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학자들의 정몽주 인식 - 비판적 평가를 중심으로 -

        강문식 숭실사학회 2021 숭실사학 Vol.- No.47

        본고는 조선시대 학자들이 정몽주의 고려 말 행적 및 학문·정책 등에 관해 제기했던 비판적 평가와 그에 대한 반론의 전개 과정을 검토하여 정몽주에 대한 절대 긍정의 인식이 정착되어 갔던 과정의 일단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시대 학자들의 정몽주에 대한 비판적 평가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제기되었다. 첫째, 南 孝溫·曺植·鄭逑 등 15~16세기 학자들은 정몽주가 왕으로 섬겼던 우왕·창왕의 폐위에 동참 한 것은 신하의 도리를 다하지 못한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이에 대해 李滉은 정몽주의 출처에 대 한 문제 제기를 ‘의론을 좋아하고 남 공박하기를 즐기는 자들의 말’이라고 비판하였고, 우왕· 창왕의 왕위 계승을 秦始皇과 晉元帝의 상황에 비견하면서 정몽주의 행적이 정당했음을 강조하였 다. 둘째, 李珥는 정몽주에게 儒者의 기상이 조금 있기는 했으나 학문을 성취하지는 못했기 때문 에 충신으로는 인정할 수 있어도 학자로는 인정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에 반해 宋時烈은 정몽주 가 聖學의 요체를 후학에게 전수한 학문적 공로를 세웠다고 평가하고, 정몽주를 우리나라 道學 의 祖宗으로 인정하는 것은 ‘사림의 공론’이라고 단언하였다. 한편, 權尙夏는 이이가 정몽주를 儒者로 인정하지 않은 이유를 정몽주의 出處 문제와 연결시켜 해석함으로써 정몽주에 대한 이이와 송시열의 평가가 상충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셋째, 李瀷은 공민왕 대 정몽주가 親明反元 정책을 주장한 것은 元에 대한 의리를 저버린 것일 뿐만 아니라 元의 군사적 침략이라는 현실적 위험성을 간과한 것이었다고 지적하였다. 하지만 정 몽주의 외교 노선에 대한 이익의 비판적 지적은 이후 학자들에게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그 에 따라 고려 말 정몽주의 친명 정책 추진과 中華 제도 도입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이후에도 계속 이어지면서 조선 학자들의 정몽주 인식의 한 축을 형성하였다. This paper reviewed the critical evaluation and counterargument raised by scholars during the Joseon Dynasty regarding Jeong Mong-ju's activities and studie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is is expected to help confirm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absolute positive perception of Jeong Mong-ju. The critical evaluation of Jeong Mong-ju b y Joseon scholars was raised in three main aspects. First, scholars from the 15th and 16th centuries, such as Nam Hyo-on, Jo Sik and Jeong Gu, criticized that Jeong Mong-ju's participation in the deposition of King Wu and Chang, whom served as kings, failed to fulfill his duties. In response to this, Lee Hwang dismissed the raising questions about Jeong Mong-ju's ac tivities as ‘the words of those who enjoy criticizing and refuting others’ and emphasized that Jeong Mongju's actions were justified, comparing the situations of King Wu and Chang's reign to those of Qin Shi Huang and Jin W on-je. S e c o n d , Le e Y i s a i d t h at a l t h o u g h J e o n g M o n g - j u h a d a l i tt l e s p i r i t of Confucianism, he could be recognized as a loyalist but could not be recognized as a scholar because he did not achieve his studies. On the other hand, Song Siyeol evaluated that Jeong Mong-ju made academic contributions to transferring the essence of Neo-Confucianism to later scholars, and affirmed that it is Sarim's public opinion to recognize Jeong Mong-ju as the founder of Neo-Confucianism in Korea. In addition, Kwon Sang-ha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conflicting evaluations of Jeong Mong-ju between Lee Yi and Song Si-yeol by interpreting the reason why Lee Yi did not recognize Jeong Mong-ju as a scholar in connection with Jeong Mong-ju's activities at the late Goryeo. Third, Yi Ik pointed out that Jeong Mong-ju's claim for a foreign policy that favors the Ming Dynasty and rejects the Yuan Dynasty not only abandoned the loyalty to Yuan but also overlooked the practical danger of Yuan's military invasion. But Yi Ik's criticism of Jeong Mong-ju's foreign policy did not have much effect on scholars since then. Accordingly, the positive evaluation of Jeong Mong-ju's promotion of friendly policies for the Ming Dynast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hinese system continued afterwards, forming an axis of Joseon scholars' perception of Jeong Mong-ju.

