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羅 종이문서의 現狀과 裝幀·廢棄·再活用 과정

        윤선태(Yoon, Seon-tae)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50

        「신라촌락문서」와 사하리가반에 부속되어 발견되었던 「사하리가반부속문서」는 실물로 전하는 신라 當代의 종이문서라는 점에서 남다른 가치가 있다. 촌락문서와 가반문서는 문서의 내용 판독과 해석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문서의 裝幀 방식이나 재활용 과정 전체에 대한 관련 정보들도 수집 정리되어야 한다. 관문서의 작성 과정에는 최초 종이의 생산에서, 종이의 연접, 괘선 긋기 등 문서의 裝幀 등 물질적 준비가 먼저 이루어진다. 또 문서가 작성된 후 일정한 보존기간이 지나 그 용도가 폐기되면, 문서 裏面의 백지(空紙)를 재활용하여 새로운 문서 작성이나 기타 여러 방식으로 재활용하는 과정이 있었다. 촌락문서와 가반문서로 볼 때, 신라의 관문서 작성에 사용된 종이는 두꺼운 楮紙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는 촌락문서 제작에 사용된 기본 종이는 그 크기가 29.5×52㎝로 추정되어, 대체로 당시 종이는 唐尺을 기준으로 1척×2척의 크기로 생산되어 용도에 맞게 다시 재단하여 사용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종이 생산은 통일기에는 이미 일반화되어 지방 군현에서도 종이제작기술자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신라의 관문서는 이러한 기본 크기의 종이를 여러 장 연접하여 두루마리 형식의 卷子本으로 裝幀하였다. 연접방식은 오른편 종이가 왼편 종이의 위로 오도록 붙이는 ‘純繼’와 그 반대의 ‘逆繼’ 방식이 모두 나타나는데, 일정 기간 보존했던 보관용 문서인 촌락문서는 순계로 연접되었고 먹줄이나 자를 사용해 괘선을 정연하게 그어 내용을 정리하였다. 반면에 메모용 문서로 추정되는 가반문서 파편 부분은 역계의 방식으로 연접되었고 괘선도 손으로 대충 그어 사용하였다. 신라에서는 메모가 다 되었거나, 보존기간이 끝난 관문서들은 문서를 작성했던 관청내부나 다른 관청 또는 사찰 등에 불하되었다. 이 불하된 관문서들은 불특정의 크기로 다시 잘라 해체한 뒤에, 최초 문서의 이면 백지를 다른 용도로 재활용하였다. 촌락문서는 사찰에 불하되어 『華嚴經論』의 經帙 제작에 재활용되었고, 가반문서는 관청에 불하되어 다시 또 다른 메모용의 문서로 재사용되었다. 한편 앞뒷면의 종이가 모두 서사된 뒤에도, 관문서는 버려지지 않고 다른 용도로 재활용되었다. 가반문서나 쇼소인 소장의 유기 숟가락 포장 상태 등으로 볼 때, 신라에서는 관문서를 손으로 찢어서 對일본 교역물품에 흠집이 나지 않도록 하는 충전용 종이나 포장지로 재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신라의 종이문서는 현재 촌락문서와 가반문서, 이 두 가지 사례밖에 없지만, 一當百처럼 일본의 正倉院文書에 못지않게 신라의 종이 제작, 문서의 생산과 폐기, 문서의 재활용 과정 전반에 관한 유익한 정보들을 소상히 알려준다. 이러한 정보들을 미리 체계적으로 정리해두면, 앞으로 쇼소인 소장의 신라 숟가락 셋트를 포장했던 신라 종이문서들이 공개될 때, 그 문서적 특징을 간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Silla Village Register Document(新羅村落文書 SVR)” and the “Document attached to the Sahari-Kaban(佐波理加盤附屬文書 DAS)” which were found at the Shosoin in Japan, are of extraordinary value in that they are actually paper documents of the Silla Dynasty. While reading and interpreting the content of documents is important for studying Silla history, relevant information on the making and Recycling Process of Paper Documents should be collected and organized as much as for the method of binding and the entire recycling process of the document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documents of the government office, material preparation, such as the production of the first paper, the bond of the paper, and the binding of the documents, such as drawing the line, are carried out first. In a ddition, after the document was prepared and its use was discarded after a certain period of preservation, there was a process of recycling the white paper on the back of the document to prepare new documents or recycle them in various ways. The SVR and the DAS indicate that the paper used to make documents for the government offices of Silla was made of Dak-paper(楮紙). The basic paper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VR, which remains in full form, is estimated to be 29.5×52㎝ in size, and it is generally thought that the paper was produced in the s ize of 1×2check(尺) based on the scale of the Tang Dynasty of China and was re-cut and used according to its purpose. Paper production has already been generalized during the Unified period, so the existence of paper-making engineers can be confirmed in local county. The oficial do cuments of Silla were made in a scroll format by bonding several pieces of paper of this basic size. The bonding method shows both ‘Soongye(純繼)’, which is a general method of attaching the right paper to the top of the left paper, and ‘Yeokgye(逆繼)’, which is a rare method of attaching it to the opposite of Soongye. While the SVR was bonded to Soongye and arranged the lines neatly, the DAS assumed to be for short-term memos were bonded by Yeokgye, and the lines were roughly drawn and used by hand. In Silla, the documents of government offices, which had been completed or whose preservation period had expired, were referred to inside the government offices, other government offices, or temples. These loaded official documents were cut back into unspecific sizes and then recycled for other purpo ses the white paper on the back of the original document. The SVR was reused as paper cloth for wrapping various scrolls of Buddhist scriptures, while the DAS was returned to the government office and reused as another document for memos. On the other hand, even after all the paper on the front and back sides was written, was not discarded and recycled for other purposes. Based on the packing conditions of the brass spoon at the Shosoin, it can be seen that Silla used the documents of government offices to tear them by hand and recycle them as packaging for trade goods sent to Japan. Although Silla currently has only examples of the SVR and the DAS documents,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the overall process of paper making, binding and discarding of documents, and recycling documents as well as numerous ancient Japanese government documents as the Shoso in Documents. If such information is organized in advance, it will be a very useful reference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cuments when the documents of Silla government offices, which had packaged the Silla spoon set of Shosoin, are released.

