Accurate deciphering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lphabet in the scripts of the Joseon era is a prerequisite task of the humanities studies, as a basic material for all studies. This is because, without the presumption of proper decoding, many errors may occur in articles due to misreading. This article examined the three pieces of ‘Hangeul Ganchal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52,’ ‘Hangeul Ganchal 59,’ and ‘Hangeul Ganchal 61,’ which seems related in its contents to ‘Boa (Boeun Guana where public officials handled government works), Jesa (ancestral ceremony), Balin (coffin bearing ceremony) among the 15 letters written by using Korean alphabet, sent by Song Ik-heum to his wife Yeo Heung-min. The previous decoding and deciphering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lphabet by Song Ik-heum has been published into a book, and this research sought to revise the conflicting parts by referring to this book. The three pieces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lphabet by Song Ik-heum, ’52,’ ’59,’ and ’61,’ contain the original plates of each letter in the decoding and interpretation sections, and parts conflicting with the existing decoding were underlined and marked in bold, and the letters conflicting with the existing decoding were compared in the decoding details section. In the interpretation section, the archaic words were written in an easy way in contemporary language to allow easy understanding based on the revisions made in the decoding and annotation sections. In the section providing general explanation of the letters, the contents of each letter were analyzed to estimate the ganji. In the actual decoding section, conflicting letters were compared by individual decoding of the initial consonant, vowel, and final consonant by comparing with the other letters and writings of Song Ik-heum. The letters of Song Ik-heum have an issue of readability, but his writings show consistency. The initial consonant ‘ㅇ’s were finished by writing it twice, but, due to the difficulty of distinguishing it with ‘ㄴ,’ a conflict appeared with the existing decoding. In addition, the two horizontal strokes of the vowel ‘ㅕ’ had to be written in a solid line, but it was written in an imaginary line, and the connecting line between the two horizontal strokes had to be written in an imaginary line, but it was written in a solid line. Therefore, a conflict was shown with the existing decoding due to the difficulty in decoding. The vertical stroke of the final consonant ‘ㄱ’ was written in a left skewed direction, but it was decoded into ‘ㄴ’ in the existing decoding, resulting in a conflict. The three pieces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lphabet by Song Ik-heum all lacked ganji, and thus, was estimated only based on the contents and dates of the letters of the ‘Boa, Jesa, Balin.’ The ‘Boa’ written in the three letters means ‘a place where public officials handled government works at Boeun,’ while Song Ik-heum served as a Boeunhyeongam. The period whern he served as a Boeunhyeongam was from December 8, 1754 to November 10, 1757. ‘Balin’ means the death of Lee from Wansan, the second wife of Song Byeong-ik, the brother of his grandfather, on April 4, 1756. ‘Jesa’ means the ancestral ceremony held on April 5 for his grandfather Song Byeong-ha (1646~1697.4.5). The letters relating to ‘Boa,’ ‘Jesa,’ and ‘Balin’ are ’52,’ ’61,’ and ’59,’ which were sent between the eleven days from April 16, 1756 to April 26, 1756. As a result, these letters have connected contents, as they were sent while Song Ik-heum served as a Boeunhyeongam. Therefore, it could be assumed that ‘52’ was written on April 16, 175 , ‘61’ on April 22, 1756, and ‘59’ on April 26, 1756. Consequently, when considering the contents of these letters, the letters should be compiled in the order of ‘52’ a ‘61’ a ’59.’Although the decoding and reading of the 15 letters written in Korean alphabet by Song Ik-heum have been published in a book, some parts of the book differ from this writer’s perspective. Therefore, the decoding, annotation, decoding details, and interpretations were modified by making comparisons. Assuming the ganji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lphabet by Song Ik-heum provided a key to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connected contents of the letters. The re-deciphering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lphabet by Song Ik-heum may allow to prevent in advance the errors that may occur in articles due to misreading.

