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여성의 학습공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백정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2

        목적 본 연구는 공간이 생산된다고 주장한 Lefebvre의 관점을 활용해서 사회적 공간의 획일화에 대한 자율적 저항이라는 문제의식 위에 학습공간 참여자의 경험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참여자가 경험한 학습공간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참여 자의 학습공간 경험은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와 영향을 갖는가? 셋째, 참여자의 학습공간 경험은 어떤 평생교육적 의미가 있는가?로 정하였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연구자와 같은 지역에 살고 있는 3명과, 연구자가 근무하는 기관의 프로그램 참여자 3명으로 구성하여 2022년 10월부터 2023년 8월까지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들과의 선이해로 연구 변질을 가져오지 않기 위해 평생교육전공 박사 와 현장전문가에게 검토를 받으며 자료 분석과 해석과정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참여자들은 학습공간에서 미루었던 학습기회를 가질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배움 자체의 즐거움을 경험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학습공간에 참여하면서 지역주민들에게 학습을 촉구하여 사회적 변화의 뿌리가 되도록 도왔다. 셋째, 참여자들은 학습공간에서 다른 학습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활력을 얻었고, 지속적인 경험을 통하여 평생학습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결론 평생학습의 확대로 만들어진 학습공간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으로 또 다른 학습공간으로 재탄생됨을 밝혔다. 이를 통해 학습은 특정 공간뿐만 아니라 일상 곳곳에서도 이루어지며, 학습공간은 개인과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learning spaces based on Lefebvre's perspective, which claims that space is produced, focusing on the problem of autonomous resistance against the homogenization of social space.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ly, what is the meaning of the learning space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Secondly, what social significance and impact do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in learning spaces have? Thirdly, what are the lifelong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in learning space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three individuals living in the same area as the researcher and three participants from programs at the institution where the researcher work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22 to August 2023. To prevent any bias that might arise from the researcher's prior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the researcher sought the review of a doctoral expert in lifelong education and a field specialist during the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ss.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articipants were able to experience the joy of learning by having learning opportunities they had postponed in the learning space. Secondly,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space, participants encouraged learning among local residents, contributing to the roots of social change. Thirdly, the learning space provided vitality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participants and offered the potential for lifelong learning through continuous experiences. Conclusions It was revealed that the learning space created through the expansion of lifelong learning was reborn as another learning space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Through this, learning takes place not only in specific spaces but also in everyday life, and learning spaces have the potential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공간에 대한 선호도 분석

        김인숙(Insook Kim),양지희(Jihee Yang)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0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4 No.2

        평생교육은 제 4차 산업혁명, 사회적 갈등 증폭 등 불안정하고 급변하는 사회환경 속에서 지속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핵심전략으로써 그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 필요 공간에 대한 평생학습의 주체인 시민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향후 평생교육 공간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평생교육 공간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평생교육의 필요 공간 및 구성안을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평생교육 공간별 선호도를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25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량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도출된 평생교육 공간은 힐링공간, 첨단 스마트공간, 복합문화공간, 집중 학습공간의 4가지 대분류와 18가지 소분류로 분석되었다. 최종 제안된 4가지 공간의 세부 공간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힐링공간은 녹지공간, 카페 등 소통공간, 오락공간, 전신안마기 등이 비치된 휴식공간, 독립된 명상공간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첨단 스마트공간은 3D프린팅룸, XR(eXtended Reality, 확장현실)존, 드론체험장, 사물인터넷(IoT) 기술 융합 체험장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복합문화공간은 소공연장, 미술, 사진 작품 전시장, 세공, 드로잉 등의 실습장, 음악감상 및 악기 연주실, 사진 촬영 스튜디오로 구성하였다. 넷째, 집중 학습공간의 경우 도서관, 토론, 토의가 가능한 회의실, 개별 스터디룸, 오픈 스터디룸으로 구성하였다. 최종 도출된 18개의 평생학습 공간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평생학습 공간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공간은 첫 번째가 도서관, 두 번째가 녹지 공간, 세 번째가 카페 등 소통공간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평생학습 주체인 시민의 요구에 맞는 효과적인 평생교육 공간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scalating social conflict, Lifelong education is increasingly needed as a core strategy for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amid unst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citizen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lifelong education spa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is derived necessary space and composition plan for lifelong education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and confirmed the preference of each lifelong education space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the lifelong education space was analyzed in 4 sections and 18 subsections: The healing space, The high-tech space,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The intensive learning space. First, the healing space is composed of the green space, communication space, recreational space, rest space and independent meditation space. Second, The high-tech space is composed of 3D printing room, eXtended Reality zone, drone space and Internet of Things(IoT) technology space. Thirdly, The complex cultural space is composed of concert hall, exhibition, workroom for craftsmanship and drawing, music room for listening and playing and photo studio. Fourth, The intensive learning space is composed of library, conference rooms for discussion, individual study room and open study room. According to a survey on preferences of lifelong learning spaces, the first is a library, the second is a green space, and the third is a communicatio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create an effective lifelong education space that meets the needs of citizens who are the subjects of lifelong learning.

