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노동이행과 배제

        김정현 ( Jeung Hyun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43 No.-

        본 연구는 여성가구주가 생계부양자로 노동시장에 진입한 이후 이들의 노동이행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이들의 노동권 유지를 어렵게 만드는 기제가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시에 거주하는 저소득 여성가구주 13명을 유의표집하고, 심층 면접하여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 여성가구주들은 불안정한 2차 노동시장에서 끊임없이 수평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 여성가구주들은 불안정한 노동이 장기화 될 때 심각한 빈곤상태에 놓이게 되고, 이것은 공적지원 의존으로 이어졌다. 공적지원을 받는 여성가구주들은 조건부 수급원칙에 따라 일반노동시장에서 빈곤노동시장으로 수직하강 이동하였다. 이러한 노동이행과정에서 저소득 여성가구주들은 노동시장의 구조적 차원, 사회관계적 차원, 젠더규범적 차원 등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배제를 경험하였다. 성분절적이고 인적자본 중심의 노동시장은 돌봄 노동으로 인해 경력이 단절된 여성가구주들을 안정적 노동에서 배제시킬 뿐 아니라, 여성생계부양자라는 낙인은 이들을 노동기회에서 배제시켰다. 또 여성가구주는 일과 돌봄의 양립이 어려울 때 스스로 노동시장에서 벗어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저소득 여성가구주가 빈곤에서 벗어나 경제적으로 독립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생애과정을 고려한 노동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돌봄의 사회화를 위한 제도적 노력, 젠더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labour transition of female householders is proceeded, and to identify mechanisms that cause them to be excluded from labor market. For this, thirteen lone mothers who have had labor experience in the market, while raising children were interviewed.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as proceeded by way of participant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Finding shows, impoverished lone mothers were horizontally moving incessantly on second labor market. As poverty worsens by years, poor lone mothers tend to be more dependant on the government``s support and to transit downward to work-poor labor market. The unprivileged women were excluded from multi-dimentions: market structure, social relations and gender norms. The sex-segmental and human capital-oriented market has excluded women who gave up their career for caring. Female breadwinners were frequently excluded from social relations and opportunities for labor due to their stigma. sometimes they were self-excluded from the market for they had to care for their children. In conclusion, suggestions are given to enhance qualities of lone mother``s lives and help them exit from poverty.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ositive labor policy with labor flexibility and stability and to practice socialization of care as care support system is very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ir jobs. Above all, social awareness of gender role must be changed.

