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김선주,임나영 한국예술치료학회 2020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회복탄력 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30명(실험 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이다. 연구도구로는 척도검사인 한국판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K-PSI-SF), 한국 형 회복탄력성 검사(KRQ-53)와 투사적 그림검사인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를 사용하였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19년 3월 4일부터 2019년 4월 19일까지 주 2회씩, 6주간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한 후, 효과검증을 위해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의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 Test)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집단미술치료 참가자의 단계별(초기-중기-종결기) 행동 특성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효과 적이었다.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에 참가한 어머니의 빗속의 사람 그림과 행동 특성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어머니가 느끼는 주관적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심리적 대처자원이 향상되었으며 회복 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이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본 연구의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임상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parenting stress and resilience of mothers with infants 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Thirty mothers (15=experimental group, 15=control group) undergoing parental stress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 tools employed included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K-PSI-SF), Korean Resilience Quotient(KRQ-53), and Person In The Rain(PITR). Furthermor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composed of 12 sessions for six weeks, twice a week from March 4, 2019, to April 19, 2019.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analyzed through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of SPSS 22.0 program. The participants’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also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out the stages (initial, working, and the final stag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group art therapy using picture books reveal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arenting stress. Second, group art therapy also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esili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aft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ITR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assigned to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subjective stress of mothers, a significant increase in stress coping resources, and an improvement on selfregul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osi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picture books psychologically support mothers undergoing parental stress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dopting the results as the underlying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in clinical settings.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박기현,윤치연 한국심리협회 2014 심리행동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우울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이 있는가?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우울감소에 영향이 있는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P시의 장애인협회 에 소속되어 있고 우울감을 느끼고 있는 지체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집단미술치료프로그 램을 주 2회, 회기당 120분씩, 총 14회기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 척도 검사와 우울척도 검사의 두 가지 측면에서 양적분석을 하고 질적분석을 위해 집단 보조자 1명과 함께 실험집단의 각 단계별 회기 진행과정을 녹취, 녹화하고 회기별 미술 활동작 품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 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 단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 애인의 우울감소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체장애 인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지체장애인들에게 긍정적인 인지, 행동, 정서의 변화 결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사용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체장애인들에게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impa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physically disabled individual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First,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mprove the self-esteem of the physically disabled? Second,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reduce the depress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To verify the questions, the following individual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5 disabled individuals who are affiliated with the Association of the Disabled in P city and have a depression. A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2 hours twice a week totalling 14 times. To identify the impa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a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wo different aspects with self-esteem scale test and depression scale test. For qualitative analysis, each s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corded and taped, with the help of an assistant. Also, their artwork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each sessio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mproved the self-esteem of the physically disabled.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self-esteem while participating in the group art therapy.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effectively reduced the depress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mproved the self-esteem of the physically disabled and reduced their depressio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led to positive changes in the cognition, behavior, and emotions of the physically disabled individuals. Therefor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ed in the research could serve as a useful resource for improving the emotions of the physically disabled.

      • KCI등재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PMAT)을 활용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여대생의 대인불안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강현채(Kang, Hyun-Chae),이지현(Lee, Ji-Hyun)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5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Psychocybernetic Model of Art Therapy: PMAT)을 활용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여대생의 대인불안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15명으로, 실험집단에는 7명, 통제집단에는 8명이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8주간 주1회, 총 8회기의 집단미술심리치료를 제공한 반면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전과 후에 연구대상 모두에게 사회불안 및 회피척도(SADS)와 자기표현 검사(ABAS)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를 사용하였다. 