      • KCI등재

        세법상 전자화문서 보관의 활성화 방안

        윤현석(Yoon Hyunseok) 한국세법학회 2013 조세법연구 Vol.19 No.2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전자문서의 생성?유통을 확산시키고 있지만, 종이문서의 사용량은 줄어들지 아니하고 있다. 이에 대해 기업들은 전자화문서가 종이문서와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종이문서 원본만을 신뢰하고 인정하는 법?제도적 관행은 종이문서와 전자화 문서의 이중 보관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한편 일부 법률에서는 종이문서 원본을 요구하고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법이 세법이다. 세법의 종이문서 원본 요구는 기업 등이 종이문서를 전자화문서로 변환하여 보관하지 못하게 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국세기본법은 장부 및 증거서류 중 위?변조 가능성이 높은 계약서 등 법령에서 정하는 경우에는 변환된 전자화문서가 아닌 원본인 종이문서를 보관하도록 정하고 있다. 그 후 2010년 2월 국세기본법 시행령 개정으로 종전 그 대상에서 제외되었던 재발급이 가능한 소송 및 인허가 관련 서류도 포함시킴으로써 전자화문서 보관대상을 확대하였다. 그러나 전자화문서와 관련하여 세법에서는 거래 관련 증빙서류를 전자화하여 보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나름대로 제시하고 있지만, 전자화문서 보관대상에서 제외되는 예외사유의 범위가 넓어 납세자들은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추진하는 거래과정에서 발생하는 과세자료 중 어떠한 자료를 전자화문서로 보관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납세자의 입장에서는 전자화문서 보관 후 과세당국으로부터 종이문서 원본을 요구받을 경우를 대비하여야 하므로 종이문서를 쉽게 전자화문서로 변환하여 보관하는 것을 주저할 수밖에 없다. 또한 납세자에게는 전자화과정과 공인전자문서센터 보관, 시스템 교체 등 새로운 비용에 대한 부담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납세자인 기업이 전자화문서로의 보관은 보관비용 절감을, 과세당국은 업무의 효율성과 과표 양성화를 추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spreading radical generation and distribution of electronic documents using computers. But Nor reduce the use of paper documents has not. Companies say because the paper and electronic form document does not have the same legal effect. The current legal framework are accepted as customary the original paper documents. This is bound to result in adverse effects of Dual storage of paper and computerized documents. On the other hand, some laws that require the original document in the paper, of which the tax law is typical. Tax laws are required of the original paper document storage. This requirement is one of the major causes that the companies prevent preservation of the computerized document. Basic Act for National Taxes has set that keep the original paper document if the legislation has set book and documentary evidence including the agreements to be easy to counterfeiting and tampering.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amended in February 2010 expanded the target of computerized document storage. The litigation and licensing documents to be reissued we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However, with regard to computerized documentation tax law does not provide clear criteria on whether to keep the computerization transactionrelated documents. Therefore, companies Therefore, companies are reluctant which paper documents tax data converted to electronic 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axpayer is bound to be afraid to easily convert paper documents into electronic form and keep the document . Computerized storage of documents shall be deemed to be forward reduction of storage cost in taxpayers and business efficiency and broadening tax base in tax authorities. Activation plan for computerized documents in the tax law would be said to alleviating the financial burden the company to store original paper document and to submit a copy as well as a way for environmentally significant.

