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나로수업모형 성장기(成長記): 연구 동향에서 드러난 성과와 과제

        박용남,정현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8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하나로수업모형의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하나로수업모형의 성과와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 체육수업의 질적 제고를 견인하는 모형기반체육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하나로수업모형이 소개된 2001년 이후 현재(2017.08.30)까지 하나로수업모형을 연구한 총 75편의 학술 논문과 학위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동향은 모형 적용기(2001-2006), 검증기(2007-2010), 확산기(2011-현재)로 나누어 각 시기 별로 연구주제, 출판 학회지 및 대학원, 연구자, 연구대상, 연구방법으로 유목화하여 특징과 함께 정리하였다. 연구 동향 데이터에 의거한 하나로수업모형의 성과는 대안적 체육수업모형,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는 체육수업모형, 연구하는 교사를 양성하는 체육수업모형으로 범주화되었다. 또, 하나로수업의 학문적, 실천적 성장을 위해 성장통 역할을 할 수 있는 비판적 연구의 필요성과 편중된 연구방법의 다각화가 향후 연구 과제로 도출되었다. 끝으로 체육수업모형연구와 모형기반체육수업 활성화를 위해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를 양성하는 예비 및 현직교사교육의 강화와 한국형 체육수업모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outcomes of Hanaro Teaching Model and its further research task, and to provide a perspective for a model-based instruction which could lead to qualitative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75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1 when this model was introduced and these 75 pape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Research trend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effective period(2001-2006), verification period(2007-2010), diffusion period(2011-ongoing), and each period’s trend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research topic, journal/graduate school, researcher,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with specific features. Based on this research, we identified Hanaro teaching model as an alternative instructional model, an instructional model that is responsive to current time, and an instructional model that promotes teachers’ study.  Furthermore, we have identified its further research tasks such as significances of critical research for academic and practical growth of Hanaro teaching model and its necessities of diverse research methods. Lastl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ossibilities of Korean instruct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as well as strength of pre-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which could train teachers as curriculum developers.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체육수업에서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소외 극복을 위한 수업모형 효과 검증

        강유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0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통합체육수업에서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소외를 최소화하여 과제 참여 및 수업의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1년차 연구에 이은 2년차 연구로, 개발된 수업모형을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성과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C초등학교에 한 학기 동안 수업모형으로 적용하여 통합연구방법(mixed methodology)이 적용된 사례연구(case study)를 통해 수업모형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비디오 자료는 신체활동수준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신체적 자기개념과 통합체육에 대한 태도는 대응표본 t-검증과 ANOV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초등학교 사례를 통하여 통합체육수업모형에 의한 체육수업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의 신체활동수준과 사회적 상호작용, 신체적 자기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통합체육수업모형에 의한 체육수업에 참여한 후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담당 교사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장애학생의 수업소외가 감소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통합체육수업모형은 장애학생의 수업소외를 최소화 하면서 통합체육의 긍정적인 기능을 경험하게 하였으며, 일반학생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기피 현상에 관한 근거 이론 연구

        박용남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4 체육과학연구 Vol.35 No.1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양상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93명의 초등교사로부터 얻은 개방형 설문 결과와 7명의 초등교사가 참여한 FGI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 이론 분석 절차(Strauss & Corbin, 1997)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자료 분석 결과, 중심 현상(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기피 현상), 인과적 상황(초등체육수업의 전통적 장애 요인, 모형과 초등체육수업/교수자 사이의 부정합, 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경험 및 교사 지식 부족), 맥락적상황(복잡한 초등체육 교수 체계, 강력한 놀이 수업 트렌드), 중재적 조건(흥미 중심의 체육수업 가치 정향, 신체활동가치 교육과정에 대한 오해), 상호작용 전략(교수 방법보다는 신체활동 선정, 유튜브 위주의 수업 준비), 결과(학습자 포괄 효과 및 탈교육과정화)로 이어지는 근거 이론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다. [결론] 초등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기피 현상은 계속해서 보고되고 있는 초등체육수업의 문제점들이 복합적으로빚어낸 산물이며, 향후 반복적으로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초등 교사의 모형 기반 체육수업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예비 및 현직교사교육에서 모형 활용을 위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ES) teachers' avoidance of teaching model-based instruction (MBI) in physical education (PE) lessons. METHODS An open-ended questionnaire (n=93) and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FGI ) were conducted with seven ES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analysis procedures (Strauss & Corbin, 1997). RESULTS Accordingly, we derived a grounded theory paradigm model composed of the core phenomenon (ES teacher’s avoidance of MBI in PE lessons), causal conditions (traditional difficulties of Elementary PE lessons, mismatch between MBI and ES teachers/PE lessons, lack of experience and teacher knowledge for/in MBI), contextual conditions (complex instructor organization, powerful trend of play), intervening conditions (value orientation for fun-focused PE, misunderstanding about PE curriculum), interactive strategies (focus on screening physical activities, preparing for PE lessons with YouTube rather than teacher guide book), and results (learner inclusive effects and de-curricularization). CONCLUSIONS ES teachers’ avoidance of MBI in PE lessons is a result of several reported problems with elementary PE lessons and is likely to be a recurring problem in the future. To encourage ES teachers’ MBI in PE lessons, efforts should be made to build practical knowledge of model use in pr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책임감모형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의 교육적 의미

