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가와 출판인 갈등 연구 - 헤르만 헤세와 피셔 출판사 그리고 주어캄프 출판사

        신종락 한국독어독문학회 2022 獨逸文學 Vol.63 No.4

        Zwischen Autoren und Verlegern bestehen aus politischen, wirtschaftlichen, sozialen, moralischen und ethischen Gründen eine Reihe von widersprüchlichen Interessen. Unter diesen Konfliktfaktoren treten wirtschaftliche Probleme im Zusammenhang mit dem Urheberrecht am häufigsten auf. Hesse wurde von Fischer unterstützt, wollte sich aber nicht auf den Fischer-Verlag verlassen. Hesse versuchte, Teile seines Werkes bei anderen Verlagen zu veröffentlichen. Es gibt viele Gründe für einen Verlegerwechsel, aber der wichtigste ist Geld. Deshalb suchen einge Autoren den Wechsel zu einem Verlag, der ihnen finanzielle Sicherheit bietet. In der Auseinandersetzung mit Bermann Fisher und Peter Suhrkamp, ​​​​über die Frage für welchen Verlag er sich entscheiden soll, entschied sich Hesse schließlich für den Suhrkamp Verlag. Das Eigentum an Fischer Verlag führte nach dem Krieg zwischen Samuel Fishers Nachfolger Bermann Fischer und Peter Suhrkamp zu Rechtsstreitigkeiten. Das Gericht ermöglichte es den Autoren, den zukünftigen Verlag auszuwählen. Unter anderem verließen Hesse und Brecht den Fischer Verlag und traten dem Suhrkamp Verlag bei. Auf Druck der Nazis bot der Verlag Hesse an, Teile des Werkes Narziß und Goldmund mit den jüdischen Bezügen zu entfernen, doch Hesse lehnte die Aufforderung des Verlags ab. Obwohl Hesse im Umgang mit dem Verlag Konflikte wegen wirtschaftlicher und politischer Probleme hatte, war er ein Autor, der seine Überzeugungen verteidigte. 작가와 출판인 간에는 정치, 경제, 사회, 도덕 및 윤리적 이유 때문에 여러 가지 갈등 요소가 내재 되어 있다. 그러한 갈등 요소 중에서 인세와 관련된 경제적인 문제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헤르만 헤세 Hermann Hesse는 사무엘 피셔 Samuel Fischer로부터 후원을 받았지만 피셔 S. Fischer출판사에 전적으로 의존하려고 하지 않았다. 헤세는 작품의 일부를 다른 출판사에서 출판하려고 했고 이것이 한동안 피셔와의 갈등 요소로 작용했다. 출판사를 옮기려는 이유가 여러 가지 있겠지만 가장 핵심적인 것은 결국 돈 문제이다. 그래서 적지 않은 작가들이 자신에게 재정적으로 더 많은 이윤을 제공하는 출판사로 옮기려고 하는 것이다. 피셔 출판사와의 소유권 때문에 사무엘 피셔의 후계자인 고트프리트 베르만 피셔 Gottfried Bermann Fischer와 페터 주어캄프 Peter Suhrkamp 사이에 전쟁 후에 소유권 문제로 충돌이 일어나고 소송하는 문제가 생겼다. 헤세는 피셔 출판사와 주어캄프 출판사 사이에서 어떤 출판사로 가야할지 고민하고 갈등하는 과정에서 결국은 주어캄프 출판사를 선택했다. 법원은 출판사가 작가들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들이 자신에게 합당한 출판사를 선택하도록 했다. 그중에 헤세와 브레히트가 피셔 출판사를 떠나서 주어캄프 출판사에 합류했다. 나치의 압력 때문에 출판사가 헤세에게 『나르치스와 골드문트』라는 작품에서 유대인 부분을 삭제하도록 제안 했지만 헤세는 출판인의 이러한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비록 헤세는 출판사와 상대하는 과정에서 경제적인 문제와 정치적인 문제 때문에 갈등도 있었지만 그는 자신의 소신을 지키면서 문제를 해결해나간 작가였다.