      • KCI등재

        전자문서에 있어서의 법제의 동향과 증거력에 관한 연구

        한삼인(Han Sam-In),정창보(Jung Chang-Bo)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法學論叢 Vol.19 No.1

        The rapid and wide-spread growth in the use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has caused many a number of cases which could not properly be addressed with the existing legal system. As the traditional centerpiece of communication, the paper documents give way to the emerging electronic documents, new sets of laws are being introduced to address them. To support this shift to electronic documents, the government is also trying various options to facilitate the usage and spreading of the electronic documents. But the existing regulations and practices are still heavily centered on the paper documents, which is hindering the growth of the use and circulation of electronic documents. This led to persisting requests of enhancing the legal system that covers these issues, which also evoked the question whether the electronic documents can truly be treated as being equal to the paper documents. With this as the beginning point of the inquiry, in this study we examined and investigat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nic documents, the current trends surrounding electronic documents in Korea and other nations, and finally, the evidential credibilities of theses new type of documents in civil lawsuits. In conclusion, we suggest a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at there need to be discussions for revising and improving the existing codes of laws, systematic reviews and discussions to transform various practices and principles that were formed based on the paper documents to fit electronic documents, preparation of legal solutions for the possibilities of damaging or altering the certified electronic signature system, as well as a careful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a means to specify the arbitrary judgment made by the judges of the courts in terms of the evidential credibilities of the electronic documents. 컴퓨터와 인터넷이용의 대중화는 여러 면에서 기존의 법제가 예상하지 못했던 상황을 불러 일으켜 오고 있다. 중요한 의사교환의 수단으로 되고 있던 종이문서의 자리를 급속히 전자문서가 대처해 나가면서 새로운 법률들이 입법화가 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에서도 전자문서 보급ㆍ확산에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종이원본 중심의 관행ㆍ규제로 여전히 전자문서의 유통ㆍ확산 장애가 대두되고 있고 법령개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종이문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위에서 전자문서의 개념 및 특성을 파악하고 전자문서를 둘러싼 국내ㆍ외의 법제의 동향과 민사소송상 전자문서의 증거력을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전자문서에 관한 일반법의 제정 논의, 기존 종이문서에 의해 형성된 여러 가지 원칙들을 전자문서의 특성에 맞게 변경하려는 체계적인 검토 논의, 공인전자서명의 경우 훼손ㆍ변경의 가능성에 대한 법적 대비책 마련과 함께 전자문서의 실질적 증거력에 대한 법관의 자의적 판단을 좀 더 구체화시켜 나갈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해서도 신중한 논의 과정이 필요하다는 내용으로 시사점을 제시해 본다.

