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실과 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김효심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초등 실과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실과 교육내용에 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2009(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 상에 제시된 ‘가정생활’ 및 ‘기술의 세계’ 교육내용 영역 24개 항목을 중심으로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 및 교사 자신이 가진 능력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그 차이를 기초로 보리치(Borich)의 요구도 산출 공식을 이용하여 실과 교육내용에 관한 교육요구도를 계산해 내었다. SPSS 18.0 for Windows Packages를 이용하여 290명의 초등교사에게서 얻은 설문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교사는 ‘기술의 세계’ 영역보다 ‘가정생활’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해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과 교육내용 항목들 전반에 걸쳐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 수준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가정생활’ 영역의 ‘생활 속 헝겊 용품 만들기’ 교육내용이 전체 1순위 그리고 ‘기술의 세계’ 영역의 ‘창의적인 제품 만들기’ 교육내용이 2순위였다. 2. 실과 교육내용 항목들에 대해 초등교사 자신의 보유 능력에 대해서도 대체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에 대한 인식 수준에 비해 낮았으며 ‘가정생활’ 영역보다 ‘기술의 세계’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해서 자신의 능력이 더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가장 낮은 점수가 나온 항목은 ‘생활 속의 동물 돌보기’와 ‘생활 속의 식물 가꾸기’였다. 3. 교육요구도 산출 결과, ‘기술의 세계’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대체로 높게 나타나 전체 1위부터 7위까지 ‘생활 속의 동물 돌보기’, ‘생활 속의 식물 가꾸기’, ‘동․식물 자원과 환경’, ‘정보기기와 사이버 공간’, ‘멀티미디어 자료 만들기와 이용’, ‘창의적인 제품 만들기’, ‘기술과 발명의 기초’ 순으로 이어졌고, 그 다음이 ‘가정생활’ 영역의 ‘생활 속 헝겊 용품 만들기’ 내용으로 전체 교육요구도 순위는 8위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E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24 education contents about ‘home life’ and ‘world of technology’ in Revised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2009(2011) by using Borich's needs assessment formula of the perception gap between required competence level(RCL)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present competence level(PC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of 290 cases and processed by SPSS 18.0 for Windows Packag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quired competence level(RCL) about items of 'home life'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world of technology' in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making cloth items in our life'(1st), 'making inventive products in our life'(2nd)). 2. Their present competence level(PCL) about items of 'world of technology' was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home lif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animal caring in daily life'(1st), 'plant gardening in daily life'(2nd)). 3. Their educational needs(EN) about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 appeared higher in items of 'world of technology' than in 'home life'. Seven in the head ranks in order among all items became clear to 'animal caring in daily life', 'plant gardening in daily life', ‘animal/plant resources and environment’, ‘informational instrument and cyberspace’, ‘making and using of multimedia materials’, ‘making inventive products’, and ‘the basis of technology and invention' of 'world of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making cloth items in our life' of 'home life' took the 8th place among all.

      • KCI등재후보

        초등 실과 내용에 기반을 둔 국가기념일 행사 중심의 훈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경숙,이상원,김종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9 實科敎育硏究 Vol.15 No.2

        이 연구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바른 인성 함양에 있다고 보고, 그 실천하는 매체로서 실생활을 중시하는 초등학교 실과 내용에 기반을 둔 국가기념일 행사 중심의 훈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과교육이 ‘생활에의 적용과 실천, 실생활에의 유용성을 중시’하는 교과임에 초점을 맞추고, 실과교육 내용에 근거한 ‘가족과 일의 이해’, ‘생활기술’, ‘생활자원과 환경의 관리’ 영역 중 시사성이 내재되어 있는 내용을 국가적 기념일의 의미와 통합시킨 훈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바른 인성이 함양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사회적 정체성 확립의 내면화에 기여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절차는 기획, 준비, 개발, 개선과 같이 4단계 과정으로 진행하여 국가기념일을 기반으로 한 훈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 적용은 서울시 S초등학교 5~6학년 11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학교방송, 학교통신, 학교홈페이지를 이용하여 훈화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기념일 행사 중심의 훈화교육 프로그램은 가족과 일의 이해, 생활기술 및 생활자원과 환경의 관리 내용을 근거로 하고 있는 초등 실과 내용을 기반으로 한 통합훈화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둘째, 개발된 훈화교육 프로그램을 학교방송, 학교통신, 학교홈페이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실천적이면서 반성적 계기를 만들어 주어 바른 인성이 내면화 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실천적 의지에 대한 변화를 글쓰기 활동을 통하여 감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초등학생의 인성교육은 도덕 교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실과 교과를 포함한 전 교과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훈화교육 내용 개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성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전인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초등학교에 있어 인성교육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교과에 분산되어 있는 훈화교육의 각 주제를 재구성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dmonitory education program of national memorial days-centered based o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contents. To realize the humanity cultivation in actual life, this program integrates the meaning of national memorial days into the main contents of practical arts such as ‘understanding of the family and work’, ‘life technology’, ‘life resources and the managing of environment’. The research was developed through four major stages: (1) plan, (2) preparation (3) development, and (4) improvement. The developed program was administered to the eleven classes of the 5th and 6th graders students in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rough school announcement, school newspaper and school homepag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holiday-centered admonitory education program focuses on the main contents of practical arts such as ‘understanding of the family and work’, ‘life technology’, ‘life resources and the managing of environment’. Second,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admonitory education program through school announcement, school newspaper and school homepage, students get opportunities to reflect themselves and cultivate humanity by writing essay about their practical will. In conclusion, the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an be effective in diverse admonitory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whole curriculum including practical arts, not only in the moral education as one subject. Also, to make character education formulate better, various researches that rearrange the admonitory topics dispersed in different subjects should be followed constantly.

