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이커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류상희,류상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3 實科敎育硏究 Vol.29 No.3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maker education for providing basic data to introduce and implement maker education in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For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egre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maker education, differences in perception on maker education according to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perception on maker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9 teachers in charge of 5th and 6th grades at 1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heongju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maker education was high. And teachers showed high means in all sub-factors(improving student capabilities, improving classroom instruction, the need of maker space,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 expertise). Second, gender was not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maker education.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maker educa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eachers know what maker education is. In the sub-factor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improvement of classroom instruction, the need of maker space,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 expertise.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mak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maker education-related training. In the sub-factor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improvement of classroom instruction.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perception on maker education(improving student capabilities, improving classroom instruction, the need of maker space,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 expertise).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on maker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teachers' expertise in order to introduce authentic maker education in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교실 속으로 메이커 교육을도입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의 정도, 배경적 특성에 따른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청주시에 소재하는 16개 초등학교에서 5학년과 6학년을 담당하는 교사 149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상관관계 분석을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커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은 높은 수준이었다. 하위요인 모두(학생 역량 증진, 교실 수업 개선, 메이커 교육 환경의 필요성, 교사 전문성의 중요성)에서도 높은 평균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메이커 교육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느냐의 여부에 따른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는 교실 수업 개선, 메이커 교육 환경의 필요성, 교사 전문성의 중요성에서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다. 넷째, 메이커 교육 관련 연수의 경험에 따라서도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는 교실 수업 개선의 효과에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들(학생 역량 증진, 교실 수업 개선, 메이커 교육 환경의 필요성, 교사 전문성의 중요성)은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메이커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고,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과 역량 인식 및 개선 연구

        류상희,진의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3

        이 연구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실행에 요구되는 지원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교과 전문가(실과:95명, 기술: 39명, 가정: 58명, 대학교수 포함) 192명, 초․중학교 학생 1,473명으로 총 1,665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기술․가정)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교과 역량에 대해 소속, 집단별 중요도, 실현 정도 등에 상호간에 인식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실과(기술․가정) 교과 역량 증진 방안에 대한 조사 결과, 교과 역량별로 별개의 교수․학습 방법 및 활동이 이루어지기보다는 다양한 유형의 교수·학습 방법들을 교과 역량 함양에 사용할 수 있다. 셋째,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과 역량이 학교 수업에서 구현되기 위해서는 현장 교사들을 위한 교과 역량에 기반 교육내용 재구성,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에 대한 실천적인 준비와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으로 교육과정 내용 재구성에 관련해서는 실생활 연계된 교육내용 재구성, 타 교과와의 문제해결 중심 융합․연계 지도, 교육 내용의 적정화 또는 축소,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수업 시수, 교육 내용의 최소한의 변화 등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교수․학습 측면에서는 교수․학습 자료의 적극적인 보급, 실습 형태로 활용 가능한 워크북 교과서, 적정 기술 체험 등 활동 위주의 수업이 필요 등을 제안하였다. 여섯째, 평가 측면에서는 수행 평가 모형, 예시안 개발 및 교사 연수 병행, 교과 역량을 위한 평가 방법 개선 등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hat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needs to run for the empowerment of curriculum Practical Arts(Home Economic·Technology) through promoting skills curriculum to nurture creative talent necessary for the future. The subjects were 192 subjects experts(95 practical arts, 39 technology, 58 home economic, including university professors), 1,473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1,66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gram PASW 18.0,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al Arts(Home Economic·Technology) Survey results for curriculum competencies, affiliation, class-wide significance for the curriculum competencies, and achieve a degree of difference in perception may appear larger with each other and so on. Second, the Practical Arts(Home Economic·Technology) curriculum competencies promoting research, by Professor separate curriculum competencies in the room. You can use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ies rather than being made to cultivate skills curriculum. Third, the 2015 revision Practical Arts(Home Economic· Technology) the practical preparation and support in order to become a curriculum competencies outlined in the curriculum implemented in the school curriculum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organization for schools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etc. need. Fourth, with regard to support measures to curriculum content reconstructed for curriculum competencies promoting real life linked to educational content reorganization, other subjects and problem-solving oriented fusion. Linkage map, rationalization or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untreated water according to curriculum changes , it presented such a minimal change in the training. Fifth, Professor in terms of learning. The class-oriented proactive dissemination of learning materials, work in actionable form Practice Book textbooks, appropriate technology experience, including activities such as the proposed necessary. Sixth, the proposed terms of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not an example of parallel development and teacher training Comments, evaluation method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competencies.

