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광정도가 곤달비의 토양변화, 생육상황 및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박병모(Byoung-Mo Park),김창환(Chang Hwan Kim),배종향(Jong Hyang Bae),신중열(Jung Ryeul Shi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1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0 No.4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인구의 도시 집중화 현상 때문에 건물의 고층화 및 생활공간의 밀집화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점차 축소되고 있으며 이러한 원인 때문에 보다 많은 녹지면적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건물의 고층화로 인한 광부족과 환경오염으로 인한 대기의 조건 등이 식물생육에 아주 부적합하다. 특히 건물의 고층화 및 밀집화로 식물 생육에 지장을 주는 음지로 인하여 식물생육에 문제가 되기 때문에 음지에 강한 새로운 조경용 지피식물의 개발이 절실하다. 따라서 쌈채식물로 알려져 있는 곤달비를 30%, 50%, 80%의 차광에 재배를 하여 차광에 따른 토양환경의 변화, 식물생장,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엽수는 50% 차광이 10.8개, 30% 차광이 8.4개로 무차광재배의 7.7개에 비하여 많았으며 엽폭도 50% 차광 재배에서 가장 우수 하여 음지성 지피식물로 식재가능 하였다. 생체중은 무처리구 90.43g에 비하여 모든 차광재배가 각각 31.63g, 43.39g, 19.40g로 증가 하였으며 특히 뿌리의 생육이 줄기의 생육에 비하여 30% 차광재배의 12.33g에 비하여 48.48g으로 많이 증가 하였다. 엽록소 합성은 50% 차광의 경우 46.2로 무차광재배의 41.9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기타 차광재배의 경우는 오히려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곤달비의 차광재배의 결과 50% 차광처리가 지피식물로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It is true that the industrial development has usually been accompanied with urbanization or centralization of population that has inevitably led to high-rise buildings and densely built-up living area in the cities. While it is badly needed to acquire as much green land within the city limits as possible to compensate for reduced space for recreational purpose in parallel with increasingly urbanized area, the living conditions of plants have become seriously devastated due to shortage of sun light walled-off by high-rise buildings and contaminated environment and air. The shade that is generated by high-rise and compact buildings hinders growth of plants, which makes it urgent to develop native ground cover plant that is strongly viable in the shade. For this purpose, Ligularia stenocephala, best known as greens for Ssam (rice and condiments wrapped in leaves) was cultivated under the 30%, 50%, and 80% shadings and observed to see if there would be any changes in soil conditions, growth of plants and chlorophyll contents depending on the shading rate. The leaf number was 10.8 pieces under the 50% shading and 8.4 under the 30%-shading, 7.7 pieces more than that cultivated under lighting. The leaf width turned out to be excellent from cultivation under the 50%-shading, an evidence indicating its possibility of being cultivated as native ground cover plant in the shade. The live weight of the plants cultivated under the shading increased to 31.63 g, 43.39 g and 19.40 g, respectively, compared to 90.43 g of those in the untreated control plot. The increase in growth of roots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with 48.48 g in comparison to 12.33 g under 30% shading cultivation. The chlorophyll synthesis amounted to 46.2 under the 50% shading, showing an increase compared to 41.9 under lighting. The chlorophyll synthesis rather shrank under other shading conditions. The cultivation of Ligularia stenocephala under the 50% shading showed the best condition in growth as native ground cover plant.