      • KCI등재

        임고서원 소장 한두공 제작(1735년) 정몽주 영정 소개

        강영주 포은학회 2019 포은학연구 Vol.24 No.-

        The article explores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portraits of Jeong Mong-ju in the area of portraits of the Joseon Dynasty. The portrait of Jeong Mong-ju is carried by 20 records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are more than 10 works left. It represents a worship of Jeong Mong-ju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ortraits of Jeong Mong-ju continued to be produced by professional painters or painters who painted well since the Goryeo Dynasty. There are also many works that have outstanding workmanship. It also retains the style of portraits of the times. Therefore, two portraits of Jeong Mong-ju, mad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re currently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s.In this paper, the data were first colle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cords of the portraits of Jeong Mong-ju. The second introduced a portrait of Jeong Mong-ju painted by Han Doo-gong in 1735. The painting is very damaged, but it reflects the painting style of portrait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hen, an obscurity artist from the Gyeongsan area learned about Han Doo-gong. He is a very talented artist. I will study the political history and the nature and meaning of art history through the portrait of Jeong Mong-ju next time. 이 글은 훼손이 심한 1735년에 韓斗拱이 이모한 임고서원 소장 <을묘년 포은 정몽주 영정>을 중심으로 정몽주 영정에 대한 전체적인 시기별 기록과 이모현황을 소개하는 글이다. 정몽주 영정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20여개의 기록이 전하고, 유존하는 작품 수도 10개가 넘을 정도로 조선시대 정몽주 숭모현상을 보여주는 사례다. 정몽주의 초상화는 고려시대 入閣圖形 이후 조선시대 신원이 복원되면서부터 16세기, 17세기, 18세기, 19-20세기에 걸쳐 솜씨 좋은 여러 유명한 화가에 의해 계속해서 제작되었다. 때문에 초상화 작품 자체가 희귀한 조선 전기에 제작된 정몽주 영정 2점은 현재 보물 제1110-1호와 제1110-2호로 지정되어 있고, 최근 임고서원 소장 한두공이 제작한(1735년) 정몽주 영정이 그 가치를 인정받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37호로 지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몽주 영정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충렬서원 소장 1751년 張敬周(1710-?)가 제작한 정몽주 영정은 경기도유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으나 현재는 도난되어(도난일자: 1998.3.17.) 그 소재를 알 수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정몽주 영정 제작에 대한 문헌기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영정의 유형을 고찰하여 1차 사료로 삼아 한국미술사에 있어 정몽주 영정이 차지하는 의미와 가치를 밝혀, 유존하는 정몽주 영정의 안전과 보존을 위한 근거 자료로 삼고자 한다. 내용의 분량과 논리적 전개상 본 호에서는 1차적으로 정몽주 영정의 유형과 훼손이 심한 한두공(1735년) 제작 <을묘년 포은 정몽주 영정>을 소개하고, 영정을 통한 정치사적, 미술사적 성격과 의미에 대해서는 다음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 KCI등재

        中宗代 文廟從祀 論議와 朝鮮 道統의 形成

        김영두(Kim Young-Doo)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5

        조선 중종대의 정몽주-김굉필의 문묘종사 논의는 주자학 도통론의 사상적 영향 아래 진행되었다. 중종 5년과 9년에 건의된 정몽주의 문묘종사 주장은 중종 12년부터는 정몽주와 김굉필을 함께 문묘에 종사하자는 주장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주장은 주자학 도통론의 강력한 영향 아래 조선 도학의 정통이 정몽주로부터 김굉필로 이어지게 되었다는 도학 정통의 수립과 병행하여 추진되었다. 공자에서 맹자로 이어지던 도학의 정통은 그 뒤 끊어지고 말았는데, 그것을 송대의 주돈이가 이어 주희에까지 계승되었다는 것이 주자학 도통론의 내용이었다. 이러한 이념의 영향으로 이 시기 조선에서는 고려말 정몽주가 도학의 정통을 중국으로부터 이어받았으며 그것이 김굉필에게로 전해졌다는 내용의 도학 계보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계보의 형성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정몽주에 대한 인식이 달라진다. 조선왕조 건국자들과의 정치투쟁 과정에서 죽음을 당했던 정몽주는 조선 건국 직후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는 곧 태종에 의해 고려를 대표하는 충신으로 받들어졌고, 그러한 평가는 대대로 국왕들에 의해 유지되고 강화되었다. 그것은 정몽주에게서 왕조의 흥망에 자신의 운명을 거는 절대적 충신의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정몽주를 조선 도통의 선구로 보는 유학자들은 ‘동방이학의 선조’라는 새로운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그리하여 그를 도학 계보의 시작점에 자리매김하였던 것이다. 과거 국왕들에 의해 구축되었던 정몽주의 명성은 그러한 이미지를 국가적으로 공인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동력으로 기능하였다. 정몽주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정몽주-김굉필의 도학 계보 형성은 조광조를 중심으로 하는 중종대의 사림 세력이 자신들의 정치적, 이념적 권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그들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세조대와 연산군대의 역사를 보는 관점을 다시 세우고 과거의 결정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넘어, 도통론이라는 보편적인 이론을 통해 자신들의 권위를 세우려는 적극적인 시도를 했던 것이다. 그 과정에서 조광조의 스승인 김굉필이 도학의 적통으로 추대되었다. 하지만 중종대의 문묘종사 논의는 정몽주만 문묘에 종사하는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따라서 김굉필을 문묘에 종사하여 조광조와 연결하려던 사림 세력의 의도는 현실정치에서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정몽주의 문묘종사는 도학의 계승자가 국가적으로 공인되어 문묘에 종사된 것이다. 이는 도통론이 조선의 이념적 지향을 결정하는 담론으로 기능할 수 있는 단초를 열었다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한 분기점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Daoton Doctrine of Zhuixue had influenced debates on enshrinement of Jeong Mong-ju and Kim Geong-pil in Munmyo (Confucius's Shrine) during Jungjong era. The claim for the enshrinement of Jeong made in 1510 and 1514 was expanded into the one including Kim in 1517. The movement for co-enshrinement can be juxtaposed with the formation of legitimate succession from Jeong Mong-ju to Kim Geong-pil. According to the Daotong doctrine, the legitimate transmission of Confucius's philosophy was discontinued after Mencius. Later, however, Chow in northern Sung restored the tradition and Zhuixue took over. The Sarim of Joseon Dynasty adopted this ground and argued that Jeong in Koryo dynasty inherited the legitimate authority from China and handed it down over to Kim. While forming the transmission, the image of Jeong was changed. Because Jeong was executed by the founders of Joseon dynasty, the government imposed negative image of Jeong. Soon, however, he carne to be admired by king Taejongand succeeding kings of Joseondue to the fact that he was loyal to Koryo Dynasty until his death. Additionally, the Confucian scholars who strived for the enshrinement of Jeong added the image as 'the pioneer of Korean Dohak' and placed him as the first one to legitimately transmit the Dohak in Joseon Dynasty. The accumulated reputation of Jeong Mong-ju by the past kings played a major role in officially proving the established image. Sarim party under the reign of Jungjong changed the image of Jeong Mong-ju and formed the connection between Jeong and Kim, as a part of their efforts to obtain political and ideological authority. Throughthese efforts, they tried notonly to build a new prospect which explained the history of the reign of King Sejo and King Yeonsan and to rectify false decisions, but also to use the Daotong doctrine as a universal concept to construct their ideological authority. Kim, the teacher of Jo Gwang-jo was promoted as the legitimate transmitter of Joseon Dohak. Debates on enshrinement of Jeong Mong-ju and Kim Geong-pil in Munmyo (Confucius's Shrine) were concluded by enshrining Jeong Mong-ju only. Therefore, Sarim's attempt to enshrine Kim and connect him to Jo looks like a failure. However, Jeong was enshrined as a legitimate transmitter of Dohak, which meant the Daotong doctrine was accepted officially by the nation for the first time. This historical event is significant in that Daotong discourse served as a momentum to decide the ideological direction of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圃隱 鄭夢周의 交遊 관계

