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남(海南) 대흥사(大興寺) 청허(淸虛) 휴정(休靜)의 부도(浮屠)와 석비(石碑)에 대한 고찰

        이수경 ( Lee Su-kyong ),임성춘 ( Lim Seong-chun ),김다빈 ( Kim Da-bi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호남학 Vol.0 No.62

        이 글은 해남 대흥사의 청허 휴정대사 비를 소개하고 부도와 함께 문화재적 차원에서 검토를 중점에 두었다. 따라서 그의 비를 소개하였고, 나아가 그의 문집, 비문, 대둔사 소장 비의 금석문, 사지(寺志), 지리지를 연관지어 그의 행적과 사명(寺名), 석조문화재 지정명칭 등을 검토하였다. 조선 전기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 후기 『여지도서』에는 ‘頭輪山 大芚寺’라는 산명과 사명을 확인할 수 있었고, ‘大興寺’는 1647년 이곳에 세웠다고 전하는 ‘海南縣大興寺淸虛大師碑銘’이란 금석문과 1823년 간행된 『대둔사지』에서 각각 찾을 수 있었으므로 두륜산의 ‘輪’자와 ‘대흥사’라는 절의 명칭이 일제 강점기에 생긴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해남 대흥사에는 청허 휴정 대사의 유물이 다수 보관되어 있으며 그 중 국가문화재 보물과 전남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전시되고 있다. 특히 부도전에 있는 보물 제1347호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의 탑신부에는 ‘청허당’이란 호가 새겨져 있다. 문화재 명칭과 실제 탑신부에 새겨진 명칭이 일치하지 않아 청허 휴정 대사 또는 서산대사에 관한 용례를 문헌으로 검토해 본 결과 부도의 명칭은 ‘해남 대흥사 청허 휴정부도’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淸虛堂行狀」, 『淸虛集』, 1630년 월사 이정구가 찬한 비문, 1632년 계곡 장유가 찬한 비문에서는 청허 휴정이 대흥사에 주석하였다는 사실과 자신의 의발(衣鉢)을 해남 대흥사에 전하라는 유언이 있었는지는 여부를 당대나 17세기의 사료로 직접적인 양자의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1727년에 채팽윤이 지은 ‘해남대둔사사적비명’을 고려하면 현존하는 휴정의 의발이 17세기 중반 무렵 전해졌을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특기할 만 사항은 1791년 서유린이 찬한 ‘海南大興寺西山大師表忠祠紀蹟碑文’에는 휴정의 행장과 문집, 금석문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휴정의 의발 유의처로 대흥사와의 상관관계를 최초로 언급하였고, 후대에 쓰인 문헌자료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1778년에 건립된 청허 휴정 대사의 탑비를 분석하였다. 이 비문의 찬자 장유의 『계곡선생집』에 수록된 청허 휴정의 비명에 의하면 휴정이 남방에서 주석하였다고 한 곳은 ‘伽倻海印寺’로 기록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명(碑銘)도 ‘淸虛大師碑’로 대흥사나 대둔사의 사명(寺名)이 비명에 기록되지 않은 반면, 1647년 해남 대흥사에 세웠다고 전하는 금석문에서는 휴정이 남방에서 주석하였다고 한 곳이 ‘伽倻海印寺’ 대신 ‘天冠諸庵頭輪大興寺’로 기록되어 있으며 비명도 ‘海南縣大興寺淸虛大師碑銘’으로 장유가 지은 비문과 금석문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더구나 131년 후에 같은 비문으로 청허 휴정 대사의 비를 다시 세우는데, 그에 관해서는 이유를 연담(蓮潭) 유일(有一)의 문집에서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stone stele of Buddhist Master Seosan at Daeheungsa Temple and reviews that with the stone stupa from a view of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ly, this study introduced the stone stele of Master Cheongheo Hyujeong at Daeheungsa and reviewed his activities, temple, and name used in the designation as stone cultural property by relating to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the inscription or epigraph on the stele at Daedunsa temple, Saji, and Jiriji. There appeared the name of the mountain and the temple, ‘Duryunsan and Daedunsa’ in geographic books,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in early Joseon and 『Yeojidoseo』 in late Joseon, and ‘Daeheungsa’ as another name of Daedunsa in the epigraph, ‘Haenamhyun-Daeheungsa-Cheongheodaesa Bimyeong (meaning Stele of Master Cheongheo at Daeheungsa in Haenam-hyun)’ built in 1647 and 『Daedunsaji』 published in 1823. Thus, it is true that the letter, ‘Ryun’ of Duryunsan and the name of ‘Daeheungsa’ were not mad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aeheungsa has lots of Master Cheongheo Hyujeong’s relics, and some of them have been maintained and displayed as designated Treasure of National Cultural Property and 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Jeonnam. Especially, Treasure No. 1347, ‘Stele of Master Seosan at Haenam Daeheungsa’ in Stupa Hall shows his pen name, ‘Cheongheodang’ engraved on the body of the stel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ame used in the cultural property.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as entitled as 『Cheongheodangjip』 meaning Cheongheodang Collection, and late-Joseon Dharma lineage and literary collections of Buddhist monks show his official pen name as Cheongheo, which means that his name used on the stupa should be changed to ‘Stele of Master Cheongheo Hyujeong at Haenam Daeheungsa’ by reflecting the historicity of the official name. Lastly, the study analysed the stone stupa of Cheongheo Hyujeong established in 1778.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of Cheongheo Hyujeong shown in 『Gaegok Seonsengjip』 by Jang Yoo who was the writer of the inscription, the place where Hyujeong joined a Buddhist monastery in the southern part was recorded as ‘Gaya Haeinsa Temple’, and also the stele was mentioned as 「Stele of Master Cheongheo」 with no record of the name of Daeheungsa nor Daedunsa. While the stele known as built in 1647 at Daeheungsa in Haenam says the place where Hyujeong joined a buddhist monastery in the Southern part was ‘CheongwanJeam- DuryunDaeheungsa’ instead of ‘Gaya Haeinsa’, and the name of the stele as ‘Stele of Master Cheongheo at Haenamhyun-Daeheungsa’ different from that of Jang Yoo. After 131 years, the stele for Master Cheongheo Hyujeong was rebuilt with the same inscription, and the reason was presented in Yeondam Yoo Il’s collection of works.

