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fluence of Real Ear Resonance on Male Voice Formant Frequency

        허승덕(Seung Deok Heo),강희라(Hui Ra Kang),고도흥(Do Heung K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3

        배경 및 목적: 소리는 음장을 지나 외이도, 중이, 내이 등으로 상행한다. 외이도는 음향에너지 특성이 유지되는 곳으로 공명에 의해 말소리의 음향학적 특성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는 실이에서 음성의 포먼트 주파수를 분석하여, 외이 공명이 음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모음은 사용 빈도가 높은 /ㅏ/, /ㅣ/, /ㅜ/, /ㅔ/, /ㅗ/를 사용하였다. 음성은 남자가 발성하여 여자 12명의 외이도 내부와 이개 상부에서 각각 녹음하였다. 이들 음성은 포먼트 주파수를 분석한(Praat ver. 6.0.19) 후 기술통계 하였고, 대응표본 t-test (SPSS ver. 22.0)와 Wilcoxon test로 검증하였다. 결과: 음장과 실이 음성 사이에서는 /ㅏ/의 F3, F4, /ㅣ/의 F2, F3, F4, /ㅜ/의 모든 포먼트 주파수, /ㅔ/의 F2, F4, /ㅗ/의 F1, F3, F4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5). 논의 및 결론: 실이 음성의 포먼트 주파수는 공명, 음원으로부터 거리 등의 영향을 받아 주파수가 모아진다. 이러한 변화는 음색 및 개인 목소리의 특성을 해석하고 어음을 이해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Voice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EAC) is expected to change while being affected by the resonance of the concha cavity and the EAC. Acoustical analysis should include the frequency range of EAC resonanc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resonance of the EAC by analyzing formant. Methods: Male voiced monophthong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most frequently used vowels were /a/, /i/, /u/, /e/, /o/. Experimental voice in the real ear and sound field was recorded by 12 healthy young female subjects. Voic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Praat (ver. 6.0.19). The formant frequency of the sample and experimental voice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mple voice and experimental voice was analyzed by a paired t-test. Results: The voices between the sound field and real ear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F3 and F4 of /a/, F2, F3, and F4 of /i/, all formant frequencies of /u/, F2 and F4 of /e/, and F1, F3, and F4 of /o/ (p<.05). Conclusion: Voice in the real ear is collected under the influence of resonances, distance from the sound source, and rounding. Understanding these changes is expected to improve the analysis of timbre and individual voices and speech understanding.

      • KCI등재

        학령전기 경직형 하지마비 아동이 산출한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징

        박지은(Ji Eun Park),박은숙(Eun Sook Park),김향희(Hyang 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경직형 하지마비 아동이 모음발성 시 어떤 음향음성학적 특징을 보이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2세에서 6세 사이의 경직형 하지마비 아동군 15명과 정상 아동군 9명의 모음연장발성 수행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대연장발성지속시간, 주파수변동률, 진폭변동률, 소음 대 배음 비율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뇌성마비 아동군이 호흡능력이 저하되어 있으며, 성대조절능력이 부족하여 발성 기능 또한 저하된 것이 관찰되었다. 최대연장발성지속시간의 경우 정상 아동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최대연장발성지속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뇌성마비 아동은 연령에 따른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기본주파수와 모음의 제1포먼트, 제2포먼트에서는 뇌성마비 아동군과 정상 아동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상대적으로 상지 운동 능력이 양호한 경직형 하지마비 아동은 호흡․발성 능력은 정상 아동에 비해 저하되어 있는 반면 모음의 조음은 정상 아동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는 것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reports an investigation o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in the vowel phonation of preschool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due to cerebral palsy(CP). A group of 15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were compared to 9 normal controls in sustained /a/ phon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maximum phonation time, jitter percent, shimmer percent, and noise to harmonic ratio. The respiratory capacity of the CP children was reduced and phonation capacity was also impaired due to the defect in vocal cord control. Maximum phonation time of the CP children did not increase as age increased whereas that of the normal controls did. When average fundamental frequency, first formant, and second formant of vowel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no reliable difference was found. The results indicate that unlike other types of CP, spastic diplegia children with better upper body control have a similar ability to normal developing children in vowel articulatory ability compared to respiration and phonation.

