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속을 통한 복된 통치'로서의 하나님의 나라

        이복수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2 고신신학 Vol.- No.4

        It is a general tendency for the Kingdom of God to be understood as God's rule. Yet there can be the following two problems in this inclination. First, that it is easy for the Kingdom of God to be confused with God's general rule according to His providence. In fact, God governs over the present world with absolute power. This government is also His rule. In thsi case, it can be said thate the Kingdom of God is the same as His general rule over the world. The other problem can be traced in missio Dei (mission of God), which is emphasized in the Ecumenical theology of mission. For the aim of missio Dei is the establishment of shalom (peace) on earth by sesolving social problems. Yet the Ecumenical theology of mission emphasize this establishment of shalom as the Kingdom of God. When the Kingdom of God is stressed in this way, the Kingdom of God cannot be understood as the establishment by the works of the Church, but as by everything that God is directly doing in the world. This understanding is also from the tendency that God's general rule, according to His providence, is the Kingdom of God. Yet if the Ecumencial theology of mission stressed the Kingdom of God as God's special rule, it might not exclude the works of the Church in establishing the Kingdom of God. This thesis aims to emphasize that the Kingdom of God is not God's general rule, but His blessed special rule which is working in reconciliation through the redemption of Jesus Christ. The following aspects can be presented as the reasons why the Kingdom of God must be understood God's special rule. (1) The fact that the proclamation of the Kingdom of God includes the demanding of repentance. (2) The fact that Jesus teaches the Kingdom of God as His blessed rule through redemption. (3) The fact that the Good News means the news of God's blessed rule. (4) The fact that Jesus Christ is the founder of the Kingdom of God, came to this world as a propitiation in His blood. (5) The fact that there are some people who cannot enter into the Kingdom of God, even though they are under God's rule. By these biblical considerations, the Kingdom of God is not God's general rule, but His special rule in relation with the Christologicl foundation. This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must be the foundation of the Christian theology and of missionary works. "하나님 나라"를 간략히 "하나님의 통치"로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그런데 이러한 경향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문제성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는 하나님 나라를 하나님의 섭리적인 지배와 혼동할 수 있는 문제이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은 현 세계를 절대능력으로 다스리시면서 역사를 뜻대로 이끌어 나가신다. 여기 하나님의 다스리심 역시 하나님의 통치와 다를 바 없다. 이러한 경우에 현 세계에 대한 하나님의 다스리심은 곧 하나님의 통치와 다를 바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다른 하나의 문제점은 현대선교신학의 강한 한 흐름으로서 에큐메니칼 선교가 강조하고 있는 하나님 선교(missio Dei)에서 표출되는 경향이다. 하나님 선교는 사회문제의 해결로 지상에 샬롬의 건설을 선교의 목적으로 내세운다. 그런데 그러한 샬롬 건설이 곧 하나님 나라이라는 것과 이러한 하나님 나라를 위한 기독교의 선교는 교회와 상관업서이 하나님이 세상에서 행하시는 모든 일이 곧 선교라는 입장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이해는 하나님의 섭리적인 일반 통치를 하나님 나라로 이해하는 경향에서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하나님 나라를 하나님의 특수한 통치로 이해한다면 구속받은 공동체로서 교회를 배제하는 입장에서의 샬롬 건설을 기독교 선교의 목적인 하나님 나라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하나님 나라를 하나님의 단순한 통치로 이해하기보다 하나님의 특별 통치, 즉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을 통하여 하나님과 화해가 이루어진 토대에서 하나님의 복된 통치로 강조하면서 그것의 타당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하나님 나라의 선포에 회개의 촉구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은 하나님이 이미 세상을 통치하고 있는 영역과는 다른 특수한 통치라는 사실이다. (2) 예수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가르침에는 화목제물로서 자신을 영접하는 토대위에 있는 하나님의 복된 통치로서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3) 하나님 나라의 복음이란 의미 역시 특수한 통치의 복된 소식이라는 사실이다. (4) 하나님 나라의 유일한 건설자인 예수 그리스도가 화해 사역을 위해 오셨다는 사실이다. (5) 성경은 현재 하나님의 지배 아래 있는 인간들이지만 그러나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는 사람이 있음을 가르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상과 같은 성경적 고찰에 의하면 하나님 나라는 단순한 하나님의 통치라고 이해하기보다 특수한 통치로서 기독론적인 이해가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수직적 차원이 무시되는 신학의 경향은 물론 기독교 선교가 단순히 사회 개선으로만 흐르는 경향들을 막아서면서 수직과 수평의 균형을 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예수의 하나님 나라운동, 그것이 주는 시민운동의 함축성

        소기천(Ky Chun So)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1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1

