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변혁운동의 페레스트로이카 담론 1988~1992

        유진숙(Ju Jinsook)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8

        본 논문은 한국 변혁운동의 페레스트로이카 관련 저술의 번역·수용 과정과 논쟁 과정에서 이루어진 담론구조의 변화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담론분석은 구성주의적 맥락 하에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비판적 담론분석의 이론틀에 근거하여 크게 상황, 가치와 목표, 수단과 목표의 세 가지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한국의 변혁운동은 1980년대 중·후반 전통적인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하는 민중민주파(PD)와 주체사상을 추종하는 민족해방파(NL)로 나뉘어 치열한 한국사회성격 논쟁을 전개한 바 있다. 페레스트로이카와 소련 사회주의체제의 붕괴라는 외적 충격에 당면하여 이 두 가지 분파의 전략적 노선과 두 분파 간의 담론적 역학관계는 근본적인 변화를 거치게 된다. 첫 번째, 페레스트로이카 논쟁은 1980년대 후반 NL -PD 논쟁구도의 종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PD가 주도하였던 ‘한국사회구성체논쟁’은 단절되었으며 마르크스주의적 패러다임은 결정적으로 이론적·실천적 영향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두 번째, 페레스트로이카 논쟁은 한국 변혁운동의 전략노선 수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그 방향성과 강도는 진영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난다. PD 진영은 전반적으로 이념적 온건화가 이루어진 가운데 수정주의·사회민주주의·중진자본주의 등의 대안적 노선들로 분화·해체되어갔다. 반면 페레스트로이카 논쟁에 소극적으로 참여하였던 NL 진영은 주체사상을 대안으로 내세움으로써 비교적 장기적으로 이념적·조직적 통일성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분석 결과는 페레스트로이카라는 외적 변수가 어떻게 마르크스주의 연구의 취약성과 민주화라는 내적 변수와 맞물리면서 한국 변혁운동 담론구조의 변화와 상이한 전략적·실천적 노선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준다. 이 결과는 또한 구성주의와 담론분석의 이론적 유효성을 검증해준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political discourse of Korean radical social movements regarding Perestroika. It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among external factors, discourse, and political practice, focusing on the process of reaction and revision of the strategic line of the social movement. Based upon the theoretical frame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analysis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value and goals, circumstances, and means-goal. The radical social movement in Korea in the mid-1980s was divided into two factions, the PD (people’s democracy), which supported the orthodox Marx-Leninism and the NL (National Liberation), which advertised Juche ideology from North Korea. Faced with the major crisis caused by the external factors of Perestroika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system, these factions reacted with various interpretations and perceptions. Meanwhile, one of the main issues was the revision of the strategic perspectives of the social movement. The debate regarding the Korean social characteristics was stopped abruptly, and the Marxist paradigm has lost political effect. In contrast, the Juche ideology, representing itself as an alternative to Marxism, continuously gained influence in the social movement. The Juche faction could initiate the building of the Tongjin Party in 2010 as well as the Minjung Party in 2017.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how the external factor, Perestroika, was differently interpreted, and how that different interpretation has caused the different change of the strategic line. This result demonstrates the explanatory power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KCI등재

        1980년대 학생운동이 남긴 한계와 1960년 2·28 민주운동을 통한 학생운동 정신의 복원* - 독일 1968년 학생운동과 한국 1987년 학생운동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태근 ( Kim Tae Keon ) 대한정치학회 2023 大韓政治學會報 Vol.31 No.2

        한국사회는 경제적 불평등과 정치적 대결에서 초래되는 심각한 사회적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여건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태이다. 오랫동안 사회의 주축세력으로 존재하는 386세대가 기득권을 지키려는 경향을 보여주면서 사회변화의 가능성이 줄어든 반면 청년층은 각자도생하는 무한경쟁의 소용돌이 속에 저항과 비판의 힘을 상실하였기 때문이다. 청년층이 기성세대인 386세대에 대한 반감과 혐오의 감정을 드러내는 이유이다. 본 연구는 과거 민주화운동에 헌신하고 정치 민주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는 386세대의 현재 모습이 1980 년대 학생운동에서 이미 예견된 결과라는 점을 역사적 과정을 통해 추적한다. 이어서 이것을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독일의 68세대의 학생운동의 전개과정과 이후의 경로를 비교할 것이다. 본 연구가 두 연구의 비교를 통해 최종적으로 주목하는 것은 60년대 학생운동 특히 대구지역의 2·28 민주운동이다. 이념, 정치적 권력 그리고 물질적 논리에 함몰되지 않았던 지역 고등학생의 사회변화에 대한 열망을 되짚어봄으로써 현시대의 동시대인들이 추구해야 할 이상이나 가치를 다시 한번 상기해 볼 기회를 가져볼 것이다. Korean society is experiencing serious social conflict caused by economic inequality and political confrontation. However, the conditions for resolving these conflicts are currently difficult. While the 386 generation, which has long been the main force in society, shows a tendency to protect its privileges, the potential for social change has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younger generation has lost its power of resistance and criticism amidst the endless competition for survival. This is why the younger generation expresses resentment and hatred towards the 386 generation. This study traces the historical process of how the current state of the 386 generation, which is evaluated as having dedicated itself to past democratization movements and contributed to political democratization, is a result that was already anticipated in the 1980 student movement. Subsequently, in order to clarify this point, we will compar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ubsequent path of Germany's 68 generation student movement. Finally,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2·28 Democracy Movement in the Daegu region, especially the student movement of the 60s, in order to revisit the aspirations for social change among local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not sunk into ideology, political power, and material logic,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mind contemporary people of the ideals and values they should pursue.

