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도소리 ‘떠는목’의 유형과 특징 - 민요ㆍ좌창ㆍ송서를 중심으로 -

        임미선 한국국악학회 2021 한국음악연구 Vol.69 No.-

        본고는 음성ㆍ음향 분석 프로그램 Praat를 활용하여 서도소리에서 나타나는 떠는목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두었다. 필자는 선행 연구로 수심가에 쓰이는 떠는목을 분석한 바 있는데, 이번 논문에서는 수심가 외 다른 민요와 좌창, 송서 등의 곡에 쓰이는 떠는목을 다루었다. 본고에서 민요는 통속민요와 향토민요를 포함하여 분석하였으며, 좌창 중에는 배따라기, 송서로는 추풍 감별곡을 분석하였다. 서도소리 범주에 드는 이러한 다양한 악곡들에서 떠는목이 쓰이는 형태와 특징을 살피면서 그것이 서도민요를 대표하는 수심가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비교도 시도하였다. Praat로 분석한 민요ㆍ좌창ㆍ송서에 쓰인 떠는목의 유형과 특징을 갈래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민요 에는 다양한 형태가 쓰이지만, 좌창과 송서는 민요에 비해 다양한 형태가 쓰이지 않으며, 특히 낭송조로 부르는 송서의 경우에는 떠는목이 상대적으로 적게 쓰였다. 민요의 경우 떠는목은 주로 A음에 쓰이되, G가 구성음으로 등장할 때에는 A-G음군으로 범위가 넓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배가 느리면서 한 음의 길이가 길 수록 떠는목의 변화가 많고 다양한 형태가 쓰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서도소리 가운데 떠는목은 민요에서 가장 강하게 발현되며 한배가 느린 곡일 수록 다양한 형태가 쓰이며 수심가가 가장 다양한 형태의 떠는목이 운용되는 것으로 정리된다. 본고에서 Praat를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청각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요성의 음고 변화, 다양한 형태의 떠는목을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서도소리에 쓰이는 떠는목의 형태가 음고처리와 더불어 발성과 호흡법에 의해서 표출되는 다양한 측면을 분석하는 데에 매우 유용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ypes and features of ‘Vibrating Tone’ appearing in Seodosori using a sound and audio analysis program called Praat. Prior to this study, I analyzed the Vibrating Tone used in Susimga, and for this paper, I studied the Vibrating Tone used for other folk songs, Jwachang and Songseo in addition to Susimga. As musical pieces analyzed in this study, folk songs included popular folk songs and local folk songs. I also analyzed Jwachang titled Baettaragi and Songseo titled Chupunggambyeolgok. While looking into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ibrating Tone in various songs belonging to the Seodosori category, I tried to find differences from Susimga. For this study, I used Praat, a voice analysis program, to analyze patterns of the Vibrating Tone. Based on the data analyzed, I summarized the patterns of operation of the Vibrating Tone by faction used in folk songs, Jwachang and Songseo as follows. Various patterns of Vibrating Tone types are used for folk songs compared with Jwachang and Songseo. In the case of Songseo that is sung like a recitation, in particular, the Vibrating Tone isn’t used relatively frequently. Vibration isn’t used for notes with long siga from the beginning but used from the middle. In the case of the Vibrating Tone used for ‘A’ note (G note occasionally), in which long siga appears successively, the same patterns are not used repeatedly and changed patterns are used instead. I did not analyze the categories of Sichang and Seodosori in detail in this study, but the Vibrating Tone seems to be used limitedly for songs belonging to Sichang among Seodosori and restrained types are used. Considering this, the Vibrating Tone appears in folk songs the most among Seodosori. In summary, more diverse forms are used for slower songs and the most diverse forms of Vibrating Tone are used for Susimga.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rembling sounds in Seodo-sori using the voice and sound analysis program Praat. In this paper, he covered other folk songs, sit-downs and songwriters. The folk songs were analyzed in this collection, including popular folk songs and local folk songs, while the song is composed of boat-following and songseo-ro. Looking at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trembling voices in these various musical pieces in the Seodo Sound category, we also tried to compare how they differed from Susim-ga. This paper used a speech analysis program, Praat, to analyze the shape of the trembling neck. Based on the analyzed data, the operation patterns of trembling trees used in folk songs, sit-downs, and songbooks are summarized as follows : Vibrating neck is used in folk songs, while the sedentary window and songseo are not used in ibrating neck compared to folk songs, especially in the case of Songseo, which is called a recital, a relatively less trembling voice is used. In addition, a long poem note is not used from the beginning, a middle note is used, and a long poem is used for continuous A notes (sometimes G notes) is not used repeatedly, but a changed form is used.