집단미술심리치료 사전․사후 대인불안과 자기표현의 변화비교를 위해 Mann-Whiteny U test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에서만 유의미한 변화가 보였으며, 실험집단의 미술자기표현 변화비교를 위해 실시한 Wilcoxon signed-ranked test 결과에서도 미술자기표현의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대인불안을 경험하는 여대생에게 PMAT를 활용한 집단미술심리치료 개입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여대생의 발달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대인관계 속에서 불안한 상황을 표현하고 정서를 안전하게 표출할 수 있도록 도왔으며,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해 논의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rt therapy using psycho-cybernetic model influenced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15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an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articipants of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provided with a total 8 weekly classes; nothing was provided to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Th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S) and the Assertive Behavior Assessment Scale (ABAS) were administered to all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group therapy to assess whether the group art therapy is spurred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 For experimental group, ASEA was also conducted. The Mann-Whiteny U 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s were conducted after the experiment to assess the scale of participants’ self-expression, and the art self-ex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 was,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 in scale among the control group. In this study, structured art therapy using PMAT was provided, and participants were allowed to express their feelings about uncertain condi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howed that art therapy positively affects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anxiety, self-expression, and art self-expression when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a situation that lacks preced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소집단미술치료가 교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양지민(Yang, Ji Min),정재원(Jung, Jae Won)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21 교정상담학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소집단미술치료가 교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시작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 소재 교정공무원 3명으로 주 1회 90분씩 12회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직무스트레스 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고, 투사검사는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회기별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미술치료가 교정공무원의직무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둘째, 소집단미술치료가 교정공무원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셋째, 소집단미술치료는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에서 교정공무원의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 감정표현에 있어서 변화가 있었다. 넷째, 회기별 과정에서 연구자의 공감적이해와 긍정적 배려, 보살핌을 통해 집단구성원들은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을 경험하였고 억압되었던부정적 감정을 자유롭게 발산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대인관계형성 기술을 습득하였으며, 집단구성원들은 자기조절과 자기수용, 긍정적 정서를 고양시킴으로써 부정적 사고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소집단미술치료가 교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와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으며, 나아가 교정공무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미술치료 임상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ll group art therapy on job stress and self-esteem of correctional officers. The study subjects were three correctional officers working in city ‘K’. The therapy sessions took place once a week for ninety minutes for a total of twelve sessions. A job stress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used as research tools. For the projective test, a pre and post Person in The Rain(PITR) drawing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In addition, a qualitative analysis of group members sessional job stress and self-esteem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small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changes in decreasing correctional officers’ job stress. Secondly, small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changes in increasing correctional officers’ self-esteem. Thirdly, small group art therapy had changes in correctional officers’ problem solving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emotional expression in the Person in The Rain(PITR) drawing tests. Fourth, as sessions progressed, group members experienced safe and supportive environment through empathic understanding, positive solicitude and care. Also, group members acquir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group members. Group members decreased negative thoughts due to positive thoughts, self regulation and self acceptance.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small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decreasing correctional offic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self esteem. Therefore, the study’s results demonstrate the necessity and directivity of art therapy for correctional officers, and applicability in the art therapy clinical field.

      •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경화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3 임상예술치료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하는 청소년지원센터에 의뢰된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 가운데 해당기관 사회복지사의 추천과 학교생활 부적응 검사 척도 50~70미만으로 부모의 동의를 받은 남아 4명이다. 연구는 2009년 9월 첫째 주부터 2009년 12월 마지막 주까지 주1회, 50~90분간 경기도 K시에 소재한 청소년지원센터의 미술치료실에서 실시하였다. 본 미술치료는 도입단계(1~3회기), 실행단계(4~13회기), 종결단계(14~15회기)로 3단계를 총 15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학교생활부적응 아동들의 사회성 척도의 사전, 사후 검사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상 아동들은 사회적 기술훈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함께 그림 그리기, 돌려 그리기, 공동화 등을 하며 함께하는 즐거움과 상호작용을 알고, 규칙을 지키고 결과를 받아들이며, 친구와 이야기하고 발표함, 경청하는 과정을 통해 친구와 교류하는 방법을 알 수 있었다. 갈등다루기와 배려하기 등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습득하게 되었다. 따라서 아동들은 친구를 놀리거나 다투는 등, 친구들과의 교류보다는 혼자 맴돌던 행동이 많이 줄고 공동화, 돌려 그리기 등 서로 협동하는 작업도 잘 수행하는 모습들을 보이게 된 것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론은 Yale의 행동평가척도 중 주의력결핍의 7문항의 하위영역의 사전, 사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사전에 비해 점수가 높아졌으므로 주의집중력의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된 것을 통해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상아동들은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활동 과정에서 집중하기, 피드백을 통한 통찰, 인지행동 치료기법을 통한 수정 및 통제 훈련을 받으며 친구의 말에 끼어든다거나, 방해한다거나, 책상 밑으로 기어 들어가는 등 과제를 중도에 포기하고 산만한 행동을 보이는 부적절한 행동 빈도가 줄어들었다. 또한 치료시간 동안에 집중하여 과제를 마치고 친구의 이야기를 적극 경청하며 끼어들지 않으며 배려하는 마음이 생긴 것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론에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본 연구가 단일사례이며 대상아동 선정에서 성별이 남아에게 치우쳐 있었기 때문에 한계점을 갖고 있으므로 여아를 포함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의 효율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후속연구로 지속되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how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affect on improving sociality and concentrati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in school.