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적 탈주 표현 연구 - 송하영 회화·오브제작품을 중심으로 -

        송하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연구자의 작품에 투영되어 있는 탈주체의 형상과 속성, 그리고 탈주 방식 등을 들뢰즈와 가타리가 사회 변혁의 방식으로 제시한 리좀적 사유에 연결시켜 살펴보고, 그것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밝혀보았다. 연구자의 작품에 투영된 탈주체는 어떤 완성체가 아니며 언제나 변화와 생성을 전제하고 있는 질료와 같은 것이다. 이 탈주체는 유·무의식적 욕망이 존재한다. 이 욕망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모순된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등의 긍정적 속성을 지닌 생성의 욕망이다. 탈주체에 이 욕망을 배치하게 되면 탈주을 감행한다. 이 탈주 방식은 들뢰즈와 가타리 가 제시한 리좀적이다. 이것은 모순된 것을 해체하고, 외부와의 연결·접속과 단절을 반복하면서 새로운 질서를 생성한 다. 작품에 등장하는 리좀적 탈주체는 반복적 붓질을 한 색면과 결합된 오브제를 가변 설치하여 탈주하는 과정과 방 식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작품에서 탈주하는 탈주체들의 목표는 존재자들의 가치와 자유롭고 창조적인 삶 을 인정하는 공간으로 안전하게 착륙하는 것이다. 이 탈주체들은 드넓은 초원을 유동하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풍경을 생성하는 노마드이며, 모순된 사회에 저항하는 예술가, 문학가, 즉 들뢰즈와 가타리가 사회 변혁의 개념으로 제시한 전쟁기계와 거리의 열정을 만들며 새로운 가치와 정치를 창안·창조하는 니체의 아곤 개념과 연결된다. 이들이 추구하 는 것은 기존 질서를 완전 해체하는 것이 아니며, 타자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희망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forms, attributes, and escape methods of post-subjects projected on the investigator's works in connection with rhizomatic thinking proposed as a way of social transformation by Deleuze and Guattari and examine their social connotations. Post-subjects projected on the investigator's works are not completed wholes of some sort, but like materials whose constant premise is change and creation. In the investigator's works, post-subjects have conscious and unconscious desire. It is the desire of creation with positive attributes including Deleuze's and Guattari's pursuit of changes in a contradicting society. When desire is deployed in post-subjects, they will carry out an escape. This way of escape is rhizomatic proposed by Deleuze and Guattari. It deconstructs contradicting things and repeats connection, contact, and severance with the outside world, building a new order. Rhizomatic post-subjects appearing in the investigator's works depict the escape process and method in abstract ways through the variable installation of objets combined with a color field of repeating brushes. In this work, the goal of post-subjects is to make a safe landing in a space where beings are recognized for their values and free and creative lives. These post-subjects are nomads creating a new landscape continuously, wandering around vast plains, and also artists and literary figures resisting a contradicting society. That is, they are connected to the concept of a war machine proposed by Deleuze and Guattari as a concept of social transformation and to the concept of Nietzsche's Agon to devise and create new values and politics based on street passion. They seek after a space where they can co-exist with otherness recognized rather than the complete deconstruction of the old order.

      • KCI등재

        1960∼1970년대 주부 교양프로그램과 텔레비전의 젠더 정치

        백미숙(Misook BAE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5 언론과 사회 Vol.23 No.4