      • KCI등재

        청허 휴정과 의승군의 활동과 역할에 대한 재조명

        조기룡(趙基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본고는 임진왜란기 의승군의 활동을 근왕적(勤王的) 입장의 호국불교 관점이 아닌 숭유억불의 사회에서 불교의 실존을 담보하기 위한 호교적(護敎的) 내지 호법적(護法的)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청허 휴정(淸虛休靜)과 의승군의 활동을 살펴본 후 의승군의 참전이 불살생계의 준수라는 종교적 원칙과 불교교단의 생존이라는 현실적 실존 사이에서 택일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임을 일고하였다. 아울러 본고는 임진왜란 이전과 이후의 불교에 대한 조선사회의 인식변화를 의승군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임진왜란 이전의 배불(排佛) 인식은 조선전기와 중기의 대표적 유학자인 정도전과 이황, 이이의 글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의승군의 활동으로 인한 임진왜란 이후의 불교에 대한 우호적 인식변화는 충과 의에 있어서 유불불이(儒佛不二)를 인정하고 있는 『송운대사분충서난록(松雲大師奮忠紓難錄)』과 승려를 호적에 등재하도록 윤허한 『숙종실록(肅宗實錄)』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청허 휴정의 의승군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 인식은 조선사회 최고위 승려로서 국가와 불교의 안위를 아울러 고민하는 도총섭(都摠攝)으로서의 입장과 국가와 민족 등 세속사회를 초월한 수행 승려로서 불살생계를 지켜야하는 선사(禪師)로서의 입장으로 구분하였다. 인식의 확인은 청허 휴정의 시문집인 『청허당집(淸虛堂集)』에 수록된 관련 글들을 분석하였으며, 조선사회의 의승군에 대한 높은 평가에도 불구하고 정작 청허 휴정 자신은 의승군에 대하여 많은 가치를 부여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reflects on the actions of the righteous monk-army during the Imjin Waeran (壬辰倭亂) period by viewing them not in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tic Buddhism(護國佛敎) in relation to royal fealty(勤王), but in the position of interpreting those actions as a protective measure for the Buddhist Order(護敎) and its law(護法) to warrant a continued existence of Buddhism in a society which favored Confucianism and repressed Buddhism. For this, after studying Ch’ǒnghǒ Hyuchǒng (淸虛休靜) and the righteous monk-army’s actions, it was noticed that the decision to join the war by the righteous monkarmy was made from a dilemmatic situation in which one had to choose either the abidance of the religious precept of no destruction of life(不殺生戒) or the practical existence and the survival of the Buddhist Order. This paper also explored the change of view towards Buddhism in the society of the Chosǒn Dynasty before and after the Imjin Waeran with a focus on the actions of the righteous monk-army. Before the Imjin Waeran, opinions regarding the rejection of Buddhism(排佛) can be observed in the works of Chǒng Do-chǒn (鄭道傳), Yi Hwang (李滉), and Yi I (李珥), the most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s of the early and mid Chosǒn Dynasty. The favorable turn of opinion towards Buddhism after the Imjin Wae’ran due to the actions of the righteous monk-army in regards to loyalty and righteousness can be found in the works that acknowledge the thought of Confucian-Buddhist harmony and also in the Sukchong-sillok (『肅宗實錄』) where it is recorded that monks were given permission to be listed in the family registry by royal decree. Lastly, this paper examined the opinion of Ch’ǒnghǒ Hyuchǒng towards the righteous monk-army; this recognition was classified into two standpoints: one as the Do-chong’seob (都摠攝), the highest-ranking monk in the Chosǒn Dynasty who had to be concerned about the safety of both the nation and the Buddhist Order; and the other as a Zen priest(禪師), a practicing monk who had transcended the nation, the people, and mundane society, and had to abide by the precept of no destruction of life. For this, his related works in the Ch’ǒnghǒ-dangjip (『淸虛堂集』) and his collection of poems were analyzed from which it could be observed that in contrast to the high opinion that the society of the Chosǒn Dynasty had towards the righteous monk-army, Ch’ǒnghǒ Hyuchǒng himself, however, did not instill much value upon them.

      • 淸虛 休靜의 佛敎史的 價値

        오경후(Kyeonghwo Oh)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0 불교와 사회 Vol.12 No.2

