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사관계와 지식공유

        박용승(Park, Yong-Seu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2005년 조사실시한 직업능력개발원의 1차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의 표본에 포함된 320개 제조업체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노사관계가 작업장의 종업원 지식공유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노사관계 변수는 노동조합의 유무와 노사관계의 협력적 풍토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노동조합의 작업장 존재유무의 지식공유에 대한 효과에는 본원적인 발언효과(voice effect)를 바탕으로 한 긍정적인 효과와 독점효과(monopoly effect)를 바탕으로 한 부정적인 효과가 혼재할 것으로, 그리고 노사관계의 협력적 풍토는 노동조합의 발언효과를 극대화시켜 작업장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종업원 참여제도와 같은 고성과작업체계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노사관계변수의 조절효과도 분석하였다. 조직 변화관리에 대한 노동조합이 가지는 발언효과를 고려하여 특히 노사관계의 협력적 풍토가 고성과 작업체계의 지식공유에 대한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대체로 본연구의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장의 노동조합은 종업원의 지식공유행위 참여의지에 부정적 효과를 미치는 반면 노사관계의 협력적 풍토는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성과 작업체계의 지식공유행위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도 노동조합은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지는 반면 노사관계 협력적 풍토는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분석대상에 포함된 업체의 경우 노동조합의 독점효과를 바탕으로 부정적인 효과가 지배적인 현실이지만, 노사공동의 노력으로 협력적인 작업장의 풍토를 이루었을 경우 지식공유 활성화를 통해 노사관계가 조직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effects of union and labor-management climate on employees' knowledge- sharing.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320 firms included in the first round of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Union effects on knowledge sharing have been hypothesized following monopoly vs. voice effects propositions suggested by Freeman and Medoff(1984).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ooperative labor management climate consistently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knowledge sharing while presence of union at the union h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mployees' participation in the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Moderating effects of labor-management climate on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knowledge sharing were also positive.

      • KCI등재

        노동조합과 노사관계 풍토가 작업장 산업재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용승(Yong-Seung Park),나인강(In-Gang Na)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0 産業關係硏究 Vol.20 No.4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에서 2006년 7월부터 11월까지 약 5개월간 조사를 진행 실시한 「2005 사업체패널조사」(WPS 2005)에 포함된 1,905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노동조합 및 노사관계 풍토가 작업장 산업재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노조의 산업안전 효과에 관한 선행모형에 근거하여 노동조합과 노사관계 풍토가 작업장의 제도적인 변수로서 안전환경 투자와 종업원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노사관계 변수 이외에도 주요 독립변수로서 종업원참여제도가 작업장의 재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도 아울러 분석하였다. 이는 종업원참여제도가 노사관계 변수와 마찬가지로 작업장의 안전환경 투자와 종업원 안전관련 행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실증분석 결과 작업장의 노동조합 유무는 작업장의 산업재해 발생 여부와 종업원 1인당 산업재해 발생 빈도율 모두와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반면, 노사관계의 협력적 풍토는 산업재해 발생 여부와 종업원 1인당 산업재해 발생 빈도율 모두와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사관계의 협력적 풍토는 노동조합의 산업재해율에 대한 부정적 효과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노동조합의 유무보다는 노사관계의 협력적 풍토가 작업장의 안전환경에 보다 더 중요한 결정요인이라는 점과, 노동조합의 혼재된 산업안전효과 가운데 본 연구의 분석대상 사업장의 경우 노조의 부정적인 측면이 지배적으로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종업원참여제도의 경우 작업장의 산업재해발생 여부에 대한 효과는 부(-)의 방향이기는 하되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해서 기각되었으나, 1인당 산업재해 발생률의 경우는 유의적인 수준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가짐으로써 산업재해율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effects of union and labor-management climate on the workplace injury.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1,905 Korean workplace included in the ‘WPS(Workplace Panel Survey) 2005’ by Korea Labor Institute. Employee participation programs of the given workplace in association with labor relations contexts also have been analyzed for their safety effects. Following earlier literature, this study theoretically analyzes effects of institutional variables such as union and various human resources management practices via their impact on the firm's safety investment and / or employee safety-related behavior.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resence of union per se at the given workpla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injury incidence and per employee injury frequence rate, while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climat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jury rates . This may suggest that; 1) positive labor-management climate and trust among actors of the system are more important than the mere presence of a union at the workplace, and 2) the negative side (e.g., ‘reporting effect’) of ‘mixed effects’ of a union on workplace safety, as suggested in the literature, dominated the positive side in our sample. Finally, employee participation programs showed negative impact on per employee workplace frequency rate while their negative effect on workplace incidence variable was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 KCI등재