        이 연구는 1960∼70년대 국가 주도 근대화 기획이 주부를 근대화의 국민으로서 호명하고 동원하는 방식을 텔레비전 주부대상 교양프로그램 편성의 역사를 통해 조명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1960∼70년대 주부대상 프로그램들은 다양하게 변주된 현모양처 담론을 통해 어떻게 주부들이 근대화의 가부장적 문화논리에 자발적으로 동원되었는가를 보여주었다. 둘째, 주부화 담론이 지배담론으로 공고화되는 가운데도 1970년대 중반 등장하는 주부토론 프로그램과 주부퀴즈 프로그램은 사회 전반에 가시화되기 시작한 탈주부화 욕망의 징후를 재현하는 것이었다. 셋째, 유신체제의 텔레비전 ‘가족시간대’ 정책은 탈주부를 ‘재가정화’ 하려는 젠더 기획이었다. 정권과 남성 지배엘리트는 탈주부화의 징후를 근대적 가부장제 질서, 근대화의 가부장 논리에 파열음을 내는 위협으로 인식했고, 이에 따라 주부교양 프로그램은 근대적 가족이데올로기를 소환하는 가족시간대 프로그램으로 대체됐다. TV의 가족화 정책은 탈주부화의 징후가 텔레비전에 전면화되기 전에 이를 무화하고, 주부를 가족의 화목과 안식, 명랑하고 즐거운 가정 분위기를 수행하는 주체로 재가정화 했다. 이는 ‘건전하고 명랑한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한 국가통치의 기본 원리로 작동했다. 요약하면, 이 연구는 주부 프로그램 편성의 역사와 유신체제가 강제한 ‘가족시간대’ 정책을 근대화의 가부장제 문화 논리가 수행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로서 분석하고, 근대화 기획에서 젠더가 배치됐던 정치성을 밝혔다. This study sheds light on history of television’s culture and information programs targeting on housewife in 1960s∼1970s, in order to reveal gender politics of television under ‘modernization project’ promoted by the Park Jung Hee regi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is paper argues the followings. First, the discourse of TV’s culture and information programs targeting on housewife had deployed the diverse “hyeonmo-yangcheo” (a wise mother and good wife) ideology and it was able to mobilize housewives voluntarily pursuing cultural logics of patriarchal modernization project. Second, even though TV’s housewife discourse became dominant, women’s debate programs and women’s quiz programs in the times represented desires and symptoms of post-housewives, who attempted to escape ‘women’s place’ at home and other internal principles. Third, the Park Jung Hee Regime and male elites were threatened by these symptoms of post-housewives, which was cracking the modern patriarchal hierarchy norms and logics. Eventually, they forced to repeal women’s programs and replace family programs by mandating ‘family hours’ as a way of validating Yusin Regime. This familization of TV policy was to re-domesticate housewives desiring to speak as individual subjects. This policy played as operational principles for pursuing ‘healthy and cheerful family system’ as a foundation to promote atmosphere of ‘healthy and cheerful society’ in the Yusin Regime.

      • KCI등재

        기형도 시의 욕망과 미시 정치학

        국원호 ( Won Ho Kook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기형도의 시를 ``미시 정치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기형도 문학의 새로움과 실험성을 부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형도 시 연구에서 간과되어 온 것 중 하나는 ``아버지``에 대한 신경증적인 오이디푸스 문제이다. 그러나 기형도 시에는 ``아버지와 아들의 공통된 고뇌``라는 ``도착적 오이디푸스``로의 미끌어짐도 숨겨져 있다. 그래서 기형도 시에 나타난 아버지에 대한 오이디푸스는 ``확장된 오이디푸스``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형도 시에서 아버지의 문제는 어떻게 하면 자본주의와 관료제라는 막다른 골목에서 아버지가 찾지 못했던 탈주의 길을 찾아낼 것인가 하는 ``확장된 오이디푸스``의 문제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기형도의 시는 자본주의 권력이 작동하는 모습의 지형도를 그리는 매우 정치적인 시이다. 자본주의 국가는 인간의 생산적이고, 혁명적인 욕망을 억압하면서 작동한다. 기형도 시에서 자본주의 권력은 ``폭력``을 쓰면서 동시에 ``기억``과 ``기표작용``과 ``주체화``를 통해 작동한다. 이를 통해 자본주의는 인간을 비인간화하고, 균질적인 신민(臣民)으로 전체화한다. 게다가 자본주의 권력은 ``미시-파시즘``을 형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기형도 시는 자본주의 권력의 이중성과 양면성을 진단한 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본주의가 인간을 조직화 할수록 다른 한편에서는 자본주의 권력에서 벗어나려는 탈주의 욕망들이 생겨나기 마련이다. 기형도 시에서 ``히스테리``와 ``기관 없는 신체-되기``, ``소리``는 탈주의 욕망의 발현이다. 이 중에서 기형도가 긍정적으로 본 것은 ``소리``를 통한 탈주이다. ``소리``는 관료제나 가정에 고착화된 개인의 정체성에 ``균열``을 내고, 유기체나 자아를 채우고 있던 모든 물질적인 질료들을 비워버리는 기제이다. 그리고 ``소리``는 인간을 ``공중(空中)``이라는 카오스모스적인 자유로운 공간과 접속하게 하는 역량이기도 하다. 이처럼 기형도의 시는 자신의 몸과 자아를 해체하는 탈주의 욕망의 발현이다. 그런데 자신의 몸과 자아를 해체하는 탈주의 욕망은 타자와 공존(共存)하고 공생(共生)을 하기 위한 실천이다. 따라서 기형도 시에서 나타나는 탈주의 욕망은 타자와의 공존과 공생을 위한 윤리적이고 실천적인 행위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지점을 기형도의 시가 자본주의 권력에서 탈주하기 위해 찾은 정치적인 실천의 출구라고 본다. This paper is about the poetry of Gi-hyeong do that is reviewed in terms of micro -politics. In terms of micro politics, we know that his poetry is experimental literature that diagnosis and dissected of capitalism, fascism and bureaucracy. At first, The poetry shows conflict of childhood with Oedipus. especially, the conflict of Oedipus between mother and father leads him to expand more Neurotic and perverted ohyidi Oedipus. therefore, conflict of Oedipus in poetry of Gi-hyeong do shows not only personal conflict but also Product of a repressive capitalist. Moreover, poetry of Gi-hyeong do resolves the power of capitalism in action backstage. The power of capitalism in poetry progress the human through ``habit``, ``signification`` or ``subjectivation``. and various micro-group and capitalism make men subject and have power as well. However, this poetry diagnose that it can be micro- fascism that like this soft power can make capitalism society controled easier, However, Organic mad repressive organization with capitalism power can make corps sans organes repel. corps sans organs of the opposition in Oedipus reveals Hysterical neurotic reaction and Schizophrenic reactions. These corps sans organs of the opposition shows the desire that escapes from the power of capitalism. Conclusion of this study claims that a poet of Gi-hyeong do is a person who wants to find ``exit`` from repression of the capitalist world.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 철학에 기반한 <알리타: 배틀 엔젤> 분석 - 욕망, 되기, 탈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

