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금융IT프로젝트의 성공에 미치는 인지된 요인에 관한 연구

        양재춘,오재인 한국경영학회 2014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8

        사람과 사물, 자연, 그리고 사이버 세계가 네트워크로 항상 연결되어 있는 "초연결사회(Hyper-Connected Society)"(Dutta and Bilbao-Benat, 2012)의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시대 흐름에서(WEF, 2012) 살아 남기 위하여 기업들이 IT정보시스템을 경영 핵심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흐름에 가장 민감한 금융회사는 무한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는데, 이를 담당하는 IT정보시스템의 중요성과 요구사항이 끊임없이 증가됨과 동시에, 동 시스템을 개발, 구현하는 금융 IT프로젝트의 성공이 금융회사의 경쟁력과 생존을 좌우하는 핵심과제가 되었다. 그러나 금융 IT프로젝트의 성공율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실정이다. 예컨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의 SW공학센터에서 발간한 "2013년 SW공학백서"에 따르면 국내 IT프로젝트의 성공율은 63%로 미국의 76%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IT프로젝트의 성공율은 금융회사(은행, 카드, 증권 분야)에서도 유사한 것으로 보고 있다(NIPA, 2014, 디지털데일리, 2014). 특히 국가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금융회사 IT프로젝트의 실패는 매우 심각하므로, 동 프로젝트의 실패를 줄이기 위하여 금융당국 지도하에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다(디지털데일리, 2014). 이와 같이 금융 IT프로젝트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국내/외 연구가 그리 많지 않고, 선행 연구가 "외주업체"중심으로 이루어져 "현업, IT조직, 외주업체"가 동시에 참여하여 개발하고 있는 금융 IT프로젝트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금융 IT프로젝트의 성공에 미치는 인지된 요인들을 발굴하고, 프로젝트 참여 주체별로 요인들의 영향과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증 분석을 위하여 피설문자에게 최근 3년간(2011년부터 2014년)에 직접 수행한 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프로젝트에 대해서만 응답하도록 요청하였다. 또한 설문지는 은행, 카드, 증권 등 3개 금융분야, 19개 기관(회사)의 참여 주체들을 대상으로 560부, 즉 560개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계도구(SPSS, AMOS, PLS)로 실증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에 의거 도출한 연구모형으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현업 참여, 발주 경영진지원, 계약 적합성, PM리더십, 의사소통관리, 외주업체역량, 프로젝트 환경변화"7개의 독립변수와 매개변수로"프로젝트 관리", 종속변수로"프로젝트 성공"과 같이 연구모형을 수정하였다. 수정된 연구모형에 의거 전체와 참여 주체별, 즉 "현업, IT조직, 외주업체" 표본집단별로 금융 IT프로젝트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현업"에서는 "계약 적합성, 발주 경영진지원, PM리더십"요인들이, "IT조직"에서는 "계약 적합성, 발주 경영진지원, PM리더십, 현업 참여, 외주업체역량"요인들이"금융 IT프로젝트 관리와 성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외주업체"에서는 "현업과 IT조직"에서 지원하는 발주자의 요인들, 즉 "현업 참여, 발주 경영진지원"요인들만 "금융 IT프로젝트 관리와 성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모든 요인들은"전체"표본집단과 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선행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선행 연구는 주로 "외주업체"를 위주로 표본을 구성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다음은 각 참여 주체별로 IT프로젝트에 참여한 표본집단의 금융 IT프로젝트 성공에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의 차이와 강도를 알아보는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와 현업"사이에는 "계약 적합성, PM리더십, 의사소통관리, 외주업체역량, 프로젝트 환경변화, 프로젝트 관리" 등 6개 요인들이, "전체와 IT조직"사이에는 "PM리더십, 의사소통관리, 외주업체역량, 프로젝트 환경변화, 프로젝트 관리" 등 5개 요인들이, "전체와 외주업체"사이에는 "PM리더십, 의사소통관리, 외주업체역량" 등 3개 요인들이 "금융 IT프로젝트 관리와 성공"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와 강도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와 IT관련자(IT조직과 외주업체)" 표본집단에서는 "금융 IT프로젝트 관리와 성공"에 모든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과 강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행, 카드, 증권 등 금융분야별로 IT프로젝트에 참여한 표본집단의 금융 IT프로젝트 성공에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의 차이와 강도를 알아보는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와 은행"프로젝트 참여자 표본집단 사이에는"외주업체역량, 프로젝트 관리"요인들이, "전체와 카드"프로젝트 참여자 표본집단 사이에는"외주업체역량, 프로젝트 관리, 의사소통관리, 프로젝트 환경변화"요인들이, "전체와 증권"프로젝트 참여자 표본집단 사이에는 대부분 요인들이"금융 IT프로젝트 관리와 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강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외주업체 표본 위주의 선행 연구와는 달리, 통계적인 실증 분석을 통하여 금융 IT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주체별로 프로젝트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된 요인들이 완전히 다르고, "프로젝트 관리와 성공"에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의 차이와 강도가 크게 다르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기여도는 관련 분야의 연구에 이바지하고, 금융관련 IT프로젝트 수행시에 참여 주체별 프로젝트 성공에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 여부, 영향의 차이와 강도를 반영하면 프로젝트 성공율과 프로젝트 만족도도 크게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 KCI등재