        청허 휴정의 위상과 가치는 조선불교사에서 머물지 않고 한국불교사에서 평가해야 한다. 조선의 불교는 건국 직후부터 탄압을 받고, 승려의 가치나 기능은 쓸모없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임진왜란은 이와 같은 불교와 승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청허 휴정은 승려가 국난극복에 앞장서게 했을 뿐만 아니라, 폐허가 된 불교를 다시 일으켜 세우는데 구심점 역할을 한 것이다. 임진왜란 당시 조직된 승군은 이후 국방과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청허는 불교의 근간인 선교학의 정체성을 확립하였고, 그 갈등을 통합으로 조정하기도 하였다. 더욱이 염불 역시 승려들의 수행과 교육과정으로 확정하여 수행과 교화의 범위를 넓히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조선불교의 기초는 편양 언기와 같은 그의 제자들에 의해서 확산되어갔다. 대흥사는 청허 휴정의 불교중흥을 위한 노력과 정신이 계승되고 있는 곳이다. The status and value of Ch’ǒnghǒ Hyuchǒng (淸虛休靜) should not remain in Chosun Buddhism, but should be evaluated in Korean Buddhism. Buddhism in Joseon was oppressed right after the founding of the country, and the values and functions of monks were recognized as useless. The Imjin War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think the negative perception of Buddhism and monks. Ch’ǒnghǒ Hyuchǒng (淸 虛休靜) not only helped monks take the lead in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but also played a pivotal role in bringing up ruined Buddhism. During the Imjin War, the organized buddhist arm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national defense and socio-economic aspects. Ch’ǒnghǒ established the identity of Zen and Non-zen Buddhism, which is the basis of Buddhism, and adjusted the conflict to unity. Moreover, Buddhānussati was also confirmed as the monks' training and curriculum to expand the scope of practice and edification. This foundation of Chosun Buddhism was spread by his disciples like Pyeonyang Unkee Daeheung Temple is a place where the spirit and effort for the revival of Buddhism in the retreat of Ch’ǒnghǒ Hyuchǒng (淸虛休靜) is inherited.

      • KCI등재

        청허 휴정의 禪과 法統에 관한 연구성과 검토

        이향문(Hyangmoon Lee) 보조사상연구원 2022 보조사상 Vol.64 No.-

        청허 휴정이 조선시대 뿐만 아니라 근현대 한국불교의 역사와 가치를 규명하는데 절대적인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임진왜란 이후의 조선불교는 고대와 중세의 불교사상이나 문화와는 달리 탄압과 소외의 폐허에서 재정립되었고, 또 다른 형태로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청허 휴정은 이 기나긴 여정의 출발점에 있었으며 유구한 한국불교의 수행 전통 위에서 새로운 불교의 근간을 마련하였고, 이 노력은 오늘날 한국불교계가 존립하고 발전을 위한 指南이 되었다. 청허 연구는 근대학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던 일제강점기부터 지속적으로 시도되었다. 그 자체가 불교계뿐만 아니라 ‘護國’이나 ‘民族’이라는 時宜性과 정체성과도 강하게 결부되었다. 때문에 청허 연구는 학술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해방 이후 이데올로기와 관련되어 그 객관적인 가치가 부족했고, 체계성을 갖추는 일 역시 소홀했다. 조선시대 불교의 측면에서 청허의 가치를 규명하기란 더더욱 어려운 일이었다. 그러나 2000년대 초부터 조선시대 불교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청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조선불교의 원류를 찾기 위해서 청허 연구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전 시기와는 다른 조선불교의 사상이나 수행, 신앙과 인물 등에 관한 조선불교의 총론과 각론은 청허를 제외하고는 완성되기 어렵다. 조선시대 불교 연구가 진행될수록 청허에 대한 단편적인 연구에서 생애와 저술, 사상, 법통, 의승활동 및 표충사, 그리고 그의 禪詩를 중심으로 한 문학 분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고도 세부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 글은 그동안 학계에서 진행한 청허 휴정 연구의 흔적을 살폈다. 조선시대 불교에 관한 연구성과를 정리한 논고는 일부 소개되었지만 500여 편에 달하는 청허와 관련된 연구성과는 아직 미흡하다. 필자는 청허 사상이자 조선불교 사상과 수행의 기초이기도 한 청허 연구의 성과를 살핀 경험이 있다. 이 글은 청허의 선사상과 선풍, 그리고 법통설에 대한 학계의 성과를 살피고 과제를 검토하였다. It is a widely known fact that Cheongheo Hyujeong has an absolute influence on the history and values of modern Korean Buddhism as well as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Joseon Buddhism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as re-established in the ruins of oppression and alienation, unlike the Buddhist ideology and culture of ancient and medieval times, and developed into another form. Cheongheo Hyujeong was at the starting point of this long journey and laid the foundation for a new Buddhism based on the long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This effort became a milestone for the existence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oday. Cheongheo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attempt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it was directly influenced by modern universities. It was strongly connected not only with the Buddhist world, but also with the trends and identities of the times such as 'national protection(護國)' and 'nation(民族)'. Therefore, the study of Cheongheo lacked objective value in relation to ideology after liberation as well as academic aspect, and neglected to establish a system. It was even more difficult to determine the value of Cheongheo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from the early 2000s, as Buddhism began to attract atten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terest in Cheongheo increased. This is because the study of Cheongheo had to be preceded in order to find the origin of Joseon Buddhism. Moreover, it is difficult to complete the general discourses and discourses of Joseon Buddhism on the ideas, practices, beliefs and characters of Joseon Buddhism,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eriod, except for Cheongheo. As the study of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progressed, it is being studied extensively and in detail, from a fragmentary study of Cheongheo, to his life and writings, thought, dharma lineage, activities of Buddhist Monk Troops and Pyochungsa(表忠祠), and to the literary field centered on his poems. This article examines the traces of Cheongheo Hyujeong research conducted in the academic world. Although some articles have been introduced that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of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research results related to Cheongheo, which amount to about 500, are still insufficient. The author has experience exami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of Cheongheo, which is the foundation of Chosun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This article examines the achievements of the academic community on Cheongheo's seon thoughts, and dharma lineage, and examines the tasks.

