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기 기독교 공동체 구성원들은 어떤 신분의 사람들이었을까?

        이상규(Sang Kyu Lee) 한국기독교회사학회 2005 교회사학 Vol.4 No.1

        예루살렘에서의 신약교회의 출현 이후 기독교 공동체에 속했던 초기 신자들의 사회적 신분은 어떠했을까? 초기 예수를 믿었던 이들은 하층 계급의 사람들이 다수였을까? 아니면 자기 소유의 주택을 소유한(house holder) 비교적 안정된 신분의 사람들이 다수였을까? 아니면 다양한 집단의 사람들로 구성된 혼합된 집단이었을까? 이와 같은 초기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신분의 문제는 고대 교회사 사학자들의 중요한 관심사였다. 특히 1930년대 이후 소위 시카고학파에 의한 사회사적 접근이 시도되면서 이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이런 문제와 관련하여 선구적인 학자는 파피루스학의 대가인 아돌프 다이스만(G. A. Deissmann)이었다. 그는 l세기 신약성경 시대와 동시대의 것으로 확인되는 다양한 양의 파피루스문서를 통해 밝혀낸 ‘그 시대의 일상’을 통해 초기 기독교 공동체를 구성했던 이들은 절대다수가 하층계급의 사람이었으며, 바울의 선교대상도 바로 그들이었고, 신약성경도 바로 그들을 대상으로 기록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50여년이 지난 후 고대사학자인 에드윈 저지(Edwin Judge)는 다이스만의 의견에 반기를 들고 초기 기독교공동체를 구성했던 바울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하층민 중심의 공동체가 아니라, 여러 계층의 사람이 혼재된 공동체(mixed community)라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곧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고, 곧 새로운 문제로 부각되었다. 그 이후 이 문제는 미국과 독일 학자들을 비롯한 다양한 토론으로 발전하였고, 신약과 고대교회에 대한 사회사적, 그리고 역사적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를 주었다. 이런 학문적인 노력은 신학자들의 연구에만 의존해 오던 초기 기독교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글에서는 초기 기독교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문제에 유의하면서 그간의 토론을 개관하였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신분 구조는 다양한 계층의 혼재된 공동체이지만 하층민이 다수를 점했던 것으로 평가하였다. The social status of the Pauline Christians in the first century has been a burning issue among ancient historians, sociologists and theologians. Especially after publication of Adolf Deissmann"s Light from the Ancient East in 1908, social level of the earliest Christians were regarded ordinary people or low level rather than highly educated elites. Deissmann"s assertion was based upon the large quantities of newly discovered papyrus documents from Egypt early in twenty century. The discovery of these "nonliterary" papyri sparked a flurry of interest in their relationship to the New Testament, and thus to the social level of the earliest Christians especially in the Pauline community. In relation to Paul"s description of his converts in Corinth(ICor.1:26-27), Diessmann"s analysis were widely accepted. However, after 50 years, an Australian Roman historian Edwin Judge raised a new interpretation. Judge argues that the earliest Christian groups were "mixed community" from different social levels rather than predominantly low level. Regarding the passage of I Cor. 1:26-27, Judge interpreted that these words at face value ""merely imply that the group did not contain many intellectuals, politicians, or persons of gentle birth. But this would suggest that the group did at least draw upon this minority to some extent."" Professor Judge on the basis of Patron-client relations and prosopography attempted to a new interpretation. His idea of "mixed community" evoke a new echo to this research. Accordingly from 1970"s many scholars devoted considerably upon the social aspect of early Christianity, and showed similar conclusion with Judge. It appears from the concerned scholars with the social level of early Christians, that a consensus emerged, that is, the social status of early Christians may be higher than Deissmann had supposed. This article reviewed long discussions on this regard mainly concerned with Adolf Diessmann and Edwin Judge even though they lived different periods. Later part of this essay, the writer suggested the first century Roman church recorded in the epistle of Rome(ch. 16), as an example of a mixed christian community. In the issue of social status of the first century christian community, there were diversity in social levels, however, low class person were majority in the christian community.