        여수현 ( Yeo¸ Soo Hy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논고는 들뢰즈·가타리의 철학을 바탕으로 예술이 생성해낼 수 있는 삶에 대한 사유를 <알리타: 배틀 엔젤>(2019, Robert Rodriguez)을 통해 탐구한다. 본 논고의 목표는 당연하다고 여겨왔던 관념의 동종성을 거부하고, 일원적 중심성으로부터의 탈주하는 삶을 들여다보는 데 있다. 우선 Ⅱ절에서 기계, 배치, 욕망의 세 가지 개념을 논리적으로 풀어나가며 ‘욕망하는 기계’로서 알리타를 분석한다. 들뢰즈·가타리는 모든 행위 주체를 가리켜 ‘기계’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주체는 다른 것들과 접속함으로써 그 자신의 속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기계들이 접속하여 선을 이루고 나아가 면을 이루면, 그 장을 가리켜 ‘배치’라고 하는데, 이러한 배치를 이루는 모든 기계가 바로 ‘욕망하는 기계’이다. 알리타의 욕망을 배치의 두 축인 ‘기계적 배치와 집단적 배치’, ‘탈영토화의 지점과 재영토화된 선’, 그리고 두 축 사이의 ‘감응’으로 분석한다. 다음으로 Ⅲ절에서 알리타의 욕망의 흐름을 ‘-되기’의 과정에서 풀어본다. 들뢰즈·가타리의 맥락에서 욕망은 ‘-되기’가 발현되기 위한 힘 자체이다. ‘-되기’를 통해 알리타의 자아는 분산되고, 해체됨으로써 어떠한 형태도 될 수 있는 잠재성을 띠게 된다. 이는 알리타가 지향해야 할 본질적 속성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알리타의 생성적 속성이 발현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Ⅳ절에서 ‘-되기’를 통해 발산되는 알리타의 존재 역량이 ‘탈주’로 드러남을 확인한다. 알리타의 욕망, 그리고 그 욕망의 흐름인 ‘-되기’는 세계에 틈새를 생성하는 ‘탈주’를 향하게 된다. 소위 ‘탈주’라 하면 문제 상황으로부터의 회피를 의미하지만 들뢰즈·가타리의 맥락에서 ‘탈주’는 발산적인 행위 역량이 결부된 차이 생성의 운동으로 ‘나’라는 존재자를 확인하는 관문을 의미한다. 알리타 존재가 지닌 함의를 ‘탈주’로 탐구함으로써 그것이 내포한 진리를 밝혀본다. 이상으로 들뢰즈·가타리 철학에 기반한 <알리타:배틀 엔젤> 분석을 시도하는 본 논고는 ‘기계’라는 개념 규정에서 출발한 알리타 존재의 의미가 ‘탈주’를 통해 확인된다는 점, 그리고 이는 탈위계적 세계를 생성하는 힘이 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thoughts of life that art can create through < Alita: Battle Angel(2019, Robert Rodrigues) > based on the philosophy of Deleuze·Guattari.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ject the sympathy of the ideas that have been taken for granted, and to look into the fuite from the monolithic centrality. First of all, in Section II, the three concepts of machine, agencement and desire are logically solved and Alita is analyzed as ‘a machine of desire’. Deleuze·Guattari refer to acting subject as ‘machine’. The reason is that the subject changes its own attributes by connecting with others. When these machines connect, form lines, and then form faces, the space is called ‘agencement’. Every machine that makes this agencement is a 'machine of desire'. Alita's desires are analyzed by two axes of agencement,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ciation and machined assemblage’, ‘point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lines’, ‘affect’ between the two axes. Next, in Section III, we explore the flow of Alita's desires in the process of ‘devenir’. In the context of Deleuze·Guattari, desire is the power itself to express ‘devenir’. Through 'devenir', Alita's ego is dispersed and disintegrated, giving it the potential to become any form. This mean that Alita's creative attribute is expressed. Finally, it is confirmed in Section IV that Alita's ability to exist through 'devenir' is revealed as 'fuite'. Alita's desire, and ‘devenir’ are directed toward the ‘fuite’ that creates a niche in the world. The so-called ‘fuite’ means avoidance from a problem situation, but in the context of Deleuze·Guattari, ‘fuite’ means a gateway to identifying the existence of "I" as a movement to create differences involving the ability to releasable act. Explore the implications of Alita's existence as ‘fuite’ to reveal the truth it implies. This paper found that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Alita, which started from the concept regulation of ‘machine’, was confirmed through ‘fuite’, which became a force to produce a Nonhierarchical world.