      • 저소득모자가정과 함께 하는 사회사업실천모형의 탐색 -생태체계관점 및 강점관점을 중심으로-

        김영자 ( Young Ja Kim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2 No.-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여성가구주 가족을 다룰 때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문제(결핍) 모델과는 다른 강점 관점에서 이들을 새롭게 이해해 보고 이를 기초로 사회사업실천모형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저소득여성가구주 가족은 어려운 조건 속에서 발탈시켜온 적응유연성이 있으며, 이는 변화를 위한 긍정적 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이들 가족을 둘러싼 환경적 자원은 대체로 열악한 상황이지만, 양성평등한 사회정책에 대한 강조, 사회복지 정책에 있어서 권리적 요소의 확대 등은 저소득여성가구주 가족의 사회적 자원 확대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강점 관점의 임파워링 접근을 활용해 저소득여성가구주 가족과 함께 하는 사업사업실천 모형을 위해서는 사정과 개입의 수준을 실천의 방법론적 요소, 그리고 실천과정에 있어서의 핵심적 과정 등을 논하였다. 임파워링 접근의 실천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정과 개입의 수준들로는 개인체계와 환경체계 및 이것의 상호작용과 발달적 변화 등이며, 사정과 개입시에는 각 체계(혹은 체계의 변화)가 가지는 도전과 강점을 찾아내는 것과 그것의 역동적 상호작용 역시 중요하다. 임파워링을 위한 주요 방법론적 요소는 이야기와 대화, 이를 통한 비판적 성찰, 그리고 비판적 성찰을 통한 신념체계의 재구성 등이며, 클라이언트와 워커의 동등한 참여 역시 매우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임파워링 접근의 핵심적 과정으로서 대화, 자원발견과 주인되기, 그리고 파워사용과 확장하기 등의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강점 관점에서 저소득여성가구주 가족의 삶을 이해하고 이들과 함께 하는 사회 사업실천 모형을 구성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결핍 또는 문제 관점에 의한 실천과 달리, 클라이언트의 존엄성과 가치를 존중하는 사회사업의 본질적 목적에 좀더 부합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I proposed the social work practice model for law-income female-headed families with the view of strength perspectives. In the light of the strength perspectives, I reviewed the challenges and the change opportunities of those families, and then presented the social work practice model for them. Through the critical reviewing the existing studies, I showed the change opportunities could function for the female-headed family. The resilient features of their lives such as combining work and welfare, choosing the job mitigating housework-burden, and more strengthening role of the family members could be positive in achieving the change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ound the female-headed families are not favorable to enhance their life quality but some social factors, the stress of the gender equality in social policy and of the welfare as the social rights, could supply encouraging conditions for those families. 2As the social work practice model for the female-headed family, I demonstrated it applying the empowering approach. The critical elements of the model are as follows: the assessment/intervening levels; the methodological components in the practice; and the key processes in practice. When the levels of assessments and interventions are considere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micro system and environmental systems, and the developmental changes of the systems. Also it is stressed to define the challenges and the strengths of the family. Next, as the methodological points, I discussed stories, narration, critical reflection, and reorganizing the belief system through the reflection. Finally, the key processes to empower are dialogue, resource-discovery, and exercising(controling) power and expanding it.

      • KCI등재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빈곤화 과정에 대한 연구

        정미숙(Chung Mi-Su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4

        본 연구는 가족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여성 빈곤의 문제, 특히 남성 생계부양자 규범에 의해 여성들이 어떻게 자원배분과 자원통제에서 배제되어 빈곤에 취약해지게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혼경험이 있는 저소득 여성가구주 10명의 생애사를 분석하였다. 저소득 여성가구주들이 빈곤층에 이르게 되기까지 빈곤경로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구주들이 빈곤에 이르게 되는 경로에 따라서 빈곤의 지속유형과 빈곤으로의 유입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여성가구주의 빈곤은 출생 가족과 결혼 후 가족에서 자원형성과 자원배분, 자원통제에서의 차별을 통해서 빈곤에 취약해졌다. 남성 생계부양자 규범은 차별기제로 작동되었으나 빈곤화 경로 유형에 따라서 그것이 작동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음을 드러내었다. 빈곤의 지속 유형 사례 여성들에게 남성 생계부양자 규범은 상징적인 힘으로 작동되면서 이 여성들의 경제활동은 가족을 보살펴야 하는 아내 역할의 차원에서 수행되었다. 반면 빈곤으로의 유입 유형 사례 여성들에게 남성 생계부양자 규범은 피부양자의 위치로 자신을 인식함으로서 직업경력 단절 및 자원통제권을 상실하게 되면서 빈곤에 취약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여성가구주로 빈곤 논의에서 전제되고 있는 통념이 허구임을 밝힘으로써, 가족(The Family)만 유지된다면 여성은 빈곤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존 시각을 문제화하고 관점 전환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blem of feminization of poverty that is formed within family relations. In order to approach this question, this study analyses the process of becoming poor through the life stories of ten woman are now heads of a household.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member of a low-income class. I have classified them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routes they are led into the low-income class; one is the continuation of poverty group, and the other is the new members of the low-income class group. The continuation of poverty group is the case where they have been poor since their childhood and are still poor in their adulthood. The new members of the low-income class group is the case where you have become a low-income class sometime around divorce. The difference of the groups are related to the differences of the ways the power relationships work within a family. Women head of a household are prone to poverty because of the discrimination in formation, distribution and control of resources in their original family and their family formed by marriage. The norm of male breadwinner worked as a discrimination device. But this kind of discrimination device showed differences in their workings according to class. The continuation of poverty group experienced exclusion in the gendered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the family and maintaining the family, whereas the other group experienced exclusion through the gendered nature of the distribution and control of resources. By showing that the presupposition of discussions on the poverty of woman head of a household is false, these findings challenge the existing view that as long as 'The Family' is maintained women will not be poor.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Low-income Mothers` Employment: The Role of Behavioral Health and Government Support