      • 코로나 바이러스, 격리, 전자출판(1) : 프랑스 갈리마르 문학전문출판사의 전자출판총서 『위기의 트락트』

        류내영(Ryu, NaeYoung) 한국전자출판학회 2020 전자출판연구 Vol.15 No.1

        This study analyse and examine a digital collection which has diffused on-line under the name of 『Crisis leaflets (Tracts de crise)』 during the last sanitary confinement(2020.3.18.-2020.5.11.) in France against the Corona virus by the french literature publishing house Gallimard. During this total confinement never known until today enforced against the Pandemic disorder produced by the awful epidemic Covid 19 virus, the publishing house had transmitted 69 digital files (pdf files and e-pub files) passing the barrier raised by the confinement and the virus, which seems to us a successful result that this publishing house has well played with the dynamic digital information network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 of digital publication. Most of all, when we recognize that this new pos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highest technological digital publication of 21th century seems to be deeply related to the fundamental literary basis of this publishing house, configured in his period of printing publication, this new possibility seems to show a historical continuity such as a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publication. This digital collection 『Crisis leaflets(Tracts de crise)』 looks like a literary publishing strategy of the french publishing house Gallimard on this age of digital publication, the house who focuses on his base of the ‘primordiality of words’ which will be the elementary tool of publication, and his literary history with great writers in the period of his printing publication. Thus, this study consist of two steps which will concentrate, in first step, to bring to light the raising background of the tract as a particular style of the french publication and the meaning of the tract as the literary style of the publishing house Gallimard, and in the second one will concentrate to argument a double character of proximity/enlargement of digital spatio-temporal playing, by examining the way of real-time transmission of tracts(files) of 『Crisis leaflets(Tracts de crise)』 as a new literary style of publication in the age of digital publication. Namely, in the first step that we will expose in this paper, we purchase two aspects of development of the french word tract of which the first one concerns his linguistic development in that we recognize the word was a neologism of 19th century inventoried in the french vocabulary to designate all the ancient words in the history of France concerning a 「ephemeral literature」 such as a lampoon(libelle), a pamphlet, a placard, a poster(affiche), a bill, a canard. And in the second one, we will argument a relation of this french tradition of tract and the invention of the expression 「calligramme」 by Apollinaire and his influence on the realization of modern publication. We will examine also the conflictual position against the former expression 「calligramme」 especially his visual characteristic, held by the publishing house Gallimard founded in the same time of the beginning period of 20th century(1911) and published later a tract collection 『Tracts of Nrf』(1934-1939) under the literary principal of house. Those two ‘tract collections’ 『Leaflets/Gallimard (Tracts/Gallimard)』 and 『Crisis leaflets (Tracts de crise)』 emphasize 「right words(mots justes)」 and present their literary favors. In the second step for whom we will consecrate in a second time, the way of the on-line transmission of 『Crisis leaflets (Tracts de crise)』 characterized as a 「literature of actuality」 by the Gallimard will be examined. Especially, those editing characteristic which tends to minimize the visual expression of letters will be examined regarding the ease of mouvement between media in the field of digital publication. 본 연구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문학전문출판사 갈리마르 출판사(Éditions Gallimard)가 지난 코로나바이러스 방역 격리 기간 중(2020.3.18.∼2020.5.11)에 온라인으로 전송한 디지털 총서(collection numérique) 『위기의 트락트(tracts de crise)』를 분석·검토한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COVID-19)의 가공할 세계적 유행병의 혼란에 따른 전대미문의 총체적 격리(confinement total) 기간 중에 매일, 무료로, 바이러스와 격리의 경계를 넘어 전송된 69개의 전자파일(pdf파일과 e-pub 파일로)로 이루어진 이 총서는 종이출판의 단순한 전산화 단계를 뛰어넘어 오늘날 전자출판의 가장 실험적인 주제라 할 수 있는 온라인 전자정보통신망의 역동성을 독창적으로 활용하는 데 성공한 것처럼 보인다. 특히, 21세기의 가장 전위적인 출판양식인 전자출판의 이러한 새로운 가능성이 인쇄출판시대에 구축된 출판사의 문학적 기반을 토대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 역사적 연속성을 전자출판의 하나의 발전방향으로 제시하는 것처럼 보인다. 갈리마르 출판사의 디지털 총서 『위기의 트락트』는 출판의 기본도구인 ‘말의 근원성’을 기반으로 인쇄출판시대의 한 획을 그은 프랑스의 문학전문출판사가 전자출판시대에 다시 말의 위상을 강화하는 하나의 전략적인 문학출판양식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나의 출판 양식으로서 「트락트」가 1920년대 프랑스출판계에 출현한 배경과 전자출판시대에 재 발굴되는 갈리마르 출판사의 문학출판양식으로서의 트락트의 의미를 밝히는 첫 번째 단계와 갈리마르 출판사의 문학적 『위기의 트락트』가 구현한 ‘온라인 실시간 전송’방식을 전자출판시대의 하나의 새로운 문학출판방식으로서 디지털 시공간의 확장성/근접성을 논의하는 두 번째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에서 다루어질 첫 번째 단계는, 「트락트」가 프랑스 역사에 출현한 모든 ‘‘당파적이며 선동적인 내용의 일회성 문학(littérature éphémère)’을 다룬 소책자(libelle), 팸플릿(pamphlet), 벽보(placard), 포스터(affiche), 민중 신문(canard)을 통칭한 19세기 초반의 신조어이며 20세기 초반의 혁명적 「칼리그람(calligramme)」으로 되살아나 하나의 근대적 출판양식으로 실현되기까지의 과정을 추적한다. 그리고 20세기 초반 동시대에 창립(1911)된 갈리마르 출판사의 문학전문출판사의 의미와 1930년에 출간한 총서 『신문학비평 트락트』의 문학적 특성은 문자의 시각적 특성을 드러낸 「칼리그람(calligramme)」과 대조되는 말의 위상임을 논의한다. 전자출판시대의 트락트 총서(『트락트/갈리마르』, 『위기의 트락트』)가 강조하는 ‘정확한 말’ 또한 갈리마르 출판사의 문학적 전통의 발현임을 밝힌다. 차후에 다루어질 두 번 째 단계에서는, 갈리마르 출판사가 ’시사문학‘으로 소개하는 『위기의 트락트』가 온라인 전자정보통신망으로 전송되는 방식을 검토한다. 특히, 문자의 시각적 표현 가능성이 극소화된 이 전자총서의 편집특징을 전자출판물의 특징적인 미디어간 이동의 용이성과 연관지어 살핀다. 갈리마르 트락트 역사에 언급된 대표적인 시청각미디어인 「시네-트락트(cine-tract)」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살피는 한 편 대표적인 시사매체인 ’전자신문의 온라인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기사전송방식’과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 KCI등재

