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문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장혜림,김성천 한국아동권리학회 2009 아동과 권리 Vol.13 No.2

        This study of the issues related to the rights of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used delphi survey,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 group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essential rights of these children, issues that can be resolved and main issues of rights arising from specific developmental stages. According to delphi survey, the most essential rights for currently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in Korea are right to stay in Korea, right to live with their parents, right to receive proper education,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equality, and right to social welfare, in order of decreasing importance. On the other side, the issues which are highly probable to be addressed are right to receive proper education,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live with parents, right to equality, right to social welfare, and right to stay, in order of decreasing probability. It appear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of these issues and the probability of their resolution among the respondents(t=5.8, p<.001). The results from the interviews with expert groups and individual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showed differences for various developmental stages(early childhood, childhood, adolescence). 본 연구는 현 한국의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델파이조사와 전문가 집단심층면접, 미등록 이주아동의 개별 심층면접 등을 활용하여 미등록 이주아동의 중요한 권리영역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사와 면접결과는 다음과 같다. 델파이조사 결과에 의하면 현 한국의 미등록 이주아동에게 중요한 권리는 ‘체류할 수 있는 권리’, ‘부모와 살 권리’, ‘교육받을 권리’, ‘보호받을 권리’, ‘차별받지 않을 권리’, ‘사회복지의 권리’ 등의 순인 반면, 현실적으로 해결가능성이 높은 권리영역은 ‘교육받을 권리’, ‘보호받을 권리’, ‘부모와 살 권리’, ‘차별받지 않을 권리’, ‘사회복지의 권리’, ‘체류할 수 있는 권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별 중요성과 그 해결가능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차이를 알아본 결과 모든 권리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5.8, p<.001). 또한 미등록 이주아동과 전문가 면접결과,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문제는 발달단계별(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LED 마스크 컨셉 정교화 및 브랜딩 방향 연구

        김태원 ( Kim Tae Won ),김현웅 ( Kim Hyun Wo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최근 제품 개발 과정이란 신기술에 관한 새로운 환경과 사용 방법에 대한 예측과 제안이라는 인식이 나타나고 있다. (In, C.,Ho. 2008) 일반적으로 제품의 연구 개발 방향은 기술 주도형 제품 개발의 방향(Technology-Driven Product)과 사용자 주도형 제품 개발(User-Driven Product)의 방향으로 구분한다. 사용자의 요구와 생활 패턴의 변화에 상응하는 피부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하여 실제적인 행위를 주도하는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는 사용자 주도 디자인(User Driven Design)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자 니즈에 상응하는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효율성과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최근 확대되고 있는 뷰티 디바이스 시장과 함께 각광받는 LED 마스크 개발에 앞서 소비자들의 피부관리에 대한 니즈를 발견하고 신상품 LED 마스크의 컨셉 방향에 대한 수용도를 진단하여 제품디자인 및 브랜딩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용자 및 구입 의향자들을 모집하여 집단심층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진행하여 일상에서의 피부관리 행태, 구매 이유 및 미충족 욕구 등을 파악하였고, 컨셉수용도 평가를 진행하여 컨셉 정교화에 반영하려 하였다. 그 결과 첫째로 피부관리 니즈, 컨셉 제품에 대한 구매 의향 및 필요도와 지불 의향 가격이 가장 높은 40~50대 여성층을 메인 타겟으로 설정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부 상태 체크 기능이 소비자들에 선호도가 매우 높은 요소였으며 제품 사용빈도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착용 시 가벼운 활동이 가능하게 하는 웨어러블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제품디자인에 반영되어야 할 요소로 평가되었다. 끝으로 제품, 브랜드의 신뢰성 확보가 향후 LED 마스크가 갖춰야 할 중요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성공적인 LED마스크 개발 방향 설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perception that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is a prediction and suggestion of a new environment and how to use new technologies(In, C., Ho. 2008). In general, the product R&D can be bifurcated into technology-driven products and user-driven products. Developing and applying skin-care technology that responds to user requirements and lifestyle changes requires a user-driven design development that sets the design direction by identifying the needs of actual users. Accordingly, providing values that correspond to the user needs can improve user efficiency and product competitivenes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product design and branding direction by discovering consumer needs regarding skin care and assessing their receptivity toward the concept of an LED mask as a new product prior to development of such masks, which have recently been spotlighted in the expanding beauty device market. To this end, this study identified users’ daily skin care practices, reasons to purchase such products, unfulfilled needs, and so on by gathering previous users and prospective buyers and conducting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m. Furthermore, it assessed the reception of the concept with the aim of reflecting the results in concept sophist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duct should adopt, as its main target, women in their 40s or 50s, who have demonstrated the strongest needs for skin care and the strongest purchase intention, needs, and willingness to pay for the product during the design phase. Second, a skin condition check was the feature highly preferred by consumers, and it is expected to register an increase in product usage. Third, wearability, which would be ensured by the lightness of the product during activities, was perceived as an element that should actively be incorporated into the product design. Finally, brand trust is a crucial element that should be acquired by future LED masks. This study aims to be used to se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ED masks.