        종업원 참여제도가 미국 산업재해보험제도의 재해보상 기각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용승 ( Yong Seung Park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종업원 의사결정 참여제도와 이윤 참여제도 등 참여적 인적자원관리제도가 산업재해보험에서 피보험자(종업원)의 도덕적 해이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특히, 산업재해 보험에서 피보험자가 가질 수 있는 도덕적 해이 행위를 위험부담행위(risk-bearing moral hazard)와 산업재해 허위사례 신고행위(claims-reporting moral hazard)로 분류하고 이 가운데 참여적 인적자원관리제도가 개인 혹은 집단 수준에서 허위사례 신고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번째 도덕적 해이 유형인 위험부담행위는 피보험자인 종업원이 보험 보상이 없는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위험부담을 즐기는 경우이다. 재해 후에 지급되는 보상이 상대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종업원이 감수하는 위험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커지게 됨을 의미한다. 두 번째 도덕적 해이 유형인 산업재해 허위사례 신고행위는 산업재해보험내의 보상혜택이 허위재해사례의 신고를 유인하는 경우를 의미 하는데, 예를 들어 작업장재해로 인한 부상과 질병이 아닌 경우도 산업재해사례로 신고하는 것과 같은 경우이다. 이 논문은 특히 두 번째 경우인 허위사례 신고행위를 중심으로 종업원 참여제도와 같은 인적 자원관리 제도와 정책이 이러한 산업재해보험제도의 피보험자인 종업원의 도덕적해이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허위사례 신고행위와 같은 도덕적해이 행위를 미국의 산업재해보험 안에서 신고 되는 사례에 대한 배상책임 기각률로 측정하였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자율작업팀, 전사적관리팀, 품질 분임조활동 등과 같은 종업원의 의사결정 참여제도와 종업원 지주제도, 집단 성과금, 이익분배제도 등과 같은 종업원 이윤참여제도의 크게 두 가지 형태의 참여적 인적 자원관리 제도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자료로는 미국 산업재해보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미국 내에서도 특히 가장 선진적인 산재보험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미네소타주의 산업재해보험에 신고된 334개 기업 3,659건의 재해사례를 분석하였다. 기업의 인적자원관리 제도와 정책, 임금수준, 그리고 종업원 지주제도와 같은 성과급 임금구조 등의 부가 자료는 각각 미국 미네소타주의 인적자원관리 설문자료와 미네소타 주정부의 고용안정국 자료, 그리고 미국 연방정부의 국세청 기업 세금보고 양식 US Tax Form 5500을 활용하였다. 종업원 참여제도의 재해보상 기각률로 측정된 허위사례 신고관련 도덕적해이에 대한 영향은 로짓(Logit) 분석을 활용하였다. 종업원의 허위사례 신고관련 도덕적해이는 근로자 개인의 행동요인과 동료근로자의 감시기제 요인 등이 있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 가정하였으므로, 독립변수인 작업조직 및 인적자원관리 제도 변수 이외에도 재해 근로자의 나이, 직업군, 성별, 재해유형 등이 통제변수로 분석되었다. 실증 분석 결과 재무적 인센티브와 결합되지 않은 종업원 의사결정 참여제도와 의사결정참여와 통합되지 않는 종업원 이윤참여제도는 각각 종업원의 산업재해신고관련 도덕적 해이를 오히려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종업원의 의사결정 참여제도와 이윤참여제도를 시스템적으로 통합 운영하는 작업장의 근로자의 재해신고사례에 대한 기각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의사결정과 이윤참여 등 각각의 두 가지 다른 유형의 종업원 참여제도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긍정적인 산업안전효과를 가지는 것임을 시사한다. 종업원 의사결정 참여제도가 가질 수도 있는 도덕적 해이의 가능성을 종업원 이윤참여제도를 통한 종업원의 회사성과에 대한 몰입으로 통제할 수 있고, 집단성과급 등 종업원 이윤참여제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무임승차와 같은 문제는 종업원 의사결정 참여를 통해 활성화된 동료간 상호 통제기제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is paper estimates the impacts of employee participation plans in decision making and/or firms financial returns on claim denials in the workers’ compensation system. Claim denials are used to measure employees’ propensity to file false claims, i.e. claims-reporting moral hazard behavior as claimants in the system. Workers’ compensation systems, like other insurance systems, generate two major types of moral hazard on the claimant’s side. The first type is ‘risk-bearing’ moral hazard, whereby compensation for injury induces workers to take more job-related risks than they would have in the absence of such compensation. The higher ex postcompensation therefore induces greater risk-taking by employees. The second type is ‘claims-reporting’ moral hazard, whereby expected benefits induce falseclaim filings. For example, employees may file claims for off-the-job injuries to receive benefits through the workers’compensation system. This type of moral hazard has no effect on actual injuries, but only on claims for compensation. Such moral hazardof claims-reporting behavior has been