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 간 협력 모델에 기초한 언어재활사의 협력 태도 연구

        권미지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Study of Cooperative Attitude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Based on Mutual Cooperation ModelsMiji Kwon Abstract: In this study, language-speech pathologists were surveyed to identify the level of perception of cooperative attitudes based on a mutual cooperation model. Online surveys were distributed to language-speech pathologists and 67 copies were recovered. First, an average of 4.14±.55, was a positive understanding of cooperation attitudes. Second, the perception of cooperation with caregivers was high in categories of cooperative attitude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of clinical careers,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language treatment due to differences in cooperative attitudes by language-speech pathologists according to relevant background characteristics. Fourth,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in all categories in terms of cooperative attitudes by language-speech pathologi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perception of cooperative attitudes of field language-speech pathologists.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research on strategies for cooperation with caregivers for language-speech pathologists in the future. Key Word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Mutual Cooperation Model, Cooperative Attitude, Cooperation with Caregivers, Professional Cooperation 상호 간 협력 모델에 기초한 언어재활사의 협력 태도 연구권 미 지**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언어재활사들을 대상으로 상호 간 협력 모델에 기초한 협력 태도 인식 수준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현장 언어재활사들에게 온라인 설문을 배부하여 회수된 67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상호 간 협력 모델에 기초한 언어재활사의 협력 태도 인식 점수는 전체 평균 4.14±.55로 협력 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 태도의 범주별 인식에서 양육자와의 협력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관련 배경 특성에 따른 언어재활사들의 범주별 협력 태도 차이에서 임상경력, 최종학력, 언어치료 급수에 따른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언어재활사들의 범주별 협력 태도 간의 상관에서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현장 언어재활사들의 협력 태도 인식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추후 언어재활사를 위한 양육자와의 협력 방안 전략 등에 대해 심층 연구를 할 필요가 있겠다. 핵심어: 언어재활사, 상호 간 협력 모델, 협력 태도, 양육자와의 협력, 전문가 협력 □ 접수일: 2022년 11월 11일, 수정일: 2022년 12월 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본 연구는 2022년 광주대학교 대학 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 ** 광주대학교 언어치료학과 조교수(Professor, Gwangju Univ., Email: mjkwon@gwangju.ac.kr)

      • KCI등재

        특수학교 상황에서 학령기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사와 언어재활사의 협력 현황에 대한 인식 및 강화 방안

        이지연(Jiyeon Lee),김재옥(Jaeock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언어재활사 간의 협력 현황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현장에 적용 가능한 팀 협력 강화 방안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 3인, 언어재활사 3인의 총 6인이 참여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심층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크게 특수교사와 언어재활사의 협력 현황에 대한 인식과 특수교사와 언어재활사의 효과적인 협력 방안의 2개 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는 현행 협력의 형태, 협력의 효과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협력 시 현실적 어려움, 현장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협력 방안, 협력 시 갖추어야 할 조건, 적절한 협력 시 기대 효과의 6개 대주제로 구분되었다. 참여자들 모두 두 전문가 간 협력의 효과성과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현장 적용 가능한 협력 방안과 조건을 제시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언어재활사 간 현행 협력의 형태와 협력에 대한 현실적인 어려움에 대하여 현장 전문가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협력의 방안에 대하여 심도 있게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practice (IPP)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T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and to find out how to strengthen IPP among them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chool settings. Methods: In-depth interviews with 3 SETs and 3 SLPs were done based on their experience of IPP in school settings.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The contents of the in-depth interview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Recognition of IPP status among SETs and SLPs in school settings and the way to strengthen IPP. These were also divided into 6 themes: the current IPP type, recognition of the effects and the need for IPP, practical difficulties in IPP, applicable on-site IPP, the requirements for IPP, and the expected effects in proper IPP. All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IPP among experts and suggested ways and conditions for applying IPP to the field. Conclus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onsidered the current status and the practical difficulties related to IPP among SETs and SLP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ways that IPP can be applied to the school settings.

      • KCI등재

        전환교육에서의 기관 간 협력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와 유관기관 전문가의 이해와 경험

        우선주(Woo, Seonjoo),홍정숙(Hong, Jeongsuk),박영근(Park, Yungkeun)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3 장애와 고용 Vol.33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환교육에서의 기관 간 협력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와 유관기관 전문가의 이해와 경험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특수학교와 기관 간 협력 경험이 풍부한 경력 5년 이상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 10명, 지적장애 특수학교 유관기관 전문가 10명으로, 총 20명에게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전사 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2개의 범주, 4개의 주제, 16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4개의 주제는 ‘성공적인 전환교육의 의미’, ‘전환교육에서 유관기관 간 협력의 지향 ’, ‘특수학교와 유관기관 간 연계 실태’, ‘특수학교와 유관기관 간 연계 및 협력의 어려움’으로 분류되었다. 논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환교육에서의 기관 간 협력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와 유관기관 전문가의 이해와 경험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s of secondary special school teach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xperts from related organization on inter-institutional cooperation in transition education.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econdary special school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and 10 experts from organization who have abundant experience in cooperation between special schools and organization.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through the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2 categories, 4 themes and 16 sub-topics were derived. The four theme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view data are the meaning of successful transition education, aiming for cooperation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in transition education, the reality of cooperation between special schools and related organization, and difficulties in 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special schools and related organizations.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on th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secondary special school teach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xperts from related organizations on inter-institutional cooperation in transition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장애이미지, 장애원인 및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특수교육관련 종사자의 인식 비교

