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고령자의 여가제약과 협상전략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강은주(姜銀珠),김연희(金娟姬),이희선(李熙善) 한국공공관리학회 201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9 No.4

        본 연구는 기존문헌을 토대로 여가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여가제약과의 인과적 관계 및 협상전략의 매개적 효과를 규명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세부적으로 여가제약의 하위변수로는 내재적 제약, 대인적 제약, 구조적 제약을 구성하여 이들 변수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시간관리, 기술습득, 대인관계, 금전관리와 관련된 협상전략이 매개변수로서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으로서 2013년 10월 7일부터 15일까지 9일간 서울시 소재의 노인종합복지관의 이용자 33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여가제약 및 협상전략과 여가만족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SPSS 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여가제약의 하위변수로서 내재적 제약, 대인적 제약, 구조적 제약 및 매개요인으로서 협상전략 모두 여가만족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그중 대인적 제약은 직접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내재적 제약과 구조적 제약은 여가만족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내재적 제약과 구조적 제약 수준이 높아지면 여성고령자들의 여가만족은 낮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개 요인으로서 협상전략과 여가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술습득 협상전략, 금전관리 협상전략, 대인관계 협상전략, 시간관리 협상전략 등과 같은 협상전략은 여가만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여가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가제약 요인들을 확인하고 개선하는 것과 더불어 여가제약 요인에 대한 협상전략에 대한 노력을 많이 기울일수록 여성고령자들의 여가만족이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여가제약은 여성고령자의 여가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아울러 협상전략 또한 매개변수로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 실증적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서 여성고령자들이 만족스러운 여가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구조적 여가제약과 대인적 여가제약, 내재적 여가제약 요인들을 감소시키고, 협상전략을 향상시키는 개인적 노력 및 정책적 방안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variables of elderly women’s leisure constraints(i.e., intrinsic constraint, interpersonal constraint, structural constraint) and negotiation strategies(i.e., negotiation strategy of time management, skill acquisition, interpersonal, mony management) have a direct and/or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variable of leisur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negotiation strategies variables. And also, the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 of leisur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ses, the variables of intrinsic constraint and structural constraint were found to have a direct negative effect on the variable of leisure satisfaction. Also the variable of interpersonal constraint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variable of leisur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negotiation strategies variables. The negotiation strategies of time management, skill acquisition, interpersonal, mony management as the mediating variable also were found to have direct positive effects on the leisure satisfaction variable i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 of leisure satisfaction were appeared in the order of negotiation strategies (β=.302), structural constraint (β=-.174), and interpersonal constraint (β =.028).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the factors of leisure constraints and negotiation strategies as effective and important means to enhance the elderly women’s leisur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y should reflect the relative influences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 KCI등재

        여가제약협상모델의 타당성 검증 연구

        오정학,김철원,김종갑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1

        Based on the White(2008)'s suggestion of additional empirical analysis,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d the validity of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model proposed by Loucks-Atkinson and Mannell(2007). The model suggested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negotiation efficacy, leisure motivation, leisure constraint,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strategy, and leisure participation. Data were conveniently collected from 353 Korean highschool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in 2009. Result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howed empirical support on the seven paths out of eight paths of the structural model. However, results did not empirically sup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motivation and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strategies.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different population and different leisure activity might have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struc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s well. 본 연구는 Loucks-Atkinson et al.(2007)의 여가제약협상모델을 교직종사자 집단에 적용한 경험적 연구를 통해 두 가지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는 White(2008)에 의해 시도된 위 모델의 타당성에 대한 추가 규명을 통해 이들 연구와의 비교 관점에서 여가제약 협상모델의 확장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었으며, 두 번째 목적은 위 모델을 통해 국내 교직종사자집단의 야외 여가활동 행태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것이었다. 이상의 연구를 위해 본 연구와 동일한 여가유형을 연구한 White(2008)의 연구모델을 기본모델로 제시하고, 표본의 상이성과 관련한 척도의 타당성 검증을 통해 측정변수 수준에서 기본모델을 수정하였다. Loucks-Atkinson et al.(2007)과 White(2008) 및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이론변수들의 경로 유의성 검증결과를 보면 협상효능감이 여가동기(+)와 여가제약(-) 및 여가제약협상(+)에 미치는 인과경로는 세 연구 모두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여가제약이 여가제약협상(+)과 여가활동참여(-)에 미치는 인과경로와, 여가동기가 여가활동참여(+)에 미치는 인과경로역시 세 연구에서 일치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최초 Hubbard et al.(2001)의 제약효과완화모델로부터 확장된 Loucks-Atkinson et al.(2007)의 여가제약협상 모델에서 제시하고 있는 협상효능감이 여가제약협상과정을 설명하는 구성요소로서 개념적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동기는 여가활동 참여의 강력한 동인이며, 여가제약은 여가활동 참여를 저해하지만 여가제약협상에 대한 노력을 활성화시켜 여가제약이 여가활동 참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킨다는 Hubbard et al.(2001)의 제약효과완화모델을 지지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반면 여가제약협상→여가활동참여(White, 2008)와 여가동기→여가협상전략(본 연구)의 경로는 방향성은 일치하나 통계적인 검정력을 확보하고 있지 못함으로써 Loucks-Atkinson et al.(2007)이 제안한 여가제약협상모델의 안정성 및 확장가능성을 기각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본 연구와 White(2008)의 연구는 표본을 달리했을 뿐 유사한 야외여가활동을 대상으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일치된 결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Loucks-Atkinson et al.(2007)의 여가제약협상 모델이 모든 여가활동 집단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모델로서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자, 여가활동 유형, 여가활동 집단에 따라 상이한 여가제약협상과정이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 제약산업의 기술혁신 패턴과 발전 전략