approximated by incidence of claim’s being denied in the U.S. workers compensation system. This paper, in particular, analyzes the question whether claims-reporting moral hazard of employees can be affected by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ns and programs. In particular, we focus on plans and programs that provide employees with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e.g., autonomous work teams, total quality management, quality circles, quality of work life, etc.), and in firm financial returns (e.g., employee stock ownership, group bonuses, profit sharing, etc.). Employee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nd in financial returns accords employees the ability to affect certain aspects of the operation of the firm in which they work, and links a portion of their earnings or wealth to the wellbeing of the firm. Sample data for this study hasbeen constructed by matching a sample of 334 firms from the Minnesota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Survey data and 3,659 workers’ compensation claims filed in Minnesota Department of Labor and Industry’s data base for those injuries occurred in 1992. Additional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innesota Department of Economic Security on employment size of sample firms, and from US tax form 5,500 on the extent of employee financial participation in profit sharing and ESOPs. Empirical analysis of binomial Logit analysis has been conducted against this sample data in order to analyze the potential effects of employee participation plans on employee’s claims-reporting moral hazard which measured by insurer’s denial for liability in workers’ compensation system. Claimant characteristics such as age, occupation, gender, and injury type (e.g., sprains and strains, contusions, cuts, etc.) a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forthey may affect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of false claims, related to either differential observability of employee actions, or to the likelihood of certain injuries to occur in certain industries or occupations. In this study, it is argued that claims-reporting moral hazard by employees is a double-edged phenomenon, consisting of individual employee’s making false claims, and of their coworkers not detecting and reporting them.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1) employee participation plans in decision making without any financial involvement may increase group based self-opportunism by filing more fraudulent claims, 2) employee participation plans only in financial returns has increased the incidence of denials by insurers, and 3) employee participation plans both in decision-making and financial returns have been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denial of liability. Finally, employee participation plans both in decision- making and financial returns have been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denial of liability 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employee participation rights can complement to each other resulting in more desirable outcome. For example, group based self-opportunism in case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rights can be reduced by rendering employees have incentives of saving firm’s overall cost through participation in firm’s financial returns. Also, the problem such as free-ridership in practice of employee participation plans only in financial-returns can be reduced by peer monitoring pressures provided through employee involvement programs in decision making such as self-autonomous teams.