      • KCI등재

        전자문서의 원본성 요건에 관한 고찰

        정완용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2 동북아법연구 Vol.15 No.3

        전자문서법은 종이문서와 전자문서의 기능적인 등가치를 근거로 하여 전자문서의 문서로서 의 법적 효력을 인정하고 있고, 2020년 개정 전자문서법은 전자문서의 서면 요건을 신설하였다 (제4조의2). 그런데 개별 법령에서 문서의 원본을 요구하는 다수의 규정을 두고 있는데, 종이문 서 대신에 전자문서로 작성하는 경우에 개별 법령이 정하고 있는 문서의 원본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지가 문제 된다. 이 글은 UNCITRAL 전자상거래모델법(1996년), UNCITRAL 전자계약협약(2005)상의 원본성 요 건을 검토하였다. 또한 미국 통일전자거래법(UETA, 2000)상 전자기록의 원본성 규정과 일본의 전자문서법(2004)의 원본성 관련 규정을 분석하였다. 이들 국제 입법례에서는 공통적으로 전자 문서의 원본성 요건에 관하여 전자문서가 무결성과 재현성의 요건을 갖추어야 함을 정하고 있 다. 또한, 무결성을 신뢰할 수 있는지에 관한 판단 기준으로는 전자문서의 변조 여부를 알 수 있어야 한다는 점과 전자문서의 생성된 목적 및 관련 상황을 고려하여 판단한다는 점을 규정하 고 있다. 전자문서의 원본성 개념은 전자문서 자체가 원본이라는 의미라기보다는 전자문서가 일정한 요건을 갖추었을 때 전자문서에 대하여 종이 문서의 원본과 같은 법적 효력을 인정할 수 있다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문서의 원본성 요건“으로 전자문서의 열람성(재현 성), 무결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전자화문서의 원본성 요건과 전자화대상문서의 폐기에 관한 법적 논의에 대하여 검토한 후 전자문서의 원본성 요건과 동일한 규정에서 규율하는 입법방안을 살펴보고 공공기록물법에 원본문서를 폐기할 수 있는 규정의 신설을 제안하였다. The law of electronic document regulates the same legal effect of the electronic document as a paper document based on the functional equivalent approach between paper document and electronic document. Generally speaking, There are three kind of requirements relating to the form requirements of the electronic document. Firstly, writing requirement, secondly, signature requirement and thirdly, original form requirement. The 2020 revised law of electronic document have a new article number 4-2 on the writing requireme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There are so many provisions in the laws including need to be ‘original’form of the paper. In this case, If we make electronic document instead of paper document to apply the specific provision of the law, whether or not the writing form requirement of the law could be satisfied? Nevertheless, the 2020 revised law of electronic document had no provision on the original form requireme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In this paper, first of all to solve this problem and try to suggest legal provision of original form requirement to the law of electronic docume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is used such as the related provisions on the ‘original form requirement’ of UNCITRAL model law on electronic commerce(1999), UNCITRAL Convention of the use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in International Contracts(2005) and U.S.A. UETA(2000), Japanese Law of electronic document. This Study suggested new provision need to be codified in the law of electronic document regarding to the original form requirement which is consisted with ‘integrity’ requirement and ‘capability of being displayed’ requireme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This author wants that the digitalization will be spread widely based on this study regarding to the original form requireme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 KCI등재

        민사계약에 있어 전자문서 활용증대에 관한 법적 소고

        양재모(Yang, Jae-Mo) 한양법학회 2015 漢陽法學 Vol.26 No.1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u-Paperless Korea plan" since 2010. as the contract volume expanded by korea economic development Handling huge amount of paper work and the resultant high costs have become one of the biggest concerns to all parties involved in trade transactions. This is why the Korean government adopted paperless trading in trade. but For all Korean government continue her effort to expand electronic document, The result did not satisfy us. I think it is caused by fear of paperless environment. many administration branches hesitate changing paper based process into paperless process. The management structure of Paperless Trade in Korea should be based on Public-Private collaboration system. legislation of laws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validity of electronic documents to be issued and circulated as the essential step. This study focus on the usage of electronic document and digitalized document in the essential step. from the study, we know many acts are confused. as example certified realtor act discriminates against digitalized document and in favour of a paper copy. We have to examine relative-laws nearly to shift from paper-based system to paperless system.