        하나님의 나라는 기다려야만 하는 미래적 실체인가 아니면 지금 경험되는 실체인가? 이에 답은 부분적으로 현재이며 부분적으로 미래라는 것이다. 예수는 하나님 나라의 오해를 교정하기 시작한다. 사람들은 하나님의 나라가 관찰 가능한 표적과 함께 도래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예수는말씀한다. "아니다, 하나님의나라는그처럼보는것으로오지않는다. 비록 내가 로마를 전복하지 않으며 지상의 왕국을 세우지 않는다 해도 나는 나라의 도래이다." 하나님 나라의 현재에 관한 분명한 언급은 마태복음 12:28이다. 바리새인들은 예수가 바알세불의 힘을 빌려 악령을몰아냈다고고발한다. 28절에서예수는이렇게답한다. "만일내가 하나님의 영의 힘을 통해 악령을 몰아낸다면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가운데 있다." 오늘 메시지의 핵심은 하나님의 나라는 현재적이고 미래적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하나님 나라의 신비이다. 그리고 이는 두 가지 간단한 적용으로 이어지는데, 하나는 격려이고 다른 하나는 경고이다. 한국교회는 시공간이라는 제한적인 사고방식에 머물러서 하나님의 나라가 지니고 있는 현재적이며 동시에 미래적인 역동적인 통치 개념을 망각하고 행동한 적이 많이 있었다. 하나님의 나라를 전파하신 예수 그리스도는 우선 제자들을 선택하여 훈련시키심으로써 다음 세대를 위한 부흥을 준비하셨다. 이제 한국교회는 온 우주가 하나님께서 통치하시는 터전이 될 수 있도록 인간을 통해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선교"를 이루어 나가야 한다. 하나님의 나라는 현존하는 실체이면서 동시에 미래에 성취될 유업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하여 일하는 사람들은 하나님께서 일하신다는 신앙을 가지고 하나님의 통치가 온전히 나타나기를 기도해야 한다. 과거에도 하나님 나라의 선교를 오직 그 뜻하신 대로 이루신 하나님께서 다음 세대에도 교회를 부흥시켜 주시기를 간절히 기도한다. 이땅에 다시 뜨거운 성령의 바람이 불어오게 하자. Is the kingdom of God a future reality to be hoped for or a present reality to experience now? That's today's question in this paper; The answer is that it is partly present and partly future. Jesus begins to correct a misunderstanding of the kingdom-namely, that it would come with such observable signs that it would be unmistakable: Rome would be overturned, Israel would be vindicated, and an earthly kingdom would be established. Jesus said, "No, it is not coming in a way that can be observed like that. There is a mystery about the coming of the kingdom. It is here in your midst without those kinds of observable signs. It is here because I am here. I am the arrival of the kingdom, even though I will not overturn the Romans or set up an earthly kingdom (yet!)." Another clear statement about the presence of the kingdom is Matthew 12:28 (cf. Luke 11:20). The Pharisees accuse Jesus of casting out demons by the power of Beelzebub (v. 24). But Jesus has a very different interpretation of what's happening. He says in verse 28, "If it is by the power of the Spirit of God that I cast out demons, then the kingdom of God has come upon you."When Jesus does battle with Satan by the Spirit of God, and begins to plunder the strong man's house (v. 29), freeing people from his bondage, the powers of the kingdom are at work and the kingdom is already present. The point of today's message is that the kingdom of God is present and future. There has been fulfillment, but there has not been consummation. This is the mystery of the kingdom. And it leads to two brief applications, one an encouragement, the other a warning.

      • KCI등재

        하나님 나라와 복음전도

        하도균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4 복음과 실천신학 Vol.31 No.-

        본 논문은 복음전도의 핵심 주제로서의 하나님 나라에 관하여 살펴보고 있다. 복음을 전함에 있어서 그 핵심 내용을 어떻게 규정하고 전하느냐에 관한 문제는 중요한 문제인데, 그 동안 한국교회는 복음전도를 개인의 구원과 영생에만 초점을 맞추었을 뿐, 그것이 하나님 나라와 어떻게 연결되어 누리며 완성된 하나님 나라를 향하여 달려갈 수 있는지를 잘 설명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물론 죄에서 돌이켜 회개하고 구원을 얻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이기는 하지만, 하나님 나라와 연결되어질 때 구원받는다는 것을 또 다른 각도에서 하나님의 통치로 설명할 수 있고, 그 결과 성도로 하여금 이 땅에서 성도로서의 삶의 의미와 가치를 알아 완성될 하나님 나라를 기대하며 나아갈 수 있게 만들어 준다. 그렇지 못하다면, 하나님 나라는 성도들에게 죽어서만 갈 수 있는 나라로 여겨지며, 이 땅에서 성도들의 삶도 하나님 자녀로서 성경이 규정하고 있는 삶과 분리되어 어렵고 힘들게 살아가게 만드는 주된 이유가 되기도 한다. 또한 그리스도인의 완전이라는 구원의 큰 틀 안에서 서로 연결되어질 수 있는 신앙의 주제들이 각자 독립된 주제로 인식되어 혼란을 야기시킬 수도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왜 하나님 나라가 복음전도의 핵심주제가 되는지, 그리고 그 하나님의 나라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으며 또한 어떻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 예수와 바울의 모습을 가지고 신학적인 작업을 하였다. Today, most evangelism focus to individual's salvation and emphasize to get eternal life. Evangelism that focus in soul salvation was not wrong, but 'Is the image of such evangelism holistic?' can be brought a question. Because when Jesus preached the Gospel, he focused to save souls, but he mainly preached 'the Kingdom of God'. Then, is some relation with 'the Kingdom of God' and evangelism? If 'the Kingdom of God' must become point subject of evangelism, what is the even speak? Is some relation with 'Kerygma' and 'the Kingdom of God' that is principal substance of evangelism? This paper progressed relevant scientific study about these questions. Finding answers about the specific even speak, basis and purpose of evangelism in the Bible holistic and theologizing is important matter. Also, how to prescribe and preach the point substance in evangelism is important matter, too. I think that most established churches did not explain well how individual's salvation can be linked with the kingdom of God. When the individual's salvation is linked with the kingdom of God, it can explain by government of God in another point, and it can make christians realize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as christian, and expect and advance to the completed kingdom of God. If is not so, the kingdom of God is considered that it can go asleep to Holy Citys, and the life of christians in this earth might become detached with life that is defining in the Bible. Also, it can cause confusion because themes of faith that can be linked each other in big construction of salvation that is the perfection of Christian are realized to each absolute subject. Hereupon, this paper did theological work with evangelism of Jesus and Paul why the Kingdom of God becomes point subject of evangelism and how can explain and preach efficiently the Kingdom of God.