        극진공수도 비참여자의 참여제약, 극복요인, 참여의도와의 관계

        박홍 ( Hong Park ),전찬수 ( Chan Soo Jun ),김나래 ( Na Rae Kim ),신승호 ( Seung Ho Shin ) 대한무도학회 2015 대한무도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는 국내 무도 중에서 인지도가 다른 종목에 비해 낮은 극진공수도의 시장확대 및 활성화차원에서 연구하였다. 극진공수도 수련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요인들이 참여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또한, 참여제약과 극복요인이 참여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극진공수도 수련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참여제약요인을 보완 및 최소화하여 극복요인을 통해 참여의 가능성을 높여 극진공수도 시장의 확대를 이루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지역에 거주하는 극진공수도를 인지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극진공수도 비참여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400부를 배포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가 떨어지는 19부를 제외한 381부(95%)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극진공수도 비참여자들의 참여제약 요인 중 내재적 제약요인과 흥미성 제약요인이 참여열망, 에너지충전, 동반자탐색 그리고 자신감욕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극진공수도 비참여자들의 참여제약 요인 중 흥미성, 내재적 제약요인은 참여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극진공수도 비참여자들은 참여열망, 에너지충전, 자신감 그리고 동반자탐색에 관한 극복요인이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se and invigorate Kyokushin Karate market in Korea which has seriously low rate among people who practice martial arts by researching what factors effect as participation constraints factors to participation of Kyokushin Karate, minimize those factors and find out what can be done to effect participation intention, encourage participation to Kyokushin Karate. For this, convenience sampling method has been done to both men and women who are over 20s recruited as research group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As the result which enforced th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Windows SPSS 18.0, it in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From participation constraint factors among non-participants gave negative effect to desire of participation, charging of energy, searching companion and confidence. As constraints of interest goes higher negative effect to desire of awareness change get stronger. But if there are less structural constraints, positive effects can be made to participation to Kyokushin Karate and desire of awareness change. Second, among participation constraint factors from non-participants, especially interest constraints and intrapersonal constraints gave negative effect to participation intention. Third, non-participants to Kyokushin Karate got positive effect through negotiation factors about participation desire, charging of energy, confidence and searching companion.

      • KCI등재후보

        지방정부의 온라인 주민참여수준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백조연,홍형득 대한지방자치학회 2009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1 No.1