        조기희(Kihee J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인성 교육적 효과로 체육수업에 적용되고 있는 책임감모형을 배우고자 모인 초등 교사학습공동체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질적 사례연구에 기초하여 모임 자료집, 모임 참여 관찰, 연구자 일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때, 연구 참여자는 책임감모형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6명의 초등 교사였다.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책임감모형 기반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한 결과 참여 교사들의 수업이 기승전결이 없었던 체육수업에서 책임감모형의 단계를 밝는 체계적인 체육수업으로, 교사 중심의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책임을 주는 체육수업으로, 노는 체육수업에서 책임감모형의 가치를 배우는 체육수업으로 변모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 교사들은 책임감모형 체육수업 관련 앎이 확장되고 할 거리가 많아졌고, 책임감모형의 단계를 밟으며 체육수업을 능숙하게 운영하게 되었으며, 체육수업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게 되었고, 교과서의 노예에서 책임감모형에 맞게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변형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초등 교사들의 책임감모형 학습 공동체를 운영한 결과 교사학습공동체, 교사, 수업모형 측면에서 한계점이 드러났으며,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에 유의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 learning community (TLC) in order to learn the responsibility mode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based on qualitative case studies from March to December 2016. The main data were TLC materials, participant observation of workshop, field notes, and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Participants were 6 elementary teacher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ng teachers’ lessons changed a) from non-systematic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systematic physical education classes, b) from teacher-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student-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c) play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teaches value. Second, TLC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omoting professionalism. a) Participants increased their knowledge about physical education and got more contents to do. b) Participants became profici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c) Participants became responsibl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d) Participants turned out to be active teachers from slaves of textbooks. TLC based responsibility model revealed limitations in terms of TLC, teacher, and responsibility model. It is necessary to operate TLC based responsibility model with caution.

      • KCI등재

        체육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김동현,이제홍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전체 효과크기를 알아보고, 효과크기에 영향을 주는 조절변수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학술등재지 및 후보지에 등재 된 논문 23편을 선정하여 161개의 개별 효과크기와 전체 효과크기를 산출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내용 과 같다. 첫째, 무선효과모형으로 분석한 전체 효과크기는 0.41로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내어 체육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 수업이 학생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체육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의 전체 효과크기의 이질성은 Q = 681.37, df = 160(p < .0001), I2 = 76.5%로 높은 이질성을 나타내었다. 셋째, 이질성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하위집단 분석과 조절변수분석을 실시하였고, 하위집단 분석의 수업모형 유형과 효과, 조절변수분석의 과정, 차시 변수 모두가 집단 간 이질성을 나타내 전체 효과크기의 이질성을 나타내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넷째, 본 연구 결과의 타당 성 확인을 위하여 출간오류분석을 실시하여 출판편향의 가능성이 적은 안정적인 효과크기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정의적 영역의 발달을 위하여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을 13∼18차시 를 실시한다면 가장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pplying the physical instructional model to find out the total effect size and to find out the moderator variables that affect the total effect size. To this e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calculate 161 individual effect sizes and total effect sizes by selecting 23 papers registered in academic journals and candidates from 2000 to 202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analyzed by the random effect model showed a medium effect size of 0.41, indicating that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pplying the instructional model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Second, the heterogeneity of the total effect size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pplying the instructional models was Q = 681.7, df = 160(p < .0001), I2 = 76.5%, indicating high degree heterogeneity. Third, to find out the cause of heterogeneity, subgroup analysis and moderator variable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instructional model type and effect of dependent variable of subgroup analysis, grade of students, the duration of the experiment of moderator variables all showed heterogeneity between groups. It was identified as a variable indicating the heterogeneity of the effect size. and the events were selected as modulating variable, and the results were heterogenous in all variables. Fourth,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publication bias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the effect size was stable with little possibility of publication bias. Comb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ost positive effect if 13∼18 class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pplied to the instructional models are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affective domai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모형 기반 체육 수업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2004년-2018년 연구를 중심으로