      • KCI등재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 대한 연구: 사도행전 4:31-37을 중심으로

        이영호 ( Lee Yeong Ho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0 영산신학저널 Vol.0 No.52

        이 논문은 사도행전 4:31-37을 근거로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모습을 살펴본 것이다. 필자는 본문에서 나타나는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 본문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관찰하였다. 초기 기독교 공동체를 구성한 중요한 인물들은 믿는 자들과 사도들, 그리고 바나바이다. 믿는 자들은 한마음과 한 뜻이 되어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자기 물건을 자기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가 하나도 없었다. 이러한 서술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가져오신 하나님 나라가 완전히 이루어졌다는 선포이다. 사도들이 기사와 권능 행함으로 공동체에 속해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은혜를 주었으며, 그로 인해 믿는 자들이 기뻐하였다. 그리고 바나바를 포함한 공동체 구성원들이 집과 밭을 팔아 그 값을 사도들에게 주었다. 사도들은 그것을 물질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줄 수 있는 권위를 가지고 있었다. 사도들이 믿는 자들에 대해 권위를 가질 수 있었던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증언하는 큰 권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권능은 2:43의 “기사와 표적”과 동일한 것이며, 그것은 구체적으로 예수가 메시아이심을 밝히기 위한 여러 가지 기적적인 행위를 말한다. 사도들이 예수가 메시아이심을 밝히는 여러 가지 기적 행위는 그들에게 권위가 되어 기독교 공동체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다. 바나바는 레위 사람이었다. 출애굽 후 가나안에서 레위 사람은 토지를 분배 받는 대신 제사장이라는 직무가 주어졌다. 바나바는 제사장의 직무를 가졌음에도 밭으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었다. 그런 그가 복음을 듣고 난 후 자신의 생계수단인 밭을 포기하고, 제사장의 신분을 되찾아 복음을 전파하는 삶을 살았다. 결국 초기 기독교 공동체는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이 각자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는 공동체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공동체 구성원들이 각자가 맡은 임무에 충실했을 때 예수 그리스도께서 선포한 하나님 나라의구체적인 모습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emerged and fulfilled its mission, based on Acts 4:31-37. In order to examine this issue, I focused on the main characters in the text. Important figures that constituted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were the Christian believers, the apostles, and Barnabas. In the community, there was no one who claimed for their own private possessions, so that they could share things with one another in common. This is a clear evidence that the Kingdom of God was fully realized in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by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The apostles mediated the divine grace to all who belonged to the community by wonder and power, and the believers rejoiced. In response,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including Barnabas, were motivated to sell their property and brought the money to the apostles, so that it might be distributed to anyone in need. The apostles had authority over believers as they exercised the spiritual power to testify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he divine power has been further expressed as a source of the “miracles and signs”(Acts 2:43), which aims to identify Jesus as the Messiah. Various miracles the apostles performed as a vehicle of proclaiming Jesus as the Messiah became a solid foundation for them to live with authority in the Christian community. In particular, Barnabas was a Levite whose ancestors served as priests without possessing land. Barnabas seems to have made a living in the farming field even though he had the priesthood lineage. After he heard the Gospel, he gave up his estate for common distribution, reclaimed his priesthood, and lived to preach the gospel.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was thus composed of faithful members who fulfilled their own roles according to what they had. Since they were so faithful to their assigned duties, the kingdom of God could come true in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 1세기 바울 공동체 구성원들의 사회적 신분에 대한 논쟁 : 아돌프 다이스만과 에드윈 저지