      • KCI등재

        서도소리의 문화재 지정과 전승의 문제점

        김인숙 한국민요학회 2012 한국민요학 Vol.36 No.-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issues of the Cultural Property designation and vulnerability of transmission of Seodo-Sori, in addition to suggesting new ways for its development. Seodo-Sori, recognized as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29, includes Susimga (folksong), Kwansan-yungma (singing poetry), and Baebaeng-yi-gut (dramatic song). First, I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we can find some irrational and intolerant aspects in the process of the Cultural Property designation of Seodo-Sori. Having three different styles of music to be designated as Seodo-Sori Cultural Properties is somewhat peripheral and parenthetic in the whole field of view. Furthermore, it shows that not enough preliminary research has been done. These are relevant in reviewing today’s reality. Seodo-Sori is the music of a part of Korea where almost all of its traditional music has been changed and assimilated after the division. Secondly, the main pieces of Seodo-Sori are Jwachang (long lyric song) and Ipchang (Santaryong) and their similarities to Kyeong-gi-Sori has been presented as fact. Even though several procedural problems may occur, Jwachang (Gongmyeongga, Chohanga, Baettaragi etc.) and Ipchang (Nolryang-Sageori) should be designated as separate cultural assets to make a desirable condition of transmission. Moreover, it would be helpful to expand the realm of Seodo-Sori to designate cultural properties individually by the musical branch, rather than bundling them all into a pronged Seodo-Sori. Third, I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odo-Sori area research and would like to recognize that the passion and commitment of the Seodo-Sori Cultural asset arts holder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이 글은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의 문화재 지정의 문제점과 전승의 취약함을 논의하고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에는 서도민요인 <수심가>와 시창인 <관산융마>, 그리고 판소리의 일종인 <배뱅이굿>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문화재 지정 실태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에 대하여 다음의 세 가지 내용이 중점적으로 논의되었다. 첫째, 서도소리의 문화재 지정이 서도소리에 대한 정확한 검토나 충분한 사전 조사가 부재한 상태에서 서도음악 가운데 부수적이거나 특정 악곡에 한정하여 이루어진 점이다. 이는 한반도 이북의 노래로서 서도소리가 오늘날 주변음악에 머무른 채 제대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둘째, 경기소리에 비추어보면 쉽게 드러나듯이 서도소리의 중심 악곡은 ‘좌창’과 ‘입창(산타령)’이다. 여러 가지 절차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겠으나, 서도소리의 바람직한 전승을 위해서는 좌창(공명가, 초한가, 배따라기 등)과 입창(놀량사거리)이 우선적으로 문화재로 지정되어야 한다. 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에 모든 갈래의 소리를 묶기보다는 ‘서도 좌창’, ‘서도 입창’, ‘배뱅이굿’, ‘송서’(추풍감별곡) 등과 같이 음악의 갈래별로 문화재를 지정하는 방안도 서도소리의 영역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서도소리의 바람직한 전승을 위해서는 서도소리에 대한 연구가 진전되어야 할 것이며 전승 주체의 열정과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 ‘경기민요’의 장르적 구분과 음악적 특성

        김혜정(Kim Hey Jung)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6 기전문화연구 Vol.37 No.-