      • KCI등재

        聖語藏經卷 개관

        杉本一樹 한국서지학회 2013 서지학연구 Vol.56 No.-

        This paper’s aim is to give a total overview of the hand-copying sutras in Shogozo(聖語藏) of SHOSOIN(正倉院). They were made up both chinese hand- copying sutras conveyed from Tang or Sui China to Todaiji(東大寺) in Nara period of Japan and classical Japanese hand-copying sutras copied in Todaiji in the 8th century. After that, the hand-copying sutras piled up high and inherited in the library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buddhist study of Sonshoin(尊勝院) in Todaiji. Shogozo was separated from Todaiji in modern times. The hand- copying sutras in Shogozo were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s by the Office of the SHOSOIN Treasure House of Japan and reached to about 5,000 sutras. They are of a good quality and of a large quantity of texts and the first grade materials to research Buddhism, history, Japanese language, history of calligraphy and paper of East Asia for the center of Huayan(華嚴) study. Through the Nara hand-copying sutras in the 8th century, we can clearly investigate the process of copying sutras with the ancient documents of SHOSOIN and understand the aspect of the positive acceptance of the foreign culture. They also contained the materials on Korean language and the history of the chinese characters. 이 글은 고대 이후의 불교경전군인 성어장 경권에 대하여, 역사․내용․가치 등을 개관한 것이다. 성어장 경권은 일본 奈良 東大寺에 전해진 중국 사경, 동대사에서 서사된 8세기의 고대 일본 사경[一切経]을 중심으로 성립되었고, 그 후 동대사 尊勝院의 교학의 발전과 함께 그 경장에 축적․전래된 경권이다. 근대에 이르러 동대사에서 분리되어 현재는 궁내청 정창원사무소에 의해 국유 재산으로서 관리되고 있으며, 목록상의 수는 약 5,000권을 헤아린다. 신뢰성이 높은 양질․대량의 텍스트이며, 화엄을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 불교학․역사학․일본어학․서예사․종이의 역사 등을 생각하는 데에 일급 자료이다. 그 가운데에는 8세기의 사경과 같이, 정창원 문서에 의해서 서사의 과정을 상세하게 알 수 있으며 해외 문화의 적극적 수용의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한국어학․문자사의 자료가 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 KCI등재후보

        전자선하증권의 도입을 위한 입법론

        강선준(Sun-Joon Kang)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사회과학논총 Vol.8 No.-

        우리나라는 무역으로 국민경제의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 나가고 있기 때문에 전자무역에 대한 관심과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무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컴퓨터 등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장치와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거래인 전자무역에서는 무역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선박의 고속화, 해상운송에서의 컨테이너의 도입 등으로 인하여 운송물이 선하증권보다 빨리 도착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고 선하증권이 고유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었다. 선하증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화물선취보증장, 해상화물운송장 등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지만 결국 위기상황을 극복하는데 충분하지 못하게 되었다. 선하증권의 전자화가 가장 효율적인 수단으로 인정받게 되었으며 그 결과로써 전자선하증권이 탄생하게 되었다. 법적인 환경의 정비는 시대의 흐름을 겨우 뒤쫓아 가고 있는 실정이다. 현행법은 종이선하증권을 물리적으로 이전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만 유통성을 인정하고 있어서, 전자적인 방법으로 이동ㆍ전달되는 전자선하증권에 대해서는 그 유통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電子船荷證券의 확산과 법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電子船荷證券에 대한 명확한 법적 정비가 필수적이다. 단기간의 해결책으로 해상화물운송장의 적극 활용 및 이에 대한 조문의 신설로 문제를 해결하자는 논의와 해상법에서의 電子船荷證券에 대한 조문을 신설하고, 해상화물운송장을 병행하여 신설하자는 입법론이 학자들 사이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다. 해상화물운송장은 법적으로 권원증권이 아니다. 따라서 운송 중에 전매가 필요한 원유 등의 운송물에 대해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거래관행상 확실한 지위를 확립하고 못하고 있기 때문에, 실무거래에 그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해상화물운송장은 수하인을 수입지의 은행으로 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화환결제가 없는 무역관계에만 적용될 수 있기에 그 사용이 한정되어 있으며 운송인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한다. 선하증권의 전자화에 대해서는 국내의 학자들은 해상법에서 전자선하증권의 발행에 대한 조문을 신설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전자선하증권은 종이선하증권과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기본법으로서 상법의 개정은 많은 논의가 필요하며 각종 전자화와 전자무역에서 발생ㆍ파생하는 문제들을 모두 규율하기 어렵다. 전자선하증권을 우리법제에 편입시키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電子船荷證券에 대해서 별도의 특별법을 제정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어음의발행및유통에관한법률(이하 ‘전자어음법’이라 한다.)을 근간으로 하여 電子船荷證券法에 대한 입법배경과 구체적인 電子船荷證券法私案을 제시하였다. 동 법안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과 電子船荷證券의 운영상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상황에 알맞게 수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초고속 통신 인프라, 무역자동화 시스템 등을 바탕으로 電子船荷證券法私案의 도입 등 기술적 법적 환경을 정비한다면, 세계 초일류 전자무역 선진국으로 한발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round the world, millions of business people are using the internet without regards to the legal issues involved in electronic commerce. The shipping industry is currently using computer and electronic documentation of the carriage of goods by sea. This paper studies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about legal aspect and make a law in specialization with electronic bill of lading. A bill of lading that was made from paper has been the target of criticism, what is called 'the crisis of bill of lading' these years for several reasons. It is time-consuming, costly and open to fraud. There are many ways to break a 'the crisis of bill of lading.' This Study will examine overview electronic bill of lading's law for application in the world. There are two ways to legalize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The one way is to create the provisions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in connection with electronic bill of lading and sea waybill. The sea waybill cannot be substitute for electronic bill of lading, because sea waybill is non-negotiable instrument. It is impossible to make good use of resale international trade like oil and to take charge of the whole international trade. Even worse, Stipulation the provision regarding the issuance of electronic bill of lading may not settle the crisis of bill of lading incompletely. It takes a long time and complexity for us the revision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than enacting a special act. The other is to, it is desirable for us to enact the special act relating to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Furthermore, it is best way to bring a solution to get rid of the crisis of bill of lading and rule for electronic bill of lading. It is possible to rule for including all situations relevant electronic bill of lading in detail. No other ways more effective than make independent act or code in specialization on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Finally, this Paper proposes and introduces a steady stream of constructive individual law for electronic bill of lading and e-trade. It is necessary for us to get a 'Electronic Bill of Lading Law' to develop electronic commerce and international trade.