        이상규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2 고신신학 Vol.- No.4

        예루살렘에서 신약교회의 출현 이후 기독교 공동체에 속했던 초기 신자들의 사회적 신분은 어떠했을까? 초기 예수를 믿었던 이들은 하층계급의 사람들이 다수였을까? 아니면 자기 소유의 주책을 소유한(house holder) 비교적 안정된 신분의 사람들이 다수였을까? 아니면 다양한 집단의 사람들로 구성된 혼합된 집단이었을까? 이와 같은 초기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신분의 문제는 고대 교회사사학자들의 중요한 관심사였다. 특히 1930년대 이후 소위 시카고학파에 의한 사회사적 접근이 시도되면서 이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이런 문제와 관련하여 선구적인 학자는 파피루스학의 대가인 아돌프 다이스만(G. A. Deissmann)이었다. 그는 1세기 신약성경 시대와 동시대의 것으로 확인되는 다양한 양의 피피루스문서를 통해 밝혀낸 '그 시대의 일상'을 통해 초기 기독교 공동체를 구성했던 이들은 절대다수가 하층계급의 사람이었으며, 바울의 선교대상도 바로 그들이었고, 신약성경도 바로 그들을 대상으로 기록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50여년이 지난 후 호주의 고대사학자인 에드윈 저지(Edwin Judge)는 다이스만의 의견에 반기를 들고 초기 기독교공동체를 구성했던 바울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하층민 중심의 공동체가 아니라, 여러 계층의 사람이 혼재된 공동체(mixed community)라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곧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고, 곧 새로운 문제로 부각되었다. 그 이후 이 문제는 미국과 독일 학자들을 비롯한 다양한 토론으로 발전하였고, 신약과 고대교회에 대한 사회사적, 그리고 역사적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를 주었다. 이런 학문적인 노력은 신학자들의 연구에만 의존해 오던 초기 기독교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글에서는 초기 기독교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문제에 유의하면서 그간의 토론을 개관하였다. The social status of the Pauline Christians in the first century has been a burning issue among ancient historians, sociologists and theologians. Especially after publication of Adolf Diessmann's Light from the Ancient East in 1908, social level of the earliest Christians was regarded ordinary people or low level rather than highly educated elites. Diessmann's assertion was based upon the large quantities of newly discovered papyrus documents from Egypt early in twenty century. The discovery of these 'nonliterary' papyri sparked a flurry of interest in their relationship to the New Testament, and thus to the social level of the earliest Christians especially in the Pauline community. In relation to Paul's description of his converts in Corinth(I Cor. 1:26-27), Diessmann's analysis was widely accepted. However, after 50 years, was Australian Roman historian Edwin Judge raised a new interpretation. Judge argues that the earliest Christian group were 'mixed community' from different social levels rather than predominantly low level. Regarding the passage of I Cor. 1:26-27, Judge interpreted that these words at face value "merely imply that the group did not contain many intellectuals, politicians, or persons of gentle birth. But this would suggest that the group did at least draw upon this minority to some extent." Professor Judge on the basis Patron-client relations and prosopography attempted to a new interpretation. His idea of 'mixed community' evoke a new echo to this research. Accordingly from 1970's many scholars devoted considerably upon the social aspect of early Christianity, and showed similar conclusion with Judge. It appears from the concerned scholars with the social level of early Christians, that a consensus, that is, the social status of early Christian may be higher than Deissmann had supposed. This article reviewed long discussions mainly concerned with Adolf Diessmann and Edwin Judge even though they lived different periods.

      • KCI등재

        요한 공동체의 기원과 발전

        정기문(Jung Gi m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7 역사문화연구 Vol.64 No.-