      • KCI등재후보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류상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1개 학급은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을 실행하는 실험집단으로 하고, 나머지 1개 학급은 일반적 실과 수업을 진행하는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성숙도와 진로효능감의 차이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은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자기이해와 일에 대한 태도는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을 통해 향상된 반면, 계획성과 독립심은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은 초등학생의 진로효능감 수준을 높여주는데 효과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집단의 진로효능감은 사전검사에서 비해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같이 실험집단의 진로효능감이 향상되었음에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간의 진로효능감이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은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에서 진로효능감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의 효과를 재검증하기 위해서는 실험 기간의 연장과 학년 확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integrated in Practical Arts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study, two fifty grade classes were selected and each made a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career education integrated in Practical Arts was applied to experiment group, but conventional Practical Arts lesson was applied to control group.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career education integrated in Practical Arts showed improvement on the career maturity of fifty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ub-factors, the experiment group which received classes through career education integrated in Practical Arts improved their self understanding and attitudes toward job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career education integrated in Practical Arts didn't show improvement on the career efficacy of fifty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the post-test of experiment group showed improvement on the career efficacy compared to the pre-test. This suggests extension of experiment period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integrated in Practical Arts in the future study.

      • KCI등재후보

        실과 교과의 수업설계 모듈 개발

        류상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8 實科敎育硏究 Vol.24 No.3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인 교과 역량 신장, 교육과정에 근거한 유의미한 학습 전개, 학생의 성장을 돕는 과정지향적 평가 등을 안내하기 위한 실과 수업설계 모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수업설계 모듈은 전문가 집단의 검증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 후 완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설계 모듈의 단계는 교육과정 개요, 수업 계획(수업 개관, 평가 계획, 학습경험 계획), 차시별 수업 안내, 평가 기록으로 구성하였고, 교육과정 개요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수업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에 대한 밑그림을 제공한다. 둘째, 수업 계획은 교육과정-수업-평가의 과정이 긴밀한 연계성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수업 개관은 해당 수업의 성취기준, 수업 활동, 평가 활동을 구조화할 뿐 아니라 활동의 유의미성을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평가 계획과 학습경험 계획을 구성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평가 계획을 학습경험 계획보다 먼저 제시한 이유는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관성 유지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셋째, 차시별 수업 안내는 수업 계획에 근거하여 각 차시의 수업을 구체화한 것으로 본질적 질문과 관련된 수업 활동을 통해 바라는 학습 결과 및 성취기준에 도달되도록 돕는다. 넷째, 평가 기록은 학생의 성장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수업설계를 점검하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실과 수업설계를 도움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의 성공적 안착과 수업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instructional design module based on 2015 revised curriculum in Practical Arts. Instructional design module consisted of an overview of the curriculum, a plan for the class, lesson plan per class hour, and an assessment record. The detail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overview looked at key concepts, general knowledge, achievement standards, Key Competencies in Practical Arts, learning contents. Second, the lesson plan was composed of class overview, assessment plan, learning experience plan. It helps to maintain a close link between the curriculum, the study, and assessment process. Third, lesson plan per class hour is a way to specify lessons for each class, which helps to derive the desired learning outcomes and achievement standards from the class activities. Fourth, assessment record that is response to student growth can be used as data to check class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ule based on 2015 revised curriculum will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new curriculum and class improvement in Practical Arts.