      • KCI등재

        초등학교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개발 방안

        방기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는 농업의 변화에 부응하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초등학교 수준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의미와 범위 고찰, 교양농업 교육내용 변화에 대한 교육과정기별 분석 및 문제점 도출, 그리고 이를 토대로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서는 내용 분석의 준거가 되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영역을 ‘농업의 이해’, ‘우리생활과 농업’, ‘자연자원과 환경’, ‘동물 생산’, ‘식물 생산’, ‘농산물 가공’, ‘농산물 유통’, ‘농업 정책’, ‘농업과 진로’ 등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실과교육과정기별로 교육내용의 변화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이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실과교육과정기에 따른 교양농업 교육내용은 특정 영역에 편중된 편성, 독립적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구성, 계열성, 계속성 등의 원리가 반영되지 않은 교육내용의 조직, 실과교육과정기별로 다양성과 일관성이 결여된 농업 교육내용의 편성, 계속적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감소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개발을 위해서는 ‘농업의 이해’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의 편성, 통합된 내용의 구성, 계속성과 계열성 있는 내용의 구성, 다양성과 일관성 있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편성, 충분한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확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초등학교 수준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은 설정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농업의 변화 및 교양농업교육 구성원의 요구를 반영해야 하며, 이에 의한 최적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scope of educational contents, to analyse the changes and problems of educational contents, to present th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contents analysis. The criteria of educational contents analysis by review of literature wer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Living and Agriculture’, ‘Natural Resource and Environment’, ‘Animal Production’, ‘Plant Production’, ‘The Crops Processing’, ‘The Crops Distribution’, ‘Agricultural Policy’, ‘Agriculture and Career’ domains.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had various problems : specific and independent organization, deficiency of diversity and consistency, decrease of educational contents etc.(2)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should contain the contents of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domain, organize an integrated contents, and be applicable to diversity and consistency. Also it should secure an enough quantity.(3)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that i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have application to needs of constituents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의 식물교육 내용 분석

        김재호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3

        이 연구는 제1차 교육과정으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초동학교 실과 교과에 반영된 식물 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이를 위해 ① 식물교육 영역에 따라 실과 교과서의 내용 분석,②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에 나타난 식물의 종류 분석, ③ 추후 실과 교과서 내용 개정에 필요한 시사점 도출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수행하였다. 식물교육 내용 분석 틀에 의한 분석 결과,식물교육 관련 내용은 그 비중이 점점 작아져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매우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농업관련 내용의 비중이 매우 적은 것에 기인하는 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관련 소단원이 꽃가꾸기,채소가꾸기,니무가꾸기,실내꾸미기의 4개에 그치고 있어 그 내용이 다른 교육과정에 비해 매우 부족하였으며,일부 교육이 필요한 내용이 포함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식물교육 영역의 내용이나 식물의 종류가 교육과정기별로 편차가 매우 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식물교육 내용 체계화,학교급별 식물교육 수준에 대한 연구,모든 학년에 일부라도 식물교육의 내용 포함,실과(기술·가정)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다양한 전문가의 참여와 협력 등의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plants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ollecting from 1st curriculum to 7th curriculum, developing contents analysis framework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plants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umber of agriculture related content units were 151(29.3%) totally in practical arts textbooks that from 1st curriculum to 7th curriculum. But, in 7th curriculum, that ratio was only 18.2%. In 7th curriculum, Plants-related contents were only four unit that raising flowers, raising vegetables, raising trees, and indoor decoration. So, contents of 7th curriculum were very not enough to achieve the goal of plants education. Second, Plants education related contents in 7th practical arts textbook were very insufficient. So, plants education could not be achievable of the goal in present curriculum. Third, variation of contents and species was very large in plants education as curriculum period.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recommendations that systemization of plants education contents, research of plants education level according to school level, include plants education in every grad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of various experts in writing practical arts education textbook were suggested.

      • KCI등재

        실과 교과서에 제시된 진로교육 내용 분석

        류상희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stituents for career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extbook.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3 steps: description, correspondence, conclusion. The frame of content analysis is ‘objective and content criteria for career education in primary school'. The five categories(self understanding, world of work and job, attitudes toward work and job, work-based learning, career planning) of career education objectives and contents were reflected in fifth grade and six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 In the category of 'Work-based learning' the textbook included the contents related to only one sub-objective, benefit from academic success in job life. The fifth grade textbook did not include the objectives and contents related to the category of 'career planning'. However sixth grade textbook includ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job goals and career plans suitable to aptitude. 본 연구는 실과 교과를 통한 진로교육의 실태 분석과 체계적인 진로교육 방안 모색을 위하여 실과 교과서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진로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실과 교과서 분석은 기술, 대응, 결론의 분석 절차와 ‘초등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의 분석틀에 의해 이루어졌다. 실과 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요소는 첫째,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영역인 ‘자아 이해’, ‘일과 직업 세계’,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일과 학습’, ‘진로 계획’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둘째, ‘일과 학습’ 영역은 3개의 하위목표 중 학업성취가 직업 생활에 주는 이점에 관련된 목표 위주의 내용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5학년과 6학년 모두에서 그러하다. 따라서 음식 만들기, 생활용품 만들기, 전자 회로 꾸미기 등의 실습 활동과 연계하여 다양한 일과 직업 세계가 요구하는 자질 특성의 이해에 관련된 내용을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 계획’ 영역은 5학년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으나, 6학년에서는 ‘일과 진로’ 단원에서 진로 목표 설정의 중요성과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 계획을 세우는 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