        온라인 주민참여에 대한 시각은 직접민주주의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는 긍정적인 입장과 기존의 사회에 내포된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켜 민주주의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거라는 비판적 견해가 있다. 그러나 전자정부를 통한 주민참여는 주민의 직접 참여가능성을 높이고, 기존의 시민참여제도들이 가진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온라인 주민참여가 적극적으로 활성화되기보다는 소극적이고 부분적인 차원에 머무르고 있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강원도지역을 대상으로 온라인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각 요인별 영향력 분석과 효율적인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행정적 요인, 조직적 요인, 정보시스템 서비스 요인, 개인적 요인)과 주민참여 수준에 대한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강원도의 온라인 참여는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온라인 주민참여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적인 요인은 주민참여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정보시스템요인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고, 그 다음으로 조직적인 요인과 행정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OECD(2003)가 제안한 디지털 격차 해소, 적극적 시민정신 배양, 시민들의 기여에 대한 피드백, 참여과정에 대한 평가, 참여과정에 대한 정부의 의지표명 등과 함께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정책과정에 참여, 주민참여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 및 태도 개선, 행정(정책)관련 정보 모두 제공, 주민과 공무원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주민의 적극적 정책형성 활동을 유도 등의 제안이 이루어졌다.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measure the level of on-line public participation in local government and find out influencing factors on the participation. This paper assesses how well participated are citizen to take full advantage of e-government and e-participation services. Main research factors are Influencing factors(Administration factor, organization factor, information system factor, Individual factor) on e-particip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xtents of the e-participation as dependent variable. They are measured by survey questionnaire. The extent of e-participation aims at measuring the extent of e participation, which is defined to be a “participatory, inclusive, deliberative process of public decision making” supported by ICT.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more e-participation is information system factor. On-line public participation has enhanced democracy in Kangwon province. Such public participation through e-government has increases chances of direct public participation, and overcomes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s well as time and space limits often shown in traditional forms of public participation.

      • KCI등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 건강상태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

        조예지,유두한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2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인의 포괄적인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개인의 건강상태 요인에 따라 지역사회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 였다. 설문은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장애평가조사표를 사용하여 건강상태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조사하였고, 한국판 지역사회 참여 지표를 사용하여 지역사회 참여도를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역사회 참여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건강상태 요 인과 지역사회 참여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건강상태 요인이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역사회 참여는 경제수준이 높고, 유병기간이 1~5년과 10년 이상인 경우, 이 동 보조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대상자에게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상태와 지역사회 참여와의 상관 성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환경적 요인이 지역사회 참여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28%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지역사회 장애인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장애인 건강상태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 적 요인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환경적 요인이 주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뇌졸중 환자들의 사 회참여를 높이기 위해 장애인의 환경적 요인들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과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rehensive health statu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ffect of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 health status on community participation. Methods: Data from 102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d stroke and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to investigate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health status, and the Korean version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dicators were used to investigate level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order to compare community participa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in addition, this study us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status factor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For the effect of health status factors on community particip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Results: In terms of community participa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 was identified in study participants with high income, duration of disease of 1-5 years and more than 10 years, and without mobility equipment. For correl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significant correlation was identified. Hierarchal regression showed environmental factors as the variable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ty participation with 28%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both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health status all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were analyzed as the major variable. In order to increase community participation of stroke patients, development of programs considering environmental facto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 KCI등재

        지역사회 평생학습동아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효영 한국성인교육학회 201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2 No.1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circles. As the influencing factors, person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social factor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learner competence factors were set and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basic data and implications that can activate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y lifelong learning circles. For this purpose, 1,302 adult learners of 61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Learner participation group is higher than non - participation group in terms of learner type, duration of lifelong learning,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cademic and social interaction with instructor and learner, community participation and learner competence. First, the personal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the first lifelong learning circle are the type of adult learners and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Second, the environmental factors are the existence of lifelong learning cities, the characteristics of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number of teachers and lecturers, and the number of classrooms. Third, social factors are social relations among learner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learner competence. Community involvement and learner competency factors are community involvement, self - directed learning, problem - solving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 proposed a plan to exp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circles. In other words, it is the continu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and improvement of learning environment, development of self-resilience and capacity of community residents, and practice of result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circle. These include ways to positively impact the lifelong learning of the community and the lives of learn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and activation of lifelong learning circles in the community. 본 연구는 평생학습 동아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영향요인으로서 개인요인, 환경요인, 사회적요인, 지역사회참여와 학습자 역량 요인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 목적은 지역사회 평생학습동아리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61개의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 1,302명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logistic regression)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 유형, 평생학습 참여기간, 평생교육 정책 인지 정도, 평생교육기관 경영특성, 교수자 및 학습자와의 학문적․사회적 상호작용, 지역사회참여와 학습자 역량 면에서 평생학습동아리 참여 집단이 미참여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요인별로 정리하면, 첫째 평생학습동아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은 성인학습자의 유형, 평생학습 참여기간이다. 둘째 환경 요인은 평생학습도시 여부, 평생교육기관 경영특성, 교육기관 교․강사 수, 강의실 수이다. 셋째 사회적 요인은 학습자 간 사회적 관계, 지역사회참여와 학습자 역량이다. 지역사회참여와 학습자 역량 요인은 지역사회 친목조직 참여,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동아리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즉 학습 참여 지속과 학습 환경의 제고, 지역사회 주민의 자생력 및 역량 개발, 학습동아리 참여의 결과의 실천 등으로서 지역사회 평생학습과 학습자 개인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안 등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평생학습동아리 참여 및 활성화뿐만 아니라 평생학습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