      • KCI등재

        실과 교과서에 제시된 진로교육 내용 분석

        류상희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stituents for career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extbook.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3 steps: description, correspondence, conclusion. The frame of content analysis is ‘objective and content criteria for career education in primary school'. The five categories(self understanding, world of work and job, attitudes toward work and job, work-based learning, career planning) of career education objectives and contents were reflected in fifth grade and six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 In the category of 'Work-based learning' the textbook included the contents related to only one sub-objective, benefit from academic success in job life. The fifth grade textbook did not include the objectives and contents related to the category of 'career planning'. However sixth grade textbook includ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job goals and career plans suitable to aptitude. 본 연구는 실과 교과를 통한 진로교육의 실태 분석과 체계적인 진로교육 방안 모색을 위하여 실과 교과서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진로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실과 교과서 분석은 기술, 대응, 결론의 분석 절차와 ‘초등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의 분석틀에 의해 이루어졌다. 실과 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요소는 첫째,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영역인 ‘자아 이해’, ‘일과 직업 세계’,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일과 학습’, ‘진로 계획’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둘째, ‘일과 학습’ 영역은 3개의 하위목표 중 학업성취가 직업 생활에 주는 이점에 관련된 목표 위주의 내용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5학년과 6학년 모두에서 그러하다. 따라서 음식 만들기, 생활용품 만들기, 전자 회로 꾸미기 등의 실습 활동과 연계하여 다양한 일과 직업 세계가 요구하는 자질 특성의 이해에 관련된 내용을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 계획’ 영역은 5학년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으나, 6학년에서는 ‘일과 진로’ 단원에서 진로 목표 설정의 중요성과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 계획을 세우는 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발명 태도와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발명 태도의 차이에 관한 연구