      • KCI등재

        하나님 나라의 사회 변혁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과제

        한경미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1 신학과 사회 Vol.35 No.3

        기독교교육의 주요 과제는 예수가 전한 하나님 나라 복음을 그리스도인들에게 가르치고, 하나님 나라 운동에 참여하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독교 역사에서 하나님 나라는 희랍적 관념 체계 따라 사후 개인의 영혼이 구원받아 이르는 ‘천국’ 개념으로 이해되었다. 기독교는 히브리인들이 고백했던 하나님의 통치가 모든 억압과 지배를 폐지하는 사회 변혁적 성격이 있다는 사실을 망각함으로써, 이 땅에 실현되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희망을 기독교 신앙으로 뿌리내리지 못하였다. 이 땅에 실현되는 하나님 나라를 증언하지 못했던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도구로서 역할을 상실하였고, 하나님 나라 실현을 저해하는 상황에서도 침묵의 길을 걸어왔다. 그 결과 현재 우리는 하나님 나라 실현만이 희망인 상황, 즉 분열과 갈등, 지배와 억압이라는 비평화적 상황과 생태계 파괴라는 생존 위기상황 속에 살아가고 있다. 그러므로 기독교교육은 하나님 나라의 사회 변혁적 성격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 나라 실현에 참여하는 성숙한 그리스도인을 양육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성서가 증언하는 하나님 나라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희랍적 관점에서 벗어나 ‘히브리신앙 전승’ 맥락에서 교육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히브리인들은 ‘출애굽 사건’을 통해 하나님은 역사와 무관한 초월자가 아니라 역사 속에서 인간구원을 위해 일하는 살아계신 하나님으로 고백하였다. 하나님은 인류가 저지른 억압과 착취, 평화 부재를 극복할 ‘샬롬’을 약속하였다. ‘유대인 예수’는 히브리신앙 전승 위에서 이러한 하나님의 약속을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그의 삶과 가르침은 하나님 나라를 위해 투쟁하는 ‘참 혁명가’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하나님 나라를 재발견하기 위하여 노력한 라가츠(Leonhard Ragaz), 칼 바르트(Karl Barth), 헬무트 골비처(Helmut Gollwitzer)의 통찰들은 하나님 나라 복음이 현세의 사회를 변혁하는 ‘혁명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들에게 자본주의 체제는 하나님 나라 운동을 저해하는 근본 원인으로서 인식되었다. 기독교교육은 이러한 통찰의 근원을 이루는 히브리신앙 전승을 토대로 성서, 하나님, 예수에 대해 새롭게 학습함으로써 하나님 나라의 사회 변혁적 성격을 이해하고, 오늘날 하나님이 우리 사회에서 무엇을 변혁해 나가고자 하는지를 발견하여 그 일에 참여하는 기독교 신앙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The main task of Christian education is to teach Christians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preached by Jesus and to educate them to participate in the movement for the kingdom of God. However, in Christian history, the kingdom of God has been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heaven’, where individual souls are saved and reached after death according to the Greek conception system. Christianity lost the socially transformative character of the reign of the living God that the Hebrews confessed, and the hope for the kingdom of God realized on this earth failed to take root in the Christian life. The church, which failed to testify to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on this earth, lost its role as an instrument of the kingdom of God and walked a path of silence even in situations that hindered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As a result, we are currently living in a situation in which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is our only hope, that is, in a non-peaceful situation of division and conflict, domination and oppression, and a survival crisis of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In this crisis situation, Christian education faces an urgent task of nurturing mature Christians who participate in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socially transformative nature of the kingdom of G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kingdom of God that the Bible testifies, it is necessary for Christian education to break away from the Greek point of view and educate it to understand it in the context of “tradition of the Hebrew faith.” Through the “Exodus Event,” the Hebrews came to have faith in a living God who works for human salvation in history, not in a transcendental God unrelated to history. God promised “Shalom” to overcome the oppression, exploitation, and absence of peace committed by mankind. “Jewish Jesus” tried to embody this promise of God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 Hebrew faith, and his life and teachings showed the image of a “true revolutionary” fighting for the kingdom of God. The insights of Leonhard Ragaz, Karl Barth, and Helmut Gollwitzer who worked to rediscover the kingdom of God assert that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has the ‘revolutionary’ that transforms the present world, not the afterlife. To them, the capitalist system was perceived as the root cause of hindering the movement for the kingdom of God.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learn anew about the Bible, God, and Jesus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 Hebrew faith that forms the source of this insight. This can help us understand the socially transformative nature of God's kingdom and discover what God is trying to transform today.

      •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종말론적 이해 : 위르겐 몰트만의 메시아적 종말론에 입각한 하나님 나라 이해를 중심으로