      • KCI등재

        읽기 사건의 선분성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8 No.-

        이 논의는 읽기를 사건의 관점에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읽기를 사건으로 보는 것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천 개의 고원 8장 논의를 토대로 한 것이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사건이 선분성을 갖는다고 본다. 들리즈와 가타리는 사건의 선분성을 세 가지로 구분한다. 경직된 몰적 선분성(몰성), 유연한 분자적 선분성(분자성), 탈코드화와 탈 영토화를 이루는 탈주적 선분성(탈주성)이 그것이다. 이들 선분성들은 특정 사건에 대하여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라는 물음에 답을 찾는 것과 관련된다. 사건에 대한 물음에서 답을 찾는 방식은 ‘일어난 일’과 연결하거나 ‘일어날 일’과 연결하는 방식이 있다. 또는 이 둘을 혼합하는 방식이 있다. 사건은 일어난 일이나 일어날 일을 위해 이웃항을 선택하여 접속함으로써 발생한다. 이들 사건의 발생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사건의 선분성은 달라진다. 독자의 읽기도 텍스트와 이웃항이 접속하는 읽기 사건이고, 사건의 선분성을 갖는다. 즉 독자의 읽기 사건도 몰성, 분자성, 탈주성을 갖는다. 몰성은 경직된 선분을 따르는 읽기 사건의 특성이고, 분자성으로 유연하게 선분을 따르는 읽기 사건의 특성이다. 그리고 탈주성은 경직된 몰성을 벗어난 선분을 갖는 읽기 사건의 특성이다. 이들 읽기 사건의 선분성은 독자가 각기 다른 텍스트 의미를 발견하게 한다. 읽기에서 이들 읽기 사건의 선분성 중에서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 탈주성이다. 읽기 사건의 탈주를 위해서는 사건에 접속될 이웃항을 일어날 일과 관련지어 미리 당겨 오고, 사건을 주의 깊게 주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독자는 읽기 사건이 탈주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텍스트 이해를 새롭게 할 수 있다. This discussion aims to explore reading in terms of events. Viewing reading as an event is based on Deleuze and Guattari’s discussion in Chapter 8 of the Mille Plateaux. Deleuze and Guattari distinguish three property of the line segment of an event. It is rigid molar segmentation, flexible molecular segmentation, and the escape that forms decodes and Deterritorialization. These segments are related to find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happened?’ There are two ways to find answers in questions about events: to connect with what happened or to happen. An event occurs by selecting a neighboring port for what happened or what happens. The line segment of events depends on how you see the occurrence of these events. The reader’s reading is also a reading event connected by the text and the neighboring port, and has a segmentation of the event. In other words, the reader’s reading event also has molarity, molecularity, and escape. Molarity is the property of reading events that follow rigid segments, and molecularity is the property of reading events that follow flexible segments. A escape is a property of a reading event that has run away from rigid moles. The segmentation of these reading events allows the reader to discover different text meanings. Among the lineages of these reading events in reading, one should pay attention to escape. For the escaping reading event, it is necessary to pull the neighboring port to something related to what will happen, and watch the event carefully. The reader can refresh the text understanding by causing escape reading events.

