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구만의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 고찰(2)

        이황진(李黃振)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5

        본고는 『약천집』과 당대의 다른 문인들의 문집에서 찾아낸 남구만과 관련된 시들을 통해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남구만의 현존시를 재검토하며, 당대 문인들의 문집에서 『약천집』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남구만의 시 13수와 남구만의 시에 차운한 다른 문인들의 시 20여 수를 찾아내어 제시하였다. 필자가 확인한 남구만의 현존시는 총 294수이다. 3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권1과 권2는 남구만이 처음 유배를 갔던 1679년을 기점으로 나뉘는데, 이것은 편집자(아들 남학명)가 이 시점을 부친(남구만) 인생의 전환점이라고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약천집』 「시」에는 남구만의 시 외에 다른 사람의 시가 ‘부원운附元韻’(14번) 혹은 ‘부차附次’(1번)라 하여 덧붙여 지기도 했는데, 단 한번 ‘부차’가 된 것은 남구만이 두 번째 유배를 받아 경흥으로 갔을 때 지은 시에 차운한 관찰사 박태상의 시이다. 여기에는 남구만의 함경도 관찰사 시절의 업적을 되새기며 남구만의 애국심과 민족의식과 문학적 성취 등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깃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경향을 살펴보았다. 『약천집』 「시」에서는 남구만의 31세(1659년) 이전의 시작기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적잖은 만시가 산삭되었을 것으로 유추되는데, 이는 편집자가 『약천집』에 수록할 시를 균형 있게 배분하며 선별하였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ems related to Nam Gu-man and listed in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s well as in Yakcheonjip and thereby to identify the compiling intent and compiling pattern for the part 「Poems」 in Yakcheonjip. Chapter 2 examined surviving poems by Nam Gu-man, and discovered from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nd presented, 13 poems by Nam Gu-man not contained in Yakcheonjip and 20 or so poems written by other writers by using the same rhymes as those of Nam Gu-man’s poems. The total number of remaining poems by Nam Gu-man, as verified by the author of this article, is 294. Chapter 3 examined the compiling intent for 「Poems」 in Yakcheonjip. In the 「Poems」, “Book 1” and “Book 2” are divided, in terms of when the poems were written, by the year 1679 when Nam Gu-man was exiled for the first time, which may be because the compiler Nam Hak-myeong (son of Nam Gu-man), recognized that year as the turning point in the life of his father. Also, 「Poems」 in Yakcheonjip contains other people’s poems in addition to those by Nam Gu-man, as ‘adding the original poem whose rhyme is used in another poem)’ (No. 14) or ‘adding a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the original poem’ (No. 1), and the single example of the latter was Provincial Governor Park Tae-Sang’s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Nam Gu-man’s poem written when the latter was exiled for the second time to Gyeongheung. The intent here seems to be to remember Nam Gu-man’s accomplishments as Governor of Hamgyeong Province and to emphasize his patriotism, national awareness and literary achievements. Chapter 4 examined the compiling pattern for 「Poems」 in Yakcheonjip. All poems written by Nam Gu-man on or before 1659, when he was 31 years old, were deleted from 「Poems」 in Yakcheonjip, and due to political situations of his time, poems related to certain figures were excluded from the same. Also, one can see that quite a few poems mourning the dead were deleted, which implies that the compiler maintain balance in selecting poems to be listed in Yakcheonjip.

      • KCI등재후보

        朝鮮後期 刊本文集의 編輯傾向 - 규장각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김수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3 규장각 Vol.42 No.-

        조선시대에 문집은 일반적으로 저자 사후에 편찬되었으므로 저자의 원고와 간본 문집 사이에는 ‘後人의 編輯’이라는 매개변수가 존재한다. 특히 저자의 遺稿는 刊費를 줄이고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후인의 선별을 거치며 簡約하게 압축되었다. 그러므로 실제의 변개를 수반한 편집의 문제를 논구하기 위해서는 간본 문집이 주로 어떤 작품을 배제하고 있는가, 누락된 작품의 대표적 특징은 무엇인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고는 조선 후기 간본 문집에서 누락된 작품을 대상으로 그 공통된 경향성을 탐색하였다. 규장각에 소장된 李植의 『澤堂先生集』과 『澤堂先生遺稿』, 李頤命의 『疎齋集』과 『疎齋先生集』, 申靖夏의 『恕菴集』과 『私稿』, 趙龜命의 『東谿集』과 『乾川藁』, 李胤永의 『丹陵山人遺集』과 『丹陵遺稿』, 趙文命의 『鶴巖集』과 『鶴巖稿』를 비교하고, 여기에 기존 연구의 성과를 종합해서 산삭의 다섯 가지 유형을 제시하였다. 그 첫째는 ‘신이성과 허구성의 배제’이고 둘째는 ‘도불 관계 작품의 소거’이고 셋째는 ‘개인사적 측면의 축소’이고 넷째는 ‘외설성과 유희성의 소거’이며 다섯째는 ‘정치적 기휘성과 당파성에 의한 산삭’이다. 이와 같은 유형화를 시도함으로써 조선 후기 간본 문집이 지금의 형태로 전래된 것은 ‘편집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 KCI등재