        장경환,이기대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9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모형 기반 체육 수업에 관한 최근 15년간의 국내의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시사점을 탐색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4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출판된 관련 논문 80편에 대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가장 많은 빈도수로 발표된 다섯 가지 수업 모형(스포츠교육 모형, 협동학습 모형, 하나로 수업 모형, 이해중심게임수업 모형, 책임감 모형)에 대한 각각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체육 수업 모형 연구 시사점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인성교육 사례로서 체육 수업 모형 적용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가 보다 실천적인 수준에서 필요하다. 둘째, 모형 기반 체육 수업은 교사의 모형 활용 지식을 필 요로 하며, 이와 같은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각 지역과 학교, 학생의 문화 적, 교육적 맥락을 고려한 수정, 변형 모형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모형 기반 체육 수업 에 관한 후속 연구 및 현장 적합성 제고를 위해 교육과정과 체육수업모형의 논리적 연결 노력, 학습자의 입 장 고려와 목소리 반영,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수업 모형에 관한 교육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 and issues of research on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80 related researches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KCI) from 2004 to 2018. As a result, five instruction models are analyzed and three implications were follow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necessity of a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models for the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Second,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would enable teacher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and practical knowledge in model-based instruction need to be studied. Third, efforts were need to develop a modified models taking into account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context of each region and school, student, and the research needed to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began a specific model. Thus, further research on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enhance suitability on school contexts. This study suggested the logical connection effort between curriculum and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consideration of learner's voice, and instruction of model-based instruction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주도적 학습능력과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문규성,남석희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 향력을 규명하는데 있다. 목적달성을 위해 D광역시에 소재하는 A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45명을 선정하여 4주 10차시 동안 실험 집단은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을 실시하고, 비교 집단은 교육과정에 따른 직접교수 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을 운영한 후, 연구대상자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운동기능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 과,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은 초등학생들의 주인의식, 메타인지, 정보탐색, 내재적 동기 및 자기성찰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반면, 직접교수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별화수업모형과 직접교수모형 모두 초등학생들의 운동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밝혀냈다. 다만, 직접교수모형보다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에서 더욱 높은 평균값이 나타난 것으로 볼 때,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운동기능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pplied with individualization class model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mprovement of athletic func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45 students of two sixth graders of A Elementary School, based in D-area, were selected to conduct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the individual painting class model during the 10th week, and the comparative group ope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the direct teaching model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then measured the self-led learning ability and changes in the exercise function of the subjects. As a result,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the individualization class model proved to be effective for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nse of master, meta-knowledge, information search, inherent motivation and introspection. On the other h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direct teaching model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Both professors of direct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model and motor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nd to be effective. However, given that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the individualization class model showed a higher average value than the direct teaching model, it is deemed that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the individualization class model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exercise function.

      • KCI등재

        협동학습모형이 체육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분석

        김종환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수업에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인 체육태도와 일반적인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협동학습 모형인 STAD 수업모형과 TGT 수업모형을 총 20차시 적용하였으며 수업모형 적용전, STAD 수업모형 적용 후, TGT 수업모형 적용 후 각각 체육태도와 일반적인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남․여학생 모두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받으면서 체육태도와 일반적인 자기 효능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경우 체육태도와 자기 효능감이 여학생보다 일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태도 변화는 STAD 수업모형을 적용하고 난 후인 10차시 후 검사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TGT 수업 모형까지 적용한 20차시 후의 검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태도의 변화를 위해서는 보다 장기간의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domains,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and general self efficacy. the teacher used STAD during 5-weeks and then TGT during 5weeks as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46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2rd grades; 122 were male and 124 were female.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and general self efficacy was measured 3 times at pretest, at STAD finished , at TGT finished. The finding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 first,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and general self efficacy are significantly increase each times. second, male student'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female group in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and general self efficacy. third,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was nat changed at STAD during 5-weeks finished, and was changed significantly at 10-weeks, finished TGT during 5-weeks. conclusively, cooperative learning is effective way in developing student affective domain.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체육수업에서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소외 극복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강유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통합체육수업에서 나타나는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소외를 최소화하고 수업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통합체육수업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수체계 개발의 기본 모형이라고 할 수 있는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형을 적용하였다. 문헌 분석과 현장 연구, 설문 조사, 심층 면접 등의 방법을 통해 수업모형 개발에 필요한 개념과 구성 요소 등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기 초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참여자들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신체활동 수준을 증가시키고자하는 목표와 리더중심 모둠학습, 동료교수, 개별화교수 등의 구성요소 및 교수전략을 포함한 통합체육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모형은 예비 적용과 전문가 평가 등을 통해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렇 게 개발된 수업모형은 통합체육수업에서 장애학생의 수업소외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통합체육수업의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이나 지도방법 등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를 촉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협동학습모형이 체육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분석

        김종환(Chong Hwan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수업에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인 체육태도와 일반적인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협동학습 모형인 STAO 수업모형과 7G7 수업모형을 총 20차시 적용하였으며 수업모형 적용전, STAD 수업모형 적용 후, TGT 수업모형 적용 후 각각 체육태도와 일반적인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남·여학생 모두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받으면서 체육태도와 일반적인 자기 효능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경우 체육태도와 자기 효능감이 여학생보다 일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태도 변화는 STAD 수업모형을 적용하고 난 후인 10차시 후 검사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TGT수업 모형까지 적용한 20차시 후의 검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태도의 변화를 위해서는 보다 장기간의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domains,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and general self efficacy. the teacher used STAD during 5-weeks and then TGT during 5weeks as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46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2rd grades; 122 were male and 124 were female.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and general self efficacy was measured 3 times at pretest, at STAD finished , at TGT finished. The finding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 first,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and general self efficacy are significantly increase each times. second, male student`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female group in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and general self efficacy. third,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was nat changed at STAD during 5-weeks finished, and was changed significantly at 10-weeks, finished TGT during 5-weeks. conclusively, cooperative learning is effective way in developing student affective do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