        강문식(Kang Moon-shik) 한국인물사연구소 2009 한국인물사연구 Vol.11 No.-

        본고는 鄭夢周 및 그와 동시대에 살았던 인물들의 시문들을 통해 정몽주의 교유 관계를 검토하였다. 출사 이전부터 여러 선배·동료들과 교유 관계를 맺어왔던 정몽주는 1360년 과거 급제 이후 座主-門生 관계, 成均館에서의 교육 활동, 使行과 從軍 등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교유 범위를 확장해 나갔다. 이와 같은 정몽주의 교유 관계를 학문적·인간적 측면과 정치적 측면으로 나누어 본다면, 전자는 恭愍王代 성균관에서의 교유 관계가, 후자에 禑王代 李成桂·鄭道傳과의 교유가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정몽주는 성균관 교관 시절 李穡·李崇仁·金九容·朴宜中·鄭道傳·權近 등 여러 학자들과 교유하면서 성리학 연구와 儒生 교육에 전념하였고, 이를 통해 그는 고려를 대표하는 학자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다. 鄭夢周는 禑王代 이후에도 계속해서 성균관 시절 동료들과 서신 및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하였다. 즉 정몽주는 위화도회군 이후 공양왕대 초반까지 개혁 추진에 앞장서면서 정치적으로는 성균관 시절 동료들과 다른 길을 걷기도 하였지만, 인간적인 측면에서는 여전히 이들과 매우 깊고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鄭道傳은 정몽주가 평생의 친구로 교유했던 인물이다. 1360년경 처음 만난 이후 성균관 시절 등을 거치면서 학문적 동지로서 깊이 교유했던 두 사람은 1383년(우왕 9) 이후 고려의 정치·사회에 대한 개혁을 추구하는 정치적 동지로 거듭났다. 그리고 여기에는 역시 정몽주가 젊은 시절부터 교유했던 李成桂가 함께 하였다. 그 결과 이 세 사람은 1388년 위화도회군 이후 한 동안 私田改革에 찬성하고 恭讓王 옹립을 주도하는 등 각종 개혁 추진에 함께하였다. 하지만 이성계·정도전이 易姓革命을 본격 추진하면서 반대파에 대한 숙청을 강화하자, 개혁에는 공감했지만 왕조 교체에는 동의할 수 없었던 정몽주는 결국 이성계·정도전과 결별하고 이들과 대립하였다. 그 결과 30년을 이어 온 정몽주와 정도전·이성계의 교유 관계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This paper focused on Jeong Mong-ju(鄭夢周)'s friendship by analyzing the poetry and prose essays written by Jeong Mong-ju and his friends. Jeong Mong-ju had associated with many fellows before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And after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1360, he extended the boundary of his friendship through Jwaju-munsaeng-je(座主門生制, the system of examiners and successful examination candidates), and various activities as a government official like lecturing at Seonggyun-gwan(成均館), going to China and Japan as an envoy, and so on. Jeong Mong-ju's friendship had two aspects one was the personal and academic relations, the other was the political relations. In the former, making friendship at Seonggyun-gwan in the reign of Gongminwang(恭愍王) was most important. And in the latter, the friendship with Jeong Do-jeon(鄭道傳) and Lee Seong-gye(李成桂) in the reign of Woowang(禑王) was the kernel of a question. When Jeong Mong-ju was, a lecturer in Seonggyun-gwan, he associated with many scholars such as Lee Saek(李穡), Lee Soong-in(李崇仁), Kim Koo-yong (金九容) and so on, and they became academic comrades. Jeong Mong-ju devoted himself to studying Neo-Confucianism and educating students in Seonggyun-gwan. As a result he consolidated his position 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Koryeo dynasty. After Wihwado hoegun(威化島回軍, dramatic turnabout of 1388) Jeong Mong-ju led the reform of Koryeo's internal administration and differed from his friends who worked together in Seonggyun-gwan. But in the personal side, Jeong Mong-ju kept up the close friendship with them as ever by exchanging the poetry and prose essays. The first time Jeong Mong-ju met Jeong Do-jeon was about 1360 and from that time they had associated academically more than 20 years. Jeong Mong-ju also had kept company with Lee Seong-gye from 1363. In 1383, Jeong Do-jeon visited Hamju(咸州) where the troops of Lee Seong-gye and Jeong Mong-ju were stationed and they met together. At that time, they had the same opinion that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reform was urgently needed and they became political comrades. Consequently, after Wihwado hoegun they led the reform together such as land reform(私田改革) and enthroning Gongyangwang(恭讓王). Jeong Mong-ju consented to the necessity of reform but he was opposed to the dynastic revolution. So when Lee Seong-gye and Jeong Do-jeon tried to found a new country in earnest, Jeong Mong-ju parted from and had a political showdown with them. As a resur, their friendship lasted more than 30 years was finished tragically.