      • KCI등재

        연령 세대에 따른 정상 성인의 모음 산출 특성: 포먼트 주파수, 모음공간면적, 스펙트럼, 켑스트럼 분석을 중심으로

        황은지(Eunji Hwang),최민경(Min-Kyung Choi),조재은(Jae-Eun Cho),김현주(Hyeon-Ju Kim),이영미(Youngme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1

        정상 노년 인구와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노년 인구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건강한 성인의 연령에 따른 음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청년 집단과 노년집단에 대한 표준 음향 데이터를 얻고 두 그룹 간의 음향음성학적 측정치 비교를 목표로 했다. 공개 음성 코퍼스(서울말 낭독체 발화 말뭉치, 버전 2.0)를 활용하여 건강한 성인 20명(청년층 10명, 노년층 10명)의 음성데이터를 선정했다. Praat software를 이용해 모음 샘플(/ㅏ/, /ㅣ/, /ㅜ/)에 대한 F₁, F₂, 모음공간면적, 주파수변동률, 강도변동률, 소음대 배음비, CPP, CPPs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청년층과 비교했을 때, 노년층은 모음의 F₂가 유의하게 낮았고, 청년층과 노년층 간 F₁, 모음공간면적, 스펙트럼 및 켑스트럼 측정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그룹 간 F₂의 유의한 차이는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측정치 중 F₂가 노화 음성을 식별하는데 있어 민감한 지표라는 것을 보여준다. F2값이 혀의 전후 움직임과 모음의 원순성을 반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결과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조음 동작, 안정성 및 유연성이 감소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Although studies on acoustic features of normal ageing population and elderly populatio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have been conducted,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n age-related changes of the voice in Korean healthy adults. The current study aimed to obtain normative acoustic data for young and elderly groups and to compare the acoustic parameters between the two groups. We selected the voice data of 20 healthy adults (10 young and 10 elderly adults) by utilizing the open corpus (A Speech Corpus of Reading-Style Standard Korean, version 2.0). The vowel samples(/a/, /i/, /u/) were measured and analyzed for F₁, F₂, vowel space area, jitter, shimmer, NHR, CPP, and CPPs by using Praat software. Compared with the young group, the elderly group had significantly low F₂ in vowels, while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1, vowel space area, spectral and cepstral measures between the young and the elderly group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F₂ between the two groups revealed that F₂ was a sensitive index, among vowel acoustic parameters, in identifying the ageing voice. Considering that the F₂ value reflects the anteroposterior movements of the tongue and vowel round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rticulatory movement, stability and flexibility decrease as the aging progresses.

      • KCI등재

        청각장애학생의 영어 발성 주파수별 특징 분석

        이근민,박혜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5 No.4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glish vocalization of deaf students and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ersonalized English learning aid tools that reflect its features. We visited hearing special schools in Seoul and Daegu and recorded English vocalization of the deaf students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af students’ English vocalization. We analyzed the data by Praat program, an professional voice analysis program. The voice features of deaf students’ English vocalization were extracted and then compared with those of non-deaf students’ English vocalization.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학생들의 영어 발성의 특징을 분석하여 그 특징들을 반영할 수 있는 맞춤형 영어 학습 보조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학생들의 영어 발성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서 서울과 대구에 있는 청각특수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녹음하였으며, 음성파일을 분석하기 위해 음성분석 전문 프로그램인 플라트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청각장애학생들의 영어 발성의 특징은 플라트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학에서 사용하는 음성의 특징 값들을 추출하여, 그 특징 값들을 이용하여 비장애학생의 영어 발성의 특징과 비교분석하였다.