      • KCI등재

        淸虛 休靜의 禪敎 이해

        고영섭(Ko, Young-Seop)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9

        이 논문은 조선 중기의 대표적 선사이자 학승이었던 청허 휴정(淸虛休靜, 1520~1604)의 선지(禪旨)와 교문(敎門)에 대한 살펴본 것이다. 붓다의 가르침인 불교는 이제(二諦)의 교문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여기서 말할 수 없는 구극적 진리인 진제(眞諦)와 말로 표현된 방편적 진리인 속제(俗諦)는 붓다 설법의 두 가지 방법이자 진리의 두 가지 형식이다. 우리의 삶이 인연에 따라 변하지 않는 불변(不變)의 세계와 인연에 따라 변하는 수연(隨緣)의 세계로 이루어지듯 붓다의 가르침 또한 말이 끊어진 선(禪)의 세계와 말로 표현된 교(敎)의 세계로 설명된다. 불교의 동전(東傳) 이후 동아시아 불교사상사에서 선과 교는 늘 긴장과 탄력의 지평을 형성하면서 불교사상에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한국불교는 수행의 대명사로서의 선(禪)과 교학의 대명사로서의 교(敎)를 선법과 교학의 언어로 표현해 왔다. 조선 중기에 활동했던 서산대사 즉 청허 휴정은 선과 교의 관점을 ‘사교입선’(捨敎入禪) 즉 ‘선법 중심의 선교(禪敎) 겸수’(兼修)로 제시함으로써 조선 후기 이래 한국불교의 선교관(禪敎觀)으로 자리를 잡게 했다. 휴정의 활발발한 선기(禪機)는 교문이 감당할 수 없다는 언표를 통해 선과 교의 분기를 엄연히 선포하고 있다. 이것이 선과 교가 나눠질 수밖에 없다는 근거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선의 배경이 되는 교를 배제하지는 않았다. 그는 선교 겸수를 위한 전단계로서, 즉 선문에 들어가기 위해 교문의 지해(知解)를 버리는 ‘사교’(捨敎)로서 강조했을 뿐이었다. 휴정은 수행의 계위가 낮고 얕고 부분적인 단계에서 높은 깊고 전체적인 단계로 나아가는 것처럼 교문의 지해(知解)를 내려놓게 하기 위해 사교(捨敎)의 언표를 매우 강하게 드러내었지만 교문 자체를 부정한 것은 아니었다. 교문의 지해를 버리는 ‘사교’는 선문의 지혜를 취하는 ‘입선’(入禪)으로 나가가는 단계적인 수행계위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의 경절문, 교의 원돈문, 염불의 염불문으로 이루어진 휴정의 삼문 수행은 이후 삼문수업(三門修業)의 원형이 되었으며 강원 이력과정의 교과과정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그리고 그의 선교관에는 선과 교와 염불이 융합하는 수행체계로 이어졌으며 이것은 조선 후기와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선교관 내지 수행관으로 굳건히 자리를 잡고 있다. Chung-heo Hyu-jung(淸虛休靜, 1520-1604)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Seon masters and scholars of the mid Chosun dynasty. This paper will examine his writ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his views of the essence of Seon. Buddhism, the teaching of Buddha, started with the two doctrinal doors that lead to two realms; The ultimate truth that cannot be described in words, and the relative truth that is described in words for explanation. These are the two different methods of Buddha’s teaching, and also are the two different format of the truth. In the same way that our life is composed of both never-changing essence, and ever-changing condition, Buddha’s teaching is the same. It is composed of both the realm of Seon that no words can describe, and the realm of doctrinal teaching that is spoken in words. Since Buddhism was introduced to the East, the existence of both of these Seon and Doctrinal schools have contributed to enrich and develop Buddhist philosophy while maintaining a healthy competitive relationship. In Korean Buddhism, too, the tradition of Seon practice has been described in words of Doctrinal school. In the case of Seon master Seosan, also known as Chung-heo Hyu-jung, took the stance of Sagyo ipsun(捨敎入禪), which means entering the Seon gate once one has finished a certain level of doctrinal study. In other words, he proposed a practice of both Seon and doctrine while having more focus on Seon; and this proposal decided the tradition of unification of Seon and doctrine in Korean Buddhism in the late Chosun dynasty. People said that the active and lively energy of his Seon practice cannot be handled by any doctrinal description; and they said this is the reason that Seon and doctrine has no other way but to be separated. However, he did not disregard doctrinal teaching, saying that doctrine is the guide that leads people to proper Seon practice. The point he emphasized was the importance of letting go of the fixed ideas that people attained as a result of the doctrinal teaching, because those ideas are something that can guide people to a certain level, but not the ultimate truth. What he said was that a proper guide is necessary when a person’s level of practice is not high enough, but when he reaches a certain point, he then needs to let go of the guide for beginners in order to move forward. So, in some cases, he strongl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discarding the knowledge that somebody attained from the doctrinal teaching but did not insist to disregard the doctrinal teaching itself. For him, discarding the doctrinal teaching was one of the important steps that people needed to take in their spiritual practice to attain the next level Seon wisdom. Seon Master Chung-heo gave three methods of practice, which he called “gateways” that could lead one to enlightenment. These are the gateway of Seon that bypasses regular steps by rising above words, the gateway of Doctrine that leads to complete and spontaneous enlightenment, and the gateway of chanting and contemplation of Dharma-body. These taxonomy has been accepted by subsequent generations of Korean Buddhists; and this is practiced in most of the monastic colleges even now. Therefore, his perspective regarding Seon and doctrine was the unification of Seon, doctrine and contemplation; and this decided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since late-Chosun dynasty.