      • KCI등재

        정몽주 초상화의 제작과 숭모

        강영주(kang young-Ju) 포은학회 2021 포은학연구 Vol.28 No.-

        정몽주 초상화는 서원과 사당, 영당 등에 봉안된 전신 초상화와 문집과 화첩 등에 실린 반신 초상화로 구분된다. 전신 초상화는 배향과 제례를 통해 정몽주를 추모하기 위해 제작되었고 반신 초상화는 조선시대에 화첩으로 장첩되어 선물, 감상, 교화 등을 목적으로 제작되다가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통치의 일환으로 인쇄되어 확산되었다. 이 글에서는 포은영당의 정몽주 초상화가 현대작이 아니라 1677년 한시각이 제작한 초상화를 1769년 한종유가 1차 보완하고 20세기 다시 2차로 수정한 작품일 수도 있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총 3폭의 정몽주 초상화를 제작한 한종유가 1768년에 숭양서원에 봉안할 목적으로 제작한 초상화가 가묘(영당)에 봉안된 1769년 본과 확연히 다르기 때문이다. 1768년 한종유가 제작한 숭양서원 본의 정몽주 초상화는 형형한 눈빛, 강직한 인상, 일부 가감된 의습선 등이 이전 시기의 이모본들과 달라 주목된다. 이는 당시 1677년 한시각 본이 ‘참 모습을 잃어(失眞)’ 다시 제작하게 되면서 한종유가 특별히 포은의 삶과 인품 등이 드러나게 초상화의 ‘전신(傳神)’에 천착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한종유가 1768년 숭양서원 본을 제작할 때 포은문집의 간행에 들어갈 ‘초상’을 요청받아 제작했음도 주목할 만하다. 또한 서울대학교 소장 정몽주 반신 초상화 초본은 바탕 재질과 한종유의 초상 양식을 보여주고 있어 18세기 후기에 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정몽주 초상화는 크게 조선 전반기 대표적으로 ‘핍진(逼眞)’한 이모본이였던 1555년 임고서원 본 초상화 유형과 조선 후반기 1768년 숭양서원 한종유 초상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한철도 일제강점기 숭양서원에 봉안된 1768년 한종유의 정몽주 초상화를 모사하였음을 밝히고 있으며 현대에도 정몽주 초상화를 거론할 때 이한철이 제작한 1880년 본을 대표작으로 내세우기 때문이다. 이처럼 정몽주 초상화의 제작 방식과 유형에 따라 초상화의 성격과 숭모 방식이 달라졌던 것이다. The portrait of Jeong Mong-Joo(鄭夢周) is divided into a full-body portrait(全身 肖像畵) enclosed in Seowon, Sadang, and Yeongdang(影堂:The the household shrine where the portrait) is enshrined, and a half-body portrait(半身 肖像畵) in collections of writings and paintings(畵帖). Full-body portraits of the Joseon Dynasty were produced to commemorate and worship Jeong Mong-ju through orientation and ancestral rites. During the Joseon Dynasty, half-body portraits were produced for the purpose of gifts, appreciation, and edification, but Japanese colonial era was printed and spread as part of colonial rule. In this article, the portrait of Poh-Eun Yeongdang(圃隱影堂) was not a modern work, but a portrait produced by Han Si-Gak(韓時覺) in 1677, which was renovated by Han Jong-Yu(韓宗裕) in 1768 and revised again in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a draft of the portrait own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서울大學校) was considered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late 18th century in the style of the background material and work. In other words, the portrait of Jeong Mong-joo can be divided into a portrait type in 1555 and a portrait type of Han Jong-yu in 1768. In Japanese colonial era, portraits of Soongyang Confucian Academy(崧陽書院) became more popular by people traveling between Kaesong(開城), the center of transportation. Lee Han-Cheol(李漢喆) also revealed that he copied Han Jong-yu s portrait. It was found that the adoration method and style of the portrait chang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and type of portrait of Jeong Mong-Joo.