      • KCI등재

        표준어와 경상 지역 방언의 한국어 모음 발음에 따른 영어 모음 발음의 영향에 대한 연구

        장수연(Soo-Yeon Jang) 한국음성학회 2021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3 No.4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표준어와 경상 지역 방언의 한국어 모음 발음의 영어 모음 발음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는 데 있다. 데이터 자료는 한국인의 영어 발음 음성 코퍼스(Korean-Spoken English Corpus, K-SEC)를 활용하였다. 이 중 일곱 개의 한국어 단모음이 포함된 단어와 열 개의 영어 단모음이 포함된 단어가 선정되어 분석되었다. 선정된 자료는 외국 거주 경험이 없는 성인 남성 표준어 화자와 경상 지역 방언 화자에 의해 발화되었다. 녹음된 코퍼스 자료의 포먼트 주파수는 음성 분석 프로그램인 Praat에서 제공하는 스펙트로그램을 통해 측정되었다. 녹음된 자료들은 포먼트 구역 그래프로 나타내어 분석되었다. 결과에 의하면, 한국어와 영어 모음의 발화에서 경상 지역 방언 화자가 강한 후설성을 보인 반면에 표준어 화자는 비교적 전설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표준어와 경상 지역 방언의 한국어 모음 발음 차이 (/으/, /어/)는 대치되는 영어 모음 발음(/ə/, /ʊ/)의 조음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지역 방언의 사용과 무관한 한국인의 일반적인 모음 발음 특징은 영어 원어민 화자보다 조음 구역이 좁다는 것이다. 이에 한국인은 전반적으로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영어 원어민 화자는 모음 조음에 명확한 구분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enhance English pronunciation education for Korean students by examining the impact of standard Korean and Gyeongsang regional dialect on the articulation of English vowels. Data were obtained through the Korean-Spoken English Corpus (K-SEC). Seven Korean words and ten English mono-syllabic words were uttered by adult, male speakers of standard Korean and Gyeongsang regional dialect, in particular, speakers with little to no experience living abroad were selected. Formant frequencies of the recorded corpus data were measured using spectrograms, provided by the speech analysis program, Praat. The record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rticulatory graph for formants. The results show that in comparison with speakers using standard Korean, those using the Gyeongsang regional dialect articulated both Korean and English vowels in the back. Moreover, the contrast between standard Korean and Gyeongsang regional dialect in the pronunciation of Korean vowels (/으/, /어/) affected how the corresponding English vowels (/ə/, /ʊ/) were articulated. Regardless of the use of regional dialect, a general feature of vowel pronunciation among Korean people is that they show more narrow articulatory movements, compared with that of native English speakers. Korean people generally experience difficulties with discriminating tense and lax vowels, whereas native English speakers have clear distinctions in vowel articulation.

      • KCI등재

        Acoustic Characteristics of Recorded-Voice Depending on Gender in the External Ear Canal

        Hui-Ra Kang(강희라),Seung-Deok Heo(허승덕)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3