        현재 경기민요라 지칭하는 대상은 향토민요 계열, 잡가-좌창 계열, 잡가-입창 계열, 통속민요 계열의 네 가지 장르로 나뉜다. 경기지역 향토민요는 주로 농요와 의식요를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는데, 메나리토리에 3소박 4박의 중중모리형과 자진모리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잡가-좌창은 양반 음악문화인 가사를 지향하는 음악문화이며, 잡가-입창은 창부타령토리와 변박을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통속민요에서는 창부타령토리와 굿거리장단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경기 지역 음악인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음악적 정체성은 창부타령토리와 굿거리장단의 조합에 있다. 이 조합은 춤 반주 음악으로서 매우 적절하다. 그리고 춤을 좋아하는 경기 지역 사람들의 취향과도 잘 맞아 떨어진다. 경기도는 지리적 접변이나 장르적 접변 및 혼용이 많아 음악문화가 복합적이고 다중적이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socalled Gyeonggi folk song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sections. The first is a folk song section which has been transmitted by the public of Gyunggi province. The second is Japga-Jwachang[雜歌-坐唱] section which is formed and established by professional singers of Seoul. The third is Japga-Ipchang[雜歌-立唱] section by song of Sadangpae. The fourth is popular folk song section which is created at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is article examined the genre features of Gyunggi folk songs one by one and discussed how to label musical-kulturkrei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ly, the subjects that are defined as Gyunggi folk songs include not only folk songs but also Jwachang and Ipchang of Japga.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separate and recognize them, but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background under when the concept has become complex. Secondly, folk songs are transmitted normally in the form of farmers’ song and ceremony songs, in which 3 small beat and 4 beat style of jungjungmori and janjinmori type of menaritori(mi mode) are most frequently used. Some song do not share features, and they originate from genre-geographical assimilation, frequently by genre assimilation by shaman songs and geographical assimilation with north and eastern regions. Japga-Jwachang is a musical culture that aims for Gasa, a yangban musical culture, while Japga-Ipchang uses changbutaryengtori (sol mode) and irregular beat significantly. In poplar folk songs, changbutaryengtori and gutguri rhythm are used the most. Thirdly, in Gyunggi, folk songs and popular folk songs do not share characteristics. In Gyunggi, there was the capital of Joseon Dynasty, Hanyang, and there were a lot of musicians. Being close to the highest musical culture, the role of professional musicians must have been stronger than other regions. Therefore, their music aims for higher class naturally. Fourthly, the choice of Gyunggi musicians is the combination of changbutaryengtori and gutguri rhythm. This combination works very well for accompanying dance songs. Also it falls into line with the preferences of Gyunggi residents who love singing. Changbutaryengtori is a tori that can contain the identity of Gyeonggi in the sense that it can establish discrimination from other kulturkreis and that it reflects the artistic flavor of Gyunggi residents and the features of samhyunyukgak[三絃六角] because Gyeonggi itself is complex and multi-layered.

      • KCI등재

        고방(古方)과 사암침(舍岩鍼)을 이용한 염증성 여드름 치험례

        김환영,성은진,윤채성,윤철,안민섭,김훈영,조은희,박민철,Kim, Hwan-Yeong,Sung, Eun-Jin,Yun, Chae-Seong,Yun, Cheol,An, Min-Seop,Kim, Hun-Yeong,Jo, Eun-Hee,Park, Min-Cheol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08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1 No.3

        Background and Objective : Acne is very common skin disease encountered by dermatologists. But There is few reports on Acne treated with the Ko-Bang(古方) and the Sa-Am acupuncture. The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cne patients by the Ko-Bang(古方) and the Sa-Am acupuncture. Methods : We conducted one patient with Acne seen at Won-Kwang University Ik-San Oriental Medical Hospital. We treated Acne by a herbal medicine, acupuncture, etc.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management have an effect with Acne which means Jwachang(挫瘡) in Oriental medicine.

      • 신라왕경연구 Ⅱ - 왕실창고와 산성창고를 중심으로 -

        김호상,최진욱 경주사학회 2009 경주사학 Vol.0 No.30

        신라왕경연구는 신라사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연구과제이지만 최근까지도 고고학적 연구결과에 중점을 둔 도시계획적인 측면에 치중·국한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 결과 도시계획적 측면으로는 많은 부분에 있어 성과를 올린 것도 사실이나 왕경연구의 폭을 확대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신라왕경의 유지와 운영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요소였던 창고시설의 기능과 성격 등을 밝혀 조금이나마 신라왕경연구의 폭을 넓히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신라시대 전반적으로 모든 창고는 왕실의 권위에서 자유롭지 못했다는 사실과 왕경을 보호하는 주변 산성의 내부에 위치했던 입지를 통해 그 기능과 성격을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12잡가 형장가 연구

        송은주(Eun-joo, So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1 국악교육 Vol.32 No.32