      • KCI등재

        『시녀이야기』(The Handmaid`s Tale)에 나타난 오프레드(Offred)의 유목적 욕망과 탈주

        이유진 ( Yoo Jin Lee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2 No.2

        본 논문은 마가렛 앳우드(Margaret Atwood)의 작품 『시녀이야기』(The Handmaid’s Tale)의 주인공인 오프레드(Offred)의 유목적 욕망과 탈주를 들뢰즈(Deleuze)와 가타리(Guattari)의 주요 개념인 탈주, 유목주의, 되기, 영토화, 탈영토화 등에 근거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오프레드의 이름은 ‘of Fred’로 이는 그녀가 프레드, 더 나아가 길리어드(Gilead) 사회에 포획되어 있음을 명확히 드러내는 기표(signifier)이다. 폭력적인 가부장제 사회인 길리어드는 여성의 성을 국가권력으로 관리, 통제하며 오프레드를 좌절하게 한다. 그러나 오프레드는 자신을 영토화, 재영토화시키려는 사회에서 벗어나고자 끝임없이 탈주를 꿈꾼다. 오프레드는 리좀적 사유를 하며 수평적인 관계망을 이루어가고 지하조직인 메이데이(Mayday)와 소통하며 지각불가능하게-되기, 잠행자-되기를 실행한다. 또한 그녀는 자신만의 유목적 시공간인 ‘밤’을 통해 매끄러운 방식으로 거주하며 해방을 경험한다. 밤을 통해 이루어지는 그녀의 의식쓰기는 계속해서 재구성되고 재현되며 저항적 내러티브로까지 발전한다. 사령관과의 스크래블 게임에서 그녀는 언어를 더듬거리게 하기를 수행하며 언어 권력을 회복하고 닉(Nick)과의 성적관계를 통해 ‘생식의 도구’에서 ‘욕망의 주체’로 승격되는 등, 길리어드 사회의 감시와 처벌인 여러 개의 홈에서 반복해서 탈주하며 여성-되기를 완성해간다. 그녀가 억압된 자신의 탈주욕망을 복원시킬 뿐 아니라, 타인의 변용까지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그녀는 스스로를 구원할 뿐 아니라 모두에게 되기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This thesis aims to explain nomadic desire and flight, focusing on Offred in The Handmaid’s Tale by adopting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s main concepts of flight, nomadism,becoming,territorialization,deterritorialization, etc. The name, Offred is the definite signifier that she as a woman belongs to Fred and wholly owned and controlled by him within the society of Gilead. As an extremely patriarchal society, Gilead manipulates and controls women’s sexuality as a national resource, contributing to Offred’s torment. However, Offred constantly longs for flight from Gilead’s trials in order to territorialize and reterritorialize herself. Offred forms a human relation network horizontally, based on the structure of rhizome. She also joins the underground group Mayday, performing becoming-imperceptible andbecoming-clandestine. Night is her own space and time that enables her to fulfill her nomadic desires. She inhabits her life there in the manner of being in smooth space and wants release from great suffering. Her writing keeps reconstructing and representing as she goes on, developing into a defiant narrative. While she plays Scrabble with Commander Fred, she uses stammering language to recover her linguistic power. Through her sexual relationship with Nick, she is promoted to a ‘subject of desire’ from a mere birth machine. Likewise, she escapes from various kinds of striated space, which observes and punishes her all the time, completing becoming-woman. She restores her repressed desire of flight, affecting others. In conclusion, she presents the vision of becoming, saving not just herself but everyone together.

      • KCI등재

        베트남 ‘반전탈주’ 미군병사와 일본의 시민운동 : 생활세계의 전쟁과 평화

        남기정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일본학연구 Vol.36 No.-

        The citizens movement of Japan was divided into two courses in front of the reality of the Vietnam War. One was to develop the effort to give concrete content to the idea of ‘peace state’-in other words, to reconfirm national identity under the ‘Peace Constitution’. The other was the movement to abandon the national identity, and to be reborn as new existence. In this paper, with the assumptions mentioned above, I try to inspect the following facts. In the beginning, the Japanese citizens who unfolded the movement to support the Vietnamese antiwar deserters tried to find and practice the idea of ‘peace state’ in daily lives during the Vietnam War. And then, in the course of the movement, the citizens who were concerned with support campaign dismantled the national identity and were reborn as new social existence, namely as ‘multitude’. For the people of ‘Beheiren’ who developed the anti-Vietnam War movements in Japan, the appearance of the antiwar deserter was an unexpected event. But when the deserters appeared, ‘Beheiren’ formed an organization called JATEC, and helped them hide and cross borders ‘illegally’. The campaign of supporting the antiwar deserters temporarily destroyed the corner of the concrete nation-state system. And the supporters tried to escape from the national ideology through the campaign. In the process, the supporters were reborn as ‘Citizen’ not as ‘Nation’. And then, they were to transform themselves from ‘Citizen’ into ‘Multitude’.