      • KCI등재

        상법 제731조상 피보험자의 동의 방식 다양화에 대한 연구 - 전자자필서명방식의 추가-

        박세민 한국상사법학회 2017 商事法硏究 Vol.36 No.1

        The Commercial Act specially limits the methods of consent of the insured to ‘written consent’ at the time of conclusion of the insurance contract which covers the death of a third party as a peril insured against. This limitation does not coincide with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newest IT technologies and FinTech such as digital signature. If there is no possibility to damage the legislative intent which limits the written consent, there is no reason to reject the inclusion of digital autograph in the range of written consent. If an digital consent method of which possibility of forgery and alteration has been reduced significantly exists technically as means to confirm the intention of the insured directly, accepting the consent by digital signature method as one of consent methods of the insured at the time of conclusion of the insurance contract would more correspond to the achievement of legislative purpose of the Commercial Act. It cannot be considered that a concern of forgery and alteration for the digital autograph method increases more in comparison to autograph on paper just because the application procedure i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n insurance planner. In case of digital autograph, a signer can be verified mathematically, supporting the safety of digital autograph method. According to the fact that various means to confirm intention besides the authorized certificate for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 are already being utilized actively today, digital autograph method using a tablet PC can be accepted as means to confirm the consent of the insured. The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fingerprints or iris has better authentication power than autograph in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nd safety against hacking could be secured. Therefore, this method can be also considered as a way of consent of the insured. he inclusion of consent through an electronic document to the written consent of the insured is a problem which should be solved legislatively. At first, it should be specified that “written” specified in Article 731 of the Commercial Act includes an electronic document prescribed in Article 2, No. 1 of the Framework Act on Electronic Documents and Transactions. Then, it would be possible to provide the specific requirements for accepting the expression of intention to consent indicated in such electronic document as the written consent prescribed in Article 731 of the Commercial Act in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mmercial Act of the Insurance Business Act. 상법은 타인의 사망을 보험사고로 하는 보험계약 체결 시 피보험자의 동의의 의사표시 방식을 특별히 ‘서면’으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은 전자서명 등 최신 IT 기술 및 핀테크 발전의 트렌드와 부합하지 않는다. 서면으로 제한하려는 입법적 의도의 훼손 가능성이 없다면 서면에 의한 동의의 범위에 전자자필서명을 포함시키는 것에 반대할 이유가 없다. 만약 피보험자 본인의 의사를 직접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위조와 변조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인 전자적 동의방식이 기술적으로 존재한다면 계약 체결 시 피보험자의 동의 방식의 하나로서 전자서명 방식에 의한 동의를 인정하는 것이 오히려 상법의 입법목적 달성에 더욱 부합할 것이다. 전자서명은 제3자인 보험모집인의 입회하에 청약 절차가 진행되므로 종이자필서명에 비해 위·변조의 우려가 상대적으로 더 증가한다고 할 수는 없다. 전자자필서명은 수학적으로 서명자를 검증할 수 있다는 점도 전자자필서명 방식의 안정성을 뒷받침한다. 오늘날 전자금융거래시 공인인증서 외에 다양한 의사 확인 수단이 이미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음에 비추어 보더라도 태블릿 PC를 활용한 전자자필서명 방법이 피보험자 본인의 동의의사 확인수단으로 인정될 수 있다. 한편 지문이나 홍채 등의 생체정보는 본인 확인 기능에 있어서는 자필서명보다 증명력이 우월하다는 점에서 생체인식정보를 활용한 동의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피보험자의 ‘서면에 의한 동의’에 전자문서를 통한 동의를 포함하는 것은 입법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우선「상법」 제731조의 ‘서면’에 ‘전자문서법 제2조제1호의 전자문서’가 포함됨을 명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 전자문서에 표시된 동의의 의사표시가 「상법」 제731조의 서면에 의한 동의로 인정되기 위한 구체적인 요건을 「상법 시행령」에서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전자민사소송의 내용과 전망