        김석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4 정책연구 Vol.- No.-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우리나라의 제약산업은 2003년에 LG생명과학의 ‘팩티브’가 미국 FDA의 신약 승인을 받는 등 좋은 성과를 내고 있어, 이 단계에서 제약산업의 혁신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그에 입각한 발전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긴요한 과제로 등장하였다. 또한 정보통신산업을 이을 중요한 성장동력으로 생물산업이 부상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막연한 기대감만 있을 뿐 우리나라의 수준 및 가능성에 기반한 구체적인 발전 전략은 없는 상태이다. 생물산업은 의약, 식품, 농업, 환경 등 서로 상이한 여러 분야를 포괄하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발전 전략의 수립을 위해서는 세부 분야별로 기술혁신 패턴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약산업이 지니는 일반적인 특성과 세계 제약산업의 혁신 패턴을 분석하여 특징적 측면들을 도출한 후, 국내 제약산업의 기술혁신 실태와 혁신 전략을 이러한 세계 제약산업의 혁신 맥락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제약산업이 지닌 가능성과 한계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제약산업이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1.2 분석의 단위와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국내에서 혁신 연구(innovation study)의 관점에서 제약산업을 분석한 첫 연구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들과의 차별성은 중심적인 분석의 단위를 기업으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까지의 연구들은 주로 산업 전체를 분석의 단위로 삼아 시장규모, 생산액, 수출입구조 등 산업의 거시적 데이터에 근거해서 산업현황을 분석한 후, 산업정책 차원의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선에 머물렀다. 그에 비해 본 연구는 기업을 기본적인 분석의 단위로 삼고, 기업들을 통해 이루어지는 기술혁신의 전형적인 패턴들을 찾아가는 것에 일차적인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방법론은 문헌 연구, 데이터베이스 분석, 면담 조사로 구성된다. 1.3 분석의 틀 본 연구에서는 기술추격국의 입장에서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발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들을 도출한다는 최종적 목표에 적합한 분석 틀을 얻기 위해 ‘산업의 기술혁신 패턴’을 ‘산업 내에서 일어나는 기술혁신들 속에서 반복적이고 전형적으로 관찰되는 공통적 현상이나 특징’으로 정의하고, 이 반복성과 전형성을 나타내는 특징들을 ① 기술적 변화 자체의 특징, ② 기술 변화를 주도하는 혁신 조직의 특징, ③ 기술혁신의 결과로 야기되는 산업구조 및 기업 간 경쟁 관계의 동태적 변화의 3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요약하면, 산업 내 기술혁신의 전형적이고 반복적인 양상을 기술, 조직, 산업구조의 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제약산업 개관 2.1 제약산업의 일반적 특성 과학기반 산업: 제약산업은 대표적인 과학기반 산업(science-based industry)으로, 기초과학 연구 결과가 곧바로 산업적 성과와 긴밀하게 연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약산업은 20세기 초에 산업이 형성되던 시기부터 대학 및 연구소에서 활동하는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새로운 약물의 개발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20세기를 거치는 동안에는 기반이 되는 유관 학문 분야의 성립과 발달에 큰 영향을 받았다. 연구집약적 산업: 새로운 신약의 발견을 위해서는 연구개발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제약산업에서는 일찍부터 기업 내 R&D 기능이 발달해왔다. 제약산업은 전체 제조업 중에서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이 가장 큰 산업으로 꼽힌다. 미국의 경우 제조업 평균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는 3~4%인 반면 제약 산업은 12%로 가장 높게 나타난다. 특히 신약 개발에 참여하는 연구집약적 기업들의 경우는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가 15~20%에 달한다. 