        1인출판사 정책 지원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이건웅(Lee gun woong),우현옥(Woo hyeon ok) 한국출판학회 2015 한국출판학연구 Vol.41 No.2

        ICT 기술과 인쇄술의 발전, 아웃소싱이 다양화 되면서 1인출판사를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은 나날이발전하고 있다. 출판사는 등록제이기 때문에 누구나 자유롭게 1인출판사를 창업할 수 있다. 1인출판사가 양적으로 증가하고 질적인 측면에서 더욱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출판진흥 정책이나경영상의 애로 사항 등 구체적인 실태조사가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할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1인출판사는 자본의 조달을 가장 큰 경영상의 애로사항으로 뽑았다. 정부의 정책 지원중 에서 직접적인 자금지원 정책이 가장 실효성이 높고, 1인출판사가 원하는 정책이다. 하지만 이는단기적인 처방으로 1인출판사가 자립하고 건강한 경영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유통채널을 투명화,전자책 제작, 홈페이지 구축, 재교육 등 인프라 확충과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지원을 병행해야 한다.본 연구는 1인출판사의 실태조사를 통해 실효성 있는 정책 지원 방안을 도출해 보도록 한다. By means of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and internet, and diversification of outsourcing, environment for operating one person’s publishing company is being developed day by day. Because a publishing company is based on registration system, anyone can establish one person’s publishing company freely. In order for one person’s publishing company to be increased quantitatively and exercise more effect qualitatively, government has to do specific survey of the problems related to publishing promotion policy or management. This study is the result of more specific and systematic research of <actual condition survey of one person’s publishing company>, which the researcher participated as the responsible researcher in December, 2014. In conclusion, one person’s publishing company selected financing as the greatest managerial difficulty. Among government’s policy support, direct financing policy is the most realistic and effective policy and most desired policy by one person’s publishing companies. However, in order for one person’s publishing company to achieve independence and build a healthy management system by means of short-term prescription, direct financing policy must go side by side with policy support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for the distribution channel transparency, e-book creation, web-site building, and retraining, etc.

