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영학에서의 지혜(Managerial Wisdom)’ 연구에 대한 탐색적 고찰

        김주원,박용승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4

        [Purpose] In terms of present management, although there is material foundation created from industrialization and accumulated principles on management but its actual purpose is disappearing. Therefore, we should recognize not only the poor management performance from the external side but also lack of internal spirit or degree of damage contained in the management as an organic body to diagnose and evaluate today’s management. In regards to this, this research proposes ‘managerial wisdom’ [Methodology] To this end, 43 research paper were published in the management journal. The scientific validity of wisdom in business administration was demonstrated, the wisdom in management was conceptualized, and the research trends and areas of wisdom in magement were analyzed. [Finding] First, the scientific validity of the managerial wisdom study was verified by the basis of evolutionary analysis and cultural theory. Second, managerial wisdom conceptualized as the ability of the management to recognize and reflect ignorance about meta knowledge to link existing management knowledge to the management field and strategic management to achieve both the profit pursuit of companies and value realization of members for common good. Third, there were three trends in the study of wisdom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fourth, it was analyzed that wisdom has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decision making, ethics management, management education, leadership, organizational learning, and entrepreneurship. [Implications] Through this study, it introduces wisdom as a new strategic resource for managerial studies, and it will be an attempt to make academic practice of the purpose of management that have been damaged or overlooked in the nature of business. [연구목적] 현시대의 경영은 산업화로 일궈온 물질적 기반과 누적된 경영이론에도 불구하고 그 자체목적을 상실해 가고 있다. 따라서 현시대의 경영을 진단, 평가하기 위해 외양적으로 드러나는 경영성과의 부실과 유기체로서의 경영이 지닌 내적 정신의 결핍도 심각한 수준임을 인지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경영의 존재론적 각성과 새로운 대안으로 ‘경영학에서의 지혜(managerial wisdom)’를 제안하면서 경영학에서 연구된 지혜에 대한 탐색적 고찰을 시도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경영 학술지에 소개된 43편의 문헌을 대상으로 경영학에서의 지혜의 과학적 타당성을 논증하고, 경영학에서의 지혜를 개념화하며 경영학에서의 지혜연구의경향과 연구분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경영학문에서 지혜연구의 과학적 타당성은 진화해석학과 문화이론으로논증하였다. 둘째, 경영학에서의 지혜란, 경영인 스스로가 자신에 대한 무지를 인식 내지성찰하고, 기존 경영지식과 함께 고차지식을 경영현장에 접목시키는 능력이며 공공선을위해 기업의 이윤추구와 구성원의 가치실현을 달성하게 하는 전략경영의 능력으로 개념화되었다. 셋째, 경영학문에서의 지혜연구 경향은 3가지로 분석하였으며 넷째, 경영학문에서 지혜는 의사결정, 윤리경영, 경영교육, 리더십, 조직학습, 기업가정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져 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경영의 실존적 목적에 대한 탐색을 촉구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크다. 시사점은 학문적으로는 지혜가 개인과 조직의 새로운 주요자원으로 활용될 수있는 토대를 만들고 실천적으로는, 실제 경영에서 현실효과를 생성하고 역동적으로 개인과 조직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지식자원으로 체계화하는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경영인의 지혜(Managerial Wisdom)’ 습득을 위한 SSWB 모델의 효과성 연구