      • KCI등재

        옥상녹화 식물의 온도저감 효과 비교

        박성식,박봉주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9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3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rmal environment of Liriope platyphylla, Chrysanthemum zaqadskii, Hosta longipes, Sedum sarmentosum, Zoysia japonica that are ground cover plants used for extensive green roof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for green roof construction. T-type thermocouple was installed on surface and bottom of green roof and soil, and surface of control; and thermal environment was measured continuously using a data logger. As results, surface temperature was highest on control, followed by soil, L. platyphylla, Z. japonica, C. zaqadskii, S. sarmentosum, and H. longipes in the order. Bottom temperature also was highest on control, followed by Z. japonica, soil, L. platyphylla, S. sarmentosum, C. zaqadskii, and H. longipes in the order. Daily temperature change was greatest on control, followed by soil, Z. japonica, L. platyphylla, C. zaqadskii, S. sarmentosum and H. longipes in the order.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s of extensive green roof, and the effects are found to be influenced by plant types. As this study utilized only a few of plants used in green roof, however, it is suggested to expand future studies using diverse plants. 본 연구는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에 이용되고 있는 지피식물인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울릉국화(Chrysanthemum zaqadskii), 비비추(Hosta longipes), 돌나물(Sedum sarmentosum), 잔디(Zoysia japonica)의 온열환경을 비교하여 향후 온도저감을 위한 옥상녹화 조성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온열환경 측정은 옥상녹화 및 토양의 표면, 하부 그리고 대조구 표면에 T형 열전대를 설치하여 데이터로거로 연속 측정하였다. 온열환경 측정결과 표면온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토양, 맥문동, 잔디, 울릉국화, 돌나물, 비비추 순으로 나타났다. 하부온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잔디, 토양, 맥문동, 돌나물, 울릉국화, 비비추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구의 일일 온도변화 폭은 대조구가 가장 높은 변화를 기록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토양, 잔디, 맥문동, 울릉국화, 돌나물, 비비추의 순으로 나타나 옥상녹화 식물로 온도변동 폭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를 조성할 시 온도저감 효과가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효과는 식재 식물 종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옥상녹화에 이용되고 있는 수많은 식물들 중 극히 일부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향후 다양한 식물들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도시 내 중금속 오염지의 관상식물로서 자생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의 적용성 평가

        주진희,윤용한,Ju, Jin-Hee,Yoon, Yong-Han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5

        본 연구는 토양 내 중금속(카드뮴, 납, 아연) 처리 농도에 따른 자생 맥문동의 외형적인 생장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도시 내 중금속 오염지의 관상효과 증진을 위한 수종탐색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중금속은 카드뮴, 납, 아연등 3종류이고, 처리 농도는 Control, 100, 250, $500mg{\cdot}kg^{-1}$ 등 4가지로서, 총 12가지 처리구로 구성하였다. 2009년 3월에 각각의 실험구에 10개씩 3반복으로 각 처리구에 정식하여, 같은 해 9월까지 약 7개월간 온실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생장이 가장 활발한 시기라 볼 수 있는 5월부터 8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엽장, 엽폭, 총엽수, 고사엽수, 신엽수, 엽록소함량, 관상가치 등을 중심으로 생장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카드뮴(Cd) 처리구의 경우, 엽장과 엽폭의 상대생장률이 식재 후 4개월이 경과된 시점에서 급속히 감소하였다. 총엽수, 신엽수, 엽록소함량, 관상가치 등의 형태적 항목에서도 Control> $Cd_{100}$ > $Cd_{250}$ > $Cd_{500}$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납(Pb) 처리구에서 엽장의 상대생장률은 $Pb_{250}$과 $Pb_{500}$ 처리구에서만 변화율이 감소한 반면, 엽폭은 납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률의 감소양상이 뚜렷하였다. 총엽수, 신엽수, 고사엽수등은 대조구와 $Pb_{100}$ 처리구에서 비교적 유사하였으나, 엽록소함량, 관상가치 등은 납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양상이 매우 뚜렷했다. 아연(Zn) 처리구는 카드뮴와 납 처리구와는 달리 식재 후 4개월이 경과된 시점에서도 변화율의 차이가 있을 뿐, 엽장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엽폭 상대성장율 또한 $Zn_{500}$ 처리구를 제외하고, 비교적 완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총엽수, 신엽수, 고사엽수, 관상가치는 $Zn_{500}$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낸 반면, Control, $Zn_{100}$, $Zn_{250}$ 처리구간에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맥문동의 관상가치적 관점에서 생장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현장적용의 기반 연구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하지만, 중금속에 대한 식물의 내성은 중금속 자체의 특이성과 환경조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개연성을 가지므로, 실내연구와 현장적용성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Heavy metal pollution is a widespread global problem causing serious environmental concern. Heavy metals such as Cd, Pb, and Zn can induce toxicity in all organisms if the soil levels of contaminants reach critical valu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Liriope platyphylla, an ornamental Korean native plant with great potential for contaminated soil in urban areas, to determine tolerance for Cd, Pb, and Zn. Plants were grown in amended artificial soil with Cd, Pb, and Zn at 0, 100, 250, and $500mg{\cdot}kg^{-1}$ for 7 months. The length of leaf, width of leaf, total leaf number, dead leaf number, new leaf number, chlorophyll contents, and ornamental value were monitored from May to August, during growth the period. The relative leaf length and leaf width displayed rapidly decreasing tendencies with an increasing Cd concentration beginning from 4 months after planting. The same decreasing tendency was observed in total leaf number, new leaf number, chlorophyll contents, and ornamental values showed a trend of Control> $Cd_{100}$ > $Cd_{250}$ > $Cd_{500}$. In Pb concentration treatments, the relative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lants grown at $250mg{\cdot}kg^{-1}$ and $500mg{\cdot}kg^{-1}$ as compared to the Control, $100mg{\cdot}kg^{-1}$. The total leaf number, new leaf number, and dead leaf numb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in Control and $Pb_{100}$ but chlorophyll contents and ornamental 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Pb supply concentration treatments. However, in Zn supply treatments, the relative leaf length was higher at $100mg{\cdot}kg^{-1}$ than the Control, $250mg{\cdot}kg^{-1}$, $500mg{\cdot}kg^{-1}$, but the relative leaf width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Zn_{100}$, $Zn_{250}$, and $Zn_{500}$. The total leaf number, dead leaf number, new leaf number, and ornamental value showed the lowest value in plants grown in $Zn_{500}$ treatmen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other treatments.