        박자경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연구개발 Vol.- No.13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여성장애인은 장애와 성별로 인한 이중 장벽으로 사회적 불이익을 겪는 대표적인 집단이다. 여성장애인이 경험하는 문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등 삶의 전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고용영역에서는 여성장애인의 문제가 보다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낮은 경제활동참가율, 높은 실업률은 여성장애인의 고용문제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이다. 특히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전체 여성이나 남성장애인에 비해 저조한 것은 장애나 성별로 인한 한계로 여성장애인들이 경제활동에 참여할 여건이 충분히 조성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노동시장 내 여성장애인의 배제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실태나 현황을 제시하는데 그치고 있어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경제활동과 관련된 여성장애인의 애로사항과 직업욕구를 조사하여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II. 연구과제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둘째, 여성장애인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직업욕구는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셋째,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요인과 직업욕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III. 연구방법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첫째,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요인을 분석하고 둘째, 여성장애인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면서 경험하는 애로사항과 직업욕구를 분석하였다.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요인 분석은「2005년도 장애인 실태조사」원자료를 활용하여 인구학적 요인, 인적자본요인, 가구요인, 장애요인, 차별요인 중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경제활동 참여요인 분석을 위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성장애인 욕구 분석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여성장애인 505명을 대상으로 경제활동 참여 시의 애로사항과 직업욕구를 분석하였다. 욕구분석을 위해서는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IV. 분석 결과 및 논의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요인 분석 결과, 연령, 6세 미만 자녀 유무, 직업훈련, 가구주 여부, 가구소득,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가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0대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이 가장 높고 그 외 연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0대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세 미만 어린 자녀가 있는 여성장애인은 6세 미만 자녀가 없는 여성에 비해 경제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직업훈련을 받은 경험이 있는 여성장애인, 가구요인에서는 여성가구주, 자신을 제외한 타가구원 소득이 낮은 여성장애인의 경우 경제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장애요인에서는 정신적 장애인, 중증장애인들이 신체장애인이나 경증장애인보다 경제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성장애인 욕구 분석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여성장애인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여성에게 적합한 일자리 부족,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가장 크게 지적되었다. 그 외 남성에게 우선권이 부여되는 문제, 임금 격차, 여성근로자 지원제도의 부족 역시 중요한 어려움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학 전 자녀가 있는 여성의 경우 육아 지원등 여성근로자 지원제도가 부족한데 대해 어려움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우선과제에서는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 임금 등 근로조건의 개선, 직업훈련의 확대 및 강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여성장애인들의 취업 준비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절반 이상의 여성장애인들이 취업을 위해 별도의 준비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많은 여성장애인들이 어떻게 취업 준비를 할지 몰라서, 적절한 프로그램이나 교육기관을 찾지 못해서, 취업 준비를 할 용기나 엄두가 나지 않아 취업 준비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성장애인의 희망 직종은 여성장애인 특성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많은 여성장애인들이 제조관련 단순노무직, 서비스관련 단순노무직과 같이 저숙련, 저임금 일자리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많은 여성장애인들이 현재의 취업 여건을 고려하여 취업 직종을 선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있는 여성장애인은 6세 미만 자녀가 없는 여성에 비해 경제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직업훈련을 받은 경험이 있는 여성장애인, 가구요인에서는 여성가구주, 자신을 제외한 타가구원 소득이 낮은 여성장 V.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요인과 욕구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여성장애인 생애주기별 지원제도가 강화되어야 한다. 여성장애인에게 연령은 결혼 및 출산과 같은 생애주기별 주요 사건과 밀접히 관련되며 노동시장에서 요구하는 인적자본으로서의 경쟁력과도 관련되기 때문에 경제활동 참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생애주기별 특성이 반영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취학 전 자녀가 있는 여성장애인의 육아 부담을 경감시킬수 있는 지원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탄력적인 근무시간제도의 운영, 재택근무의 활성화, 시간제 근무의 다양화 등 근로형태가 다양한 일자리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직장보육시설의 설치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많은 여성장애인이 직장보육 서비스를 실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현행 직장보육서비스 제공 사업장의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할것이다. 또한 육아 및 가사 부담이 경감되어 노동시장에 재진입하고자 하는 여성장애인들의 경우 경력단절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보다 초점이 두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정규교육 후 노동시장 진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20대 여성장애인의 경우에는 직업훈련을 강화하는 등 장기적인 투자를 통해 보다 좋은 일자리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보다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여성장애인을 위한 취업지원서비스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관련 기관 간 연계를 통하여 여성장애인들이 자신의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공단 지사, 여성장애인단체 등을 중심으로 여성장애인 고용협의체를 구성하고 서비스 연계절차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여성장애인에 대한 실효성 있는 차별 금지 조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장애인이 경험하는 차별 문제는 2007년 제정된「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을 통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효성 있는 제도의 운영을 위해서는 차별입증 책임 조항, 차별행위에 대한 제재 조치의 강화 등 지속적인 법률 개정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VI. 연구의 의의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전체 여성이나 남성장애인에 비해 특히 낮은 것은 본 연구에서 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과 관련된 연구들은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실태 및 현황을 단순히 제시하는데 그치고 있어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논의를 전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요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여성장애인 욕구를 조사하여 여성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연령별 특성, 취학 전 자녀 양육 문제 등 지금까지 경험적으로 논의되던 여성장애인의 특성이 구체적으로 논의되었으며, 이는 향후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제도를 마련하는데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 특성 및 관련 요인 분석