        김주원(Kim, Joo-Won),박용승(Park, Yong-Seung)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SSWB 모델을 실제 경영학습현장에 대입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SSWB 모델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서울소재 K와 S대학의 책임경영, 기업윤리, 그리고 리더십 수강생 110명을 대상으로 2019년 가을학기에 시행되었다. 측정 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경영인의 지혜’ 이며 사전 사후 검사를 위해 SPSS 25를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경영인의 지혜에 대한 7개의 하위요인인 고차지식, 자기성찰, 앎의 욕구, 영성 및 초월, 공감, 모순인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분석되었다. 즉, SSWB 모델을 활용한 프로그램은 경영인의 지혜 수준을 향상시키며 따라서 본 모델의 효과성은 입증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지혜 학습에 관련된 연구가 관념적인 논증을 거치거나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던 데 반해 실제 양적인 측정을 시도하였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게다가, 국내 최초로 경영인의 지혜를 개념화하고 측정 도구와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자가 직접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것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연구의 방향과 흐름의 일관됨은 물론 같은 주제의 맥락을 하나로 집결시켜 정확한 연구의 본질에 충실할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지혜 학습의 가능성이 타당화되었다. 이는 추상적으로 여겨졌던 지혜의 학문적 진입은 물론, 실천적 대입에 대한 촉발제가 되었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를 지닌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introduce the program developed to apply the SSWB model to the actual management learning site. The purpose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SWB model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Methodology]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all semester of 2019 on 110 students of responsible management, management ethics, and leadership at K and S universities in Seoul where researchers work. For this study, pretest-posttest was conducted using the ‘Management Wisdom’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the analysis and verificat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5. [Findings] As a result, all factors resulte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other words, the SSWB model can be interpreted as improving the level of management wisdom. Therefore, it has been verified that this is a useful program for learning the wisdom of managers. [Implic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research related to learning wisdom has been limited to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nterview or through ideological reasoning so far, while actual quantitative measurement has been attempted. Moreover, the significance of the program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researchers who have conceptualized the wisdom of managers and developed measurement tools and program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have personall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s means that the direction and flow of research are consistent, as well as the context of the same subject can be brought together to be faithful to the exact nature of the study. Also, the possibility of learning wisdom has been justified. This is of great significance not only in the academic entry of wisdom, which was considered abstract, but also in the fact that it was the trigger for practical college entrance.

      • KCI등재

        ‘경영인의 지혜(Managerial Wisdom)’ 개념화 및 측정도구 개발연구

        김주원,박용승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영인의 지혜를 개념화하고 이를 실용화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 설계는 Churchill(1979)의 측정도구 개발 8단계에 따라 진행하였다. 연 구방법은 질적 연구를 통해 경영인의 지혜를 개념화하였고 양적연구를 통해 구성요인과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경영인의 지혜를 개념화하였다. 이는 경영인으로서의 개인이 자기성 찰을 통해 타인과 조직, 환경을 이해하고 조직구성원으로서 조직 및 기업의 존재목적 달 성과 개인 삶의 가치를 실현시킬 수 있는 내적인 전략자원으로 개념화되었다. 둘째,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경영인의 지혜는 7개요인, 24개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요인은 고차 지식, 자기성찰, 영성 및 초월, 앎의 욕구, 조직공감, 타인이해, 그리고 모순인지이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국내 경영학 분야에서 경영인의 지혜 개념화와 측정도구의 개발을 처음 시도한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또한,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지식경영에 이 은 지혜경영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촉발제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정량화된 지식을 넘어 고차지식, 즉, 지혜를 개념화하 고 개발하였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managerial wisdom and to develop practical measuring tools. [Methodology] The study design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Step 8 of th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by Churchill (1979). The research method conceptualized managerial wisdom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elicited components and items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Finding] ‘Managerial wisdom’ is conceptualized as internal strategic resource, which helps understand others,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through self-reflection, achievement of the ontological purpose of organization and as a team member, and actualizing one’s life value.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s managerial wisdom being composed of seven factors, meta-knowledge, understanding of others,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self-reflection, desire for knowing, organizational sympathy, and paradox cognition. [Implications]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conceptualize managerial wisdom and develop measuring tools in Korean academia of Management as a field of study. It is authors’ expection that this study is to play a role as a trigger for further discussions of the new paradigm of wisdom management which may succeed knowledge management while incorporating a rapidly changing management environment. Finally,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eta- knowledge beyond quantified knowledge.

      • KCI등재

        ‘경영인의 지혜(Managerial Wisdom)’ 학습모델 개발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김주원,박용승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1