        요한 공동체는 초기 기독교의 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들은 요한총서를 작성하였고, 초기 기독교의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서 베드로의 후계자들과 경쟁하였다. 사해 문서의 발견은 요한총서의 신학을 재평가하는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것이 요한 공동체의 신학이 근본적으로 유대문화의 소산임을 밝혔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요한 공동체의 인적 구성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검토하였다. 인적 구성의 변화가 그 집단의 신학과 사유 구조의 변화의 기본 요소이기 때문이다. 요한 공동체의 초기 구성원은 세례 요한의 제자들이었다. 요한복음은 공관복음과 달리 이 사실을 명확하게 서술하고 있다. 요한복음이 이원론적인 세계관을 펼치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이후 여러 종류의 사람이 요한 공동체에 합류하였다. 그 가운데 사마리아인이 중요하다. 요한 공동체에 참여한 사마리아인의 숫자는 매우 컸다. 요한 공동체와 논쟁하였던 유대인이 요한 공동체를 사마리아인이라고 불렀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사마리아인은 요한공동체가 고기독론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였을 것이다. 요한 공동체가 회당에서 추방당한 후에는 이방인들이 대거 유입하였다. 요한 공동체가 유대인에 대한 선교를 포기하고 이방인 선교를 적극적으로 펼쳤기 때문이다. 이방인의 대거 유입은 요한 공동체가 이방인 문화를 포용하는 결과를 낳았을 것이다. 따라서 요한 공동체 신학의 변화는 근본적으로 인적 구성의 변화와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 Johannine Community played very important roles in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ristianity. It produced writings of John and high christology and competed against the followers of Peter to take the lead of early Christianity. The discovery of Dead Sea Scrolls served as a momentum to revaluate the writings of John . Because they showed the world view of writings of John was fundamentally Jewish. Therefore, the study of the Johannine Community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early Christianity. This paper tried to examine closely the change of personal composition of the Johannine Community. Because the change of members was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hange of the world view of the community. The first members of the Johannine Community were the former disciples of John Baptist. The fourth Gospel wrote this fact contrary to the Synoptic Gospels. The fact that the first members of the Johannine Community were the former disciples of John Baptist contributed much to understand the dualistic world view of the fourth Gospel. Several kinds of people joined the Johannine Community. Among them Samaritans were the most important. The number of Samaritans who joined Johannine Community was so great that the Jews who disputed with the Johannine Community regarded the Johannine Community as Samaritans. The Samaritans triggered the hostility of Jews as they catalyzed the high Christology. After banished from synagogues, the Johannine Community tried to mission Gentiles. As their efforts gained successes, the majority of the members of the Johannine Community was changed into Gentiles. In sum the change of members of the Johannine Community was the key role in the changing of the world view of the Johannine Community.