      • KCI등재

        선조ㆍ광해군대 정몽주 인식

        김보정(Kim, Boe-Jeo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61 No.-

        본고는 조선 전기 성리학 이해를 살펴보기 위한 일환으로써 윤두수의 『성인록』과 오운의 『동사찬요』를 통하여 선조·광해군대 사림의 정몽주 인식을 살펴본 연구이다. 중종대 정몽주의 문묘종사는 정몽주를 충신에서 성현의 반열로 올려놓고 있으나, 문묘종사에서 논란이 되었던 정몽주의 출처에 대해서는 여전히 분분하니, 명종대 이황은 程子의 말을 빌어서 그 진위의 논란을 잠재우고 있다. 선조대 이르러 서인의 영수인 윤두수는 『성인록』에서 정몽주를 송나라의 문천상과 나란히 살신성인한 인물로서, 이제는 충신을 뛰어넘어 ‘仁人’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정몽주의 문집인 『포은집』은 한 개인의 문집으로써 세종대에 이어서, 또 한 번 선조 18년(1585)에 간행되어 반포된다. 이때 좌의정 노수신에게 서문을 쓰게 하고, 유성룡에게는 기존의 신계본, 개성본, 관본을 모아서 교정을 보게 하고 발문을 쓰게 하는데, 그 과정에서 대의명분을 저버린 정도전과의 교유 관련 내용은 모두 삭제된다. 임진왜란 이후 동인의 영수인 유성룡이 교정을 보아서 간행되었던 『포은집』 운각본을 바탕으로 잘못된 곳을 다시 한 번 개진하는 이가 유성룡의 벗인 죽유 오운이다. 오운은 세 차례에 걸쳐 『동사찬요』를 편찬한다. 그 과정에서 『고려사』에는 수록되지 못한, 고려 말 절의를 지킨 인물 길재, 김주, 이양중, 서견, 원천석 등을 추가 서술하는데, 이들은 선조대 이르러 세인의 이목을 받던 인물들이다. 여기에는 선조대 정몽주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한 몫을 하고 있다. 광해군대 이르러 오운은 『동사찬요』의 정몽주 열전에서 이성계와의 관련 내용을 삭제하고, 그 대신에 공민왕 16년 기사, 즉 이색이 정몽주를 동방 이학의 비조라고 칭송한 기사를 서술하고 있다. 이는 중종 12년 정몽주가 문묘에 종사된 이후 조선 이학의 도통의 연원이라는 것을 말하는 단초가 되는 기사로써, 이를 강조하고자 함인 것이다. 이를 반증하듯 공양왕대 기사 가운데 공양왕의 옹립, 정몽주의 죽음을 제외한 모든 기사를 삭제하여, 도리어 정몽주의 죽음을 살신성인으로 강조하게 되니 성현의 반열에서 ‘인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하여 보면 선조·광해군대 정몽주에 대한 인식은 당파를 초월하여 임진왜란을 극복하였듯이 소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조대 윤두수는 중종대 성현의 반열에 올려진 정몽주의 인식을 ‘인인’ 단계로 구체화시키며, 광해군대 오운은 이를 『동사찬요』에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This article is investigated about the recognition of Jeong Mong-Ju in Sarim of Seonjo and Kwanghaegun through Sunginrok of Yoon Du-Su and Dongsachanyo of Oh U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Jeong Mong-Ju was moved up to the rank to the saint from the loyalist by Moonmyojongsa of Jeong Mong-Ju in Jungjong’s period, however, his source was continuously controversial. Lee Hwang in Myongjong’s period obliterated the authenticity controversy by quotation of Jungja words. In Seonjo’s period, Yoon Du-Su, who was the leader of Seoin, recognized Jeong Mong-Ju as the saint in Sunginrok. He called that Jeong Mong-Ju was a martyr like Moon Cheon-Sang in Song Country. Through this recognition, Pounjib of Jeong Mong-Ju was again spreaded and published in 18 years of Seonjo’s period. The introduction was written by Noh Su-Shin, who was the first vice-premier. and the epilogue was written by Ryu Seong-Ryong. In the process, the information relating to Jeong Do-jeon has been deleted. After Imjin War, Ryu Seong-Ryong, who was the leader of Dongin, published Pounjib and Oh Un, who was a friend of Ryu Seong-Ryong, was again published after the correction. Oh Un published Dongsachanyo third edition. In this process, Gil Jae, Kim Ju, Lee Yang-Jung, Seo Kyeon, and Won Cheon-Seok were described additionally, they received the attention of the public in Seonjo’s period. It played an important role that the change of the recognition of Jeong Mong-Ju in Seonjo’s period. Additionally, the story of Jeong Mong-Ju in 16 years Gongmin King period in Dongsachanyo was included in the achievements of Jeong Mong-Ju. This story was showed that Jeong Mong-Ju in 12 years Jungjong’s period was the origin of Chosun Confucianism, and it was emphasized in this story. As disprove it, all stories except the enthroning of Gongyang King and the death of Jeong Mong-Ju were deleted, rather, the death of Jeong Mong-Ju was emphasized as the martyr and was showed the aspect as the saint. Through this article, we could know that the recognition of Jeong Mong-Ju in Sarim of Seonjo and Kwanghaegun was communicated as the overcome of the Imjin War transcending the partisans. Yoon Du-Su in Seonjo’s period embodied the recognition of Jeong Mong-Ju moved up to the rank to the saint in Jungjong’s period, Oh Un in Kwanghaegun’s period reflected in Dongsachanyo.