      • KCI등재

        왕실 여성의 한글편지: 자료의 특징과 소통 양상

        이승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7

        본고는 조선 왕실 여성의 한글편지를 대상으로 자료의 특성과 소통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크게 두 가지 내용을 다루었다. 첫째, 현전하는 왕실 여성 한글편지의 현황을 정리하고 내용을 분류하였다. 2021년 발표된 <흥은위가 한글편지>의 사례가 보여주듯, 최근까지도 왕실과 관련된 한글편지 자료는 계속 새로 발굴되어 연구되는 중이며, 기존 자료에 대한 새로운 설명이나 오류의 수정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2023년 현재까지 알려진 왕실 여성의 한글편지를 시대별, 발신자별로 나누고 자료의 수, 발신자와 수신자의 관계, 소장처 등을 새롭게 정리하였다. 또한 편지의 내용도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으로 나누고 각각을 좀 더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본고에서는 한글편지를 통한 왕실과 사대부 가문의 소통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19세기 초에 혜경궁이 외손자와 주고받은 편지와 정순왕후가 조카와 주고받은 편지를 서로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혜경궁과 정순왕후는 비슷한 나이의 왕실 여성이며 19세기 초에 쓰인 이들의 한글편지는 사대부 친족과 주고 받은 ‘문안 편지’라는 점에서 공통된 면이 있다. 그러나 두 사람의 개인적, 정치적 상황이 다른 만큼 내용의 측면에나 언어 표현의 측면에서 차이점이 드러남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왕실 여성 한글편지의 개인 간 비교뿐만 아니라 세대 간의 비교, 또한 같은 시기 왕실과 사대부가 한글편지의 비교 등이 더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조선 후기 왕실 문화와 언어를 더 자세히 규명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paper, two major contents were dealt with for Hangeul letters of royal women in Joseon dynasty. The first is to organize the current status of royal women's Hangeul letters and classify the contents. As the case of <Hangeul letters of Heung-eunwi Family> released in 2021, new Hangeul letter materials of the royal family has been discovered and studied until recently, and new explanations or errors on existing data have been continuously corrected. Reflecting these new research results, the number of Hangeul letters of royal women known as of 2023 was divided by era and sender, the number of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sender and receiver, and the collection place were newly organized, and the contents of the letters were also divided into private and public. Second, in this paper, I will compare Hyegyeonggung's Hangeul letters exchanged with her grandchildren to Queen Jeongsoon's letters with her nephew, which are both royal womens letters in the early 19th century. Hyegyeonggung and Queen Jeongsun are both royal women of similar age, and their Hangeul letters have something in common as "Mun-an(問安) letters" exchanged with their relatives of noble family, but their Hangeul letters show difference in terms of content and language expression, caused by difference of their personal and political situations. If more comparisons are made between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generations of royal women's Hangul letters, as well as comparisons between the Hangul letters of the royal family and noblemen during the same period, it will contribute to clarify the royal culture and language of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근대 이전 한글 애정 편지의 양상과 특징

        이기대(Lee Gi-da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8 No.-

        본 논문은 근대 이전에 작성된 한글 애정 편지의 양상과 그 특징에 대해 관련기록과 실제 자료를 토대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편지가 남성과 여성이 공식적인 부부의 관계를 맺지 않은 상태에서 주고받은 것이라는 점에서, 이들 편지를 통해 근대 이전의 애정문제에 대한 사실적 접근을 시도한다. 한글 편지를 활용하여 부부의 관계가 아닌 인물들이 애정의 감정을 주고받았다는 것은 한글 창제 이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부터 관련 기록을 통해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궁궐 안의 궁녀나 후궁도 애정 편지를 보내고 있으며, 궁궐 밖의 민간인들도 남녀 간의 은밀한 감정을 편지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를 보여주는 편지의 실제 자료로 공개된 것은 19세기에 작성된 것들이다. 이들 편지의 내용을 보면 서로에 대한 일상적인 관심에서 경제적 문제에 대한 고민, 애절한 사랑의 고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 가운데 상대방의 감정을 확인하고자 편지를 보내지만, 이것이 받아들여지지 못하여 괴로워하는 내용의 편지들이 주목된다. 이처럼 부부가 아닌 남녀가 애정의 감정을 담아 보낸 한글 편지는 현대적 의미로 연애편지라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근대 이전의 애정 문제에 실질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한글 편지를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remodern Hangeul (Korean alphabet) love letters which men of noble family exchanged with concubine and gisaeng (woman professional entertainer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in the pre-modern. In this study, their relationships were considered private relationships since they were not any official couple in marriage, and the letters they exchanged with each other were considered love letters on the basis of content in letters. The historical fact that Hangeul letters were used for people of private relationships to exchange any sentiment of affection was well evidenced by relevant records from the period that was not long after the invention of Hangeul as Korean alphabet under the supervision of King Sejong. In particular, it is historically evidenced that court ladies and royal concubines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exchanged love letters with men of nobility, and even common people outside court exchanged love letters with others in their private relationships. An actual evidence of these love letters has been lately found to originate from the 19th century. It is found that content of this evidence in form of letter develops in a variety of aspects including usual interests for each other, concerns about financial difficulties and confession of pathetic love. Particularly, it is noteworthy that there were some premodern Hangeul letters that were written by sender to confirm partner’s intentions but ended up in agony of mind due to unaccepted proposal of sender. Hangeul letters written with any sentiment of affect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in their private relationships, not in marital relationships, are reasonably considered ‘love letters’ in our contemporary sense. In this contex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premodern Hangeul letters to take a practical approach to matters of love affair before modern time of Korea.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 편지 서체에 나타난 "운(韻)"의 미학적 토대 연구 -계층별.시기별로 나타난 흘림체 이어쓰기를 중심으로-