        곽혜원(Hyewon Kwak) 혜암신학연구소 2019 신학과교회 Vol.12 No.-

        Das Reich Gottes(= Himmelreich, Gottesherrschaft, βασιλεία τοῦ θεοῦ) ist eine Welt, in der Gott als der Herr aller Dinge in allen Dingen ist, in der alles im Mittelpunkt steht(1 Ko 15,28), und in der souverän regiert und herrscht. Jesus Christus begann seine Mission auf der Erde, indem er das Evangelium ausrief, dass das Reich Gottes näher gekommen sei(Mt 4,17; Mk 1,15). Das Gottesreich ist das Evangelium, das in der ganzen Kerygma des Neuen Testaments zusammengefaßt ist, und das ist der wichtigste Kern aller Worte und Aktivitäten Jesu. Weil das Gottesreich der Kern aller Worte und Aktivitäten Jesu ist, wurde es als ein praktisches zentrales Konzept des christlichen Glaubens innerhalb und außerhalb der Kirche anerkannt. Insbesondere für Christen wurde das Gottesreich als Zweck des Glaubens verstanden, was der Botschaft der Bibel entspricht, die sich auf das Gottesreich konzentriert und als den richtigen Glauben präsentiert. Aber das Problem ist, dass viele Mißverständisse entstehen, wenn man bedenkt, dass das Gottesreich auch in der christlichen Welt unterschiedlich ausgelegt ist. Wenn das Reich Gottes tatsächlich der Kern aller Worte und Aktivitäten Christi ist, dann haben alle Kirchen und Gläubigen auf der Erde Recht, und sie müssen mit aller Kraft das Reich umsetzen. Aber überraschenderweise hat das Gottesreich in der zweitausendjährigen christlichen Geschichte kaum Beachtung gefunden. Das Gottesreich war ein Gedanke, der von den religiösen Kräften der Realität völlig ignoriert wurde, obwohl es ein zentrales Thema der Bibel ist, ein Kernprinzip des christlichen Glaubens. Denn vertreten die institutionellen Kirchen, die anstelle des Gottesreiches religiöse Macht ausüben, das Gottesreich untreu. Was also ist mit dem Gottesreich in der koreanischen Gesellschaft 135 Jahre Geschichte? So sehr das Mißverständnis über das Gottesreich verbreitet ist, so ist die koreanische Kirche heute ein Mißverständnis der wahren Bedeutung des Gottesreiches. Natürlich werden die Kirchen und Gläubigen, die im 21. Jahrhundert leben, nicht in der Lage sein, die Worte Jesu wörtlich zu sagen und die von ihm vor 2000 Jahren ausgeübte Praxis in die Tat umzusetzen. Wenn die Kirche aber zu einer echten Kirche wird, wenn sie das Gottesreich richtig versteht und praktiziert, indem sie wirklich Gott ist, dann wird die koreanische Kirche solide sein und Gottes Evangelium wird aufblühen. Um das Reich Gottes zu verwirklichem, müssen die Kirche und die Glaubigen heute das wahre Erscheinungsbild des Gottesreiches zu Reicht anerkennen. Die erste Aufgabe wird darin bestehen, mit der grundlegenden Diskussion über das Gottesreich zu beginnen, Das Reich Gottes, das Jesus Christus aufgerufen hat, stammt ursprünglich aus dem Alten Testament und der langen Geschichte Israels. Das bedeutet, dass die Herrschaft Gottes in der Geschichte ein Begriff des späten Judentums ist, der den alten Glaubensbekenntnis des israelischen Volkes in ein Substantiv verwandelt hat: “Gott ist der Herr.” Dieses Reich Gottes bedeutet einerseits die Fähigkeit, eine große Wende der Geschichte zu führen, der mit der Wiederherstellung, Unabhängigkeit und Ehre des israelischen Volkes einhergeht(die politische Eschatologie), andererseits aber auch die Hoffnung auf ein eschatologisches Gottesreich hervorbringt(die apokalptische Eschatologie). Die politische Eschatologie und die apokalptische Eschatologie hatten einen großen Einfluß auf den Glauben der Zeitgenossen, auch in der Zeiten Jesu. Die doppelte Dimension des Gottesreiches führte in der christlichen Theologie zur intensiven Debatte über die Gegenwart und Zukunft des Reiches, die politische Eschatologie und die apokalptische Eschatologie. Es ist nicht übertrieben zu sagen, dass auch heute noch Fragen zu diesem 하나님 나라(βασιλεία τοῦ θεοῦ)는 하나님께서 만유의 주로서 만유 안에 계시고 만유의 중심이 되는 세계(고전 15:28), 곧 하나님이 주권적으로 다스리고 통치하시는 세계를 말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는 복된 소식을 선포하면서 공생애를 시작하셨다(마4:17; 막 1:15). 하나님 나라는 예수의 모든 말씀과 사역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이자 신약성서의 전 케리그마(Kerygma)로 요약되는 복음이기도 하다. 하나님 나라는 예수의 모든 말씀과 사역의 핵심이므로 교회 안팎에서 기독교 신앙의 실질적인 중심개념으로 인식되었다. 특별히 그리스도인들에게 하나님 나라는 신앙적 목적으로 이해되었는데, 이것은 하나님 나라에 집중하는 것을 올바른 신앙으로 제시하는 성서의 메시지에 일치한다. 그런데 문제는 하나님 나라가 기독교계에서조차 천차만별로 다양하게 해석됨으로써 많은 오해가 야기되는 점이다. 사실상 하나님 나라가 그리스도의 모든 말씀과 사역의 핵심이라면, 이 땅의 모든 교회와 성도들은 마땅히 하나님 나라를 구현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놀랍게도 2천 년 교회사에서 하나님 나라는 거의 주목받지 못해왔다. 하나님 나라는 성서의 중심 주제요, 기독교 신앙의 핵심 교리임에도 현실의 종교 권력에게는 철저하게 외면당했던 성서 사상이었는데, 왜냐하면 하나님 나라 대신 종교 권력을 휘두르는 제도권 교회 권력이 하나님 나라를 불충성스럽게 대리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하나님 나라가 135년 한국교회사에서는 어떠한가? 하나님 나라에 대한 오해가 팽배한 만큼 현재 한국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참된 의미에 대해 무관심한 실정이다. 물론 21세기를 살아가는 교회와 성도들이 2천 년 전 예수의 말씀을 문자 그대로 말하고 예수께서 행하신 사역을 그대로 실행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교회가 진정 교회다운 교회가 되고 성도가 진정 성도다운 성도가 되어 하나님 나라를 올바로 이해하고 실천할 때, 한국교회가 견고하게 바로 서고 하나님의 복음이 흥왕하게 될 것이다. 오늘날 교회와 성도들이 하나님 나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나님 나라의 진면목을 올바로 인식해야 하는데, 그 첫 관문은 하나님 나라가 역사 속에 등장하게 된 배경과 이를 둘러싼 핵심 논의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선포한 하나님 나라는 본래 구약성서와 이스라엘의 장구한 역사에서 유래한다. 즉 하나님 나라란 ’하나님은 주님이시다‘라는 이스라엘의 오랜 신앙고백을 명사로 바꾸어 놓은 후기 유대교의 개념, 하나님의 다스림이 역사 안에서 관철된다는 뜻을 내포한다. 이러한 하나님 나라는 한편으론 이스라엘 민족의 회복과 독립과 영광과 더불어 오는 나라, 곧 역사의 대전환을 가져오는 능력을 의미하지만(정치적 종말론), 다른 한편으론 묵시사상이 등장하여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에 대한 희망을 전개하였다(묵시적 종말론). 정치적 종말론과 묵시적 종말론은 예수 당시에도 동시대인들의 신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하나님 나라가 이중적·양면적 측면을 지님으로 인해, 그동안 기독교 신학계에서는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과 미래성, 정치적 종말론과 묵시적 종말론에 대한 치열한 논쟁이 이어졌었다. 오늘날에도 이 문제에 대한 질문은 예수가 선포한 메시지에 관한 토론을 지배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위르겐 몰트만(J. Moltmann)은 두 종말론을 모두 비판하면서 하나님 나라를 메시아적 종말론에 입각하여 해석한다. 성서가 증언하는 하나님은 새로운 생명의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메시아적 지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필자는 메시아적 종말론을 타당하게 본다. 하나님 나라는 21세기 한국교회의 중요한 주제로 부각됨으로써, 향후 한국교회가 올바르게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나님 나라를 어떻게 이해하고 이를 삶의 영역에 어떻게 적용 · 실천하느냐에 한국교회의 향방이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심도있는 신학적 연구와 실천 방안의 모색은 21세기 한국 신학계와 교계에 매우 절실히 요청되는 상황이다.

