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의 창의성 요소 분석: 과학과, 영어과, 미술과, 음악과를 중심으로

        김진석 ( Kim Jin-seok ),강훈식 ( Kang Hun-sik ),박지숙 ( Park Ji-sook ),노철현 ( Roh Cheol-hyeon ),조경선 ( Cho Keoung-sun ),정연현 ( Chung Yun-hyun ),이삭 ( Lee Sa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의 영역 특이성에 기초하여 교과별 창의성 요소를 정련하여 제시하고, 해당 요소를 분석 기준으로 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는 교과는 거의 모든 학문 분야를 망라하고 있는 만큼, 모든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적 제약과 함께 창의성 함양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6학년 ‘과학’, ‘음악’, ‘미술’, 그리고 여기에 덧붙여서 ‘영어’ 교과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이 중 일부 내용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초등학교 6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은 과학 창의성 요소 중 ‘과학 지식’, ‘기초탐구과정기능’을 요구하는 활동에 치우쳐 있으며, ‘통합탐구기능’, ‘창의적 사고’, ‘문제 해결력’을 요구하는 활동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영어 교과서의 경우 ‘수렴적 사고’가 압도적으로 많이 요구되고 있었고, 여기에 비하여 ‘확산적 사고’가 요구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셋째로, 미술 교과서의 경우 인지적 요소중 ‘시각적 사고력’, ‘연결적 사고력’과 정의적 요소의 ‘과제집착력’, ‘소통·협력’ 요소는 각 단원에서 대체로 골고루 포함되어 있었지만, 인지적 요소 중 ‘공간지각력’, ‘문제해결력’, ‘융통성’, ‘유창성’ 및 정의적 요소 중 ‘내적 의지’ 와 ‘자아존중감’ 요소는 일부 단원에 한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음악 교과서는, 교과서를 발행한 출판사별로 강조점에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대체로 말하여 음악 창의성과 관련된 요소를 각 단원에 고르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이러한 분석결과가 창의성 교육과 관련하여 제시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각 교과 영역별 창의성 요소는 해당 교과를 통한 창의성 함양에 필수불가결하게 요청되는 만큼, 향후 초등학교 과학, 음악, 미술, 영어 교과의내용은 창의성의 다양한 요소를 골고루 반영할 수 있도록 선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로, 각 교과 영역별 창의성 요소 사이에는 차별성뿐만 아니라 공통성도 있는 만큼, 교과 영역을 넘어서는 범교과적 창의성함양 방안, 또는 학제 간 창의성 함양을 위한 활동 방안을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창의성이 영역 특이성을 지닌 특수 창의성과 함께 영역을 가로지르는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방안은 향후 초등학생의 ‘창의성 함양 공통 모형’을 정립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suggest components of creativity for primary learners, and to analyze activities for fostering learners’ creativity in primary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achieve this, definitions of creativity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re presented, and the sixth grade primary school textbooks were analysed in the aspect of creativi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the textbook of science, activities of knowledge and basic inquiry skills were presented significantly in relation to other activities, but those of integrated inquiry skills,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were devised insufficiently. (2) In the textbook of English, activities of convergent thinking were composed predominently, but those of divergent thinking were relatively smaller than any other activities. (3) In the textbook of art, there were activities equivalently and consistently developed for visual thinking, connective thinking power, task competing power, and collaboration, but in some parts of units, there are activities unequivalently developed for spatio-perception, problem-solving, flexibility, fluency, internal volition, and self-respect. (4) In the textbook of music, classroom activities for fostering learners’ creativity were developed equivalently,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textbooks in developing activities for creativity. From th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classroom activities and tasks for fostering learners’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and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classroom activities and tasks need to be implemented in primary classes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 KCI등재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와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 탐색

        이대현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6 No.1

        학교 교육을 통하여 창의적인 인간을 양성해야 한다는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수학적 창의성과 인성을 길러주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를 추출하고,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을 탐색해 보았다. 먼저, 수학적 창의성에서의 논점과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를 인지적, 정의적, 태도적 측면으로 알아보았다. 이러한 요소들은 수학적 창의성 개발 수업에서 창의성 개발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며, 창의성을 평가하는 요소가 될 것이다. 이러한 기저를 바탕으로 수학 학습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8가지 수학과 창의성 개발 수업 모델을 제시하였다. 8가지 수학적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은 수학의 특성과 최근에 강조되는 수학교육 이론 및 창의성 이론을 바탕으로 하였다.