고위험, 고부가가치 산업: 신약 개발에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지만 성공률은 매우 낮다. 세계 Top10 기업들의 지난 10년 간 추진한 신약 개발 프로젝트의 전임상 이후 단계 성공률은 평균 11%였다. 그러나 일단 좋은 약을 개발하는데 성공하면 그로부터 천문학적인 수익이 얻어지는 경우가 많다. 현재 세계 매출액 1위 제품인 Pfizer社의 Lipitor(고지혈증 치료제)의 2003년 매출액은 92억달러로, 이는 평균 신약 개발비의 11배를 넘는 금액이다. 성공적인 다국적 제약회사들은 보통 20% 내외의 순이익률을 매년 유지하고 있다. 산업조직적 특징 1 - 신규 진입과 퇴출의 희소성: 연구개발 집약적 제약기업의 경우 시장점유율의 변화는 있지만, 신규 진입과 퇴출이 많지 않다. 유명 다국적 제약회사들은 대개 100년 내외 혹은 그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새로운 기업의 진입은 드물다. 이러한 현상은 신약 개발에 필요한 막대한 비용과 시간, 그리고 전문성이 높은 진입장벽을 형성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산업조직적 특징 2 - 세분화된 시장(fragmented market): 제약산업에는 세계시장 점유율 10%가 넘는 기업이 없다. 2001년도 매출액 1위 회사인 Pfizer의 시장 점유율은 7.5%에 불과했다. 이러한 현상은 제품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약품은 그 종류가 매우 많으며 여러 질환에 걸쳐 있는데, 각 질환마다 다른 전문성을 요하기 때문에 한 회사가 모든 질환에 대해서 가장 좋은 약들을 개발할 수는 없다. 보통 각 회사들은 몇몇 질환과 약효군에 대해 역사적으로 형성된 기업의 기술적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시장을 세분화해서 점유하고 있다. 산업조직적 특징 3 - 활발한 인수?합병: 제약산업에서는 인수 합병이 매우 활발하다. 인수?합병의 이유로는 제품 포트폴리오의 확대, 새로운 지역 시장으로의 진출, 기술적 보완 관계를 통한 시너지 창출, 비용구조 개선 및 연구개발 생산성 증대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신약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반면 시장에 출시되는 신약은 줄어들고 있는 최근의 현상은 거대 제약회사들로 하여금 위기 의식을 느끼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거대 제약회사들은 연구비 조달과 연구개발 포트폴리오의 확대를 위해 대규모 인수?합병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정부 규제가 강한 산업 1 - 지적재산권 보호: 제약산업에서의 특허와 관련된 이슈는 3가지 정도로 요약된다. 첫째, 약품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개발은 어려운 반면 복제는 훨씬 더 쉽기 때문에 특허에 의한 보호가 결정적인 중요성을 지닌다. 둘째, 제약산업은 임상 및 승인 기간 때문에 실질특허기간(effective patent life)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셋째, 의료비 부담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특허 기간을 적정한 선에서 제한하고 값싼 복제품이 빨리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부 규제가 강한 산업 2 - 신약 허가: 엄격한 신약 허가 과정과 이 과정을 통과하기 위한 장기간의 임상시험은 제약산업을 다른 산업과 구별해주는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현재의 엄격한 신약 허가 기준이 정립된 것은 1961년에 thalidomide라는 최악의 약화 사건이 발생한 후, 신약 허가 절차의 강화를 규정한 Kefauver-Harris 법이 1962년에 제정되면서부터이다. 이 법의 시행 이후 FDA 허가에 소요되는 시간은 7개월이던 것이 최장 8년까지 늘어났고(현재는 1~2년으로 축소되었다), 미국에서의 신약 도입이 70% 가량 감소되었다. 정부 규제가 강한 산업 3 - 보험약가 규제: 대부분의 국가들은 공공보험이나 민간보험의 형태로 의료보험 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약가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나 프랑스와 같이 국가가 직접 공공보험을 관리하는 나라에서는 정부가 직접 모든 약의 보험수가를 결정한다. 미국은 여러 민간보험 회사들이 자사에 가입된 소비자들을 대표해서 병원들과 약가 협상을 벌이는데, 더 많은 가입자를 확보한 보험회사일수록 강력한 협상력을 가지고 약가를 낮출 수 있다. 2.2 세계 제약산업의 현황 전 세계 제약산업 시장 규모는 2002년 기준으로 약 4,180억달러(한화 501조) 규모로 추정된다. 1997년부터 매년 평균 7.3%씩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라면 2007년에는 6천억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별로는 북미 시장이 35.6%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 아