      • 오순절적인 하나님의 나라의 신학을 향하여

        김한경(Kim, Han-Kyung) 한국오순절신학회 2013 오순절신학논단 Vol.- No.11

        본 논문은 오순절 신학의 관점에서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전개하는 것이 어떠한 의미인지, 그리고 오순절 신학이 이러한 성찰을 통해서 신학 일반에 공헌할 수 있는 것이 어떤 것인지의 문제를 다룬다. 오순절적 신앙과 신학은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된 해석들, 즉 내면적, 윤리적 해석과 종말론적 해석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이해를 제시할 수 있다. 오순절 신앙과 신학의 핵심 내용인 사중복음 및 오중복음이 “성결케 하시는 주 예수”(Jesus the Sanctifier)에 대한 윤리적 고백과 “다시 오실 왕 예수”(Jesus the Coming King)에 대한 종말론적인 고백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는 점에서 이러한 포괄적 이해의 단초가 발견된다. 대체로 신학의 역사는 예수가 전한 하나님 나라 개념의 다면적이고 풍부한 모습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왔다. 오순절 신학 역시 하나님의 나라가 단 하나의 개념이 아니라 하나님이 왕이시라는 믿음에 깊이 뿌리박은 광범위한 생각들의 모음이라는 통찰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풍부하고 다면적인 하나님 나라의 본질을 보다 충실히 반영하는 신학을 전개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오순절 신학이 이러한 부분에서 공헌하고 있는 한 예가 신유와 하나님의 나라의 연관성에 대한 강조이다. 본 논문은 오순절주의의 신유 신학은 하나님 나라와 신유의 연관성을 경시하는 비오순절주의 신학 일각에 대해 도전을 제기함으로써 하나님 나라의 신학에 기여해왔음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오순절주의 역시, 보다 하나님 나라의 본질을 반영하는, 보다 깊이 있는 신유신학의 정립을 필요로 하고 있음도 지적한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바람직한 오순절 신유 신학의 정립을 가로막는 요소로 일부 오순절주의자들 사이에 퍼져 있는 승리주의적인 신유 이해를 비판하는 한편, 지연과 인내와 성장, 불가지론과 아픔 등 지상에서의 하나님 나라 체험의 요소들을 수용하는 보다 성숙한 오순절적 신유 신학 및 하나님 나라의 신학을 제안하고 있다. This essay addresses the question of what it means to reflect on the kingdom of God from a characteristically Pentecostal theological perspective as well as the question of how Pentecostal theology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kingdom of God. Pentecostal faith and theology have a potential for providing an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that embraces two opposite interpretations of the kingdom of God: the internal and ethical interpretation on the one hand, and the eschatological interpretation on the other. Such a potential is found in the Pentecostal confessions of “Jesus as the Sanctifier” and “Jesus as the Coming King,” the two confessions from the fourfold and fivefold gospels that emphasize both ethical and eschatological aspects of Jesus’ ministry. The Christian theological tradition has not sufficiently explored the multifaceted and rich connotations of the kingdom of God that Jesus preached. Pentecostal theology also has the task of developing a theology that is more faithful to the richness of the reality of the kingdom of God. Such a development can be better facilitated by the insight that the kingdom of God is not a single concept but a group of wide ranging reflections deeply rooted in the belief that God is king. An example of the Pentecostal contribution to broadening the concept of the kingdom of God is found in its emphasis on the connection between divine healing and the kingdom of God. This essay stresses that the Pentecostal theology of divine healing has provided a fresh reflection on the kingdom of God by posing a challenge against the non-Pentecostal theologies with a tendency of downplaying the significance of divine healing in relation to the kingdom of God. This essay also points out that the Pentecostal theology, on the other hand, needs to present a more profound and robust theology of divine healing in order to be true to the nature of the kingdom of God. One major obstacle to an adequate theology of divine healing has been the wide-spread triumphalism in the Pentecostal approach to the healing ministry. A mature Pentecostal theology of divine healing and of the kingdom of God should do more justice to the complex experiences of the kingdom of God on earth that include delay, patience, growth, agnosticism, and suffering.