        배경 및 목적: 모음의 음향 자질은 변형된 성도를 지나면서 달라지며, 해부학적 구조와 발화 습관 등이 다른 남녀 차이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소리는 외이를 통해 청각기관이 수용하며, 음향 특성은 성도와 마찬가지로 공명기인 외이도를 지나면서 더욱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남녀가 발화한 /ㅏ/, /ㅣ/, /ㅜ/, /ㅔ/, /ㅗ/를 외이도 내부에서 녹음한 음성의 포먼트 주파수를 분석하고, 남녀 차이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에는 10명의 여자(23세±3.77)와 8명의 남자(25세±3.68)가 화자로, 23세 남자 1명이 청자로 참여하였다. 음성 녹음은 탐침관을 연결한 두 개의 콘덴서 마이크를 이용하였다. 남녀 음성은 마이크를 이개 상부(upper pinna)와 고막 1 cm 가까이 외이도(external auditory canal) 내부로 삽입한 후 이수(lobule)에 각각 고정한 후 녹음하였다. 녹음한 음성은 F1, F2, F3, F4를 각각 구하여 기술통계하였다. 이개 상부와 외이도 내부 음성의 남녀 차이는 독립표본 t-test로 검증하였다. 결과: 이개 상부 음성의 남녀 차이는 /ㅏ/의 F1, F2, F3, F4 (p=.000), /ㅣ/의 F1 (p=.000), F3 (p=.012), F4 (p=.000), /ㅜ/의 F1 (p=.000), /ㅔ/의 F1 (p=.000), F3 (p=.000), F4 (p=.000), /ㅗ/의 F1 (p=.015), F4 (p=.000)에서 여자가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ㅜ/의 F2 (p=.039), /ㅗ/의 F2 (p=.004), F3 (p=.000)은 유의하게 낮게 관찰되었다. 외이도 내부 음성의 남녀의 차이는 /ㅏ/의 F1, F2, F3, F4 (p=.000), /ㅣ/의 F1 (p=.005), F2(p=.041), F3 (p=.023), F4 (p=.000), /ㅔ/의 F2 (p=.001), F3, F4 (p=.000)가 여자가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이개 상부 음성의 남녀 간 차이는 F1, F2, 원순 및 평순모음의 F3, F4 등에 영향을 받아 여자의 모음 공간이 전체적으로 넓게 관찰되었다. 외이도 내부 음성의 남녀 간 차이는 여자의 저모음과 고모음, 전설 및 후설모음에서 F1과 F2의 차이가 커졌다. F3은 여자의 원순과 평순모음에서 높아졌고, F4는 여자의 저모음, 고모음과 전설 및 후설모음에서 모두 높게 관찰되었다. 외이도 내부 음성의 남녀 간 모음 공간은 분명하게 구분되며, 특히 F3, F4의 모음 공간은 중복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관찰되었다. Objectives: The acoustic feature of vowels become different when they pass through the vocal tract, and also differ depending on gender differences such as anatomical structures and vocalization habits. Sound is perceived by the hearing organs through the outer ea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also become different by passing the outer ears, which act as resonators, just as the vocal tracts do.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mant frequency of the /a/, /i/, /u/, /e/, /o/ recorded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EAC) and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Methods: Ten female (mean age, 23±3.77 years) and 8 male (mean age, 25±3.68 years) participated as speakers, and 1 male participated as a listener. Two condenser microphones connected with a probe tube were used for sound recording. Male and female voices were recorded, which were fixed probe tube at upper pinna and in the EAC. After determining the F1, F2, F3, and F4, formant frequencie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Gender differences between upper pinna and EAC were examined and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in the upper pinna, female voices in F1, F2, F3, and F4 (p=.000) of /a/, F1 (p=.000), F3 (p= .016), and F4 (p=.000) of /i/, F1 (p=.000) of /u/, F1 (p=.000), F3 (p=.000), and F4 (p=.000) of /e/, and F1 (p=.015), F4 (p=.000) of /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voices. However, F2 (p=.013) of /u/, F2 (p=.000) and F3 (p=.000) of /o/ were significantly lower. On the other hand, in the EAC, F1, F2, F3, and F4 (p=.000) of /a/, F1 (p=.005), F2 (p=.041), F3 (p= .023), and F4 (p=.000) of /i/, F2, F3, and F4 (p=.000) of /e/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female participants. Conclusion: With respect to the gender difference of voice in the upper pinna, the female vowel space was observed to be spacious on the whole, affected by the F1 and F2, F3 and F4 of rounded and unrounded vowel. In case of the voice in the ear canal, the difference between low and high vowels and the difference between F1 and F2 of the front and the back vowels of the female participants became larger. F3 was higher in rounded and unrounded vowels of female participants. F4 was higher in low, high, front and the back vowels of female participants. In the ear canal, the vowel space of both genders showed conspicuous differences, and notably the vowel space of F3 and F4 was observed independently without any overlapping.