      • KCI등재

        마마데이의 『새벽으로 만든 집』 -아벨의 탈주와 생성-

        조경란 ( Kyung Ran Cho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7 No.1

        본 논문에서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말하는 ‘소수 문학`의 특징으로 마마데이(N. Scott Momaday)의『새벽으로 만든 집』(House Made of Dawn)을 바라보려 한다. 또한, 주인공 아벨이 겪는 소외감과 상실감을 되찾기 위한 치유 과정을 탈주와 생성하는 과정으로 살펴 볼 것이다. 이 소설은 원주민 문학이 미국 문학의 비주류에 있었던 시절에 소수민족의 목소리를 내어 견인차 역할을 했던 작품으로 원주민의 과거와 현재, 미래의 모습을 잘 묘사하고 있으며 현대를 사는 젊은 원주민 아벨의 고뇌와 갈등, 치유 과정이 잘 드러나 있다. 동시대를 살고 있는 주인공 아벨이 서로 다른 두 문화 사이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으며 원주민 문화와 백인 문화의 경계에서 주변인처럼 어느 곳에도 소속되지 못하고, 현재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탈주와 생성은 아벨이 진정한 자신만의 정체성을 찾는 여정으로 볼 수 있다. 아벨이 기존에 자신이 지니고 있었던 전통적인 원주민 가치체계에서 벗어난 탈주는 방황과 고통과 혼란스러움을 안겨 주지만 원주민 대대로 구전되어 내려오는 전통적인 노래와 신화, 이야기 등을 듣고 조상들의 삶의 지혜와 생활 방식을 받아들이며 상처를 치유 받는다. 뿐만 아니라 이질적인 백인 문화적 요소와의 접촉을 통해 다른 문화를 배척하기보다는 부분적으로 수용하려는 태도를 통해 새롭게 생성되는 모습 또한 보여주고 있다. 아벨은 현대를 살아가는 젊은 원주민의 시대상을 보여주는 인물로서 과거 전통 문화만을 고집하여 현대와 단절 된 삶을 살아가는 것이 아닌 자신만의 새로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 서로 다른 문화와 조화를 이루고 타협하며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새로운 정체성을 가지게 된다. 대부분의 원주민 소설은 고정화되고 정형화된 원주민 개인의 정체성 획득이라는 주제로 끝나지만 이 소설은 정체성이라는 것이 고정된 것이라기보다는 탈주와 생성을 통한 유동적이며 지속 가능한 삶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게 한다. 마마데이는 젊은 원주민 아벨이 그들의 전통문화의 가치와 체계를 잊지 않으면서 잘 보존하고, 물질문명의 현대 사회에 적응해서 두 문화의 융합과 조화를 바라는지도 모른다. 따라서, 이 소설을 ‘원주민의 정체성 회복`이라는 좁은 의미보다는 좀 더 확장되고 발전되어 원주민의 정체성 획득이라는 의미를 넘어선 탈주와 변화와 생성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보았다.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novel with characteristics of “minor literature” mentioned by Deleuze and Guattari. In addition, the process of Abel being recovered from isolation and feeling of loss is viewed as the process of escaping and creating. House Made of Dawn written by N. Scott Momaday worked as a driving engine of the Native American literature by speaking for the minority at the era when the Native American literature was part of the fringe culture. The novel well describes past, present, and future of Native Americans as well as agony, conflict and healing of Abel, a young Native American who lives in the modern times. A young Native American, Abel was confused about his identity between the native culture and the white culture and became an outsider as he failed to be assimilated to any of the cultures. But he tried to escape from the dismal situation and create his own identity. The story is like Abel`s journey to find out his true self. When he first decided to abandon the traditional native values, he got lost and went through pain and confusion. But he listened to traditional songs, myths, and stories that had been passed on generation by generation, and finally his would could be healed by learning from his ancestor`s way of life and wisdom. Moreover, he accepted the other culture, although partially, by experiencing unfamiliar culture of the white people, instead of firmly excluding it. Abel is a person who depicts phases of the young Native Americans living in a modern society. He achieved new, positive, and creative identity by compromising and harmonizing with a different culture in order to maintain his own life, instead of sticking to the past and being isolated from the present. Most Native American novels end with the theme of uniformed, stereotypical individual identity of a Native American. However, this novel tells us that identity is not a fixed one but can be flexible and sustainable by escaping and creating. Momaday may want the two cultures to be blended and harmonized with each other as a young Native American, Abel can successfully adapt to the modern society that represents materialized civilization, while remembering and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 and values. Therefore, the study views that the novel has the meaning of escaping, changing, and creating, which is more extended and developed concept from a narrow meaning of “a Native American`s recovery of identity.”

