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시 행정구역별 홍수 취약성 평가

        최유진,심규범,김응석,정건희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최근 기상이변에 인한 집중호우 및 산업화와 경제 발전에 따른 도시화는 수문학적 변화를 일으키며 도심지 내의 침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도로와 산업단지 등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인해 우수가 지표로 침투되는 능력이 저하되어 표면유출량이 증가함으로서 도시 내 홍수를 유발시키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기상이변에 따른 집중호우가 주거, 공공시설, 산업단지 등이 밀집되어 있는 도시 유역 내에 발생할 경우 인명 피해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는 재해에 대한 높은 취약성을 도시가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25개의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홍수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정부간 기후변화 위원회(IPCC)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행정구별 취약성-탄력성지수(VRI)를 산정하였다. 취약성-탄력성지수(VRI)를 산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취약성 인자를 선정한 후 서로 단위가 다른 변수들 간의 계산을 위해 T-Score 방법을 이용하여 표준화하였다. 또한 의사결정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지 않고 구성된 데이터에 의해서만 가중치를 계산 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인 Entropy방법을 이용하여 각 인자별 가중치를 적용 후 취약성-탄력성지수(VRI)를 산정하였다. 산정 결과 송파구가 홍수 피해를 완화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다른 행정구역 보다 높아 취약성-탄력성지수 값이 높게 산정되어 홍수 취약성에 대해 가장 안전하게 나타났다. 또한 강서구, 금천구, 양천구의 경우 다른 행정구역보다 홍수를 대비할 수 있는 능력에 비해 홍수를 유발시키는 지표 값들이 현저히 높게 나타나 홍수 취약성-탄력성 지수 값이 가장 낮게 산정되었다고 판단된다. 향후 서울시 25개 “행정구” 단위로 평가하는 것 보다 “행정동” 단위로 구분한 후 동별 유역특성을 고려하여 추가적으로 보완한다면 사전에 홍수 피해 분석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홍수방어시설용량-피해 매트릭스를 이용한 서울시 행정구역별 고유홍수취약성 평가

        김응석,최유진,최현일,정건희,Kim. Eung Seok,Choi. Yu Jin,Choi. Hyun Il,Chung. Gunhui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2

        도시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고,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극한 강우 등 이상기후현상이 자주 나타나고 있어 도시 홍수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도시의 홍수취약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정책을 펼치는 것은 정책결정자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며, 도시홍수방어의 역사가 길어짐에 따라 구조적인 홍수방어대책에 기 투자된 비용이 많은 지역은 과거와 달리 홍수피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지역도 생기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건설되었던 홍수방어시설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특정 지역의 지형적인 요인 등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홍수피해를 입어야만 하는 지역을 고유홍수취약성이 높은 지역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제안된 고유홍수취약성과 현재의 홍수위험도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으로 경영전략 분야에 자주 사용되는 BCG 매트릭스를 변형한 홍수방어시설용량-피해 매트릭스(PCD 매트릭스)를 제안하였다. PCD 매트릭스는 도시홍수방어를 위한 구조적 대책의 크기와 과거 홍수피해액을 이용하여 고유홍수취약성이 큰 지역과 현재 홍수위험도가 큰 지역을 구분한다. 서울시의 구별 자료를 활용하여 PCD 매트릭스를 그려본 결과, 상대적으로 홍수에 안전한 지역, 홍수에 취약한 지역, 고유홍수취약성이 커서 잠재적으로 홍수에 취약한 지역, 추가적인 홍수방어시설이 필요한 지역으로 구분하고, 기존의 취약성-탄력성 지수 결과와 비교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해 타당한 결과가 도출됨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서울시의 송파구와 마포구의 경우 재정자립도가 높거나 홍수방어시설이 다수 구축되어 있어 기존 방법에 의하면 홍수취약성이 낮다고 알려져 있으나, 고유홍수취약성은 높은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홍수방재 정책 결정에 있어 보다 폭넓은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Due to the rapid urbanization rate and extreme rainfall as a form of the abnormal climate, the urban flood frequency has been increas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policy makers to evaluate the urban flood vulnerability and propose the corresponding flood mitigation policies. Since the interests on the urban flood mitigation is increased, many structural flood measures has been constructed. If a city has many structural flood measures, the city is considered as the flood safe city. In this study, inherent flood vulnerability is proposed using Flood Protection Capacity and Damage(PCD) matrix with the flood damage cost and constructed structural flood mitigation measures. The proposed inherent flood vulnerability method was applied in Seoul. The results are categorized by four areas such as relatively flood safe area, flood risk area, inherent flood vulnerable area, and the area where more structural flood measures are needed. Calculated inherent flood vulnerabilities we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lood vulnerability-resilience indices. The proposed inherent flood vulnerability showed more reasonable results. For example, Songpa and Mapo were considered as the flood safe districts because of its high financial independence rate and many constructed flood mitigation measures. However, their inherent flood vulnerability is relatively high. There results could show the comprehensive aspect on the flood mitigation policies.