      • KCI등재후보

        누가 공동체의 교정복지 사상

        반재광 한국교정복지학회 2011 교정복지연구 Vol.- No.22

        본 소고는 누가 공동체의 배경과 이야기 분석을 통해 누가-행전에 함의되어 있는 복지 사상을 탐구한 것이다. 누가(복음)-(사도)행전은 한 저자에 의해 예수와 그를 계승한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이야기라는 두 영역을 아우른 유일한 신약의 텍스트이다. 누가는 복지를 초기 기독교 상황에서 현실을 변화시키는 복음의 영역으로 제시한 복음서 저자이다. 특히 약자에 대한 관심을 강하게 보여주는 누가-행전의 사역 상황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누가 공동체의 구성과 배경을 재구성해야 한다. 그 작업을 위해 본 소고는 먼저 누가 공동체의 배경을, 특히 헬라 도시 속에 위치한 공동체로 보고 그 위치와 형태 및 구조들을 점검해 보았다. 그 과정에서 도시의 구조 및 배치가 사회적 관계들(명예에의 추구와 후원자 체계 등)을 반영하고 있음을 밝혔다. 그를 토대로 공동체의 구조에 반영되어 있는 복지 차원을 분석하기 위해 관계의 구축과 재구성의 장으로서 식탁 교제를 살펴보고, 그 맥락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들’과 ‘여성’ 문제를 검토하였다. 또한 식사에 대한 누가의 관심 속에 반영되어 있는 부와 가난 사이의 긴장을 통해 누가-행전에서 ‘부’라는 개념이 의미하는 바를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이야기들을 통해 누가 공동체는 초기 기독교의 복지 사상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s related to the welfare thought in the narrative of Luke-Acts. A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concerned, I focused on the situation of ministry of Jesus and the followers. Luke-Acts is the only text in the New Testament written by one author, that is, he not only introduces us to Jesus and his ministry, but also to how that ministry relates to significant events in the early christianity. For the analysis of it, first of all, I studied the cultural and spacial background of Lukan community within the hellenistic city. Through the process of analysis, I proved that the structure and placement of the hellenic city reflected the social relationship(the quest for honor and patronage system in the Greco-roman society, etc.). Based on the study, the table fellowship is the focal point for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Lukan community. At the same time, I investigate the issues of the God-fearers and women in Luke-Acts. Beside, I tried to understand that the tensions between rich and poor reflected in the table fellowship narratives show the meaning of a rich according to Luke. Apparently the social situation in which Lukan community lived was of an urban setting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This situation was shaped by the honor and patronage culture of the Greco-roman world. At the heart of the Lukan community's ethos lay its common meals. The purpose of these meals was dual: On the one hand, they forged a common identity for a social and ethical diverse group of Christians; on the other hand, they functioned as a criticism of urban culture. Within the city culture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we can envisage Lukan community as a group of nonelite persons who are culturally and ethnically mixed but who also include among them some who come from the elite periphery. Their life togather centered on a meal that served as a means of integration, not just of Jews and non-Jews but also of members from various status groups and social positions. The ethos of the meal represented a break with the city ideals of patronage, benefactions, and the quest for honor. It is not unthinkable that such criticism of city ideals could also have been aimed at community members drawn from the elite periphery. Thus, the goal of this ethos is best understood as that of creating a common identity for a mixed group of Christians. Therefore, the task of us for the future is to investigate the more detail dimensions of welfare thought of Jesus and his successor in Luke-Acts.

      • 사도행전에 나타난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비빔의 밥상

        정경호(Gyoung-Ho Jeong) 영남신학대학교 2013 신학과 목회 Vol.40 No.-

        This study is a Christian social ethical reflection of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in Acts 2:42-47. It is very important for us to find out early Christian Community with Holy Spirit. There are so many various and different believers in Acts but they joined with other believers. They preserved in the apostles’ teaching; in fellowship; in the breaking of bread; and in prayer with Holy Spirit. It’s very similar theory of Korean bibimbap. According to Korean bibimbap, firstly there is boiled rice in the bottom of vessel; secondly cooked bracken from mountain, bean sprouts and cucumber from earth and beef from farm; thirdly dried seaweed and tangle from sea; fourthly egg from sky; fifthly, people have to add hot pepper paste and then mix every foods with sesame oil. Every food was mixed slowly, harmonized and then have totally different great tasting than ever met before. Finally, it becomes “bibimbap” that Korean people like the most among all foods. There are all foods in one vessel from sky, mountain, earth and sea. Therefore, it is small universe with peace and harmony in one vessel. The early Church community with Holy Spirit in fullness has four spiritual foods such as preserving in the apostles’ teaching; in fellowship; in the breaking of bread; and in prayer with Holy Spirit. These spiritual foods were mixed, harmonized and became holy oneness towards Reign of God. It’s why they sold their property and their belongings and distributed them to all. It’s totally different way of Christian beautiful life. It’s the same theory comparison to bibimbap theory in Korea. In conclusion,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suggests for us to have a holy unity in diversity and sharing economy and then new way of life in multicultural and crosscultural society and global world for the God’s Reign.

