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입금 의존도와 영업활동 현금흐름 중심의 건설폐기물 기업의 이익조정 연구

        김대봉(Kim Dae-bong),이효익(Lee Hyo-ik) 한국국제회계학회 2015 국제회계연구 Vol.0 No.64

        본 연구는 건설폐기물 기업의 차입금 의존도와 영업활동 현금흐름 등 재무비율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기간은 2008년부터 2013년까지이며 DART system에 감사보고서가 공시된 12월 결산법인인 건설폐기물 기업 중에서 연구를 위한 조건에 적합한 138개 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이익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변수를 통제변수로 추가한 이후 재량적 발생액과 실물이익조정에 대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가설의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건설폐기물 기업의 차입금 의존도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재량적 발생액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차입금 의존도가 높을수록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의 상향조정 형태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설폐기물 기업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수준 .1%에서 재량적 발생액에 대해, 유의수준 5%에서 실물이익조정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창출능력이 약한 기업일수록 재량적 발생액과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의 상 향조정 형태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차입금 의존도가 영업활동 현금흐름과 이익조정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재량적 발생액과 실물이익조정 모두에 대해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은 차입금 의존도에 따라 차별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건설폐기물 기업의 차입금 의존도와 영업활동 현금흐름 등 재무비율 특성에 따라 이익의 상향조정의 유인이 다르다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건설폐기물 기업의 회계정보에 관심을 갖는 이들을 위하여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financial ratio such as the leverage level and the cash flow from operating activities of the construction waste disposal industry influence adjusting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The final sample of 138 companies from all the balancing accounts corporate in December which announced their audit report in DART system from 2008 to 2013 were selected for an analysis and added control variables which are known to influence earning management behavior. The research results of each hypothesis are shown below. First, the managers of companies having higher leverage level report increased profits through adjusting discretionary accruals and the resul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5% level. Second, the managers of companies having weaker abilities of operating cash flow report increased profits through adjusting both discretionary accruals and real activities earings management and the resul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1% and 5% levels. Third, the moderation effect of leverage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sh flow from operating activities and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5% level. Third, the moderation effect of leverage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sh flow from operating activities and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5% level.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onfirm that the inducements of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inancial ratio of construction waste disposal companies including the leverage level and cash flow from operating activities, which suggest important implications for people who have interests in accounts information of construction waste disposal industry.

      • KCI등재

        성장기회와 차입금만기 선택에 관한 부채만기 이론의 실증연구

        주병철 한국경영교육학회 2023 경영교육연구 Vol.38 No.6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부채만기 이론의 관점에서 성장기회와 차입금만기의 관계를 실증분석하고 장단기 성장기회가 차입금만기 결정 그리고 차입금만기구조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연구대상기간은 2010년부터 2021년도까지이며 코스닥 시장에 등록된 벤처기업(289개)과 비벤처기업(450개)를 포함한 739개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OLS모형과 고정효과모형 그리고 확률효과모형을 모두 분석하였으며, 하우스만 검정(Hausman test)에서 채택된 고정효과모형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총차입금의존도는 단기성장기회의 영향을 받으며 벤처기업과 비벤처기업 간에 차이가 존재한다. 하지만 저성장그룹에서 강한 양(+)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기업규모, 수익성, 자금부족, 유동성, 자산만기의 기업특성이 차입금만기구조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반면, 장기차입금의존도는 벤처기업의 장기성장기회와 음(-)의 관계가 있고 저성장 비벤처기업에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단기차입금의존도는 벤처기업과 비벤처기업의 저성장그룹에서 단기성장기회와 긍정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코스닥 기업의 성장기회와 부채만기 간의 관계를 성장기회의 수준과 장단기 차입금으로 세분화하여 규명함으로써 이론적 검증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벤처기업과 비벤처기업 그리고 고성장기업과 저성장기업의 부채만기 선택에 대한 의사결정에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hort- and long-term growth opportunities on debt maturity decisions and debt maturity structure. [Methodology]The study period is from 2010 to 2021, and 739 venture (289) and non-venture (450) companies registered on the KOSDAQ market were selected. In the empirical analysis, the OLS model, fixed effect model, and random effect model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fixed effect model were adopted. [Findings]Reliance on borrowings confirmed a strong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short-term growth opportunities and the low-growth group, and corporate characteristics of company size, profitability, lack of funds, liquidity, and asset maturit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bt maturity structure. On the other hand, long-term borrowing dependenc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relationship with long-term growth opportunities of venture companies an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low-growth non-venture companies. In addition, dependence on short-term borrowings confirm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hort-term growth opportunities in the low-growth group of venture and non-venture companies. [Implications]This study deepened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opportunities and debt maturity, especially the debt maturity stru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high risk and dynamic growth companie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금융기관의 위기대응력에 대한 연구