        본 논문은 <12잡가>중 한곡인 ‘형장가(刑杖歌)’를 연구하였다. ‘20세기 초 ‘형장가’’와 ‘현행 ‘형장가’’를 비교 대상으로 삼아 사설과 음악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화양상 등을 분석하였다. <12잡가>의 출현은 19세기부터지만 <12잡가> 12곡이 모두 완성된 것은 20세기 중반이며 ‘형장가’ 는 20세기 초에 나타난다. ‘형장가’의 연구를 위해 20세기 초 <12잡가> 사설을 수록한 『한국속가전집』, 20세기 초?중반의 <12잡가> 사설과 악보를 수록한 『?잡가악보집』?, 현행 <12잡가> 사설과 악보를 수록한 『경기12잡가』가 연구 자료로 사용 되었다. II장에서 ‘형장가’ 사설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형장가’ 사설의 내용 변화는 1번 나타난다. 내용 변화의 양상은 ‘가사의 첨삭’과 ‘내용의 순서 변화’이다. 사설의 어휘 차이 양상은 다섯 군데로 ‘고어의 현대어 교체, 종결어미의 교체, 연결어미의 교체, 감탄사의 교체, 어미의 교체’,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형장가’ 어휘 차이의 뚜렷한 규칙성은 없으며, 다만 『?한국속가전집』?의 고어(古語) 표기가 『?잡가악보집』?, 『?경기12잡가』?에서는 현대어 표기로 바뀐 것이 특징이다. 사설의 내용 변화와 어휘 차이의 양상을 분석해 볼 때, 『?한국속가전집』?에서 『잡가악보집』, 『경기12잡가』에 이르기까지 ‘형장가’ 사설의 어휘 차이는 거의 없으며 『?한국속가전집』?에는 없던 사설이 『잡가악보집』과 『?경기12잡가』?에 나타난다. ‘가사의 첨삭’으로 내용상으로는 판소리 <춘향가>의 한부분이지만 독립된 곡으로써 <12잡가> ‘형장가’의 완성도를 높였다. III장에서 ‘형장가’의 장단과 말붙임을 살펴보았다. ‘형장가’에 나타나는 장단은 모두 두 종류로 사용하는 장단은 ‘느린6박장단’, ‘빠른6박장단’이다. 『잡가악보집』과 『경기12잡가』에 수록된 ‘형장가’ 장단의 종류와 전체 장단수는 같다. 그러므로 ‘형장가’는 장단에 있어서 변화가 없다. 다음으로 ‘형장가’의 말붙임과 말붙임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형장가’에 나타나는 말붙임 유형은 ???, ??? 두 종류이다. ‘형장가’ 각 장단의 첫 박에는 주로 ??? 유형이 나타났다. ‘형장가’는 주로 첫 박과 넷째 박에 말붙임이 있다. 첫 박과 넷째 박은 모두 북편에 해당하므로 ‘형장가’의 말붙임은 북편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형장가’는 어단성장(語短聲長)의 영향을 받은 노래임을 알 수 있다. IV장에서 ‘형장가’의 악곡구분 및 출현음과 종지음을 살펴보았다. ‘형장가’는 유절형식의 후렴구가 없는 곡이다. 『잡가악보집』과 『경기12잡가』?‘형장가’의 출현음은 ‘G<SUB>3</SUB>, A<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 A<SUB>4</SUB>’의 6음으로 두 가집의 출현음은 같았다. 출현음의 음정은 ‘장2도+완전4도+단3도+장2도+장2도’이다. 중심음은 ‘D<SUB>4</SUB>’이며 종지음은 ‘G<SUB>3</SUB>’로 하행종지 하였다. 두 가집의 출현음, 주요음, 중심음은 모두 같다. ‘형장가’의 주요음은 ‘G<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이다. 주요음의 음정은 ‘완전5도+단3도+장2도’로 진행하며 음간의 도약이 있어 ‘형장가’는 <12잡가>중 다이나믹한 선율을 느낄 수 있는 곡이다. ‘형장가’는 서정적인 선율과 변화 있는 장단으로 엮은 <12잡가>로 시대적으로 살펴보면 사설의 변화가 나타났고 장단, 출현음, 중심음, 종지음의 변화는 없었다. ‘형장가’ 곡 안에서의 장단은 ‘느린6박장단’에서 ‘빠른6박장단’으로 변화했으며 출현음과 종지음의 변화는 없었다. ‘형장가’는 판소리 <춘향가>중 한 대목을 확대하여 인생의 희노애락(喜怒哀樂)과 애증(愛憎)의 감정을 장단의 변화로 표현한 절제된 <12잡가>이다. This study examined ‘Hyeogjangga(刑杖歌, Song at the Execution Ground)’, a piece of music among <Twelve Japga(十二雜歌)>. This study analyzed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s in narration and music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al aspects by comparing the early 20th century ‘Hyeogjangga’ and ‘current Hyeogjangga’. <Twelve Japga> started from the 19th century but 12 songs of <Twelve Japga> were completed in the middle 20th century, and ‘Hyeogjangga’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the analysis of ‘Hyeogjangga’, this study used 『Korean Popular Song Collection』 ?with the early and middle 20th century <Twelve Japga> narration and music and 『Gyeonggi Twelve Japga(京畿十二雜歌)』 ?with current <Twelve Japga> narration and music. In chapter II, this study analyzed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s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al aspects of ‘Hyeogjangga’ narration. The changes