        류상희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invention attitud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egree of invention attitudes, the differences of invention attitude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achievement, and correlations among sub-factors of invention attitudes. The objects of study were 313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of 6 elementary schools in Chungbuk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s to invention was middle level. But the level of attentional and practical attitudes was the lower than middle level. Second, gender was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the attentional attitude to inven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le students showed higher mean score than female students in the attentional attitude. Third, the sixth grade was highly regarded in terms of attentional attitude and emotional attitude to invention, rather than the fifth grade. Fourth, students with middle level records showed higher cognitive attitude to invention than those with lower grades. Fifth, the correlation among sub-factors (cognitive, attentional, practical, emotional attitude) of invention attitude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발명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발명 행동을 이끌 수 있는 수업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발명에 대한 태도의 차이, 발명에 대한 태도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북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313명이었고, 분석 방법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는 보통 정도였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인지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의 수준은 보통 정도였으나 관심적 태도와 실천적 태도의 수준은 보통 미만이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관심적 태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아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라서는 관심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즉, 관심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에서 6학년은 5학년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학업성적은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인지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였다. 다섯째, 발명에 대한 태도의 하위요인들(인지적 태도, 관심적 태도, 실천적 태도, 정서적 태도)은 상관계수 .46~.71 사이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위요인 중 관심적 태도와 실천적 태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학생들의 발명에 대한 관심을 자극하는 것이 발명에 대한 실행을 유도할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결과이다. 따라서 발명에 대한 태도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명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발명 관련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실과 만들기 활동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류상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aims of making activity in Practical Arts. For the purpose, the subjects of study were 64 teachers and 410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ighly recognized aims of making activity as technical, affective and social domains. On the other hand, students were on lower average than teachers in knowledge, thinking ability, technical, affective and social domains. Second, gender wa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ed the teachers’ perception on aims of making activity. Female teachers were more aware than male teachers that making activities were related to knowledge, thinking ability, technical, affective and social domains. Third, the gender of the student did not affect the perception on aims of the making activity. Fourth, the perception on the aims of making activity of teachers and students differed in technical, affective and social domains. 본 연구는 실과 만들기 활동의 목적에 대한 교사의 학생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업설계와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만들기 활동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정도, 성별에 따른 만들기 활동의 목적에 대한 인식 차이, 만들기 활동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교사 64명, 학생 410명이었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에 의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만들기 활동을 기능적 영역, 정의적 영역, 사회적 영역의 목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은 편이었다. 반면, 학생은 지식, 사고력, 기능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 모두에서 교사보다 낮은 평균을 보였다. 둘째, 성별은 교사의 만들기 활동의 목적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였다. 여교사는 남교사보다 만들기 활동이 지식, 사고력, 기능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의 목적과 관련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다. 셋째, 학생의 성별은 만들기 활동의 목적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요인 중 흥미와 관심을 높이는 것에 관련된 정의적 영역에서는 여학생의 인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만들기 활동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은 기능적 영역, 정의적 영역, 사회적 영역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실과 ‘가정생활’ 영역의 실습 목적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류상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8 實科敎育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가정생활 영역의 실습 목적에 대한 인식을 가치 요인과 교과역량 요인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실습 수업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실습 목적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살펴보고, 실습 목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북지역 소재 5개 초등학교의 5학년과 6학년 312명이었고,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행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은 실과 가정생활 영역의 실습 목적으로 유용성 측면의 외적 가치를 높게 인식하였고, 공동체 의식에 관련된 관계형성능력을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성별은 초등학생의 실습 목적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가 아니었다. 성별에 관계없이 실천적문제해결능력에는 다른 역량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5학년은 6학년보다 실습 목적의 가치 요인과 교과역량 요인에서 높은 인식을 보였다. 실습 경험이 많은 6학년의 인식이 낮게 나타난 결과는 관찰 및 면담에 의한 원인 규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넷째, 학업 성적이 중위권 이상인 학생은 하위권 학생보다 실습 목적에 대한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는 성적이 낮은 학생들을 위한 실습 수업 프로그램이나 교수학습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erception about the aims of hands-on practice in home life area of Practical Arts.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egree of perception on the aims of hands-on practice and significant variables that influence in perception on the aims of hands-on practice. The objects of study were 312 5th grade and 6th grade students of 5 elementary schools in Chungbuk provi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ghly recognized the external value and highly recognized the relationship ability to relate to the sense of community for the aims of hands-on practice. Second, gender was not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the perception about the aims of hands-on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e fifth grade was highly regarded in terms of the value factors and curriculum competency in practical arts, rather than the sixth grade. The results of a poorly conducted sixth grade experience indicate the nee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result by observation and interviews. Fourth, students with more than middle level records showed higher recognition for the aims of hands-on practice than those with lower grades.

      • KCI등재

        실천적 추론 실과 수업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과 인성에 미치는 효과

        류상희 한국실과교육학회 200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Practical Arts instru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action and ethical action. For this purpose, two fifth grade classes of K Elementary School in Cheongju city were selected and each made a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16 lessons) was applied to experiment group, but conventional lesson was applied to control group.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conventional lesson did not have influence on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thical action. Second, the experiment group which received classes through the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improved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thical a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experiment group was limited in information research ability and confidence for problem solving.

      • KCI등재후보

        충북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류상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의 진로성숙 수준과 진로성숙도와 관계가 있는 변인을 조사함으로써 진로교육의 출발점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는 계획성, 자기이해, 일에 대한 태도, 독립심 모두에서 보통 정도의 수준이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은 학업성적과 가정경제 수준이었고, 유의미하지 않은 변인은 성별, 거주 지역이었다. 그러므로 진로 교육의 효율적 시행을 위해서는 학업 성적과 가정경제 수준을 고려한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학년은 자기이해 요인에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셋째,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인 계획성, 자기이해, 일에 대한 태도, 독립심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effective care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factor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141 fifth grade students and 108 sixth grade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was below the high level. Second,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related to the school grade and condition of home economics. However, it was not related to the gender and region. The grade was related to only self-understanding. Third,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positive correlated to job planning, self-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