      • KCI등재후보

        淸虛 休靜 관련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향문(향문)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2 불교와 사회 Vol.14 No.2

        Cheongheo Hyujeong (1520-1604) was born in 1520 and officially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at the age of 21. Afterwards, he lived as a monk for 65 years until he passed away in 1604. He advocated simultaneous practice of meditation in sitting and invocation of Buddha’s name through his writings such as ‘Seonga Gwigam’, ‘Cheongheo Collection’, ‘Simbeop Yocho’, and ‘Seongyoseok’, while also pursuing Ganwha Seon (word contemplation meditation) as an ultimate method of practice. Along with this, he presented the new direction of Buddhism after the mid-Joseon Dynasty by Weonyung Hoitong (complete accommodation and unification) of the three gates practice system of Seon, Doctrine, and Yeombul (Buddha chanting, recollecting, or recitation of Buddha’s name). Hyujeong’s life can be symbolized by activities to protect the Buddha- dharma and protect the country. His activities for the protection of the Buddha- dharma were develop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ractice, writing, and education and has the status of establishing the Wind of the Seon Gate and Sect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compiling the thoughts before Joseon Buddhism. In addition, his national defense activities are evident in his achievements leading the participation of the volunteer Sangha arm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eriod during which Hyujeong participated in the war and joined the volunteer Sangha army was only about 2-3 years, I think it is necessary to give more importance to his appearance as a Buddhist monk in evaluating him. This thesis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reviewing the research history related to Cheongheo Hyujeong. To this end, the author first carried out the work of comprehensively collecting and organizing research related to Cheongheo, and as a result, the existing studies were divided into five themes: ① Life and writings ② Thought ③ Dharma lineage ④ The activity of the volunteer Sangha army and Pyochungsa shrine ⑤ Literature and others. This thesis outlines the major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s excluding ‘Literature and Others’ among them, and is composed in the form of presenting some tasks and problems that appear in these studies. It is hoped that this thesis will provide a new direction for Hyujeong-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청허 휴정(淸虛休靜, 1520-1604)은 1520년에 태어나 21세의 나이로 정식 출가하였다. 이후 1604년 입적할 때까지 그는 무려 65년이라는 세월을 승려로 살았다. 그는 선가귀감 , 청허집 , 심법요초 , 선교석 등의 저술을 통해 선교겸수를 표방하는 한편, 궁극적 수행방안으로 간화선을 중흥하였다. 이와 함께 선․교․염불의 삼문(三門) 수행체계를 원융회통하여 조선중기 이후의 불교 방향성을 새롭게 제시하기도 하였다. 휴정의 일대기는 호법활동과 호국활동으로 상징할 수 있다. 그의 호법활동은 수행, 저술, 교육 등의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조선불교 이전의 사상을 집성하여 조선후기의 선문종풍(禪門宗風)을 수립한 위상을 지니고 있다. 아울러 호국활동은 임진왜란 시기 의승(義僧) 참전을 앞장서 이끌었던 공적에서 뚜렷하다. 하지만 휴정이 참전을 결행하고 승군을 통섭한 기간은 불과 2-3년 남짓이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그를 평가함에 있어 출가 사문(沙門)으로서의 면모는 더욱 중시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한다. 이 논문은 청허 휴정과 관련한 연구사 검토를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청허 관련 연구를 종합적으로 수집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한 바 있으며, 그 결과, 기존 연구는 ‘①생애와 저술 ②사상 ③법통 ④의승 활동 및 표충사 ⑤문학 및 기타’ 등의 다섯 가지 주제로 나눌 수 있음을 밝혔다. 이 논문은 이들 가운데 ‘문학 및 기타’ 항목을 제외한 분야의 주요 연구성과를 개략적으로 소개하고, 이들 연구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과제와 문제점들을 제시하는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향후 휴정 관련 연구의 방향이 새롭게 제시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후보

        청허 휴정(淸虛休靜) 선사상의 고유성과 독특성 ― 일물(一物)에 담긴 깨달음에의 실천적 위상(位相)을 중심으로 ―

        오용석 ( Oh¸ Yong-suk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9 No.-

        본 논문은 청허 휴정 선사상의 고유성과 독특성을 일물에 담긴 깨달음에의 실천적 위상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여기서 위상은 ‘어떤 사물이 다른 사물과의 관계 속에서 가지는 위치나 상태’를 의미한다. 청허 휴정은 일물을 통해 그의 선사상과 깨달음에의 실천적 위상을 드러내었는데 이를 크게 사교입선과 선정겸수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휴정의 사교입선과 일물의 관계를 통해 휴정의 일물이 갖는 특징을 파악하였다. 즉 휴정의 일물은 우리의 본원진심을 묘사하기 위한 추상적 용어 혹은 선과 교를 통합하기 위한 중도적 교의를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경절의 활구를 통해 직접적인 선의 체험 즉 견성성불의 중요성을 드러내는 위상을 갖는다. 다음으로 휴정의 선정겸수과 일물의 관계를 논술하였다. 기본적으로 휴정은 선과 염불이 다르지 않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는 선과 염불의 차이를 없애기 위해서라기보다 선의 입장에서 염불을 포용할 것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관계속에서 휴정의 일물은 선의 입장에서 염불을 참선으로 승화시킨 염불공안으로 제시되었다. 즉 휴정의 염불은 선과 만나 참구의 염불이 되고, 다시 자심의 정토를 깨닫는 실상염불을 지향한다. This study discussed the Characteristic and Uniqueness of the Cheongheo Hyujeong’s Seon Thought, focusing on the practical status of enlightenment contained in One-Thing. Here, status means ‘the state that an object has in relation to another object’. Cheongheo Hyujeong revealed his Thought of Seon and practical status of enlightenment contained in One-Thing that I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Relinquishing Gyo(敎) and Entering Seon and the combined cultivation of Seon and Pure Land(淨土). First, I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nquishing Gyo and Entering Seon and One-Thing, and through this, I coul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jeong’s One-Thing. In other words, the works of Hujeong are not limited to abstract terms to describe our One’s original Buddha-nature or to express The Middle Way to integrate Seon and Gyo, but have a status of revealing the importance of direct experience of Seon, that is, to penetrate one’s mind is to become enlightened through the Living Phrase(活句) of shortcut expedient.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bined cultivation of Seon and Pure Land and the One-Thing of Hyujeong was discussed. Hyujeong thought of that Seon and to meditate on the Buddha were not different. However, this is not to eliminate the difference between Seon and to meditate on the Buddha, but rather emphasizes the embracing of to meditate on the Buddha from the point of view of Seon. In particular, the work of Hujeong presented in this relationship was presented as to meditate on the Buddha with kung-an(公案) that sublimated to meditate on the Buddha into Seon from the point of view of Seon. In other words, to meditate on the Buddha meets Seon and becomes to meditate on the Buddha of Penetration(參究), and aims to become the One’s own original nature that realizes the Pure Land of Buddha-nature again.