      • KCI등재
      • KCI등재

        근현대 동아시아에서 지성과 담론의 교류 ; 한국 사회주의운동의 전환, 레닌을 어떻게 보았는가 -변혁적 활동가들의 러시아혁명 인식의 과거와 현재-

        황동하 ( Dong Ha Hwang ) 수선사학회 2013 史林 Vol.0 No.45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Russian Revolution in Korea`s Socialist Movement during 1980`s∼2000. After the defeat of Kwangju uprising, beginning in 1985, Marxism started to introduce in earnest. Also Lenin`s Work is starting to circulate. Naturally extra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Marx-Leninist Revolution ideology and the Russian Revolution as it`s historical practice. The Russian Revolution was a compass so as to expose the absurdity and contradictions of the Korean Society, and to change this society a better place. The task of revolutionary movement was settled in the liberal-democratic framework no longer. The world could be change, and must to change. For this realization, the revolutionary movement was applied concretely the Marx-Leninist Ideology in korean society. ``Professional Revolutionaries`` was born and tried to construct ``Vanguard party``. Like this, ``Leninist craze`` in the 1980`s grew from the practical task in Korea`s socialist movement. But the Russian Revolution is accepted as the ``model`` of the revolutionary change, not as the vividly historical experience. After the collapse of the ``real socialism``, the activist, who the socialism accepted as a ``model``, get into uncontrollable confusion. In the Korea`s socialist movement the most of revolutionary activist laughed ``revolution`s motherland`` and forgot utterly. Consequently they go into liquidation the socialist movement. But as the contradiction of the neoliberalism is raging, a few activist try to succeed to the legacy of Russian Revolution, that is the experience and its significance of Russian Revolution. After the collapse of the ``real socialism``, it is at this point that Russian Revolution is considered as ``vividly experience``. In that respect after 1980`s Russian Revolution was the thought of the times.

      • KCI등재

        촛불시위의 사회문화적 변화와 의미

        김종법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2019 동북아연구 Vol.34 No.1

        This paper will analyze the political meanings of 'Candlelight Demonstration' in 2016, concentrating on the analysis of social-cultural changes after Keun-Hye Park’s government and comparing it to the previous cases of candlelight demonstrations. The Korean democratic system had been so fast changed into a more regressive one since Myoung-Park Lee's government. But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 recurred in 2016 was a crucial phenomenon that could be interpreted as a new form of democratic political participation to resist against the deterioration of Korean democratic system. This study argues that we can understand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 in 2016' as a new symbolic sign of Korean democracy, providing some explanations of the processes and social-cultural impacts of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 in 2016'.

      • KCI등재

        새로운 시대의 깃발이 되기를 바라며: 『역사연구』 창간호-49호 분석

        정일영 역사학연구소 2024 역사연구 Vol.- No.50

        『역사연구』는 창간호부터 지금까지 대중과의 거리, 기획성, 공동연구의 키워드를 중요한 가치로 여기고 간행되었다. 창간 당시와 많은 것이 변화한 현재, 초창기의 가치를 지켜가며 담론의 장인 『역사연구』를 지속시키려면 이제까지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역사연구』 50호를 맞아 창간호부터 49호까지의 학술적 변화와 편집 방향의 변모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창간 과정 속의 논의. 우여곡절과 극복 과정, 각 호의 특집 주제 선택, 수록 논문 의 내용과 경향, 그리고 학술지가 보여주는 연구 경향에 중점을 두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학문 생태계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가 『역사연구』의 방향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고찰한다. The Journal of History has been published since its inaugural issue with a focus on key values such as accessibility to the public, thematic planning, and collaborative research. Given the many changes that have occurred from the time of its launch to the presen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ast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to continue maintaining the journal’s early values and its role as a platform for discourse. This paper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scholarly changes and editorial evolution from the first to the 49th issue of The Journal of History on the occasion of its 50th issue. It particularly focuses on the discussions during the founding process, the challenges and their resolutions, the selection of special topics for each issue, the content and trends of the included papers, and the research trends demonstrated by the journal. It examines how the changes in the academic ecosystem over time and societal demands have been refl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Journal of History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