      • 클라우드 기반의 도서관 전자책 직구매 플랫폼 & Overdrive

        김도형 ( Dohyung Kim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6 디지틀 도서관 Vol.84 No.-

        (주)이씨오가 개발한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책 직구매 플랫폼은 출판사용 플랫폼, 도서관용 플랫폼, CMS플랫폼 이렇게 3개로 구성되어 있다. 출판사 플랫폼을 통해 출판사가 콘텐츠를 등록하는데 우수도서수상, 출판사 추천, 패키지 등의 다양한 형태의 메타데이터와 검색데이터를 등록하면 CMS에 해당 메타데이터가 저장되고 Atom Feed와 도서관 플랫폼을 통해 도서관 사서는 실시간으로 신간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그외 다양한 검색기능을 통해 도서관의 예산에 맞추어 콘텐츠를 주문하면 해당 주문내역은 출판사에 전달되고 출판사는 주문된 내역을 승인 또는 취소 할 수 있다. 이렇게 주문 완료된 콘텐츠는 도서관에 탑재 또는 ASP를 통해 이용자에게 서비스된다. 출판사는 도서관에 판매되는 판매가를 직접 결정하고 도서관은 그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언제든 신간의 콘텐츠를 조금씩 구매할 수 있다. 중간 유통망을 거치지 않고 직구매를 통한 콘텐츠 구매로 도서관은 기존 구매예산대비 구매 종수를 증가할 수 있으며 출판사는 수익이 증대되어 신간 전자책을 더 많이 생산 가능해 진다. 직구매 플랫폼은 다음과 같은 기술이 적용된다. 1. 전자책의 카탈로그가 Atom Feed될 수 있는 표준 XML 구조 개발, 2. 원 클릭 주문서비스 개발, 3. 주문 콘텐츠 바로 서비스플랫폼 개발, 4. 메타데이터 생성 및 변환 서비스 개발, 5. 전자책 복본 체크서비스 개발, 6. 구매시스템 사용자관리 및 자동 이메일 알림서비스 개발, 7. 출판사별 정산서비스 개발, 8. 출판사용 메타데이터관리시스템 개발, 9. 서비스플랫폼 관리시스템 개발, 10. EPUB 지원 전자책 뷰어 개발 Overdrive(오버드라이브)는 글로벌 디지털 콘텐츠 선두업체로 전 세계 34,000여 개의 도서관 및 학교에 구축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공공도서관 점유율 95%, 호주 지역 85% 및 영국 66%라는 이례적인 기록을 세우며, 영미 디지털 도서관 분야에서는 독보적인 실적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로 5,000개 이상 출판사의 650,000종 이상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주)이씨오는 2016년 오버드라이브와 파트너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한국 공식 리셀러로서 한국 고객들에게 오버드라이브의 이러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The cloud-based DIRECT e-book PURCHASE PLATFORM developed by ECO, Inc. consists of three platforms that are for publishers, for libraries and CMS respectively. Publishers can register their contents through the platform for publishers. If the publishers register the metadata and search data such as awarded books, recommended books or packages, those data are saved in the CMS. And the librarians can check the updated data through the Atom Feed and platform for libraries in real time. When libraries purchase the contents in their budget through various search, the order is delivered to the publisher and publishers can approve or cancel the order. The approved order is then available for users by being placed in the library or through ASP. Publishers can decide the selling price by themselves and the libraries can purchase the updated contents whenever they want in real time. As there is no mid-distribution network, libraries can purchase more titles with same budget than before and publishers can produce more new ebooks as the profit increases. The followings are the technologies applied to our DIRECT PURCHASE PLATFORM: 1. Development of a standard XML structure that catalog of ebooks can be Atom Feed. 2. Development of one-click order service. 3. Development of platform for order-to-direct-service. 4. Development of service for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the metadata. 5. Development of duplicate cross-check service. 6. Development of user management and automatic e-mailing service. 7. Development of billing service per publishers. 8. Development of metadata management system for publishers. 9. Development of service platform management system. 10. Development of Ebook viewer that supports ePUB. Overdrive is a leading provider of global digital contents, with over 34,000 libraries and schools around the world. It has achieved its unrivaled position with an exceptional record of 95% of the US public libraries, 85% of Australia and 66% of the UK. OverDrive has excellent titles more than 650,000 from about 5,000 publishers. As official Korean reseller, ECO, Inc. will provide the great service of OverDrive to Korean customers.