      • KCI등재

        고성과작업시스템에 대한 종업원의 인지도가 종업원의 고객지향 영역초월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용승(Park, Yong Seung),손윤근(Son, Youn Keu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서비스산업에서 고객점점 종업원의 고객지향 영역초월행동(Customer Oriented Boundary SpanningBehavior)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그간의 고성과작업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주로 제조업 분야에서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산업에서 전체 조직성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장서비스 종업원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특히 脫산업화 지식기반경제 환경에서의 고성과작업시스템의 새로운 역할과 기능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을 참여기회, 동기부여 및 보상, 그리고 교육훈련 등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종업원 조직몰입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통해 궁극적으로 외부대표 행동, 내부영향 행동, 그리고 서비스실행 행동 등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되는 종업원의 고객지향 영역초월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각 가설의 이론적 근거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2010년에 수행한 우리나라 네 개 은행 소속 직원 1,21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성과작업시스템에 대한 종업원의 인지도와 종업원의 정서적 조직몰입과의 긍정적 관계는 대체로 지지되었다. 그리고 종업원의 정서적 조직몰입과 고객지향 영역초월행동과의 긍정적 관계는 전반적으로 지지되었으나, 고성과작업시스템에 대한 종업원의 인지도와 고객지향 영역초월행동과의 긍정적 관계는 부분적으로만 지지되었다. 고성과작업시스템이 고객지향 영역초월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주요 외부 이해관계자인 고객과의 관계관리에서 내부 이해관계자인 종업원의 자발적인 참여가 매우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최근 논의되고 있는 이해관계자 경영 패러다임(stakeholder management paradigm)의 진정성 있는 실천과정에서 고성과작업시스템이 가지는 전략적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tested the impacts of High-Performance Work System(HPWS) on worker commitment and ultimately on employees' customer oriented boundary spanning behavior(COBSB)in service industry. We noted that customers' intimate contact with employees' service quality plays a critical role inorganizational performance especially in the service sector such as banking industry, and this employee-level (stakeholder oriented) performance has been generally neglected in the literature. As three major components of HPWS, we analyzed each effect of ⅰ) employee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ⅱ) employee participation in financial return, and ⅲ) investment in training and education on workercommitment and ultimately on COBSB; we further differentiated COBSB into three componentsof ⅰ) external representation behavior, ⅱ) internal influence behavior, and ⅲ) service delivery behavior. Based on the survey data which was conducted against 1,210 employees in four major banks in Korea, a series of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generally supports the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HPWS, worker commitment, and COBSB. The relationships betweenⅰ) HPW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ⅱ) HPWS and COBSB were partially positive, whil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BSB was entirely supported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Unlike most previous studies on HPWS which have focused on internal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internal stakeholder (i.e., employee) attitud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es that effects of HPWS may exp and to external stakeholder relationship, which provides an important direction in the literatur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with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stakeholder management paradigm.