      • 제약산업의 혁신체제 개선을 위한 산학연 협력 강화 방안

        김석관,박기범,황정태,최경은,성영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정책연구 Vol.- No.-

        연구목적 우리나라는 현재 BT 분야에 대한 정부의 투자 확대를 통해 우수한 기초연구 성과들이 산출되고 있으나 산업화 측면에서는 별다른 성과가 나타나지 않아서 문제가 되고 있다. BT의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제약산업의 산학연 협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BT의 산업화 통로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신약 개발이며, 기초연구 성과의 산업화는 보통 산학연 연계를 통해 실현되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제약산업은 혁신 자원이 부족하고 혁신체제 전체적으로도 빈약한 연구 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약 개발을 위한 임계 규모의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산학연 협력을 통해 제한된 자원을 결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안 문제를 해결하고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발전 전략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산학연 혁신 주체의 역할과 협력 현황을 파악하고 그것의 문제점을 진단하며, 그것을 토대로 우리나라 제약산업 혁신체제를 개선하고 산학연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 DB 분석, 산학연 각 주체들에 대한 설문조사, 인터뷰 조사, 성공적인 협력 사례에 대한 사례연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산학연 협력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이것의 해결을 위한 정책 과제들을 제시 하였다.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산학연 협력 현황을 보면, 국내 제약회사들이 현재 진행 중이거나 완료한 신약 개발 과제 174개 중에서 산학연 협력에 의해 후보물질을 도출한 과제는 모두 64개(공동연구 50, 라이선스 14)로 전체의 36.8%에 해당했다. 외국과 달리 라이선스보다 공동연구가 훨씬 더 많은 것은 임계 규모에 미달하는 자원을 지닌 우리나라 제약회사들이 공동연구를 통해 부족한 연구 역량 자체를 보강하려는 의도가 강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50건의 공동연구 중 자발적 공동연구는 11건, 정부 연구개발사업을 통한 공동연구는 39건인데, 양쪽 모두 기업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제약회사와 벤처기업 사이의 협력은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30여 개의 의약품 관련 벤처기업을 조사한 결과 132개 사가 산학연의 전·현직 연구자들과 인적 연계를 맺고 있고, 이중 64개사는 현직 대학 교수가 창업자이거나 대표이사인 경우였다. 산학연 협력의 주요 장애요인으로는 산학연의 조직 목표의 차이, 우리나라 제약회사들의 영세성과 제한된 전문성, 기술의 가치 평가 및 협력 성과의 배분 문제에 대한 산학연 주체들 사이의 이견 등이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특히 우리나라 제약회사의 벤처기업의 취약성으로 인해 학·연 → 벤처기업 → 제약회사로 이어지는 기술의 가치사슬이 구축되지 못하고 있음이 지적되었다. 선호하는 협력 유형으로는 제약회사와 벤처기업은 기업 중심의 공동연구를 가장 선호한 반면, 대학과 공공연구소는 단계별 역할분담을 선호하였다. 이는 기업들은 공동연구를 통해 부족한 연구 자원을 확보하기 원하는 반면, 학·연은 연구의 독립성을 더 원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인터뷰를 통해 우리나라 제약산업에는 두 가지 시스템 실패 영역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영역은 학·연의 기초연구로 얻어진 신규 약물 표적에 대한 후속 연구가 거의 없다는 것이고, 둘째 영역은 학·연·벤처에서 얻어진 초보적인 후보물질들이 기업으로 잘 연계가 안 되어서 사장되는 것이 많다는 것이다. 결론 및 시사점 국내 제약회사의 산학연 협력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어떤 특정 유형의 산학연 협력을 강조하기 보다는 산학연 협력이 성공할 수 있는 필요조건들을 충족시켜주는 것이 더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성공적인 산학연 협력의 필요조건으로는 훌륭한 협력 파트너, 매력적인 협력 아이템, 상호 목표의 존중과 인센티브 창출, 예상 가능한 협력 성과, 공정한 성과 배분, 협력의 리더십과 거버넌스, 분명한 역할 분담과 계약 조건, 장기적 신뢰 구축과 도덕적 해이의 방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필요조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산학연 각자가 노력해야 할 몫이 있지만, 정부도 관련 환경의 조성을 위해 제도적·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약산업의 산학연 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 과제로 출연연구소의 연구 수행 체제 개선, 정부 연구개발사업의 기술료 제도 개선, 라이선스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약산업에서 산학연 연계가 미비한 시스템 실패 영역을 해결하기 위해 3가지 정책 수단을 혼용한 정책mix를 검토하였다. 그것은 신약개발지원센터의 설립, 국가신약개발전략위원회의 운영, 신약 개발 전문 펀드의 운용이다.