        정복동 ( Bok Dong Jeong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6 No.-

        본고는 한글 서예 미학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韻’을 주제로, 한글 편지 서체의 미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미적 요소는 흘림체에서 도출하였는데, 특히 흘림체 이어쓰기에서 여운이 남기는 미감을 특징적으로 파악함에 있어서 직선형은 절제미로 규정하였고, 곡선형은 자연미로 규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자료는 조선시대 한글 편지 가운데 발신자와 발신일이 추정 가능한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고, 이를 시기별.계층별.성별로 구분하여 대표성을 지닌 85건을 선정하였다. ‘운’에 관한 서예 미학 범주는 ‘기운’에 근거하고 있으며, 한글서체에 대한 ‘운’의분석방법은 ‘應物致知’에 기인하여 탁월한 理想美를 밝히는 것으로, 개인별 연결 글자를 분석한 결과 크게 두 가지로 규정할 수 있다. 첫째, 한글 서체의 장법이 세로획〔ㅣ〕중심인 것은 세로획이 다음 글자와 연결될 때에 직선의 형세에 의해 운필이 절제되었는데, 이는 문법 단위인 어절별로 띄어 쓰는 형식이 많아 절제미로 규정하였다. 둘째, 자형의 중앙에 중심이 있는 장법은 자소와 자소 혹은 단일문자와 단일문자가 연결되는 획이 자유롭게 運腕되었다. 세로획도 길이.굵기.기울기.공간 등이 변화를 주어 다양한 곡선의 형세로 운필하였을 뿐만 아니라 어절별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비어절인 경우에도 강한 필세로 이어서 운필하고 있다. 이는 문법의 장애를 받지 않고 마음을 따라 마치 하늘이 쉬지 않고 운행하듯이 사람의 기식이 쉬지 않고 이어지는 ‘기운’에 의해 기세의 변화가 일어난 것이라는 점에서 자연미로 규정하였다. 조선시대 한글 편지 흘림체의 ‘운’에 대한 曲直형세를 분석한 결과 개별적인 차이는 있으나 남성인 왕과 사대부가 남성은 정조대(1790년)를 기점으로 정조대 이전은 曲勢의 자연미가 유행하였고, 정조대 이후는 直勢인 절제미가 유행하였다. 여성인 왕비와 궁녀, 사대부가 여성은 남성보다 이른 시기인 효종대의 인선왕후(1659년)부터 절제미를 보이기 시작하는데, 18세기부터는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 사용이 활발하면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의 감성을 표출한 것이 늘어났다. 하지만 19세기에는 일부 왕후와 사대부가 궁녀 모두 최고조의 절제미를 이룬 궁체가 정착되면서, 남성 또한 18세기 이후 절제된 神韻을 보인다. 한글 서예에서 ‘韻’의 미학적 특징은 1550년 이후부터 발굴되기 시작한 한글 편지의 흘림체에서 그 특징이 두드러진다. 현존하는 조선시대 한글 편지의 자료는 상당수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본고는 궁중과 사대부가의 한글편지 중에서 시기와 발수신자를 알 수 있는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자료는 대부분 한자 서예의 경험과 학행이 뛰어난 계층들이 필사한 것으로, 그들이 지향한 知行合一과 修己治人의 세계관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고 본다. 따라서 비록 편지글의 서체이지만 장법이나 용필 등에 한글 서예의 미학적 특징과 서체의 변천을 논하기에 손색없는 자료이다. 이에 실제의 작품을 분석하되 수치를 이용한 비율로써 객관성을 확보하였다는데 연구의 가치가 있으며, 한글서예의 미학적 기초 자료가 되리라 본다. This paper analyzed chirography of letters in Korean, emphasizing rhyme in order to establish foundation of Korean calligraphy. Artistic factors, which were subjects of analysis, were derived from cursive handwriting. In particular, I analyzed beauty of lingering imagery, and defined straight lines as art of moderation, and curves as art of nature. Research subject were derived from letters written in Korean from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several criteria of selecting letters. When and where the letters were written must be trackable, and 85 among them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in three categories; time, social class, and gender. Art of calligraphy on ‘Rhyme’ is based on ``Vigor``, fundamental frameworkof analysis on ``Rhyme`` of Korean calligraphy is to figure out ideal of beauty, there are mainly two types of ``Rhyme``, based on analysis of connecting characters of each individual. First, vertical strokes are widely used. When they are followed by the next letter, shape of the stroke determined style of writing. From these letters, there were many uses of spacing separate words, making this an art of moderation. Second, core of the letter wa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letter to freely express connection between consonant and vowels, and a letter and another letter. Vertical stroke displayed changes in length, thickness, tilt, and space to express various curves. Even when not writing a full word, strong strokes were displayed. This is an art of nature as a writer’s intent was not leashed by grammar, like no one can hold the sky, it is an art of natural vigor without restriction of grammar. Based on analysis of curves and straight lines of ‘Rhyme’ displayed in letters of Joseon dynasty, Many kings and nobleman in the era before the King Jungjo (1790) were attracted by the art of nature (curves) in calligraphy despite slightest personal differences. After the King Jungjo’s reign, art of moderation (straight lines) was more popular. Queen Insun and maids of honor started to use art of moderation since the era of King Hyojong (1659). Beginning 18th century, ladies of noble family became active users of Hangul (Korean characters), enabling them to freely express their emotion without restriction to formats. However, from 19th century, as queens and maids of honor from noble family were attracted to the art of moderation, men’s writings showed the art of moderation as well. Aesthetic traits of ‘Rhyme’ in the Korean calligraphy became distinctive from correspondences excavated after 1550. Significant portion of correspondences from the Joseon dynasty was discovered. However, my research focused on correspondences of the royal and noble families that let us know when and who wrote them. The majority of these letters were hand-copied by skilled people in Chinese calligraphy, reflecting their beliefs; synchronization of knowledge and action, and becoming life examples and enlightening the others. Therefore, those letters are useful enough in estimating aesthetic traits (use of strokes and sentences), and changing trends of Korean calligraphy. Value of the research is derived from objective and measurable analysis on works of the Joseon dynasty. I believe that this research would be aesthetic foundation of study on the Korean calligraphy.