      • KCI등재

        『동화와번역』 : 동화와 치유의 탈주선 그리기 -황선미 동화 『과수원을 점령하라』를 중심으로-

        이종호 ( Jong Ho Le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4 동화와 번역 Vol.27 No.-

        이 논문은 황선미 동화 『과수원을 점령하라』의 담론에서 드러나는 욕망의 양 태와 그 사건의미를 분석하여 그 사건의미가 인문사회의학적 관점에서 어떤 치유하기의 가능태를 함축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치유를 인문사회의학에 주목하여 ‘감응을 생산하고, 그것 을 주고받으면서 변용하고 변용되는 힘을 기르도록 유도하거나 자극하여 탈주선 을 그리게 하는 행위’로 정의하고, 욕망을 ‘욕망하는 생산’, 즉 접속하는 항에 따 라 활동을 생산하고 어떤 것을 대상으로 생산하며 사유를 생산하는 힘으로 파악하 고자 한다. 그리고 물신적 도착이나 파괴적 욕망과 같은 편집증적인 증세를 야기 하는 자본주의 체제에 균열을 내고 그러한 도착적 사유구조에서 벗어나도록 배치 를 바꾸어 이질적이고 다양한 분자적 욕망을 생산하는 삶, 또는 그러한 삶의 방식 으로 자유롭게 흘러가는 것을 ‘탈주선 그리기’로 개념화하고자 한다. 동화 『과수원을 점령하라』는 먼저 현실 공간은 낮과 밤, 물과 땅, 하늘, 영혼 의 세계가 어울려 누구든 자기 영역에서 최선을 다해 살아가고 있으며, 각자의 삶 에서 이들은 모두 중요한 인물이라는 작가의 인식적 태도를 바탕으로 서술태도 역 시 그 어떤 인간 혹은 특정한 개체에도 특권적 지위를 부여하지 않는다. 또한 작 가서술자의 관념 내부로 그 어떤 인물도 포획하지 않는다. 각 장을 인간과 오리, 고양이와 쥐, 나무귀신(서낭신), 찌르레기와 까치 등의 인물로 동등하게 배치하여 그들 각각의 삶분자적 욕망을 풀어내면서 그 누구에게도 우월적 지위를 부여하 지 않는다. 이러한 서술태도가 바로 치유의 탈주선을 그릴 수 있는 일차적 힘을 생성한다. 한편, 이 동화는 ‘과수원’의 할머니, 아저씨, 아주머니, 대장 오리를 비롯한 오 리 열 마리, 과수원 외부의 쥐와 고양이, 나무귀신(서낭신), 찌르레기와 까치 등의 이종(異種)들이 서로의 욕망을 생성하며 살아가는 공동체의 실상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언표적 장(場)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서사가 바로 분자적 욕망의 서사이다. 과수원식구들은 각 생명체의 분자적 욕망을 생성하고 자유롭게 흐르도록 하여 그들의 욕망과 부단히 접속함으로써 생명체생태계순환계의 안정성과 생명력을 더욱 높여나간다. 특히 과수원의 할머니, 아저씨, 아주머니 등은 그 어떤 것도 무분별하게 화폐 화하지 않는다. 이들은 잉여가치의 생산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최소화한 그 가치마 저 인간/비인간을 구별하지 않고 생명활동을 조장하는 데 사용한다. 이들이 보여주 는 자본에서 독립된, ‘자본너머’ 그 ‘과수원’에서의 새로운 생산과 활동이 바로 자본주의적 삶의 방식에서 비롯하는 파괴적 욕망에 균열내고, 생명활동의 선을 그 려나가는 치유하기의 근본이 되는 길이다. 이렇듯 동화 『과수원을 점령하라』의 사건의미는 자본주의 체제에 훈육된 편 집증적 증세에서 탈주할 수 있는 선을 그려나갈 수 있는 특이점을 형성한다. 이러 한 특이점이 곧 치유하기의 가능태이고, 화폐화되지 않고 자본에 포섭되지 않은 삶의 가능성을 열어 보이는 새로운 욕망의 생산이기도 하다. 이러한 새로운 욕망이 우리에게 ‘치유의 탈주선 그리기’를 욕망하도록 자극하는 힘이자 이 욕망이 바로 동화 『과수원을 점령하라』 의 담론이 생산하는 치유하기의 역능이기도 하다. This thesis attempts to analyze an aspect of desire and the event and meaning which comes out from discussion of Occupy the orchard, fairy tale by Sun-mi Hwang, and to investigate the functions of healing that are implied in the event-meaning, according to the human-Sociomedical viewpoint. The Occupy the orchard shows the truth of community, which is living with making desires of each other that made up of the different kind of species who are the grand mother, uncle and ant of ‘the orchard’, 10 dusks with leader duck, cat and rat outside of the orchard, a local god, a starling, a magpie, etc. In this locutionary place, the narration of molecular desire become salient narration. First of all, there is nothing different with the first person narration despite this fairy tale consist of the third person-omniscient narration. In this work, no one and anything have privileged position. Also, there is no tie-down into ideal attitude of writer-narration. In each chapter, the lives of humans and ducks, cat and rat, a local god, starling and magpie, and others are arranged equivalently and unfold their molecular desire. Also,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superior view to anyone. This narrative attitude is primary thing to make a line of flight of healing. Meanwhile, In this fairy tale, house of the orchard makes molecular desire of each life and makes it flow naturally, and contact with their desire constantly. This improve both of stability and vitality of life-ecosystem-natural circulating system. Also, they makes some cracks to destructive desire from the way of capitalistic life. So they prepare the ground of molecular revolution for activity of life as minority, and it means that making the line of flight. Delusion, addiction, perversion, division and others from capitalistic desire can be treated by elimination of capitalistic desire and growth of activity of life. In this work, the house of the orchard escape from capitalistic desire and by making molecular desire which improve each living things` activity of life. These activities strengthen their life force. It means, their lives is the way that escape from capitalistic desire. Like this, this fairy tale provide to us the line of flight which can treat the capitalistic obsession.