      • KCI등재

        산업별 수요제약과 공급제약의 효과 : 산업연관분석의 RS모형과 내ㆍ외생변수 전환모형의 적용성 검토

        池海明(Haemyoung Ji) 한국경제연구학회 2011 한국경제연구 Vol.29 No.1

        수요제약과 공급제약의 효과분석에서 과대ㆍ과소 평가 경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제약이 발생한 산업의 효과뿐만 아니라 제약이 발생하지 않은 산업에 의해서 발생되는 유발효과를 포함해야 한다. 산업연관모형의 분석에서 수요제약은 일반적인 최종수요-생산승수를 이용하면 분석이 가능하다. 공급제약의 분석에는 내ㆍ외생변수 전환모형보다는 RS모형이 적합하며, 과대ㆍ과소 평가 정향을 줄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약효과의 분석에서 내생변수인 산출은 외생조건보다 송수 배만큼의 격차를 보이며, 산업별 송수효과의 차이가 산업별 제약효과의 격차를 유발하게 된다. 수요제약에 따른 생산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산업은 전기 및 전자기기, 수송장비, 건설, 교육 및 보건, 일반기계이며, 생산감소 효과가 작은 산업은 인쇄 및 복제, 광산품, 비금속광물, 목재 및 종이제품 등이다. 공급제약의 생산감소 효과가 큰 산업은 건설, 전기 및 전자기기, 수송장비,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화학제품 등이며, 공급제약의 효과가 작은 산업은 광산품, 인쇄 및 복제, 정밀기기, 목재 및 종이제품, 기타 제조업 등이다. 이러한 분석을 감안할 때 일률적으로 생산능력을 확충하는 산업정책에서의 변화가 필요한데, 수요제약의 감소 효과가 큰 산업에서는 중소기업제품우선구매제도와 같은 수요 측면의 정책, 공급제약의 효과가 큰 산업에서는 투자, 고용, 자본재의 구입 등에 인센티브를 줄 수 있는 정책이 그 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The adverse effects induced by demand and supply constraints have to include not only the direct effects of own constraints, but also the indirect effects resulted from the non-constraint other industries for revising the over-estimation of the constraint effects. In the methodological aspects, the effects of demand constraints can be evaluated with the usual demand-output multiplier analysis in an Input-Output framework. Supply constraint effects would be estimated either by mixed exogenous-endogenous model or by Ritz-Spaulding(RS) multipliers. The former may fail to capture indirect effects, where as RS model is superior to the former in that it includes the indirect effect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e total adverse effects of demand and supply constraints are different by industries. The difference by industry is basically caused by the disparity of intermediate input structures in the mentioned industries. The adverse effects by industry are different with those of constraints by industry because of the inclusion of the indirect effects induced by the other non-constraint industries. Since constraint effects are varied across industries, policy mean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adverse effects. If demand-side effects are greater than the supply-side ones, then policies may have to focus on the demand-side measures, like the promotion of demand, in alleviating the adverse effects, and vice versa.