      • KCI등재

        정몽주(鄭夢周)의 두 편지의 글씨에 관한 일고찰

        하영휘 ( Ha Young-wh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8 No.-

        『麗末鮮初先賢帖』에 실려 있는 鄭夢周의 `7월 21일`, `8월 5일` 두 편지의 글씨는 변화무쌍하고 자연스럽다. 이 논문은 이 글씨가 정몽주의 친필인지 아닌지를 살펴본 것이다. 정몽주처럼 중요한 인물의 글씨는 그 친필여부를 가려 문화유산으로 보존하고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글씨는 尹斗壽가 정몽주의 친필로 인정하고 『成仁錄』에 모각한 편지와 서체가 일치한다. 또 이 두 편지는 柳成龍이 정몽주의 친필로 인정하고 『圃隱集』에 실은 편지와 내용이 일치한다. 吳世昌도 `7월 21일` 편지의 모사본을 정몽주의 글씨로 보고 『槿墨』의 첫머리에 수록했는데, 이것은 『成仁錄』을 모사한 것이다. 이로써 이 글씨가 정몽주의 서체인 것은 알 수 있다. 그러나 친필이라고 단정하기는 이르다. 원본의 모사본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글씨가 모사본일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았다. 모사로는 흉내 낼 수 없는 파격적인 변화와 자연스러운 멋이 있기 때문이다. 또 정몽주의 외손 尹師國과 오세창이 친필로 인정한 『槿域書彙』의 정몽주 글씨와 비교해본 결과, 두 글씨는 한사람이 썼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Jeong, Mong-joo(鄭夢周, 1337~1392)`s `July 21` and `August 5` two handwritten letters are included in the 『Ryeomalseonchoseonhyeoncheop(麗末鮮初先賢帖)』. The calligraphy (書體) of them is peculiar, protean and natural. The question is whether the calligraphy is Jeong`s own handwriting or not. Yoon, Doo-soo(尹斗壽, 1533~1601) reproduced the calligraphy on the 『Seongillok(成 仁錄)』. Ryu Seong-ryong(柳成龍, 1542~1607) included the two letters in the 『Poeunjip (圃隱集)』. Osechang(吳世昌, 1864~1953) included the `July 21` letter on the first page of 『Geunmuk(槿墨)』 which is the anthology of masterful calligraphy in Korean history. These facts tell us that these three people acknowledged the calligraphy as Jeong`s own handwriting. The next step was to compare the calligraphy of the two letters with the calligraphy of 『Geunyeogseohwi(槿域書彙)』 which is recognized as Jeong`s own handwriting by Osechang and Yunsaguk(尹師國, 1728~1809). Consequently, both sides were proved to be the same calligraphy. Accordingly, we can reach a conclusion that the calligraphy of the two letters is Jeong, Mong-joo`s own handwriting.