      • KCI등재

        지류 중소하천의 물관리 탄력성 평가지수 개발 및 평가

        박정은,이을래,임광섭,Park, Jung Eun,Lee, Eul Rae,Lim, Kwang Suop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2

        지류 중소하천의 미래 물관리 정책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자료로, 물관리 탄력성 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117개 중권역에 적용하였다. 물관리 탄력성 지수는 취약성, 견고성, 다양성의 부지수로 구성하였으며, 각 부지수는 다시 이수, 치수, 하천환경 분야의 지표들로 총 31개의 지표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중권역은 다목적댐 하류 본류유역(범주 1), 용수공급 및 유량조절이 불가능한 지류(범주 2)와 가능한 지류(범주 3)로 분류하여 적용한 결과, 지류 중소하천에서의 물관리 탄력성, 특히 이수 및 치수분야의 다양성이 본류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약성과 견고성에 있어서는 본류와 지류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양성에서 지류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지류 중소하천의 다양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물관리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물관리 탄력성 지수는 내외부 충격에 대한 안정성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수자원 정책 및 계획의 우선지역 선정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Water Management Resilience Index (WMRI) was developed as a policy measure of adaptability to withstand water stresses and to set up water management strategies mainly in mid-small scale tributaries, and then evaluated on 117 sub-basins in South Korea. The index consists of 3 sub-indices such as vulnerability, robustness and redundancy sub-indices, each including indicators of 3 sectors: water use, flood mitigation, and river environment. Total number of indicators selected for the index was 31. Taking into account the stream order and control capability of river flow discharge, sub-basins were categorized into 3: 1 for mainstreams of lower large dams, 2 and 3 for tributaries, respectively without and with flow discharge regulation.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resilience index scores in Category 2 and 3 are much lower than that of Category 1, especially with very poor score of redundanc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instream and tributaries in vulnerability and robustness sub-indices, results of redundancy sub-index in tributaries were lower than those in mainstream. Thus, it is conceived that the variety of water management scheme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ir resilience in the face of future uncertainty. Addressing comprehensive stability of river basin against internal and external impacts, WMRI in this study can also be used for the prioritization of water management plans.

      • KCI등재

        GIS를 활용한 소나무와 송이버섯의 산림취약성 평가

        임수정,김현준,이상현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of regional forests in Jeollabuk-d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erforming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the preceded process, which was needed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by preparing the proper adaptation for region to climate change policy. Therefore, weight of variables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showing the specificity of the region, was calculated through the Delphi Survey, targeted the group of forestry practitioners in Jeollabuk-do.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weight of variables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according to the proxy variables in detail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was climate exposure, and the second and the third were sensitivity and ability of adapta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from the results on the forest vulnerability assessment, vulnerability was predicted to decrease from 2000s to 2020s, but to increase from 2020s to 2050s, and to decrease again from 2050s to 2100s in most ranges of vulnerability of the forest in Jeollabuk-do. Hence, the period showing the highest vulnerability was 2050s. Therefore, if the local government policy of adaptation of climate change, based on the result of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in Jeollabuk-do with the weight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was established, the policy to maximize the effect would be formulated, and the management of forest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would be achieved appropriately. 본 연구는 전라북도 산림을 대상으로 지역특성에 맞는 지자체 차원의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마련함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선행절차인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전라북도 산림분야 실무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델파이(Delphi) 조사를 하여 지역특성을 반영한 취약성 평가변수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라북도 시·군별 산림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세부항목별 취약성 평가변수의 가중치에서 기후노출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민감도, 적응능력의 순서를 보였다. 또한, 시간에 따른 산림의 취약성 평가 결과, 전라북도 산림 취약성 평가 세부항목 대부분은 현재(2000년대)∼2020년대에 취약성이 감소하였다. 이후에는 2020년대∼2050년대에 증가하다가 2050년대∼2100년대에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가장 높은 취약성을 보이는 시간적 범위는 2050년대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특성을 고려한 가중치를 이용하여 전라북도 산림의 취약성을 평가한 결과자료를 기반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지자체 적응정책을 수립한다면 보다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 기후변화에 따른 적절한 산림 관리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기상의 취약성 지수 정량화 연구 -태풍을 중심으로-

        김철희 ( Cheol Hee Kim ),남기표 ( Ki Pyo Nam ),이종재 ( Jong Jae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2

        VRI(Vulnerability-Resilience Index), which is defined as a function of 3 variables: climate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has been quantified for the case of Typhoon which is one of the extreme weathers that will become more serious as climate change proceeds. Because VRI is only indica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vulnerability between regions, the VRI quantification is prerequisite for the effective adaptation policy for climate in Korea. For this purpose, damage statistics such as amount of damage, occurrence frequency, and major damaged districts caused by Typhoon over the past 20 years, has been employed. According to the VRI definition, we first calculated VRI over every district in the case of both with and without weighting factors of climate exposure proxy variables. For the quantitative estimation of weighting factors, we calculated correlation coefficients (R) for each of the proxy variables against damage statistics of Typhoon, and then used R as weighting factors of proxy variables. The results without applying weighting factors indicates some biases between VRI and damage statistics in some regions, but most of biases has been improved by applying weighting factors. Finally, due to the relations between VRI and damage statistics, we are able to quantify VRI expressed as a unit of KRW, showing that VRI=1 is approximately corresponding to 500 hundred million KRW. This methodology of VRI quantification employed in this study, can be also practically applied to the number of future climate scenario studies over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