      • KCI등재

        여제자 다비다에 대한 연구(행 9:36-39)

        이영호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8 영산신학저널 Vol.0 No.4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y Tabitha was called a female disciple. The reason for studying this subject is that many scholars interpret the text that Tabitha was called “empress” according to the intention that the Acts authors did not originally intended and many arguments are raised according to their interpretations. Tabitha was one of many disciples who helped the apostles to extend the gospel in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And she did not do these things for the liberation of women, or for the unique role of women, but for those who heard the apostles’ gospel and repented and strived to make the gospel work in her community. In order to prove this fact, I first tracked the disciples reporting in Acts and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n Acts the disciples were followers of Jesus.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disciple (singular) helped the apostles in preaching the gospel. At the same time, it was revealed that even such a disciple was one of many disciples, not a few. For this reason, the title is given to Tabitha as a female disciple in the Acts, not because her work is more unique, women’s freedom, economic equality, or grant a special status than what other disciples have done, but that she heard the gospel and repented and faithfully lived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gospel. Tabitha fulfilled the task of expanding the gospel by faithfully practicing what is revealed in the purpose of the Acts. This writer’s conclusion implies that this tex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 text for the claim on women’s freedom or for the claim that woman can become a special disciple of Christ. A community composed by the gospel is an equitable community without all kinds of discrimination from the beginning. It is a true disciple to firmly believe and practice that there is no discrimination in the gospel. 이 논문의 목적은 다비다를 왜 여제자라고 불렀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이 주제 를 연구해야 하는 이유는 많은 학자들이 다비다를 여제자라고 부르는 본문이 사도 행전 저자가 원래 의도하지 않은 의도에 따라 해석하고, 그 해석에 따라 여러 가지 주장을 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비다는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사도들을 도와 복음을 확장한 많은 제자 중 한 사람이었다. 그리고 그가 이러한 일을 실천한 것은 여성해방을 위한다거나, 여성 으로서 독특한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 한 것이 아니라, 사도들이 전하는 복음을 듣 고 회개하여 복음이 자신의 공동체에서 이루어지도록 힘쓴 사람이다. 필자는 이러한 사실을 입증하기 위하여 먼저 사도행전에 보도하고 있는 제자들 을 추적하여 사도행전에서 제자들은 예수를 따르는 사람들이었다는 결론을 얻었 다. 그러나 단수 제자라고 불릴 때에는 그 사람은 복음과 관련하여 사도들을 도운 사람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동시에 그러한 역할을 한 제자조차도 소수의 사람이 아니라 많은 제자 중 한 사람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필자는 사도행전에서 다비다에게 여제자라는 칭호를 부여 한 것은 그가 행한 일이 다른 제자들이 한 일보다 더 독특하다거나, 이 보도를 통해 여성해방이라든가, 특별한 위치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기독교 복음을 듣 고 회개하여 신실하게 복음을 실천한 한 사람이라는 결과에 도달하였다. 다비다는 초기기독교 공동체 내에 있는 자신의 구역에서 사도행전의 저술 목적에서 밝히고 있는 바를 신실하게 실천함으로 복음이 확장되는데 일익을 감당하였다. 이러한 결 론은 이 본문을 여성해방내지는 여성도 그리스도의 제자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을 위한 본문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 복음으로 구성된 공동 체는 처음부터 모든 종류의 차별이 없는 평등한 공동체이다. 복음 안에 차별이 없 다는 사실을 굳게 믿고 실천하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제자이다.