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called in the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city K. those four children were recommended by social workers of the center and their parents agreed to the research. All the children showed under school life maladjustment test scale 50~90. The research took place once a week for 50-90 minutes each session from first week of September 2009 to the last week of December 2009 at the art therapy room in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city K. This art therapy were composed of 15 sessions of 3 stages: Introduction stage(1~3 sessions), Practice state(4~13 sessions), Termination stage (14~15 sess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ociality of a maladjusted child. The result examining sociality measure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shows that the score from post-research is improved significantly. It means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improving sociality of a maladjusted child.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social skill training art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painting, painting in turn, collaborative painting together. They acquired pleasure of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as well as learning how to interact with friends by abiding rules, accepting the results, talking with friends and making presentation and listening attentively. Thus, with the result showing reduction on the behavior of wondering about by oneself rather than interacting with friends such as teasing and arguing with friends such as teasing and arguing with friends as well as improvement on conducting co-operative tasks such as collaborative painting and painting in turn, it can be concluded that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ociality of the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Secondly,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concentr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on the subcategory of 7 questions on inattention of Yale's Child Behavior Checklist between pre-research and post-research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on atten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improving atten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During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the children received amendment and control training by concentration, insight from feedback,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ools. They showed the reduction of frequency of the negative behaviors which include quitting tasks midway and showwing inattentive behavior such as interrupting friends talking, distracting others, crawling under the desks. In addition, they were able to finish assignments with concentration during the sessions and also able to listen actively with attentive attitude, not interrupting. This shows that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atten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effects on improving sociality and concentr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But,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with the research being a single case and the selection of the subjects biased to male children. Thus, it is expected to be extended to be follow-up research by developing efficient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hich including female children as subjects.

      • KCI등재

        청각자극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각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정재원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auditory stimulus on the self-expressionand peer-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In this study, 8 children with hearingimpairment who attended a local welfare center were design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Out of 16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8 were designated as a comparison group and theremaining 8 as a control group. The group therapy program ran a total of 15 sessions once or twice aweek. Each session lasted 80 minute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group art therapy using auditorystimulus.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group art therapy without auditory stimulus. The instrumentsused in this study were a self-expression scale and peer relationship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using auditory stimulus was effective in the whole categories of self-expression andthe subcategories such as spoken contents, voice and nonverbal expressions. Group art therapy withoutauditory stimulus was effective in the whole categories of self-expression and the subcategory, nonverbalexpression. Second, group art therapy using auditory stimulus was effective in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whole subcategories. Group art therapy without auditory stimulus showed significant effects in the peerrelationship and the subcategories such as social support and punishment control. These findings suggestthat group art therapy using auditory stimulus had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xpression and peerrelationship of the participants than group art therapy without auditory stimulus.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자극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각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D복지관에 다니는 청각장애아동 8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초등학교청각장애아동 16명을 비교집단(8명), 통제집단(8명)으로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매주 1〜2회기로 80분씩 총 15회기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청각자극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집단미술치료를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기표현척도와 또래관계척도이며, 자료 분석은 일원변량분석과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자극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청각장애아동의 자기표현 전체와 하위요인 중 말한 내용과 음성요인, 비언어적 표현에서 효과가 있었으며, 집단미술치료는 자기표현 전체와 하위요인 중 비언어적 표현에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청각자극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청각장애아동의 또래관계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효과가 있었으나, 집단미술치료는 또래관계와 하위요인 중 사회적지지,처벌주도권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상에서 청각자극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일반적인 집단미술치료보다 청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과 또래관계에 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 KCI등재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이현정(Lee, Hyun Jung),김지은(Kim, Jee Eun)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C 대학교 미술치료 전공대학생 중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히고 연구 조건에 부합한 총 20명으로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을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2019년 5월 2일부터 5월 30일까지 주 1회, 90분씩 총 6회기 동안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연구 도구는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여 양적 분석하였고,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단계별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 변화, 자기 반영적 글쓰기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는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는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셋째,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단계별 과정 변화를 살펴본 