        남구만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 고찰 (2)

        이황진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ems related to Nam Gu-man and listed in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s well as in Yakcheonjip and thereby to identify the compiling intent and compiling pattern for the part 「Poems」 in Yakcheonjip. Chapter 2 examined surviving poems by Nam Gu-man, and discovered from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nd presented, 13 poems by Nam Gu-man not contained in Yakcheonjip and 20 or so poems written by other writers by using the same rhymes as those of Nam Gu-man’s poems. The total number of remaining poems by Nam Gu-man, as verified by the author of this article, is 294. Chapter 3 examined the compiling intent for 「Poems」 in Yakcheonjip. In the 「Poems」, “Book 1” and “Book 2” are divided, in terms of when the poems were written, by the year 1679 when Nam Gu-man was exiled for the first time, which may be because the compiler Nam Hak-myeong (son of Nam Gu-man), recognized that year as the turning point in the life of his father. Also, 「Poems」 in Yakcheonjip contains other people’s poems in addition to those by Nam Gu-man, as ‘adding the original poem whose rhyme is used in another poem)’ (No. 14) or ‘adding a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the original poem’ (No. 1), and the single example of the latter was Provincial Governor Park Tae-Sang’s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Nam Gu-man’s poem written when the latter was exiled for the second time to Gyeongheung. The intent here seems to be to remember Nam Gu-man’s accomplishments as Governor of Hamgyeong Province and to emphasize his patriotism, national awareness and literary achievements. Chapter 4 examined the compiling pattern for 「Poems」 in Yakcheonjip. All poems written by Nam Gu-man on or before 1659, when he was 31 years old, were deleted from 「Poems」 in Yakcheonjip, and due to political situations of his time, poems related to certain figures were excluded from the same. Also, one can see that quite a few poems mourning the dead were deleted, which implies that the compiler maintain balance in selecting poems to be listed in Yakcheonjip. 본고는 『약천집』과 당대의 다른 문인들의 문집에서 찾아낸 남구만과 관련된 시들을 통해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남구만의 현존시를 재검토하며, 당대 문인들의 문집에서 『약천집』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남구만의 시 13수와 남구만의 시에 차운한 다른 문인들의 시 20여수를 찾아내어 제시하였다. 필자가 확인한 남구만의 현존시는 총 294수이다. 3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권1과 권2는 남구만이 처음 유배를 갔던 1679년을 기점으로 나뉘는데, 이것은 편집자(아들 남학명)가 이 시점을 부친(남구만) 인생의 전환점이라고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약천집』 「시」에는 남구만의 시 외에 다른 사람의 시가 ‘부원운附元韻 ’(14번) 혹은 ‘부차附次 ’(1번)라 하여 덧붙여지기도 했는데, 단 한번 ‘부차’가 된 것은 남구만이 두 번째 유배를 받아 경흥으로 갔을 때 지은 시에 차운한 관찰사 박태상의 시이다. 여기에는 남구만의 함경도 관찰사 시절의 업적을 되새기며 남구만의 애국심과 민족의식과 문학적 성취 등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깃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경향을 살펴보았다. 『약천집』 「시」에서는 남구만의 31세(1659년) 이전의 시작기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적잖은 만시가 산삭되었을 것으로 유추되는데, 이는 편집자가 『약천집』에 수록할 시를 균형 있게 배분하며 선별하였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박문서관 기관지 『박문(博文)』 연구

        장두식(Chang, Du-sik)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2 No.2

        본고는 박문서관 기관지 『박문』의 고정란이었던 <편집실 일기초>와 <출판토픽>을 분석하여 『박문』의 성격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편집실 일기초>는 『박문』의 잡지 내부에 있으면서 외부인 박문서관의 목소리를 실현하는 공간이었다. <출판토픽>은 출판계 전반의 정보를 제공해주는 외부를 위한 공간이었으나 실질적으로 박문서관 발간 서적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광고하는 내부의 공간이었다. 이 두개의 고정란 분석을 통하여 『박문』지가 박문서관 창사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문화운동의 산물이면서 동시에 수필과 저널리즘을 활용하여 상업적인 이윤을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발간되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이러한 『박문』의 성격은 상업주의 경향으로 흘렀던 1930년대 출판 문화시장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The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Bakmun by focusing on Editorial Board Diary (編輯部日記抄) and Topics in Publishing Industry (出 版토픽), both of which were sections of Bakmun, the journal of Bakmunseogwan. Editorial Board Diary was a venue for representing the voice of Bakmunseogwan. Topics in Publishing Industry came to serve advertising publications from Bakmunseogwan, although it was originally intended to provide general information on the publishing industry.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Bakmun was the product of the cultural movement by Bakmunseogwan from the early stage of its establishment and its pursuit of journalism for commercial profits. Such characteristics of Bakmun represent the mercantilist trend that pervaded in the publishing and cultural industry in the 1930's.