      • KCI등재

        하나님나라와 하나님나라 전도 : 하워드 스나이더의 이론을 중심으로

        Musung Jung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2013 선교신학 Vol.34 No.-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반교회적, 탈교회적 상황이 확산되는 시대적 상황은 교회의 본래적 정체성에 대한 성찰을 절실히 요청한다. 이러한 교회 본질의 회복의 일환으로서 필자는 하나님나라와 하나님나라 전도(kingdom evangelism)를 하워드 스나이더의 이론을 바탕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총 6장으로 구성된 본고는 하나님나라의 성서적 개념, 하나님나라의 신학적 논의, 스나이더의 하나님나라 모델들을 순차적으로 탐구한 후, 영적, 사회적, 생태적 구원을 총괄하는 하나님나라 전도를 교회의 본질적 사명으로 제시한다. 스나이더에 따르면 하나님나라는 본질상 현재-미래, 이생-내생, 개인-사회, 점진-급진, 인적-신적, 교권-비(非)교권 등 6중적인 양극성을 수반한다. 이런 창조적인 긴장관계에 주목하면서 그는 하나님나라의 성서적 표현과 역사적 표출을 다음과 같이 8가지로 분류한다: 1) 미래의 희망, 2) 내면의 영적 경험, 3) 신비로운 사귐, 4) 제도적인 교회, 5) 대안 사회, 6) 정치적인 국가, 7) 기독교적 문화, 8) 지상의 유토피아. 이처럼 다양한 사상 중에서 스나이더의 주관심사는 재세례파, 스탠리 하우어워스 등과 경건주의, 스탠리 존슨 등이 각각 지향했던 ‘대안 사회’ 즉 전복적 하나님나라(subversive kingdom)와 ‘기독교적 문화’, 즉 변혁적 하나님나라(transformative kingdom)에 통합적으로 기울고 있는데, 이는 양자가(특히 후자가) 성서적으로 적합한 개시된 종말론(inaugurated eschatology)에 기반하고 상기한 6중적 양극성을 전향적으로 추구하기 때문이다. 또한 후자의 스탠리 존슨이 주창한 하나님나라의 우주적 복음에 경도된 스나이더는 하나님의 창조적 주권성과 인간의 청기기적 선교성에 주목하면서 생태학적 차원까지 아우르는 하나님나라의 전일성을 강조한다. 스나이더의 하나님나라 사상에서 교회는 하나님나라 공동체로 부름을 받았다. 세속적 집단과 성별된 선교 공동체로서의 교회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왕권의 범우주적 선포와 실현을 위해 즉, ‘회심(conversion), 제자화(discipling), 정의(justice), 문화(culture)’를 포괄하는 하나님나라 전도를 위해 세상으로 보냄을 받았다. 따라서 하나님나라 전도에 올곧게 집중할 때 교회의 정체성과 생명성은 최고로 발현되며, 바로 이 때 신적 샬롬이 영적, 사회적, 생태적으로 온 피조물의 삶에 회복되고 구현된다.

      • KCI등재

        하나님나라 운동으로서의 마을목회

        정원범(Won Bum Chu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3 No.-

        본 논문의 목적은 교회의 위기와 목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나님나라 운동으로서의 마을목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마을목회의 필요성을 두 가지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마을목회는 시대적 요청이다. 우리는 폭력의 위기, 생태계의 위기, 빈곤의 위기, 먹거리 위기, 공동체 해체의 위기 등 전 지구적이고 총체적인 생명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생명위기의 상황은 우리에게 생명을 살리고 마을을 공동체로 살려내는 마을목회를 요청한다. 둘째로, 마을목회는 선교적 교회론의 근본적 요청이다. 선교적 교회론에 있어서 교회의 존재 이유와 목적은 하나님의 선교이고, 그것은 세상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선교는 본질적으로 마을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선교적 교회론은 근본적으로 마을목회를 요청한다. 3장에서는 마을목회의 신학적 근거와 목표가 하나님나라라는 사실을 논구한다. 이것은 교회목회의 모델이신 예수의 사역 핵심이 바로 하나님나라였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그리고 교회의 목회가 마을목회이어야 한다는 사실은 예수의 하나님나라 운동이 교회뿐만 아니라 지역 마을, 지구마을을 아름다운 샬롬의 공동체로 회복하는 운동이었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이 장에서는 하나님나라 운동의 역사적 배경, 구약적 배경을 통해 ① 하나님의 나라는 미래적 완성을 기다리는 나라이기는 하지만 동시에 그것은 이 땅위에 현존하는 실제였다는 사실과 ② 그것은 구체적으로 이 땅 위에서의 자유, 해방, 치유, 회복, 기쁨, 정의와 평화가 이루어지는 새로운 마을 만들기 운동이었다는 사실과 ③ 예수의 하나님나라 운동은 로마제국의 억압과 착취로 인해 해체되어가는 마을 공동체를 새롭게 갱신하시는 혁명적인 마을변혁 운동이었다는 사실을 규명한다. 4장에서는 하나님나라 운동으로서의 마을목회의 과제를 여덟 가지로 제시한다. ① 마을목회는 마을 속에서 하나님나라의 실현을 꿈꾸는 영성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② 마을목회는 마을을 행복하게 만드는 행복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③ 마을목회는 마을의 고통당하는 사람들을 온갖 억압과 착취와 불의에서 자유롭게 하는 해방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④ 마을목회는 마을을 정의로운 공동체와 평화로운 공동체로 만드는 평화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⑤ 마을목회는 치유와 화해를 이루어가는 사랑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⑥ 마을목회는 마을의 가난한 자들을 살리고 돌보는 복지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⑦ 마을목회는 마을의 생태계를 살리는 생태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⑧ 마을목회는 마을 속에 생명과 평화의 문화를 꽃피우는 문화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이제 한국교회는 교회와 목회의 위기 상황 속에서 교회중심, 성장중심의 목회 패러다임으로부터 지역사회 중심의 마을목회, 하나님나라 목회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의 과제를 긴급하게 수행해야 한다. 왜냐하면 과거의 목회 패러다임은 예수의 하나님나라 운동의 관점에서 많이 벗어났기 때문이며, 동시에 그것은 혁명적으로 변하고 있는 오늘의 상황에도 부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 KCI등재