      • KCI등재

        G. Simmel의 사회적 공간담론의 교육학적 의미 분석 : 학습도시·창조도시·마을만들기 담론에의 함의

        이병준,박지연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4

        Until now, spatial problems have been traditionally treated in studies such as Philosophy, Mathematics,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etc. But, if the space is perceived as the place of social learning for human interaction, the space enters thinking system of pedagogical interests. Therefore, it's very significant to interpret pedagogically the discourse of G. Simmel who perceives the space as a social space. G. Simmel emphasizes 'subject' in the discourse on sociological space. And, he focuses how urban people make cognition during the spatial experience and how the subject can be formed by interaction in the city and space. The concepts he emphasizes, such as problem of ‘subject’, ‘spatial experience’, ‘cognition’ and ‘interaction’, show pedagogical relationship of spatial and sociological discourse. Especially, the friendship which is a core of social interaction in Simmel's discourse is an important concept which can guarantee both qualitative identity and quantitative identity and it is also related to Schleiermacher's educational theory. Recently, an importance of spatial planning is newly emphasized in the discourse of learning city, village creation, creative city, etc. Meanwhile, it's important to understand pedagogical meaning of Simmel's text. The behavior of spatial interpretation and spatial production in the city created by learning city, village creation and creative city doesn't consider citizens' social meaning community thoroughly, so it shows a limitation that it is on hardware or examined by simple standard for program. Now, spatial practice should be conducted by considering which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spaces will be produced and it will be plentiful when all of the discourses on social context, cultural value and educational meaning on the hidden side of urban space are performed together. 지금까지 공간의 문제는 전통적으로 철학이나 수학, 건축학이나 도시공학 등의 학문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공간을 인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학습의 장으로 인식할 경우 공간은 교육학적 관심의 사유체계로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공간을 사회적 공간으로 인식한 짐멜(G. Simmel)의 논의를 교육학적으로 해석하는 작업은 매우 의미가 깊다. 짐멜은 사회학적 공간 논의에서 ‘주체’를 강조하고 있으며 도시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간 경험을 하면서 어떻게 인식작용을 일으키는지, 주체가 어떻게 도시와 공간속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지에 주목하고 있다. 그가 강조하는 ‘주체’의 문제, ‘공간 경험’, ‘인식작용’, ‘상호작용’과 같은 개념들은 공간사회학적 논의의 교육학적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짐멜의 이론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핵심에 속하는 친교는 질적 정체성과 양적 정체성 모두를 담보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며 이는 슐라이에르마허(F. Schleiermacher)의 교육이론과도 연결된다. 최근 평생학습도시나 마을만들기, 창조도시 등의 논의 속에서 공간기획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짐멜 텍스트의 교육학적 의미를 이해하는 작업은 중요하다. 학습도시와 마을만들기, 그리고 창조도시를 통해 생성되는 도시속의 공간해석과 공간생산 행위는 대체로 시민들의 사회적 의미공동체를 염두에 두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매우 하드웨어적이거나 프로그램적으로 단순한 수준에서 검토되고 있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제 공간적 실천은 어떠한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공간들을 생산할 것인가를 염두에 두고 이루어져야 하며 도시공간의 이면에 놓여있는 사회적 맥락, 문화적 가치, 그리고 교육적 의미에 대한 논의를 함께 해갈 때 풍요로워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동네배움터 활동가의 학습경험 의미 고찰