결과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는 미술치료 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행복감 향상에 효과가 있고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ought to learn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art therapy major students. Twenty students voluntarily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mong art therapy majors at C University, Gyeonggi-do. The stud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of which had 10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weekly 90-minute group art therapy program sessions, from May 2, 2019 to May 30, 2019, for a total of six sessions. The study untilzed self-efficacy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scale, an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used the self-efficacy, subjective happiness change, and self-reflective writing cha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efficacy of art therapy major students. Second,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art therapy major students. Third,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showed positive change in the self-efficac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art therapy major students. Therefore,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and positive in improving self-efficac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 KCI등재후보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홍은진,이근매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4 임상미술심리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 자녀 8명을 대상으로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주 2회 90분씩 총 12회에 걸 쳐 실시하였다.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사전, 사후 자아존중감 검사, 사회성 검사를 t-test로 비교 분석하였으 며, 나무그림 검사, 학교생활화(KSD) 검사의 사전, 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 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 으로 향상되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자녀 관련 교육 및 임상현장에서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접근법으로 활용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pe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effect of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 upo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elf-esteem and sociality. Study subjects were 8 students with multi-cultural family in 4th~ 6th grade and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 was performed two times a week, 90 minutes each - 12 sessions in total. To know effect of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 pre- and post- test of self-esteem and sociality was compared by t-test and change of pre- and post- of Baum test and changes of Kinetic School Drawing(KSD) were analys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 wa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self-efficacy of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y. Second,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 was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statistically. Based on above results,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 was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ociality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 shows a possibility as effective approach in education and clinical field related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조아영 한국예술치료학회 2010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는 전북 J시에 살고 있는 30대 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양육스트레스 및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진행은 2009년 11월 2일부터 2010년 4월 9일에 걸쳐 대상자 구상, 대상자 선정,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사전검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및 적용, 사후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어머니 20명 중 양육스트레스가 90점 이상이고, 모-자 상호작용의 강화와 훈육행동, 아동관찰, 애정표현 반응에 문제가 나타난 4명을 선정하여 주 1회 70분씩 총 18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동적-집 나무 사람(K-HTP)그림검사, 양육스트레스척도(PSI/SF), 모-자 상호작용 척도(PCI)를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후 장애아동 어머니의 전체 양육스트레스는 사전·사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집단미술치료가 전체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훈육행동, 인지영역, 노력영역, 영향영역, 애정표현 평균 간 차이의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집단미술치료가 모-자 상호작용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의사소통, 정서표현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동주,조규판 한국미술치료학회 2013 美術治療硏究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the Satir Model on mothers' commun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efficacy. 24 mothers who attended N center in G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experimental group, comparative group, and control group.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Satir Model was conduct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to comparative group from October 12 to December 14 in 2011. But the control group has not been done any programs. The pre-test, the post-test and additional-test were conducted by using communication scal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By using SPSS Ver. 20.0, the data was pressed as quantitative analysis with ANO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Satir model and the group art therapy had positve effects on improving mothers' communication. Second, Both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Satir model and the group art therapy had positve effects on improving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Third, Both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Satir model and the group art therapy had positve effects on improving mothers' Self-efficacy. Particularly,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Satir model generally showed more effects on improving mothers' commun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efficacy. And it also had continuous effects. Therefore,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Satir model is needed for improving mothers' commun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의사소통, 정서표현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G시에 위치한 00센터 홍보를 통해 신청한 어머니들 중 24명을 선정하였고, 각각 8명씩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무선으로 배치하였다. 2011년 10월 12일부터 12월 14일까지 주 1회 120분 씩 총 10회기에 걸쳐 실험집단에는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에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프로그램도 실시하지 않았다. 측정도구는 의사소통 척도, 정서표현성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추후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 20.0을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와 집단미술치료 모두 어머니의 의사소통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와 집단미술치료 모두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셋째,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와 집단미술치료 모두 어머니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 특히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의사소통, 정서표현성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더 높으며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어머니의 의사소통, 정서표현성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