      • KCI등재

        淸虛休靜의 五家法脈 인식의 배경에 대한 고찰

        김호귀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2 No.-

        선수행에서는 무엇보다 깨침을 중시한다. 그 깨침이 전승되어 온 역사에는 선종이라는 교단의 형성과 그 전개가 있었다. 이 가운데서 선종을 지금까지 유지하고 전승시켜 온 가장 큰 이유는 師資相承의 법맥을 강조한 점이었다. 그 법맥을 중심으로 당나라 말기에는 소위 禪宗五家가 출현하였다. 선종의 오가가 형성되는 배경에는 선풍의 차이도 있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법맥의 정통성이라는 점이 크게 작용하였다.때문에 법맥의 형성과 그 전승은 선종사에서 나름대로 또 하나의 특징을 형성하였다. 이들 법맥은 초기선종의 시대부터 조사선의 형성시기에 이르기까지 우두종․정중종․보당종․하택종․북종 등 소위 傍系로 간주되는 다양한 교단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소위 정통으로 간주되던 남종의 경우에도 예외없이 남악회양 계통과 청원행사 계통으로 각각 다시 정통을 주장하였다. 그런 와중에 보이는 문제점 가운데 하나가 天王道悟 및 天皇道悟에 바탕한 선종오가의 법계소속의 문제이다. 오늘날 밝혀진 바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선종의 오가는 청원계통으로는 조동종․운문종․법안종이고, 남악계통으로는 임제종․위앙종이 각각 속해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달관담영의 五家宗派_및 그 전승문헌에서 운문종과 법안종은 천왕도오의 법계로서 조동종을 제외한 나머지 4종이 모두 남악의 계통에 속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이에 대하여 白巖淨符는 法門鋤宄를 저술하여 그 오류를 통렬하게 비판하였다. 또 德巖養存은 五家辨正을 저술하여 호관사련이 五家辨에서 선종의 오가를 모두 남악계에 소속시킨 것에 대하여 그 오류에 대하여 지적하고 있다. 한편 五家辨에서 天皇道悟라는 이름을 마조의 문하에 두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日庵一東은 五家辨의 내용에 의하여 五派一滴圖를 저술하여 그 사실을 옹호하였다. 여기에서 一東은 虎關師鍊의 五家辨과 관련하여 道原의 景德傳燈錄_및 夢堂宗派序_및 虎關五家辨에 대한 도표를 통하여 그간의 간략한 설명을 붙이고 있다.소위 경덕전등록의 견해는 청원계에 조동종․운문종․법안종을 배치하고, 남악계에 위앙종․임제종을 배치였다. 夢堂의 견해는 청원계에 조동종만 배치하고, 남악계에 나머지 운문종․법안종․위앙종․임제종을 배치하였다. 호관사련의 오가변에서는 선종5가를 모두 마조계에 배치하였다.이로써 살펴보면 천왕도오의 인물을 중심으로 법맥을 주장한 것으로는 丘玄素의 天王道悟禪師碑(唐代) 및 符載의 荊州城東天皇寺道悟禪師碑(唐代) → 達觀曇穎의 五家宗派(北宋) → 夢堂覺의 覺夢堂重校五家宗派序(南宋) → 虎關師鍊의 五家辨(14세기) → 日庵一東의 五派一滴圖(1485) → 淸虛休靜의 禪家龜鑑(1564) → 山翁道忞의 禪燈世譜(1631) → 北海涵月의 禪門五宗綱要序(1749) → 白坡亘璇의 禪門五宗綱要私記(19세기) 등이다.한편 이에 대하여 천왕도오의 인물과 그 법맥을 부정한 것으로는 道原의 景德傳燈錄(1004) → 佛日契嵩의 傳法正宗記(1064 간행) → 白巖淨符의 法門鋤宄(1607) 및 祖燈大統_→ 得山居士 林弘衍의 明覺禪師語錄_序(1634) … → 永覺元賢의 龍潭考(17세기) → 石潮大寧의 法門鋤宄_後序(1668) → 德巖養存의 五家辨正(17세기 말) …. 등이다.여기에서 조선 중기에 淸虛休靜은 禪家龜鑑의 오가종파를 나열하는 부분에서 天王道悟의 전승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여 그 밑에 운문종과 법안종을 배열하고 있다. 이것은 임제종파의 우위를 주장하는 입장과 더불어 마조도일의 정통 내지 남악회양의 정통을 옹호하려는 것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87) 소위 임제종의 우위를 주장하려는 근거는 시대적으로 보아 천황도오와 천왕도오의 법맥논쟁의 한가운데 해당하는 시기인만큼 禪家龜鑑에서도 임제종에 대해서만 정통으로 간주하고 나머지는 모두 방계로 기록하였다. 곧 임제종은 석가모니를 비롯한 六祖의 正傳, 조동종은 六祖下 傍傳, 운문종은 馬祖傍傳, 위앙종은 百丈傍傳, 법안종은 雪峰下 傍傳으로 기록하였다.이와 같은 임제종의 정통을 주장하는 전통은 일찍이 해동선법의 법맥이 임제종 법맥을 계승한 石屋淸珙의 법맥을 정통으로 계승했다는 고려후기로부터 주장되는 것으로 비롯되었음은 현재의 조계종 및 태고종을 비롯한 한국선종의 법맥에 대한 일반적인 사실로 주장되어 있다. 결국 청허휴정의 천왕도오 법맥의 상승은 그 연장선에 놓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처럼 선종오가 가운데 청원행사 계통에서는 조동종 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남악회양 계통이라는 주장은 이후 喚醒志安의 禪門五宗綱要에 붙인 北海涵月의 序文에도 그대로 수용되고 있다.현재 한국불교의 대부분의 법맥은 浮休善修 및 淸虛休靜을 계승한 것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 와중에서 선가귀감의 이와 같은 전등계보가 수용된 의의는 조선중기 임제종맥을 우위로 전승하는 과정에서 마조도일에 이르기까지 법맥의 원류를 소급하려는 강조에서 비롯되었다는 것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In the Tang Dynasty The Sourthern Seon School was divided into the five sects : Yun-men(雲門), Wei-yang(潙仰), Tsao-tung(曹洞), Lin-chi(臨濟) and Fa-yen(法眼). Later, in the Sung Dynasty the Lin-chi sect was divided into the two schools : Yang-chi(楊岐) and Huang-lung(黃龍). Among the five sects Wei-yang and Lin-chi are belongs to the heritage of NAN-Yueh Huai-jang(南嶽懷讓), Yun-men, Tsao-tung and Fa-yen are belongs to the heritage of Ching-yuan Hsing-ssu(靑原行思).These cognition are universal in modern seon studies. But the heritage of Nan-Yueh Huai-jang - Ma-tsu Tao-i(馬祖道一) - Tien-uang Tao-wu(天王道悟) is a puzzling question in this paper. Because of the seon master Pai-yen Ching-fu(白巖淨符) in Ching Dynasty denied of Tien-uang Tao-wu. Namely, Tien-uang Tao-wu was fabricated by Chiu-hsuansu(丘玄素). But, Fu-tsai(符載), Ta-kuan Tan-ying(達觀曇穎), Mengtang-chiao(夢堂覺)의 Kogan-Shiren(虎關師鍊), Jih-an I-tnng(日庵一東), Chungheo- Hujeong(淸虛休靜), Shan-weng Tao-min(山翁道忞), Bukhae- Hamwol(北海涵月), Backpa-Gungsun(白坡亘璇) and so forth are advocated Tien-uang Tao-wu is existence and orthodoxy.The other side, Cheng-tien Tao-yuan(承天道原), Fo-jih Chi-sung(佛日契嵩), Pai-yen Ching-fu(白巖淨符), Lin-Hungyen (林弘衍), Yung-chueh Yuan-hsien(永覺元賢), Shih-chao Ta- ning(石潮大寧), Te-yen Yangtsun(德巖養存) and so forth are advocated Tien-huang Tao-wu(天皇道悟).At last, in this paper we agree that Tien-huang Tao-wu is orthodoxy and Tien-uang Tao-wu is fabricated by Lin-chi sect. It is tantalizing that Chungheo-Hujeong insisted Tien-uang Tao-wu is existence and orthodoxy in SEONGACUIGAM(禪家龜鑑).