        [Purpose]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odel for learning the managerial wisdom. [Methodology]This study used the grounded theory method among qualitative studies as a study for developing models. [Finding]The wisdom learning model we suggest was named as SSWB model. SSWB stands for ‘self-awareness’, ‘situational awareness’, ‘why awareness’, and ‘behavior change awareness’. This process can be expressed in 2X2 matrix such as reality(past to present) vs. ideal state(present to future), subjective(personal) vs. objective(environmental). In this study, the first quadrant refers to ‘self-awareness’, where ignorance and knowledge are made of a dyad. The second one is ‘situational awareness’, where the individual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constitute a set. The third one indicates ‘why awareness’, a combined set of the real state of present with the ideal goal to be attained in the future. Finally, the fourth quadrant represents ‘behavior change awareness’ which incorporates the practice toward value, needed to pursue in accordance with recognition of behavioral changes. Consequently, the wisdom learning process moves along with a cycle that enables individuals to create and build up new knowledge and experience. We suggest the criteria of this the whole process are ethical reflection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mplications]First, this research was the first attempt in domestic business administration to study wise managers. Second, attempting a study to develop a model of how managerial wisdom can be learned has transformed abstract wisdom into a specific learning concept by embodied and visualizing the mechanisms for the resources of wisdom that anyone has. Third, based on this research,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learning programs in each quadrant was established [연구목적]본 연구는 경영인의 지혜를 학습할 수 있음을 담보로 하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시대에 새로운 경영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는 경영인의 지혜를 개인과 조직의 성장에 도입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학문적으로는 경영인의 지혜에 대한 학습프로그램 개발연구의 촉발제가 되며 학습모형의 이론적 정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모델을 개발하는 연구로서 질적연구 가운데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지혜학습모델을 SSWB모델로 명명하였으며 이 과정은 현실(과거부터 현재)/이상(현재부터 미래), 주관적(개인)/객관적(환경)인 2X2매트릭스로 나타낼 수 있다. 1분면은 자기인식으로서, 아는 것(지식)과 무지가, 2분면은 상황인식으로서, 개인과 외부환경, 즉, 주체와 객체가, 3분면은 목적인식으로서 직시한 현실과 나아갈 방향인 이상이, 4분면은 행동변화인식으로서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를 위한 실천이 통합을 이룬다. 나아가 이는 개인에게 새로운 지식과 경험으로 축적되어가는 선순환을 거치게 되며 이 모든 과정의 기준은 개인과 조직의 윤리적인 성찰성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첫째, 지혜로운 경영인에 대한 연구를 국내 경영학에서 처음으로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경영인의 지혜가 학습가능함을 모델로 개발한 연구를 시도함으로써 누구나 지니고 있는 지혜 자원에 대한 매커니즘을 구체화, 시각화시킴으로써 추상적인 지혜를 구체적인 학습개념으로 진입시켰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를 토대로 각 분면마다의 학습프로그램들이 개발될 수 있는 초석이 마련되었다.

      • 周易으로 본 現代經營 考察

        김경린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1 儒敎文化硏究 Vol.- No.19

        1990년대 이후 세계경제는 개방과 자유화에 힘입어 글로벌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경영에 있어서도 각 국가와 지역이 견지해온 전통적 가치와 제도의 자리에 미국적 가치로 대변되는 글로벌 스탠다드가 점차 지배적 양상을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경우, 오랫동안 유교적 가치에 토대를 둔 전통적 문화와 가치체계를 유지해 왔다. 이러한 서구적 가치기준이 기업경영의 기준으로서 최선의 선택은 아닐 것으로 예견된다. 본고는 동아시아 속의 한국이란 입장에서 기업경영의 올바른 방향을 찾기 위해 주역에 나타난 경영적 관점, 특히 새로운 기업경영을 고찰하려고 한다. 주역에 나타난 경영학적 관점이란 인간의 운명, 인간의 자연 및 사회의 이중속성, 인간의 心身의 입장을 기점으로 한다는 점을 주목하고, 결국은 그 중에서 새로운 경영이 진정한 우리의 경제규범으로 정초되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역을 통해 본 경영학적 관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周易의 變을 통한 現代經營으로, 1) 주역의 天人 관계 2) 變化에 대한 대응 3) 아이디어 창출의 源泉이다. 둘째, 고난 극복의 智慧經營으로, 1) 고난 극복의 智慧 2) 振作 鼓舞시키는 智慧 3) 同心의 祭祀이다. 셋째, 中正의 和를 구현하는 正道經營으로, 1) 大人의 만남과 역할 2) 和樂의 조화 구조 3) 中正의 正道 俱現이다. 오늘의 현대경영이 주역에서 얻을 수 있는 지혜란, 바로 生生不已와 生物不測이라는 우주만물 속에서 발견하는 생명의 신비성을 통찰해 내는 능력일 것이다.