        홍기문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31 No.2

        Der Recht von die Benutzung des elecktronic Akte verkündet und ausführt 2010. 3. 24. und von 2011. 5. 2. in dem Zivilprozess. 2012. 1. 1. alles umfassent durch Vorbild Gericht verwaldet wird. Im 21 Jahrhundert Key Word sind die Zeit der Super-Geschwindigkeit, Ausser Autorität, Verschmetzung und Globalization. Die Enrwicklung der IT führt Super-Geschwindgkeit und bracht grosse Veränderung in unsere Lebensumwelt. In dieser Zeit die Inkraftsetzung der elektronic Prozess erzeugt sich neue Umweltsveränderung von Vergangenheit des Papierprozess. Vor allem in dem Klageschriftsvorbringen, der Zustellung, der Verhandlung bedingtwerden der Raum vernachlässigt. Bringt Abkürzung der Zeit, der FallsInteresse musst zeitlich Streitpunktsanordnung. Deshalb die Wirkung hofft es Konzentrationsuntersuchung, die mündlich Erklärung aktivert wird. Auch Partei und der Prozessbevollmächtigte von der Behauptung und Verteitigung durch der Voraussetzungstatsache bringen Wirkunggradigkeit von der Verhandlung. 민사소송 등에 있어서 전자문서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이 2010. 3. 24. 공포ㆍ시행되고 2011. 5. 2. 부터 민사소송에 적용되고 있다. 금년에는 시범 재판부를 통하여 운영되지만 2012년부터는 전면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21세기의 키워드는 초고속화, 탈권위주의, 융합과 글로벌화라고 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초고속화를 가져와서 우리의 생활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시점에서 전자소송의 발효는 과거 종이소송으로 이루어지는 민사소송에서 새로운 환경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소장제출, 송달, 변론 등에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엄청난 시간의 단축을 가져오고, 법관과 당사자 등 사건관계인이 적시에 쟁점정리를 해야만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집중심리의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이며, 구술주의가 한층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당사자나 소송대리인은 요건 사실에 입각한 주장이나 방어를 하면서 변론의 효율성이 기대된다.