      • KCI등재

        겨울철 제설제(CaCl<sub>2</sub>)농도처리에 따른 맥문동과 수호초의 내염성 평가

        주진희 ( Jin-hee Ju ),( Xu Hui ),박지연 ( Ji-yeon Park ),최은영 ( Eun-young Choi ),윤용한 ( Yong-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4

        본 연구는 겨울철 제설제 (CaCl2) 농도처리에 따른 맥문동(Liriope platyphylla)과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의 내염성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제설제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염화칼슘을 각각 0%(Control), 0.5%, 1.0%, 3.0%, 5.0%로 처리한 실험구에 2015년 11월에 맥문동과 수호초를 정식한 후, 이듬해 이른 봄인 2016년 3월에 내염성을 평가하기 위해 초장, 엽장, 엽폭, 엽형지수, 생체중, 건물중, 엽록소함량, 광합성률, 기공전도도, 증산율 등을 측정하였다. 초장, 엽장, 엽폭, 엽형지수, 생체중, 건물중, 엽록소함량, 광합성률, 기공전도도, 증산율 등은 제설제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감소되는 것은 두 식물이 동일하였으나, 맥문동이 수호초보다 좀 더 안정된 생육 및 생리적 특징을 보였다. 무엇보다, 맥문동은 3.0% 이상에서, 수호초는 1.0% 이상의 농도처리에서 생존이 불가능해 맥문동이 수호초보다 내염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도시 내 제설제 피해지역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important to know know deleterious impact of deicing salt on plants for guidelines of planting along roa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lcium chloride (CaCl2)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riope platyphylla and Pachysandra terminalis. The plants were grown from November of 2015 to March of 2016 in pots containing growing media with CaCl2 at 0% (Control), 0.5%, 1.0%, 3.0%, and 5.0% (based on the weight). While plant growth and photosynthetic activ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plant species grown on the media with CaCl2, the degree of sensitivity to CaCl2 differed. The plant growth of Liriope platyphylla was considerably injured under higher than 3.0% of CaCl2, whereas Pachysandra terminalis was all dead under higher than 1.0% of CaCl2. This results indicate that Liriope platyphylla has higher degree of tolerance to the deicing salt than Pachysandra terminalis.

      • 광환경이 벌개미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김광식 啓明專門大學 産業開發硏究所 2000 啓明硏究論叢 Vol.18 No.2