        백정숙,이희수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문화연구 Vol.30 No.4

        이 연구는 근거리 학습공간 활성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동네배움터 활동가들의 학습경험의 중요성을 탐구하는질적 연구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네배움터에 참여경험이 있는 학습자, 운영위원, 강사 총 9명을 연구참여자로선정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가들이 동네배움터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활동가들은동네배움터에서 어떤 활동경험을 하였는가? 셋째, 활동가들에게 동네배움터 학습경험이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연구결론은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동네배움터에서 부담 없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접하면서 가까운 이웃과 함께 다른활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활동가들은 실제적인 활동에 참여하면서 반복적인 학습과 활동을 통해 자아인식을 확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변화와 성장은 '티끌(dust ball)'처럼 멈추지 않고 지속적인 학습의 결과로 나타난다는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활동가들은 학습이 주는 순환적 경험으로 삶이 다채로워지고, 다른 활동가와의 다양한 상호작용을통해 새로운 관점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동네배움터에서 변화와 성장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활동력을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본 연구는 동네배움터 활동가들의 학습경험 사례를 통해, 근거리에서지속적으로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간이 개인의 처지와 환경에서 관심과 호기심을유발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생활 중심형 학습공간 제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동네배움터 학습공간은 활동참여자들에게 지속적인 학습기회를 제공해줌으로써 활동가들의 변화와 성장을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experiences among community learning center activists to seek ways to activate learning spaces.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9 participants were selected, including learners, operational committee members, and instructors who have experience in community learning cent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ly, what motivates activists to participate in community learning centers? Secondly, what kinds of activities do activists experience in community learning centers? Thirdly, what meanings do community learning center learning experiences hold for activist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articipants encountered opportunities to learn without pressure in community learning centers, leading them to develop interest in various activities with their neighbors. Secondly, activists expanded their self-awareness through practical participation in activities, experiencing iterative learning and activities that continuously enhance personal growth, akin to the ongoing accumulation of 'dust balls'. Thirdly, learning provided activists with cyclic experiences that enriched their lives, fostering new perspectives through interactions with other activists. Moreover, the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ctivity to foster change and growth in community learning centers. Through examining cases of learning experiences among community learning center activists, the study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consistently offering diverse activities in local proximity. Additionally, it emphasizes the need for providing learning spaces centered around daily life, considering that spaces can stimulate personal interest and curiosity within one's environment. Therefore, the neighborhood learning centers suggest that they can support the transformation and growth of participants by providing them with ongoing learning opportunities.

      • KCI등재

        평생학습공간으로서의 협동조합 : 경력단절여성의 소비자생활협동조합 활동을 중심으로

        이려화(Lee ryowhoa),이희수(Lee hees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에서 전개되는 학습활동의 양상과 특성을 규명하여 평생교육적으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찾아내려는 시도이다. 자료는 생협이라는 평생학습공간에서 경력단절여성들이 경험한 활동 내용을 중심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주제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경력단절여성들이 생협활동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7가지 요소(계기, 모임, 활동, 긍정성, 부정성, 강화, 격려)에 적합한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교육장치의 개념을 적용하여 생협의 교육현상을 도식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협 내에서의 교육 활동의 평생교육적 함의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정책 제언과 후속 연구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activities developed in consumer cooperatives and analyzed the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interview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experienced career breaks in the lifelong learning platform called the consumer cooperative, and included thematic analysis in the analysis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pic suitable for 7 elements (momentum, meeting, activity, positivity, negativity, reinforce, and encourage) experienced by women with career breaks in the process of cooperative activities was drawn. The concept of the educational system was applied to diagram the functional phenomenon. In addi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felong learning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cooperative were discussed, and policy suggestions and follow-up studies to supplement them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동네배움터의 학습나루터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성인 여성 학습자 ‘되기(Becoming)’의 경험 의미연구