      • KCI등재

        중·고·대학생의 프로스포츠 관람제약 요인에 관한 탐색

        조용찬(Yong Chan Cho),남재준(Jae Jun Nam),박용범(Yong Bum Park),이현우(Hyun Woo Lee) 한국체육교육학회 201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5 No.4

        이 연구는 개방형 설문과 심층면접을 통해 프로스포츠 관람자의 제약요인을 알아봄과 동시에 잠재요인을 발굴하고 심층 분석하여 프로스포츠 관람제약 척도를 개발하는 사전연구로 관람제약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프로스포츠를 관람하기 위해 프로야구장과 프로축구장을 직접 찾은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관람객을 대상으로 각 종목별 280명씩 총 5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97부를 제외한 463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최종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응답자들의 프로스포츠 관람제약에 관한 개방형 설문지를 통하여 귀납적 분석 방법으로 원 자료, 세부영역, 일반영역의 3단계로 분류하여 관람제약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최종 일반영역의 결과를 살펴보면 시설제약, 혼잡·무질서제약, 개인적제약, 서비스제약, 환경제약, 경기제약, 팀·선수제약, 비용제약, 기타제약 순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urrent factors along with the potential factors constraining the sports audience`s right to watched the professional sports using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It was to provided the basic data for the preliminary research for developing the index of limiting the watching of professional sports gam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sports spectators who directly visited the baseball stadium and soccer stadium to watch professional baseball and soccer games. Among 560 respondents who submitted their questionnaires with 280 from each sport, the 463 respondents were selected for the data analysis after rejecting 97 questionnaire made by insincere respondent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I classified them into three stages of raw materials, detailed scope and general scope using the inductive analysis method in order to obtain the limiting factor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limiting factors are facility constraint, crowdedness and disorder constraint, personal constraint, service constraint, environmental constraint, sports constraint, team and player constraint, expense constraint, and others in the order of importance.

      • SOCO가 고객몰입, 고객과의 장기관계에 미치는 영향 : 제약유통채널 중심으로

        홍금표,이호택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9 한국마케팅관리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0

        우리 사회는 인구 고령화와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건강한 삶의 질을 추구하는 시대적 추세와 연관성을 갖는 다양한 분야 중 대표적인 것이 제약 산업이다. 제약 산업은 국민의 건강 및 생명과 직결되는 공익성을 나타내고 기타 산업과 비교해 기술 집약도가 높은 첨단 분 야로 미래 지향적이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 제약·바이오협회 ‘제약 산업 고용 현황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94,929명이 제약 산업 에 종사하고 있다. 그중에서 제약 영업 직무에 종사하는 인원은 대략 3만 명(28%) 정도로 추정되며, 제약 유통채널에서 영업사원은 제약 기업의 성과 및 발전에 중대한 영향과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 히 제약 영업의 고유한 특성에 따라 제약 기업의 성과 중 상당 부분이 인적 판매에 의해 나타나고 있 으며 인적 판매의 주체인 영업사원의 영업 관련 행동 특성 및 역량 관리가 제약 기업의 발전과 성장 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제약유통채널에서 기업의 성과를 창출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영업사원의 직무 행동 성향 인 판매지향성(SO)과 고객지향성(CO)이 고객과의 관계 몰입, 장기 관계지향에 미치는 개별적 영향력 을 검정해 보았다. 가설 검정을 위해 국내 제약기업에서 영업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 300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무성의하거나 편향된 3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97명의 표본 을 구조방정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동일하게 영업사원의 고객지향성(CO)은 관계몰 입, 장기관계 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판 매지향성(SO)은 단기적 성과와 관계에 치중된다고 밝히고 있으나 판매지향성(SO)도 장기관계 지향성 에 정(+)의 영향이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SOCO는 몰입 변수를 매개로 해서 고객 과의 장기관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 변수인 제품 다양성은 판매지향 성과 관계몰입 사이의 관계를 약화한다는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제품 다양성이 높아지면 판매지향성은 관계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다수의 선행 연구 결과에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관계가 약화하는 것으로 볼 때, 영업 관리 측면에서 영업사원에게 다양한 제품을 담당하게 하는 것보다는 소수의 핵심 제품 영업에 집중하게 함으로써 선택과 집중을 통한 영업 활동이 성과 향 상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업사원의 영업행동 특성인 고객지향성과 판매지향성 개념이 서로 상반되는 의도와 영 향력을 발생시킨다는 편향적 사고에서 벗어나 두 개념 모두 장기적으로 고객과의 관계 품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으며 기업의 발전과 성과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써 상황에 맞게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여가스포츠 유형에 따른 여가제약협상전략과 여가제약의 관계 : 여가제약감소 이론을 바탕으로