      • KCI등재

        청허 휴정의 沙門像과 표충사 제향의 의의

        김상영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3 No.-

        이 논문은 크게 두 가지의 목적을 지니고 작성되었다. 첫째, 淸虛 休靜(1520-1604)의 沙門像을 살펴보 기 위한 목적이다. 나라를 지킨다는 명분 아래 승려가 칼과 창을 쥐고 적군을 살상하는 행위는 승려 본 본사와 맞지 않는다. 특히 조선불교 최고의 禪僧으로 평가되는 휴정이 앞장서 승군을 조직하고 戰場에 참여하였다는 사실은 그저 단순히 넘길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이미 휴정 당대에도 승단 일부에서 이 같은 문제를 제기하는 경우가 있었다. 휴정의 승군 활동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승 병장 휴정’이 아니라, 오히려 ‘사문 휴정’의 면모를 보다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문에서는 주 로 『청허집』에 실려 있는 내용을 통해 ‘사문 휴정’의 면모를 나름대로 서술해보고자 하였다. 둘째, 휴정을 추념하는 국가 차원의 사업, 특히 해남 표충사 건립과 그곳에서의 祭享 봉행이 지니고 있 는 의의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이다. 서산 衣鉢이 전래된 이래 대흥사는 이른바 ‘西山佛敎’의 중심도량 이 되었다. 대흥사는 스스로 宗院의 위상을 자처하고 나서면서 조선후기 불교를 주도해 나가기 시작하 였으며, 표충사 건립은 이 과정에서 이루어진 하나의 성과물이었다. 해남 표충사는 戒洪과 天默 등이 주도하여 건립하였는데, 이들은 그야말로 발이 ‘부르트도록’(繭足) 많은 사람을 만나고 다녔으나 오랫 동안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결국 표충사는 당시 戶部尙書였던 徐有隣(1738-1802)의 적극적인 노력에 힘입어 건립될 수 있었다. 최근 대흥사에서 공개된 자료 「賜額祭文」과 「享禮笏記」는 표충사 건립 과정 과 표충사에서 행해진 제향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본문에서는 이들 자료 전체 내용 을 소개하면서 표충사 제향에 담겨 있는 의의를 서술해보고자 하였다. 밀양 표충사(1738년), 해남 표충사(1788년), 묘향산 酬忠祠(1794년) 등의 공식 賜額祠宇가 건립된 것은 임란 시기로부터 150-200여 년이나 흐른 뒤였다. 막대한 의승군의 희생과 戰功에 비해 의승장을 배향 하는 사우를 건립하는 일이라든가, 그 운영비용을 조정에서 충당하는 것은 ‘사소한 배려’에 지나지 않 는 일이었다. 하지만 조선후기 승단은 그 사소한 일을 성사시키기 위해 마치 고행에 버금가는 과정을 겪어야했다. 이같은 내용을 통해 우리는 조선후기 불교사의 또 다른 단면을 살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Cheong Heo Hue Jung’s (1520-1604) Samunsang. As a Buddhist monk, Hue Jung took part in wars and combated with a sword or a spear in killing people, which is in contrast to Buddhist teachings. At the time, he was one of the most respectable Buddhist monks hence, his role in recruiting monks and leading them to war seemed very provocative. His warrior activity drew speculation from his peers during his life. To understand and assess his warrior activity, it is important to have much insight into his life as a Buddhist monk. The content of Cheong Heo Jib was analyzed for detailed information on Hue Jung’s religious life. This study also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ituals, which are currently performed to worship Hue Jung, at the governmental level.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the worship ritual conducted at the Pyochung Shrine, located in Haenam, was analyzed along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n how the Shrine was founded in the first place. Daehung temple became one of the core Buddhist templ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s it was preserving certain personal belongs of Hue Jung, including clothing. The temple’s leading position led to the foundation of Pyochung Shrine. However, the construction of this new shrine was not easy in the beginning, although two Buddhist monks, Kyehong and Cheonmuk, made every effort to build the shrine for a long period of time. Pyochung Shrine was completed with the help of Seo Yu-rin, a government official (1738-1802). Antique books, Saaekjemun and Hyangrae-holki, released by Daehung temple, recently have proved to be helpful in understanding how Pyochung Shrine came to exist and why worship rituals was performed at the shrine. The content of these books was addressed in this study. All official Saaek temples, including Pyochung Shrine in Milyang (founded in 1738), Pyochung Shrine in Haenam (1788) and Soojung Shrine in Myohyang mountain (1794), were built almost two centuries later following the national war in the 1590s, known as the Imjin War. That is, building shrines in order to cherish monk soldiers’ enormous sacrifice took a long period of time. Moreover, the Buddhist Monk Association, established during late Chosun Dynasty, went through highly tough times to have those shrines established because resources were not available from the government. Thus, this study has discovered the sad history of hardship faced by Buddhist monks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 청허 휴정의 선풍과 계승