        김동옥,양철원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6

        This paper analyzes whether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raised the confrontational ability to crisis or maintained their risk culture (or business model) after experiencing crisis. We investigate which is the more relevant for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between risk culture hypothesis versus learning hypothesis. Analyses in this paper are related to those presented in Fahlenbrach et al. (Fahlenbrach, Prilmeier, and Stulz, 2012, hereafter FPS). We set the 1997 crisis as a preceding crisis and the 2008 crisis as a posterior crisis. Firstly, 2008 crisis return (holding period return of financial institutions’ common stock)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1997 crisis return. This negative association is outstanding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excluding 6 firms in the category of ‘other financial industry’ which is far from the nature of financial business. This is the evidence supporting the learning hypothesis.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had not maintained their unique risk culture or business model. Secondly, we examine the financial ratios to check how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changed. Generally activity, profitability, and stability were improved. The results show that financial institutions with decreased borrowing to asset ratio had improved return performance during the 2008 crisis. We also find the decreasing pattern of this ratio just before the 2008 crisis for financial institutions who worse performed in 1997 and the increasing pattern for those who better performed during the preceding crisis. This finding leads us to conclude that relatively bad performers during the preceding crisis, through learning effect, tried to decrease borrowing to asset ratio to raise the confrontational ability to crisis. The results in this paper indicate that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learned from the preceding crisis (1997 crisis) experience and then tried to minimize the effects from coming negative shocks (2008 crisis). The learning hypothesis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risk culture hypothesis for Korean case. We guess the reasons of the different result from that of FPS which supports risk culture hypothesis are as follows: (1) weak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risk culture from short history compared to that of US financial institutions; (2) different strength of financial regulation: strong financial regulation in Korea after the preceding crisis but financial deregulation in US; and (3) different strength of the crises: relatively weak shock after greater shock in Korea but greater shock after relatively weak shock in US. Ignorance of effective controlling for survivorship bias, even though it seems not to be serious, i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remains as a future assignment. We expect that practical guidelines for build-up of confrontational ability to crisis are provided by the more detailed research on learning contents of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from the crisis experience. 본 연구는 한국 금융기관들이 위기경험 후 학습을 통하여 위기대응력을 제고시켰는지 또는 위기 경험에도 불구하고 위험문화(또는 사업모델)를 유지하였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997년과 2008년의 금융 위기를 각각 선행위기와 후행위기로 하여 Fahlenbrach et al.(2012)이 제시한 학습효과가설(learning hypothesis)과 위험문화가설(risk culture hypothesis)을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첫째, 후행위기인 2008년 금융위기 기간의 금융기관 주식수익률을 선행위기인 1997년 금융위기의 주식수익률로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2008년 위기기간 금융기관 주식수익률은 1997년 위기기간 금융기관 주식수익률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한국 금융기관들이 자신만의 독특한 위험문화를 유지하기 보다는 차기 금융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학습하였음을 의미한다. 