      • KCI등재

        경영학적 관점에서의 지혜(Wisdom)연구

        김주원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3

        Such as globalization,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economy polarization facing modern society, Now can not sustain a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existing knowledge and skills alone on an ongoing basis. Therefore, This study is to the concept and benefits of wisdom in International Management Administration and attention in recent research as an alternative. First, review the terms of wisdom in practice and ethics. And wisdom is also focusing on the terms of which refers to how to learn and effectiveness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s a result, the wise person is selected at a higher state of consciousness, choose to recognize self strength,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ected from the point of view, the creation of a self-fulfilled insight, philosophy of life, keep embracing all that, you get what you want is a belief has the ability of decision-making by honesty ․logic․ration. A wise organization is the ability to run a new task, while the organization function effectively rely, to solve problems encountered, to derive the right to conduct an objective vision towards the long-term, understand the various surrounding tissue ability to recognize the needs of stakeholders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as a whole and lead the organization to creative management.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e wisdom in ethics and social responsibility towards the common good in the domestic management study. Implication is implications in terms highlighted that the main core of the important human wisdom is resources and strategic management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nd discussed with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세계화와 산업구조의 변화, 경제의 양극화 등은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특징이며 이제는 기존의 지식과 기술만으로는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해외 경영학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지혜(wisdom)에 대한 개념과 효과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우선 지혜를 실천과 윤리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며 개인과 조직에서의 지혜 습득방법과 효과를 알아본다. 결과적으로, 지혜로운 개인은 높은 의식상태에서의 선택, 자기인식에 의한 선택, 내적 통제소재 관점으로부터의 선택, 자기 충만적 통찰의 창조, 모든 것을 포용한 삶의 철학 유지, 원하는 것을 얻는다는 신념, 정직․논리․합리에 의한 의사결정능력을 지닌다. 또한 지혜로운 조직은 조직 내 기능들이 효율적으로 의존하면서 새로운 과업을 실행하는 능력, 조직의 문제 해결능력, 조직의 장기적 비전을 향해 객관적인 시각으로 옳은 행위를 도출해내는 능력, 조직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인지하고 이끄는 능력, 전체로서의 조직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능력, 조직을 창조경영으로 이끄는 능력을 가진다. 나아가 본 연구는 지혜연구가 다소 부족한 국내 경영학에 공공선을 지향하는 경영덕목으로 지혜를 제안하며 지혜야말로 개인과 조직의 중요한 인적자원이자 전략경영의 주요핵심이 됨을 시사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주역적(周易的) 경영사상(經營思想)에 대한 소론