        최운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6 평생학습사회 Vol.2 No.1

        이 연구는 성인학습자 하위 집단별로 차이 있는 평생교육 참여 특성을 분석하고 관련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근거로 평생교육 참여 촉진을 위한 기회 확대 및 참여 기반 조성의 정책적 시사점들을 도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 참여 이론과 관련 요인들을 분석하고 참여 특성 관련 선행연구들을 이론적으로 메타분석하였으며, 참여특성 및 관련 요인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를 개발하여 실증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성인학습자의 평생 교육 참여의 전반적 특성 과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양적 분석 결과를 근거로 참여 촉진 및 활성화와 참여 저변확대를 위한 유의한 시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과 광역시, 그리고 중소도시 등의 도시규모와, 서울, 충청, 영남, 호남 등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는 목적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 에 의하여 지역을 선정한 후 총 표본 수 3,0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화번호부를 표본추출틀(sampling frame)로 하는 무작위추출법(random sampling)이 사용되었다. 조사 대상의 인적특성은 거주 지역 외에 성별, 연령대, 최종학력, 직업유무, 그리고 가구별 소득 등의 다섯 가지를 고려하였다. 조사결과 평생교육참여 경험은 27%, 참여만족도는 93.7% 향후 참여의향은 77.9%로 나타나 평생교육에 대한 수요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참여목적은 개인적 관심과 직업경력 개발, 참여 저해요인은 시간부족, 정보부족, 경제적 부담, 거리, 참여결정요인은 교육내용, 시간, 거리, 교육비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참여특성과 관련 요인들은 응답자의 개인배경변인별인 성, 연령(생애주기), 학력, 직업 유무, 소득수준별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클러스터 분석에 있어서도 배경별 하위집단간에 차이있는 참여특성과 관련 요인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평생교육 참여기회 확대와 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평생교육 참여 특성과 참여 관련 요인들이 응답자의 배경변인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바, 평생교육 참여 촉진 전략과 정책 이 남성과 여성집단간, 성인 초기와 중기, 후기집단간, 고학력층과 저학력 층간, 고소득층과 저소득층간에 차이 있는 접근으로 차별화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궁극적으로 평생교육의 만족도를 높이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선호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여건을 조성하고 환경적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se the conditions and nature of adult learners'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in Korean society. The comprehensive data collecting design include perceptions, conditions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nd needs analysis. Furthermore, this study analysed the data set by specified criteria such as life-cycle, gender, level of schooling, level of income, and occupation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mong 5 major cities: Seoul, Gwang-ju, Chun-chon, Chang-won, and Geum-san. Total number of survey samples were 3,050 according to population distributions.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in lifelong education rely more on practical(economic) factors than personal preferences. Also, cost and time were the most important prohibiting factors while public support is considered inadequate.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for the lifelong education are diverse and various by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adult learners such as life-cycle, gender, level of schooling, level of income, and occupations. Information on lifelong education were generally disseminated by word of mouth which suggested the necessity for constructing a systematic information channels and networks regarding lifelong education. In conclusion, efforts to promote and enhance lifelong education in Korea needs to be based on the diversity and specific nature of adult learners' conditions and education needs.