      • KCI등재

        창의성요소와 인성요소의 유기적 결합을 위한 탐색

        최현주(Hyunjoo, Choi),최연철(Younchul,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요소와 인성요소의 유기적 결합을 시도하여 창의인성요 소를 도출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첫째,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는 창의 성과 인성의 연계 관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창의성 중심 연계 관점, 인성 중심 연계 관점, 창의성과 인성의 통합 연계 관점으로 나누어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창의성과 인성의 연계 관점에 대한 한계점을 제시하고, 그 대안으로 창의성과 인성의 융합 관점을 새롭게 제안하 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창의성과 인성의 융합 관점을 바탕으로 창의성요 소와 인성요소의 유기적 결합을 시도하여 창의인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인성요소는 문제에 관심 갖기(사회문제 인식능력, 탐구능력), 대안모색(다양성 수용능력, 구체적 판단능력), 행동 실천력(자기행동 조절능력, 관계형성능력) 등 3개의 유목을 중심으로 6개의 세부유목과 27개의 세부요소가 도출되었다. This research aims to derive creativity-character elements from combining creativity elements and character element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nnection between creativity and character studied in preceding researches in order to organically combine creativity elements and character element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re are three perspectivesㅡcreativity-based perspective, character-based perspective, and creativity & character-based perspective. This research raises questions regarding the connection between creativity and character suggested by the preceding studies and presents the creativity & character-based perspective. Also, creativity-character elements were derived from organic combination of creativity elements and character elements based on the creativity & character-based perspective. As a result, creativity-character elements had 6 sub-categories and 27 sub-elements based on 3 categoriesㅡhaving interests in problems, finding alternatives, and practicing action. The creativity-character elemen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are hopefully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e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s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영국 2013 국가교육과정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요소 분석

        김천홍(Kim Chun Hong),홍수진(Hong Su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본 연구는 영국의 2013 국가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창의성 교육요소를 분석하여 한국의 학교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진작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가교육과정 문서에서 확인된 창의성 교육요소를 코딩하여 총론 및 각론, 교과별, 학령별 언급 빈도 및 교과별 목표 수에 대한 상대비, 진술 내용의 특징을 컴퓨터를 활용한 질적 자료 분석(CAQDA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국의 2013 국가교육과정 총론에서는 국가교육과정의 대강화의 개정 원칙에 따라 창의성에 대한 개략적인 지침만을 제시하고 있었고,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범교과 지식 영역인 ‘언어와 문해력’ 영역에서 창의성 교육요소를 강조하고 있었다. 국가교육과정 각론 중 핵심교과의 경우 창의성 교육요소 제시 빈도와 상대비가 ‘수학’, ‘영어’, ‘과학’ 순서로 높았는데 수학은 학습내용 영역에서, 과학은 학습내용 실천을 위한 지침인 비법령적 안내사항에서 특히 높았다. 각론 중 기본교과의 경우 개별교과의 학습목적 영역이 목표 영역에 비해 창의성 교육요소 빈도가 높고, 개별 교과에서 강조하는 창의성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핵심교과의 경우 초등학령에서 창의성 교육요소가 강조된 반면, 기본교과의 경우 창의성과 연계된 교과 특성이 반영되어 Key Stage 2~3에서 강조 수준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교육에서 학생의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국가교육과정에서 관련 내용의 명확한 진술, 창의성 교육내용의 학령 간 체계적 연계,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창의성 교육요소 재구조화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학교교육을 통한 창의성 신장 방안을 국가, 지역교육청, 단위학교, 연구기관 수준에서 제언하였다. The growing emphasis on creativity as the process and outcom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makes education policy to enhance creativity in national curriculum. However, creativity is not explicitly recognized and not often precisely defined, which resulted from different views and approaches about the definition, the content, the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method of assess creativity for what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lace of creativity in reviewed 2013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for the purpose of drawing implications to cultivate students’ creativity through national curriculum. To do so, a content analysis of 2013 England’s national curriculum and related documents issued by the Department for Education were conducted. Moreover, this study adapted 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CAQDAS) to analyze the frequency and ratio of creativity-related statement in curriculum document and the way creativity was articulated in the subject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 knowledge, skills and value of creativity is explicitly defined, recognizing that promoting creativity is an important aim of the almost every subject.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such as subject-specific as well as general creativity make sharp differences in the depth and breath of emphasizing creativity among subjects. Thirdly,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covers subject contents identified in learning objectives for enhancing creativity through the well-aligned curriculum structure. Lastly, each subject in national curriculum clearly defines the content and cognitive processes, which students are expected to achieve at different stag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its characteristics in national curriculum, to align the subject contents of creativity with the learning stage, and to reorganize the different elements of creativity in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창의성요소와 감성디자인의 평가방법 관계에 대한 연구