      • KCI등재

        <순원왕후 한글편지> 한자어에 대한 고찰 -‘한자 어기 +-다’ 구성의 한자어를 중심으로-

        고홍희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연구 Vol.38 No.-

        편지는 오랜 시기를 거쳐 사람들 사이에 안부, 소식, 용무 등을 적어 상호 교류를 하는 도 구로 사용되어 왔고 중요한 역사 자료로 남아 있다. 15세기 훈민정음의 창제로 16세기 중반 이래, 많은 한글 편지가 현전하고 있다. 한글 편지는 당시의 실생활이 그대로 녹아 있고 일상 어휘를 풍부하게 담고 있으며 어순이나 어휘 선택에 있어서도 자연스러운 한국어의 질서에 따랐다. 이러한 자료적 특성으로 한글편지는 근래에 국어학 분야와 역사학 분야 등에서 중요 한 자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궁중 서신 <순원왕후 한글편지>에 나타나는 한자어를 전반적으로 검토해 보고 한자어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순원왕후 한글편지>는 수렴청정을 해 온 순원왕후가 친정의 형제와 조카에게 쓴 편지로 안부나 소식을 묻고 전하는 등 일상생활 관련 내용은 물론, 왕실과 조정 관련 내용들을 많이 담고 있고 분량도 적지 않다. 그러므로 <순원왕후 한글편지>에는 다양한 형태와 의미의 한자어들이 많이 나타난다. 이러한 한자어 들은 19세기 한글편지에서의 한자어 사용 양상, 특히 왕실 및 사대부 계층에서 사용된 한자어 양상을 잘 보여준다. 필자는 <순원왕후 한글편지>에 나타나는 한자어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 피는 과정에 기타 한문 문헌, 그리고 비슷한 시기의 필사본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한자어와의 비교를 통해 19세기 한글 편지에 나타나는 한자어의 특징과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영인 자료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기존 판독문에 나타난 판독 오류와 잘못 제시된 한자를 정정 하였다. As one of communicating tools, a letter is used by people to enquire wellbeing, pass news, and communicate business. The ancient letters passed on are the most meaningful historical documents. Since the creation of Hunmin jeong-eum in 15th century, especially, in the middle of 16th century, numerous Korean letters passed on have been found, which reflect the actual reality including rich daily expressions. The letters followed the natural Korean rules to choose the word order and vocabular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Korean letters have become important documents for the Korean study and historical study.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use of Chinese words through the study of all Chinese words in Empress Sunwon’s Korean Letters. Empress Sunwon’s Korean Letters were written by Empress Sunwon reigning behind a curtain to her brother and nephew, which includes not only inquiries about wellbeing and living of daily life, but also includes information about royal family and court. Therefore, there are a large number of Chinese words with various forms and different meanings. These words exhibit accurately the use of Chinese words in Korean letters of 19th century, especially used by members of royal family and court. This paper studies the use of Chinese words in Empress Sunwon’s Korean Letters and compares the Chinese words in manuscript classics novels in the same period in order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use of Chinese words in Korean letters of 19th century.