      • KCI등재

        교육 출판사의 효율성 측정 및 효율성 영향요인 분석

        양진원(Jinwon Yang), 양지연(Jiyeon Yang), 최강화(Kanghwa Choi) 한국생산관리학회 2023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 23개의 교육출판사를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DEA)를 활용하여 2018년부터 2021년까지의 연도별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출판사 효율성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출판사 운영 변수를 도출하여 이러한 출판사 운영 변수들이 효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Simar와 Wilson(2000)이 제시한 이단계 부트스트랩 단절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DEA 분석 결과에 의하면, 최근 4년간 출판사의 기술 및 순수기술 효율성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 19 발생 이후인 2020년 이후에는 평균 효율성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효율성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규모의 비효율로 인하여 효율성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육출판사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출판사의 전략적 운영변수로 지급수수료, 지급임차료, 운반비 등이 효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코로나19의 발생 전후 시기에 효율성을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출판사 운영변수들은 서로 다른 패턴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최근의 어려운 환경에 놓여있는 출판사들의 효율성 제고 및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used parametric data development analysis (DEA) to estimate the contemporaneous efficiency of 23 educational publishers in Korea from 2018 to 2021. Moreover, we employed a two-stage bootstrapped truncated regression to identify the internal factors affecting the operating efficiencies of educational publishers. According to the DEA results, the technical efficiency (TE) of educational publishers has continued to decline over the past four years, and the average TE has decreased mainly due to scale inefficiency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in 2020. In addition, payment fees, rental fees, and transportation costs as strategic operating variables of educational publisher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efficiency.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promoting sustainable growth of publishers.

      • KCI등재

        우리나라 출판사들의 SNS 활용 실태 분석 연구 -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를 중심으로 -

        이종문,Lee, Jong-Moo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SNS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를 중심으로 출판사들의 SNS 활용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SNS를 개설한 출판사는 전체 신고 출판사(41,407개) 중 0.5%(222개)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었다[독립적 웹 페이지 개설한 출판사는 전체 출판사 중 3.7%(1,537개)]. 둘째 조사대상 SNS 222개 중 응답 212개(트위터 71개, 페이스북 74개, 미투데이 67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5%(107개)가 100명 이하의 독자 혹은 잠재 독자와 관계를 설정하고 있을 정도로 소통이 미흡하고, 출판사들이 게시한 글의 횟수 또한 1,000개 이하가 77.4%(164개)에 달할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출판사들이 게시한 글(300개)과 이용자들이 게시한 글(500개)을 분석한 결과, 게시한 글의 상당수가 출판도서의 마케팅, 소개, 추천, 독서와 관련한 글로 나타나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출판사들의 SNS에 글을 게시한 이용자 글의 86.6%가 1회성 글로 나타나, 지속성이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alyze and identify the problems related to SNS usage by publishing companies around Twitter, Facebook and Me2day as well as theoretically investigate SNS, and ultimately to suggest the approaches to improve the outstanding issues identified.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ly 0.5%(222 publishing companies) in total publishing companies(41,407) opened SNS[3.7%(1,537) opened the independent website.] Second, in accordance with the investigation on 212 publishing companies in 222 companies opening SNS(71 twitters, 74 facebooks, 67 Me2days), the communication was not significant to the extent that only 50.5%(107) kept the communication with less than 100 readers or potential readers. Furthermore, 77.4%(164 companies) had less than 1,000 postings by publishing companies. The analysis on the postings(500) by users and postings(300) by publishing companies demonstrated that those postings were mostly related to marketing, introduction, recommendation and reading of publications by publishing companies. It means that the postings were mostly positive. However, 86.6% of postings by users in SNS of publishing companies was merely one-time posting. It indicated that continuity was not sufficient.