        이성필 ( Sung Pil Lee ),홍정표 ( Jung Pyo Hong ) 한국감성과학회 2010 감성과학 Vol.13 No.1

        현대사회를 감성사회라고 말한다. 감성사회에서 感性디자인은 상품의 가치를 높여 부가가치를 높여준다. 많은 연구자들이 감성디자인에 대하여 주장을 하고 있지만 감성제품과 일반 제품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판단기준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밝히거나 무엇이 감성제품인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된 사례가 많지 않다. 따라서 감성디자인에서, 사용자에게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디자인요소가 무엇이며, 감성디자인의 분류와 판단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 선행 연구된 디자인 창의성 평가 요소와 감성디자인의 관계, 소비자에게 선호되는 감성디자인은 어떤 창의성평가요소와의 디자인요소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지를 제안하고, 두 번째로, 감성디자인유형별로 중요하게 표현되는 이미지와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는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들에게 제품을 보여주고 감성디자인이라고 생각하는 제품을 선정하게하고, 선정된 제품을 디자인유형별로 나누어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선정된 제품에서 느끼고 있는 디자인이미지를 알아보고 이미지와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감성디자인은 시대의 변화, 환경, 사용자에 따라 중요한 창의성평가요소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디자인은 어떤 이미지를 갖는 디자인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This modern society is said to be more typical of an emotional society. In such a society, emotional design adds value to products, hence bringing about value-enhanced products. Despite many claims of little substance about emotional design,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searches that have identified what criteria to be applied to distinguish between emotional products and generic products or even have clearly defined what emotional products are. This leads to a clear need for providing more definite criteria for defining and classifying design elements useful and available for users. To fill the ga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elements for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design, and, based on that, identify some of the most importantly valued elements, and secondly, to examine how the images importantly used for expression relate to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according to classified types of design. In this study, chosen products were presented to selected users so that they can choose what they think possesses emotional design elements. Then the products so chose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design type for examination of their respective relationship with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of perceived design images about the selected produ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images and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chance to be aware of the fact that essential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can vary depending on changing times, environments, and users, and as well, to offer an insight into what images design should be possessive of for it to be preferred by consumers.

      • KCI등재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 자기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성은현(Eun Hyun Sung),성소연(So Yeon Sung),김누리(Noo ri Kim),Young Suk Hwa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교사 스스로 수업계획과 실행 단계 각각에서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평가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 창의성 교육을 하는데 필요한 수업 요소들(학생의 특성에 대한 고려, 교사의 전문성, 학생중심교수학습방법, 인적ㆍ물적 자원의 활용)과 창의성 교육요소들(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개방성, 도전/호기심)을 문헌분석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한 후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초중등학교 교사 245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업전과 수업중각각에 대해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평가할 수 있는 수업요소 15문항과 창의성교육요소 15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가 입증되었고, 초등학교와 중학교 동일성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와 중학교 간에 동질적인 구조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Soh(2000)의 "창의성을 조장하는 교사행동평가척도(Creativity Fostering Teacher Index: CFTI)"를 통해 수렴타당도도 확보하였다. 이 도구는 수업계획과 실행의 측면을 나누고, 수업의 요소와 창의성교육요소를 구분하여 측정했기 때문에 보다 분석적이고 구체적인 진단을 가능하게 했다는 차별성을 갖는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점이 소개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the self assessment of creativity education in the classroom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during the each period of plan or execute the instruction.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about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also carried out a survey asking teachers of what are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found four components -consideration of students' traits, speciality of teachers, student 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ersonal and physical resources - as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five components(divergent thinking, convergent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openness, curiosity) as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main survey was administrated to two hundred forty five teachers, and we developed fifteen items for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fifteen items for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by analy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found no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eacher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 confirmed also convergent validity with Soh's Creativity Fostering Teacher Index: CFTI. The distinctive point of this assessment is that we analysed more precisely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during the each period of plan or execute the instruction.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s of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between "creativity-personality model school" and general school except the components of personal/physical resources and convergent thinking. We discussed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 KCI등재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 평가 도구개발

        성은현(Sung Eun Hyun),성소연(Sung So Ye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4 창의력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수업을 참관하면서 수업 관련 요소와 창의성 교육 요소를 준거로 수업담당 교사의 창의성 교육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 창의성 교육을 하는데 필요한 수업 요소들과 창의성 교육 요소들을 문헌분석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수업요소는 학생의 특성에 대한 고려, 교사의 전문성, 학생중심 교수학습방법, 인적ㆍ물적 자원의 활용으로 나타났다. 창의성 교육 요소는 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개방성, 도전/호기심 요소로 나타났다. 수업을 참관한 초중등학교 교사와 교장 교감 445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업에서 창의성 교육을 평가하는 수업요소 20문항과 창의성교육요소 20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가 입증되었고, 초등학교와 중학교 동일성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와 중학교 간에 동질적인 구조를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Soh(2000)의 "창의성을 조장하는 교사행동평가척도(Creativity Fostering Teacher Index: CFTI)"를 통해 수렴타당도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창의ㆍ인성 연구학교와 일반학교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연구학교가 일반학교보다 평균값이 높았으나 인적ㆍ물적 자원 활용과 수렴적 사고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의의와 한계가 소개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the assessment of creativity education in the classroom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about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also carried out a survey asking teachers of what are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found four components(consideration of students' traits, speciality of teachers, student 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ersonal and physical resources) as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five components(divergent thinking, convergent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openness, curiosity) as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main survey was administrated to four hundred forty five teachers, vice principals and principals, and we developed twenty items for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wenty items for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by analy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confirmed also convergent validity with Soh's Creativity Fostering Teacher Index: CFTI. We found no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eacher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s of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between "creativity-personality model school" and general school except the components of personal/physical resources and convergent thinking. We discussed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 KCI등재