      • KCI등재

        조선조 3代 왕조 부부의 한글편지<御筆諺簡>서체 형성의 상관관계 고찰

        박정숙(Park Jung sook) 한국서예학회 2018 서예학연구 Vol.32 No.-

        조선 왕조 3종혈맥(三宗血脈)으로 유명한 효-현-숙종 3대 왕은 우연하게도 명필가로 유명한 3종서맥(三宗書脈)으로 재탄생하였고, 삼대(三代) 임금의 왕비인 인선왕후, 명성왕후, 인현왕후도 역시 3종 서맥을 이루었다. 3종 혈맥의 조종격인 제17대 효종은 조선 역대 명필로 손꼽히는 왕이다. 이러한 효종 혈맥의 서예적 우월성은 이하 제18대 현종을 거쳐 제19대 숙종에 이르기까지 서맥이 이어졌고, 효종의 비인 인선왕후의 한글 궁체류 서간서체의 필사력은 며느리인 현종의 비 명성왕후, 그리고 손자 며느리이며 숙종의 비인 인현왕후에 이르기까지 한글명필로 그 명성이 이어졌다. 이러한 일련의 3대 왕과 왕비의 서사력은 서로 보이지 않는 서예적 영향을 받아 3종 서맥이 형성되었다고 본다. 1600년대 왕실에서의 한글편지서체 형성은 1700, 1800년대 궁중의 궁체형성의 효시역할과 1400년대 최초의 필사체인 상원사권선문(1464)의 한글서체 생성이후 큰 가교역할을 해 왔다고 볼 때 대단히 중요한 자료라고 말 할 수 있다. 이에 이들 서맥이 어떻게 이어지고,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서체적 유사성이 어느 정도인가를 이들 3대왕과 왕비 6인의 한글편지 분석을 통해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의 한글편지는 3대 왕과 왕의 부인 6인이 직접 쓴 115건의 편지 중 필사시기를 고려하여 효종 10건, 현종 10건, 숙종 8건, 인선왕후 10건, 명성왕후 7 건, 인현왕후 5건 등 전체 50건을 엄선하여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이 연구를 위해 이들이 남긴 한글편지 분석을 통해 3대 왕과 3대 왕비의 친필에 나타나는 장법의 특징, 문자결구의 특징, 자모 용필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기본으로 장법미, 결구미, 용필미를 비교하여 유사도(類似度 : 싱크로율 : synchro率)의 상관관계 정도를 파악한다. 장법의 분석으로는 배자형식 분석으로 축선형식, 외형중첩형식을 분석하여 부합도 정도를 분석하고, 결구법 분석으로는 초중성합자, 초중종성합자를 분석하며, 용필법 분석은 기본자모음 28종의 구조를 분석하여 최종으로 고부간(인선:명성, 인선:인현, 명성:인선), 부부간(효종:인선, 현종:명성, 숙종:인현) 등으로 나누어 6인의 서체 유사도를 검증하여 관계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3대 왕 중에는 현종과 숙종과의 유사율이 가장 높고, 효종과 숙종과의 유사율이 가장 낮았으며, 3대왕비 중에는 효종비 인선왕후와 명성왕후와의 유사율이 가장 높고, 인선왕후 : 인현왕후와 명성왕후 : 인현왕후의 유사율은 비슷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3대 왕과 왕비 즉 부부간의 유사율은 효종:인선왕후와의 유사율과 현종:명성왕후의 유사율이 비슷하게 아주 높고, 숙종:인현왕후의 유사율이 아주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가까이에서 생활을 한 부자간의 왕 사이나 부부간의 왕과 왕비 사이의 유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효과로는 명필서체 발굴 응용에 따른 예술적(학문적) 발전 기여도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이 논문에서 분석한 유사도(싱크로율)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일반 가문별 서체의 특징을 찾아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King Hyojong, King Hyeonjong and King Sukjong were known as the royal lineage of three kings in Joseon dynasty, and they were coincidentally famous for calligraphy, so they were also noted as the calligraphic lineage of three kings. Their wives Queen Inseon, Queen Myeongseong and Queen Inhyeon were also renowned for calligraphy. The 17th King Hyojong was one of the best calligraphers in Joseon dynasty, and the 18th King Hyeonjong and the 19th King Sukjong succeeded to his calligraphic superiority. In addition, Hyojong’s