        박상철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5 국제경영리뷰 Vol.19 No.4

        본고의 연구목적은 주역에서 탈현대적 경영사상의 단초를 탐색하는 것이다. 주역적(周易的) 경영사상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창조적 파괴가 필요할 정도로 급변하는 경영 환경 하에서 도 여시구진(與时俱進)할 수 있는 ‘지혜의 경영’의 길을 주역에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주역은 변화의 원리를 다차원적으로 설명하고, 그에 대한 올바른 대응 방향의 제시 및 일반 적 가치 판단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주역의 64괘 모두 환경변화에 대한 창조적 대 응을 모색해야 하는 경영관리 이론과 연관되어 있다고 언급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64괘 중 경영관리와 가장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는 익괘(益卦)의 괘사와 효사 그리고 상전 괘사를 현대적으로 풀이하면서 주역의 경영사상 및 그 현대적 의미를 탐구하고 있다. 손과 익 두 개념은 상호대립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주역적 관점에서는 손익(損益)은 마치 음양(陰陽)이 상보적인 것처럼 오히려 상보적 관계로 인식된다. 즉, 다산(茶 山)의 역리체계에 따르면 익괘(益卦)와 대립되는 괘는 손괘(損卦)가 아니다. 교역(交易)관계 상 익괘는 항괘(恒卦)와 대립관계에 있게 된다. 이는 혁신을 거부하고 현상유지에 집착하는 항이 익의 반대 개념이라는 의미이다. 주역의 괘사 및 효사에 대한 해석은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어떤 면에서는 달라야 한 다고 언급할 수도 있다. 본고는 기존의 다양한 효사 해설을 참조하면서 경영학적 관점에서 익 괘의 괘사와 효사의 명료한 재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각 효사들이 “개과천선”이라는 익괘 상전 괘사(卦辭)의 각론으로 통일되어 있음을 밝히고 있다. 본고는 익괘 상전 괘사 개과천선에 대해 개과의 억제영역에서는 과거의 잘못을 앞으로 반 복하지 않는 것을, 천선의 핵심영역에서는 과거에 불급했던 것을 미래에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물론 이 개과와 천선은 음양처럼 상보적이라는 것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익의 도, 개과천선을 경영철학으로 하여 이를 길이길이 그윽하게 실천하는 것이 좋은 기업에서 위대한 기업으로 탈바꿈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주역의 지혜는 결국 지기(知機)와 찰미(察微)의 지혜로 귀결될 것이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 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의(時義)와 관련된 예(豫), 둔(屯), 구(姤), 여(旅) 등의 괘, 그리고 시 용(時用)과 관련된 감(坎), 규(睽), 건(蹇) 등의 괘, 그리고 시사(時事)와 관련된 이(頤), 대과(大 過), 해(解), 혁(革) 등의 괘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고 앞으로 이들 괘에 대해 경영학 적 관점에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way of ‘Management by Wisdom’ from the managerial thoughts of I-Ching focusing on reinterpreting the hexagram “Increase” in a managerial and modern perspective. I-Ching deals with the principles of change in a multidimensional scheme, and suggests the right directions for coping with unknowable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and give the clue for the value judgement for decision making under such a high uncertainty state. So we can say that all 64 hexagrams are related with the management of an organization and also of a society. Though the hexagram “Increase”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interests of business lives as Confucius once stressed it in his teaching. In our daily lives the two concepts of profit and loss are considered as contradictory each other. However, in the point of view of I-Ching they are considered as rather complementary. According to Dasan’s rule of interpretation of the hexagrams (卦guà) by reading the transposition of trigrams within a hexagram, the 益(yì) guà is in the contradictory or opposite position with the 恆(héng) guà. It means the opposite concept of 益(yì) is the pseudo stability seeking Maginot-mindedness of 恆(héng), where innovation and challenge itself is restrained. The interpretations of each hexagram statement (卦辭guàcí) and six line statements (爻辭 yáocí) of each hexagram might be different and/or must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ultural developments, and also by each reader’s interests. In this paper we try to suggest a modern interpretation of guàcí and yáocí of 益卦(yìguà) in the managerial perspective. And it shows that the 6 yáocís of yì guà are to be understood as consistently integrated with regard to the guàcí of Great Commentary (xiàngzhuàn) of yìguà. The guàcí of Great Commentary (xiàngzhuàn) of yìguà is “never repeat the (past) wrong doings and ever move on to goodness” And we see here that there are two fields in the business management, one of which is negative (or restraint) and the other one is positive (or core competence). Although in the I-Ching perspective those two fields are also not so contradictory just like as yin and yang is complementary. Anyway, we can admit that the tao of yìguà is the best way to transform the good company to the great one.

      • KCI등재

        바울의 인식론적 존재 및 가치 기반과 성경적 경영 가능성 - 고린도전서 1장-4장을 중심으로

        이갑두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23 로고스경영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고린도전서1장-4장을 중심으로 초기 기독교 공동체, 특히 당시의 대표적 도시인 고린도의 교회에 나타난 다양한 혼란과 갈등의 원인으로 볼 수 있는 바울의 대적으로서 당시 그리스-로마 세계의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지배적이었든 사고방식이나 가치관, 즉 ‘이 세상 지혜’로서 수사 문화를 고찰하면서 바울이 어떻게 ‘하나님의 지혜’를 논증하면서 자신의 존재·가치적 인식론을 형성하고 교회 공동체에 적용하였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바울은 당시의 수사문화에 상당한 이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수사문화의 이성적 사고 과정과 변증적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세상의 지혜와 하나님의 지혜의 대립 구조, 즉 정반합의 논리적 접근으로 자신의 인식론을 형성하였으며 이를 확장하여 개인과 공동체로서 교회의 존재와 가치 및 사명을 논증하였다. 이러한 논증의 결과를 경영의 주요 대상인 기업, 개인, 그리고 제도의 인식에 접목하여, 기업은 공동체적 실체로 개인과 기업은 구분되지만 유기적인 관계, 개인은 성령의 인도하심과 내주하심을 믿음으로 하나님 나라의 충성된 일꾼이며 동역자로서 인격적 존재, 제도는 하나님의 지혜를 알고 공동체의 다양한 문제와 갈등을 하나님의 사랑과 온유한 마음을 반영한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논증하였다. 더불어 기업의 궁극적 사명과 가치, 즉 목적은 공동체적으로는 하나님 나라의 실현이며 개인적으로 하나님을 즐거워하고 기뻐하는 것이라고 논증하였다. 또한, 바울의 인식론과 그에 바탕을 둔 존재 및 가치에 기반한 성경적 경영의 철학적 토대를 탐색하기 위해 기존의 좋은 경영, 기업의 사회적 책임 경영 그리고 최근의 ESG경영 등에 대한 일련의 연구들을 고찰하고 성경적 경영의 가능성을 규명하였다.