      • KCI등재

        음성 분석을 이용한 긴장 완화 지압점 자극 효과 분석 연구

        김봉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5

        In modern society, maintaining and managing a healthy life has become the greatest concern of daily life. In order to enjoy a healthy life, it is necessary to manage obesity, diabetes, and stress, which are the root causes of all diseases. In particular, when stress lasts for a long time due to physical and mental tension, it causes blood circulation, muscle stiffness, pain, and the like. As such, tension and stress contain many risk factors ranging from mild symptoms such as stiffness and pain to severe symptoms such as loss of consciousness and collapse. Therefore, in this paper, the effect of stimulating acupressure points to relieve tension among oriental medical theories is to be measured by voice signal analysis. To this end, acupressure was applied to the palm, back of the hand, and fingers, and voices before and after stimulation of the acupressure poi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Voice analysis parameters applied to the experiment were vocal cord vibration, pronunciation stability, and 2-formant frequency bandwidth. In addition, the program used for the analysis utilized the Prat voice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vocal cord vibration, pronunciation stability, and 2-formant frequency bandwidth were all reduced by the tension-relieving acupressure point stimulation. 현대 사회에서 건강한 삶의 유지 및 관리는 일상의 최대 관심이 되고 있다. 건강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만병의 근원인 비만, 당뇨 및 스트레스 등을 관리해야 한다. 특히, 스트레스는 신체와 정신의 긴장으로 오랜 시간 지속될 경우, 혈액 순환 및 근육 결림, 통증 등을 유발한다. 이와 같이, 긴장과 스트레스는 결림, 통증 등 경증부터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중증까지 많은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양 의학적 이론 중 긴장을 완화시키는 지압점 자극을 통한 효과를 음성 신호 분석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손바닥, 손등, 손가락 등을 지압하고, 지압점 자극 전과 후의 음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에 적용한 음성 분석 요소는 성대 진동, 발음 안정도, 2 포먼트 주파수 대역폭을 적용하였다. 또한, 분석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프라트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실험 결과, 긴장 완화 지압점 자극으로 성대 진동, 발음 안정도 및 2 포먼트 주파수 대역폭이 모두 감소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포먼트 주파수 대역폭 분석을 통한 좌온기 온도 설정과 신장 기능과의 상관성 분석

        김봉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2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건강한 삶의 질을 영유하기 위한 사회적, 정책적 노력이 반영되고 있다. 대표 적인 사례로, 의학 기술의 보편화, 대중화에 접목한 ICT 기반의 건강 관리 및 유지를 위한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 스가 제품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음성 분석을 통해 일반인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좌온기의 온도 설정에 따라 신장 기능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사상체질별 좌온기 온도에 따 른 음성 분석 결과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신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최종적으로, 양 체질의 경우 낮은 온도에서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음 체질의 경우 높은 온도에서 효과가 입증되었다. As we enter the age of aging, social and policy efforts to maintain a healthy quality of life are being reflect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various healthcare services for ICT-based health management and maintenance are being commercialized in conjunction with the gener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medical technology. Therefore, in this paper, through voice analysis, a method to improve the effect of kidney function was deriv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tting of the left warmer, which is wide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To this end, the change of the negative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left warmer for each Sasang constitution was measured and the effect on kidney function was studied. Finally, in the case of yang constitutions, the effect was proven at low temperatur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um constitution, the effect was proven at high temperatures.