      • KCI등재후보

        天下何人不夢周? -鄭夢周在中國本土的影響

        곡금량(曲金良) 포은학회 2013 포은학연구 Vol.11 No.-

        포은학, 즉 포은 정몽주에 대한 연구는 한국학의 한 구성 부분일 뿐만 아니라, 중국학의 한 구성 부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중국과 한국은 전통우방으로서 같은 문화공동체의 구성원으로 귀속할 수 있다. 포은학은 중ㆍ한 문화공동체에 속한 문화현상으로, 포은 정몽주는 중ㆍ한 양국의 문화발전에 심원한 영향을 준 인물이다. 명ㆍ청 시기에 포은 정몽주에 대한 인식은 시기별로 전ㆍ후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여말선초, 정몽주에 대한 인식은 명나라에 올린 주문(奏文)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런 주문은 조선 왕조의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되어 있다. 그 때, 정몽주는 흔히 '권신(權臣)'ㆍ'간신(奸臣)'으로 정의되어 있는데, 중국 본토에서는 여말선초 때의 '권신설'ㆍ'奸臣說'을 고스란히 받아들였다. 세종대부터 편찬하고, 문종대에 성서(成書)한 『고려사』는 조선왕조의 포은 정몽주에 대한 평가의 변모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중국 본토에서의 포은 정몽주의 평가도 변모하였다. 명나라 만력대(萬曆代)의 진사 전겸익(進士 錢謙益)은 『열조시집(列朝詩集)』을 편찬할 때, 포은 정몽주의 시를 상당히 중요시하였다. 전겸익은 명말청초 중국 문단의 대표 인물로서 그가 편찬한 『열조시집』도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고, 청나라 순치대(順治代), 강희대(康熙代), 선통대(宣统代)에 여러 번 간행되었다. 『열조시집』에 수록한 다른 두 조선 사람의 시도 정몽주와 관련이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바, 당시 중국 본토에서 포은 정몽주는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었던 사람이다. 『열조시집』은 청나라 강희 21년(숙종 8년, 1682년)에 조선에 전입되면서 당시 문인들의 시선을 많이 끌었다. 청나라 중엽, 주이존(朱彝尊)이 명나라 시가를 모은 시가총집 『명시종(明詩綜)』에서도 포은 정몽주의 시를 필수로 선록(選錄)하였다. 주이존은 『명시종』에서 정몽주의 행적에 대해 간단히 적었고, 『고려사』에서 포은 정몽주의 행적을 간과하지 않았던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 청나라 말엽, 오경지(吳慶坻)는 『조선시록(朝鮮詩錄)』의 간행경위를 자세히 소개하였다(『초랑좌록(蕉廊脞錄)』 권5). 『조선시록(朝鮮詩錄)』은 총 4책인데, 첫 책에 포은 정몽주의 시를 수록하였고, "그 뒤에 또한 정몽주의 시를 수록하였는데 대개 두 책에 달하였다(其後又錄鄭夢周詩 幾盈二冊)."라고 하였다. 이는 총 4책인 『조선시록』의 절반 즈음에 가까운 분량이다. 이로부터 포은 정몽주의 중국 본토에서의 영향력을 엿볼 수 있다. 근현대에 들어서서 중국 본토에 끼친 포은 정몽주의 영향도 20세기 90년대를 기점으로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차 아편전쟁'이후, '양무파(洋務派)'와 '서화파(西化派)'가 흥성되면서 점차 학술ㆍ문화 분야에서 지적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중국 본토의 역대 문인과 걸작에 대한 정리는 거의 정체되었고, 포은 정몽주를 비롯한 역외 문인에 관한 연구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된 후인 20세기 50~60년대, 중국 본토에서는 포은 정몽주 연구의 새로운 고조가 일어났다. 이소일(李少一)의 『정포은에 대하여(關於鄭圃隱)』는 당시 중국사회과학원 원장 곽말약(郭沫若), 북한 부수상 홍명희, 북경대학교 저명한 사학가 전백찬(翦伯贊), 북경대학교 사학가 주일양(周一良) 등 문인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92년 중ㆍ한 수교 이후, 한국에서 붐을 일었던 포은학 연구 성과가 중국 학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예컨대, 북경대학교의 루우열(樓宇烈) 교수는 20세기 90년대 초반부터 포은 정몽주 및 한국의 성리학을 연구한 저명한 학자이다. 이로부터 정몽주가 중국으로 사행하는 길에 투속한 곳, 교통로(해로)도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 부상되었다. 한국 학계 및 영일정씨 포은공파가 포은 정몽주의 사행 경로와 사행 유적지에 대한 중시는 중국 본토의 학자, 관련 지방 정부기관의 관심을 야기하였다. 당대에 들어서서 중ㆍ한 양국관계의 발전과 더불어, 포은 정몽주의 사상ㆍ시문ㆍ행적에 관한 연구도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생각되고, 유가 문화에 대한 연구도 더욱 발전될 것으로 생각한다. 郑梦周在明清时代中国的影响, 可分为前后两个时期。 第一个时期, 是明初根据高丽末朝鲜建国初期对明朝廷的奏报。奏报原文见李氏朝鲜的 ≪李朝实录≫, 郑梦周是作为"权臣"、"奸臣"定性的。由此, 在中国本土, 当时对郑梦周的定性与评价, 与高丽末朝鲜初一致。李氏朝鲜对郑梦周的评价, 到了世宗时编撰、文宗成书≪高丽史≫ 彻底转变。于是在中国本土, 对郑梦周的定性与评价, 也随之彻底转变。到了明万历进士钱谦益编纂 ≪列朝诗集≫, 郑梦周诗成为重要选项。因钱谦益在明末清初是文坛盟主, ≪列朝诗集≫影响巨大。顺治、康熙、宣统等各代多次刊刻。 ≪列朝诗集≫ 所选诗, 还有另外两位朝鲜作者的诗与郑梦周有关, 可见其在中原大陆受到的广泛关注。 ≪列朝诗集≫ 于清康熙二十一年 (朝鲜肃宗八年,1682)传入朝鲜, 受到高度重视。 清中叶朱彝尊编选的明代诗歌总集 ≪明诗综≫, 郑梦周又是必选。在 ≪明诗综≫ 中, 朱彝尊对郑梦周不但作有简要的生平介绍,还在文末附有按语, 对 ≪高丽史≫ 不没郑氏事迹大加称赏。晚晴吴庆坻 ≪蕉廊脞录≫, 卷五又记有 ≪朝鲜诗录≫ 四册辗转抄阅流传的情况。 ≪朝鲜诗录≫ 四册, 不仅第一册中即录有郑梦周诗, 而且"其后又录郑梦周诗, 几盈二册", 即几占了 ≪朝鲜诗录≫ 四册的一半的篇幅份量, 可见郑梦周及其诗在中国本土一直以来的影响。 郑梦周在近现代和当代中国的影响, 同样也可分为两个时期: 一是20世纪90年代以往, 一是20世纪90年代以来。 近代中国, "洋务派"和西化派主导学术文化, 妨害了中国本土对历史上中外历代名家名作的整理、研究和评价。中国本土现代人对郑梦周的关注和研究, 是新中国即中华人民共和国成立之初的20世纪50、60年代。李少一 ≪关于郑圃隐≫ 的研究和探求, 牵动了时任中国科学院院长的郭沫若、朝鲜副首相洪命熹、北京大学著名史学家翦伯赞、周一良等的高度重视和研究、评价。 20世纪90年代以来, 自中韩两国建交, 韩国的郑梦周研究即圃隐学热感染了中国学界。像北京大学楼宇烈教授等, 是90年代较早系统梳理、研究郑梦周与韩国性理学的著名学者。郑梦周出使入朝所往返经过的海道, 也成为人们重视的"节点"。韩国郑梦周研究学界和郑氏宗亲对郑梦周在中国本土行止遗迹的重视得到了中国本土相关学者、各地政府和相关部门的积极呼应。中韩的当代合作, 将使郑梦周之思想、诗文、行迹在中韩两国得到当代"落地", 这样的儒家文化之树, 有望在当代中韩两国越来越茁壮地成长。