      • KCI등재

        초기기독교 확장에 대한 선교 역사적 성찰

        김은수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38 No.-

        역사는 주어진 사료(史料)을 기술하는 것(history)으로는 충분하 지 않다. 왜냐하면 역사는 해석된 역사(Geschichte)일 때 진정한 역사 이기 때문이다. 초기기독교는 박해가 극심했음에도 불구하고 복음이 급속히 확산되었다. 그 이유를 유세비우스는 하나님의 계획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라고 하였고, 그린은 확산의 저해요인을 들어 설명하였 다. 이와 반대로 페스틴저는 ‘인지적 부조화이론’을 들어 심한 박해가 도리어 열정적인 선교를 하게 했다고 보았고, 이를 수정한 게이저는 임박한 종말의 기대가 땅 끝까지 복음이 전파될 때까지로 대체되었고 하였다. 이에 비해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지금까지의 수용사(受容史) 중심의 선교역사에서 벗어나 전달자와의 관계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역사의 객관적 사실을 재구성하려고 하였다. 이를 초기기독교 확장사에 적용하면 복음의 확산에 기여한 흡인력으로서 내적요인과 추동력으로 서 외적요인으로 재해석할 수 있다. 흡입력으로서의 내적 요인은 선교 를 위한 신학, 순교자로서의 증인, 강력한 윤리적 공동체로서의 교회라 고 할 수 있고, 추동력으로서의 외적 요인은 세계를 통일하고 있었던 로마의 정치와 문화, 당시 문명이 서로 교차하는 세 개의 대륙이 서로 만나는 이스라엘의 지정학적 위치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a mission-historical study of the early christianity expansion. The meaning of history is not enough explanation if the history describes only its historical materials, for the history is a real history(Geschichte) when it is analyzed. There were many attempts to explain the early christianity because the gospel was expanded rapidly in spite of extreme persecution. Eusebius, for instance, said that it has completed under God’s plan. And M. Green mentioned some reasons as the obstacles to expand. First, the difficulties the gospel was accepted by Jew. Second, the tension among Jews from the ecclesiology conflicts about who are real God’s people. Finally, christianity was not protected as a religion any longer from the Roman Empire unlike Judaism. On the contrary, L. Festinger, based on the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noted that religious community accelerates its expansion through enthusiastic propagation when it met the obstacles under a certain condition by reactions. J. G. Gager insisted that the mission is the effort to keep up eschatology because the expectation to impending end was replaced as the worldwide propagation and the kingdom of God like millenarianism was replaced as the church waiting for last judgment in the world In the history of earl christianity, there are some internal factors as a sucking force and external factors as a driving force for expanding the gospel. These will be a great contribution to mission-historical writings and recomposition of historical facts. The infernal factors are theology for mission, a witness as a martyr, and ethical community as a church. The external factors are Roman politics and culture, and geographical location. Early christianity can expand into the world through these various factors

      • The Pristine Readership of the Markan Gospel

        송일(Ryan IL Song)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4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7

        사복음서의 일차적 독자를 규명하기 위한 여러 목소리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주장은 각각의 복음서기자들이 동시대 지중해 지역에 존재했던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독자로 염두에 두고 각각의 복음서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 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 사복음서가 당시 모든 기독 공동체내에서 광범위 하게 읽혀졌고, 둘째, 이런 광범위 독서는 그레코-로만 시대의 특징중 하나인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편안한 여행에 기인하며, 마지막으로 사복음서가 위인전(bios)이라는 당대의 문학 형식을 따르고 있으므로 위인전이라는 특성상 당시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독자로 삼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근거에 대한 신중하고 비판적인 접근은, 사복음서가 1세기 지중해 연안 지역에 거주하던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대상으로 기록되었다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한다. 특별히 본 연구는 조사의 범위를 마가복음으로 한정하여, 적어도 저자인 마가가 의도한 본연의 고유한 독자는 구별된 집단, 즉 마가 공동체이였음을 증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더욱이 이러한 일차적 마가복음의 독자에 관한 규명은 마가복음이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한결같이 역사해오고 있음을 역설적으로 강조 한다. There is a noticeable argument about the scope of the readership of the Gospels of the New Testatment: they were written from the start for all Christians in the Mediterranean world of the first century C.E. The reasons for such an argument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him, the Gospels were originally meant for the circular reading among general Christian groups, 2) this wide, circular reading of the Gospels resulted from and was even fostered by the favorable circumstances of travel in the Greco-Roman period, and 3) the Gospels as the Greco-Roman bios in their genre were expected by the Evangelists of the New Testament to be read by all Christians. However, this article contends that those arguments are not convincing when one critically approaches them. Focusing especially on the Gospel of Mark, one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at least Mark had a unique group of Christians, the so-called Markan community, not all his contemporary Christians, in his mind as the Gospel's first readers. Furthermore, this specific readership of the Markan Gospel does not deny, but rather reinforces its validity as God's words for every Christian in any place in any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