      • 중년기 여성 학습자의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조절효과 요양보호사 학습자 중심으로

        정윤주 ( Joung Yoon Ju ),조희선 ( Cho Heui Seo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중년기 여성의 학습참여 요인은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도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 요인, 삶의 의미, 사회적 지지의 각 변인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는 많이 있으나, 사회적 지지가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학습참여 요인, 삶의 의미, 사회적 지지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학습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밝힌 것은 학습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의 학습참여 요인의 전략을 세우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학습참여 요인, 삶의 의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었다.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서적 지지는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는 높아지는 것이다. 반대로 물질적 지지는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없었다. 이는 중년기 여성에게 평가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를 강화시키는 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사회 제도적 보완 및 대책이 요구된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middle-aged women's learning participation-related factors on the meaning of life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o verify this, this study surveyed 551 middle-aged women aged 45-65 years liv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with the questionnaire including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s, meaning of life, and measures of social support with the use of SPSS 25.0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s of middle-aged female learners positively affected the meaning of life. Learning-oriented factors and goal-oriented factors positively affected the meaning of life, but activity orientation negatively affected the meaning of life, which means that taking pleasure in learning itself and having a clear purpose make the meaning of life more valuable, but the increase in activity orientation - with expansion of human relationships, feelings of alienation, and escape from boring daily - life reduces the value of the meaning of life. Second, it was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and positively affected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s. Information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positively affected the activity-oriented factors.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positively affected learning orientation factors. Informational support positively affected goal orientation. Conversely, it was verified that material support negatively affected goal orientation factors, which means that information provision, interest and love, and a high level of trust increase activity-oriented factors, and affection and trust, providing inform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or high acceptance of oneself increase goal-directing factors, and a high level of advic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raises the level of goal orientation, and an increase in material support such as money, goods, labor assistance, or time decreases goal orienta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meaning of life show that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Emo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positively affected the discovery of meaning in life and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positively affected the meaning-seeking. On the other hand, material support negatively affected the pursuit of meaning, which means that when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increase, the meaning of life increases, but also meaning-seeking decreases when material support such as goods, money, time, and labor aid increases.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s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s and the meaning of life. In other words, it is meaningful that social support increases the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 of middle-aged women, which helps enhance the value of meaning in life, leading to growing understanding of middle-aged female learners.