      • KCI등재

        이론연구 및 실증분석을 통한 지혜경영

        오상영(Oh, Sang-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9 No.2

        지식이 미래의 자산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된 후 지식경영은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과거 지식은 인간이 자유롭게 획득할 수 있지만 공유하기 어려운 개인적 자산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식의 중요성이 연구자들에 의해 밝혀졌고, 이를 공유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산물이 지식경영시스템이다. 그러나 의사결정자들은 지식 경영시스템을 활용하면서도 시스템의 한계점을 느끼게 된다. 최종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적이고 체화되어 있는 응집된 지식이 필요한 것이다. 이것이 지혜이다. 따라서 의사결정자들은 지식경영보다 지혜경영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러나 그 동안 지혜에 관한 연구는 많았지만 지혜경영을 연구한 결과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일천한 지혜정영 분야에 대해 이론연구와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지식과 지혜의 뚜렷한 구분을 알 수 있었다. Knowledge management has been spread rapidly since Knowledge is regarded as a crucial asset in future. Once, Knowledge had been obtained freely but hard to be shared. Studies on importance and share of knowledge have been taking place and it leads to development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However, decision makers still have problems even though they are us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Eventually, for the decision makers are needed concentrated knowledge which is unconscious and embodied, when they make a decision. This is wisdom. Thus, wisdom is superior to knowledge for the decision makers. There are some researches on wisdom but wisdom management were overlooked. This study presents differences between knowledge and wisdom with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analysis on the wisdom management

      • KCI등재

        『주역』의 變通的 時中觀과 인간경영의 지혜

        김연재 대동철학회 2016 大同哲學 Vol.77 No.-

        본고에서는 『주역』의 강령을 현대화하는 작업의 하나로서, 인간경영의 관념에 착안하여 變通의 원리 속에 활용된 時中觀을 조명하고자 한다. 이른바 ‘인간경영’은 지식과 지혜의 통합적 지평에서 살아가는 실천적 삶과 관련이 있다. 현실적 세계는 變通의 실재(reality)로서, 이 실재의 과정을 운용하는 방식에 時中의 기제가 있다. 시중은 변화하는 세계에서 세계를 변화시키는, 시의적절한 조화나 질서, 즉 中道의 원칙이다. 그것은 인간이 삶의 가치를 인식하고 예측하고 판단하고 선택하고 결정하는 創發性과 創新性의 방법이다. 이러한 기제는 하늘과 땅의 원리에 입각한 乾과 坤의 합일, 즉 易簡의 정보와 그에 따라 구성된 64괘의 관계망으로 표상된다. 인간은 이러한 관계망을 이해함으로써 삶의 지침을 설정하고 실천적 행위를 올바르게 선택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시중의 원칙에 따른 삶이 바로 道義의 관문에 들어서는 것이다. 道義의 관문은 온전한 인격체가 지닌 성숙한 삶을 위한 인간경영의 통로이다. 그것은 인간이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세계를 창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자아실현의 통합적 지평을 여는 통로이다. 인간은 시중의 기제를 통하여 내면적 덕성을 함양하고 개인의 욕구와 사회의 이념을 합치하는, 善과 美가 연속선상에 있는 공동체적 가치를 지향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ssay is an attempt to explicating the view of timely moderation in the principle of change-penetration according to the conception of human management, which plays a role in the work of modernizing the canon of the Book of Changes. What is called human management is closely associated with a practical life based upon a variation of knowledge and wisdom. In the Book of Changes, the actual world is regarded as the reality of change-penetration and the mechanism of timely moderation is working in a process of its reality. Timely moderation is the law for moderate way of harmoniously and orderly changing world . It is a method of emergence and innovation requiring that we recognize, predict, judge, choose, and determine values for life in particular events and cases. The mechanism of timely moderation is revealed in the network of information constituting sixty four Gua based upon the simple unity of Qian Gua and Kun Gua. By means of this mechanism, a human being establishes a guideline for life, then chooses and determines practical activities. Through this mechanism, a human being cultivates his inner virtue and thereby orientates the communal value of identifying personal desires and social ideas, in which the good and the beautiful are in a line of continuity. This is to open a gateway of morality. A gateway of morality, as a way of human management for a valuable life, is to reflect a mature life of a human being, which means a horizon of self-realization that we can creatively change a world of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