      • KCI등재

        u-Health 시스템을 위한 음성신호 분석 기반의 간 기능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김봉현,조동욱,Kim, Bong-Hyun,Cho, Dong-Uk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8 No.6

        현대 사회에서 식습관의 변화, 스트레스, 음주 등으로 인해 다양한 간 질환이 발생되거나 악화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간 질환이 음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간 질환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간 질환자를 대상으로 입원했을 때와 치료로 인해 정상적으로 퇴원했을 때의 음성을 각각 수집하여 음성 분석 요소를 적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특히, 한의학적으로 간(肝)과 관련 있는 발음인 아음(牙音)에 대한 분석 실험으로 제3포먼트 주파수 대역폭과 발음 요소값을 적용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간 질환이 공명강과 발성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 지표로 출력하는 연구를 행하였다. 또한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u-Health 환경에서 간 기능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There is getting worse to various liver diseases due to change in eating habits, stress, alcohol etc in modern society. Therefore, we proposed methodology to diagnose early for liver disease to study the influence on voice in liver diseases. To this end, we carried out experiment to apply parameter of voice analysis to collect each voice inpatients and patients by treatment of liver diseases patients. Particularly, we carried out experiment to apply element value of pronunciation and the third formant frequency bandwidths about velar sounds associated liver in oriental medicine, then to produce objective index resonance cavity and influence vocalization in liver diseases. In addition, we carried out to study about design of system to monitoring a liver function in u-Health environment based on result by experiment.

      • KCI등재후보

        말소리 명료도와 모음공간면적의 상관성

        이옥분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코기토 Vol.- No.68

        이 연구의 목적은 말명료도와 모음공간면적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말명료도는 청자입장에서 화자가 발화한 메시지의 해석정도로 정의할 수 있다. 의사소통장애 영역에서 말명료도 평가는 구어장애를 가진 화자들의 말소리 지각과 산출에서 정상화자와는 다른 비정상적인 말소리 변화와 패턴을 감지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모음공간면적은 화자가 산출한 말소리의 음향학적 분석의 하나로써, 첫 번째 공명주파수(F1)와 두 번째 공명주파수(F2)값에 근거하여 산출된다. F1은 구강 내 혀의 높이, F2는 혀의 전후 자질과 관련되는데, 이 분석을 통해 말소리 문제가 있는 화자의 구강 내 혀운동 변화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모음공간면적과 말소리 산출특성 간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청각장애, 말더듬, 정신지체의 조음장애, 뇌손상으로 인한 마비말장애 등의 의사소통장애 영역에서 다양한 각도도 연구되어 왔다. 모음공간면적의 음향학적 분석결과는 말소리 평가의 청지각적 판단의 신뢰성을 뒷받침해 주는 중요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말명료도에 미치는 청지각적 변수들을 구체적으로 체계화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들이 있다. 말소리를 평가하는 청취자의 조건이나 청취환경, 화자가 산출한 메시지 길이, 발화의 문맥적 단서, 말소리의 언어학적 특성 등이 말명료도 평가의 획일화와 체계화에서 많은 연구적 고려점을 제시하고 있다. 적어도 말소리평가를 위한 구어 샘플의 언어학적 요소에 대한 적용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다학문적인 팀접근을 통한 말명료도 평가도구개발과 임상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speech intelligibility and vowel space area. Speech intelligibility can be defined the degree that a listener can recover the represented messages by a speaker.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 speech intelligibility test is very important to detect the problem and changes in speech perception and production in individuals with speech disorder. In respect of speakers, vowel space area based on the first formant frequency(F1) varying with tongue height and the second formant frequency(F2) varying with tongue advancement is also useful to check out the problems in speaking. Increased vowel space area can be said that the motion range of articulatory is increased. Many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intelligibility and vowel space area in dysarthria, stuttering, hearing impairment, etc. But there are many variables to influence to perceptual judgement by listeners, such as listening environment, message length, contextual cues, linguistic information in speaking, etc. So those variables controlled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intelligibility and vowel space area. At least, if linguistic components in speech stimuli can be unified in intelligibility test, it can be get the more meaningful and reliable results to describe the relation of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