        초등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 개발

        성소연(So Yeon Sung),성은현(Eun Hyu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뤄지는 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 창의성 교육을 하는데 필요한 수업 요소들(학생의 특성에 대한 고려, 교사의 전문성, 학생중심교수학습방법, 인적·물적 자원의 활용)과 창의성 교육요소들(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개방성, 도전/호기심)을 문헌분석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한 후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초등학생 226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평가할 수 있는 수업요소 12문항과 창의성교육요소 24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가 입증되었으며 공인타당도도 확보하였다. 이 도구는 수업요소와 창의성교육요소를 구분하여 측정했기 때문에 보다 분석적이고 구체적인 진단을 가능하게 했다는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좋은 수업과 창의성 교육이 긴밀한 연관이 있다는 것과, 창의인성학교가 일반학교보다 창의성 교육과 학생주도적 교수학습을 잘 실천하고 있음을 확인하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student’s assessment of creativity education in an elementary classroom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found four components -consideration of students’ traits, speciality of teachers,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ersonal and physical resources- as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five components(divergent thinking, convergent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openness, curiosity) as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main survey was administrated to 226 students, and we developed 12 items for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24 items for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We confirmed also convergent validity with Beghetto, Kaufman, Baxter’s creative self-efficacy test and Kaufman’s Kaufman-Domains of Creativity Scale: K-DOCS. The distinctive point of this assessment is that we analysed more precisely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found it significant that creativity-personality model school focuses more on the creativity education and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than general school.

      • 과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살펴본 영재교육종합 데이터베이스(GED)의 초등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특징 분석

        윤지현,강훈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80 No.-

        영재교육종합 데이터베이스(GED)에서 제공하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활용도가 높은 경진대회 수상작 프로그램을 과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분석하여 잘 된 점은 참고하고, 부족한 점을 개선한다면 과학영재교육의 수준을 높이고, 내실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GED에서 제공되는 초등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수상작을 과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프로그램 분석을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분석틀에 따라 55개 수상작 프로그램에 포함된 총 840개의 탐구활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개 과학적 창의성 요소 중 ‘과학적 탐구기능’이 활동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과학 지식 내용’과 ‘창의적 사고’도 자주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문제 해결력’과 ‘공통 요소’는 비교적 적게 포함되어 있었다. 통합의 측면에서는 5가지 유형을 가진 2가지 구성 요소 간 통합과 8가지 유형을 가진 3가지 구성 요소 간 통합이 자주 발견되었다. 앞의 통합 유형보다 적지만 통합이 없는 유형도 자주 나타났다. 4가지 구성 요소 간 통합이나 5가지 구성 요소 간 통합은 적게 발견되었다. 각 요소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과학 지식 내용’, ‘과학적 탐구기능’, ‘창의적 사고’ 등이 다른 요소들과 함께 통합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공통 요인’ 또는 ‘문제 해결력’이 다른 요소와 통합되는 경우는 적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 과학적 창의성의 관점에서 GED를 통해 제공되는 초등과학영재 프로그램 수상작의 실태와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향후 과학 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향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과학적 창의성의 관점에서 개발한 분석 기준과 사례는 추후 과학 영재 프로그램 분석 연구에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동의 창의성 요소 분석

        이미란,천희영,송영주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동에서 창의성 요소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창의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지도서의 1883개 활동을 대상으로 하여 지도서의 연령,생활주제, 활동유형, 누리과정의 영역에 따른 창의성 요소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지도서 활동 중 창의성 관련 활동은 89%이었으며 3세, 4세, 5세 지도서 순으로 창의성 활동 비율이높았다. 둘째, 지도서 활동은 인지적, 성향적, 동기적 창의성 요소의 순으로 많이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창의성 요소는 생활주제 ‘생활도구’에서 가장 많이, ‘세계 여러 나라’에서 가장 적게 포함되었다. 넷째, 창의성 요소는 자유선택활동 보다 대·소집단활동으로 더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다섯째, 누리과정 영역 중 자연탐구, 사회관계, 의사소통, 예술경험, 신체운동·건강의 순으로 창의성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한 효율적 창의성 교육의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