        칼뱅의 하나님 나라

        김선권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9 영산신학저널 Vol.0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the ideas of God’s Kingdom in Calvin’s theology appear and what its characteristics are. This study summarizes Calvin’s view of the Kingdom of God in three dimensions. They are: God’s Kingdom and believer, God’s Kingdom and church, and God’s Kingdom and the world. First, God’s Kingdom and believer is a soteriological level of God’s Kingdom. Salvation is to participate in the grace of justification which is to forgive and to justify and the grace of sanctification which is new in nature and life. Second is God’s Kingdom and church. Calvin’s concept of God’s Kingdom is characterized by “already” and “not yet.” God’s Kingdom’s present state is related to the visible church, and the future state is related to the invisible church. The visible church waits for eschatological achievement. According to Calvin, the Kingdom of God exist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Third is God’s Kingdom and the world. God’s Kingdom and the world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They are distinct but not separate. The church is the soul of the state, and the state is the body of the church. According to Calvin, Christ is not only the Lord of the Church and the believer excluded from the world, but the Lord of all things, including both reigns, and both states. 이 글은 칼뱅신학 안에서 하나님 나라의 사상이 어떻게 나타나며 그것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칼뱅의 하나님의 나라 사상은 성령의 조명, 예정, 중생, 성화, 종말, 신적 주권, 그리스도인의 삶, 그리스도와의 연합, 이중 통치, 그리스도의 우주적 통치 등의 수많은 주제와 연결되어 나타난다. 칼뱅의 하나님의 나라의 사상은 크게 세 가지 차원으로 구별할 수 있다. 첫째, 하나님의 나라와 신자이다. 하나님의 나라와 신자는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구원론적 이해이다. 구원은 용서하며 의롭다 하는 칭의의 은혜와 본성과 삶의 새로움인 성화의 은혜에 참여함이다. 둘째, 하나님 나라와 교회이다. 칼뱅의 하나님의 나라 개념은 “이미”와 “아직 아니”의 특징을 가진다.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은 가시적 교회와 관계하며, 미래성은 비가시적 교회와 관계한다. 가시적 교회는 종말론적 완성을 기다린다. 칼뱅에게서 하나님의 나라는 교회 안과 밖 모두 존재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나라는 교회보다 더 큰 개념이다. 셋째, 교회와 세상이다. 하나님 나라와 세상은 교회와 국가의 관계를 규정한다. 교회와 국가는 동일한 기원에서 나온 기관으로 둘 다 하나님 나라의 확장 수단이다. 교회와 국가는 대립되지도 국가 위에 교회가, 교회 위에 국가가 있지도 않다. 서로 구별되지만 분리되지는 않는다. 교회는 국가의 영혼이며, 국가는교회의 육체이다. 교회 밖에서의 그리스도의 우주적 통치는 육체 밖에서의 그리스도의 통치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성육신하고, 부활 승천한 하나님 우편에서의 그리스도의 통치이다. 칼뱅에게서 그리스도는 세상 나라로부터 배제되는 신자와 교회의 주만이 아니라, 두 통치·두 나라를 포함하는 만물의 주이시다.

      • KCI등재

        예수 전승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선교적 이해: Q자료를 중심으로

        김종성(Abraham J. S. Kim)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39 No.-