        정광균(Kwanggyun Jung)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0 불교와 사회 Vol.12 No.2

        본 논문은 “청허 휴정의 선풍과 계승”이란 논제하에, 먼저 휴정의 선풍이 형성되는 배경에 대해서 시대적 배경과 사회적 배경, 그리고 종단적 배경을 고대 한국의 고승대덕과 휴정의 법조(法祖)와 법부(法父)까지 살펴보았다. 다음에 휴정이 선교를 회통한 부분에 대해서는 휴정의 저술을 통해서 선교회통(禪敎會通)의 사교입선(捨敎入禪), 돈오점수(頓悟漸修)의 선주교종(禪主敎從)에 대해서 간략히 검토하였다. 그 다음에 휴정의 조사선풍의 격외선지(格外禪旨)가 이루어지는 내용을 종지종풍(宗旨宗風)과 관련해서 중국의 조사선과 고대 한국의 조사선인 구산선문(九山禪門)과 중흥조들까지 전승하여 수렴된 내용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휴정의 선풍이 계승되는 내용으로 휴정의 문하 4대 종장인 사명유정ㆍ편양언기ㆍ소요태능ㆍ정관일선을 중심으로 검토하여 보았다. 이러한 휴정의 선풍은 산승들을 계도하는 저서로 우선 『선가귀감』을 찬술하여 선교의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승풍을 진작시켜서 조사선의 수일불이(守一不移)한 수본진심(守本眞心)과 본래성불의 조사관에 대한 수행체계인 돈오점수의 선주교종을 확립하였다. 이런 가운데 선교의 논쟁이 벌어지자 다시 『선교석』을 통하여 전통적인 『선문보장록』과 『선문강요집』, 중국 찬술의 전거를 인용한 선과 교를 판석하여 이를 회통하려 하였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분쟁이 계속되자 『심법요초『를 저술하여 선과 교를 회통시키고, 선과 정토까지 일치시켜 회통하는 학문과 수행의 풍토를 삼문수학(三門修學)으로 확립시켜 조선 후기에 전승되었다. This thesis first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period and social background, and the background of jongdan about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sonpung of adjournment, to the law and the law of the ancient Korean sonmaster and Hyujeong. Next, for the part in which Hyujeong repented of songyo, briefly reviewed the sagyoibson (捨敎入禪) by songyohoitong (禪敎會通) and sonjugyojong (禪主敎 從) by songyohoitong (禪敎會通) and donohjyumsu (頓悟漸修). I did. Next, Hyujeong’s investigation of sonpung’s gyegoisongi (格外禪旨) was transmitted to the Chinese investigation vessels, ancient Korean investigation vessels, ninemauntinsonmun (九山禪門) and the jung- Heungjos. The contents were considered. Finally, the contents of Hyujeong’s sonpung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four major elders of Hyujeong, samyeng Yujeong, Pyunyang Eongi, Soyotaeneung, and Jeonggwanilsun. This Hyujeong’s sonpung is a book that guides the mountain monks. First of all, he praised the 『Seongaguigam』, promoted the victory based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songyo, and kept the one spoken in jyosameditation (祖師禪) and did not move keeping only one (守一不 移) and keeping the fundamental true mind (守本眞心). It established the sonjugyojong of donojeomsu, which was originally a system of conduct for the guarding and the gateway to the investigation of Seongbul. In the midst of this, when the missionary debate broke out, the traditional 『Seonmunbojanglog』 and meditation and doctrine quoted from the authority of Chinese chanting were attempted to repent through the 『Seonmungangyojyb』. Nevertheless, as the conflict continued, he wrote 『simbeobyocho』 to convert meditation and doctrine, and to establish the culture of meditation and doctrine in harmony with the son and to the pure land as sammunsuhak (三門修 學), which was passed down in the lat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