      • KCI등재

        포은 정몽주의 학문과 절의

        홍원식(Hong, Won-Sik)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8 No.-

        우리는 포은 정몽주를 대표적인 충신이요 우리나라의 성리학을 연 인물로 기억하고 있다. 실제로 정몽주는 유교의 대의명분을 내세우며 고려 왕조를 지키려다 순절하였으며, 목은 이색은 정몽주의 성리학에 대한 조예가 깊음을 높이 사 ‘동방리학지조(東方理學之祖)’라고 말한 적이 있다. 그렇지만 정몽주의 이러한 행적을 기억해내 우리나라의 儒宗으로 삼은 사람은 그 가 죽은 뒤 100년도 더 지나 등장한 기묘사림(己卯士林)들에 의해서이다. 그들은 문묘종사운동(文廟從祀運動)을 통해 정몽주를 우리나라 유종의 자리에 앉힌 뒤 그의 도의와 학문을 이은 정통적 계승자가 한훤당 김굉필이라고 주장하였다. 김굉필은 그들의 스승이자 그들이 가장 존경했던 인물이었다. 이어 그들은 도통론(道統論)을 내세우며 정몽주에서 김굉필로 이어지는 계보를 완성하였다. 그들이 만든 도학의 계보가 이후 유학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지면서, 그들은 조선 왕조 내내 역사적 승자로 군림하였으며, 오늘날 우리도 많은 부분 그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기묘사림들이 기억해낸 정몽주의 모습이다. 이에 대해 오늘날 우리는 역사적 사실과 맞지 않는 부분은 고칠 필요가 있으며, 이 시대에 맞게 다시 그를 기억하고 그의 모습을 그려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We are remembering Poeun(圃隱) Jeong MongJoo(鄭夢周) as typical loyalist and figure who opens neo-confucianism of our country. Actually, Jeong MongJoo died for his chastity for trying to insist on just cause of confucianism and to take care of Koryeo Dynasty. Jeong MongJoo was raised as ‘the Master of Oriental Ri-Learning(東方理學之祖)’ by Mogeun(牧隱) Yi Saek(李穡). By the way, GimyoSarim(己卯士林) regard Jeong MongJoo as master of confucianism(儒宗), they are men who are around 100 years later, after Jeong MongJoo had died. They asserted that authentic successor who succeeds to confucian principle and philosophy of Jeong MongJoo is Hanwheondang(寒暄堂) Gim GoingPhil(金宏弼) after seating Jeong MongJoo on master of confucianism of out country through the Enshrinement Movement of Confucian Scholars(文廟從祀運動). Gim GoingPhil is their teacher and is admired the most by them. They stood for the theory of Dotong, completed a genealogy which leads from Jeong MongJoo to Gim GoingPhil. genealogy of Dohak(道學) they make is accepted by the later confucian scholars, they are a leading historic winner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and we are influenced by a large part of him today too. But It is form of Jeong MongJoo that GimyoSarim remember. We need to redress points that are inconsistent with historic fact. we need to remember and to draw up his figure to our era.

      • KCI등재

        16세기 도통론의 전개와 포은 정몽주의 위상

        이경동(Lee, Kyungdong)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7 No.-

        포은 정몽주는 중종 12년(1517) 문묘에 종사되면서 도학의 조종(祖宗)으로서 위상을 공인받았다. 문묘종사 이후 16세기 전반에 걸쳐 사림은 정몽주의 위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강화하면서 조선 사회만의 도통론을 체계화하였다. 16세기에 정몽주는 절의를 중심으로 학문과 그에 수반된 실천들이 강조되며 도통의 조종으로 정립되었다. 또한 정몽주는 기자에서 시작되는 동방의 도통을 회복한 인물로서 상징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당대 사림들은 조선사회의 도통을 확보하고 사림의 정치적․사회적 명분을 강화하였다. 16세기 정몽주에 대한 사림의 추숭은 문묘종사․서원건립․시문(詩文)등의 기록물․출판활동 등을 통해 점차 확대되어 갔다. 특히 이러한 사업들은 16세기 후반 사림정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선조대에 집중적으로 추진 되었다. 17세기 초에는 5현이 문묘에 종사되면서 조선의 도통론은 국가 및 사회적으로 공인을 받게 되었다. 16세기의 도통론에 입각한 정몽주에 대한 위상은 단순히 그 시대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이후에도 정몽주에 대한 이해는 조선후기에도 통용되었다. 특히 17세기 심화된 성리학적 의리론과 함께 정몽주는 도통을 기반으로 화이론과 관련된 시대적 흐름의 상징적인 인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이는 17세기 정몽주에 대한 인식이 16세기를 계승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처해진 현실에 따라 재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역사적 과정은 현재까지 정몽주가 절의 및 동방 도통의 조종(祖宗)으로 인식되는데 주요한 역할 을 했다. This study shows that how Poeun Jung Mong-Ju established his Neo-Confucian images and acknowledged influence of Neo-Confucian orthodoxy(道統) in the 16th century Joseon Dynasty. The influence of Poeun Jung Mong-Ju was established a symbol of fidelity toward royal family, since he died augustly for his filial fidelity in the 15th century. In their speeches and writings produced by literati-scholars in the 16th century noted that Jung Mong-Ju was known as not only a “liege man” to keep filial fidelity but also a “founder” of Korean Neo-Confucianism. Moreover, they directly linked him into Jizi(箕子), legendary sage from end of Shang dynasty(c.1100 BC). At that same time, public and private persons urged toward primary enterprises to commemorate Jung Mong-Ju’s remarkable achievements. On the preferential basis, literati-scholars established seowon, Neo-Confucian private academies, for venerating the scholar Poeun and educating rural students. The number of seowon venerating Poeun Jung Mong-ju were five, established between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and King Seonjo. These seowon were established in the region related to the venerated scholar, except for one, which was built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rural literati. Five seowon were dedicated to venerate the scholar: forming rituals and writing literary works. The government also gave privilege to his descendents, such as exemption from taxation and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addition, king Seonjo commanded to publish the collection of Poeun Jung Mong-Ju. In the 17th century, the influence of Poeun Jung Mong-ju was expanded with the Cause of Justice theory(義理論). Song Shi-Yeol,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in the 17th century, reviewed the studies of former masters of the master Jung with the Cause of Justice theory. He indicated Poeun Jung Mong-ju as a symbol of resistance and Neo-Confucian orthodoxy. These perspectives reveals that Poeun Jung Mong-Ju’s influence was originated from the 16th century. In conclusion, the establishment of Poeun Jung Mong-Ju’s influence in the 16th century has continued to influence up to the pre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