      • KCI등재

        고등교육기관 다양성 지표 개발 연구

        김동일(Dongil Kim),안예지(Yeji An),금창민(Changmin Keum),임희진(Heejin Im),곽다은(Daeun Kwa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2

        Diversity is an important value in the knowledge-based and globalized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diversity indicator to contribute to the acceptance and enhancement of 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In this study, a diversity framework and its indicators were develop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garding university and diversity related indicators. The indicator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and three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Throughout this process, the indicator, which consists of 14 evaluation areas and 34 specific indicators, was finalized. Indicators are both descriptive and normative in a way that they objectify and quantify the social phenomenon, and also show changes in them. This diversity indicator will offer an abundancy of valuable information that will be needed to maintain education quality and help set university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a time of change. 본 연구는 21세기 지식기반 글로벌 사회에서 교육의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는 장애, 성, 문화 등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성 지표를 개발하여 기관의 다양성 수용 및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표의 틀과 문항을 구성하였고, 두 차례에 걸친 델파이 설문조사와 3차례에 걸친 집단심층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지표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총 14개의 평가영역과 34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된 다양성 지표가 확정되었다. 지표는 현상을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내는 기술적 성격과 변화를 나타내는 규범적 성격을 모두 갖추고 있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양성 지표가 대학 교육의 질을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대학의 역할이 요구되는 시대적 변화의 흐림 속에 대학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예비창업자 및 스타트업의 정보이용행태 분석

        유수현,박보야나,김완종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예비창업자 및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제도적·정책적 지원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창업준비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창업자 및 스타트업이 보다 체계적이고 견실한 창업 진행 과정을 거치도록 콘텐츠나 서비스 측면에서 지원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정보요구 및 정보이용행태를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정보이용행태 분석은 도서관 정보서비스 기관에서 학술정보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맞추어 해당 정보서비스의 개선을 위해 활용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창업자 및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 정보이용행태를 조사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법인 집단심층면접조사를 예비창업자와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콘텐츠 분석을 통해 이들의 창업 진행 과정, 창업 정보 탐색 현황, 창업 정보원 활용 수준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정보이용행태를 반영하여 창업지원 기관 및 프로그램의 콘텐츠와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Nation-wide support is being strengthened to vitalize pre-entrepreneur and startup initiatives. However, it is found that they have been suffering from the lack of necessary information in preparation for the start-up operation. In order to support more proactive and robust start-up process in aspect of contents or service,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analyze their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alysis is a method for improving information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needs of the information service users in libraries and information service institutes. This study analyz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pre-entrepreneur and startup. Focus-group interview as the representative method of exploring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was conducted. Content analysis was introduced to search the business-establishing process, information-seeking status, and utilization level of startup-related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ir perception. It is expected that contents and services for pre-entrepreneur and startup would be improved by reflecting their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일본대학의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정연희,김세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어 교육 Vol.17 No.2

        Recently, Korean language learners have been increasing year by year in Japanese universities. This brought about the diversity of level, purpose and contents of learning, and agitates for developing new textbooks which meets needs of learners and teachers. This study is based on an interview & questionnaires surveys on 20 students, 138 students and 31 teachers in Japanese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ir satisfaction and requests about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a desirable textbook which meets their demand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students' and teacher's opinions on textbooks should be reflected and they desire textbooks and audio-visual materials which are considered visual function, learners' native languages, status and preferences as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more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mong teachers are greatly needed and their results should be incorporated in making textbooks. To achieve this, we suggest college teachers' network should be established in Japan for the institutional and/or governmental support, and all parties of Korea and Japan should cooperate in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후보

        FGI 및 사용자 선호도 분석을 통한 물문화관 시설 개선 계획 - 한강문화관을 중심으로 -

        권순관 ( Kwon¸ Soon-kwan ),노이경 ( Noh¸ Yi-kyu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0 전시디자인연구 Vol.17 No.2

        우리나라의 경우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여러 종류의 댐을 건립하였으며, 물의 중요성과 댐건설의 타당성을 홍보하기 위해 물문화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물관련문화관들은 홍보 콘텐츠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관람객 인식변화, 사업 홍보의 목적은 충족시켰다. 하지만 문화적 콘텐츠의 비율이 낮아 지역민들에게 문화 활동을 제공할 만큼의 전시 구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문화관으로서의 구실을 하지 못하여 방문객 수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물문화관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준공 6년 경과에 따라 노후화된 한강문화관의 내부 리뉴얼을 통해 물문화관의 활성화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현장조사, 시설운영담당자와 유사 기관 전문가들의 그룹 인터뷰, 방문객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방문객의 정확한 니즈(Needs)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본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고 세부적인 시설 개선 및 전시계획 수립을 통해 수변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물문화관을 디자인함이 연구의 목적이다. In Korea, various types of dams have been buil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and a water culture center is operated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water and the feasibility of dam construction. Most of these water-related cultural centers were made up of promotional contents, thus satisfying the purpose of changing audience perception and promoting business. However, as the proportion of cultural contents is low, the number of visitors is decreasing because the exhibition structure is not organized enough to provide cultural activities to local residents. Therefore, it is the time when various changes are needed to revitalize the water culture cen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s to revitalize the water culture center through the internal renewal of the old Han River Cultural Center after 6 years of completion. Through field surveys, group interviews with facility management personnel and experts from similar organizations, and visitor surveys, we intend to identify the exact needs of visitor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ign a water culture hall that can promote waterfront revitalization by setting the basic design direction and establishing detailed facilities improvement and exhibition pl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