      • KCI등재

        참여적 인적자원관리의 산업안전효과에 관한 연구

        박용승 ( Yong Seoung Park ),문재영 ( Jae Young Mo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종업원 참여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인적자원관리제도가 실제 작업장의 산업안전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업의 종업원 참여제도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인적자원관리 제도가 산업재해 보험 안에서의 피보험자 재해 신고율과 기업의 산재관련 작업손실 일수에 따른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분석하고 있는 작업장의 안전환경과 관련된 종업원 참여적인 인적자원관리정책과 제도는 첫째,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종업원의 참여범위, 수준, 내용 등과, 둘째,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대한 종업원의 참여 범위와 수준, 그리고 셋째, 관리자의 산업안전 환경에 대한 관심 및 안전문화 관리노력과 작업장 안전환경에 관한 정보 공유의 수준 등으로 측정되었다. 최근 기업들은 글로벌 무한경쟁의 환경 안에서 기업의 성과를 극대화하기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업구조조정, 업무프로세스 개선, 새로운 생산기술 도입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조직 구조적 변화는 대부분 성과중심의 새로운 인적자원제도의 도입과 연동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조직변화관리의 성공성 여부야 말로 이 시대 기업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 고성과 지향적인 새로운 작업방식이 또 다른 테일러 주의의 등장일 수 있고 최근 늘어나는 과로사와 산업재해율 문제는 이른바 참여적 작업조직으로의 변화관리가 균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참여적 작업조직의 변화 주체인 종업원의 복리가 오히려 황폐화 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제인 참여적 작업조직관리를 위한 새로운 인적자원관리 제도의 작업장 안전관리에 미치는 효과와, 정보공유 및 조직의 산업안전 문화 등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은 이 시대 기업조직 변화관리를 성공적으로 완성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연구자의 설문자료와 미국 노동성이 관리하고 있는 산업재해보험 자료의 결합 데이터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자의 설문자료는 종업원 의사결정 참여제도, 종업원 재무성과 참여제도, 작업장 안전문화, 정보공유 수준, 구조조정, 종업원 평균 근속년수, 생산기술 특성 등 주로 기업의 인적자원관리, 작업조직 특성 변수, 작업장 재해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통제변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산업재해 보험 자료는 근로자 평균 산업 재해율, 근로자 평균 산업 재해관련 작업손실 일수, 그리고 재해당 작업손실 일수 등 산업재해발생 빈도율과 산업재해발생 강도율로 측정된 종속변수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표본인 121개 기업의 5,124명의 근로자 자료를 실증분석한 결과, 종업원의 의사결정참여제도, 종업원의 재무적 성과 참여제도, 그리고 조직의 안전문화관리 등은 작업장의 1인당 산업재해 발생율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업원의 재무적 성과 참여제도와 종업원 의사결정 참여의 수준 등은 작업장 산업재해 강도율(1인당 작업손실일수)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공유제도는 작업장 산업재해 강도율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통제변수의 효과를 살펴보면 노동조합 유무와 여성근로자 구성비율은 모두 작업장 산업재해 발생율을 낮추고, 구조조정이 이루어진 기업일수록 근로자 1인당 산업재해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대체로 종업원 참여제도가 적어도 산업재해 발생율 관련 긍정적적인 작업장 산업안전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산업재해 발생 강도율과 관련하여서는 대체로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고 특히 정보공유와 의사결정참여의 강도의 부정적 효과는 통계적 유의성까지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참여적 작업조직변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산업안전 효과가 향후 더욱 면밀하게 분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참여적 인적자원관리 제도가 자본의 효율성 뿐만 아니라 당사자인 종업원의 복리 또한 아울러 개선시키는 방향으로 관리되어야 그 지속적인 효과성이 담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산업재해보험제도 안에서 피보험자의 재해 신고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향후 실제 작업장의 안전환경 개선으로 인한 순수한 안전효과와 피보험자의 보험사례 신고행위 등 보험제도안에서의 신고자료의 변화효과 등을 구분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dvanced strategy for planning stage of basic converg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strategic perspectives of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side. At first,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bout convergence technology at the developed country for example EU, US and Japan. In these leading countries, we can find that their various efforts are focusing to enlarge the effec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bout convergence technology and to set themselves the leading and positioning commitment of global society. In this study, the achieved status and limitation of converg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Korea is described, and then the advanced planning process of converg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 reconstruction are suggested for maximization for the effec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planning proces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s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ontains the key process which decides on the success or fail of them such as, strategic goal and direction setting of R&D, key competence evaluation and measurement of organizations, investigation of technical demand, searching and induc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s, the initial planning including the industry and patent analysis, project screening, and, project decision and budgeting. Also the basic research and development about technology convergence is important which stage is sprouting phase globally and influence effects on the industry and application areas can be propagated on the various territories. The major suggestion items of policy framework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are the preemption of the strategic convergence research areas and the enhancement for planning and searching/evaluation of research program. And these of convergence research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re consisted of research organization, research basement, and disciplinary education system. At the conclusion, these suggestions was summarized and discussed with expecting to adopt these results for policy making and consecutiv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