      • KCI등재

        초등학교 골프선수들의 지속적 참여를 위한 재미요인과 스트레스요인 분석

        백채영,박인규,이광무 한국초등체육학회 2018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골프선수들에게서 보이는 재미요인과 스트레스요인이 지속의도 및 참여권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골프선수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참여권유를 촉진하기 위한 교육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 구에서는 초등학교 골프선수 92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평균타수가 90타 이상인 골프선수들의 지속의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골프선수들의 기록향상 및 자기개발 관련 재 미요인과 신체적 및 심리적 스트레스요인은 지속의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골프 선수들의 기록향상, 자기개발, 사회적인정에 관련한 재미요인과 심리적 및 대인관련 스트레스요인은 참여권유에 높 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골프선수들의 지속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선수들에게 적절한 수행목표 제안과 더불어 루틴 및 지시적 자화를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고, 지속참여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스트레스요인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선수들이 지구력 향상과 충분한 영양섭취를 도모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참여권유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사회적인정 요인의 영향을 감소시키 기 위해서 선수들이 주변 타인의 평가에 너무 신경 쓰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impact of interest and stress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golf players on the constant participation in the golf and recommendation for and suggesting the educational strategies to the golf coaches for sustaining and promoting constant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recommendation of golf players. In this study, the data of 92 elementary school golf players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golf players with an average of more than 90 strokes had relatively low intention to continue, and participation recommendation to male golf players was higher than that to female golf players. Second, interest factors related to record improvement and self-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golf players and stress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element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continuous intention. Third, interest factors related to record improvement, self-development and social recognition, and stress factors related to psychological element and personal relationship in golf player of the elementary school had a strong influence on participation recommendation. As a result, it is important for golf players in elementary school to suggest appropriate performance goals, to guide practicing routines and instructional self-talks, and to instruct strengthening players’s basic and professional physical strength through sufficient rest and fitness training as a countermeasure to stress factors related to physical elements negatively affecting the constant participation. Also, it is desirable to instruct players not to seriously focus on the evaluation of others around them to reduce the influence of social recognition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the participation recommendation.

      • KCI등재

        주민참여예산제도 활성화 방안

        유홍성(Yoo, Hong-Sung),남승균(Nam, Seung-Kyun),신진영(Shin, Chin-Young),임영숙(Lim, Young-Sook)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주민참여예산제도 활성화 방안에 대한 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요인을 관련 공무원과 주민참여예산 위 원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 하고, 또한 인천 남구 주민참여예산제도 운영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주민참여예산에 관한 요인은 ‘주민참여예산제도 기반형성’, ‘주민참여예산제도 성공요인’으로 구분됨을??확인하였고 이들 차원과 주민참여예산제도 시행효과의 인과관계와 각 요인에 대해 관련 공무원과 주민참여예산??위원들 두 집단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주민참여예산제도 기반형성과 주민참여예산제도 성공요인이 주민 참여예산제도 시행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에 대한 관련 공무원과 주민참여예산 위원 들 두 집단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공무원과 주민참여 예산 위원들 각각 회귀분석 비교분석 결과 공무원은 주민참여예산제도 성공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위 원들은 기반형성 구축이 주민참여예산제도 시행효과에 더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주민참 여예산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참여가치에 대한 공감대, 지역사회나 관련조직의 의견수렴, 교류를 위한 네트워 크 구축 등의 기반형성과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범위를 예산편성에서 예산 전반의 참여권한 확대가 필요하고, 공무 원의 적극적인 지원 활동 등 주민참여예산제도 성공요인 관리가 필요하다. This study derived factors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analyzed the factors??positivel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involved civil servants and participatory budgeting committee??members, and made analysis of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for operation in the Incheon Nam-Gu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actors related to participating budgeting were largely divided into??‘footing of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and ‘success factors of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In the??results of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dimensions and the effect of citizen participatory??budgeting system and seeing if there was any difference in each factor between involved civil servants and??participatory budgeting committee members, footing of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and the success factors??of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ffect of citizen participatory??budgeting sysytem. In addi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each factor between??involved civil servants and participatory budgeting committee members. In additional comparative regression??analysis between civil servants and participatory budgeting committee members, civil servants attached more??importance to the success factors of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but committee members considered the??footing of the system more important for the effect of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What are required for the??activation of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are consensus on the value of participation, opinion??collection from communit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construction of networks for exchange, and the??extension of the scope of participatory budgeting from budgeting to the whole range of budget?related areas.??What is more, the success factors of participatory budgeting including civil servants’ active support need to be??managed prop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