        지피식물의 생리, 생태학적인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8년 3월부터 9월까지 계명문화대학 실험포장에서 별개미취를 재료로 하여 광환경을 달리한 상태에서 이들 인공군락의 물질생산과 생장특징을 분석하였다. 3반복 완전임의배열법에 의하여 각 시험구 공히 식물별 전일광(비교구), 30%, 50%, 70% 차광구의 시험구를 설치하였다. 15일 간격으로 주변효과(Edge-effect)를 고려한 Sampling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방법에 의한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별개미취의 생육경과에 따른 엽수의 생장은 비교구와 30%차광구가 시험기간중 전 생육과정에서 50%, 70%의 차광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경향을 보였다. 2. 건물중은 비교구 및 30% 차광구에서 8월 초순경 이후 생육과정에서 높은 증대율을 나타내였고, 50%와 70% 차광구는 현저히 낮은 치를 보였다. For the study of pysiological, ecopysiological characteristics on ground cover plant of these artificial population under each different light environment, the material productivity 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Aster koraiensis community on the experimental farm of kemyung college, from March 1998 to September 1998. The installation of experimental plots was split into control plot(full sunlight), 30%, 50%, and 70% shading rate by 3 replication of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method. After the edge effect was taken into account, sampling of the plants was selected from each plot in every 15da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leaf showed high tendency under control, 30% shading plot as compared with 50%, 70% shading plot for the examination as the processing of development. 2. The weight of dry matter was high increasing rate in control, 30% shading plot in the processing of development, after early August. 50%, 70% shading plot were remarkably low value.

      • KCI등재
      • 인공지반 녹화용 지피식물의 열성능 평가

        한승원(Han Seung-Won),김형숙(Kim Hyung-Sook),이동우(Lee Dong-Woo)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0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of thermal environment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is paper we selected 5 kinds of ground cover plants and used empty chamber to ascertain the difference with plants and without plants. At the 28℃, Kentucky blue grass species showed 2.28℃ lower temperature than without plants. Especially Polytrichum commune showed 3.81℃, which is effective to maintain proper temperature on indoor environment. Under 18℃, Polytrichum commune decreased 0.1℃ · min?¹, Kentucky blue grass decreased 0.4℃ · min?¹. On setting temperature 28℃ it also showed similar tendency that the temperature decreased faster in the place without plants than the place with ground cover plants.

      • KCI등재후보

        경주시 아파트단지 내 식재된 조경식물의 특성- 현곡면을 대상으로 -

        유주한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materials of landscape planting by objectivel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current state of landscape plants planted in apartment complex.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lanted landscape trees were summarized as 165 taxa including 61 families, 115 genera, 131 species, 2 subspecies, 9 varieties, 7 forms, 6 hybrids and 10 cultivars. The results of height were 51 taxa of trees, 13 taxa of subtrees and 49 taxa of shrubs. The results of leaf fall and leaf shape were 20 taxa of evergreen broad leaved trees, 17 taxa of evergreen coniferous trees, 2 taxa of deciduous coniferous trees and 74 taxa of deciduous broad leaved trees. The results of forms were 14 taxa of evergreen coniferous trees, 3 taxa of evergreen coniferous shrubs, 1 taxa of evergreen broad leaved tree, 4 taxa of evergreen broad leaved subtrees, 15 taxa of evergreen broad leaved shrubs, 2 taxa of deciduous coniferous trees, 34 taxa of deciduous broad leaved trees, 9 taxa of deciduous broad leaved subtrees, and 31 taxa of deciduous broad leaved shrubs. The herbaceous plants were 52 taxa including 12 taxa of native species, and 40 taxa of exotic specie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Papaver rhoeas, Oxalis articulata, Verbena bonariensis, and so forth. 본 연구는 아파트단지에 식재된 조경식물의 현황을 객관적으로 조사 및 분석하여 조경식재 재료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경식물은 61과 115속 131종 2아종 9변종 7품종 6잡종 10재배품종 165분류군이었다. 수고 분석 결과, 교목은 51분류군, 소교목은 13분류군, 관목은 49분류군이었다. 낙엽유무 및 엽형 분석 결과, 상록활엽 20분류군, 상록침엽 17분류군, 낙엽침엽 2분류군, 낙엽활엽 74분류군이었다. 성상 분석 결과, 상록침엽교목 14분류군, 상록침엽관목 3분류군, 상록활엽교목 1분류군, 상록활엽소교목 4분류군, 상록활엽관목 15분류군, 낙엽침엽교목 2분류군, 낙엽활엽교목 34분류군, 낙엽활엽소교목 9분류군, 낙엽활엽관목 31분류군이었다. 초본은 자생종 12분류군, 외래종 40분류군 등 총 52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은 개양귀비, 덩이괭이밥, 버들마편초 등 7분류군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