        백정숙(Baek Jung Sook),이희수(Lee Hee S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이 연구는 동네배움터의 학습나루터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성인 여성 학습자 ‘되기(Becoming)’의 과정을 밝히려고 시도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되기’는 모방을 통한 동일 선상에서의 위치가 아닌 차이 그 자체를 생성하여 변화하는 실천적 과정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학습나루터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성인 여성 학습자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로서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학습나루터 프로그램에 어떤 계기로 참여했는가? 둘째, 동네배움터에서 어떤 불완전성을 경험하였는가? 셋째, 참여자들은 학습을 통해 어떻게 ‘-되기’를 실천하였고 그 의미는 무엇인가?로 설정했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은 삭막한 도시에서 소통의 장이 필요해서 학습나루터를 찾았다. 하지만 동네배움터에서 묻고 답하는 수업 방식이 부담스러웠고 개인의 생각을 나누는 데 불완전함을 경험했다. 회기가 늘어날수록 이야기를 주고받는 학습자 중심 수업에 익숙해지고 학습자들은 자발적 참여가 가능해졌다. 학습의 자발적 참여는 더 나은 사람으로 되어가는 과정을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건강한 육체와 균형 잡힌 사고를 가능하도록 도왔다. 이는 차이생성을 도와 다른 삶으로 변화해나가는 ‘-되기’의 경험을 제공했다. 삶의 균형성은 개인의 차이가 틀림이 아닌 다름으로 보는 안목을 키워주었다. This study is a research of qualitative cases made an attempt to ascertain a process of a ‘-Becoming’ of adult woman learners by engaging in Learning Dock Program in the neighborhood learning center. The -Becoming has brought a practical process of creating and changing a big difference itself, not in the line with the position by imitation.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dult female learner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Dock program. As a research question to find out this, first, what kind of motivation has led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dock program? Second, what kind of imperfection has been experienced in the neighborhood learning center? Third, I set a goal of how the participants have practiced the ‘-Becoming’ through learning and what meaning of it they have. As a result of my study, I have found that learners happened to visit Learning Dock because they were eager to find a place of communication in this desolate city. However, in the beginning, they felt burdensome on the class method which consists of asking and answering one another in the neighborhood learning center and I encountered with incompleteness in sharing their personal thoughts. As session increased, learners got to feel more comfortable and interactive at the class. They were able to participate in the classes voluntarily after all. Self-directed participation in learning not only guided a process of becoming a better person, but also helped a healthy body and balanced thinking. In conclusion, this provided an experience of the ‘-Becoming’ to help create a difference and change into leading diverse lives. I believe the balance of our lives cultivates a perspective of which a gap of individual is not wrong but different.

      • KCI등재

        마을 공유공간과 우리동네 학습공간의 실태조사 연구-부천시를 중심으로

        김명숙(Kim, Myoung Sook),안숙형(An, Sook Houn) 한국공공사회학회 2024 공공사회연구 Vol.14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an activation plan by grasping the situation through a surve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village shared space and the learning space of the village. For the study,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data analysis, a surve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village shared space and the learning space of the village, stakeholder FGI, and expert advice were used. The survey was conducted according to a total of 7 steps in three areas: basic survey, main survey, and review,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mong the five fields, culture and arts facilities were the largest, and among them, workshops occupied the majority. Second, the learning, learning,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villagers were being carried out in a small space with good accessibility. Third, it was operated mainly on learning and educational activities, but it was not managed professionally, and only a few people were using it. Fourth, space promotion and operating expenses were the main difficulties, and support-based program operation was presented as an opinion. After tha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 activation plan was suggested and a follow-up study was proposed.

      • KCI등재

        다기능화에 의한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황미영(Hwang, Mee-Yo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9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As database become more variable and multimedia, the integration between conventional library based on printed matter and digital library on IT makes it accelerated that the changes in today’s information circumstances. Due to more leisure time modern people who get intellectual and interested in variety so they need continuing education, intellectual satisfaction and cultural life. Consequently today’s public library expands to become a source of every kind of information, an educational facility and community facility to fulfill the cultural needs. On the assumption above, this study aims at offering database for planning public library that meets the needs for multifunctional library through analyzing space, structure, and character of modern public libraries and chooses 8 cases in Japan provide both primary and additional functions. Quantitative data from blueprints, websites and publications has been collected to analyze the space arrangement corresponding with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