      • KCI등재

        京鄕新聞 「餘滴」 연구 - 정지용과 염상섭의 「餘滴」을 중심으로 -

        신미삼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7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ollect, organize, and introduce the works of Jung Ji-yong or Yeom Sang-seop in the ‘Yeojeok (餘滴)’ column of the Kyunghyang Shinmun (founded October 6, 1946)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lso, through the tone of ‘Yeojeok (餘滴)’, their perceptions of the reality of then-Joseon and their political inclinati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total number of 「Yeojeok (餘滴)」 published during their service period was 198. The main author of 「Yeojeok (餘滴)」 must have been Jung Ji-yong, the editor-in-chief, but Yeom Sang-seop, the managing editor, also contributed to it. Thus far, 23 pieces of 「Yeojeok (餘滴)」 have been identified as Jung Ji-yong by the present writer, and four pieces as Yeom Sang-seop. It is unclear who the writers are for the remaining 171 pieces of 「Yeojeok (餘滴)」. Thus, until now, researchers of Jung Ji-yong know that there are more than 23 pieces written by Jung Ji-yong, and that only 22-23 pieces of 「Yeojeok (餘滴)」 were included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Jung Ji-yong’.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udy 198 pieces of 「Yeojeok (餘滴)」 in that they were ‘joint’ works by Jung Ji-yong and Yeom Sang-seop. They were outstanding writers, in that the they can be likened to a two-horse carriage, and molded the ‘tone’ of the Kyunghyang Shinmun. Their tone evolved without outside interference, and, thus, tha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ir realistic perceptions about political situation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s well as their political inclinations. Thus, this writer analyzed 198 pieces of 「Yeojeok (餘滴)」 published during the service period of Jung Ji-yong and Yeom Sang-seop, including 171 pieces of 「Yeojeok (餘滴)」, which had been neglected because the writers were unknown. For 「Yeojeok (餘滴)」, whose writers are unknown, such writers were called ‘Yeojeokja (餘滴者)’. It was the designation they used to refer to themselves in 'Yeojeok (餘滴)’.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politics, they had strong expectations for the left-right wing coalition movement as well as the 2nd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by aspiring towards unification and independence. In terms of society and the economy, they criticized the profiteers and urged the U.S. military government to resolve it. In terms of education, they suggested a solution to the nation’s major dispute and emphasized that first of all, Joseon students should learn. In addition to these, many problems in the then-society are clearly revealed in 「Yeojeok (餘滴)」, such as managing of Japan’s properties, compensation from Japan, housing and unemployment related to war victims, treatment of Koreans living in Japan and securement of their properties, then-police issues, etc. Also, they actively intervened in these problems, and revealed their positions. They were able to intervene because they managed an edition-in-chief as well as a managing editor, respectively, at the newspaper company. Also, because in the face of the liberated motherland, they reflected on their past lives and were determined to actively live in the future. 「Yeojeok (餘滴)」 was a public channel through which they could exert their determination. Their political inclinations in the liberation political situation, as shown through 「Yeojeok(餘滴)」, neither more nor less than the political sense that any conscientious ‘intellectual’ of Joseon could have ‘of course’. Based on patriotism and nationalism, criticizing pro-Japanese fac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well as establishing a unified complete country between the two Koreas, joining the League of Writers, supporting the left-right wing coalition movement and Yeo Woon-hyung/Kim Kyu-sik, supporting the 2nd Soviet-American Joint Commission, opposing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ernment by South Korea, and supporting the North-South... 본고의 목적은 해방기 창간된 京鄕新聞 ‘餘滴’ 난에 정지용과 염상섭이 집필한 글들을 모아 정리하고 소개하는 데 있다. 나아가 ‘餘滴’의 논조를 통해 당시 조선의 현실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정치 성향 등을 분석해 볼 것이다. 그 결과 그들의 근무 기간에 발표된 「餘滴」의 총 편수는 198편임을 알 수 있었다. 「餘滴」의 주 저자는 주간이었던 정지용이었지만 편집국장이었던 염상섭 또한 집필하였다. 현재까지 필자가 정지용으로 확인된 것은 23편, 염상섭으로 확인된 것은 4편이다. 나머지 171편의 「餘滴」은 필자가 누구인지 확실하지 않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정지용 전집 의 편찬자들은 정지용이 집필한 「餘滴」이 23편 이상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오직 22-23편의 「餘滴」만을 전집에 수록하였다. 그러나 198편의 「餘滴」은 정지용과 염상섭의 ‘공동’ 작품이라는 점에서 오히려 반드시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그들은 통일과 독립을 열망하여 좌우합작운동과 2차 미소공동위원회에 강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고, 모리배 문제에 대한 해결을 미군정에 촉구하였으며, 국대분쟁 해결을 위해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외에도 「餘滴」에는 당대 사회의 문제점들이 여실히 드러나 있다. 그들은 이러한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자신의 입장을 드러내었다. 그들이 이와 같이 행동할 수 있었던 이유는 해방된 조국을 맞이하여 지나간 삶을 반성하고 앞으로는 적극적으로 살아보겠다는 다짐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餘滴」은 그들의 해방기 생애를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단초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