      • KCI등재

        탈주와 모방

        김예란(Ye Ra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6 언론과 사회 Vol.24 No.3

        이 글은 1970년대 청년문화를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청년하위문화들의 감각과 정동 실천을 통해 생성•수행되는 세대적 역동으로 해석한다. 이는 청년문화를 문화소비 스타일이나 사회정치 질서에 대한 반응으로 축소해서 보는 수동적 관점과 구분된다. 더 나아가 청년문화와 청년하위문화를 이후의 대중문화 형성의 원천으로 해석함으로써 대중문화와 청년문화의 영향관계에 대한 기존의 인식에 수정을 시도하는 반역사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청년문화의 주된 특성으로 첫째, 동물-되기로 표현된 탈주의 감각이, 둘째, 이질적인 청년하위문화들 간의 상호형성적인 관계성인 모방과 발명의 원리가 논의된다. 문화적 감수성이 추동하는 탈주와 모방의 활동은 정치 시위처럼 정권에 대한 직접적인 쟁투는 아닐 수 있지만 소극적이고 냉소적인 탈정치화의 도피와도 다르다. 그것은 이항대립적이고 부정적인 유형의 탈영토화가 아니라 절대적이고 긍정적인 탈영토화로서 수소적인 문화의 창조로서 의미를 획득한다. 본 연구는 문화적 역사의 한 줄기인 1970년대 청년문화를 획일적으로 통합하거나 무관한 것들로 분리하는 대신, 상호적인 관계성 안에서 모방과 혼합을 통해 영향을 주고받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감각 실천으로 설명한 의의를 지닌다. 이로써 탈주와 모방을 주축으로 하는 감수성의 운동으로서 청년문화가 새롭게 발명되는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과정이 주장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a counter-memory of the ‘youth culture’ in the 1970s in South Korea, as a social practice of the cultural sensation of flight and imitation. Two subcultures of youth culture are identified as university students’ youth subculture and young workers’ youth subculture, according to social class and cultural tastes. The current study analyses youth subcultures are analysed in terms of interactive relations of flight and imitation. The two subcultures are explained to have made a social effect of creating cultural sensation which has become a generic force to form a new cultural territory shared among the young people. The youth culture in the 1970s, pursued a ‘right to appear’ as a new human being. In the fundamental sense that it was a struggle against the normative power of recognizing and regulating human or non-human, the youth culture was essentially and immanently political and resis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