        Song Na Kyoung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4

        본 연구논문의 목적은 개인의 우울증과 음주 및 약물 오, 남용, 그리고 소득이전프로그램이 저소득 모자가정 여성 가구주의 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분석을 위해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실시된 미국 약물남용 및 정신건강 서비스 관리(SAMHSA)의 국립 약물남용 보건조사(NSDUH)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목적에 따라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신건강 변수 중 약물 오, 남용이 취업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이전 프로그램 가운데서는 TANF와 SNAP, 그리고 사회복지 서비스가 모두 취업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만, 소득이전 프로그램 중TANF와 SNAP은 취업과 부정적 영향 관계를, 직업훈련과 아동복지 서비스를 포함한 사회복지 현물급여는 취업과 긍정적 영향 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 모자가정 여성 가구주의 근로활동을 위해서는 인적 자본 요인의 강화뿐 아니라 개별적 취업 장애요인을 파악한 다양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한데, 특히 음주 및 약물 오, 남용의 문제를 가진 저소득 여성의 경우에는 노동시장 참여를 위해 치료 후 사회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렇지 않은 저소득 여성 가구주의 경우 소득지원 이외의 취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취업훈련이나 아동복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Using the National Survey on Drug Use and Health (NSDUH) from the 2004 to 2013 wa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edictors of employment status among low-income single mothers in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used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predictor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pression and substance use disorder (behavioral health problems), and government supports (cash and in-kind). The sample consists of a total 14,722 single mothers. This study found that the presence of any substance abuse and dependenc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lower odds of employment,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Government supports, including Temporary Assistance for Needy Families (TANF) and the Supplemental Nutrition Assistance Program (SNAP)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odds of being employed, whereas receiving job training and child care suppor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being employed. The findings reveal associated relationships between behavioral health, government supports (welfare benefits), and employment.

      • KCI등재

        저소득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가 경험한 음주의 의미 - 음주자의 얼굴을 가리고 어머니의 형상을 좇아 살아가기

        김미숙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drinking experience of low-income single mothers. For this, a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by Giorgi was se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e of drinking experience of seven participants, five essential themes such as ‘counterattack from alcoholic dependence’, ‘transformation of drinking from means to purpose’, ‘taking children as a momentum to reflect on drinking’, ‘living with an image of mother while tied down to drinking’, and ‘pursuing a balance between drinking and daily life’ were found. The general theme which synthesizes the meaning and nature of drinking experience of low-income single mothers is ‘hiding a drinker and seeking a mother’s façad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social welfare practical implications for low-income single mother drinke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저소득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의 음주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연구로 접근했다. 본 연구에서는 7명의 연구참여자들의 음주 경험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의지했던 술의 역습’, ‘도구에서 목적으로 변질되어가는 음주’, ‘자녀를 거울삼아 음주를 반성하기’, ‘음주에 매여 있으면서 어머니로 살아가기’, ‘음주와 생활의 균형점 찾기’와 같은 5개의 본질적 주제들이 발견되었다. 저소득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가 경험한 음주의 의미와 본질을 종합하는 핵심 주제는 ‘음주자의 얼굴을 가리고 어머니의 형상을 좇아 살아가기’로 상정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 한부모가족 여성 음주자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논의했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기업에서 일하는 저소득 한부모 여성 가장의 노동경험