        하나님의 선교( Missio Dei )의 궁극적 목적은 하나님의 나라 (basilei,a tou/ qeou)를 이루어 가는 것이다. 하나님이 주체가 되셔서 이루어가는 선교는 ‘그의 나라와 그의 의’(마 6:33)를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19, 20세기를 거쳐 오는 동안 하나님의 선교에 있어서 하나님의 존재는 늘 선교의 주체가 되지 못했으며, 제국의 힘, 서구의 문화, 교육, 사상의 그늘에 가려져 있었다. 오늘의 한국교회의 세계선교도 대형교회 담임목사의 선교관, 선교사의 주관적 선교 이해, 교회 중심의 선교, 선교 단체 중심의 선교 그늘 아래 하나님의 선교의 본질적 요소가 무시되어 왔다. 필자는 한국교회가 세계선교에 대한 부정적 요소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속성과 하나님 나라의 본질에 대한 분명한 선교적 이해를 가져야 한다고 본다. 그래서 본 논문의 논지인 ‘하나님 나라에 대한 선교적 이해’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이시면서 세상에 오신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을 구체적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인 예수 전승 가운데서 특별히 Q자료를 중심으로 그 자료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에 대해 선교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첫째로, Q자료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는 하나님 나라는 초월적 내재성 속에서의 하나님 나라이다. 이 나라는 초월성과 내재성 사이의 긴장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선교의 범위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것은 현재의 요구와 초월자의 요구 사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하나 님의 선교는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가는 것이다. 그의 나라에 대한 선교적 이해가 없이 이루어지는 선교를 하나님의 선교라고 말할 수 없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이 계시는 곳, 하나님이 다스리는 곳, 하나님의 규율과 법칙이 존재하는 곳이다. 둘째로, 보편적 선민사상 속에서의 하나님 나라이다. 예수 전승을 통하지 않고 공관복음에 나타난 하나님의 나라를 이해하려고 할 때 독자의 혼동이 발생한다. 왜냐하면 하나님 나라가 이스라엘 민족만을 위한 것인지, 아니며 모든 민족과 족속을 위한 보편적이며 우주적인 하나님 나라를 언급하는 것인지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Q자료는 분명히 보편적 선민사상의 개념 속에서 이해된 하나님 나라를 말한다. 셋째로, 완전성 추구를 향한 온전성 속에서의 하나님 나라이다. 하나님은 완전하시고, 온전하시다. 그의 피조물인 인간은 완전할 수 없다. 그러나 하나님의 은혜로 온전해질 수 있다. 온전해지는 과정을 필자는 선교의 과정이라고 표현한다. 예수 전승이라는 텍스트와 21세기 교회와의 역사적 거리감을 극복하고, 하나님의 선교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마음, 뜻을 알아야 한다. 하나님을 인지하는 것은 직접 계시를 제외하고 는 환상과 계시의 통로가 되는 인간이 하나님을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따라서 다르게 표현되었다. 물론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이해도 달랐다. 예수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 나라를 이방 민족의 압제에서 벗어나 사랑, 평화, 공의를 누리는 샬롬의 나라로 이해했다. 그러기에 그들에게 있어서 하나님 나라는 묵시적 차원에서 도래할 것으로 믿었다. 하나님 나라는 현재적이며 미래적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세상에 오심으로 인해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였고, 그리고 우주적 완성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하나님의 나라를 본론에서 선교적으로 이해 했는데, 그 이해를 현상학적 차원보다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존재론적 의미 차원에서 논한 연구이기에 이러한 내용을 실천의 현장인 선교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과제가 우리들에게 있는 것이다. The ultimate purpose of the mission of God ( Missio Dei ) is to fulfill the Kingdom of God (basilei,a tou/ qeou). The mission work with God as the agent attains “his kingdom and his righteousness” (Matt. 6:33). However, over the 19th and 20th century, the agent of God has not remained as the active agent in mission, and its presence has been covered by the shadow of imperial forces, Western culture, education, and other ideologies. Likewise, in today’s churches world mission in Korea has also set aside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mission of God. The mission is overshadowed by the missiological views of senior pastors of mega-churches, by a missionary’s subjective understanding of mission, and by a church-oriented mission, as well as organization-oriented mission. Considering this, the author believes that in order for the churches in Korea to overcome the negative elements on world mission and to proceed to a more positive state, a clear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both the attributes of God and the essence of the Kingdom of God is necessary. Therefore, to fully comprehend the main argument of this present thesis, “the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it is required to comprehend concretely the Word of Jesus Christ: God the Son who came to earth. Among Jesus Tradition, which is the Word of Christ, this thesis will focus especially on the Q source for a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revealed in that document. First of all, the Kingdom of God presented in Q source is the Kingdom of God in transcendental immanence. This Kingdom should thus be perceived under the tension between transcendence and immanence. This also shows the range of mission. Moreover, this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the needs of the present times and of the transcendental being of God. The mission of God is fulfilling the Kingdom of God. The mission without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His Kingdom cannot be considered as the mission of God. Hence, the Kingdom of God is where God resides and reigns, and where His laws and principles exist. Secondly, this Kingdom of God is seen under universal elitism. The attempt to comprehend the Kingdom of God revealed in the Synoptic Gospel without Jesus Tradition confuses the readers, because it is not evident whether the Kingdom of God mentioned is referring to the one exclusively for the Israelites only or to a more universal one, which is for all nations and tribes. Nonetheless, the Q source clearly states the Kingdom of God from the universal elitism. Thirdly, this Kingdom of God is in completeness and geared towards perfection. God is perfect and complete. On the other hand, human beings, who are not perfect. But they can move toward completeness by the grace of Christ. Moreover, completeness is the portrayal of the ultimate stage of maturity that humans should aspire. Missionaries should also aim for completeness in their mission work. In order to not only overcome the historical distance between the Jesus Tradition and the 21st Century churc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God’s heart and His will. In the Old Testament, the recognition of God varied among God’s chosen people and the prophets according to their faith. Except direct revelation, the illustration on the perception of God differed for God’s servants were the means of vision and revelation— perceived God. Inde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also differed. The Kingdom of God is both in present- and future-oriented. The Kingdom of God arrived with the coming of Jesus Christ to earth, and it is proceeding to the universal completion. This Kingdom of God is comprehended in missiological perspective in the body of the thesis; however, since this thesis study is not i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but rather in an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now the duty to apply concretely this understanding in the mission field—which is the field for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