in ‘Hyeogjangga’ narration are seen once. The aspect of the changes is ‘addition and deletion of lyrics’ and ‘changes of order of content’. The aspect of vocabulary changes of narration is diversely seen as five types such as replacement of archaic word by modern language, replacement of sentence endings, replacement of connective endings, replacement of interjection, and replacement of endings. There is no certain regularity of differences in ‘Hyeogjangga’ vocabularies but archaic word of 『Korean Popular Song Collection』 ?has been changed to modern language in ?『Book of Japga(雜歌樂譜集)』 ?and 『Gyeonggi Twelve Japg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hanges in contents of narration and differences of vocabularies, the changes of ‘Hyeogjangga’ narration are rarely seen. In chapter III, this study looked into rhythm and malbuchim of ‘Hyeogjangga’. Rhythms in ‘Hyeogjangga’ are two types of ‘slow 6-beat rhythm’ and ’fast 6-beat rhythm’. The type and the number of rhythms of ‘Hyeogjangga’ included in 『Book of Japga』 ?and 『Gyeonggi Twelve Japga』 ?are same. Therefore, there is no change in the rhythm of ‘Hyeogjangga’. Next, this study examined types of malbuchim of ‘Hyeogjangga’ and the types of malbuchim. The types of malbuchim in ‘Hyeogjangga’ are two ???, ???. The first beat of each rhythm in ‘Hyeogjangga’ is mostly ???. The first and the fourth beats of ‘Hyeogjangga’ are mostly malbuchim. The first and the fourth beats occur at bukpyeon so malbuchim of ‘Hyeogjangga’ is in the bukpyeon. Based on this fact, we know that ‘Hyeogjangga’ is affected by the Eodan-seongjang(語短聲長). In chapter IV, this study looked into the movements of music, th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and the tone of cadence(終止音) of ‘Hyeogjangga’. ‘Hyeogjangga’ has no stanzaic form of chorus. The tone of appearance of ‘Hyeogjangga’ in 『Book of Japga』 ?and 『Gyeonggi Twelve Japga』 ?is six sounds of ‘G<SUB>3</SUB>, A<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 A<SUB>4</SUB>’, and they are same as th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of the two music books. The tunes of tone of appearance(出現音) are ‘Major 2nd + Perfected 4th + Minor 3rd + Major 2nd + Major 2nd’. The tone of core(中心音) is ‘D<SUB>4</SUB>’ and the tone of cadence (終止音) of down cadence(下行終止) occurred as ‘G<SUB>3</SUB>’. These two music books show the sam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the tone of importance(主要音) and the tone of core(中心音). The tone of importance(主要音) of ‘Hyeogjangga’ are ‘G<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 The tune of the tone of importance(主要音) is conducted as ‘Perfected 5th + Minor 3rd + Major 2nd’ and there is a jump between sounds so ‘Hyeogjangga’ out of <Twelve Japga> shows a very dynamic melody. ‘Hyeogjangga’ is <Twelve Japga> with lyrical melodies and dynamic beats and shows narration changes by times but there is no change in beats, tone of appearance(出現音), the tone of core(中心音), and the tone of cadence(終止音). The 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