      • KCI등재

        세도나 캐나다 원칙상 전자증거개시제도의 준비에 관한 실무상의 문제점

        김종호(Kim Jongho) 한국법학회 2015 법학연구 Vol.59 No.-

        한국지식재산보호협회와 특허청 등에 따르면 한국 기업과 다국적 기업 사이에 벌어진 국제특허소송 건수는 최근 3년 사이 100%이상 증가하고 있다. 국내기업의 해외진출이 늘면서 외국법정 그 중에서도 특히 미국법정에 당사자로 서는 국내 기업도 크게 늘었지만, 증거물 확보 및 증거자료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해 재판에서 손해를 보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정보기술(IT) · 자동차 · 철강 · 조선 · 섬유산업 등 우리 기업의 기술이 최고수준에 올라 있는 업종에서 소송이 집중돼 있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높아지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국내 기업들은 미국과의 지식재산권 분쟁에 대비하기 위해 전자증거개시 관리 전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증거개시 시장은 점점 성장하고 있으며 2013년에는 그 시장 규모가 총 15억 달러(USD)에 이르렀다. 이와 더불어 민사소송 · 형사소추 · 정부의 규제강화에 따른 기업들의 서류작업 증가와 향후 증거개시가 필요한 자료를 새로운 전자소통 도구(tool)를 이용해 일정기간 보존하려는 기업들의 요구가 늘어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업들의 소송, 내부 조사, 그리고 방대한 양의 정보 아카이빙에 필요한 스토리지 비용이 증가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실무와 관련된 전자증거개시의 핵심과 절차(process)를 다루고, 전자증거개시의 변화하는 국제적인 최근 규제 이슈를 고찰하며, 국제소송 또는 중재절차에서 증거개시 및 전자증거개시 제도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며,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노하우와 전략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캐나다의 경우 세도나 회의에서 제시한 주요원칙들을 자국의 소송법 규범으로 수용하고 미국과 보폭을 같이하고 있음은 매우 시사적인 사건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증거제출 기반의 변화로 인한 소송법 및 증거법의 원칙이 어떻게 발현되어 있는지 미국과 캐나다의 사례를 탐색해 보기로 한다. 현재 우리나라 소송절차에는 일부(형사소송)를 제외하고 일반적인 의미에서 증거개시제도가 도입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전자소송이 이미 실시되고 있는 마당에 하루 속히 증거개시제도를 도입하여 전자소송시스템의 고도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 The nature of digital data makes it extremely well-suited to investigation and e-litigation. However, electronically stored information is not easily discoverable if we did not get help of technician. Electronic discovery (e-discovery) refers to discovery in litigation or government investigations which deals with the exchange of information in electronic format (often referred to as electronically stored information or ESI) in the computer system. In any proceeding, either investigation or litigation, the parties who engaged in litigation should ensure that steps taken in the discovery process are proportionate, taking into account (i) the nature and scope of the litigation, including the importance and complexity of the issues, interest and amounts at stake; (ii) the relevance of the available ESI; (iii) its importance to the court’s adjudication in a given case; and (iv) the costs, burden and delay that may be imposed on the parties to deal with ESI. Under the e-litigation environment, evidence is extracted and analyzed using digital forensic procedures, and is reviewed using a document review platform. As soon as litigation is reasonably anticipated, parties must consider their obligation to take reasonable and good faith steps to preserve potentially relevant ESI. This form of data should be treated differently because electronic information is considered different from paper information due to its intangible form, volume, transience and persistence. Counsel and parties should meet and confer as soon as practicable, and on an ongoing basis, regarding the identification, preservation, collection, review and production of ESI. Electronic information is usually accompanied by metadata that is not found in paper documents and that can play an important part as evidence (for example the date and time a document was written could be useful in a copyright case). The parties should be prepared to produce relevant ESI that is reasonably accessible in terms of cost and burden. In the United States, electronic discovery was the subject of amendments to the Federal Rules of Civil Procedure (FRCP), effective December 1, 2006, as amended to December 1, 2010. The preservation of metadata from electronic documents creates special challenges to prevent spoliation. Currently, Korean law did not enacted e-discovery but it will be introduced in the near future by accommodate itself to circumstance. The processes and technologies around e-discovery are often complex because of the sheer volume of electronic data produced and stored. Additionally, unlike hardcopy evidence, electronic documents are more dynamic and often contain metadata such as time-date stamps, author and recipient information, and file properties. The ultimate goal of e-Discovery is to produce a core volume of evidence for litigation in a defensible manner. Explanation, argument, critics, and application for the litigation practice will be useful to the enactment of e-Discovery law in Korea. I am sincerely looking forward to the reader’s additional discussion on thi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