        황선환,이문진 여가문화학회 2013 여가학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constraint and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in leisure sports participants based on the leisure constraint reduction theory,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ir relationships based on the types of leisure sports. A total of 330 respondents wh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 activitie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were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in turn 286 data set was employed for the analyses. Using SPSS 18.0,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significantly affects leisure constraints. Specifically, controlling intensity of an activity out of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strategies had a negative effect on negative perception and risk of injury; and changing interpersonal relations strateg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lack of time and insufficient condition constraints. However, improvement of condition strategy had a positive effect on lack of time and risk of injury. Second, only in individual leisure sports,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constraints. Specifically, skill acquisi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facility and environment, and changing interpersonal relations strategy had a negative effect on lack of time. Whereas, improvement of condition strateg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facility and environment and lack of time. 본 연구는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여가제약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여가제약협상전략을 파악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여가제약과 여가제약협상의 관계에 있어 여가스포츠 유형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경기지역의 18세 이상 여가스포츠 참가자 330명을 목적표집방법으로 표집하였으며, 총 286개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18.0와 AMO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자의 여가제약협상은 여가제약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강도조절 전략은 부정적인식과 부상위험 제약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동반자탐색 전략은 시간부족과 여건부족 제약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여가제약협상의 여건마련은 시간부족과 부상위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를 통해 여가제약과 여가제약협상의 관계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는 것을 제시했다. 둘째, 여가스포츠 유형 중 개인종목에서는 여가제약협상이 여가제약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여가제약협상의 기술습득 전략은 시설환경 제약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동반자탐색 전략은 시간부족 제약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여가제약협상 중 여건마련은 시설환경과 시간부족 제약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에 반해 대인종목과 단체종목에서는 여가제약협상이 여가제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KCI등재

        제약에 따른 양보 어미 교육 순서 선정에 관한 연구

        정종수 ( Jong Su Jeong ),김기범 ( Gi Beom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1 No.-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양보 연결어미를 가르칠 때, 그 교육 순서를 제언하고자 한다. 그 교육 순서는 연결어미가 있는 제약의 범위가 작은 것을 먼저 가르치고, 제약의 범위가 큰 것을 나중에 가르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다룬 양보 어미는 ‘C1아도C2’, ‘C1더라도 C2’, ‘C1은들 C2’, ‘C1을망정 C2’, ‘C1을지언정 C2’, ‘C1을지라도 C2’, ‘C1다고 C2’, ‘C1기로서니 C2’, ‘C1되 C2’ 등 9개이다. 이 어미들이 가지고 있는 제약은 ‘부정문제약, 질문화행불가제약, 명령화행불가제약, 청유화행불가제약, 약속화행불가 제약, ‘-았-’결합불가제약, ‘-겠-’결합불가제약, ‘-더-’결합불가제약’의 여덟 개의 제약이다. 이 논문에서는 아홉 개의 각 어미들이 가지고 있는 제약의 범위에 따라 각 양보 어미들의 교육 순서를 정한다. 그리고 현재 출판되어 여러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섯 종류의 한국어 교재들을 초급부터 고급까지 어떤 양보 어미들을 어떠한 순서로 어느 단계에서 가르치도록 제시해 놓았는지 분석해 보았다. 9개의 양보 어미들의 교육 순서를 정하기 위하여 우선 각 제약들의 등급을 설정하고 그 등급순으로 각 어미 항목들에 적용했다. 그렇게 하여 ‘C1아도 C2, C1더라도 C2, C1을지언정 C2, C1을지라도 C2 → C1은들 C2 → C1되 C2 → C1을망정 C2 → C1다고 C2 → C1기로서니 C2’로 순위를 매길 수 있었고, 이와 같은 순서로 한국어학습자에게 교수할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proposes the teaching order of concessive connective endings for Korean L2 learners need to b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the one with least grammatical constraints in its use should be taught first. Six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investigated to check what kinds of concessive connective endings are introduced to Korean L2 learners in what order. Most of them introduced concessive connective endings following frequency of their use. This paper studies nine concessive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and eight constraints that are relevant to those concessive connective endings: C1-ado C2, C1-deorado C2, C1-eundeul C2, C1-eulmangjeong C2, C1-euljieonjeong C2, C1-euljirado C2, C1-dago C2, C1-giroseoni C2, C1-doe C2. We can set an order through eight constraints such as: *C2/promise, *C2/propositive, *C2/imperative, *C1/-gess-, *C1/-deo-, *C2/question, *C1/-ass-, *C2/affirmativ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constraints, we can set up the hierarchy of those constraints such as: C2/negative ≫ *C2/question ≫ *C2/imperative, *C2/propositive ≫ *C2/promise ≫ *C1/-ass- ≫ *C1/-gess- ≫ *C1/-deo-. Thus we suggest the following as a proper teaching order of concessive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education: C1-ado C2, C1-deorado C2, C1-euljieonjeong C2, C1-euljirado C2 → C1-eundeul C2 → C1-doe C2 → C1-eulmangjeong C2 → C1-dago C2 → C1-giroseoni C2.