둘째, 개별 재무비율 변화가 수익률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재무비율 변화(2008~1997)를 설명변수로 위기수익률 차이(2008~1997)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한 결과, 차입금의존도가 하락한 금융기관들의 실적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행위기 시에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양호했던 금융기관들의 차입금의존도는 후행위기 직전 상승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선행위기 시에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저조했던 금융기관들의 차입금의존도는 하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선행위기 시 실적이 저조했던 금융기관들이, 학습효과로 인하여, 위기대응 목적으로 차입금의존도 하락을 위해 노력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건설업의 시공능력평가 변경과 이익조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강문기,김문태 한국국제회계학회 2023 국제회계연구 Vol.- No.108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inancial ratio on the earnings management of the Evalu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Capacity(hereafter, ESCS) such as current ratio(hereafter, CR), borrowing dependency ratio(hereafter, BR), and interest coverage ratio (hereafter, ICR) before and after 2015 when the ESCS were changed. [Methodology]The sampl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construction companies listed continuously from 2011 to 2019. The full 200 sample companies were selected and verified by dividing them into 2011 to 2014 ‘BEFORE’ the ESCS was changed and 2016 to 2019 ‘AFTER’ the ESCS. As a proxy variable for earnings management, discretionary accruals(hereafter, DA) estimated by the modified Jones model (Dechow et al., 1995) was used. [Findings]First, before 2014, when the CR was reflected in the ESCS, the C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explanatory relationship with DA, but no significant explanatory relationship was observed after 2016 when the CR was excluded from the ESC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B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A until 2014, but i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after 2016 when BR was reflected in the ESCS. Third, the IC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explanatory power on DA in general, but the explanatory power on DA was stronger after 2016 when the ESCS was changed. [Implications]This study is meaningful as an initial study that earnings management can appear differently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time when the financial ratio of the ESCS is changed. [연구목적]본 연구는 2015년을 전후하여 유동비율, 차입금의존도, 이자보상비율 등 시공능력평가의 경영평점에 변경이 있는 재무비율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연구대상 표본은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연속상장된 건설기업에 한정하여 표본기업 200개사를 선정하고, 시공능력평가의 경영평점이 변경되기 이전인 2011년부터 2014년과 시공능력평가의 경영평점이 변경된 이후인 2016년부터 2019년을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이익조정 대용변수는 수정 Jones 모형(Dechow et al., 1995)으로 추정한 재량적발생액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첫째, 시공능력평가에 유동비율이 반영된 2014년 이전에는 유동비율이 재량적발생액에 유의한 양(+)의 설명관계로 나타났지만, 유동비율이 시공능력평가에서 제외된 2016년 이후에는 유의한 설명관계가 관측되지 않았다. 둘째, 2014년까지는 차입금의존도가 재량적발생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차입금의존도가 시공능력평가에 반영된 2016년 이후에는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자보상비율은 전반적으로 재량적발생액에 유의한 양(+)의 설명력을 보였지만, 시공능력평가가 변경된 2016년 이후에 재량적발생액에 미치는 설명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회계학적 관점에서 시공능력평가의 재무비율이 변경된 시기에 따라 해당 요건에 부합하기 위하여 이익조정이 달리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검증한 시초의 연구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보수주의 측정과 관련한 대안적 모형에 대한 연구 : 보수주의와 기업의 차입금의존도를 중심으로