wife, Queen Inseon’s ability to write the court style of Hangeul script in letters was succeeded by her daughter-in-law and granddaughter-in-law, and her reputation as the master calligrapher continued to them as well. The transcribing abilities of three kings and three queens formed the calligraphic lineage of three kings due to invisible calligraphic influences. The Hangeul chirography in letters in the royal court in the 1600s was the beginning of forming the court style of writing Hangeul script in the 1700s and 1800s, and it has played a role as a bridge to develope the court style of writing Hangeul script since Hangeul chirography of Sangwonsa Gwonseonmun(1464), the first handwriting script in the 1400s, was formed. Therefore, the letters written in Hangeul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Thus, by analyzing the Hangeul letters of these three kings and three queen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their calligraphic lineage are connected, what kind of influence they have, and how similar the chirographic similarity is. Among the 115 letters written by the three kings and the three queens, 50 letter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and the Hangeul letters to be covered in this study are: 10 letters of King Hyojong, 10 of King Hyeonjong, 8 of King Sukjong, 10 of Queen Inseon, 7 of Queen Myeongseong, and 5 of Queen Inhyeon.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disposition law, character structure, and brush wielding in the handwritings of the three kings and the three queens. Based on this analysis, it investigated a correlation of degree of similarity by comparing them based on the disposition beauty, the structure beauty, and the brush wielding beauty. It investigated the degree of conformity by analyzing the type of disposing characters based on the axial type and the shape superposition type in terms of the disposition law. It analyzed the combined character of initial consonant and vowel and the combined character of initial consonant, vowel, and final consonant in terms of the structure law. At last, it examined the structures of 28 fundamental consonants and vowels in terms of brush wielding law. Therefore, it tried to figure out the relation by verifying the similarity of six people’s chirography dividing into two groups: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Inseon:Myeongseong, Inseon:Inhyun, and Myeongseong:Inseon) and the couple (Hyeongjong:Inseon, Hyeonjong:Myeongseong, Sukjong:Inhy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