      • KCI등재

        출판사의 저작인접권 법개정안 연구 - 출판사의 권리 보호를 중심으로 -

        남기연,박정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2 스포츠와 법 Vol.25 No.4

        입법기관인 국회는 법률관찰의무와 법률개선의무를 진다. 최대권 외, 사회변화와 입법, 도서출판 오름, 2008, 263면법률관찰의무는 조사의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법률이 사회현실을 제대로 규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자료들을 계획적으로 조사하고, 수집하고, 평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게서, 263면법률개선의무는 입법 당시에는 예견할 수 없었던 문제가 출현하여 입법이 기초로 하고 있는 사실관계에 의문이 제기된 경우에 해당 입법이 새로운 규범 현실하에서도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입법자는 심사하여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을 뜻한다. 최근 스마트폰 보편화로 모든 콘텐츠가 스마트폰에서 소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판 분야의 콘텐츠는 출판 관련한 합의가 다양하여(종이책만 출판하는 경우, 전자책만 출판하는 경우, 양자 다 출판하는 경우 등) 스마트폰에서 소비가 원활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출판사의 수익은 변변치 못하다. 음악은 음반과 음원 시장의 이원화 시장에서 저작인접권 도입을 계기로 하여 선사용후분배 보상금시장이 열리면서 음반제작자의 음반산업도 활성화되었을 뿐 아니라 소비자들은 국내 출시되는 모든 음원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만나게 되었다. 한편 출판은 서적과 전자출판물처럼 이원화 시장에서 저작인접권 도입이 없다보니 접점을 줄이지 못한 채 출판사와 작가의 합의에 모두 일임하고 있고, 도서관이나 전자북 플랫폼에서는 출판사와 작가의 계약을 일일일 점검하고 전자출판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계약기간에 있어서도 저작권법상 국내 출판계약은 통상 3년에서 5년인데 보상금 시장이 정착된 음반제작계약은 저작인접권이 있다 보니 음반을 고정한 때로부터 50년간이라는 안정적 기간동안 음원으로 플랫폼에 유통된다. 입법자는 입법당시와는 확연하게 변화된 상황이나 잘못된 현실진단이 있다고 인정될 경우에 법률관찰을 통해 법률개선의무를 진다. 상게서, 263면. 최근 엔터테인먼트 법률의 양적 팽창으로 인하여 분배적 정의가 상당히 실현된 바 있지만, 현실적으로 문화산업 내에서 분배적 정의는 아직 모자란 측면이 있으며 저작권법 내 출판사의 지위는 영상제작자, 음반제작자 등 다른 저작인접권자에 비해 여전히 63조의 출판권자로 머물러 있다. 최근 들어 ‘기후 위기’라는 환경권에 대한 높은 관심 속에 출판업계는 종이책의 무한정한 증가가 환경권을 침해한다는 측면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고, 독자는 절판 도서로 인해 중요한 출판물이 독자를 만나지 못하는 이유가 전자출판 시장이 불안정하기 때문이라는 측면이 분명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음반제작자와 출판사의 형평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국회의 입법을 촉구하기 위한 출판사의 저작인접권 도입을 위한 법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과서출판사의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

        이문학(Lee, Mun Hag),김정명(Kim, Jung Myoung) 한국출판학회 2020 한국출판학연구 Vol.46 No.1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verything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f the world is chang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rapid social changes and the education publishing industry is more urgent. This is because the decrease of school-age population, which is the main consumer of Korean textbooks, is seri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untermeasure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competitiveness of textbook publishers who are at the crossroads of chang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2018, the publishers ranked fourth in sa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are the ways for textbook publishers to be competitive in the changing environment. First, it is the development of the textbook that responds to the change continuously. Second, it is the connection between digital textbooks and IT technology. Third, it is to open a new market. Fourth, it is diversification of business field. Fifth, the active use of the textbook research institute. Sixth, it suggests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IMC strategy. 4차산업혁명시대의 도래로 세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것이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급격한 사회 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며 교육출판업계는 더욱 절실하다. 이는 우리나라 교과서의 주 소비층인 학령인구의 감소가 심각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출판산업의 변화양상과 교육출판의 중심에 있는 교과서 출판사의 경쟁력 분석과 이를 통한 대응방안의 제시가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교과서출판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변화를 살펴보고, 2018년 매출액 기준으로 4위까지의 교과서출판사를 대상으로 경쟁력 분석툴인 4C분석을 통해 교과서출판사의 경쟁력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교과서 출판사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변화에 대응하는 지속적인 교과서 개발, 둘째, 디지털교과서와 IT기술의 연계, 셋째, 새로운 시장 개척, 넷째, 사업분야의 다각화, 다섯째, 교과서 연구소의 적극적인 활용, 여섯째, IMC 전략이 기반이 되는 조직문화의 형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중소출판사의 산업적 문제와 개선 방안 연구