        전홍준(Hongjoon Jun)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13 경영과 사례연구 Vol.36 No.1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보수주의 측정치들은 각각 측정오차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복잡하여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렇게 복잡하고, 오류가능성이 존재하는 보수주의 측정치의 대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대안적인 보수주의 측정치는 기업 경영자의 보수적인 비용 추정에 근거하여 고안되었으며, 구체적으로는 한 기업 경영자의 보수적인 비용 추정치가 동종 산업의 평균을 초과하는 경우 보수주의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새로운 측정방법의 적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기존의 보수주의 측정치와 새로운 측정치는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새로운 보수주의 측정치의 등장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Accounting conservatism measures can be looked up from previous literature. Some measures seem to be complex, but others seem not to be fitted precise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lternative conservatism measure that is simple and easily understandable. The effectiveness of new measure is tested by comparing hypothesis test result of existing measures with that of new measure. New measure is designed by the conservatism of management s accounting estimation. When management s cost estimation of a firm is larger than that of similar group of industry, it is considered that accounting conservatism exists. The empirical test result of this paper shows that existing conservatism measures would not be different from new conservatism measu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new measure is useful for measurement of accounting conservatism.

      • KCI등재

        한국 기업의 위기대응력에 관한 연구: 비금융기업을 중심으로

        양철원,김동옥 한국기업경영학회 2016 기업경영연구 Vol.23 No.5

        Are some firms have something unique to make them prone to perform poorly during cri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the above question. In this paper, we show that a firm's stock return during the preceding crisis (stock return during the 1997 crisis, 1997 crisis return) has predictive power to the posterior crisis return (stock return during the 2008 crisis, 2008 crisis return). Analyses in this paper are related to those presented in the previous literatures (Fahlenbrach et al., 2012; Kim & Yang, 2013; and Kim, 2014). This paper analyzes whether Korean non-financial firms raised the confrontational ability or didn't change risk culture (or business model) after crisis experience. To this end, we test the two hypothese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explanatory variable is 1997 crisis return,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2008 crisis return. Risk culture hypothesis refers to the situation that firms with poor performance during the preceding crisis would also perform poorly during the posterior crisis. Difficulty to change risk culture or business model that make firms sensitive to crises is the basis of an argument to this hypothesis. Learning hypothesis refers to the situation that firms with low stock return in 1997 would perform well in 2008 through crisis learning. Firms could change its risk culture or business model after crisis experience to raise the confrontational ability to the crisis. Our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2008 crisis retur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1997 crisis return. This positive association is outstanding among firms which performed poorly during the 2008 crisis. This result lead us to conclude that the risk culture hypothesis is more appropriate for Korean non-financial firms than the learning hypothesis. Second, the above mentioned predictive power is weakened among firms with major shareholder. Major shareholder refers to the shareholder with ratio of share more than 2% in 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and 4% in 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or market capitalization more than 5 billion Korean won in KOSPI and 4 billion Korean won in KOSDAQ according to the Korean tax law. Corporate age – relating to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learning, organizational life cycle, and organizational inertia - is regarded to favor the risk culture hypothesis. But we can'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rporate age. Third, we examine the effects of firm characteristics and foreign investors' trading trend on the predictability of poor performers during the crisis period by probit analysis. Firms with higher borrowing to asset ratio and low turnover ratio of total liability and net worth had poor performance during the both crise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literatures which insist funding fragility is the main weakness during the crisis period. Kim and Yang (2013) found borrowing to asset ratio is the key factor that makes crisis return of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low. High net sales growth rate had negative effect to the crisis return only in 1997. And firms with low foreign investors' net purchase ratio had poor performance during the 1997 crisis. This result is in line with the arguments that capital decontrol may be the cause of financial crisis. Forth, these results are robust to the change of the calculation method and period of the crisis return.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efficient of regression as ever from the robustness check with two newly calculated main explanatory variables. Overall, th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risk culture hypothesis. It means that some firms has vulnerability to the crisis. And this fragility would come from the difficulty in the change of the risk culture or the business model of them. Previous study with the sample of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is in favor with the learning hypothesis (Kim & Yang, 2013; and Kim, 2... 본 연구는 금융위기 기간의 주식수익률을 이용하여 한국 기업들이 위기경험으로부터 학습효과를 얻어 위기대응력을 제고하였는지, 아니면 위기경험에도 불구하고 위험문화나 영업방식을 유지하였는지를 검증하였다. 선행위기 기간의 주식수익률은 후행위기 기간의 주식수익률에 대한 예측력을 보유하여 위험문화가설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위기수익률 간의 양의 상관관계는 대주주가 존재하는 기업의 경우 유의하게 약해지고, 업력에따른 차이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기업특성변수를 사용하여 금융위기 기간 저조한 주가수익률을 야기한 요인을살펴본 결과, 수익성(총자산수익률)이 낮고 재무적 불안정성(차입금의존도)이 높은 기업은 지속적으로 저조한위기수익률을 시현하였다. 1997년 금융위기 기간 중 외국인 투자자의 매도거래가 많았던 기업일수록 더욱 심각한 주가하락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자본자유화 이후 외국인 투자자의 거래 행태가 국내 주식시장에 미치는영향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베타, 시장가치 및 장부가대시가비율은 위기기간에는 설명력이 제한되거나 상이한 영향력을 갖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