      • KCI등재

        북한에서의 제약시장 생성과 확대 요인

        최설 북한연구학회 2022 北韓硏究學會報 Vol.26 No.2

        This paper analyzes the factors of the creation and expansion of the pharmaceutical market in North Korea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the 1990s in terms of ‘supp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for the creation and expansion of the pharmaceutical market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crisis led to paralysis of the operation of state-run pharmaceuticals, resulting in overheating of drug demand. This creates a pharmaceutical market by attracting state-owned pharmaceutical workers and individual merchants as suppliers. Second, as the demand for medicines increased, the pharmaceutical market attracted individual technicians to drug manufacturers (suppliers).Pharmaceutical manufacturing has led to the voluntary marketization of state-owned companies by deriving new markets centered on the region where the pharmaceutical industry base is established, and promoted market division and drug market development across the country. Third, the drug supply network gradually expands to the overseas market, which was the main reason for the health and medical policy that actively promoted the production of Oriental drugs.Initial capital such as facilities and materials is essential to produce Oriental Pharmaceuticals, which highlighted domestic medicinical herb exports as a source of earnng foreign currency.Various agents linked to China exported North Korean herbs and imported Chinese medicines in large quantities, resulting in the expansion of the pharmaceutical market.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Kim Jong-un administration, overseas joint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pharmacies have entered Pyongyang due to market-friendly policies, and private pharmacies belong to the local governments are spreading. These phenomena implie that the fee-based drug supply is progressing in North Korea,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where the two Koreas can coexist in the future. If South Korea imports high-efficiency North Korean medicinal herbs at low prices and invests in pharmaceutical equipment and technology in North Korea, the country will respond to the diversification of drug demand by developing domestic market and further entering the international market, and establishing domestic and foreign supply chains to cope with covid- 19, etc.,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inter-Korean cooperation. *Key word : State controlled pharmaceutical market, pills, antibiotics, manufacturing, division of labor, herbal exports, inter-Korean cooperation. [국문요약] 본 논문은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북한에서의 제약시장 생성과 확대요인을 ‘공급’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약시장의 생성 및 확대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위기는 국영제약 운영의 마비로 이어져 의약품 수요의 과열현상을 초래했다. 이는 국영제약 종사자와 개인 상인들을 공급자로 유인해 제약시장 생성을 불러왔다. 둘째, 의약품 수요의 증대에 따라 제약시장은 개인 기술자들을 의약품 제조자로(공급자)로 유인하였다. 의약품 제조는 제약공업 기반이 구축되어 있는 지역 중심으로 새로운 시장을 파생시키며 국영기업의 자발적 시장화를 불러왔으며 전국적 범위에서 시장 분업과 제약시장 발달을 촉진하였다. 셋째, 의약품 공급 네트워크는 점차 해외시장으로 확대되는데, 이는 고려약 생산을 또 다시 적극 추진한 보건의료정책이 동인으로 작용했다. 고려약을 생산하려면 설비와 자재 등 초기자본이 필수적인데, 이는 약초 수출을 외화벌이 원천으로 부각시켰다. 중국과 연계된 다양한 주체들이 북한산 약초를 수출하는 동시에 중국 의약품을 대량 수입해 제약시장 확대를 초래했다. 김정은정부 출범 이후 시장 우호적 정책으로 인해 해외 합작 제약회사들과 약국들이 평양에 들어서고, 지방정부 명의 개인약국이 확산되는 추세는 사실상 북한에서의 의약품 유료화가 진전되고 있음을 함축하고 있으며 향후 남북이 상생하는 제약산업 협력 가능성을 시사한다. 효능이 뛰어난 북한산 약초를 저가로 수입하고, 제약설비와 기술을 투자하면 북한 내수시장을 성장시키고 나아가 국제시장에 진출함으로써 북한 스스로 의약품수요의 다변화에 대응해 국내외 공급망을 구축해 자립성을 추구하는 북한 당국의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코로나19 등 남북보건협력에 적극 나서도록 지평을 넓히는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본다. *주제어 제약시장, 알약, 항생제, 개인제조, 약초수출, 중국시장, 남북협력.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