        구정아 ( Jeong Ah Ku ),박승희 ( Seung Hee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관련 종사자 세 집단이 5가지 장애사례(지체장애, 지적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자폐성장애)를 통해 인식하는 장애이미지, 장애원인 및 서비스 제공방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여 밝히고 세 집단의 인식 차이가 지니는 함축성에 대해 논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서울, 인천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특수학교 및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97명과 통합학급의 일반교사 98명, 특수교육보조원 93명을 합한 총 288명의 설문지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장애상황태도척도(McQuilkin, Freitag, & Harris, 1990)와 장애요인척도(William, Hershenson, & Fabian, 2000)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특수교육관련 종사자 세 집단 모두 장애이미지가 높지 않았으며 세 집단이 인식하는 장애이미지는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가지 장애사례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와 각 장애사례별로 살펴보았을 때 모두 장애이미지 점수 평균이 특수교사, 특수교육보조원, 일반교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관련 종사자가 인식하는 장애원인은 장애사례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와 각 사례별로 살펴보았을 때 하위요인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관련 종사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제공방법을 장애사례를 종합하여 살펴보았을 때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각 장애사례별로 살펴보았을 때는 하위요인에 따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교육에 직접 관여하고 협력해야 할 특수교사, 일반교사 및 특수교육보조원이 장애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그 세 집단 간 인식 차이 자료를 처음으로 제공하였다. 세 집단 모두 장애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제고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장애학생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이 세 집단 간의 장애인식 차이를 줄이고 협력 증진이 촉구된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관련 종사자의 장애에 대한 다학문적 균형잡힌 관점과 심화된 이해를 위한 교육 제공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ption toward disabilities among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especially focusing on images of and attributed causes of and service op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nts were 97 special education teachers, 98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93 paraprofessionals working at special schools and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nchon and Gyeonggi. The questionnaires were organized based on modified version of the Situational Attitude Scale, Handicapped Version(SASH) and the Disability Attribution Scale. In this study were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was conducted one-way ANOV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On the images of disabilities we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teachers and paraprofessionals by combining 5 cases of disabilities and respectively. On the attributed causes of disabilities we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in some subfactors of causes of disabilities. On the service opt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th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by combining 5 cases of disabilities. However, according to each case we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subfactors of services op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t is needed for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to narrow the gaps of the perception and to enhance positive perception toward disabilities. And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tinued to reduce the gaps of these perceptions and to increase the necessary supports for enhancing collaboration among related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for quality education for all students.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청각중복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최상배,조성하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demands of deaf school teachers regarding dea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employed as the research method. Six deaf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First, the ratio of dea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continually increased over tim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educating dea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due to the lack of methods for diagnostic evaluation and placement, large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lack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ers' lack of knowledge related to the deaf with multiple disabilities. Second, to educate the deaf with multiple disabilities, deaf schools are making efforts to provide human and material support by operating classes separately, and they are providing specialized services to improve functional ability. Third, for the future-oriented education of the deaf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et the methods for the evaluation and placement of dea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train and place qualified teachers through teacher preparation and training courses. In addition, the curriculum modification and a collaborative approach between experts were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deaf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visual communication, use various communication modes, and teach functional communicatio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for dea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in the future. [목적]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 현황과 제공하고 있는 교육적 지원 그리고 개선방안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6명의 청각장애학생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출현율이 과거에 비해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청각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진단평가 및 배치에 관한 기준의 부재, 학생 간 큰 개인차, 교육자료의 부족 및 공유 미흡, 교사의 청각중복장애 관련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학교에서는 청각중복장애 학생을 교육하기 위해 중복학급을 별도로 설치하여 인적․물적 지원을 제공하고, 기능적 학업능력 향상을 위한 특화된 서비스 제공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셋째, 발전적인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 평가 및 교육적 배치기준을 마련하고, 교사 준비교육과 연수 과정을 통해 자격을 갖춘 교사를 양성하고 배치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고 전문가 간 협력적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에 있어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은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서는 시각적 의사소통 강화, 다양한 의사소통 양식의 사용, 기능적 의사소통 지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향후 청각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중재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베트남 도시개발사업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이지연(Ji-Youn Lee)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2013 부동산 도시연구 Vol.5 No.2

        This paper provide assessing and understanding the differnces between what is felt to be important by Korean industries which have entered Vietnam and conducted urban development projects, and the foals of Vietnamese experts, will be of great help in seeking plans for successful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 Vietnam. The present study thus gave identical surveys to Korean and Vietnamese experts for a dual comparison in order to derive a strategy for future business projects. First, the Korean government must build strategies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s linked to state cooperation strategies in Vietnam. Second, Building government supported private public partnership is the greatest strategy for exporting new cities to newly developing countries in the ASEAN, including Vietnam. Third, a co-national body devoted to promoting mutual cooperation must be organized for the carrying out of projects. Such mutual initiatives for building co-national cooperative bodies are needed not only in Vietnam, but in all countries whose markets are a target for expor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