        이종문(Lee, Jong-Mo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7 No.-

        본 연구는 중소출판사가 처해 있는 산업적 문제를 관련 선행연구 및 통계자료 등을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를 파악하여 중소출판사의 발전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출판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출판 산업은 전체 출판사 중 대부분이 중소출판사에 속하고, 매출실적이 있는 출판사가 8.9%에 불과하다. 또 평균 종사자 수가 8.4명에 불과할 정도로 열악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출판사의 산업적 활성화를 위한 문제요인을 우수작가 확보, 공동출판센터 운영, 공동유통센터 운영, 공동물류관리센터 운영, 공동마케팅 인프라구축등으로 인식하여, 실제 적용 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approach for the development of small publishers by theoretically investigating the industrial problems that small publishers have been facing with existing research and statistical data and identifying the problems on the basis of theoretic investig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blication statistics, small publishers make up the majority of the publishing industry in Korea. Publishers with sales records accounted for only 8.9%. Furthermore, the publishing industry in Korea is very poor to the extent that the average number of workers per company was 8.4. For the activation of the publishing industry in Korea, it is required to secure good writer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joint publishing center, distribution center, and logistics management center and implement a joint marketing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paper proposed an applicable approach for development of the publishing industry.

      • KCI등재

        프랑코 체제 하의 검열정책과 출판 환경 변화에 대한 연구 - 1965년부터 1975년 중심으로 -

        김선웅 ( Kim Son Ung ) 세계문학비교학회 201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8 No.-

        프랑코 체제 하의 검열은 신문, TV, 라디오, 영화, 연극 등 모든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글로써 모든 사실과 지식을 알리는 출판사에게도 검열의 칼날은 언제나 가까이 있었다. 이 연구는 출판인쇄법(1966) 공표 전후, 검열의 운영과 조직체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당시 스페인 정부기관들의 이해 충돌하는 모습과, 검열 대상인 출판사들과 정부의 대립구도가 어떤 형태인지도 알아 볼 예정이다. 또한 스페인 정부가 주도한 개방주의 정책(1966)의 근본적인 의도와 정책 실행 이후 검열정책이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하는지를 보고, 스페인 정부가 실행한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통제와 규제를 탐색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자면 출판사에 대한 서적 몰수, 유통 금지, 출판사주나 편집장의 구금이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존의 출판사들의 출판 의지를 약화시키려는 목적으로 정부가 별도의 출판사를 지원하는 우회적인 통제와 규제도 있었다. 검열관들은 마치 공무원처럼 자신의 업무를 수행했는데, 직업적인 소명 의식도 존재했겠지만 좌절한 문학 지망생의 개인적인 사견도 검열에 영향을 미쳤는지도 살펴 볼 것이다. 출판사들은 초기에는 소극적인 면을 보였지만 출판인쇄법의 공표라는 사회적 큰 변화의 기류에 편승해서 당시의 시점에서 정부에 반대되는 시점으로 출판하려는 출판사들이 늘어났다. 그리고 각 출판사들의 개별적인 출판활동에서 벗어나 연대 의식을 가졌다는 것이 특징이다. 어쨌든 다수의 출판사들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 자신들의 출판 의지를 버리지 않고, 다양한 시도를 했었는데, 그 방법들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The censorship under the Franco regime was not limited to book publishing, but it controlled and regulated almost every sectors of culture, including newspapers, TV, radio, movies, and theater. This paper studies the history of censorship and examines the operation and censorship organization since the year of Publication Printing Act (1966). It analyzes conflicts of interest among the government agencies, and it focuses on the struggles of the publishing companies, who were the target of censorship. The essay interprets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Spanish government’s openness policy and the results after the policy implementation, particularly the methods of direct or indirect control and regulation. For example, there were cases of book confiscations for publishers, prohibition of circulation, detentions of publishers and editors, and circumventive tactics with which the government supported its handpicked publishers with the aim of extenuating the existing publishers. The agents of such censorship behaved as if they were government workers. Though they might have had a sense of professional calling and commitment, they were frustrated literary aspirants, and their discontented opinions could have influenced censorship. Publishers initially showed a passivity, but the number of publishers increasingly opposed the government at the time was increasing because of the great changes in society, the publication of the printing and publishing law. It is intriguing to see the fact that each publisher did not search for its own survival, but it tried to build a sense of solidarity with peer publishers. At least, many publishers did not abandon their willingness to publish under a harsh circumstance, but they explored diverse strategies to surv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