        하춘광,김효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9 No.2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mpowerment program construct factors of low-income single female-parents working in the social enterprises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welve low-income single female-parents were interviewed and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hrough Giorgi’s qualitative method. This study provides seven main construct factors and thirteen sub-construct factors in personal dimension, positive dimension and negative dimension of organization. Seven main construct factors are such as conflict between job and raising children, economic security by working, finding myself strong, getting old in working together with co-workers, conflict situation in relations, display one’s cap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rk experience of low-income single female-parents working in the social enterprises has been observed to get themselves strengthened. Therefore, various policies and practical programs to improve not only empowerment of low-income female parents in social enterprises but also their working conditions are needed to developed.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기업에 참여하고 있는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장의 노동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즉,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장의 사회적 기업 노동경험을 통하여 역량을 강화하고 사회적 기업의 발전방향을모색해볼 수 있는 정책적․임상적 개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orgi의 현상학적연구방법에 의거하여 사회적 기업에 활동에 참여하는 12인의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장들을 대상으로 사회적기업에 참여하게 된 동기 및 과정, 사회적 기업에서 일 하면서 변화하였다고 인지한 측면 등에 대해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심층면접 내용에 대한 분석결과들은 13개의 하위 구성요소들과 ‘일․가정 양립 갈등’, ‘경제적 자립을 위한 버텨내기’, ‘강해지는 나’, 베풀며 늙어가는 일터의 나’, ‘상하 수평적 갈등상황’, ‘더 나은 삶을 위해 나아가는 나’, ‘문제해결능력’이라는 7개의 핵심구성요소로 정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빈곤여성이 참여하는 사회적 기업의 발전방향에 대한 모델개발이나 이론개발에 기여할 것이며, 사회적으로 큰관심을 받고 있는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 방안의 도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마이크로크레딧 이용 후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구주의변화 유형에 관한 분석- Q방법론을 중심으로-

        임유진 ( Yu Jin Im ),임은의 ( Eun Eui Yim ),박상금 ( Sang Keum Park ),이예승 ( Ye Seung Le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45 No.-

        본 연구는 마이크로크레딧 이용 후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구주가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창업 이후의변화 인식 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주관성 영역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 Q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QUANL PC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였다. 연구대상은 마이크로크레딧 프로그램을 이용한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구주이며, 이들의 창업이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32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창업이후의 변화 유형은 4가지로 분류되었고 제1유형은 긍정적 자기실현형, 제2유형은 스트레스 호소형, 제3유형은 경제적 변화 집중형, 제4유형은 대인관계 인식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창업 이후의 변화는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구주의 창업이 생계수단 그 이상의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의미임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구주 대상 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theme of this study is the construct of recognition after foundation among thelow-income female single parents. The aim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construct of thechange in the perception among the low-income female single parents and analyzing the traitof each type in it. This research was used Q methodology and QUANL program was used fordata coding and the factors in the construct.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was the low-incomefemale single parents who used the microcredit program. As a result, the final 32 Q-samples were chosen and 4 factors were identified. Four Factorsdrawn from this analysis were as the following: the first factor named as ‘Positive selfrealization’, the second factor named as ‘Accumulation of stress’, the third factor named a ‘Dependence on income’and final factor named as ‘Interes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ased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meaning of the foundation of the low-incomefemale single parents was not just for a living but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Accordingto this result, these researchers suggested the policies and practical plans.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Low-income Mothers’ Employment: The Role of Behavioral Health and Government Support

        송나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4

        Using the National Survey on Drug Use and Health (NSDUH) from the 2004 to 2013 wa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edictors of employment status among low-income single mothers in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used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predictor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pression and substance use disorder (behavioral health problems), and government supports (cash and in-kind). The sample consists of a total 14,722 single mothers. This study found that the presence of any substance abuse and dependenc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lower odds of employment,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Government supports, including Temporary Assistance for Needy Families (TANF) and the Supplemental Nutrition Assistance Program (SNAP)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odds of being employed, whereas receiving job training and child care suppor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being employed. The findings reveal associated relationships between behavioral health, government supports (welfare benefits), and empl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